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LG전자 책임 ( Senior Manager, Air Solution Business Unit, LG Electronics, Seoul, 08517, Korea )
  2.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 Professor,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



Temperature stratification(온도 성층화), Thermal storage tank(축열 탱크), Heat pump system(히트 펌프 시스템), Domestic hot water(가정용 급탕)

기호설명

$LPM$: 수배관 시스템의 순환 유량 [l/m]
$M_{store}$: 저장소 내 매질의 질량 [kg/s]
ST: 성층화 계수
$ST_{t}$: t시간 경과 후의 성층화 계수
$R_{TS}$: 성층화 비
$M_{i}$: 저장소 내 I번째 매질의 질량 [kg/s]
$T_{i}$: i번째 수평층의 온도 [K]
$T_{avg}$: 탱크 내 질량 가중 평균 온도 [K]
$n$: 탱크를 수평층으로 나눈 간격 수
$COP$: 성능 계수

1. 서 론

CO2 배출량 감축을 위해 국제사회는 1992년 UN 기후협약을 시작으로,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 이행 방안을 논의하고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규정하였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실제 활동 평가를 통해 감축량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유럽연합에서는 2020 전략을 통해 온실 가스 배출량을 감축하고, 신재생 에너지의 점유율과 에너지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목표에 합의하였다. 특히, 주거부분의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해 1992년 이전에 설치된 효율 60% 이하의 개별 보일러에 대해 에너지 라벨을 적용한 고효율 제품으로 교체를 유도하고 있다.(1)

오랜 시간 사용 되어왔던 전기 히터 방식의 급탕시스템은 설치와 운영은 편리하지만, 낮은 시스템 효율로 인해 에너지 소비가 과다하여, 효율적이고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급탕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효율, 친환경 설비 사용 확대에 대한 국가정책 및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고효율 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한 급탕시스템의 보급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2)

급탕시스템의 열에너지 저장기술은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 공급하는 에너지 관리 기술이다. 이러한 열에너지 저장기술 중 하나인 현열을 이용한 수축열 방식은 비교적 큰 열용량을 가지면서 주거시설의 난방 및 급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또한, 축열 탱크를 이용한 수배관 설비의 단순화를 통한 투자비 저감 등의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가정용, 상업용 급탕 및 바닥 난방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히트펌프를 이용한 급탕 시스템 구성 시 열교환 방식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축열을 위한 열교환 방식에 따라 탱크 내 가열 코일을 이용하는 간접가열방식과 코일 없이 히트펌프로부터 순환하는 물로부터 직접 열교환 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유럽의 경우 가정 내 급탕 시스템 구성 시 탱크 내에 간접 열교환기를 탑재하여 설치 하는 경우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두 가지 시스템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고 직접 열교환 방식을 선호하기도 한다.

축열 탱크 내 간접 가열코일을 설치하는 경우, 인체에 접촉하는 음용수 오염이나 냉매, 냉동기 오일 등의 누설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간접 가열코일의 경우 한 번 설치되면 용량의 확장이 어렵고 코일 제작 및 순환펌프 추가에 따른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직접 열교환 방식의 경우 열효율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수질에 따라 음용수 오염에 대한 우려가 있다. 또한 시스템 압력이 대기압 이하로 저하될 시 펌프의 캐비테이션의 발생과 외부공기 유입에 따른 부식의 우려가 있다.

급탕 시스템은 물을 가열하여 필요한 장소에 온수를 공급하는 설비로 온수의 축열이 주요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축열 탱크에 저장할 수 있는 물의 양은 축열 탱크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지만, 열에너지의 양은 저장된 물의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바닥 난방이나 급탕의 온도 조건, 용도 및 사용량은 실제 사용 조건에 따라 달라지므로 열의 생산과 소비는 항상 계획적으로 일치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축열 탱크 내 물 전체를 설계 온도로 축열하는 것에는 상당한 에너지 소비가 따르며 단시간 내에 목표로 하는 온도의 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장비 선정 시 과도한 설비 투자가 요구 될 수 있다.

