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생 (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
  2.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



Photovoltaic/Thermal(태양광열), Energy efficiency(에너지성능), Dynamic simulation(동적시뮬레이션), Life cycle cost(생애주기비용)

기호설명

$Q_{PVT}$ : PVT 모듈의 열 생산량 [W]
$A$ : PVT 모듈의 면적 [m2]
$F_{r}$ : 흡수기의 열제거 효율계수
$S$ : 흡수된 일사량 [W]
$U_{L}$ : 열손실율 [W/m2‧K]
$T_{i}$ : PVT 모듈의 입수온도 [°C]
$T_{a}$ : PVT 모듈의 주변온도 [°C]
$P_{PVT}$ : PVT 모듈의 생산전력 [W]
$\tau\sigma$ : PVT 모듈의 투과율-흡수율
$IAM$ : PVT 모듈의 입사각 [°]
$G_{t}$ : 전천일사량 [kW/m2]
$\eta_{pvt}$ : PVT 모듈의 전력효율 [%]
$\eta_{c}$ : PVT 모듈의 전력효율 조건
$X_{t}$ : PVT 모듈의 온도함수 [1/°C]
$X_{r}$ : 태양복사 함수 [h‧m2/kJ]
$\eta_{th,\:year}$ : PVT 모듈의 연간 열효율 [%]
$\eta_{el,\:year}$ : PVT 모듈의 연간 발전효율 [%]
$f_{year}$ : 연간 태양열 이용률 [%]
$Q_{DHW}$ : 급탕열량 [W]
$Q_{AUX}$ : 보조열원 열량 [W]

1. 서 론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의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에너지 수요는 글로벌 경제성장과 함께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1) 특히,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량은 경제규모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2017년도 기준 에너지 수입의존도는 94.2%로 에너지 안보에 매우 취약한 수급구조를 가지고 있다.(2) 이에 따라, 정부는 에너지 안보확보와 더불어 에너지 수요 및 환경 오염부하를 저하시키기 위해 자연 에너지를 활용하는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기술개발 및 보급 활성화에 관한 정책을 다각적인 방면에서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정책에 의해 신재생에너지 기술과 관련시장의 규모는 증가하고 있다.(3)

한편, 국내에 도입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기술 중에서 태양에너지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태양광 및 태양열 시스템은 타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보다 설치공정 쉽고 낮은 초기투자비용과 더불어 간편한 유지관리로 인해 활발히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태양광 시스템의 경우 하절기 높은 외기온도와 과도한 일사로 인해 태양광 패널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태양광 시스템의 발전효율은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태양광 패널 후면에 태양열 흡수기(Absorber)를 설치하는 태양광열(Photovoltaic-thermal, PVT)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태양광열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효율을 향상시키고 패널에 축적된 폐열을 태양열 흡수기를 통해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종래의 태양광 및 태양열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고 상호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4)

