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진균
(Jinkyun Cho)
1†
김선정
(Sun-Jeong Kim)
2
정용대
(Yongdae Jeong)
3
박병용
(Beungyong Park)
4
-
국립한밭대학교 공과대학 설비공학과 조교수
(
Assistance Professor, Department of Building and Pla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34158, Daejeon, Korea
)
-
국립한밭대학교 공과대학 설비공학과 교수
(
Professor, Department of Building and Pla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34158, Daejeon, Korea
)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건물에너지센터 연구원
(
Junior Researcher, Building Energy Center, KCL(Korea Conformity Laboratories), Jincheon,
27872, Korea
)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건물에너지센터 선임기술원
(
Senior Research Engineer, Building Energy Center, KCL(Korea Conformity Laboratories),
Jincheon, 27872, Korea
)
Copyright © 2016,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s of Korea
Key words
Data center(데이터센터), Cooling system(공조․냉각시스템), CRAC/H units(데이터센터 냉각기기), Performance testing(성능시험), IT environment(IT기기 운영환경)
기호설명
$Q_{c}$:
공기측 냉방능력 [W]
$h_{a1}$:
CRAC/H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엔탈피 [J/kg]
$h_{a2}$:
CRAC/H에서 유출되는 공기의 엔탈피 [J/kg]
$v_{n}$:
풍량측정 위치에서의 공기의 비체적 [m3/kg]
$x_{n}$:
풍량측정 위치에서의 공기의 절대습도 [kg/kg]
$m_{air}$:
공기측 유량 측정값 [m3/s]
$Q_{loss}$:
측정 장치에서의 열 침입 [W]
1. 연구배경 및 목적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데이터가 미래 발전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급부상하고 그 중요성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IoT 등 신사업 확대로 데이터가 다량으로 생성됨에 따라 이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센터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레벨에서는 하이퍼 스케일(hyper-scale) 데이터센터가 확산되고 있다.(1)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는 기존의 전통적인(legacy) 데이터센터 대비 규모가 월등히 크고 유기적인 구조를 가진 데이터센터로 일반적으로 10만대
수준의 IT서버를 운영하고 20,000 m2 이상의 규모와 유동적 확장 능력을 보유한다.(2) 글로벌 기준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는 2017년 전년 대비 14.2% 증가한 386개를 기록했다. 2018년 448개로 증가, 2021년에는 628개로
2020년 대비 10.1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2,3) 대한민국은 2018년 한 해 동안 5세대(5G) 이동통신 세계 최초 상용화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통신사, 제조사, 정부 등 모든 관계자가 끊임없는
노력하여 새로운 환경을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향후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로 그 중심이 이동한다면 지금과는 다른 운영형태에
대비해야 한다. 즉, IT장비의 냉각, 전력분배 및 저장(UPS) 등 데이터센터의 운영환경을 유지하는 non-IT 분야의 인프라에 대한 변화는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그 중에서도 고밀도 IT장비의 운영으로 냉각시스템의 변화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된다. 데이터센터 공조․냉각시장 2017년 84억만 달러에서
2025년 232억만 달러로 13.7% 성장할 것으로 전망을 하고 있다.(4)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환경은 IT장비의 집적도(7.0 kW/rack 이상)가 증가하여 IT산업 변화에 대응 가능한 냉각시스템의 기준이 필요하다.
현재, 고밀도 데이터센터 냉각방식의 전환이 진행 중이다. Fig. 1과 같이, 기존의 전통적인 공간단위 중앙식 냉각(room-based cooling)의 고밀도 IT환경에 대한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에 신규 데이터센터의
냉각방식이 구역단위 분산식 냉각(row-based cooling)과 IT장비단위 개별식 냉각(rack-based cooling)으로 점차 변환하여
2025년 신규 데이터센터의 공조시스템은 분산식/개별식 냉각이 주를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즉, 게임의 규칙이 변경됨에 따른 새로운 냉각방식에 대한
산업계의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데이터센터 운영‧서비스 중심의 국내시장 특성 및 해외 기술과의 격차에 따른 새로운 데이터센터 관련 IT환경 지속가능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센터 환경에 맞는 냉각시스템의 성능기준이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국내의 데이터센터에 적용되는 냉각시스템인
CRAC/H(Computer Room Air Condition/Handling) 유닛은 데이터센터의 실질적인 IT 환경유지 기준이 반영되지 않고,
일반건물의 냉․난방 기준 또는 발주처(데이터센터 운영주체)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도록 성능기준을 적용하였다. 객관적인 표준조건이 없기 때문에 실질적인
IT환경 유지를 위한 용량보다 과설계된 시스템이 적용되는 사례가 많고, 운영단계에서 과도한 냉각 에너지를 사용하거나 적정한 IT환경을 유지하지 못하여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5) 4차산업 동력인 IT기술의 구현을 위한 중요한 데이터센터의 상호 연계된 종합적인 냉각 솔루션의 성능평가와 시험기준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주목적은 전용 데이터센터 공조․냉각장비의 성능평가를 위한 시험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먼저, 적용 가능한 CRAC/H 유닛의 유형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국․내외 표준 및 시험방법 현황과 분석결과를 반영한 실질적인 데이터센터 IT환경유지에 부합한 시험기준 및 방법을 도출하였다. 새로운 시험기준 적용으로
신규 CRAC/H 유닛의 성능평가를 진행함으로써 데이터센터 공조․냉각장비의 IT환경유지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Fig. 1 Global Data center cooling market by type of cooling.(4)
2. 데이터센터 공조·냉각방식의 분류
데이터센터 공조․냉각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충분한 냉각능력을 제공하는 것과 냉각된 공기를 각 IT장비에 분배하는 두 가지이다. 첫 번째 기능은 공간단위,
구역단위 및 IT장비단위의 모든 공조․냉각방식에 해당하는 공통적인 기능으로 IT장비의 총 발열을 제거․냉각하는 것이다. 공간단위, 구역단위 및 IT장비단위의
각 공조․냉각방식의 주요 차이점은 각 IT장비에 공조공기를 분배하는 두 번째 기능에 있다.(6)
2.1 IT장비의 발열 제거를 위한 냉각방식 구분
데이터센터의 적정 IT환경을 유지하고 IT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실외로 전달하는 냉각방식은 일반적으로 13가지로 구분된다.(7) 발열제거 및 IT장비 냉각방법은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를 IT환경에서 이격하여 설치하고 물과 기타 열매체의 순환(자체 배관 포함)을 구성하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발열제거는 IT공간에서 실외로 열-에너지를 이송(transport)시키는 프로세스라고 생각할 수 있다. 열-에너지를 실외로 이송하는 수단으로
IT서버룸의 가열된 공기를 덕트를 통하여 직접 배출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지만 배출된 공기만큼 다시 공급하는 방법이 간단하지 않다. 이러한 열-에너지를
이송은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하나의 유체에서 다른 유체로 열-에너지를 전달함으로써 달성된다. Fig. 2와 같이, 실내 및 실외 전환지점 사이의 열매체는 두 지점 사이의 열-에너지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크게 물, 공기, 부동액(글리콜) 및 냉매로
구분된다.(8) 중앙에 열원(냉동기 및 히트펌프)을 통하여 생산된 냉수를 이용하는 중앙냉수식(centeral chilled water) 냉각시스템은 CRAH 유닛을
사용하고, 다시 열원에서 냉수를 만드는 방식에 따라서 다시 공랭식(air-cooled), 수냉식(water-cooled) 또는 글리콜식(glycol-cooled)의
6가지 방식으로 세분화된다. CRAC 유닛은 내부의 냉각사이클을 수행하여 직접 IT서버룸의 발열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실내유닛와 실외유닛으로 구분된다.
