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사)한국패시브건축협회 주임연구원 ( Assistant Research Engineer, Passive House Institute Korea, Seoul, 05520, Korea )
  2. (사)한국패시브건축협회 선임연구원 ( Research Engineer, Passive House Institute Korea, Seoul, 05520, Korea )
  3. (사)한국패시브건축협회 수석연구원 ( Chief Research Engineer, Passive House Institute Korea, Seoul, 05520, Korea )



Residential building(주거용 건축물), TAB(시험조정평가), Energy performance(에너지성능), Indoor air quality(실내공기질), Ventilation unit(환기장치)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주거환경이란 주택의 입지와 더불어 거주자와의 상호관계로서 형성된 정신적, 물리적 생활영역으로서, 개인 및 가족의 일상생활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가치와 기대행동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주거는 하나의 복합적 현상으로서, 사회․문화․의식․경제적 요소들의 상호작용의 변화와 차이에 따라 달라지고, 은신처 제공이라는 소극적인 목적과 인간의 생활에 가장 적합한 환경인 공간의 사회적 단위를 창조한다는 적극적인 목적을 담고 있다.(1)

주거환경 요소 중에서도 실내공기의 쾌적성은 거주자의 삶의 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2) 쾌적한 실내공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설비 분야 중에서도 공조기술이 주목받게 되었으며, 공기조화설비의 시험․조정․평가(Testing, Adjusting and Balancing, 이하 TAB)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TAB는 환기 설계에 부합하고 적합한 쾌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에너지이용을 효율적으로 유도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사전에 최소화할 수 있는 일련의 작업과정을 뜻한다. 최근 미세먼지를 비롯한 다양한 외부 대기 환경 문제가 이슈화되면서 주거 공간 내 환기설비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건축물 에너지 절감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G-SEED, 제로에너지건물(NZEB) 등 녹색건축물 구현을 위한 관련 기술개발 및 정책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녹색건축물은 “에너지 소비를 최소함과 동시에 쾌적하고 건강한 거주환경을 제공하는 건축물”이다. 현재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은 주로 에너지 소비에 집중 되어 있어 실내 공기질과 관련된 물리적 환경 요소 및 거주자 쾌적도에 대한 고려는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주거 시장의 경우 건설사의 저가 입찰 경쟁으로 인해 환기설비의 경우 완성도가 낮은 제품이 주로 설치되는 실정이며, 이에 따른 성능 저하가 발생하여, 거주자의 불만 및 하자 분쟁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직까지 환기설비에 대한 관련 규정이 미비한 상황으로 환기 설계 오류, 연결부자재 미사용, 덕트 단열 미비, 배관 끊김/찢어짐, 벽 관통부위 미처리, 양/음압에 대한 하자, 흡음기 미설치, 급기․회기 연결 오류 등 설계․ 시공 단계에서 다양한 하자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1 참조).

또한, 환기설비 자체에서 나타나는 결함을 찾을 수 있는데,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로 인하여 환기설비의 실외공기 유입구에 먼지가 과도하게 침착되어 유입 공기량이 저감되거나, 환기설비 내부 누기로 인해 외부 공기가 필터를 거치지 않고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과 환기장치 내의 오염 등이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선 환기설비 유지관리 및 시공검증 과정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환기설비에 대한 TAB 작업은 이를 검증하기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주거용 건축물을 대상으로 열교환환기장치의 TAB에 관한 실태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환기장치의 계획 풍량에 부합한 풍량을 확보하고, 위생적 측면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음을 확인하며, 급기(Supply Air, 이하 SA)와 회기(Return Air, 이하 RA)의 밸런스를 조정하여, 극단적인 압력차이로 인한 건축물의 하자를 예방 하고자 하였다. 또한, 건축물의 계획단계 성능 대비 TAB 작업 전․후 성능 변화를 분석하여 주거용 건축물에서 TAB의 영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able 1. Defect type of ventilation unit

../../Resources/sarek/KJACR.2020.32.7.323/tbl1.png

1.2 선행연구 고찰

TAB 기술 관련 연구는 TAB 개요, 수행방법 등 기초확립에 중심을 두어 활성화를 강조한 연구(3-6)와 실측을 기반으로 에너지 성능분석을 통해 TAB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연구(7-11) 등 두 가지 양상으로 진행되어 왔다.

Cho et al.(7)은 신축 및 기존 사무소 건물을 대상으로 공기분배계통에 대한 TAB을 실시함으로써 공조기의 송풍량을 적정하게 유지시켜 송풍동력을 절감하고, 이에 따른 냉․난방에너지의 절감효과를 분석하여 장래 건물에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는 동시에 에너지효율 향상을 기할 수 있는 TAB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Kim(3)은 한국종합 무역센터 전시동 공조설비 TAB 수행결과 용역을 논문화하였으며, 물분배계통 및 공기 분배계통의 TAB를 통해 풍량⋅유량의 초기설계값과의 상호비교, 소음의 기준치 적합여부, 기타 분배계통의 문제점 등을 정리하였다.

Kim(4)은 TAB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방지하기 위해 TAB의 배경, 목적, 장비, 수행절차 등을 물 분배계통과 공기 분배계통으로 나누어 자세히 나열하였으며, 예상되는 문제점 및 대책을 설비부문별로 정리하였다.

