송용우
(Yong Woo Song)
1
원안나
(An-Na Won)
2
황정하
(Jung-Ha Hwang)
3
박진철
(Jin Chul Park)
4†
-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Ph.D Course,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Seoul, 06974, Korea)
-
경북대학교 연구교수 공학박사
(Research Professor, School of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
경북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Professor, School of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Professor, School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Chung-Ang University, Seoul,
06974, Korea)
Copyright © 2016,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s of Korea
Key words
의료시설(Hospital), 공기 감염(Airborne infection), 전산유체해석(CFD simulation), 외래진료부(Outpatient department)
기호설명
$D$:질병 발생 건수
$I$:감염자 숫자
$P$:감염 확률
$p$:1인당 호흡량 [m3/s]
$Q$:외기 도입량 [m3/s]
$q$:보균자에 의한 균 생성률(quanta/s)
$S$: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취약한 인원
$t$:총 노출 시간(s)
1. 서론
2003년 아시아를 중심으로 유행한 중증급성호흡증후군(SARS)과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사태로 인해 공기 중 병균이 부유 및 확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공기 감염의 위험성이 사회적으로 큰 화두가 되었다. 특히 중동호흡기증후군은 2015년 7월 종식 선언까지 186명의 확진환자와
36명 사망자, 일일 최다 6,729명의 최다 격리대상자[1]가 발생하여 의료시설 역시 공기 감염 예방에 취약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이에 대한 방안으로 감압 병동 신설이 늘어나고 있으며,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 본부는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운영과 관리지침을 2017년 2월에
발간하여 중동호흡기증후군과 같은 신종 감염병에 대응 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기존 건립되어 있는 종합병원의 진료부와 로비공간의 경우 그에 대한 대비가
미비한 상황이다.
공기 감염 질환의 경우 잠복 기간으로 인해 감염 여부에 대한 확인이 어려우며, 해당 기간 동안 감염자들이 병원에 출입한다면, 다수의 추가 감염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병원 내에서 가장 많은 외부인과 환자의 출입이 발생하는 곳은 1층의 로비와 진료부로 해당 위치의 기류 환경 제어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만
병원 내 감염 및 외부 병균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병원의 진료부와 입원치료병상만을 분류하여 실시된 기류 환경 CFD 시뮬레이션분석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로비를 포함한 종합병원 1층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된 기류환경 분석은 현재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1층 로비와 진료부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류 분석(CFD)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병동의 공기조화환경
변화를 통해 압력차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감염확산 예방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방법은 먼저 문헌고찰을 통한 병원공기 감염 특성을 파악하였고 공기 감염 확산 방지 방안에 대한 격리병상(음압) 기준 등을 검토하였다.
이후 대상 병원 평면, 공기조화특성 등에 대한 실측 등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 환경에 대한 CFD 시뮬레이션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구간의 조건 변경을 통한기류 유동 변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종합병원 1층 로비와 진료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내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문헌고찰
2.1 공기 감염
공기 감염이란, 공기 중에 바이러스가 부유되어 타인의 피부 및 호흡기를 통해 전파⋅감염되는 것을 말한다. Sung[2]은 공기 감염을 크게 접촉(contact), 비말(droplet), 공기(airborne)로 구분하였다. Catherine[11]은 공기 감염 중 비말을 통해 확산되는 병균에 노출되었을 경우 감염될 확률을 다음의 식 (1)을 통해 나타내었다.
식 (1)에 적용되는 내용에 따르면, 공기 확산을 통한 감염 확률은 외기가 많이 유입될수록 낮아지며, 노출시간, 호흡량, 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취약한 인원의
수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 (1)에 따라 공기 감염 확률을 낮추는 방법은 보균자와의 접촉시간을 최소화시키는 방법과 깨끗하게 정화된 외기공기의 유입량을 늘리는 것이 대표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특수한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지만, 음압 병동이 아닌 일반 병원의 진료부와 로비는 많은 외부인의 출입으로 인해 감염물질의
유동 발생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외래공간은 병원 내 감염 관리를 위해 1차적으로 고려해야 할 높은 우선순위를 갖고 있어 실내 압력의 차이를
통해 일정 공간으로 유도하여 오염된 공기를 배출 하여야 한다.