냉매를 사용하여 압축기와 증발기가 설치된 실외유닛을 동작하는 공랭식(air-cooled)방식, 압축기는 CRAC유닛에 있고 냉각수 순환으로 냉각탑을
사용하는 수냉식(water-cooled)방식, 그리고 열매를 물이 아닌 부동액을 사용하고 냉각수 순환으로 드라이쿨러(dry-cooler)를 사용하는
글리콜식(glycol-cooled)의 3가지 방식으로 구분된다. 마지막으로 CRAC/H 유닛을 사용하는 방식 외에 소규모 전산센터에 적용 가능한 방식으로
외기를 처리하여 직접 공급하고 배출하는 직접/간접 증발냉각방식과 소형 냉각기를 덕트내 또는 건물옥탑에 설치하는 방식 등 4가지 방식을 포함하여 총
13개의 냉각방식이 데이터센터 냉각방식으로 사용가능하다.
Fig. 2 The 13 fundamental heat removal methods of data center cooling.(7)
2.2 IT장비의 발열 제거를 위한 공기분배방식 구분
Fig. 3 The basic concept of room, row, and rack-based cooling.(9)
데이터센터 공조(공기분배)방식의 기본 구성 및 일반적인 개념은 Fig. 3과 같고, CRAC/H 유닛과 랙-서버(rack server)에 장착된 IT장비와의 연계를 보여준다.(9) CRAC/H 유닛의 실제 물리적 레이아웃은 다를 수 있지만 공간단위 공조방식의 CRAC/H 유닛은 IT서버룸 전체를 제어하고 구역단위 공조방식은
랙-서버가 배열된 일부의 구역 또는 열(군), 그리고 IT장비단위 공조방식은 개별 랙-서버에 대응한다. 공간단위 냉각방식의 경우, CRAC/H 유닛은
IT서버룸 단위를 설정하고 공간 전체의 열-부하를 처리하기 위해 여러 개의 CRAC/H 유닛이 동시 운전된다(Fig. 3(a) 참조). 공간단위 공조방식은 덕트, 댐퍼, 환기구 등에 의한 제어를 하지 않고 실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CRAC/H 유닛에서 공조공기를 직접 공급하는
경우도 있고, 이중마루(raised floor) 통로와 천장의 공간을 사용하여 급기 및 환기를 부분적으로 제어 할 수 있다. 설계 시 공기분배에 대한
고려가 프로젝트 특성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이 일반적이다. 대규모 전용 데이터센터의 경우는 IT장비 및 랙-서버에 효율적인 공기흐름을 만들기 위해
계획적으로 배치한 hot aisle/cold aisle에 공기를 분배하기 위해 이중마루를 사용한다. 공간단위의 공조방식에 착안한 디자인은 공간 제약(천장
높이, 공간 형태, 이중마루 하부 장애물, 랙-서버 배치, CRAC/H 유닛 위치 및 각 IT장비의 배전 등)에 큰 영향을 받는다. 특히 전력 밀도가
증가하는 경우, cold/hot aisle containment가 적용되지 않을 경우, IT서버룸 전체의 공조에 대한 균일한 성능은 기대하기 어렵다.
CRAC/H 유닛의 정격 용량이 증가하는 것과 containment를 적용하지 않은 공간단위 방식은 공조효율 저하의 문제가 될 수 있다. 공조유실
(by-pass)은 CRAC/H 유닛에서 분배되는 냉기의 대부분이 IT장비에 도달하지 않고 그대로 CRAC/H 유닛으로 돌아갈 때 발생한다. 이 경우의
적정한 정격 용량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냉각요구 사항이 CRAC/H 유닛의 냉각능력을 초과 할 수도 있다. 또한 IT장비에서 발열을 제거한
고온의 공기가 다시 유입되는 재순환 (re-circulation) 현상으로 서버의 내부 온도가 증가하여 오류가 발생할 위험이 커진다. Fig. 3(b)의 구역단위 공조방식의 경우, CRAC/H 유닛은 일부의 랙-서버 열을 대상으로 전용 공조시스템을 구성한다. CRAC/H 유닛은 랙-서버 사이 또는
천장에 설치 가능하다. 기존의 방식인 공간단위 공조방식보다 공기분배 통로를 짧고 명확하게 정해져 있다. 또한 공기분배 흐름을 예측하기 용이하여 CRAC/H
유닛의 정격 용량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어 더 높은 전력 밀도에 대응 가능하다. 구역단위 공조방식은 냉각성능 외에도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공조공기
이동 경로를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CRAC/H 유닛의 팬 소비동력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데이터센터의 공조․냉각 에너지 팬 동력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며, 공간단위 공조방식은 데이터센터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아직 설치되지 않은 IT기기까지 고려하여 큰 용량의 CRAC/H 유닛이 운전되기 때문에
비효율성이 커진다. Fig. 3(c)와 같이, IT장비단위 공조방식의 CRAC/H 유닛은 IT장비와 일체화되며 랙-서버 전용으로 직접 설치된다. IT장비 기반 공기분배 경로는 공간 또는
구역단위 공조와 비교하여 더 짧고 정확하게 정의되므로 기류순환은 랙-서버 설치, 변경 또는 배치의 제약조건에 완전히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CRAC/H 유닛의 모든 정격용량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고, 초고도 전력 밀도(최대 50 kW/rack)에 대응 가능하다. IT장비단위 설계를 통해
블레이드 서버, 통신장비 등 높은 전력밀도의 특성을 갖는 랙-서버의 실제 필요 냉각용량과 예비장비를 지정할 수 있다. N+1 또는 2N 이중화는 특정
랙-서버를 대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구역단위 또는 공간단위에서만 지정할 수 있는 것보다 효율적이지만 공조․냉각장비의
수량이 증가하여 비용에 대한 문제가 매우 큰 단점이다.
