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 Principal Researcher, Thermal & Fluid System Group,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Chungnam, 31056, Korea )
  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구원 ( Researcher, Thermal & Fluid System Group,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Chungnam, 31056, Korea )



DOE(실험계획법), Heat exchanger(열 교환기), Power generator(발전기), Optimization design(최적설계)

기호설명

$A$: 면적 [m2]
$C$: 코일의 직경 [m]
$CW$: 채널폭 [m]
$CH$: 채널높이 [m]
$CL$: 채널길이 [m]
$c_{p}$: 정압비열[kJ/kg·K]
$D$: 직경 [m]
$D_{h}$: 수력직경 [m]
$dP$: 압력강하량 [kPa]
$f$: 마찰계수
$h$: 열전달계수[kW/m2·K]
$k$: 열전도도 [kW/m·K]
$l$: 튜브길이 [m]
$LMTD$: 대수평균온도차 [K]
$\dot m$: 질량유량 [kg/s]
Nu: 누셀트 수
$P$: 유동길이 [m]
Pr: 프란틀 수
$Q$: 열전달률 [kW]
Re: 레이놀즈 수
$T$: 온도 [K,℃]
$t$: 두께 [m]
$U$: 총합열전달계수[kW/m2·K]

그리스문자

$\mu$: 점성계수 [Pa·s]
$\rho$: 밀도 [kg/m3]
V: 속도 [m/s]
$\eta ,\varepsilon$: 효율

하첨자

$a$: 면적
$cw$: 냉각수
$i$: 입구
$m$: 재료
$o$: 출구
$s$: 표면

1. 연구배경

ORC 발전 시스템은 태양열 또는 폐열 등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대표적인 신 재생에너지 기기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터빈, 발전기, 증발기 및 응축기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발전에 직접적으로 이용되는 터빈 및 발전기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소 부품으로 구분된다.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의 경우 전기, 풍손 및 기계적 손실에 의한 발열을 동반하게 되어 효율감소이 감소하기 때문에 적절한 방열이 요구된다. 발전기 방열에는 외부공기를 이용한 자연 또는 강제대류식과 냉각수를 이용한 수냉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중 수냉식 냉각 시스템은 외부공기를 이용한 냉각방식에 비하여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동일한 냉각성능 대비 소형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 kW의 발전량을 갖는 ORC용 발전기에 수냉식 냉각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발전기용 수냉식 냉각시스템 중 냉각용 열 교환기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발전기의 기준 발열량은 발전기의 효율을 90%로 가정하고 목표 발전량 20 kW의 10%인 2 kW로 선정하였다. 열 교환기의 성능지표로 열전달률, 압력강하량 및 효율을 선정하고, 목표값은 각각 2 kW 이상, 10 kPa 이하 및 60% 이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추가 제한조건으로 대상이 되는 발전기가 실내에 위치 할 것을 고려하여 외기온도는 25℃로 적용하였다. 또한 발전기의 표면온도를 29℃ 이하로 유지 할 수 있도록 하였다. 1차 최적화 과정에서는 열 교환기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설계인자들 중 주요한 인자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그리고 2차에는 1차에서 선정된 주요설계인자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열 교환기의 압력 강하량을 최소화하고 방열성능에 적합한 형상과 예측성능을 제안하였다.

2. 열 교환기

Fig. 1은 발전기 및 열 교환기의 외형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열 교환기는 발전기의 주요구성품인 로터 및 스테이터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하였다. 발전기의 외부직경 및 길이는 각각 0.15 m로 고정된 형상을 갖는다. 열 교환기는 발전기 외부를 감싸고 있는 단 채널에 작동유체인 냉각수가 흐르도록 구성하였으며, 재질은 copper이다. Fig. 2(a)Fig. 2(b)는 열 교환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며, Fig. 2(c)는 발전기 및 열 교환기 내부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Fig. 1 Power generator with heat exchanger.
../../Resources/sarek/KJACR.2020.32.5.223/fig1.png

Fig. 2 Detail geometric of heat exchanger and power generator.
../../Resources/sarek/KJACR.2020.32.5.223/fig2.png

3. 열 교환기 해석

3.1 열 교환기 해석

열 교환기 해석에는 상용프로그램인 EES(ver 10.762)을 이용하였다. 냉각수 및 재질의 물성치는 EES에 포함된 물성치를 기준으로 하였다.

