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김해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교수 ( Professor, Dept. of Fire Fight safety and Management, Gimhae College, Gimhae-si, Gyeongsangnam-do, 50811, Republic of Korea )
  2.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 Professor,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Geumjeong-gu, Busan, 46241, Republic of Korea )



Underground parking lots(지하 주차장), Ventilation fan(유인팬), Roof fan(루프팬), Smoke exhaust system(배연설비)

$Q$: 열방출율 [kW]
$\alpha$: 화재강도상수 [kW/s2]
$t$: 시간 [s]
$D$: 화재 직경 [m]
$\rho$: 주변공기 밀도 [1.204 kg/m3]
$C_{p}$: 주변공기 비열 [1.005 kJ/(kg․K)]
$T$: 주변공기 온도 [K]
$g$: 중력가속도 [9.81 m/s2]
$\delta$: 격자 크기 [m]

1. 연구배경 및 목적

경제적 성장으로 도시의 인구밀도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건축물은 고층화, 대형화, 다양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운행의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수요도 계속 증가하고 있고 도심지의 환경적 요인에 따라 공동주택 등의 자동차 주차장은 지하화 및 대형 지하공간으로 계획되고 있다. 주변 환경적(녹지화, 안전화)인 영향으로 차 없는 거리가 조성될 수 있으나 지하주차장에서 자동차의 수는 증가하게 되며 전체 운전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요인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중 하나가 화재가 발생할 경우이다. 자동차 회사들은 연비를 줄이기 위해 철판재 대신 플라스틱재를 사용하여 무게를 줄이고 있다. 화재 발생 시 열방출률이 커지고 있으며 생성되는 연기의 량과 유독가스 배출이 많아지고 있다. 지하공간은 열악한 환경으로 인하여 열의 축적이 발생하고 연기의 배출이 되지 못하는 상황을 연출하게 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화재 발생 시 연기 배출에 대한 법 규정이 없는 실정이다.

Jeon(1)은 지하주차장의 방화시스템의 현 실태와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지하주차장의 화재안전을 위협하는 건축구조적방화시스템과 설비적 방화시스템들의 관련 법규 및 설치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Lee(2)은 대규모 지하주차장의 화재위험을 분석하기 위해 실제 건물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하여 연기 유동 및 가시거리를 분석하고 지하주차장 환기설비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대한설비공학회는 지하주차장 제연/환기 시스템 설계방법(3)을 연기 및 열 제어 시스템이 갖춰야 할 기능과 계산 방법에 대한 설명과 권고사항을 제공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소규모 건축물에서는 배연설비에 대한 법규정이 없으며, 고층건축물의 경우 성능위주설계 시 심의위원들의 의견이 반영되어 지하주차장 화재 시 소화활동설비에 대한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배연설비를 갖추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학계와 실무에서는 지하주차장 배연설비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주차장의 공간 및 화재․연기 특성을 알아보고 FDS를 이용 화재와 연기를 생성 하여 배연설비 방법을 3가지 case를 기반으로 가시도와 연기농도를 비교한 후 최적의 배연설비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지하주차장의 공간 및 화재․연기 특성을 알아본 후 화재시뮬레이션인 FDS를 이용하여 가시도와 연기농도를 파악 하였다. 지하주차장의 화재는 자동차 화재하중의 열방출률(HRR)을 적용하며 화재성장곡선은 식(1)로 하였다. 화재성상은 미디움화재이다. 화재시뮬레이션 시작 후 300초 후에 1.05 MW가 도달할 경우 화재성장은 멈추는 것으로 하였다. 이것은 지하주차장에 연기를 일정시간 채운 후 배연설비를 이용하여 가시도와 연기농도만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1)
$Q=\alpha t^{2}$

연기의 배연설비 방법은 3가지 case를 기반으로 분석 하였다. 배연설비에 적용된 급배기 풍량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case 2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실내공기질관리법 제3조 별표 2에서 적용되고 있는 실내주차장 CO농도(25 ppm)에 따라 계산하여 산출된 case 2를 기준으로 정한 값을 적용하였다.

1) case 1 : 일반적인 자연배연방식으로 급기구와 배기구로 구성되었다.

