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신축 프로젝트
3.2.1 에너지 절감량 산정(9)
M&V 관점에서 확인된 데이터센터 부하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ECMs에 근거를 두어야 한다. IT부하 프로
파일을 규명하기 위하여 신축 프로젝트는 설치 후 IT장비 평균 부하를 검증하는 1개월의 프로파일 분석 기간이 필요하다. M&V의 부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된 에너지 절감량을 적용하기 위해 식(1)의 비표준 모델 보정
방법이 필요하다.
피크부하저감은 IT부하 프로파일의 특성으로 인하여 DEER(Database of Energy Efficiency Resources)의 피크기간의 정의와
다른 방식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변화하는 부하 관점에서 설치된 시스템과 베이스라인 시스템의 효율 그리고 기후대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결과가 도출된다.
객관적으로 기후대를 반영하려면 하절기 평균 수요전력 감소에 기초해 수요전력 절약을 계산하여 모든 IT부하 수준을 포함시켜야 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베이스라인 및 제안된 시스템의 시간당 산출을 통해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계산법에 의한 수요전력 감소는 운영 중 모니터링 기간 동안 측정한
평균 IT 부하에 기초해 조정된다. 이 방법은 식(2)에서 도출된 부분
부하 장비효율과 설치 후 모니터링에서 수집한 부하 프로파일 관점에서 계산된 피크부하 저감과 계산된 에너지 절감량을 일치시킬 수 있다.
① 복합용도 건물에 대한 고려사항
데이터센터가 복합용도 건물 내에 위치해 있다면 두 종류의 모델을 구현해야 한다. 먼저,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전체 건물을 고려하여 모델링을 하고 그
다음 데이터센터가 없는 건물을 모델링을 한다. 두개의 모델을 통하여 추정한 에너지 및 피크수요전력 저감은 사실상 데이터센터에서의 저감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총 프로젝트의 절감량 중 여기에 해당하는 부분만 식(1), (2)에 적용하여 조정하여야 한다.
② 에너지절감 및 피크부하저감 산출 대안
사용자가 특정 부하를 입력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도구를 사용하여 표준모델을 수정할 경우, 복합용도 건물 및 전용 데이터센터와 관련하여 보정 수식을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1개월 설치 후 분석기간 동안 측정된 평균 IT부하를 모델에 직접 적용하여, 에너지절감량을 추정할 수 있다. 피크부하 저감은
기후대 특성을 고려한 DEER 피크부하 발생기간 정의에 따라 유사하게 추정할 수 있으며 결과의 사후처리가 필요하지 않다.
Table 2. Addition and central plant served primary system modeling requirements
|
Addition : Existing building &
addition modeled
|
Addition : Only addition modeled
|
New building served by central plant
|
Plant not
changing
|
Model the existing plant in its entirety
|
Model a version of the existing plant scaled in proportion to the expansion’s fraction
of central design load
|
Plant being
expanded
|
Model the expanded plant in its entirety
|
Model a version of the expanded plant scaled in proportion to the expansion’s fraction
of central design load.
|
③ 증축 또는 중앙열원 변경에 대한 요구사항
증축과 중앙(1차)열원시스템이 설치된 건물은 신축 프로젝트와 동일하게 모델링한다. 일반적으로 증축은 표준계산에서(기존 건물의 모델링 없이) 단독으로
또는 기존 건물과 함께 모델링할 수 있다. 기존 건물도 모델링할 수 있는 경우, 변경 또는 확장된 기존 열원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모델링해야 한다. 증축만
모델링할 경우는 기존 열원시스템에서 변경된 사항은 모델링해야 한다. 베이스라인 중앙(1차)열원시스템은 기준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기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증축에서 처리하는 열원의 총 설계부하의 확장된 영역에 비례하여 반영해야 한다. 중앙열원 플랜트로 사용되는 신축 건물은 증축만 모델링하는
증축 프로젝트와 동일하게 처리한다.