2.3 데이터센터 CRAC/H 유닛 형식 구분
CRAC/H 유닛은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일정하게 필요로 하는 IT서버룸에 설치되어 냉각, 가습, 가열, 재열, 제습, 공기청정 및 공기순환 등의
기능으로 외부 기후조건에 관계없이 실내의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다. 전통적인 공간단위 CRAC/H 유닛은 급기(SA) 및 환기(RA)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4가지 형식으로 구분된다.(10) Fig. 4(a), Fig. 4(b)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급기하는 상향식 유닛과 Fig. 4(c), Fig. 4(d)의 이중마루 하부방향으로 급기하는 하향식 유닛으로 나뉜다. 세부적으로 급기에 덕트를 연결하는 덕트연결 상향식 유닛과 환기에 덕트를 연계하는 덕트연결
하향식 유닛이 있다. 구역단위 CRAC/H 유닛은 Fig. 4(e), Fig. 4(f)와 같이, 랙-서버 사이에 (in-row) 설치하는 바닥 상치형 유닛과 cold 또는 hot aisle 상부에 설치하는 천정형 유닛으로 대표된다.(9)
3. 데이터센터 공조·냉각장비 성능기준 및 시험방법 조사
일반적으로 데이터센터는 IT장비의 보호를 위한 적정 환경유지를 위해서 항온항습을 유지한다. 따라서 목표로 하는 IT환경 조건을 먼저 확인하고, 이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CRAC/H 유닛의 적정 용량 및 정확한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 향후 운영단계에서 데이터센터의 안정성과 에너지효율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Fig. 4 The basic type of room-based CRAC/H units(a~d)(10) and row-based CRAC/H units(e~f).(9)
Table 1. ASHRAE data center thermal guidelines for IT environment(11)
|
|
Equipment Environmental Specifications for Air Cooling
|
|
|
Product Operations
|
Product Power Off
|
|
Class
|
Dry-bulb
temperature
|
Humidity range
(non-condensing)
|
Maximum
dew-point
|
Maximum
elevation
|
Maximum
temperature change
|
Dry-bulb
temperature
|
Relative
humidity
|
Recommended
|
A1~A4
|
18~27℃
|
-9~15℃(DP)
and 60%(RH)
|
|
|
|
|
|
Allowable
|
A1
|
15~32℃
|
-12~17℃(DP)
and 8~80%(RH)
|
17℃
|
3,050 m
|
5/20℃/hr
|
5~45℃
|
8~80%
|
|
A2
|
10~35℃
|
-12~21℃(DP)
and 8~80%(RH)
|
21℃
|
3,050 m
|
5/20℃/hr
|
5~45℃
|
8~80%
|
|
A3
|
5~40℃
|
-12~24℃(DP)
and 8~85%(RH)
|
24℃
|
3,050 m
|
5/20℃/hr
|
5~45℃
|
8~80%
|
|
A4
|
5~45℃
|
-12~24℃(DP)
and 8~90%(RH)
|
24℃
|
3,050 m
|
5/20℃/hr
|
5~45℃
|
8~80%
|
|
B
|
5~35℃
|
~28℃(DP)
and 8~80%(RH)
|
28℃
|
3,050 m
|
N/A
|
5~45℃
|
8~80%
|
|
C
|
5~40℃
|
~28℃(DP)
and 8~80%(RH)
|
28℃
|
3,050 m
|
N/A
|
5~45℃
|
8~80%
|
3.1 데이터센터 IT장비 환경조건
특정 IT운영 환경등급을 유지하려면 정상적인 조건을 기준으로 허용되는 환경 범위에서 전체 장비가 작동
해야한다. Table 1은 ASHRAE TC9.9에서 제시하는 환경등급에 따른 데이터센터 IT장비의 운전조건을 제시하고 있다.(11) 첫째, IT장비가 정상적인 상황에서 권장되는(recommended) 환경범위 내의 운전조건을 유지하도록 하는 신뢰성 범위가 있다. 둘째, IT장비
제조업체가 허용되는(allowable) 환경범위 내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장비를 테스트하는 조건인 IT장비의 물리적 범위가 있다.
A1은 일반적으로 엄격하게 IT운영 환경요소(이슬점, 온도 및 상대습도)를 관리하고 무중단 운전(mission-critical operations)을
위해 설계된 유형의 제품은 서버-랙 및 스토리지로 구성된 IT서버룸에 해당된다. A2~A4는 IT운영 환경요소를 일부 제어하는 IT공간
으로 해당 조건으로 설계된 유형의 제품은 볼륨 서버, 스토리지, 개인용 컴퓨터 및 워크스테이션으로 구성된 공간이다. B와 C는 사무실이나 공장에 해당되기
때문에 데이터센터의 CRAC/H 유닛 기준에 고려대상은 아니다. 데이터센터는 대부분 A1에 해당되고 권장기준에 따라서 IT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CRAC/H 유닛의 성능평가도 이 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3.2 국내 데이터센터 공조·냉각장비 성능시험 방법 및 기준
국내의 데이터센터 CRAC/H 유닛에 부합하는 시험방법 및 기준은 아직까지는 없는 현실이다. 유사 품목은 국가기술표준(KS)의 덕트없는 에어컨과 열펌프(KS
B ISO 5151), 에어컨디셔너(KS C 9306)와 단체표준인 항온항습기(SPS-KARSE B 0001-164) 성능시험 및 평가기준이 있다.