Kim(5)은 덕트계통에서의 System Effect 문제가 자주 발생함에 따라 설계자 및 시공자들에게 공조 덕트 계통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팬의 성능시험, 팬토출구, 팬흡입구 부분에서 System Effect Factor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토출 및 흡입구 풍속이 낮고 회전수가 느린 큰 사이즈의 팬을 권장하였다.

Park et al.(8)은 공공기관의 TAB사업 발주 자체가 매우 미미함을 지적하며, TAB 사업을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에 공공 건축물 중 TAB 실시업체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TAB 발주에 대한 인식 및 현 실태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제안하였다.

Park(6)은 TAB과 관련이 있는 행정규칙, 시행규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대상건축물 2곳의 TAB 전⋅후 에너지 절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공무원, 공기업, 전문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TAB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Seol(9)은 철도 지하 환승 통로 거실제연설비에 대한 TAB 현장 성능평가 및 분석을 위해 2016년 개통예정인 철도지하환승통로를 대상으로 7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거실제연설비 성능확보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Ko(10)은 제연설비 TAB과 관련하여 연구보고서, 선행논문, 단행본 등의 자료를 검토하고, 제연설비 개요와 관련 기준, TAB 개요 및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거실 및 특별피난계단 부속실의 TAB 적용 사례를 조사 및 정리하여 TAB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Lee(11)은 국내 신축 공동주택에 설치된 환기설비의 성능 모니터링을 위하여 2013년 이후에 완공된 서울 및 수도권 공동주택 단지를 중심으로 19세대를 선정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TAB 실시를 통해 환기성능과 소음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현 상황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TAB 관련 연구 중 실측기반 연구는, TAB 수행 시 분석 표본 수가 2개 이하로 분석된 사례가 대다수이며, 분석 대상은 대규모 건축물(숙박, 업무) 또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실측 대상의 표본 개수를 높여 필드 데이터로서 신뢰도를 높이고, 주거용 건축물을 대상으로 TAB 전․후 에너지성능을 비교분석하여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갖도록 하였다.

1.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환기장치가 설치된 국내 소규모 건축물을 대상으로 TAB를 수행함으로써 대상지별 급기․회기 밸런스 차이에 의한 영향성을 분석하고, TAB 전⋅후 건축물의 성능 변화에 따라 TAB가 건축물 에너지성능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하였다(Fig. 1 참조).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시기적으로 G-SEED, 에너지효율등급, 건강친화형주택 건설기준 등 국내 친환경 인증이 본격화된 2013년 이후에 완공된 건축물 60곳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해당 사례는 환기설비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TAB 수행을 완료한 주거용 건축물이며, 건축물 위치 등 공간적인 제약은 두지 않았다.

또한, TAB는 HVAC(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시스템이 적절히 운전되도록 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시험, 조절, 평가의 행위이나 본 연구에서는 열교환환기장치에 집중하여 물분배 계통은 제외하고 정풍량방식의 공기분배계통 환기장치의 TAB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TAB의 수행방법은 대한설비공학회에서 교육/안내하는 방법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자동제어계통 점검과 소음 측정은 제외하였다(Fig. 2 참조).

Fig. 1 Research process diagram
../../Resources/sarek/KJACR.2020.32.7.323/fig1.png

Fig. 2 TAB performing process diagram
../../Resources/sarek/KJACR.2020.32.7.323/fig2.png

2. TAB 수행결과 및 현황분석

2.1 대상지 개요 및 TAB 수행

2.1.1 대상지 개요

소규모 건축물의 TAB 작업 전․후 건축물 성능영향도 분석을 위해 전국적으로 60개의 건축물을 선정하였 으며 그 해당 건물의 위치와 규모, 구조 그리고 연면적은 Table 1과 같다. 대상지는 지역별로 ‘중부 1 지역’ 03채, ‘중부 2 지역’ 42채, ‘남부지역’ 12채 ‘제주지역’ 03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습식건물은 16채, 건식 건축물 41채, 습식+건식 건축물은 3채이고 평균 연면적은 160 ㎡이다(Table 2 참조).

Table 2. Location, story, structure type and area of target building

No.

Location

Story

Structure Type

Area(m2)

No.

Location

Story

Structure Type

Area(m2)