3.2.2 전기설비
일반적으로 효율적인 전기설비는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는 효율적인 기계설비 만큼 높은 에너지절감 가능성을 갖고 있다.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3가지 전기 시스템인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유닛, 정류기 및 변압기는 관련 에너지 법규에서 다루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ECMs에 대한 베이스라인은 데이터
센터의 기계설비에 적용되는 베이스라인과는 상이하기 때문에 각 장비에 대한 베이스라인 요구사항의 정의가 필요하다.
① UPS(10)
UPS에 대한 미국의 ENERGY STAR® 요구사항에 정의된 표준은 신규 UPS 효율의 베이스라인에 기반이 된다. ENERGY STAR®는 식(3)에 따라 정격효율의 최대값을 정의한다.
$$여기서, EFF_{00\%} : K\% 부하에서의 UPS효율$$
$$t_{K\%} : K\% 부하에서 소비한 시간의 비율$$
평균효율 최대값은 UPS 종류, UPS 크기 및 통신능력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이 표준에서는 UPS를 다음과 같이 3가지 분류로 구분한다. VFD
(Voltage and Frequency Dependent) UPS는 연속적인 저전압 또는 과전압에 입력전압의 변화에 응답하거나 보정할 수 없는 전형적인
offline/standby UPS가 이 범주에 포함된다.
VI(Voltage Independent) UPS는 연속적인 저전압 또는 과전압에 응답하고 이를 보정하지만 입력 주파수의 변화를 보정할 수 없다.
Line-interactive UPS가 이 범주에 속한다. 마지막으로 VFI(Voltage and Frequency Independent) UPS는 연속적인 저전압 또는 과전압 입력에 응답하고 이를 보정할 수 있다. Double conversions UPS가 이 범주에
포함된다. UPS는 출력 에너지를 계측하고 표준화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이러한 측정값을 네트워크에 걸쳐 전달하는 능력의 보유 여부에 따라 추가로
분류된다. 이 요구사항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정보는 ENERGY STAR® 표준을 참고해야 한다. UPS의 각 구분에 대한 베이스라인 평균효율 $EFF_{avg}$는
Table 3과 같다. 평균 효율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한 각 부하조건에서의 가동시간비율은 UPS에 따라 Table 4와 같이 차이를 보인다. 설치된 UPS는 동일한 유형(분류, 크기 등급 및 통신방법)의 베이스라인 UPS와 비교된다. 가변 베이스라인은 이중화 수준(tier)(11) 요구사항 및 로컬 전력품질의 변동성 같은 요인이 UPS 선택에 영향을 준다. 제조업체의 데이터를 통해 계산된 유형, 크기 및 통신 분류가 동일한
UPS에 상응하는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는 UPS는 ECMs에 적합하지 않다. 전력품질에 따라 2가지 모드로 기능할 수 있는 UPS(VFI 및 VI가
모두 포함된 일반적인 유닛)는 상대적으로 효율이 떨어지는 유형의 베이스라인 유닛과 비교된다. 1,500 W 미만의 UPS는 ECMs에 적합하지 않다.
Table 3. The baseline efficiency for each category of UPS unit
Rated output power(W)
|
VFD
|
VI
|
VFI
|
1,500 < P ≤ 10,000 irrespective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P > 10,000 without communication capabilities
P > 10,000 with communication capabilities
|
0.970
0.970
0.960
|
0.967
0.950
0.940
|
0.0099×ln(p)+0.815
0.0099×ln(p)+0.805
0.0099×ln(p)+0.795
|
Table 4. The runtime fraction of UPS at each load condition
Rated output power(W)
|
25% Load
|
50% Load
|
75% Load
|
100% Load
|
1,500 < P ≤ 10,000
P > 10,000
|
0.0
0.25
|
0.3
0.50
|
0.4
0.25
|
0.3
0.00
|
$$여기서, EFF(LF) : 부하율 LF에서의 효율$$
$$LF : 부하율 (Load Factor) 최대출력용량의 \%$$
$$EFF_{avg} : ENERGY STAR® 정의에 의한 베이스라인 효율$$
식(4)에서 회귀변수는 UPS 크기에 따라 Table 5와 같이 정의된다. 제안된 UPS의 효율이 해당 베이스라인 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먼저 확인하여야 한다. 예상되는 설치 후 부하 데이터가 있다면
베이스라인 및 제안된 효율곡선을 통해 에너지절약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추정하여 프로젝트가 베이스라인과 비교해 실제로 에너지
절약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를 추가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② 정류기(9)
AC-AC UPS에 더해 정류기를 다루는 미국의 ENERGY STAR® UPS 표준은 신축 및 개보수 상황에서 정류기 베이스라인의 기준을 제시한다.