Loehrke et al.(3)과 Park et al.(4)의 연구에 따르면, 동일한 열에너지가 축열 탱크에 저장되어 있어도, 성층화 (Stratification)가 잘 이루어진 축열 탱크와 온도가 완전 혼합된(Fully mixed) 축열 탱크의 물의 유용성은 서로 다르다. 그리고 성층화가 발달된 축열 탱크가 완전 혼합된(Fully mixed) 축열 탱크에 비하여 유효에너지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축열 시스템의 성능을 나타내는 주요한 인자인 축열 탱크 내 온도 성층화(Temperature stratification)를 통하여 열에너지 사용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축열 탱크의 열성층화 방해 요인으로 유입 유동에 의한 유체 혼합, 유입 유체에 의한 강제대류의 발생 및 축열조 벽면에서의 열손실 등이 있다. 이 중 탱크 입구의 유체 혼합으로 인한 요인이 성층화를 방해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 유체 혼합을 최소화하여 성층화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탱크 내부 분배기 및 디퓨저 형상에 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Hong et al.,(5) Lee et al.(6)은 축열조 내 분배기 및 디퓨져 형상이 열성층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 최적 분배기 및 디퓨저 형상을 제안하였다. Chung et al.(7)은 지하 축열조에서 사각 축열조 사용 시 디퓨져 형상이 열성층화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을 통해 수행하고 최적 디퓨져 형상을 제안하였다. Khalifa et al.,(8) Joo et al.,(9) Haller et al.(10)은 축열 탱크 부피의 Aspect ratio가 열성층화 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Aspect ratio가 높을수록 성층화에 유리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Nelson et al.(11)은 탱크의 단열 성능으로 인한 탱크 내 축방향 전도가 성층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고, Park et al.(12)은 열에너지의 주입, 저장 및 배출 과정 동안 축열조의 성층화와 관련된 성능 결정에 사용될 수 있는 기법들을 조사하였다.

이상의 선행 연구를 통해 디퓨져 및 분배기 형상의 변화와 탱크의 높이, 직경 및 두께와 같은 탱크 형상의 변화가 축열조의 최적 성층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성층화 연구는 태양열 시스템 및 중대형 축열 탱크에서의 성능 향상에 대한 검토가 주를 이루고 있다. 반면에 가정용 소형 축열 탱크에서의 성층화에 대한 실제 검토 사례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확대되고 있는 히트펌프를 이용한 가정용 급탕 시스템을 대상으로, 히트펌프의 운전 특성을 고려한 가정용 축열 시스템의 성층화 성능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열교환 방식 변경에 따른 축열 탱크 내의 성층화 분포를 실험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축열 탱크 내 열교환기 적용 여부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탱크로 유입되는 온수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히트펌프를 이용한 축열 탱크의 온도 성층화 분포를 확인하고, 히트펌프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히트펌프 축열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 향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2. 실험장치 구성 및 방법

2.1 시스템 구성

Fig. 1은 본 연구에 사용된 히트펌프 시스템의 개략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히트펌프 시스템은 실외기, 실내기 일체형 유닛, 축열 탱크 및 펌프를 포함한 수배관 등으로 구성되었다. 본 시스템은 축열 탱크 하단에서 유입된 저온의 물이 히트펌프 실내기로 들어가 냉매의 응축열을 흡수하여 단계적 승온되고, 탱크로 다시 유입하여 순환하는 원리로 작동된다.

히트펌프 설치 위치로 구분하였을 때 실외기 설치 영역인 실외 부분과 수배관 및 부속 설치 부분인 기계실로 구분되어 있다. 실외 부분은 기존의 히트펌프 시스템과 달리 냉매 배관 영역은 실외기와 실내기 일체형 유닛을 사용하여 생략되었다. 기계실부는 순환펌프와 축열 탱크를 연결하는 수배관과 부속품으로 구성되었다. Fig. 2는 간접 가열 코일 유무에 따른 기본 설치 구성 개략도를 보여주고 있다. 일체형 히트펌프 실외기와 축열 탱크 사이는 수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순환수는 워터 펌프를 사용하여 강제 순환된다. 순환수의 온도는 축열 탱크 내부 설계 온도까지 히트펌프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상승한다. 직접 열교환 방식에서는 실외기와 축열 탱크가 코일 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실험 장치는 간접 가열코일 방식 계통과 직접 순환방식 계통을 하나의 배관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계통은 실험 조건에 따라 볼 밸브를 사용하여 순환방식이 분리되도록 배관을 구성하였다.