그러나 해당 표준은 데이터센터의 IT환경 및 운영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필요시 기준의 변경이 필요한 상황이다.
3.2.1. 덕트없는 에어컨과 열펌프 성능시험 및 평가기준(12)
해당표준의 적용범위는 공랭식 응축기를 이용한 덕트 없는 에어컨과 열펌프의 공조․냉각기기이며 25 Pa 미만의 외부정압에서 작동하고 8 kW 미만인
덕트 유닛에 적용된다. 냉방과 난방시험으로 최대용량, 최소용량 및 응축수제어 등의 성능을 평가한다. 기기용량은 공조․냉각기기의 운영특성을 반영하는
시험항목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데이터센터는 항시 냉방 중심으로 운영이 되기 때문에 냉방 시험조건을 보면 Table 2와 같다. 기준등급조건을 표준, 저온 및 고온기후대로 구분하고 실내․외 시험조건으로 성능시험을 한다. 시험방법은 정상상태에 도달한 상태에서 전부하
작동 상태로 측정하고, 정상상태 판단기준은 10분 간격으로 측정한 값이 이전 30분 동안 측정한 평균의 변동값 2% 이내여야 한다. 총 시험시간은
1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Table 2. Standard rating conditions of non-ducted air conditioners and heat pumps(KS
B ISO 5151)(12)
Test condition of
|
Maximum cooling
|
Minimum cooling
|
condensate
water control
|
T1
|
T2
|
T3
|
T1, T3
|
T2
|
Indoor air
|
Dry-bulb temperature
Wet-bulb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
32℃
23℃
(47%)
|
27℃
19℃
(47%)
|
32℃
13℃
(47%)
|
21℃
15℃
(53%)
|
21℃
15℃
(53%)
|
27℃
24℃
(78%)
|
Outdoor air
|
Dry-bulb temperature
Wet-bulb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
43℃
26℃
(26%)
|
35℃
24℃
(40%)
|
52℃
31℃
(23%)
|
21℃
-
-
|
10℃
-
-
|
27℃
24℃
(78%)
|
Climate zone : moderate-climate(T1), cool-climate(T2) and hot-climate(T3)
|
Table 3. Standard rating conditions of conditioners(KS C 9306)(13)
Test condition of
|
Indoor air temperature
|
Outdoor air temperature
|
Supply water temperature
|
Air-cooled system
|
Water-cooled
(A/C)
|
Water-cooled
(Heat Pump)
|
Dry-bulb
|
Wet-bulb(RH)
|
Dry-bulb
|
Wet-bulb(RH)
|
Entering
|
Leaving
|
Entering
|
Leaving
|
Cooling
operations
|
Standard
Low-temperature
Low-humidity
Cyclic
Over-load
Icing at low-temp.
Condensation
|
27℃
27℃
27℃
27℃
32℃
21℃
27℃
|
19℃(47%)
19℃(47%)
15℃(26%)
15℃(26%)
23℃(47%)
15℃(53%)
24℃(78%)
|
35℃
29℃
29℃
29℃
43℃
21℃
27℃
|
24℃(40%)
19℃(39%)
15℃(20%)
15℃(20%)
26℃(25%)
15℃(53%)
24℃(78%)
|
30℃
-
-
-
34℃
-
-
|
35℃
-
-
-
-
21℃
-
|
18℃
-
-
-
24℃
-
-
|
29℃
-
-
-
-
27℃
-
|
3.2.2. 에어컨디셔너 성능시험 및 평가기준(13)
해당표준의 적용범위는 실내의 쾌적한 공기 조화를 목적으로 하여 냉․난방 제급 및 공기의 순환과 정화를 하는 에어컨디셔너 중 일체형인 것 또는 분리형인
것으로, 정격 냉방 소비전력이 13,000 W 이하이고 정격 냉방능력이 35,000 W 이하인 제품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냉방 시험조건을 보면
Table 3과 같다. 시험 항목은 냉방장치의 능력, 소비전력, 정압, 전기적 시험 등이고 시험방법은 냉방능력이 최대가 되는 상태로 운전하여 1시간동안 10분
간격으로 6회 측정(데이터 측정 및 취득간격은 10초 이내)하고 정상상태 판단기준은 10분 간격으로 측정한 값이 이전 30분동안 측정한 평균의 변동값
2% 이내로 한다.
3.2.3. 항온항습기 성능시험 및 평가기준(14)
해당표준의 적용범위는 실내 환경 조건을 일정한 온도 및 습도로 유지시켜 주는 항온항습기 중 정격 냉방 능력이 6 kW 이상 35 kW 이하인 제품에
해당한다. 시험방법은 Table 4의 시험조건에서 총 35분, 5분간 7회 취득한 데이터를 근거로 성능평가를 한다.
Table 4. Standard rating conditions of precision air conditioning units(SPS-KARSE
B 0001-164)(14)
Test condition of
|
Cooling
|
Heating
|
Dry-bulb temperature
|
Wet-bulb temperature
|
Dry-bulb temperature
|
Wet-bulb temperature
|
Indoor air temperature
|
27±0.3℃
|
19±0.2℃
|
20±0.5℃
|
15±0.5℃
|
Outdoor air temperature
|
35±0.3℃
|
24±0.2℃
|
-
|
-
|
3.3 해외 데이터센터 공조·냉각장비 성능시험 방법 및 기준
해외의 데이터센터 공조․냉각장비 시험방법 및 기준은 IT환경을 고려한 CRAC/H 유닛 유형의 정격용량의 성능과 효율을 평가하는 표준이 마련되어 있다.