Fig. 3은 열 교환기의 검사체적을 나타낸 그림이다. 열 교환기는 사각채널의 바닥면으로 발전기의 발열이 유입되고 사각 채널을 흐르는 냉각수에 의하여 방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발전기의 발열이 유입되는 바닥면의 온도를 발전기의 표면온도($T_{s}$)로 정의하였다. 열 교환기 채널과 채널사이 및 상부벽을 Fin1 및 2로 정의 하였다. 그리고 상부의 외부경계는 단열조건으로 가정하였다.

Fig. 3 Control volume of heat exchanger channel.
../../Resources/sarek/KJACR.2020.32.5.223/fig3.png

식(1)~식(20)은 열 교환기 해석에 적용된 관계식이다.

열 교환기 냉각수 채널의 수력직경은 식(1)~식(3)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1)
$$D_{h}=\dfrac{4A_{c}}{P}$$

(2)
$$A_{c}=CW\times CH$$

(3)
$$P=2\times(CW+CH)$$

열 전달률은 식(4)식(5)와 같으며, 총합 열 전달계수($U$)는 열 교환기 바닥면의 두께($t_{1}$)에 대한 열전도도 및 관내측 열전달계수와 식(8)에 나타낸 면적효율 등을 고려하여 식(5)와 같이 계산하였다.

(4)
$$Q=\dot m_{cw}\times c_{p,\: cw}\times(T_{cw,\:o}-T_{cw,\:i})$$

(5)
$$Q=U\times A_{o}\times LMTD$$

(6)
$$LMTD=\dfrac{T_{s}-T_{cw,\:i}}{T_{s}-T_{cw,\:o}}$$

(7)
$$U=\dfrac{1}{\dfrac{t_{1}}{k_{m}}+\dfrac{1}{\eta_{a}\times h_{i}}}$$

식(8)은 Fin1 및 2의 효율이 포함된 면적효율을 계산한 수식이다. 본 연구에서 채널의 좌·우 및 상부벽을 Fin1 및 2로 정의하였다. 상부벽(Fin2)은 참고문헌(1)의 이중적층방법(double stack mode)을 참고하여 좌우 Fin1의 연장선으로 정의 한 후 분리하여 계산하였다. 식(8)의 수식 중 $T_{up}$은 Fin1 및 2의 중간 부분의 온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식(8)의 면적효율($\eta_{a}$)은 Fin1 및 Fin2의 효율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식(12)식(13)은 채널의 좌·우측에 있는 Fin1 및 채널 상부의 Fin2의 효율에 관한 관계식이다.

(8)
$$\eta_{a}=1-\dfrac{A_{fin 1}}{A_{o}}(1-\eta_{fin 1})-\dfrac{A_{fin 2}}{A_{o}}(1-\eta_{fin 2}\times\dfrac{T_{up}-T_{cw,\:o}}{T_{s}-T_{cw,\:i}})$$

(9)
$$A_{o}=2\times(CW+CH)\times CL$$

(10)
$$A_{fin 1}=2\times CH\times CL$$

(11)
$$A_{fin 2}=CW\times CL$$

(12)
$$\eta_{fin 1}=\dfrac{\tanh(\sqrt{\dfrac{2\times h_{i}}{k_{f}\times t_{1}}}\times CH)}{\sqrt{\dfrac{2\times h_{i}}{k_{f}\times t_{1}}}\times CH}$$

(13)
$$\eta_{fin 2}=\dfrac{\tanh(\sqrt{\dfrac{h_{i}}{k_{f}\times t_{2}}}\times\dfrac{CW}{2})}{\sqrt{\dfrac{h_{i}}{k_{f}\times t_{2}}}\times\dfrac{CW}{2}}$$

3.2 열전달계수 및 압력 강하량 관계식

Fig. 4는 열 교환기 채널의 전체형상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열 교환기 채널은 코일관의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냉각수의 회전에 의한 난류 촉진과 원심력장이 한 쌍의 길이방향 와류로 인하여 2차 유동을 유발한다. 따라서 열전달계수 상관식은 코일의 형상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적절한 열전달계수 및 압력강하 상관식을 검토 하였다.(2-8) 이 중 냉각수의 열전달계수는 레이놀즈 수의 범위가 9,000에서 30,000으로 난류유동임을 고려하여 단상 난류유동에 잘 알려진 Roger and Mayhew에 의하여 제안된 상관식(7)을 적용하였다. 적용된 열전달계수 상관식은 식(14)와 같으며, 이중 C는 코일의 직경을 의미한다.