2.2 원내 감염
원내 감염의 사전적 의미는 병원 안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온갖 질병들의 감염을 일컫는 용어이다. 의료기관 내에서 감염은 항상 존재하며, 환자 및 방문객,
직원으로부터의 감염 역시 원내 감염의 하나의 경로이다. Chung[7]은 원내 감염과 더불어 의료 서비스와 관련된 감염까지 포괄하여 의료 관련 감염으로 정의하였으며, 전파 경로를 정의 하여 그 예방 방법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해당 예방 방법은 공기, 비말, 접촉 등으로 인한 감염을 주의하여야 하며, 손 및 기침에 관한 위생을 강조하였다. Yoo[8]은 의료관련 감염관리에 대한 경로, 주의에 대한 기본적인 관리방법을 정리하였다.
이처럼 최근에는 원내 감염을 넘어서 의료 서비스에 의한 감염 예방을 강조하고 있으며, 대표적 조치로 경로에 대한 개선과 손 위생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감염 가능 경로를 개선할 경우 공기 감염으로 발생될 수 있는 원내 감염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원내 기류 변화와 제어를 통해 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3 입원치료(격리)병상 시설 기준
외래 공간(로비, 외래진료부)의 공기유동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이전 현재 입원치료(격리)병상 시설의 음압 제어 기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는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운영과 관리 지침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오염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실내의 공기압력을 제어하여야 한다.
둘째, 음압격리병실 등의 실내 공기압력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음압격리병실과 병실 전실에 급기구 및 배기구를 설치하되 병실 내 화장실의 경우
배기구만 설치하여야 한다.
셋째, 화장실, 병실, 병실전실, 내부 복도 등의 실간 차압은 각각 -2.5 Pa 이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음압격리구역의 음압이 적절히 유지되도록 공조 제어기는 중앙통제실 등에 설치해야한다.
위의 4가지 사항은 음압 병동을 제어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본 연구는 해당 사항 중 실간 차압 방법을 적용할 경우 로비와 외래 진료부의 공기 유동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 현장 측정 및 압력 산정
3.1 대상 건물 개요
본 연구의 분석 및 실태조사 대상 건물은 K대학 종합병원을 선정하였다. 해당 병원은 총 4개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병원의 연면적은 95,936
m2이며 일반 병상 수 490개소와 중환자실수 39개소, 응급병상 수 26개소, 어린이병상수가 70개소로 총 625개소의 병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중
어린이 병원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 병원의 개요와 1층의 평면도는 Table 1과 Fig. 1과 같다.
Table 1. Overview of the hospital
General Hospital
|
City
|
D City
|
General beds(ea)
|
490
|
Intensive care unit(ea)
|
39
|
Emergency beds(ea)
|
26
|
Scale
|
4buildings
|
Children's beds(ea)
|
70
|
Measuring Space
|
Area(m2)
|
1,862.38
|
Air conditioning system
|
Central control Single duct
|
Location
|
First floor
|
Number of rooms
|
Four sites including the waiting room
|
Fig. 1. K university general hospital 1stfloor plan.
대상 병원 1층은 Fig. 2와 같이 크게 로비, 응급치료부가 있는 좌측, 외래진료부분이 있는 우측으로 구분되며, 해당 구분을 CFD 시뮬레이션 분석에 활용하였다. 구간별 특징으로
좌측은 응급치료부가 위치하여 침상이 개방된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로비에서 좌측 공간으로 이어지는 복도가 길게 이어져 있다. 더불어 로비로 이어지는
문이 검사실과 이어지는 구간에 존재하고 있다. 이는 좌측에서 로비로 이어지는 문이 2군데 존재하여 로비의 공기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Fig. 2. Simulation analysis section.
우측 외래진료구역은 진료구역에 맞춰 침상별 공간이 구획되어 있으며, 진료과별 공간이 세밀하게 구성되어 있어 각 공간별 공조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로비로 이어지는 복도가 1군데 존재하고 있어 로비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과 풍속이 높게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다.