ENERGY STAR®에서는 정류기가 식(5)에서 정의된 가중평균 최대값을 초과할 것을 요구한다.
$$여기서, EFF_{30\% load} : 30\% 부하에서의 UPS 효율$$
$$EFF_{40\% load} : 40\% 부하에서의 UPS 효율$$
$$EFF_{50\% load} : 50\% 부하에서의 UPS 효율$$
$$EFF_{60\% load} : 60\% 부하에서의 UPS 효율$$
$$EFF_{70\% load} : 70\% 부하에서의 UPS 효율$$
$$EFF_{80\% load} : 80\% 부하에서의 UPS 효율$$
Table 5.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n UPS size
Rated output power(W)
|
a
|
b
|
c
|
d
|
1,500 < P ≤ 10,000
P > 10,000
|
0.1698
0.1719
|
-0.4203
-0.4256
|
0.3574
0.3618
|
0.8982
0.9092
|
Table 6.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n rectifiers
Rated output power(W)
|
a
|
b
|
c
|
d
|
e
|
All Sizes
|
-0.5155
|
1.7065
|
-2.0770
|
1.0833
|
0.8022
|
ENERGY STAR®에서는 종류와 용량에 상관없이 계측 및 통신능력이 없는 모든 정류기의 최소 평균효율 $EFF_{avg}$가 0.955일 것을
권장한다. 계측 및 통신 능력이 있는 정류기의 $EFF_{avg}$는 0.945여야 한다(제조업체의 데이터를 통해 계산된). $EFF_{avg}$가
해당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는 정류기는 ECMs에 적합하지 않다. 적합성은 $EFF_{avg}$에 기초해 결정되지만 에너지절감은 설치된 정류기와 베이스라인
정류기의 운전상태 성능에 기초해 평가된다. 따라서 베이스라인 정류기의 부분부하 효율은 식(6)으로 특성이 규명된다. 회귀변수는 Table 6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EFF(LF) : 부하율 LF에서의 효율$$
$$LF : 부하율(Load Factor) 최대출력용량의 \%$$
$$EFF_{avg} : ENERGY STAR® 정의에 의한 베이스라인 효율$$
③ 변압기(12)
DOE(미국 에너지성)는 저전압/중전압 건식 변압기 및 유입식 변압기에 대한 고효율 표준을 제시하였다. 해당 표준은 효율적인 변압기 에너지절감에 대한
베이스라인을 형성한다. 변압기 용량이 Table 7에 제시된 값에 포함되는 경우, 베이스라인 효율은 선형 보간법으로 분석된다. 표에 명시된 것보다 작거나 큰 변압기는 ECMs에 적합하지 않다. 저전압
분전반(PDU : Power Distribution Unit)은 이러한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다. 제조가 보유한 용량의 유틸리티 계량기 상의 변압기만
ECMs에 적합하다.