Fig. 4 Shape of the coolant channel.
../../Resources/sarek/KJACR.2020.32.5.223/fig4.png

(14)
$${N u}=0.023Re^{0.85}Pr^{0.4}(\dfrac{D_{h}}{C})^{0.1}$$

(15)
$${N u}=\dfrac{h_{i}D_{h}}{k_{cw}}$$

(16)
$${Re}=\dfrac{\rho VD_{h}}{\mu}$$

(17)
$$Pr=\dfrac{c_{p}\mu}{k_{cw}}$$

냉각수의 압력 강하량 및 마찰계수는 식(18)식(19)(8)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식(19)에 나타낸 마찰계수 상관식은 코일형 열 교환기의 내부 유동을 고려한 형태의 마찰 계수이다.

열 교환기의 효율은 발전기 표면온도 및 냉각수의 입·출구 온도를 이용하여 계산 하였으며 식(20)과 같다.

(18)
$$d P=f\dfrac{1}{2}\rho V^{2}\dfrac{l}{D_{h}}$$

(19)
$$f=\dfrac{7.2}{Re^{0.5}}(D_{h}/C)^{0.25}$$

(20)
$$\varepsilon =\dfrac{T_{s}-T_{cw,\:o}}{T_{s}-T_{cw,\:i}}$$

4. 1차 열 교환기 설계

4.1 1차 해석조건

1차 해석에는 열 교환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설계 및 형상인자들 중 주요설계인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차 해석조건은 Table 1에 나타낸 설계 및 형상인자를 기준으로 1/2 부분요인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64회의 해석조건을 수립하였다. 해석조건 수립 및 분석에는 상용 통계 프로그램인 Minitab(ver. 17)을 이용하였다.

Table 1. First analysis conditions

Parameters

Units

Standard

Range

Factors

$CH$

m

0.0125

0.005~0.02

$CW$

m

0.0125

0.005~0.02

$t_1$

m

0.0075

0.005~0.01

$t_2$

m

0.0075

0.005~0.01

$Material$

-

Copper

Copper, Aluminum

$T_{cw,i}$

27.5

26~29

$\dot m_{cw}$

kg/s(l/min)

0.207(12.5)

0.083~0.332(5-20)

Responses

$Q$

kW

0.8657

Results

$dP$

kPa

6.06

$\varepsilon$

%

66.51

열 교환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는 열 교환기의 형상인 채널 높이($CH$) 및 폭($CW$), 열 교환기의 바닥면의 두께($t_{1}$), 열 교환기의 채널벽 두께($t_{2}$)와 냉각수의 조건인 질량유량($\dot m$) 및 입구온도($T_{cw.i}$)를 해석조건으로 하였다. 그리고 열 교환기의 성능지표는 열 교환기의 열전달률($Q$) 및 효율(ε)과 냉각수의 압력 강하량($dP$)을 선정하였다. 이중 열 교환기 바닥면의 온도를 발전기 표면온도($T_{s}$)로 정의하고 설정 값을 29℃로 하였다.

Table 1은 열 교환기의 대략적인 형상 및 조건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선정된 표준조건과 1차 해석범위를 나타내었다. 표준조건은 1차 해석범위의 중간 값을 의미하며 해석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냉각수의 온도범위는 앞서 실내온도를 25℃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최소값을 26℃로 하였다. 재질은 Copper 및 Aluminum 두 가지를 고려하였다.

4.2 1차 해석결과

Fig. 5~Fig .7은 해석조건에 따른 열전달률, 효율 및 압력 강하량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주효과도(main effects plot)이다. 주효과도는 해석인자가 성능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나타내는 그림이며, 기울기가 큰 경우 결과 값에 미치는 영향도가 큰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Fig. 5 Main effects plot of $Q$.
../../Resources/sarek/KJACR.2020.32.5.223/fig5.png

Fig. 6 Main effects plot of $Q$.
../../Resources/sarek/KJACR.2020.32.5.223/fig6.png

Fig. 7 Main effects plot of $\varepsilon$(efficiency of heat exchanger).
../../Resources/sarek/KJACR.2020.32.5.223/fig7.png

Fig. 5는 열 전달률에 대한 주효과도이며, 이를 보면 열 전달률은 채널의 폭($CW$) 및 냉각수의 질량유량($\dot m_{cw}$)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된다.

Fig. 6은 압력 강하량($dP$)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주효과도이다. 이를 보면 압력 강하량은 열 교환기 채널의 높이($CH$) 및 폭($CW$)과 냉각수의 질량유량($\dot m_{cw}$)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 외 해석조건에 대해서는 영향이 미비한 것으로 알 수 있다.