1

Damyang

F1

Reinforced Concrete

99

31

Cheongdo

F1

Wooden Structure

90

2

Daejeon

F2

Wooden Structure

154

32

Dangjin

F1

Wooden Structure

87

3

Yongin

F2

Steel Structure

154

33

Hosung

F1

Reinforced Concrete

90

4

Yongin

F2

Wooden Structure

165

34

Dae-gu

F2

Reinforced Concrete

223

5

Jeju

F2

Wooden Structure

110

35

Yangyang

F1

Wooden Structure

99

6

Incheon

F2

Wooden Structure

137

36

Incheon

F1

Wooden Structure

99

7

Seong-Nam

F2

Wooden Structure

224

37

Hoengseong

F1

Wooden Structure

97

8

Jeongeup

F2

Wooden Structure

197

38

Geoje

F1

Wooden Structure

81

9

Yeoju

F1

Reinforced Concrete

124

39

Cheongju

F2

Wooden Structure

192

10

Hongseong

F1

Wooden Structure

99

40

Daejeon

F2

RC+Wooden Structure

292

11

Incheon

F2

Wooden Structure

224

41

Jangseong

F2

Reinforced Concrete

153

12

Cheongju

F1

Wooden Structure

132

42

Jeonju

F2

Reinforced Concrete

212

13

Cheongju

F2

Reinforced Concrete

163

43

Pyeongtaek

F1

Wooden Structure

61

14

Cheongju

F2

Reinforced Concrete

163

44

Busan

F3

Reinforced Concrete

156

15

Asan

F1

Wooden Structure

92

45

Gapyeong

F1, Attic

Wooden Structure

109

16

Jeonju

F2

RC+Wooden Structure

199

46

Changnyeong

F1

Wooden Structure

97

17

Sangju

F1, Attic

Wooden Structure

96

47

Sejong

F2

Wooden Structure

200

18

Miryang

F2

Wooden Structure

146

48

Hongseong

F1, Attic

Wooden Structure

86

19

Sejong

F2

Wooden Structure

159

49

Asan

F2

Wooden Structure

133

20

Sejong

F2

Wooden Structure

134

50

Sejong

F1

Wooden Structure

96

21

Incheon

F2

Wooden Structure

231

51

Suncheon

F1

Wooden Structure

135

22

Seong-Nam

F3

RC+Wooden Structure

248

52

Jeju

F1

Wooden Structure

100

23

Hongseong

F1

Wooden Structure

83

53

Jeju

F2

Wooden Structure

145

24

Sungju

F1

Wooden Structure

78

54

Sachun

F1

Wooden Structure

121

25

Incheon

F2

Wooden Structure

247

55

Gunsan

F3

Reinforced Concrete

402

26

Gwangju

B2,F2

Reinforced Concrete

409

56

Sejong

F2

Reinforced Concrete

183

27

Gwangju

F1

Reinforced Concrete

269

57

Seoul

F1, F2

Reinforced Concrete

339

28

Sejong

F2

Wooden Structure

179

58

Goesan

F1

Reinforced Concrete

119

29

Hamyang

F1

Wooden Structure

83

59

Jeongeup

F1

Reinforced Concrete

391

30

Hongseong

F1

Wooden Structure

99

60

Dongducheon

F1, Attic

Wooden Structure

96

2.1.2 TAB수행

TAB 작업은 건축물 용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급기(SA)와 회기(RA) 풍량이 유사한 값이 설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주택의 경우 거시적인 관점에서 건축물 전체에 미세한 양압 설정이 바람직하며 각 실별로는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공간의 경우 음압이 되도록 설계하고 거주자가 오랜 시간 상주하는 공간은 신선한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양압을 만들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실과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공간이 서로 양압과 음압의 구성을 갖추면서 건축물 내부 오염된 공기들이 자연스럽게 상주하는 공간이 아닌 음압의 실(ex. 화장실)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실내 미기후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대상지의 경우 상기의 원리를 반영하여 TAB작업이 완료되었으며 몇몇 세대의 경우 기기 출력 문제, 배관 저항의 문제 등의 이유로 계획 풍량 보다 조금 높거나 낮게 설정된 세대도 있으나 적어도 급기 (SA)와 회기(RA)의 차이는 발생하지 않도록 밸런싱 작업을 완료하였다.

각 실로 유입되는 신선공기(SA)량과 열교환환기장치로 회수되어 배출되는 회기공기(RA)량을 전수 조사하여 TAB작업 전의 토출 풍량을 조사하고 이 결과가 설계풍량과 차이가 있을시 열교환환기장치의 급기(SA) 혹은 회기(RA)팬의 RPM을 조절하여 각 실별로 공급되는 풍량을 설계 풍량에 유사한 값을 가질 수 있도록 반복하였다. 디퓨저 별로 실측되는 풍량은 Table 3의 예시와 같은 장비를 활용하여 각 실명 풍량을 모두 더하여 건축물에 공급되는 풍량을 실측하였고 모든 건물의 급기(SA) 풍량의 합과 회기(RA) 풍량의 합은 Table 4와 같다.

2.2 급기․회기 밸런스

2.2.1 급기․회기 풍량 차이

급기․회기의 밸런스는 급기(SA) 총량과 회기(RA) 총량의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음의 값을 갖게 되면 건물에 음압이 형성되는 것이고 반대의 경우는 양압이 형성된다. 60세대에 대한 TAB 초기 측정값에서는 음압을 갖는 건축물이 29채 양압을 갖는 건축물이 31채로 계측되었다. TAB 작업 전 이 밸런스 차이는 양압 최대 +57 m3/h에서 음압 최대 -99 m3/h까지 나타났다. TAB 작업 이후에는 양압건물이 48채로 전체건물 중 80% 가량이 양압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앞서 서술하였듯 주거 용도의 건축물은 양압이 권장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양압 설정을 하였기 때문이다. TAB 작업 후에는 양압 최대 +16 m3/h에서 음압 최대 -17 m3/h 정도의 밸런스 차이를 보이고 있다(Fig. 3, Table 4 참조).

Table 3. Technical data of air volume measuring equipment & performing figure

../../Resources/sarek/KJACR.2020.32.7.323/tbl3.png

Table 4. Total supply and return air volume(pre/post TAB)

No.