태양광열 시스템에 대해 실증실험이나 시뮬레이션을 통해 태양광 시스템 또는 태양열 시스템을 대상으로 개별 시스템과 융합시스템의 성능 비교분석을 수행하고 있으며, 태양광열 시스템 최적설계를 위해 성능검토와 도입 타당성 분석이 다양한 방면에서 수행되고 있다. Euh et al.(5)은 태양광열 복합 시스템, 태양광 모듈, 태양열 집열기를 대상으로 실험조건과 설계변수에 의한 각 시스템의 집열 및 집광 효율을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열효율 측면에서는 태양열 집열기와 태양광열 복합 시스템이 각각 71.5%, 57.9%으로 확인하였으며 전기효율은 태양광열 복합 시스템이 태양광 모듈 대비 평균 3.2% 낮게 나타났다. Kim et al.(6)은 국내에 보급되고 있는 태양광 모듈과 태양열 집열판을 결합하여 유창형(Glazed) 태양광열 집열기와 무창형(Unglazed) 태양광열 집열기를 개발하였다. 두 시스템을 대상으로 실증실험을 통해 열과 전기적 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열효율 성능은 유창형과 무창형이 각각 39%, 24%로 분석되었다. Bhattarai and Kim(7)은 태양광열 복합 시스템의 형태에 따른 열 및 전기적 성능검토를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박스형 시스템과 튜브형 시스템의 열효율은 각각 51%, 41%, 전기효율은 각각 14%, 13%로 확인하였다. 박스형이 튜브형 보다 접촉면적이 넓어 열전달 측면에 우위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Lee et al.(8)은 태양광 모듈, 공기식 태양광열 모듈 및 액체식 태양광열 모듈을 직접 제작하고 동일 외기온도와 일사량에 따른 성능을 옥외실험을 통해 비교분석 하였다. 실험결과, 열 및 전기에너지 생산효율은 태양광 모듈, 공기식 태양광열 모듈 및 액체식 태양광열 모듈이 각각 12.2%, 29.5%, 68.7%로 계산되었으며, 전체효율은 기존 태양광열 모듈 대비 공기식이 2.2배, 액체식이 5.6배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Garg and Adhikari(9)는 액체식 태양광열 모듈의 상부에 설치되어있는 유리 구성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Steady-state Simulat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시스템 효율은 이중 유리 구성 보다 단일 유리 구성에 영향을 더 미치며 실제 상용화를 위해서는 설치비용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Fudholi et al.(10)은 태양광열 집열기의 최적설계를 위해 태양열 흡수기 설계방법에 따른 성능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흡수기 설계방법에 따른 전기 및 열성능을 실험 및 분석하였다. Hazi et al.(11)은 루마니아 산업 에서 온수 및 난방에 이용되고 있는 태양광열 시스템의 기술적, 경제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적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태양 복사량, 외기온도 및 열원수 공급온도의 세 가지 설계변수에 따른 에너지 평가와 경제 지표를 평가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단일 시스템과 융합 시스템의 비교분석과 태양광열 시스템의 구조적 형태, 태양광열 시스템 후면에 부착되는 태양열 흡수기의 설계방법에 따른 성능평가가 실시되고 있으며 나아가 실제 상용화를 위한 태양광열 시스템의 최적설계 및 경제성 평가가 실험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는 태양광열 모듈의 형태와 설계방법에 따른 열 및 전기적 성능을 단일 시스템으로만 파라미터 스터디를 수행하고 있으며 축열조와 같은 에너지저장장치와 건물부하 조건을 고려한 성능분석은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열 시스템을 대상으로 에너지저장장치와 건물의 급탕부하 조건을 고려한 성능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태양광열 모듈뿐만 아니라 에너지저장장치의 설계조건에 따른 태양광열 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변화를 정량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Case Study를 수행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열 모듈의 설계 조건과 축열조 내부의 설정온도조건에 따른 열 및 전기효율을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시스템 도입 타당성 평가를 위해 종래의 급탕시스템과 경제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2. 에너지 시뮬레이션

2.1 에너지 시뮬레이션 개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태양광열 시스템은 태양광 패널과 태양열 흡수기를 결합하여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으며, 생산된 열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축열조를 이용하여 생산된 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Fig. 1은 에너지 시뮬레이션에서 이용된 태양광열 시스템의 개요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태양광열 시스템은 기상모델, 태양광열 모듈, 순환펌프, 축열조 및 급탕부하모델로 구성되어있다. 태양광열 모듈은 설정된 지역의 기상데이터를 바탕으로 열과 전기를 생산하며 생산된 열은 축열조에 저장되고 급탕 부하모델에 입력된 급탕 프로파일에 의해 이용된다. 에너지 시뮬레이션에서 구축된 각 컴포넌트(Component)는 축열조 내부 설정온도, 급탕 프로파일에 의해 운전을 수행한다.