Fig. 1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 system.
../../Resources/sarek/KJACR.2019.31.11.513/fig1.png

Fig. 2 Schematic diagram of normal & indirect heating coil with heat pump system.
../../Resources/sarek/KJACR.2019.31.11.513/fig2.png

Table 1. Specification of Heat pump

Maker

LG Electronics

Model

HM161M

Power supply

3 Φ, 380 V, 60 Hz

Compressor

Inverter Scroll

Heating Capacity [kW]

16 kW

Refrigerant

R32

Water supply temp. [℃]

15℃~65℃

Heat exchanger

Brazed plate type

COP

3.72

Water Piping Connections

25 mm

Table 1은 일체형 히트펌프의 사양을 보여주고 있다. 일체형 히트펌프는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형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체형 유닛 내에서 실외기 부분과 실내기 부분으로 구분되어 제작 되었으며, 냉매배관을 통해 사이클을 구성한다. 실내기 부분에는 별도의 판형 타입의 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열교환기를 통하여 냉매배관에서 순환하는 냉매와 수배관에서 순환하는 물이 상호 열을 교환하도록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는 일반 가정용으로 보급되는 R32냉매를 적용한 16 kW 용량의 공냉식 일체형 히트펌프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일체형 히트펌프 시스템의 급탕 출수 범위는 15~65℃이고, 유선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출수 온도 제어를 실시하였다. 일체형 히트펌프를 옥외에 설치되어 대기 중의 공기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친환경적 이며, 높은 효율을 구현한다.

가스나 기름을 이용하는 타 보일러 설비와 달리, 히트펌프 방식은 일정한 온도로 탱크의 물 온도를 단계적 으로 승온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인버터 압축기 운전 방식의 특성으로써, 히트펌프 실내기로 입수되는 온도에 설계 온도차가 더해진 온수가 출수 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수배관 입․출수 온도차는 5~7℃로 설계하였고 워터펌프는 정속제어가 적용되었다.

2.2 실험 방법

Table 2는 실험에 사용된 탱크제작 사양을 보여주고 있다. 탱크 내 수직 높이에 따른 온도 성층화 현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높이 2 m, 670리터 용량의 수직형 축열 탱크 1대를 제작, 설치하였다. 축열 탱크는 직접순환 방식과 간접 열교환 방식의 2가지 실험이 가능하도록 배관 연결을 구성하였다. 직접순환 방식은 탱크 상․ 하부에 출수 및 입수를 위한 연결구를 설치하여 수배관을 연결하였다. 또한, 간접 가열코일에 따른 성층화 실험을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을 이용하여 길이 40 m, 관경 20 mm의 코일을 탱크 하부에 설치하였다. 실외기에 연결된 수배관은 바이패스 라인과 볼밸브를 이용하여 직접순환 방식과 간접 가열코일의 입․출수가 구분되도록 구성하였다. 각각의 실험은 열교환 방식에 따라 유로를 변경하여 실시하였다.

Table 2. Specification of thermal storage tank

Maker

Sungho

Volume

670 Liter

Type

Pressurization

Size(W×D)

2,425 mm×Φ 730

Insulation

Glasswool(50t)

Indirect coil

STS304, 20 A, 40 m

Fig. 3 Design drawing of thermal storage tank and picture of water piping.
../../Resources/sarek/KJACR.2019.31.11.513/fig3.png

Table 3. Specification of data acquisition

Maker

GRAPHTEC

Model

GL240

Channel

Analog 10 channels

Data recording Capacity

SD 4GB

Thermocouple

K-Type(R/S,B,K,E,T,J,N,W)

Recoding interval

1 sec

Table 4. Specification of ultrasonic flow meter

Maker

General Electronics

Model

Transport PT878

Type

Ultrasonic

Flow Accuracy [%]

±2~5%

Range [℃]

-12.2~2.2 m/s

Operating Temperature

-40~150℃

Fig. 3은 실제 실험장치의 수배관 및 탱크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축열 탱크 내 수온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100 mm 길이의 센서홀더 9개를 200 mm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센서홀더 내부에 K타입 열전대를 서멀 그리스(Thermal grease)와 함께 삽입하여 수직 높이에 따른 탱크 내 수온을 측정하였다. 온도측정을 위한 열전대는 측정 전 ±0.1℃ 내로 균일하게 보정하였다. 목표온도 도달 시까지 측정된 탱크 내 온도 변화는 데이터 수집 장치를 사용하여 저장하였다. Table 3은 사용한 데이터 수집 장치의 사양을 보여주고 있다. 측정된 온도는 1초 간격으로 저장되고, 오차율은 ±0.05℃이다. 히트펌프 시스템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L社에서 제공하는 운전상태 모니터링 프로그램(LGMV)을 이용하여 시스템 소비전력 및 입․출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 저장하였다. Table 4는 초음파 유량계의 사양을 보여준다. 각각의 실험을 수행할 때 계통 내 순환하는 유량은 초음파 방식의 유량계를 사용하여 실험 전․후의 유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 오차는 ±2~5%이다.