Fig. 7은 열 교환기 효율(ε)의 주효과도이다. 열 교환기 효율은 열 교환기 채널의 폭($CW$), 냉각수의 질량유량 ($\dot m_{cw}$)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된다.

열 교환기 1차 해석에서는 성능지표에 영향도가 큰 주요설계인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해석 결과로 얻어진 주요설계인자들을 Table 2에 나타내었다. 이를 종합하여 2차 해석에서는 채널의 높이($CH$) 및 폭($CW$)과 냉각수의 질량유량($\dot m_{cw}$)를 해석조건으로 선정하였다. 그 외 조건들 중 결과값의 영향을 고려하여 바닥면의 두께($t_{1}$) 및 채널벽 두께($t_{2}$), 냉각수의 입구온도는 1차 해석범위의 최소값으로 고정하였다. 또한 재질의 경우를 보면 열전도도가 높은 copper의 경우 aluminum에 비하여 열 전달율 및 효율의 높게 나타나지만 전반적인 성능지표에는 크게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교환기의 가공성과 표준조건에서의 낮은 열전달률을 고려하여 재질은 copper로 하였다.

Table 2. Main design factors according to response values

ㅁResponses

Unit

Main effects factors

$Q$

$\dot m_{cw}$, $CW$

$dP$

kPa

$CH$, $CW$, $\dot m_{cw}$

$\varepsilon$

%

$CW$, $\dot m_{cw}$

Table 3은 1차 최적화를 과정을 통하여 결정된 열 교환기 설계조건과 표준조건의 해석결과를 비교한 표이다. 이를 보면 압력 강하량은 다소 높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열전달률과 열 교환기 효율은 크게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열전달률의 경우 아직 목표값인 2 kW에 다소 부족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Table 3. First analysis results

Parameters

Unit

Standard

First results

Factors

$CH$

m

0.0125

0.0125(standard)

$CW$

m

0.0125

0.0125(standard)

$t_{1}$

m

0.0075

0.005(minimum)

$t_{2}$

m

0.0075

0.005(minimum)

$Material$

-

Copper

Copper

$T_{cw,i}$

27.5

26.0(minimum)

$\dot m_{cw}$

kg/s(l/min)

0.207(12.5)

0.207(12.5) (standard)

Responses

$Q$

kW

0.8657

1.855

$dP$

kPa

6.06

7.17

$\varepsilon$

%

66.51

71.23

5. 2차 열 교환기 설계

5.1 2차 해석조건

2차 해석에서는 1차 해석결과로 얻어진 주요설계 인자들의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최적화 과정에는 실험계획법(DOE) 중 하나인 반응 표면법(RSM, Response Surface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에는 상용 통계프로그램인 Design experts(version 10)를 이용하였다.

2차 해석의 인자들은 1차 해석결과로 얻어진 주요설계인자를 기준으로 하였다. 그리고 그 외 다른 조건들은 고정된 값을 사용하였다. 2차 해석 조건들의 범위는 결과의 정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1차 범위보다 축소된 형태도 진행하였다. 채널높이 및 폭의 경우 0.01~0.015 m의 범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냉각수의 질량유량의 경우 0.166~0.249 kg/s의 범위이다. Table 4는 2차 해석의 조건 및 범위를 나타낸 표이다.

Table 4. Second analysis conditions

Parameters

Unit

First results

Range

Factors

$CH$

m

0.0125

0.01~0.015

$CW$

m

0.0125

0.01~0.015

$t_{1}$

m

0.005

0.005(Fixed)

$t_{2}$

m

0.005

0.005(Fixed)

$Material$

-

Copper

Copper(Fixed)

$T_{cw,i}$

26.0

26(Fixed)

$\dot m_{cw}$

kg/s(l/min)

0.207(12.5)

0.166~0.249(10~15)

Responses

$Q$

kW

1.855

Results

$dP$

kPa

7.17

$\varepsilon$

%

71.23

Table 5는 반응표면법의 의해 선정된 20세트의 해석조건 및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Table 5. Second analysis results

No.