대상 병원은 각 공간별 디퓨저와 FCU의 숫자 및 개수가 다르게 설치되어 있으며, 로비의 경우 높은 천정고에 급배기구가 혼합되어 설치되어있다. 실제
현장 조사를 통해 산정된 디퓨저의 개수 및 풍속, 로비연결 복도의 개수는 Table 2, Table 3과 같다. 조사된 개수와 풍속 값은 본 연구의 CFD 분석에 활용하였다.
Table 2. Number of target hospital air exhaust diffuser and FCU installed
Room division
|
Left side
(Emergency Department)
|
Robby
|
Right side
(Outpatient department)
|
Number of supply diffuser(EA)
|
38
|
37
|
30
|
Number of exhaust diffuser(EA)
|
51
|
43
|
29
|
Number of total diffuser(EA)
|
89
|
80
|
59
|
Number of supply FCU(EA)
|
27
|
2
|
21
|
Number of exhaust FCU(EA)
|
27
|
15
|
21
|
Number of total FCU(EA)
|
54
|
17
|
42
|
Number of corridors(EA)
|
2
|
-
|
1
|
Table 3. Target hospital installation diffuser and FCU exhaust maximum, average wind speed
Room division
|
Left side
(Emergency Department)
|
Robby
|
Right side
(Outpatient department)
|
Supply diffuser max velocity(m/s)
|
2.45
|
3.43
|
1.55
|
Exhaust diffuser max velocity(m/s)
|
1.63
|
2.34
|
1.67
|
Supply FCU max velocity(m/s)
|
3.45
|
2.74
|
2.74
|
Exhaust FCU max velocity(m/s)
|
1.28
|
1.10
|
1.10
|
Supply diffuser average velocity(m/s)
|
1.35
|
2.05
|
0.67
|
Exhaust diffuser average velocity(m/s)
|
1.06
|
1.60
|
0.66
|
Supply FCU average velocity(m/s)
|
2.76
|
1.70
|
2.74
|
Exhaust FCU average velocity(m/s)
|
1.10
|
1.10
|
1.10
|
측정은 급기 디퓨저와 배기 디퓨저, FCU의 중앙에 풍속계를 부착하여 Fig. 3과 같이 측정하였다. 대상 병원의 급배기 디퓨저와 FCU의 경우 좌측(응급치료부)에 가장 많이 설치되어 있으며, 배기 디퓨저가 급기 디퓨저에 비해
많이 설치되어 있다. 좌측의 디퓨저와 FCU 풍속의 경우 급기풍속이 배기풍속에 비해 0.29 m/s~1.66 m/s까지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실내
배기가 급기에 비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공기의 정체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우측(외래진료부)의 급배기 디퓨저 풍속은 로비, 좌측 구간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나 이를 통한 우측 구간 내 기류 변화 효과가 낮을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로비의 급배기 풍속이 우측 구간에 비해 높아 압력 변화를 발생시켜 우측 공기가 로비로 배출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4. 기류 분석 시뮬레이션
4.1 시뮬레이션 개요
실태 조사를 통해 측정된 값과 TAB보고서 값을 활용하여 기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은 Siemens사의 Star-CCM+(ver.13.04)를
사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의 기본 설정 조건과 3D 모델링은 Table 4, Fig. 4와 같다. 해당 모델의 분석을 위하여 Launder와 Spalding가 최초 제안한 k-ε 모델을 사용하였다. 격자의 형태는 단면이 육각형 다면체
격자 형태를 지는 Polyhedral 방식을 사용하였다.
Table 4. Simulation overview
Mesh
|
Polyhedral mesh
|
Mesh size/Quantity
|
1.0 m/1,202,011ea
|
Inlet
|
Stagnation inlet, Velocity inlet
|
Outlet
|
Pressure outlet, Velocity inlet
|
Physics
|
Constant density, Gas, Gradients, K-Epsilon turbulence, Realizable K-Epsilon two-Layer,
Segregated flow, Three dimensional
|
Fig. 4. 3D modeling for CFD simulation.