축열 탱크의 성층화 실험은 실외기와 축열탱크 간의 직접순환 방식과 간접 가열코일 방식 2가지로 진행 하였다. 실험은 탱크 내 물 온도가 50℃까지 상승되는 것을 기준으로 진행하였고, 초기 물탱크 온도는 30℃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또한 탱크 내 성층화와 히트펌프 소비 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부하측은 두 가지 실험에서 모두 운전하지 않았다. 탱크 내 물 온도가 높이에 따라 30℃ ±0.5℃로 균일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측정을 시작 하였다. 직접 열교환을 통한 대류 순환방식에서는 40분 만에 탱크 내 물 온도가 50℃에 도달하였고, 간접가열 코일 방식에서는 50분이 소요되었다. 일체형 공냉식 히트펌프가 작동하는 외기 온도는 두 실험에서 동일한 조건 (25℃, 60% relative humidity)에서 진행 되었다.

일체형 실외기에서 출수되는 유량은 55 LPM으로 세팅하였다. 각각의 실험에서 유량은 대류직접 방식에서는 55 LPM, 간접 가열코일 방식에서는 33 LPM이 측정되었다. 각 실험 간의 유량의 차이는 간접 가열코일 적용에 따른 양정 증가로 인한 유량의 감소에 기인한다. 주거 시설의 실제 설치 상태를 고려하여 유량을 보정하지 않았다.

3. 실험 결과

3.1 히트펌프 입수, 출수 온도 측정

Fig. 4는 직접 열교환을 통한 대류 방식 적용 시 히트펌프 실외기 입수 및 출수 온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 일체형 히트펌프 시스템 능력은 16 kW이고 순환유량이 55 LPM인 조건에서, 입수 온도에 비하여 물의 온도가 평균 6.4℃만큼 증가하여 탱크로 유입된다. 탱크 내 물 온도가 평균 50℃에 도달 시까지 히트펌프를 통하여 열교환하며, 평균 50℃일 때 히트펌프 실외기의 입․출수 온도는 55℃, 61.6℃로 측정되었다. 탱크 내 물 온도가 50℃ 도달 시까지 40분이 소요되었고, 히트펌프 실외기 입수온도 기준으로는 35분이 소요 되었다.

Fig. 5는 간접 가열코일 설치 시 히트펌프 실외기로 입수 및 출수 되는 온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 여기서 사용된 유량은 평균 33LPM 이다. 히트펌프에 입수되는 수온에 비하여 물의 온도가 평균 9.6 ℃ 상승하여 간접 가열코일 쪽으로 출수된다. 간접 가열코일의 경우 히트펌프 실외기의 입수 온도는 실험 시작 후 25분 시점에 50℃에 도달하였으나, 탱크 평균 온도 50℃ 도달 시까지는 25분이 더 소요되었다. Fig. 4Fig. 5에 보여준 실험에서 실외기 출수 온도의 차이는 순환유량의 차이 때문에 발생한다.

3.2 축열탱크 수직 높이에 따른 수온 측정

축열 탱크는 직경 630 mm, 높이 2 m로 제작되었으며, 탱크 내에서의 온도 성층화 분포를 볼 수 있도록 수직형 으로 제작되었다. 탱크 면에 설치된 K타입 열전대를 통해 탱크 내부의 물 온도를 수직 높이 200 mm 간격으로 9개를 설치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Fig. 6은 직접 열교환 방식에서의 탱크 내 수직 높이에 따른 온도 분포를 보여준다. 시험 시작온도는 평균 30℃이며 탱크 내 평균 물 온도가 50℃ 도달 시까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탱크 내 높이에 따른 물의 온도 분포는 시간의 변화에도 큰 편차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직접 열교환 방식은 탱크 내 순환수 유입 시 펌프 구동에 따른 온수의 강제 순환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탱크 내 혼합 효과를 유발하여 가정용 축열 탱크에서의 성층화 형성에는 효과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Fig. 7은 간접 가열코일을 설치 시 축열 탱크 내 수직 온도 변화를 보여 준다. 간접 가열코일을 적용한 실험은 직접 열교환 방식과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간접 가열코일 방식에서도 시간에 따른 탱크 내 성층화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간접 가열코일의 경우 코일 하단부 온도가 다른 높이의 온도보다 평균 2℃ 낮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간접 코일의 경우 상부부터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하단부 코일 출구 부분에서 상대적인 온도 저하가 발생하였다.