대표적인 표준은 ANSI/ASHRAE Standard 127과 AHRI Standard 1361이 해당된다.
3.3.1. ANSI/ASHRAE Standard 127-2012 성능시험 및 평가기준(10)
해당표준의 적용범위는 앞에서 분류한 데이터센터 공조․냉각장비의 유형인 직팽식, 중앙냉수식의 CDPR (computer and data processing
room unitary air conditioner), 중앙냉수식의 CRAH 유닛 및 공랭식(직팽식), 수냉식, 글리콜식의 CRAC 유닛을 모두 포함한다.
Table 5는 데이터센터 CRAC/H 유닛의 유형별 정격냉방, 재열, 가습 및 제습의 시험조건을 보여주고 있다. Class 1~4는 IT운영조건을 구분한 것인데
다양한 조건에서 대응 가능 하도록 단계별로 조건을 제시하였고 원칙적으로는 모든 조건에서 시험을 해야 한다. CRAC/H의 실내유닛은 풍량기준에 따라서
Class 1, 2는 289 CMH/kW 이하, Class 3, 4는 221 CMH/kW 이하만 적용가능하다. Test A는 표준기준이 되며, Test
B~D는 지역별 외기온도를 반영한 가중치를 이용하여 효율을 평가하는데 사용된다. 보편적인 성능시험은 Test A를 기준으로 하면 무관하다.
Table 5. Standard rating conditions of computer and data processing room unitary air
conditioners(ASHRAE)(10)
|
|
Application
classes
|
Rated cooling
|
Test A
|
Test B
|
Test C
|
Test D
|
Air temperature surrounding indoor part of unit
(control is on return temperature)
|
Return dry-bulb temperature
|
Class 1
Class 2
Class 3
Class 4
|
23.9℃
29.4℃
35.0℃
40.5℃
|
23.9℃
29.4℃
35.0℃
40.5℃
|
23.9℃
29.4℃
35.0℃
40.5℃
|
23.9℃
29.4℃
35.0℃
40.5℃
|
Return dew-point temperature
|
|
11.1℃
|
11.1℃
|
11.1℃
|
11.1℃
|
Air-cooled units : temperature surrounding remote air-cooled condenser
|
Dry-bulb temperature
|
|
35.0℃
|
26.7℃
|
18.3℃
|
4.4℃
|
Evaporative-cooled units (connected to cooling tower)
|
Entering water temperature
|
|
28.3℃
|
21.1℃
|
12.8℃
|
1.7℃
|
Leaving water temperature
|
|
35.0℃
|
|
|
|
Fluid flow rate
|
|
|
Max =
Test A
|
Max =
Test A
|
Max =
Test A
|
Glycol-cooled units
(connected to a common glycol loop with a solution of 40% propylene glycol by volume)
|
Entering glycol temperature
|
|
40.0℃
|
29.4℃
|
18.3℃
|
1.7℃
|
Leaving glycol temperature
|
|
46.0℃
|
|
|
|
Fluid flow rate
|
|
|
Max =
Test A
|
Max =
Test A
|
Max =
Test A
|
Chilled-water air-handling units
|
Entering water temperature
|
|
|
|
10.0℃
|
|
Leaving water temperature
|
|
|
|
16.7℃
|
|
Reheating
|
|
Base Rating
|
|
|
|
All units
|
Return dry-bulb temperature
|
23.9℃
|
Steam reheat units
|
Entering steam supply conditions
|
100 kPag(14.5 psig) and 121℃
|
Hot-water reheat units
|
Water temperature entering unit
|
80.0℃
|
Water temperature leaving unit
|
70.0℃
|
Humidification/Dehumidification
|
Humidification
|
Dehumidification
|
All units
|
Return dry-bulb temperature
|
29.4℃
|
29.4℃
|
Return dew-point temperature
|
5.5℃
|
15.0℃
|
Return relative humidity
|
|
60%
|
Steam humidifier units
|
Entering steam supply conditions
|
19 kPag(2.76 psig)
and 105℃
|
|
Table 6. Standard rating conditions of computer and data processing room air conditioners(AHRI)(15)
|
Mounting location
|
Standard model
|
Cooling
|
Humidification
|
Dry-bulb temp.
|
Dew-point temp.
|
Dry-bulb temp.
|
Dew-point temp.
|
Indoor return air
temperature
|
Ceiling mounted unit
|
Ducted
Non-ducted
|
24.0℃
24.0℃
|
11.0℃
11.0℃
|
24.0℃
24.0℃
|
5.6℃
5.6℃
|
Floor mounted unit
|
Up-flow(non-ducted)
Up-flow(ducted)
Down-flow
Horizontal-flow
|
29.5℃
29.5℃
29.5℃
35.0℃
|
11.0℃
11.0℃
11.0℃
11.0℃
|
24.0℃
24.0℃
24.0℃
24.0℃
|
5.6℃
5.6℃
5.6℃
5.6℃
|
|
System type
|
Fluid condition
|
Test condition
|
Heat rejection
/cooling fluid
|
Air-cooled units(DX)
|
Entering outdoor ambient dry-bulb temp.
|
35.0℃
|
Water-cooled units(w/cooling tower)
|
Entering water temperature
Leaving water temperature
Water flow rate
|
28.5℃
35.0℃
N/A
|
Glycol-cooled units(glycol loop)
|
Entering glycol temperature
Leaving glycol temperature
Glycol flow rate
Glycol solution concentration
|
40.0℃
46.0℃
N/A
40% propylene glycol by volume
|
Chilled-water units(chilled water loop)
|
Entering water temperature
Leaving water temperature
|
10.0℃
16.5℃
|
3.3.2. AHRI Standard 1361-2017 성능시험 및 평가기준(15)
해당표준은 Table 6과 같이 CRAC/H 유닛의 유형별 적용대상은 ANSI/ASHRAE Standard 127과 유사하다. 그러나 CRAC/H 실내유닛을 천정형과 바닥상치형으로
구분하고 공기의 토출방향과 IT장비와의 설치위치 근접성을 고려하여 환기온도 제어조건을 세부화 하였다.