Location

Designed

Air Volume

(m3/h)

Pre TAB(m3/h)

Post TAB(m3/h)

No.

Location

Designed

Air Volume

(m3/h)

Pre TAB(m3/h)

Post TAB(m3/h)

SA

RA

Building

Pressure

SA

RA

Building

Pressure

SA

RA

Building

Pressure

SA

RA

Building

Pressure

1

Damyang

110

126

107

+

112

107

+

31

Cheongdo

120

126

134

-

127

132

-

2

Daejeon

140

196

163

+

141

142

-

32

Dangjin

110

236

200

+

110

100

+

3

Yongin

140

103

133

-

146

145

+

33

Hosung

160

193

246

-

164

158

+

4

Yongin

150

155

136

+

149

144

+

34

Dae-gu

190

215

203

+

215

203

+

5

Jeju

120

171

166

+

130

124

+

35

Yangyang

120

106

124

-

126

124

+

6

Incheon

120

208

232

-

123

118

+

36

Incheon

130

124

113

+

131

121

+

7

Seong-Nam

230

158

161

-

224

238

-

37

Hoengseong

130

137

125

+

133

132

+

8

Jeongeup

160

213

248

-

159

160

-

38

Geoje

120

149

148

+

126

122

+

9

Yeoju

130

119

106

+

133

132

+

39

Cheongju

180

249

225

+

186

181

+

10

Hongseong

120

160

153

+

128

124

+

40

Daejeon

430

442

541

-

433

421

+

11

Incheon

150

190

159

+

156

148

+

41

Jangseong

230

196

190

+

231

222

+

12

Cheongju

150

199

187

+

152

158

-

42

Jeonju

200

207

176

+

206

197

+

13

Cheongju

160

204

189

+

172

174

-

43

Pyeongtaek

120

108

79

+

125

124

+

14

Cheongju

160

196

214

-

175

174

+

44

Busan

140

232

213

+

153

146

+

15

Asan

200

202

170

+

210

194

+

45

Gapyeong

165

151

132

+

173

157

+

16

Jeonju

180

133

154

-

187

180

+

46

Changnyeong

120

186

220

-

132

131

+

17

Sangju

120

175

173

+

132

129

+

47

Sejong

120

160

179

-

131

124

+

18

Miryang

140

162

149

+

143

154

-

48

Hongseong

120

125

124

+

125

117

+

19

Sejong

180

150

169

-

177

184

-

49

Asan

180

197

232

-

187

181

+

20

Sejong

150

135

136

-

153

145

+

50

Sejong

120

128

143

-

125

120

+

21

Incheon

210

186

193

-

212

210

+

51

Suncheon

120

132

124

+

132

124

+

22

Seong-Nam

220

227

212

+

227

212

+

52

Jeju

120

126

177

-

136

126

+

23

Hongseong

140

208

218

-

146

145

+

53

Jeju

130

211

233

-

131

134

-

24

Sungju

90

106

115

-

107

99

+

54

Sachun

140

201

226

-

147

137

+

25

Incheon

160

219

217

+

162

161

+

55

Gunsan

302

238

257

-

302

300

+

26

Gwangju

250

178

121

+

244

241

+

56

Sejong

220

241

184

+

227

222

+

27

Gwangju

260

160

259

-

279

277

+

57

Seoul

250

263

261

+

257

252

+

28

Sejong

180

184

221

-

186

185

+

58

Goesan

140

146

161

-

142

141

+

29

Hamyang

120

119

124

-

119

124

-

59

Jeongeup

400

301

275

+

417

429

-

30

Hongseong

140

208

218

-

146

145

+

60

Dongducheon

165

155

234

-

157

174

-

Fig. 3 Number of negative & positive pressure buildings(left) and balance difference(right, m3/h)
../../Resources/sarek/KJACR.2020.32.7.323/fig3.png

TAB 허용 풍량 기준에서, 주덕트계통의 허용풍량은 설계값의 -5~10%가 되도록 하고 각 실의 허용풍량은 취출구와 흡입구에서 측정한 합산 풍량이 설계값의 ±10% 이내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현장에서 밸런싱을 수행할 때 각 취출구의 허용 풍량은 취출구 개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3개 이상일 경우 일반 건축물에서는 최대 ±15%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12)

이 기준에 따라 비교해 보면 TAB 전 급기․회기 밸런스 차이는 최대 급기 114% 배기 93%인데 반하여 TAB 후 급기․회기 밸런스 차이는 환기장치 혹은 배관에 문제가 있는 세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15% 이하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4, Fig. 5 참조).