Fig. 4 Inlet-outlet temperature of direct heat exchange.
../../Resources/sarek/KJACR.2019.31.11.513/fig4.png

Fig. 5 Inlet-outlet temperature of indirect heating coil.
../../Resources/sarek/KJACR.2019.31.11.513/fig5.png

Fig. 6 Temperat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height of the heat storage tank by direct heat exchange type.
../../Resources/sarek/KJACR.2019.31.11.513/fig6.png

Fig. 7 Temperat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height of the heat storage tank with indirect heating coil.
../../Resources/sarek/KJACR.2019.31.11.513/fig7.png

Park et al.(12)은 열성층화 지수를 이용하는 방법 및 열역학 법칙에 기반한 에너지 접근법(energy approach) 등의 열성층화를 평가할 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을 소개하고 있다. Panthalookarran et al.(13)은 도해적 방법 (graphical method)을 통한 축열탱크의 열성층화 평가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평가를 위해 열성층화 지수를 이용하는 방법 중 Wu and Bannerot(14)가 제시한 평균 제곱 편차법을 사용하여 성층화 성능을 평가하였다. 성층화 성능은 식(1)과 같이 성층화 계수 ST와 성층화비 RTS로 나타낼 수 있다.

(1)
$ST =\dfrac{1}{M_{store}}\sum_{i=1}^{n}M_{i}[T_{i}-T_{avg}]^{2}$

(2)
$R_{TS}=\dfrac{ST_{t}}{ST_{i}}$

$M_{store}$는 탱크 내 매질의 질량, n은 탱크를 수평층으로 나눈 간격의 수, i는 탱크 내 i번째 수평층, Ti는 탱크 내 i번째 수평층의 온도, Tavg는 탱크 내 질량 평균 온도이다. 식(2)의 STt는 t시간 경과 후의 성층화 계수를, STi는 초기 상태의 성층화 계수를 나타낸다. 성층화비 RTS가 1이면 완전 성층화 상태를 나타내고, 0이면 하나의 온도로 혼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평균 제곱 편차법에 따른 두 실험에서의 성층화 비는 0.1 수준으로 혼합 상태인 0에 가깝게 확인되었다.

3.3 히트펌프 COP 측정

직접 열교환 방식 및 간접 가열코일을 이용한 2가지 실험에서 축열 탱크의 초기 수온은 평균 30℃로 설정하였고 탱크 온도가 평균 50℃에 도달할 때까지 실험을 진행 하였다. 목표 탱크 온도에 도달하기까지 직접 열교환 방식에서는 초음파 유량계를 통해 측정된 유량 값과 입․출수 온도 차를 통해 열량을 산출하였다. 직접 열교환 방식을 통해 생산된 열량은 32,149 W이다. 이때 입력된 전력은 7,131 W로 COP는 4.51로 확인되었다. 간접 가열코일 방식에서는 생산된 열량 32,196 W, 입력 전력 8,132 W로 COP는 3.96으로 확인되었다. COP 측면에서는 직접 열교환 방식이 간접 코일 방식보다 14%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는 간접 가열코일의 경우 히트 펌프에서 생산된 열량이 간접 가열코일을 통해 탱크 내로 전달되는 효율이 직접 열교환 방식보다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히트펌프를 통한 입수 온도의 단계적 승온 시 입수 온도가 단시간 내 상승하게 된다.

Fig. 8은 직접 열교환 방식의 히트펌프 운전 시간에 따른 냉매 측 고압 변화를 보여준다. 히트펌프의 고압이 단계적으로 상승하여, 압축기 소비 전력도 이와 비례하여 단계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 9는 간접 가열코일 방식의 히트펌프 사이클을 보여준다. 간접 가열코일 적용 시 운전 초기 시부터 3,000 kPa 이상의 고압 운전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온도 상승의 영향으로 히트펌프는 작동 초기부터 고압 사이클로 운전되어 소비 전력이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Fig. 8 Heatpump cycle of direct heat exchange type.
../../Resources/sarek/KJACR.2019.31.11.513/fig8.png