4. 데이터센터 CRAC/H 유닛 성능기준 및 시험방법 제시
국내의 데이터센터 공조․냉각장비 시험방법 및 기준은 IT환경의 특성이 반영된 표준은 아직까지는 없다. 따라서 해외의 해당 표준을 검토하여 국내의
시험방법 및 기준에 반영하는 것인 필요하다. 본 장에서는 데이터센터의 적용 가능한 CRAC/H 유닛 분류 및 시험조건을 국내의 공조․냉각장비의 성능평가
기준에 부합하도록 적용하고, 이를 사용하여 실제 개발 중인 CRAC/H 유닛의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4.1 IT환경 조건을 고려한 CRAC/H 유닛 성능시험 방법 및 기준
Table 7과 Table 8은 국외의 데이터센터 전용 CRAC/H 유닛에 적용되는 특화된 시험조건과 국내의 공조․냉각 시스템의 시험기준을 검토하여 합리적인 성능평가를 위한 대안조건을
제시하였다.
Table 7의 CRAC/H 실내 유닛의 경우, 해외표준은 실내에서 장비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기준으로 하고 국내표준은 대상 유닛이 설치되는 실내온도를 기준으로
한다. 결론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습도관련 사항은 해외의 경우, 이슬점온도를 기준으로 하고 국내는 습구온도(상대습도)를 기준으로 한다.
냉방능력에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는 CRAC/H 유닛의 인입온도 조건은 세분화 되어 있기 때문에 5단계로 구분하여 건구온도는 최저 24.0℃에서 최대
40.5℃로 기기의 유형별로 다양성을 부여 하였고, 이슬점온도는 11.0℃로 설정 값을 단일화 했다. Table 8의 냉각기 열원조건은 적용 가능한 모든 유형인 공랭식, 수냉식, 글리콜식의 CRAC 유닛과 중앙냉수식의 CRAH 유닛을 모두 포함하였다. 국내기준은
공랭식과 수냉식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해외기준과 유사사항을 그대로 반영하되 공랭식 CRAC 유닛의 조건에는 외부 습구온도 조건을 추가하였다. 이외,
글리콜식과 중앙냉수식의 경우, 해외 표준인 ASHRAE와 AHRI는 동일하여 본 해당 조건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시험조건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Table 7. Alternative conditions of indoor (return) air temperature standard rating
for CRAC/H units
Indoor
conditions
|
ASHRAE STD-127
|
AHRI STD-1361
|
KS B ISO
5151
|
KS C
9306
|
SPS-KARSE B 0001-164
|
Alternative
conditions
|
Test A
|
Standard model
|
Return dry-bulb
temperature
|
23.9℃(Class 1)
29.4℃(Class 2)
35.0℃(Class 3)
40.5℃(Class 4)
|
24.0℃(Ceiling mounted unit)
29.5℃(Up-flow floor mounted unit)
29.5℃(Down-flow floor mounted unit)
35.0℃(Horizontal-flow floor mounted unit)
|
32.0℃(T1)
|
27.0℃
(Standard)
|
27±0.3℃
|
24.0℃(Low)
27.0℃(Mid-low)
32.0℃(Mid)
35.0℃(Mid-high)
40.5℃(High)
|
Return dew-point
temperature
|
11.1℃(Class 1~4)
|
11.0℃ (All units)
|
(9.2℃)
|
(14.7℃)
|
|
11.0℃(All units)
|
Wet-bulb temperature
|
|
|
23.0℃
|
19.0℃
|
19±0.2℃
|
|
Table 8. Alternative conditions of heat rejection/cooling fluid standard rating conditions
for CRAC/H units
System type
|
ASHRAE
STD-127
|
AHRI
STD-1361
|
KS B ISO
5151
|
KS C
9306
|
SPS-KARSE B 0001-164
|
Alternative
conditions
|
1. Air-cooled units(DX)
|
Entering outdoor ambient
dry-bulb temperature
|
35.0℃
|
35.0℃
|
43.0℃
|
35.0℃
|
35.0±0.3℃
|
35.0℃
|
Wet-bulb temperature
|
-
|
-
|
26.0℃(26%)
|
24.0℃(40%)
|
24.0±0.2℃
|
24.0℃(40%)
|
2. Water-cooled units(w/cooling tower)
|
Entering water temperature
|
28.3℃
|
28.5℃
|
|
30℃
|
|
28.3℃
|
Leaving water temperature
|
35.0℃
|
35.0℃
|
|
35℃
|
|
35.0℃
|
Water flow rate
|
-
|
N/A
|
|
N/A
|
|
-
|
3. Glycol-cooled units(glycol loop)
|
Entering glycol temperature
|
40.0℃
|
40.0℃
|
|
|
|
40.0℃
|
Leaving glycol temperature
|
46.0℃
|
46.0℃
|
|
|
|
46.0℃
|
Glycol flow rate
|
-
|
N/A
|
|
|
|
-
|
4. Chilled-water units(chilled water loop)
|
Entering water temperature
|
10.0℃
|
10.0℃
|
|
|
|
10.0℃
|
Leaving water temperature
|
16.7℃
|
16.5℃
|
|
|
|
16.5℃
|
4.2 CRAC/H 유닛 성능시험 적용사례
IT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국내의 실정에 맞게 제시한 CRAC/H 유닛 성능시험 방법 및 기준을 바탕으로 신규 CRAC 실내유닛, 냉매분배기, 냉동기로
구성된 데이터센터 공조․냉각 장비의 시작품을 냉각능력 칼로리미터 성능시험을 진행하였다.
4.2.1 공조․냉각장비 성능평가 시험장비 개요
Table 9는 데이터센터 공조·냉각장비의 성능평가를 실시한 시험장치의 사양을 보여준다. 냉방성능 평가를 위한 핵심 인프라인 칼로리미터는 냉방 최대용량 30 kW,
측정 최대풍량 100 m3/min의 풍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대 순환유량은 150 L/min 및 냉수온도 3~60℃의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시험
장비를 이용하여 IT환경에 부합하는 데이터센터 서버룸의 환경조건을 모사하였고 CRAC 유닛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습도, 풍량을 측정하고 엔탈피
열량 계산을 통하여 냉방능력을 산출하였다.