2) case 2 : 일반적으로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제1종 기계환기방식인 급기팬과 배기팬을 적용하였으며 가상의 터널과 기류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내부에는 유인팬을 적용하여 급기팬/유인팬/배기팬방식으로 구성되었다.

3) case 3 : 공동주택의 주방 및 화장실의 배기를 하는 방법에는 각 층에서 직접 배기하는 개별배기방식과 지붕 에서 공용 덕트를 이용하여 배기하는 공용배기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공용배기방식은 지붕에 팬이 없는 방식과 팬이 있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팬이 있는 공용배기방식을 적용하였다. 현재 공동주택의 공용 덕트는 주방 및 화장실 배기를 목적으로 세대 및 거실이 있는 곳에서만 형성되어 있다. 이 공용 덕트를 지하주차장으로 연장시켜 지하주차장의 환기와 화재 시 배연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며 급기팬/루프팬/급기팬으로 구성되었다.

위의 방법을 이용하여 가시도와 연기농도를 알아본 후 최적의 배연설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3. 지하주차장의 공간 및 화재․연기 특성

3.1 지하주차장의 공간 특성

지하주차장은 지하공간에 해당된다. 지하공간은 지표로부터의 격리성, 항온․항습성, 방음성, 내진성 등으로 에너지 절약, 비용절감, 환경보존 등 여러 측면에서 그 이점이 크다.(4) 반면 밀폐된 공간이므로 일상적인 감시와 조기 발견이 어렵고 외부에서 재해상황의 확인이 곤란하며 패닉에 빠지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 좁은땅 심각한 도시인구 집중, 아파트 선호문화, 여름철의 장마, 전시 방공호로써의 역할 등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지하주차장의 경우 밀폐성이 높아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의 교류가 원활하지 못한 특징을 보인다. 이 때문에 화재 시 연기를 제어하거나 배출하지 못할 땐 심각한 피해를 불러올 수밖에 없으며, 소방관의 구조나 진압활동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5)

대규모 아파트 지하주차장은 한 층에 많은 대수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어서 화재 시 연기에 의한 위험성이 높고 대규모 주차장의 경우 방화구획을 완화 적용할 수 있어 자동식 소화설비에 의해서 화재가 진압되지 않을 경우 별도의 연기배출 설비가 없어 피난안전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1)

3.2 지하주차장의 화재․연기 특성

지하주차장 화재는 급격히 양상이 바뀌면서 소화설비로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러한 이유는 자동차 회사들의 연비경쟁으로 화재하중의 상승을 가져왔다. 지하주차장은 환기조건이 불량해 열이 축적되기 때문에 원활한 환기 조건을 가진 곳에 비해 화재온도가 상승하게 된다.(6) 지하주차장은 자동차화재가 발생할 경우 피난과 화재진압에 어려운 환경을 가진다. 자동차는 중․대형차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연비 효율을 높이고자 플라스틱재를 사용하게 되면서 화재 시 열방출률이 커지고 자동차의 연속적인 주차로 연쇄적으로 화재가 이어질 수 있어 매우 위험하며 또한 다량의 연기와 유독가스가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

지하주차장 화재 시 상승한 연기는 천장 면에 부딪혀 사방으로 퍼지면서 버섯구름의 형상을 띄게 된다. 연기플룸이 상승하는 동안에는 주변공기를 흡인하여 양적으로 팽창하여 천장제트를 이루게 되면 연기의 부력 때문에 주변의 차가운 공기보다 위로 뜨게 되어 주변공기 유입은 멈추게 된다. 연기는 대개 화원 바로 위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화원에서 멀어질수록 면적이 넓어져 확산이 느려지면서 온도가 낮아져 하강하고, 벽과 충돌하여 아래로 내려가므로 정작 화원주변의 공간이 가장 청정하게 유지된다. 수직구획부분은 건축법 규정에 의한 층간 방화구획을 하였으나 현실적으로 방화문 개방 유지등 사용자 측면에서 편리성 때문에 유지관리가 불량하여 상층으로의 연기확대가 자주 일어나며, 지하주차장의 주 가연물은 연속된 주차된 차량으로 화재 시 인접한 차량으로 수평적 화재확산이 일어나며 또한 순식간에 대규모의 지하주차장을 오염시킨다.(7)