격자의 크기는 최소 0.05 m, 최대 1.0 m로 설정하여 공간의 미세한 부분까지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내의 온도와 압력은 모두 Default
값을 사용하였으며, 측정값과 TAB보고서에 나타난 값을 Inlet 값에 적용하여 Fig. 2에 나타난 공간별 실내 압력과 기류의 흐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4.2 CFD 결과
기존 환경에 대한 CFD 시뮬레이션 분석에 활용 된 기초 자료는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제 대상 병원에서 측정된 값 및 기존 TAB 보고서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실내 조건은 실내 문이 모두 개방 되었을 경우와 모두 닫혀있는 경우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이는 실내 문의 개폐여부에 따라 로비와 병동,
진료부의 압력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4.2.1 문 개방 상태
기존 실내 기류 환경 분석 중 첫 번째로 실내의 문이 개방 된 상황을 가정하여 기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해당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실내 문이
모두 개방되어 있는 상황에서 로비와 진료부 외래진료부 간의 기류의 유동과 압력의 차이 발생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Fig. 5, Fig. 6과 Table 5와 같다.
Fig. 5. Base model(door open) simulation result(scalar).
Fig. 6. Base model(door open) simulation result(vector).
Table 5. Simulation result(pressure, velocity)
$ \quad \quad \quad \quad $division
height
|
Door opened(Pressure : Pa, Velocity : m/s)
|
Left side pressure
|
Robby Pressure
|
Right side pressure
|
Average Velocity
|
0.5 m
|
4.48
|
4.25
|
6.08
|
0.1993
|
1.0 m
|
3.62
|
3.48
|
5.24
|
0.2016
|
1.5 m
|
2.84
|
2.73
|
4.41
|
0.1969
|
2.0 m
|
1.89
|
1.75
|
3.46
|
0.1887
|
실내 모든 문이 개방된 상황을 가정하여 CFD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Scalar, Vector 분석 결과 로비 우측의 압력이 높아 로비로의 공기 유입이
가능하며, 해당 공기가 압력이 낮은 로비와 좌측으로의 병원균 이동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5에 나타난 높이별 압력, 풍속 값 역시 우측의 압력이 로비와 좌측에 비해 높게 나타고 있으며, 이는 우측에서 로비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1개뿐인
동시에 로비의 낮은 압력으로 그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문 개방 상태에서 실시된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우측과 좌측, 로비의
압력차이로 인해 환자의 병균이 방문객 및 진료부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인 것으로 사료된다.
4.2.2 문 폐쇄 상태
다음으로 실시한 시뮬레이션은 실내의 문이 모두 폐쇄된 상태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해당 결과는 Fig. 7, Fig. 8, Table 6과 같다. 일반적으로 문이 폐쇄된 상황이라 하더라고 개방에 사용되는 레일 공간이 있어 해당 모델링에서 반영하였으며, 이 공간은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Fig. 7. Base model(door close) simulation result(scalar).
Fig. 8. Base model(door close) simulation result(vector).
Table 6. Simulation result(pressure, velocity)
$ \quad \quad \quad \quad $division
height
|
Door closed(Pressure : Pa, Velocity : m/s)
|
Left side pressure
|
Robby Pressure
|
Right side pressure
|
Average Velocity
|
0.5 m
|
4.16
|
3.78
|
6.85
|
0.1073
|
1.0 m
|
3.30
|
3.01
|
6.05
|
0.1167
|
1.5 m
|
2.53
|
2.26
|
5.07
|
0.1144
|
2.0 m
|
1.58
|
1.31
|
4.28
|
0.1082
|
기존 환경에서 실내 모든 문이 폐쇄된 상황을 가정하여 CFD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Scalar, Vector 분석 결과 개방된 상태 분석과 동일하게
우측의 압력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1개의 통로만을 갖고 있는 평면적 특성과 작은 우측에서 발생된 풍속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Table 6에 나타난 높이별 압력, 풍속 값 역시 우측의 압력이 로비와 좌측에 비해 높게 나타고 있으나, 각 구간 별 공기의 유동이 크게 발생되지 않아 병원균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5. 원내 감염확산 방지 개선안
5.1 개선안 개요
기존 상태 분석을 위해 실시한 시뮬레이션 결과 문 개폐와 관계없이 우측에 높은 압력이 발생하여 로비로의 공기 배출이 일어나며, 좌측의 경우 압력이
로비와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기류 정체 및 압력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개선하고자 한다.