Table 9. Specification of performance testing equipment for CRAC/H units
|
Indoor side chamber volume
|
9,000 m(W)×5,000 m(D)×4,000 m(H)
|
Outdoor side chamber volume
|
5,500 m(W)×5,000 m(D)×4,000 m(H)
|
Cooling capacity
|
Max 30 kW
|
Heating capacity
|
Max 30 kW
|
Chamber temperature range
|
-20~60±0.1℃
|
Air flow measurement range
|
8~100 m3/min
|
Supply water temperature range
|
3~60±0.1℃
|
Water flow measurement range
|
0~150 L/min
|
Fig. 5 A sample CRAC unit package for performance testing.
4.2.2 성능평가 대상 CRAC 유닛 개요
시험평가에 사용한 CRAC 유닛은 S사에서 개발 중인 ①수냉식-공랭식(water & air cooled) 하이브리드 냉각방식의 ②구역단위(row-based)
공조방식을 채택한 ③랙-서버 사이에 설치하는 바닥 상치형(horizontal-flow) 유닛에 해당 한다. Fig. 5는 성능평가 대상 CRAC 유닛의 외형모습을 보여준다.
구역단위 모듈형 CRAC 유닛의 냉각시스템은 응축부하를 물로 공급받는 수냉식 방식이며, 인버터 압축기, 전자식 팽창밸브, 판형 열교환기를 사용한 응축기
및 증발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냉각기에는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해 4개의 압력센서와 2개의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기 전단의 온도 및 압력센서는
압축기의 제어를 담당하고 압축기 후단, 응축기 후단, 증발기 전단의 압력 및 온도센서는 냉각기의 운전조건을 모너티링 하여 최적의 운전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컨트롤러의 제어로직은 냉각기의 안정적인 운전을 최우선 으로 설정하였으며, 저온 및 고온방지 로직, 냉동급유의 부족을 대비한 가속운전
모드 등을 입력하였다. 컨트롤러와 인버터를 연동하여 부하변화에 유기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소비되는 전력량을 저감 시켰다. 냉각기는 기본적으로
실내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여 제작되었으며, 냉각기에 공급되는 응축수 배관과 냉매 분배기로 공급하는 냉각수 라인은 캡록 방식을 선택하여 냉동기의 현장
설치 시 효율 증진 및 고압에서의 누설을 막아 안전성을 증진하였다. 성능시험은 5.0 kW와 15 kW의 두 가지 프로토타입으로 진행하였다.
4.2.3 CRAC 유닛 성능평가 방법 및 결과
시험 CRAC 유닛 및 시험장치는 Fig. 6과 같이 구성되었다. 시험방법은 냉각기와 냉매분배기, CRAC 유닛을 충분히 단열된 플랙시블 호스를 사용하여 연결하였으며, 냉동기와 냉매분배기의 순환
사이클에 수열원용 펌프와 유량계를 설치하여 응축수의 입출구 온도차에 따라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IT환경을 모사한 실내측 챔버의 공기온도는
구역단위 공조방식을 감안하여 부하의 대응성을 고려하여 CRAC 실내유닛 인입온도 (실내온도)를 최대 기준인 40.5℃로 설정하였다.
제안한 수냉식 시스템의 조건에 근거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의 입구온도는 28.3℃, 그리고 실내의 부하를 제거하고 냉각기로 돌아가는 출구온도를 35℃가
되도록 냉각수 유량을 조절하였다. Table 10에 명시하고 있는 성능평가 시험조건에서의 수냉식 CRAC 유닛의 냉각용량의 산출은 식(1)과 같다. Table 11은 IT환경을 반영한 시험조건으로 2개의 프로토타입의 CRAC 유닛의 냉방성능을 평가한 결과이다. 먼저, 냉각수 순환계통과 실내측의 공기 순환계통의
열적평형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성능시험 결과는 해당 프로토타입 모두, 냉각기의 냉각수 순환 입구와 출구 온도가 각각 28.3℃와 25.0℃에
매우 유사한 정확도를 보였고 실내 부하를 제거하기 위한 조건인 CRAC 유닛 환기온도도 설정온도 40.5℃ 근접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습도계통에는
약간의 오차(Table 11의 remark)를 보였지만 냉방능력을 산정하는 사항은 큰 문제가 없었다. 실험대상 CRAC 유닛은 그 사용 목적에 맞는 IT환경을 반영한 운영조건에서
실제로 얻고자 하는 냉방능력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국내의 시험기준은 정상상태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실험조건에 대한 정상상태
만족여부를 평균의 변동률로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Configuration of testing equipment and performance test method of CRAC units.
Table 10. Application of coverage conditions for the performance test of CRAC units
Indoor conditions
|
Heat rejection rating conditions
|
|
Return dry-bulb temp.
|
Entering water temp.
|
Leaving water temp.
|
Water flow rate
|
40.5℃
|
28.3℃
|
35.0℃
|
ΔT = 6.7
|
Table 11. Results of capacity test for of CRAC units
|
Rating contents standard rating conditions
|
Test results
|
Remark
|
Prototype #1 [5 kW]
|
Prototype #2 [15 kW]
|
Standard cooling
system capacity
|
Rated cooling capacity
Sensible heat capacity
Latent heat capacity
|
Result
Result
Result
|
5.5 kW
5.1 kW
0.4 kW
|
17.0 kW
15.8 kW
1.2 kW
|
○
○
○
|
Air-side conditions
(surrounding indoor
part of unit)
|
Return dry-bulb temp.
Return wet-bulb temp.
Return relative humidity
Supply dry-bulb temp.
Supply wet-bulb temp.