Fig. 4 Total air volume difference rate supply air(%)
../../Resources/sarek/KJACR.2020.32.7.323/fig4.png

Fig. 5 Total air volume difference rate return air(%)
../../Resources/sarek/KJACR.2020.32.7.323/fig5.png

2.2.2 에너지 성능 분석

에너지해석의 방법은 크게 동적․정적해석 그리고 단일존․다중존 해석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동적해석은 다중존 해석 툴로 개발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반대로 정적해석은 단일존 해석으로 많이 활용된다. 대표적인 다중존 동적해석의 툴로는 Energy plus, Ecotect, Transys 등이 있으며 단일존 정적해석의 툴로는 PHPP, Energy# 등이 있다. 다중존 해석은 다양한 변수의 입력과 통제가 가능하여 연구자 측면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단일존 정적 해석은 ISO 52016(구ISO 13790)의 기준을 준용하는 소프트웨어들로 실무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13)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건축물 성능의 비교 분석을 위해 소규모건축물 에너지 분석에 적합하고 사용자에 입력값에 의한 오차가 작은 단일존 정적해석 소프트웨어인 Energy#과 PHPP(Passive house Planing Package)를 활용하여 에너지성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건축물의 계획 난방성능과 냉방성능은 각각 10.7~50.0(kWh/m2a), 8.0~34.9(kWh/m2a) 사이의 값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설계단계에서 에너지 성능 분석시에는 이상적으로 계획된 풍량이 공급된다고 가정하고 에너지 분석을 수행한다. 때문에 계획단계의 에너지 성능과 TAB 전․후의 성능은 차이가 있으며 그 실측 결과값을 기반으로 에너지성능 분석을 수행해 본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 작업 전 난방성능의 경우 최대 -30%까지 계획 성능과의 차이를 보였고 냉방성능의 경우 평균적으로 큰 차이가 나지는 않으나 특정세대에서 최대 -15%까지 성능 차이가 나타났다. TAB작업 후에는 환기장치 문제 혹은 덕트저항과 같은 현장시공성의 문제로 목표풍량 까지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세대를 제외하고 평균적으로 ±1% 수준으로 계획단계의 성능과 유사한 값을 보인다 (Fig. 6, Fig. 7 참조).

Fig. 6 Performance change rate of pre/post TAB in heating energy demand(%)
../../Resources/sarek/KJACR.2020.32.7.323/fig6.png

Fig. 7 Performance change rate of pre/post TAB in cooling energy demand(%)
../../Resources/sarek/KJACR.2020.32.7.323/fig7.png

Table 5. Comparison of performance changes in each element

No.

Location

Sorta

tion

Balance

Diff.

(m3/h)

SA

Diff.

(%)

RA

Diff.

(%)

Heating Energy

Demand(kWh/m2a)

Cooling Energy

Demand(kWh/m2a)

No.

Location

Sorta

tion

Balance

Diff.

(m3/h)

SA

Diff.

(%)

RA

Diff.

(%)

Heating Energy

Demand(kWh/m2a)

Cooling Energy

Demand(kWh/m2a)

Designed

Measured

Err.

(%)

Designed

Measured

Err.

(%)

Designed

Measured

Err.

(%)

Designed

Measured

Err.

(%)