Table 7. Transformer efficiency baseline(all voltages)
Liquid-immersion transformer
|
Dry-type transformer
|
Single phase
|
Three phase
|
Single phase
|
Three 9hase
|
Size
(kVA)
|
Efficiency
|
Size
(kVA)
|
Efficiency
|
Size
(kVA)
|
Low
voltage
|
Medium voltage(kV)
|
Size
(kVA)
|
Low
voltage
|
Medium voltage(kV)
|
20-45
|
46-95
|
>=96
|
20-45
|
46-95
|
>=96
|
10
|
98.70
|
15
|
98.65
|
15
|
97.70
|
98.10
|
97.86
|
|
15
|
97.89
|
97.50
|
97.18
|
|
15
|
98.82
|
30
|
98.83
|
25
|
98.00
|
98.33
|
98.12
|
|
30
|
98.23
|
97.90
|
97.63
|
|
25
|
98.95
|
45
|
98.92
|
37.5
|
98.20
|
98.49
|
98.30
|
|
45
|
98.40
|
98.10
|
97.86
|
|
37.5
|
99.05
|
75
|
99.03
|
50
|
98.30
|
98.60
|
98.42
|
|
75
|
98.60
|
98.33
|
98.13
|
|
50
|
99.11
|
113
|
99.11
|
75
|
98.50
|
98.73
|
98.57
|
98.53
|
113
|
98.74
|
98.52
|
98.36
|
|
75
|
99.19
|
150
|
99.16
|
100
|
98.60
|
98.82
|
98.67
|
98.63
|
150
|
98.83
|
98.65
|
98.51
|
|
100
|
99.25
|
225
|
99.23
|
167
|
98.70
|
98.96
|
98.83
|
98.80
|
225
|
98.94
|
98.82
|
98.69
|
98.57
|
167
|
99.33
|
300
|
99.27
|
250
|
98.80
|
99.07
|
98.95
|
98.91
|
300
|
99.02
|
98.93
|
98.81
|
98.69
|
250
|
99.39
|
500
|
99.35
|
333
|
98.90
|
99.14
|
99.03
|
98.99
|
500
|
99.14
|
99.09
|
98.99
|
98.89
|
333
|
99.43
|
750
|
99.40
|
500
|
|
99.22
|
99.12
|
99.09
|
750
|
99.23
|
99.21
|
99.12
|
99.02
|
500
|
99.49
|
1,000
|
99.43
|
667
|
|
99.27
|
99.18
|
99.15
|
1,000
|
99.28
|
99.28
|
99.20
|
99.11
|
667
|
99.52
|
1,500
|
99.48
|
833
|
|
99.31
|
99.23
|
99.20
|
1,500
|
|
99.37
|
99.30
|
99.21
|
833
|
99.55
|
2,000
|
99.51
|
|
|
|
|
|
2,000
|
|
99.43
|
99.36
|
99.28
|
|
|
2,500
|
99.53
|
|
|
|
|
|
2,500
|
|
99.47
|
99.41
|
99.33
|
Table 8. Baseline system component matrix by load range
Component
|
HVAC Load
|
< 5 RT
|
5~250 RT
|
250~600 RT
|
600 RT =<
|
DX CRACs with constant fan speed control, SAT reset, air-side economizer
|
Yes
|
-
|
-
|
-
|
DX CRACs with variable fan speed control, SAT reset, air-side economizer
|
-
|
Yes
|
-
|
-
|
CRAH with variable fan speed control, SAT reset, air-side economizer
|
-
|
-
|
Yes
|
Yes
|
Variable speed screw chillers
|
-
|
-
|
Yes
|
-
|
Variable speed centrifugal chillers
|
-
|
-
|
-
|
Yes
|
Axial fan, counterflow cooling towers with variable speed drive fans
|
-
|
-
|
Yes
|
Yes
|
Close-coupled, variable speed chilled water pumps
|
-
|
-
|
Yes
|
Yes
|
Close-coupled, constant speed condenser water pumps
|
-
|
-
|
Yes
|
Yes
|
Hot Aisle/Cold Aisle Containment
|
-
|
YES in any room where the IT load exceeds 175 kW
|
DDC Controls
|
-
|
Yes
|
Yes
|
Yes
|
UPS
|
-
|
Yes
|
Yes
|
Yes
|
3.2.3 비용분석
신축 프로젝트는 베이스라인 시스템에 비례한 제안된 시스템의 비용을 분석하여야 한다. Table 8은 대안