Fig. 1 Schematic diagram of the PVT system.
../../Resources/sarek/KJACR.2019.31.7.312/fig1.png

본 연구에서 이용된 태양광열 시스템의 On/Off 운전제어는 태양광열 모듈의 입․출수 온도차($\Delta T$) 시그널(Signal)에 의해서 수행된다. 태양광열 모듈의 입․출수 온도차($\Delta T_{on}$)가 5℃ 이상 일 때 시스템이 작동되며 반면, 태양광열 모듈의 입․출수 온도차($\Delta T_{off}$)가 1℃ 이하 조건에서는 시스템 운전이 중단된다. 한편, 축열조 내부 온도는 태양광열 모듈에서 출수되는 온도가 축열조 내부온도 보다 높을 경우 태양광열 모듈을 이용하여 축열조를 가열하게 되며, 태양광열 모듈을 이용할 수 없거나 모듈의 출수온도가 축열조 내부온도 보다 낮을 경우에는 축열조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열원(Auxiliary)을 이용하여 축열조를 가열한다.

2.2 에너지 시뮬레이션 조건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시뮬레이션인 TRNSYS 17을 이용하여 다양한 설계인자(Design Factor)에 따른 태양광열 시스템의 성능예측을 수행하였다. 태양광열 모듈과 축열조를 연계한 시스템 제어수법을 구축하고, 시스템의 열효율과 발전효율 그리고 태양열 이용률(Solar Fraction)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Table 1은 에너지 시뮬레이션에서 이용된 각 컴포넌트 조건을 나타낸다. 태양광열 모듈은 Unglazed 타입 으로 크기는 1.937 m×0.994 m로 설정하였으며, 모듈은 Case 조건에 따라 2장, 3장, 4장까지 연결하였다. 흡수기 (Absorber)는 외경 0.0127 m, 내경 0.0109 m의 동관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듈의 연결개수에 따라 5개, 10개, 20개까지 설치하였다. 흡수기의 열전도도는 재료의 열물성을 참고하여 236.9 W/m․K로 설정하였다. 또한, 태양광 패널의 전력효율은 STC(Standard Test Condition) 조건에서 16.1%, 최대발전량은 290 W로 설정하였다.

축열조는 소규모 주택의 일일 급탕량과 소규모 주택에서 이용되고 있는 축열조 용량을 참고하여 설계용량은 0. 5m3로 구축하였다. 축열조 내부 설정온도는 45℃에서 Case 조건에 따라 50℃, 55℃로 구성된다. 또한, Base Case의 순환펌프 유량은 50 lpm으로 입력하였으며, 소비전력은 10 W로 설정하였다.

Table 1. Component conditions in energy simulation

Component

Name

Value

PVT System

Module length

1.937 m

Module width

0.994 m

Number of module

2

Number of tubes

20

Module slope

45°

PV efficiency

16.1%

Max power

290 W

Thermal conductivity of the absorber

236.9 W/m‧K

Heat Storage Tank

Volume

0.5 m3

Set point temperature

45℃

Heating rate of auxiliary

12,000 kg/hr

Fluid specific heat

4.19 kJ/kg‧K

Circulating Pump

Power

10 W

Mass flow rate

50 lpm

Fig. 2는 시간별 급탕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급탕 프로파일은 경기도 소재 11개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연간 급탕량 및 열소비특성을 분석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시간별 급탕부하 프로파일을 나타내었다.(12) 급탕부하는 오전 9시부터 12시에 가장 많이 발생되었다. 한편, 급탕 프로파일에서 일일 급탕량은 300 l/day로 입력하고, 1시간 최대 급탕량은 31.5 l/hour로 설정하였다.

Fig. 2 Profile of the daily DHW.(12)
../../Resources/sarek/KJACR.2019.31.7.312/fig2.png

Table 2는 Case study 조건을 나타내고, 순환수 유량의 괄호안의 수치는 Module 단위 유닛의 유량으로서, Case에 따라 5 kg/hr씩 증가하여 분석하였다. 다양한 선행연구에서는 연계 시스템에 대해 태양광열 모듈의 설계용량에 따른 시스템의 열과 전기적 성능분석을 수행하고 있으나, 설계인자에 따른 시스템의 연간 열효율, 발전효율 및 태양열 이용률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수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열조 연계 태양광열 시스템을 대상으로 다양한 설계인자에 따른 성능분석을 공학적 접근방법을 통해 수행하고자 하였다.