1

Damyang

Pre

19

14.5

2.7

20.0

21.0

-5.0

26.0

26.0

0.0

31

Cheongdo

Pre

-8

5.0

11.7

47.5

47.5

0.0

21.1

21.1

0.0

Post

5

1.8

2.7

20.0

0.0

26.0

0.0

Post

-5

5.8

10.0

48.2

-1.3

21.1

-0.1

2

Daejeon

Pre

33

40.0

16.4

24.0

27.0

-12.5

25.0

26.0

-4.0

32

Dangjin

Pre

36

114.5

81.8

47.3

57.1

-20.6

14.6

16.7

-14.6

Post

-1

0.7

1.4

24.0

0.0

25.0

0.0

Post

10

0.0

9.1

46.9

0.8

14.5

0.4

3

Yongin

Pre

-30

26.4

5.0

15.0

14.0

6.7

12.0

12.0

0.0

33

Hosung

Pre

-53

20.6

53.8

26.9

31.7

-18.0

16.7

17.1

-2.6

Post

1

4.3

3.6

16.0

-6.7

12.0

0.0

Post

6

2.5

1.3

27.0

-0.2

16.8

-0.3

4

Yongin

Pre

19

3.3

9.3

21.0

20.0

4.8

23.0

23.0

0.0

34

Dae-gu

Pre

12

13.2

6.8

20.7

20.7

0.0

19.4

19.4

0.0

Post

5

0.7

4.0

21.0

0.0

23.0

0.0

Post

12

13.2

6.8

21.3

-2.9

19.5

-0.7

5

Jeju

Pre

5

42.5

38.3

24.0

27.0

-12.5

29.0

29.0

0.0

35

Yangyang

Pre

-18

11.7

3.3

29.9

29.0

3.1

10.3

10.4

-1.1

Post

6

8.3

3.3

24.0

0.0

29.0

0.0

Post

2

5.0

3.3

30.3

-1.1

10.3

0.4

6

Incheon

Pre

-24

73.3

93.3

44.6

53.4

-19.7

18.1

18.8

-4.1

36

Incheon

Pre

11

4.6

13.1

37.6

36.5

2.9

24.5

24.2

1.2

Post

5

2.5

1.7

44.7

-0.2

18.1

-0.1

Post

10

0.8

6.9

37.3

0.7

24.4

0.3

7

Seong-Nam

Pre

-3

31.3

30.0

26.0

24.2

6.7

18.3

18.4

-0.3

37

Hoengseong

Pre

12

5.4

3.8

50.0

49.7

0.7

9.2

9.3

-0.6

Post

-14

2.6

3.5

26.0

-0.1

18.3

0.0

Post

1

2.3

1.5

50.2

-0.4

9.2

0.3

8

Jeongeup

Pre

-35

33.1

55.0

22.2

25.7

-16.1

27.0

27.7

-2.5

38

Geoje

Pre

1

24.2

23.3

18.0

19.1

-6.3

20.2

19.9

1.7

Post

-1

0.6

0.0

22.2

0.0

27.0

0.0

Post

4

5.0

1.7

18.2

-0.9

20.2

0.2

9

Yeoju

Pre

13

8.5

18.5

37.4

35.9

4.1

21.4

21.4

0.2

39

Cheongju

Pre

24

38.3

25.0

31.3

33.9

-8.6

20.7

21.0

-1.5

Post

1

2.3

1.5

37.6

-0.5

21.4

0.0

Post

5

3.3

0.6

31.4

-0.5

20.7

-0.1

10

Hongseong

Pre

7

33.3

27.5

41.8

44.5

-6.4

34.8

35.9

-3.1

40

Daejeon

Pre

-99

2.8

25.8

25.2

27.4

-8.4

16.5

16.8

-1.7

Post

4

6.7

3.3

42.2

-1.0

35.0

-0.5

Post

12

0.7

2.1

25.2

0.2

16.5

0.1

11

Incheon

Pre

31

26.7

6.0

29.6

32.4

-9.3

20.3

20.3

0.1

41

Jangseong

Pre

6

14.8

17.4

32.3

30.9

4.3

23.1

23.0

0.4

Post

8

4.0

1.3

29.8

-0.5

20.3

0.0

Post

9

0.4

3.5

32.2

0.3

23.1

0.0

12

Cheongju

Pre

12

32.7

24.7

43.9

46.3

-5.4

22.1

22.6

-2.4

42

Jeonju

Pre

31

3.5

12.0

27.7

27.4

1.1

18.4

18.1

1.6

Post

-6

1.3

5.3

44.2

-0.6

22.1

-0.2

Post

9

3.0

1.5

27.8

-0.1

18.5

-0.2

13

Cheongju

Pre

15

27.5

18.1

27.1

28.7

-5.8

25.3

25.7

-1.5

43

Pyeongtaek

Pre

29

10.0

34.2

44.1

40.9

7.2

19.3

18.5

4.1

Post

-2

7.5

8.8

27.6

-1.9

25.4

-0.5

Post

1

4.2

3.3

44.4

-0.9

19.4

-0.5

14

Cheongju

Pre

-18

22.5

33.8

26.8

28.7

-7.2

25.3

25.7

-1.9

44

Busan

Pre

19

65.7

52.1

49.1

53.3

-8.6

10.5

11.0

-4.3

Post

0

8.8

8.8

27.6

-3.1

25.4

-0.6

Post

7

9.3

4.3

49.5

-1.0

10.6

-0.5

15

Asan

Pre

32

1.0

15.0

35.5

34.1

3.7

18.8

18.7

0.7

45

Gapyeong

Pre

19

8.5

20.0

32.1

30.9

3.6

10.2

10.3

-0.7

Post

16

5.0

3.0

35.5

-0.3

18.8

-0.1

Post

16

4.8

4.8

32.1

0.0

10.2

0.0

16

Jeonju

Pre

-21

26.1

14.4

22.8

21.8

4.6

21.2

22.0

-3.9

46

Changnyeong

Pre

-34

55.0

83.3

17.1

22.1

-29.5

20.6

20.9

-1.9

Post

7

3.9

0.0

22.9

-0.4

22.2

-4.8

Post

1

10.0

9.2

17.7

-3.5

20.5

0.0

17

Sangju

Pre

2

45.8

44.2

30.3

35.2

-16.0

18.4

18.8

-2.4

47

Sejong

Pre

-19

33.3

49.2

49.5

53.4

-7.9

20.9

21.2

-1.5

Post

3

10.0

7.5

31.3

-3.2

18.4

-0.4