분석법(ACM Alternative Calculation Method)(8),(13)을 사용하여 베이스라인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있고 이러한 구성요소에 해당되는 냉방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ACM 모델 규칙에 기초해 베이스라인을
선택
할 수 있고 베이스라인 시스템 구성요소 용량, 수량 및 성능 측정지표는 프로젝트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분석한 각 ECMs와
관련된 각 장비(냉동기, CRAC 등)의 비용계산에 포함되어야 한다. 비용분석은 각 항목별 해당 베이스라인 시스템 장비와 제안된 시스템 장비 간 설치비용의
차이로 계산한다. 설계에서 혁신적인 ECMs를 제안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에는 장비 비용, 인건비 및 요구되는 추가 엔지니어링 비용이 포함된다. 베이스라인
시스템과 제안된 시스템에서 동일한 장비는 추가비용 계산을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신축 프로젝트 설계에서 법규에 적합한 냉각탑을 최소한으로 사용할
경우, 추가비용에는 냉각탑의 비용이 포함되지 않는다. 반면에 효율적인 어프로치 성능개선(냉각수 온도, 즉 출구수온과 입구공기 습구온도의 차이)과 송풍기
에너지소비량 감소를 위하여 제안된 냉각탑이 과도하게 커지면 베이스라인 냉각탑에 대비한 증대된 냉각탑의 추가비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각 품목 비용의
출처는 추가비용의 계산에 근거가 제시되어야 한다.
3.3 개보수 프로젝트
개보수 프로젝트는 신축 프로젝트와 여러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적절한 베이스라인 M&V 방법 및 비용분석 측면에서 고유한 특성을 갖는다. 개보수
프로젝트는 개보수 보강(REA) 및 조기철거(ER) 프로젝트의 경우, 기존 장비 베이스라인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능저하에 의한 교체(ROB), 정상적인
교체 (NR) 및 신규 부하 및 추가 장비(NEW)의 경우에 표준 베이스라인을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장비 베이스라인을 활용하는 프로젝트의 M&V는
개보수 전 조건과 비교하여 에너지절감량을 평가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베이스라인에 대한 M&V는 NR 프로젝트의 경우에 기존 조건에 대비 실질적으로
절감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그리고 REA 및 ER 프로젝트에 대한 비용 분석에서는 총 프로젝트 비용만 고려하는 반면에 ROB, NR
및 NEW 프로젝트는 비용분석에서 추가비용을 고려해야한다.
3.3.1 베이스라인 결정
개보수 프로젝트에 대한 적절한 베이스라인은 기존 조건인 법규 및 표준조건 또는 이 둘의 조합이 될 수 있다. 개보수 프로젝트를 위한 적절한 베이스라인을
결정하는 핵심 개념은 에너지절감의 영향이다. 조기철거 (ER)는 입증책임 하에 있는 EERS 제도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기존 장비의 교체로 이어졌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을 경우, 기존 장비는 베이스라인을 형성한다. 개보수 보강(REA)은 기존 펌프에 가변 인버터 설치 또는 water-side economizer의
추가와 같은 보강 조치는 시설의 기존 조건을 베이스라인으로 활용한다. 정상적인 교체 (NR)는 유틸리티 변경이 작용하여 기존 장비의 교체로 이어진
것을 입증할 수 없으면 법적 베이스라인을 적용
한다. 기능저하에 따른 교체(ROB)는 이론적으로는 일정기간의 내구년한을 가지고 있지만 장비의 고장이 났거나 필요에 의하여 교체되는 기기는 유효수명(EUL)을
초과한 것으로 간주되며, 법적 또는 표준 베이스라인이 적용
될 수 있다. 신규부하/추가 장비(NEW)는 사용자가 데이터센터의 IT부하밀도를 증가시켜 기존의 냉방 시스템이 부하를 더 이상 충분히 감당하지 못하게
되어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는 법적 베이스라인을 형성한다. 그러나 기존 IT서버룸에 CRAC 추가하는 경우, 교체 대신에 기존 냉각시스템을 추가한다면
베이스라인은 새로운 CRAC 장비에만 적용되고 기존의 나머지 장비는 에너지사용량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간주되고 베이스라인 시나리오와 제안된 시나리오
모두에서 동일하다. 마지막으로 복합 베이스라인은 여러 대의 장비를 교체하는 상황에서 ECMs가 작용하여 몇 대의 장비만 교체된 것이 검증된다면 복합
베이스라인이 적용된다. 에너지 절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교체된 장비는 기존 장비 베이스라인을 사용하고 그 외 장비는 법적 또는 표준 베이스라인을
사용한다.