Table 2. Simulation condition of case study

HST set point temp.

(℃)

Number of PVTs

(Unit)

Mass Flow rate

(kg/hr)

Number of tubes

(Unit)

Case 1-1

45

2

10(5)

5

Case 1-2

10

Case 1-3

20

Case 1-4

20(10)

5

Case 1-5

10

Case 1-6

20

Case 1-7

30(15)

5

Case 1-8

10

Case 1-9

20

Case 1-10

40(20)

5

Case 1-11

10

Case 1-12

20

Case 1-13

50(25)

5

Case 1-14

10

Case 1-15(Base case)

20

Case 1-16

60(30)

5

Case 1-17

10

Case 1-18

20

Case 2-1

3

75(25)

20

Case 3-1

4

100(25)

20

Case 3-2

50

20

Case 3-3

55

20

3. 태양광열 시스템 성능예측

3.1 태양광열 시스템 성능예측 방법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설계인자에 따른 태양광열 모듈의 열 생산량과 전력 생산량을 분석하였다. 모듈의 열 및 전력 생산량은 TRNSYS 17 Mathematical Reference에서 제공되고 있는 수학적 알고리즘 해석방법을 참고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Duffie and Beckman(13)에 의해서 제안되었으며 태양광열 모듈의 열생산량은 식(1)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1)
$Q_{PVT}=A\times F_{r}\times(S-U_{L}(T_{i}-T_{a}))[W]$

태양광열 모듈의 열 생산량($Q_{PVT}$)은 태양광열 모듈의 면적($A$)과 흡수기의 열제거 효율계수($F_{r}$) 및 열손실율 ($U_{L}$) 그리고 모듈에 흡수된 일사량($S$)을 통해 계산된다. 한편, 태양광열 모듈의 전력 생산량은 모듈의 전력 효율과 일사량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전력 생산량과 전력 효율은 식(2)식(3)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2)
$P_{PVT}=(\tau\alpha)_{n}IAM\times G_{t}\times A\times\eta_{PVT}[W]$

(3)
$\eta_{PVT}=\eta_{c}\times X_{t}\times X_{r}[%]$

한편, 태양광열 모듈의 전력 생산량은($P_{PVT}$) 모듈의 투과율-흡수율($\tau\alpha$), 모듈의 입사각($IAM$), 전천일사량($G_{t}$)과 모듈의 전력효율($\eta_{PVT}$)을 통해 계산된다. 전력효율은 모듈의 효율전과 모듈의 온도함수($X_{t}$) 및 태양 복사함수 ($X_{r}$)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식(1)식(2)을 이용하여 연간 열효율과 전기효율을 식(4)식(5)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연간 태양열 이용률을 급탕열량과 보조열원의 열량을 통해 식(6)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4)
$\eta_{th,\:year}=\dfrac{\Sigma Q_{PVT}}{\Sigma G_{t}}$

(5)
$\eta_{el,\:year}=\dfrac{\Sigma P_{PVT}}{\Sigma G_{t}}$

(6)
$f_{year}=\dfrac{\Sigma Q_{DHW-}\Sigma Q_{Au\xi}}{\Sigma Q_{DHW}}$

3.2 Base Case 성능분석

Fig. 3은 Base case(Case 1-15)의 태양광열 시스템 연간 열효율, 발전효율 및 태양열 이용률을 나타낸다. 하절기(8월 15일)과 동절기(12월 11일) 대표일을 대상으로 효율분석을 수행하였다. 하절기의 열효율은 약 43.3%, 발전효율은 12.2%, 태양열 이용률은 91.7%로 확인되었다.