Post

7

9.2

3.3

50.0

-1.1

20.9

-0.2

18

Miryang

Pre

13

15.7

6.4

10.7

11.3

-6.0

32.9

32.8

0.4

48

Hongseong

Pre

0

3.3

3.3

33.1

33.1

0.0

19.9

19.9

0.0

Post

-11

2.1

10.0

10.9

-2.4

32.9

0.2

Post

8

4.2

2.5

33.2

-0.1

19.9

-0.1

19

Sejong

Pre

-19

16.7

6.1

23.4

22.3

5.0

25.7

25.7

0.0

49

Asan

Pre

-35

9.4

28.9

34.1

35.8

-5.2

24.5

24.6

-0.2

Post

-7

1.7

2.2

23.5

-0.2

25.7

0.0

Post

6

3.9

0.6

34.2

-0.4

24.5

0.0

20

Sejong

Pre

-1

10.0

9.3

28.1

27.4

2.7

24.2

24.2

0.1

50

Sejong

Pre

-15

6.7

19.2

36.1

37.1

-2.7

28.2

28.2

-0.1

Post

8

2.0

3.3

28.1

0.2

24.2

0.0

Post

5

4.2

0.0

36.3

-0.4

28.2

0.0

21

Incheon

Pre

-7

11.4

8.1

43.4

42.8

1.2

18.1

17.9

1.2

51

Suncheon

Pre

8

10.0

3.3

22.4

22.4

0.0

25.7

25.7

0.0

Post

0

0.0

0.0

43.4

0.0

18.1

0.0

Post

8

10.0

3.3

22.8

-1.6

25.9

-0.8

22

Seong-Nam

Pre

15

3.2

3.6

22.2

22.2

0.0

22.4

22.4

0.0

52

Jeju

Pre

-51

5.0

47.5

11.5

13.5

-16.8

27.9

27.5

1.1

Post

15

3.2

3.6

22.2

0.0

22.4

0.0

Post

10

13.3

5.0

11.9

-3.2

27.8

0.3

23

Hongseong

Pre

-10

48.6

55.7

37.3

43.0

-15.4

19.3

20.5

-6.0

53

Jeju

Pre

-22

62.3

79.2

17.0

19.3

-13.7

24.6

25.7

-4.4

Post

0

3.6

3.6

37.7

-1.0

19.4

-0.2

Post

-3

0.8

3.1

17.0

-0.4

24.6

0.0

24

Sungju

Pre

-9

17.8

27.8

36.6

38.6

-5.4

18.4

19.0

-3.1

54

Sachun

Pre

-25

43.6

61.4

14.1

17.4

-23.3

28.3

28.3

0.2

Post

8

18.9

10.0

37.6

-2.8

18.7

-1.6

Post

10

5.0

2.1

14.2

-0.5

28.3

0.1

25

Incheon

Pre

2

36.9

35.6

33.7

36.4

-8.0

14.6

14.8

-1.0

55

Gunsan

Pre

-19

21.2

14.9

29.9

29.3

2.2

21.6

20.3

5.8

Post

0

0.6

0.6

33.7

-0.1

14.6

0.0

Post

0

0.7

0.7

29.9

0.1

21.5

0.2

26

Gwangju

Pre

57

28.8

51.6

14.0

12.8

8.5

30.3

30.1

0.6

56

Sejong

Pre

57

9.5

16.4

15.6

14.7

5.5

17.9

18.2

-1.7

Post

3

2.4

3.6

13.9

0.4

30.2

0.0

Post

5

3.2

0.9

15.7

-0.7

17.9

0.0

27

Gwangju

Pre

-99

38.5

0.4

14.2

13.1

8.2

34.9

34.7

0.6

57

Seoul

Pre

2

5.2

4.4

39.2

39.4

-0.4

16.8

16.8

0.1

Post

2

7.3

6.5

14.4

-1.5

34.9

-0.1

Post

5

2.8

0.8

39.3

-0.2

16.8

0.0

28

Sejong

Pre

-37

2.2

22.8

25.6

27.1

-5.9

19.8

19.8

-0.1

58

Goesan

Pre

-15

4.3

15.0

43.8

44.7

-2.1

10.8

10.9

-1.3

Post

1

3.3

2.8

25.8

-0.9

19.8

-0.1

Post

1

1.4

0.7

43.9

-0.2

10.8

-0.1

29

Hamyang

Pre

-5

0.8

3.3

47.4

47.4

0.0

13.0

13.0

0.0

59

Jeongeup

Pre

26

24.8

31.3

34.3

32.4

5.5

8.0

7.2

9.6

Post

-5

0.8

3.3

47.5

-0.3

13.1

-0.3

Post

-12

4.3

7.3

34.6

-1.0

8.1

-1.8

30

Hongseong

Pre

-10

48.6

55.7

32.3

37.5

-16.0

17.7

18.5

-4.5

60

Dongducheon

Pre

-79

6.1

41.8

25.7

28.4

-10.7

10.3

10.4

-0.1

Post

0

3.6

3.6

32.7

-1.0

17.8

-0.3

Post

-17

4.8

5.5

25.7

-0.2

10.3

0.0

3. 결 론

본 연구는 품질관리가 쉽지 않은 소규모 주거 건축 시장에서, 최근 주요한 이슈로 떠오르는 실내공기질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 중 하나인 열교환환기장치 TAB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주거용 건축물 열교환환기장치 시장의 설계 및 시공품질을 확인하기 위한 현장 실태조사 연구로, 60세대의 소규모 건축물을 선정하여 환기장치 TAB 작업을 수행하였다. 분석과정으로는 TAB 작업 전⋅후의 풍량을 계측하여 밸런스차이에 의한 영향성을 분석하였고, 에너지성능 분석을 통해 TAB가 건축물 에너지성능이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압계산이 병행되는 환기장치 설계 및 시공이 아닌 경험에 의한 덕트 설계와 시공으로 인하여 급기․ 회기 밸런스 차이가 많이 발생하였다. 총 60세대 중 TAB 작업 전의 풍량에서는 양압이 걸린 건물은 31세대로 양압과 음압이 절반정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TAB 후에는 80% 정도의 건축물이 양압으로 구성되었다. 내부 급기(SA) 풍량은 TAB전 평균적으로 24% 차이가 나왔으며, 최대 114%까지 차이가 발생하였다. 회기(RA) 풍량의 경우는 평균 27% 차이가 나고 최대 93%까지 차이가 발생하였다. TAB 작업 이후 결과에서는 급기 (SA)풍량 평균 4.3%, 배기(RA) 풍량 평균 3.6% 정도로 계획풍량과 비슷한 값으로 설정됨을 확인하였다.