첫째, 로비에 존재하는 급기 디퓨저를 배기 디퓨저로 변경하여 로비에서 배기가 더 원활하게 하고자 하였다.
둘째, 우측에서 로비로 유입되는 공기와 로비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공기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추가적인 배기구 적용과 전실 및 문의 적용을 반영하여 개선하고자
하였다.
5.2 나나나
개선안-1(로비 배기 디퓨저 증가)
해당 병원의 1층 로비와 진료부 전체 기류의 개선을 위하여 기존 공간 로비 상부에 존재하는 급기 디퓨저를 모두 배기 디퓨저로 변경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은 기존 분석과 동일하게 실내 문의 개폐 유무로 구분지어서 실시하였다. 실내에 존재할 수 있는 병원균과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공기병원균을 로비에서 배출할 수 있도록 적용하였으며, 본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Fig. 9~Fig. 12와 같다.
Fig. 9. Alternative model-1(door open) simulation result(scalar).
Fig. 10. Alternative model-1(door open) simulation result(vector).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 실내 환경에 비해 크게 달라지지 않은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우측의 압력이 높아 로비로 배출되는 공기 통제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Fig. 11, Fig. 12는 문이 모두 닫혀 있는 상황을 가정하여 실시된 시뮬레이션 결과로 기존 실내 환경에 비해 로비, 좌측, 우측의 압력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 것을 Table 7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계단실과 좌측으로 통하는 복도에서 기류가 정체되거나 로비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11. Alternative model-1(door close) simulation result(scalar).
Fig. 12. Alternative model-1(door close) simulation result(vector).
Table 7. Simulation result(pressure, velocity)
$ \quad \quad \quad \quad $division
height
|
Door open(Pressure : Pa, Velocity : m/s)
|
Door closed(Pressure : Pa, Velocity : m/s)
|
Left side pressure
|
Robby Pressure
|
Right side pressure
|
Average Velocity
|
Left side pressure
|
Robby Pressure
|
Right side pressure
|
Average Velocity
|
0.5 m
|
4.19
|
3.86
|
5.95
|
0.21123
|
3.96
|
2.28
|
6.64
|
0.16158
|
1.0 m
|
3.32
|
3.09
|
5.11
|
0.21201
|
3.10
|
1.52
|
5.79
|
0.12784
|
1.5 m
|
2.56
|
2.34
|
4.29
|
0.20489
|
2.34
|
0.76
|
4.98
|
0.12585
|
2.0 m
|
1.61
|
1.39
|
3.33
|
0.19404
|
1.38
|
-0.18
|
4.02
|
0.11935
|
로비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급배기 디퓨저를 모두 배기 디퓨저로 변경한 시뮬레이션 결과 문이 모두 열린 경우 기존 실내 기류의 유동에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문제가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문이 모두 폐쇄된 경우는 압력 차이를 발생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좌측과 계단실로 유입되는
기류가 형성되어 이에 대한 추가적인 대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5.3 개선안-2(전실, 문 및 배기 디퓨저 추가 설치)
1차 개선안 시뮬레이션을 통해 로비의 디퓨저를 변화시켜도 실내 기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급배기 디퓨저 변화 이외에 전실,
문 및 배기 디퓨저 추가설치를 통한 실내 기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제어 가능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Fig. 13, Fig. 14는 로비와 각 병실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복도 공간, 와류 발생 공간에 전실 및 추가 배기 디퓨저를 설치한 결과로 Fig. 14에 붉은 원으로 표시된 부분과 계단실 및 승강기 전실에 해당 적용 내용을 반영하였다. 기타 공간의 문은 모두 열려있는 상태로 실시되었다.
Fig. 13. Alternative model-2 simulation result(scalar).
Fig. 14. Alternative model-2 simulation result(vector).