Fig. 3 Daily thermal and electric efficiency of the representing day.
../../Resources/sarek/KJACR.2019.31.7.312/fig3.png

이에 반해, 동절기의 열효율은 29.3%, 발전효율은 13.1%로 하절기 보다 열효율은 47.7% 감소하였다. 그러나 발전효율은 7.2% 향상되었으며 이는 하절기의 과도한 일사량과 높은 외기온도에 의해 태양광열 모듈의 온도가 상승하여 발전효율이 감소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동절기의 태양열 이용률은 68.9%로 하절기 보다 33% 감소되었다. 이를 통해 열효율 측면에서는 하절기에 우위에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 4는 Base case의 월간 태양열 이용률 및 태양광열 시스템의 생산전력량을 나타낸다. 월간 열효율은 8월에 가장 높게 확인되었으며 열효율이 가장 낮은 12월 보다 약 3.6배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태양광열 모듈의 열획득 측면에서 하절기가 동절기 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외기온도와 일사량의 차이에 의해 열효율 차이가 발생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연간 열효율은 30.8%, 연간 발전효율은 12.6%, 연간 태양열 이용률은 47.5%로 확인되었다.

Fig. 4 Montly solar fraction and power production of the PVT module.
../../Resources/sarek/KJACR.2019.31.7.312/fig4.png

3.3 순환수 유량 및 흡수기 개수에 따른 성능분석

Fig. 5는 태양광열 시스템의 열효율, 전기효율 및 태양열 이용률을 나타낸다. 태양광열 모듈의 순환수 유량 5 kg/hr 조건에서는 태양열 흡수기가 5개, 10개, 20개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 열효율이 각각 19.3%, 20.7%, 21.1%로 나타났다. 순환수 유량이 15 kg/hr 조건에서는 각각 26.0%, 29.5%, 30.6%로 확인되었으며, 순환수 유량을 30 kg/hr까지 증가하더라도 열효율의 변화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한편, 태양열 흡수기의 개수가 5개이고 순환수 유량이 15 kg/hr 조건은 흡수기 개수가 10개, 20개인 조건과 열효율을 비교하였을 때 열효율이 각각 3.5%, 4.6% 감소된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순환수 유량은 충분하나 흡수된 태양열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Fig. 5 Efficiency and solar fraction according to absorber and mass flow rate.
../../Resources/sarek/KJACR.2019.31.7.312/fig5.png

시스템 전기효율의 변화양상 또한 열효율과 비슷하게 확인되었으며, 순환수 유량이 15 kg/hr 조건에서 흡수기 개수에 따라 각각 12.31%, 12.47%, 12.52%로 확인되었다. 순환수 유량이 15 kg/hr 이상 증가하더라도 시스템의 전기효율은 극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태양열 흡수기가 10개 이상 확보되었을 경우 흡수기를 더 많이 설치하더라도 전기효율의 향상은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태양열 이용률은 순환수 유량 15 kg/hr 조건에서 태양열 흡수기 개수에 따라 각각 40.0%, 45.5%, 47.2%로 확인되었으며, 태양열 흡수기 개수에 따라 최대 7.2%의 차이를 나타냈다. 시스템 열효율과 전기효율과 같이 순환수 유량 15 kg/hr, 태양열 흡수기 개수 10개 이상이 확보된 조건에서는 순환수 유량과 흡수기 개수를 증가 하여도 태양열 이용률은 크게 향상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태양광열 모듈 설계 시 순환수 유량 15 kg/hr, 태양열 흡수기 10개 이상 조건이 충족될 경우 시스템 열효율과 전기효율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3.4 태양광열 모듈 개수와 축열조 설정온도에 따른 성능분석

Fig. 6은 태양광열 모듈 개수와 축열조 설정온도에 따른 시스템의 열효율, 전기효율 및 태양열 이용률을 나타낸다. 태양광열 모듈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 열효율은 각각 30.84%, 25.95%, 23.89%로 나타났다. 한편, 시스템 전기효율은 각각 12.56%, 12.37%, 12.58%로 확인되었으며 열효율과는 다르게 태양광열 모듈 개수가 증가해도 전기효율의 변화는 향상되지 않았다.