(2) TAB전 냉방에너지요구량의 경우 계획 성능 대비 평균 -2% 차이밖에 보이지 않고 난방에너지 요구량의 경우에서도 평균적으로는 -4% 정도의 차이밖에 보이지 않아 에너지 성능 측면에서 TAB 작업 전⋅후 성능변화가 미비한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난방에너지 요구량 측면에서 최대 –30% 가량의 성능 변화를 보여주는 세대도 있고, 70% 이상의 대상지가 -9.3%~+7.3% 정도의 난방에너지 성능 변화를 갖으나 나머지 20%에 달하는 세대의 경우 +7.3~+15.6% 혹은 -9.3~+34.2%에 해당하는 TAB전후 에너지성능차이가 높은 비율에 속하고 있어 건축물 에너지성능에서 환기의 손실량의 비중이 크지 않음을 고려해 볼 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3) 건축물 급기․회기 밸런스 측면에서는 TAB작업 전 양압 최대 57 m3/h, 음압 최대 -99 m3/h까지 계측되었다. 일반적인 소규모 건축물에서 정풍량방식의 환기시스템이 적용됨을 고려해 보았을 때 이러한 급기․회기 풍량차이는 연중 지속적으로 건축물에 음압에 의한 하자 혹은 양압에 의한 하자를 유발할 수도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는 2020년 4월 환기설비 설치대상을 3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 및 민간 노인요양 시설 등으로 확대하여 미세먼지가 이슈화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국민건강을 위한 실내공기질 개선에 힘쓰고 있다. 이러한 건축법규 및 규제가 향상되어 건축물 성능을 상향평준화시키고 있는 시점에서 행정적인 설비의 적용이 아닌 현장검증이 병행되는 시스템의 보편화가 병행되어야 국민건강을 위한 실질적인 실내공기질 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Table 6. Summary of ventilation performance result

Supply Air

Return Air

Number of

Negative

Pressure

Buildings

Number of

Positive

Pressure

Buildings

Supply and Return Air Balance

Difference Rate

(%)

Difference Rate

(%)

Air Volume

(m3/h)

Difference Rate

(%)

Max

Aver

Max

Aver

Positive

Negative

Max

Min

Aver

Pre TAB

114

24

93

27

29

31

57

-99

32.7

-47.9

-2.3

Post TAB

19

4.3

10

3.6

12

48

16

-17

9.7

-10.3

2.1

Energy Demand Difference Rate

Heating Energy Demand Difference Rate Distribution Chart

Heating(%)

Cooling(%)

Max

Min

Aver

Max

Min

Aver

../../Resources/sarek/KJACR.2020.32.7.323/tbl6.png

Pre TAB

9

-30

-4

10

-15

-1

Post TAB

1

-7

-1

0

-5

0

후 기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의 연구비지원(과제번호 20CTAP-C152983-02)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Rapoport Amos, 1969, House Form and Culture, 25th edition, Prentice Hall, New JerseyGoogle Search
2 
Seng W. T., Hsiao S. J., 2019, The application of thermal comfort control based on Smart House System of IoT, Journal of Measurement, Vol. 149, pp. 1-16DOI
3 
Kim H. J., 1988, TAB performance of air-conditioning facilities in the exhibition complex of the Korea General Trade Center, Journal of SAREK, Other Publications, pp. 220-234Google Search
4 
Kim Y. S., 1991, Design mistakes found in the TAB process, Journal of SAREK, Other publications, pp. 33-53Google Search
5 
Kim C. Y., 1995, Influence on the TAB(Testing, Adjusting and Balancing) of the duct system, Other publications, pp. 31-42Google Search
6 
Park S. C., 2014, A Study on the Plan to promote TAB and Commissioning,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Google Search
7 
Cho C. S., Yoon S. W., Shin H. J., Kim Y. H., 1987, A Study on the Effect of TAB for Air Distribution System in Office Building, Journal of AIK, Vol. 7, No. 2, pp. 323-326Google Search
8 
Park S. C., Ahn Y. C., Lee K. H., 2012, A study on the Promotion of TAB Process for a Government Office Building, Journal of KIAEBS, Vol. 6, No. 2, pp. 86-92Google Search
9 
Seol S. K., 2017, A Study on the Field Performance Evaluation & Improvement of Zone Smoke Control Systems for between Conventional Railway and Metro Underground Transit Passage trough TAB Smoke Control, Department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Google Search
10 
Ko J. G., 2017, Performance Evaluation Improvement Plan through Testing, Adjustment, and Balancing(TAB) of Smoke Control System, Department of Fire Protection and Disaster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Industry, Kyonggi University, Master’s ThesisGoogle Search
11 
Lee Y. G., 2017, A survey on performance of apartment house ventilation equipment through field performance verification(TAB), Journal of SAREK, S-067, pp. 268-271Google Search
12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2018, Practical training for tab and air conditioning systemGoogle Search
13 
Kim T. R., Han S. H., 2018, Implementation of an Estimation Model for Internal Humidity Sources towards Single Residential Units, KIEAE Journal, Vol. 18, No. 5, pp. 75-83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