Parameters

Results

$CH$[m]

$CW$[m]

$\dot m_{cw}$[kg/s]

$Q$[kW]

$dP$[kPa]

$\varepsilon$[%]

1

0.0125

0.0125

0.208

1.86

7.17

71.23

2

0.0100

0.0100

0.249

2.47

28.39

79.09

3

0.0100

0.0150

0.166

1.49

5.02

71.42

4

0.0100

0.0150

0.249

2.09

9.23

66.83

5

0.0100

0.0100

0.166

1.74

15.45

83.47

6

0.0125

0.0150

0.208

1.70

4.28

65.11

7

0.0150

0.0150

0.166

1.34

2.07

64.40

8

0.0125

0.0125

0.208

2.16

9.43

69.02

9

0.0125

0.0125

0.208

2.16

9.43

69.02

10

0.0150

0.0100

0.166

1.62

6.70

77.96

11

0.0150

0.0150

0.249

1.87

3.80

59.73

12

0.0150

0.0125

0.208

1.78

4.89

68.18

13

0.0125

0.0125

0.166

1.54

5.13

73.73

14

0.0125

0.0125

0.208

1.86

7.17

71.23

15

0.0125

0.0125

0.208

1.86

7.17

71.23

16

0.0150

0.0100

0.249

2.28

12.31

73.05

17

0.0100

0.0125

0.208

1.95

11.61

74.81

18

0.0125

0.0125

0.249

2.16

9.43

69.02

19

0.0125

0.0100

0.208

2.03

13.55

78.09

20

0.0125

0.0125

0.208

1.86

7.17

71.23

Fig. 8Fig. 9는 채널높이 및 폭의 변화에 따른 열전달률 및 압력강하량의 경향을 나타내는 등고선도 이다. 열전달률 및 압력강하량은 채널 높이 및 폭이 작아질수록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열 교환기 채널의 높이 및 폭이 작아질수록 열 교환기 채널의 수력직경이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유속이 증가하게 된다. 열 교환기 채널 내 냉각수의 유속증가는 내측 냉각수의 열전달계수를 크게 만들어 열전달을 촉진 하지만 압력 강하량의 경우 유속에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Fig. 8 Contour plot of $Q$(at $\dot m_{cw}$ = 0.207 kg/s).
../../Resources/sarek/KJACR.2020.32.5.223/fig8.png

Fig. 9 Contour plot of $dP$(at $\dot m_{cw}$ = 0.207 kg/s).
../../Resources/sarek/KJACR.2020.32.5.223/fig9.png

5.2 2차 해석결과

Fig. 10은 채널 높이 및 폭이 변화에 따른 열 교환기 효율의 경향을 나타내는 등고선도 이다. 열 교환기 효율은 채널 높이 및 폭이 작아짐에 따라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Fig. 10 Contour plot of $\varepsilon$(at $\dot m_{cw}$ = 0.207 kg/s).
../../Resources/sarek/KJACR.2020.32.5.223/fig10.png

2차 최적화 조건의 선정은 임의에 요구범위을 선정한 후 분석에 이용한 Design expert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Fig. 11은 Design experts의 최적조합을 나타낸 윈도우 창이다. Design experts 프로그램은 선정된 요구범위를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결과의 만족도(desirability)가 가장 높은 다수의 조합을 도출한다. 이때 열 교환기 성능지표에 대한 요구조건 중 열 전달률은 2.0~2.05 kW, 압력 강하량은 0~10 kPa, 열 교환기 효율은 60~80%의 범위로 각각 설정하였다. 이는 앞서 선정한 발전기 방열용 열교환기 요구조건과 일치하는 범위이다. Fig. 12는 열 교환기 성능지표의 요구범위를 만족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중첩등고선도 이다. 요구조건의 범위는 최적화 조건을 도출할 때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그림을 보면 요구조건에 만족하는 범위를 그림의 노란색 부분으로 표시하고 있다. 노란색 부분 중 임의 선정한 중간 지점의 결과를 확인해 보면, 냉각수의 질량유량, 채널 높이 및 폭은 0.220 kg/s, 0.0139 m 및 0.011 m 로 나타나며, 이때 열전달률, 압력 강하량 및 효율은 각각 2.03 kW, 9.52 kPa 및 72.59 %로 보였다. 이는 앞서 선정한 열 교환기의 요구조건에 모두 만족하는 결과이다.