Fig. 6 Efficiency and solar fraction according to PVT module and HST.
../../Resources/sarek/KJACR.2019.31.7.312/fig6.png

Table 3. Initial cost of PVT system and conventional system

PVT system(Won)

Conventional system(Won)

PVT Module(Per Unit)

980,000

Boiler

870,000

Inverter

198,000

Distributor

230,000

Supporter

130,000

Supporter

400,000

Total cost

1,308,000

Total cost

1,500,000

축열조 설정온도에 따른 시스템 열효율과 전기효율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시스템의 태양열 이용률은 설정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 69.82%, 59.78%, 51.22%로 확인되었으며 점점 감소하는 변화를 나타냈다.

4. 경제성 분석

4.1 초기투자비용 산정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열 시스템과 기존 공기열원 냉난방 공조 시스템의 초기투자비용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경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신재생에너지센터에서 신재생에너지 원별 기준단가를 공고하고 있으나 태양광 모듈 및 태양열 집열기에 대한 설치비용만 제시하고 있으며 태양광열 모듈에 대한 명확한 단가는 제시되고 있지 않다. 또한 모듈과 집열기에 대해 실제 제작업체와 설치비용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열 시스템과 기존 공기열원 난방 시스템의 초기투자비용에 대해 조달청의 나라장터와 H사, E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납품단가 및 견적서를 참고하였다.

4.2 경제성 비교분석 결과

주거용 건축물에서 PVT 시스템의 도입 타당성 검토를 위해 초기투자비용 및 운전비용을 산출하여 기존 급탕설비와 비교․분석하였다. 경제성 분석은 기존 급탕설비 대비 PVT 시스템의 초기투자비용 회수기간을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동적 시뮬레이션 결과, Case 3-1이 시스템 측면에서 태양열 이용률이 69.82%로 가장 우수하였기 때문에 경제성 비교 모델로 선정하였다. PVT 시스템의 초기투자비용은 PVT 시스템 시공 업체의 견적서를 참고하여 4,248천 원으로 산출하였으며, 운전비용은 펌프 및 보조열원에 의한 소요동력을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운전비용 산정을 위해 K사의 전기온수기 축열조 용량 500 l, 정격소비전력 5 kw 사양을 선정하였으며 소요동력은 한국전력공사의 주택용전력(저압)을 적용하였다. 또한, PVT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전력거래소의 계통한계가격(System Marginal Price, SMP)을 통해 판매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판매 단가는 2018년 평균 SMP인 95원을 적용하였다. PVT 시스템의 운전비용과 생산전력의 판매로 인한 수익은 각각 250천 원, 229천 원으로 산출되었다. 즉, PVT 시스템은 전력판매로 인한 수익으로 인해 연간 약 22천 원의 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급탕설비는 G사의 효율 80%인 경유보일러로 가정하여 초기투자비용을 1,500천 원으로 산정하였다. 운전비용 산출을 위해 경유가격은 한국석유공사에서 공시하는 2018년 평균가를 참고하였으며, 기존 급탕설비의 연간 운전비용은 355천 원으로 산출되었다.

PVT 시스템과 기존 급탕설비의 초기투자비용과 운전비용을 산정한 결과, 초기투자비용은 PVT 시스템이 더 높았지만, 운전비용은 기존 급탕설비보다 상당히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Fig. 7은 25년 기준으로 한 시스템별 LCC를 분석한 결과이다. PVT 시스템은 높은 초기투자비용을 보였지만 상대적으로 적은 운전비용과 전력 판매로 기존급탕설비 대비 11년의 투자비 회수기간을 보였다.