Supply relative humidity
Air flow rate
|
40.5℃
21.5℃
17.3 %
Result
Result
Result
Result
|
40.44 ℃
23.97 ℃
25.13 %
29.34 ℃
20.58 ℃
45.10 %
1372.8 m3/h
|
40.44 ℃
24.05 ℃
25.36 %
28.83 ℃
20.50 ℃
46.86 %
4103.4 m3/h
|
○
△
△
○
○
○
○
|
Water-side conditions
(heat rejection
& cooling fluid)
|
Entering water temperature
Leaving water temperature
Water flow rate
|
28.3℃
35.0℃
Result
|
28.21 ℃
35.32 ℃
15.6 L/min
|
28.26 ℃
35.10 ℃
39.0 L/min
|
○
○
○
|
5. 토의 및 결론
데이터센터 운영․서비스 중심의 국내시장 특성 및 해외 기술과의 격차에 따른 새로운 데이터센터 관련 IT환경 지속가능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센터
환경에 맞는 냉각시스템의 성능기준이 명확하게 제시
되어야 한다. 신산업 동력인 IT기술의 구현을 위한 중요한 데이터센터의 상호 연계된 종합적인 냉각 솔루션의 성능평가와 시험기준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용 데이터센터 냉방기기인 CRAC/H 유닛의 성능 평가, 에너지효율 등 시험평가를 위한 체계적인 공조․냉각시스템 유형분류, 국․내외 표준
및 시험방법을 분석하여 실질적인 데이터센터 IT환경유지에 부합한 시험기준 및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데이터센터의 적정 IT환경을 유지하고 IT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실외로 전달하는 냉각방식은 ①공랭식, ②수냉식, ③글리콜식을 사용하는
CRAC 유닛과, 중앙열원에서 생산된 냉수를 이용하는 ④중앙
냉수식 CRAH 유닛의 4가지 방식으로 구분되고 가장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방식이다.
(2) 데이터센터 공조(공기분배)방식은 IT서버룸 전체를 제어하는 ①공단단위 공조방식, 랙-서버가 배열된 일부의 구역을 담당하는 ②구역단위 공조방식,
마지막으로 개별 랙-서버에 대응하는 ③IT장비단위 공조방식의 3가지 방식으로 구분되고, IT장비의 집적도가 높아지면서 구역단위 및 IT장비단위 공조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3) CRAC/H 유닛의 유형은 설치위치에 따라 ①상치형과 ②천정형으로 구분되고 다시 급기(SA) 및 환기(RA)에 따라서 상향식, 하향식, 수평식으로
분류된다. 더 세부적으로는 덕트형과 무덕트형으로 나뉜다.
(4) 국내의 공조․냉각시스템 성능평가 기술표준은 덕트없는 에어컨과 열펌프(KS B ISO 5151), 에어컨디셔너
(KS C 9306) 및 항온항습기(SPS-KARSE B 0001-164) 등 유사 품목이 있으나, IT환경 및 운영특성을 반영한 데이터센터 CRAC/H
유닛에 부합하는 시험방법 및 기준은 아직까지는 없다.
(5) 해외는 ANSI/ASHRAE Standard 127과 AHRI Standard 1361 등 IT환경을 고려한 공조․냉각 방식의 구분 및 모든
CRAC/H 유닛 유형을 포함하는 기술표준이 있다.
(6) 국외의 데이터센터 전용 CRAC/H 유닛에 적용되는 특화된 시험조건과 국내의 공조․냉각 시스템의 시험
기준을 검토하여 합리적인 성능평가를 위한 대안조건을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실험대상 CRAC 유닛은 그 사용 목적에 맞는 IT환경을 반영한 운영조건에서
실제로 얻고자 하는 냉방능력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국내 IT기술과 이를 구현하는 데이터센터 건설 엔지니어링 기술은 양적, 질적으로 세계적인 수준이다. 그러나 실질적인 운영단계 공조․냉각성능을 확보를
위한 데이터센터에 특수성이 반영된 장비의 성능평가 시험 및 기준이 미흡했다. 향후 국가표준과 연계하여 성능평가를 위한 시험절차를 보다 구체화함으로써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후 기
본 논문은 2020년도 산업통상자원부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과제 결과의 일부임(과제번호 : 20182010600010).
References
Hwang H., 2018, Global Data Center Industry Trends, ICT & Media Policy of KISDI, Vol.
30, No. 20, pp. 8-16
Barnett T., Jain S., Sumits A., Andra U., Khurana T., 2016, Cisco Global Cloud Index
2015-2020, Cisco Knowledge Network(CKN) Session
Gartner Research , 2018, Forecast : Data Centers, Worldwide, 2015-2022, 2018 Update
R. Rake, S. Baul, 2018, Data Center Cooling Market Outlook : 2025, Allied Market Research
Cho J., Lim T., Kim B.S., 2009, Measurements and predictions of the air distribution
systems in high compute density(Internet) data centers, Energy and Buildings, Vol.
41, No. 10, pp. 1107-1115
Cho J., Park B., Jeong Y., Kim Y., Woo J., 2019, Experimental study on data center
cooling system for improving thermal performance : Comparing with room-based cooling
and row-based cool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31, No. 1, pp. 32-44
Evans T., 2012, The Different Technologies for Cooling Data Centers, White paper #59
Rev.02, Vol. schneider electric’s data center science center
Cho J., Kim B. S., 2008, The Cooling and Air Distribution Systems for the Optimal
IT Environment Control in the(Internet) Data Center,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and Design, Vol. 24, No. 2, pp. 313-320
Dunlap K., Rasmussen N., 2012, Choosing Between Room, Row, and Rack-based Cooling
for Data Centers, White paper #130, Schneider Electric’s Data Center Science Center
ASHRAE , 2012, ANSI/ASHRAE Standard 127-2012; Method of Testing for Rating Computer
and Data Processing Room Unitary Air Conditioners, American Society of Heating, Atlanta,
GA
ASHRAE TC 9.9 , 2015, Thermal Guideline for Data Processing Environments,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Atlanta, GA.
KSA , 2018, KS B ISO 5151:2018; Non-ducted air conditioners and heat pumps-Testing
and rating for performanc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A , 2017, KS C 9306:2017; Air conditioners-Testing and rating for performanc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ARSE , 2014, SPS-KARSE B 0001-164:2014; Testing Methods fo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Air Conditioner, Korean Association of Air Conditioning Refrigeration
and Sanitary Engineers
AHRI , 2017, AHRI Standard 1361:2017; Performance Rating of Computer and Data Processing
Room Air Conditioners, Air-Conditioning, Heating and Refrigeration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