3.3.2 개보수 프로젝트의 고려사항
① UPS 효율(10)
정상적인 교체 및 개보수 프로젝트에서 UPS 효율에 대한 베이스라인은 Table 9와 같다. 부분부하 효율은 신축 프로젝트 UPS 효율 베이스라인에서 정의된 식과 용량계수를 사용해 산출한다.
② 장비의 유효수명(EUL) 정의(14)
Table 10은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핵심 시스템에 대한 EUL이 요약되어 있다. 교체되는 장비가 제시된 항목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20년을 초과하지
않도록 EUL을 결정한다. EUL 값은 생기주기비용(LCC : Life Cycle Cost) 분석의 목적상, 가동시간에서 사용되는 잔존 유효수명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
3.3.3 개보수 베이스라인 활용 및 분석법
개보수 프로젝트의 M&V에 필요한 분석법은 베이스라인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M&V의 접근법에 상관없이 모든 프로젝트는 개보수 후 모니터링 기간
동안 측정된 부하에 기초하여 에너지절감량을 평가한다. 에너지절감 산출은 사이트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의 기후 데이터를 사용하여 계산한다.
Table 9. The baseline efficiency of UPS unit for retrofit projects
Rated output power(W)
|
1,500 < P ≤ 10,000
|
10,000 < P ≤ 100,000
|
P > 100,000
|
Average efficiency(%)
|
0.898
|
0.902
|
0.923
|
Table 10. EUL(Effective Useful Life) values for data center equipment
Equipment
|
EUL(year)
|
Equipment
|
EUL(year)
|
Chiller
Cooling tower
Pump/pump motor
Fan/fan motor
Waterside Economizer
CRAH
|
20
15
15
15
15
15
|
CRAC(air or water cooled)
Airside Economizer
Evaporative Coolers(Indirect or Direct)
Variable Speed Drive
DDC Control System
|
15
10
15
15
15
|
모든 개보수 프로젝트 M&V 분석은 운전 데이터의 수집으로 부터 시작된다. 개보수 프로젝트의 기후와 관련된 조치사항은 개보수 전과 후 모니터링을 4개월
동안 진행하고, 기후와 관계가 없는 조치사항은 개보수 전과 후 모니터링을 1개월 동안 진행한다. 따라서 프로젝트 유형별로 요구되는 모니터링에 관한
세부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 장비 또는 관련 시스템의 에너지 사용이 기후조건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면 이러한 조치는 기후 종속이 된다. 냉동기 교체,
water- 및 air-side economizer 적용, 냉각탑 교체 그리고 CRAC 개보수는 모두는 기후영향에 종속된 조치의 사항이다. 기후영향에
독립된 조치사항에는 기후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모든 전기설비 및 기계설비 에너지 효율개선이 포함된다. 기후영향에 독립된 기계설비
조치사항은 고효율 팬 (kW/CFM이 낮은) 공기조화기 설치와 CRAH 급기팬 모터 VFD 개보수가 포함된다.
3.3.4 비용분석
개보수 프로젝트는 일부 상황에서 증가된 비용 대신에 총 프로젝트 비용을 적용한다는 점에서 신축 프로
젝트와 차이를 보인다. REA와 ER은 기존 시스템의 교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총 프로젝트 비용의 기준을 사용한다. ROB, NR 및 NEW 프로젝트는
장비교체 또는 추가가 필요하기 때문에 증가된 비용 기준을 사용
한다. 복합 베이스라인 프로젝트는 ROB, NR 또는 NEW 구성요소를 위하여 증가된 비용 기준을 사용하고, 기타 구성요소를 적용하여 총 비용 기준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