Fig. 7 The result of life cycle cost.
../../Resources/sarek/KJACR.2019.31.7.312/fig7.png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열 모듈의 설계인자에 따른 시스템의 열효율, 발전효율을 동적 시뮬레이션 통해 분석 하였으며, 시스템의 도입 타당성 분석하기위해 기존 급탕설비 와 태양광열 모듈의 초기투자비용 회수기간을 산출해 나타내었다.

(1) BASE CASE의 태양광열 시스템의 하절기 열효율은 43.3%, 발전효율은 12.2%, 태양열 이용률은 91.7%였으며, 동절기의 열효율은 29.3%, 발전효율은 13.1%로 하절기 보다 열효율이 약 47.7% 감소하였다.

(2) 순환수 유량 및 흡수기 개수에 따른 성능은 태양열 흡수기가 5개, 10개. 20개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 열효율이 각각 26.0%, 29.5%, 30.6%로 분석되었으며, 순환수 유량이 30kg/hr까지 증가하더라도 열효율의 변화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태양광열 모듈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 열효율은 30.84%, 25.95%, 23.89%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태양광열 모듈개수가 증가함에도 전기효율의 변화는 동일하게 분석되었다.

(4) 경제성 분석결과, 기존 급탕설비 대비 태양광열 시스템의 초기투자비 회수기간은 11년으로 기존 경유 보일러를 사용하는 급탕 설비 보다 경제성이 확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No. 20188550000430) 및 2019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 지원(2018R1D1A3A03001306)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References

1 
International Energy Agency. , 2017, World Energy Balances 2017Google Search
2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 2018, Monthly Energy StatisticsGoogle Search
3 
Korea Energy Agency. , 2018, Korea Energy Agency Handbook 2018Google Search
4 
Bae S., Jeong Y., Nam Y., 2018, Performance Analysis of Hybrid System with PVT and GSHP for Zero Energy Building, Journal of the KIEAE, Vol. 18, No. 5, pp. 1-10Google Search
5 
Euh S. H., Lee J. B., Choi Y. S., Kim D. H., 2012,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Analysis of a PVT System Compared with a PV module and a Solar collector,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2, No. 2, pp. 1-10DOI
6 
Kim J. H., Kang J. G., Kim J. T., 2009, Experimental Performance Comparison of Water Type Glazed and Unglazed PV-Thermal Combined Collectors, Journal of the KIEAE, Vol. 9, No. 4, pp. 37-42Google Search
7 
Bhattarai S., Kim D. H., 2011, Numerical Approach for Comparative Performance Study of Tube Type and Box Type Hybrid Photovoltaic/Thermal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1, No. 5, pp. 9-18Google Search
8 
Lee K. S., Andrew P. S., Kang E. C., Lee E. J., 2014, An Experimental Comparison Study of PVT Water and PVT Air Modules for Heat and Power Co-Generation,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6, No. 12, pp. 559-564DOI
9 
Garg H. P., Adhikari R. S., 1997, Conventional Hybrid Photovoltaic/Thermal (PV/T) Air Heating Collectors: Steady-State Simulation, Renewable Energy, Vol. 11, No. 2, pp. 363-385DOI
10 
Fudholi A., Sopian K., Yazdi M. H., Ruslan M. H., Ibrahim A., Kazem H. A., 2014, Performance Analysis of Photovoltaic Thermal(PVT) Water Collectors,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78, pp. 641-651DOI
11 
Hazi A., Hazi G., Grigore R., Vernica S., 2014, Opportunity to Use PVT Systems for Water Heating in Industry,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63, pp. 151-157DOI
12 
Lee K. H., Joo H. J., Yoon E. S., Kwak H. Y., 2012, An Experimental Study on Daily Efficiency of Solar Collector with Heating Loads of Solar Water Heat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 Solar Energy Society, Vol. 32, No. 2, pp. 19-27DOI
13 
Duffie J. A., Beckman W. A., 2013, Solar Engineering of Thermal Processes, Wiley, Canada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