Fig. 11 Numerical optimization solutions(design experts).
../../Resources/sarek/KJACR.2020.32.5.223/fig11.png

Fig. 12 Overlaid contour plot(at $\dot m_{cw}$ = 0.220 kg/s)
../../Resources/sarek/KJACR.2020.32.5.223/fig12.png

Table 6은 기준조건과 1차 및 2차 해석결과를 비교한 표이다. 그리고 2차 최적화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prediction)와 열 교환기 해석결과(simulation)를 비교 하였을 때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보면 압력 강하량의 경우 8.86 kPa로 약간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열 교환기의 열전달률 및 효율은 2.02 kW 및 72.79%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이때 열 교환기 채널 높이, 폭 및 질량유량은 0.0139 m, 0.0110 m 및 0.220 kg/s인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Comparison of standard, first and second results

Parameters

Unit

Standard

First results

Second results(final result)

Prediction

Simulation

Factors

$CH$

m

0.0125

0.0125

0.0139

$CW$

m

0.0125

0.0125

0.0110

$t_{1}$

m

0.0075

0.005

0.005

$t_{2}$

m

0.0075

0.005

0.005

material

-

Copper

Copper

Copper

$T_{cw,i}$

27.5

26.0

26.0

$\dot m_{cw}$

kg/s

0.207(12.5)

0.207(12.5)

0.220(13.2)

Responses

$Q$

kW

0.8657

1.855

2.03

2.02

$dP$

kPa

6.06

7.17

9.52

8.86

$\varepsilon$

%

66.51

71.23

72.59

72.79

6. 결 론

본 논문에서는 20 kW급 발전기 방열에 적용될 수냉식 열 교환기의 주요설계인자를 도출하고 최적화된 열 교환기 형상 및 조건을 선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열교환기의 1차 해석에서는 열 교환기 성능지표인 열전달률, 압력 강하량 및 열 교환기 효율에 영향도가 큰 주요설계인자들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행결과 열 교환기의 채널 높이 및 폭과 냉각수의 질량유량이 열 교환기 성능지표에 주요설계인자로 나타났다.

2차 해석에서는 1차에서 수행된 열 교환기의 해석조건 중 주요설계인자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차 해석결과를 기준조건과 비교하여 보면 압력 강하량의 경우 약 2.23 kPa 증가 되었지만 열전달률 및 효율은 1.15 kW 및 6.28% 상승된 결과를 얻었다.

최적화된 열 교환기의 형상조건은 Table 6에 나타내었으며 이때 열교환기의 열전달률, 압력 강하량 및 열 교환기의 효율은 각각 2.02 kW, 8.86 kPa 및 72.79% 이다. 앞서 선정한 열교환기의 요구조건 이었던 열 전달률 2 kW이상, 압력 강하량 10 kPa 이하, 열 교환기의 효율 60%이상에 모두 부합하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발전량 20 kW용 발전기에 적합한 열 교환기 형상 및 조건을 도출하였다.

후 기

본 연구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되었습니다(과제명 : 저온 폐열 이용 20kW급 터빈/발전기 상용기술 개발, PEO19170). 이에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Yang H., Li Y., Yang Y., Zhu Y., Wen J., , Effect of surface efficiency on the thermal design of plate-fn heat exchanger with passages stack arran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143, 118494DOI
2 
Cancan Z., Dingbiao W., Sa X., Han Y., Xu P., 2017, Numerical investigation of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in helically coiled tube with spherical corru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113, pp. 332-341DOI
3 
Zachar A., 2012, Investigation of natural convection induced outer side heat transfer rate of coiled-tube heat exchanger,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55, No. 25-26, pp. 7892-7901DOI
4 
Kong R., Deethayat T., Asanakham A., Kiatsiriroat T., 2018, Heat transfer phenomena on waste recovery of combustion stack gas with deionized water in helical coiled heat exchanger, Case Studies in Thermal Engineering., Vol. 12, pp. 213-222DOI
5 
Xiao Y., Hu Z., Chen S., Gu H., 2018, Experimental study of tow-phase frictional pressure drop of steam-water in helically coiled tubes with small coil diameters at high pressure,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132, pp. 18-29DOI
6 
Suh S. H., Choi Y., Roh H. W., Doh H., 1999, Flow Analysis in the Bifurcated Duct with PIV System and Computer Simulation, Trans. Korean Soc. Mech. Eng. B., Vol. 23, No. 1, pp. 123-180DOI
7 
Roger G. F. C., Mayhew Y. R., 1964, Heat Transfer and Pressure Loss in Helically Coiled Tubes with Turbulent Flow,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7, No. 11, pp. 1207-1216DOI
8 
Incropera F. P., Dewitt D. P., Bergman T. L., Lavine A. S., 2008, Fundamentals of Heat and Mass Transfer, Six edition, pp. 603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