Fig. 9 Heatpump cycle of indirect heating coil.
../../Resources/sarek/KJACR.2019.31.11.513/fig9.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생성된 온수를 급탕탱크 내에서 열교환하는 방식을 달리하여 축열 탱크 성층화 성능 및 COP를 실험을 통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초기 시작 온도 30℃에서 목표 온도인 50℃까지 도달 시간은 직접 열교환 방식이 간접 가열코일 방식 대비 10분 단축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열교환 효율 차이에 의한 결과로 동일한 시간 기준 시 직접 열교환 방식의 열교환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목표 온도까지의 시스템 운전 시간을 줄일 수 있어 가정용 급탕 부하에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 탱크 내 성층화 측면에서는 두 가지 실험 모두에서 혼합 상태가 형성됨을 확인하였고, 변온층의 형성 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직접 열교환 방식의 경우, 워터 펌프에 의해 만들어지는 강제 대류가 부력에 의해 생성되는 변온층 형성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간접 가열코일의 경우, 히트펌프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나선형의 간접 가열코일을 순환하여 코일 상층부에 고온을 형성하기는 하나 급탕탱크 내에 접촉하는 표면적이 적어 탱크 성층화를 형성하기에는 부족함을 실험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3) 히트펌프 COP 측면에서는 직접 열교환 방식이 간접 코일 방식 대비 14% 정도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간접 가열코일 사용 시 열교환 효율 저하 및 히트펌프의 고압 운전에 기인한다.

히트펌프를 이용한 급탕시스템 설계 시 고장에 의한 소비자의 피해 방지를 위해 간접 가열코일의 적용을 권장하고 있다. 따라서 간접 코일을 적용한 가정용 급탕시스템의 효율 향상을 위한 간접 코일의 형상 및 믹싱밸브를 적용한 온수 제어 기술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2017, European heat pump market and statistics report 2017.Google Search
2 
Chua K. J., Chou S. K., Yang W. M., 2010, Advances in heat pump systems : a review, Applied Energy, Vol. 87, pp. 3611-3624DOI
3 
Loehrke R. L., Hoolzer J. C., Cari H. N., Sharp M. K., 1979, Stratification enhancement in liquid thermal storage tanks, Journal of Energy, Vol. 3, No. 3, pp. 129-130DOI
4 
Park E. T., Hwang S. I., Choi Y. I., 1989, Experimental study on the thermal storage efficiency through variable porous manifolds in a test storage tank, Solar Energy, Vol. 9, No. 3, pp. 37-43Google Search
5 
Hong H. K. Son H. S., 2014, The effect of a manifold in a storage tank applied to a solar combisystem,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6, No. 7, pp. 322-328DOI
6 
Lee Y. S., Lee S. N., Kim J. R., 2005, Effect on stratification due to diffuser shape in a thermal storage tank,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17, No. 11, pp. 990-997Google Search
7 
Chung J. D., Park J. H., Cho S. H., 2004, Effect of design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water-chilled heat storag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16, No. 4, pp. 374-382Google Search
8 
Khalifa A. J., Mustafa A. T., Khammas F. A., 2011, Experimental study of temperature stratification in a thermal storage tank in the static mode for different aspect ratios, Journal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 Vol. 6, No. 2, pp. 53-60Google Search
9 
Joo H. J., Kim J. B., Kwak H. Y., 2008, Numerical study on thermals stratification of the aspect ratio of solar thermal storage tank,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conference, pp. 178-183Google Search
10 
Haller M. Y., Cruickshank C. A., Streicher W., Harrison S. J., Andersen E., Furbo S., 2009, Methods to determine stratification efficiency of thermal energy storage processes-Review and theoretical comparison, Solar Energy, Vol. 83, pp. 1847-1860DOI
11 
Nelson J. E. B., Balakrishnan A. R., Murthy S. S., 1999, Parametric studies on thermally stratified chilled water storage system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19, pp. 89-115DOI
12 
Park D. H., Ryu D. W., Choi B. H., Choon S. W., Han K. C., 2013, Methods to characterize the thermal stratification in Thermal energy storages, Tunnel & underground space, Vol. 23, No. 1, pp. 78-85DOI
13 
Panthalookaran V., Heidemann W., Müller-Steinhagenab H., 2007, A new method of characterization for stratified thermal energy stores, Solar Energy, Vol. 81, No. 8, pp. 1043-1054DOI
14 
Wu L. Bannerot R. B., 1987,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 of water extraction on thermal stratification in storage, Proceedings of the 1987 ASME-JSME-JSES Solar Energy Conference, Vol. 1, pp. 445-451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