그 결과 기존에 발생했던 와류 현상과 우측에서 로비로 배출되는 공기, 로비에서 좌측으로 기류 유동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좌측과
로비를 기준으로 우측과 로비에서 모두 압력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어 원활한 기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계단실 및 승강기 실을
통해서 1층 이상 공간으로 기류 유동을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8은 해당 시뮬레이션의 부분 별 평균 압력과 기류 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Table 8. Simulation result(pressure, velocity)
$ \quad \quad \quad \quad $division
height
|
Door opened(Pressure : Pa, Velocity : m/s)
|
Left side pressure
|
Robby Pressure
|
Right side pressure
|
Average Velocity
|
0.5 m
|
3.87
|
3.05
|
6.54
|
0.15587
|
1.0 m
|
3.01
|
2.28
|
5.70
|
0.15835
|
1.5 m
|
2.24
|
1.53
|
4.88
|
0.15335
|
2.0 m
|
1.29
|
-0.57
|
3.93
|
0.14577
|
6. 결 론
본 연구는 종합병원 1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실측조사를 바탕으로 한 로비, 외래 진료부와 응급치료병동의 CFD 시뮬레이션분석을
실시한 것으로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대학 종합병원(약 625병상) 1층 로비와 진료실 측정결과 급기 디퓨저 풍속이 배기 디퓨저 풍속에 비해 0.29 m/s~1.66 m/s까지
높게 측정되어 실내 배기가 급기에 비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공기의 정체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둘째, 병원 로비와 병동부 및 진료부의 문의 개폐여부에 따른 CFD 시뮬레이션 결과, 문이 폐쇄된 경우 진료부의 공기의 압력과 로비의 압력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그 흐름이 정체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우측 진료부에서 발생된 기류로 인해 로비부분과 진료부에 그
기류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병원균의 감염, 외부인으로 인한 공기 감염 확률이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개선안 적용으로 로비 배기 디퓨저 증가 시에는 문이 열려있는 상황에서 로비로 배출되는 공기 통제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문이 모두 닫혀 있는 상황에서는 로비 좌, 우측부분에 압력차이가 나타났으며, 계단실과 복도부분에 기류가 정체되거나 로비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개선안으로 전실, 문 및 배기 디퓨저 추가 설치 시에는 로비에서 진료부가 있는 좌측 병실로의 기류 유동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계단실 및 승강기 실을 통해서 1층 이상의 공간으로의 기류 유동을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병원 신축 및 기존 병원 기류 제어를 위해서는 공간 분리와 배기 디퓨저의 적절한 위치 적용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응급치료부와 외래진료부, 로비 부분 모두 각각의 배기시스템을 적용하여 공기 감염 가능성을 낮출 방안 마련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후 기
이 논문은 2016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6 R1A2B2011255).
Reference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isease control center , 2017,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nationally designated hospital beds
Sung M., 2015, Hospitals’coordination method and infection control by MERS, facility
standard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44, pp. 58-64
Yang Y., Kang I., 2017, CFD Simulation of the All-Room for Preventing Spread of the
Air-Borne Infection in Hospital,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Journal-Structure
System, Vol. 33, pp. 61-68
An J. W., Yang Y., 2018, Comparative Evaluation of Measures against the Spread of
Air-borne Infections in a Large National Hospital and Small and Medium-sized Clinic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 25, No.
1, pp. 90-97
Choi B., 2015, Geography of MERS outbreak and politics of bio-power, Space and Environment,
Vol. 25, No. 3, pp. 173-192
Yang J. Y., 2012, Assessing Health Risk from Early-Life Exposure to Carcinogens,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Symposium and Proceeding, pp.
61-68
Chung D., 2018, Transmission and Prevention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93, No. 4, pp. 317-323
Yoo J., 2018, Principle and perspective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61, No. 1, pp. 5-12
Park Y., Kim J., 2018, Analysis of Indoor Air Flow Measurement according to Outdoor
Air Intake Rate in an Outdoor Patient Department at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 25, No. 3, pp. 298-308
Song H., Won A., 2017, Airflow Analysis in Policlinic and Lobby Space for Prevention
of Airborne Infection in General Hospitals,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Vol. 11, No. 5, pp. 453-464
Catherine J., Andrew Sleigh P., 2008, Applying the Wells-Riley equation to the risk
of airborne infection in hospital environments, The importance of stochastic and proximity
effects, Indoor Air, pp. 1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