4.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배연성능 분석

4.1 화재시뮬레이션 개요

화재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FDS 6을 이용하였으며 화재대상은 자동차(승용차)를 선정하였다. 화재성장은 미디움화재를 기준으로 화재성장곡선은 식(1)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화재성장은 성능위주설계 시 가장 많이 적용되는 열방출률 8.5 MW를 대상으로 하며 미디움화재인 300초일 때 1.05 MW의 열방출률이 될 때까지 성장하는 것으로 하였고 1.05 MW 이후 즉 300초 이후에는 화재의 성장은 없는 것으로 하였다. 배연성능은 화재의 성장보다 소화활동에 필요한 연기 배출성능만 비교하여 최적의 배연설비를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300 초부터 1000초까지 배연 성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case 1의 경우 자연급배기 방법이기 때문에 별도의 장치는 적용하지 않았으며 Open 상태를 유지하였다. case 2와 case 3은 300초 이후부터 팬이 작동하는 것으로 하였다. 배연설비는 가시도와 연기농도를 분석하는 것으로 하였다. 가시도는 성능위주설계에서 인명안전기준으로 가시거리에 대한 영향이 있다. 성능위주설계 시 FDS 수행 결과 가장 먼저 이 기준에 도달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기 때문에 선정하였으며, 그 때의 연기농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가시도를 측정하는 장치의 같은 위치와 높이에 선정하였다. 가시도는 V1~V6, 연기농도는 S1~S6을 급기에서 배기되는 기류선상에 Fig. 1과 같이 배치하였으며 설치높이는 국내의 인명안전기준에 근거하여 바닥으로부터 1.8 m 높이에 설치하였다. 격자수의 민감도는 식(2)를 적용하였다. 화재시뮬레이션의 화재 지점은 연기 배출이 가장 힘들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인 배기와 가장 먼 지점 즉 급기가 되는 근처로 잡았다.

(2)
$$D=\left[\frac{Q}{\rho \cdot C_{p} \cdot T \cdot \sqrt{g}}\right]^{\frac{2}{5}} \text { and } \frac{D}{\delta}$$

화재시뮬레이션 입력 조건은 Table 1과 같으며, 가시도와 연기농도 위치는 Fig. 1과 같다.

Table 1. Fire simulation input data

Items

Specification

Remark

Items

Specification

Remark

Heat Release Rate(HRR)

8.5 MW

Temperature

20℃

Ambient

Simulation Time

1000 s

Humidity

40%

Ambient

Material of

Reaction

Polyurethane, RM29

Soot yield = 0.13 kg/kg,

Co yield = 0.031 kg/kg

SFPE

Handbook

Smoke Concentration Measurement

S1~S6

Fig. 1

Fire Target

Motor vehicle(Car)

Visibility Measurement

V1~V6

Fig. 1

Fire Growth

$Q=\alpha t^{2}$

Particle Greed Number

259212 EA

Fig. 1 Measurement point of Visibility and smoke concentration.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fig1.png

Fig. 2 Location of equipment for smoke exhaust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fig2.png

4.2 화재시뮬레이션 대상 조건

4.2.1 건축물의 개요

시뮬레이션 대상건축물은 부산시에 위치한 주상복합건축물이며 지하 4층, 지상 30층 2동으로 설계되었다. 상가는 1층과 2층이며 공동주택은 3층부터 30층까지이다. 화재시뮬레이션은 지하 1층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하주차장의 층고와 면적은 3.6 m와 712 m$^{2}$이다.

4.2.2 화재시뮬레이션 조건

배연 성능을 분석하기 위한 화재시뮬레이션 조건은 2장 연구방법에서 제시된 3가지 방법을 선정하였다. 공통조건으로 지하주차장의 방화문과 램프구간의 방화셔터는 닫혀있는 조건으로 하였다.

case 1은 자연급기/자연배기하는 방법이며 급기구/배기구의 사이즈는 2000 mm×2500 mm 2개 계획하였다. 사이즈 선정은 case 2의 급배기 풍량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급배기팬이 설치되는 곳의 주차장 내부와 접하는 벽을 선정하여 유효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하였으며 급배기에 대한 자유면적비는 0.5(개구율 50%)를 적용하였다.

case 2는 급기팬/유인팬/배기팬을 이용하는 방법이며 급기팬과 배기팬의 용량은 각각 7000 CMH 1대씩 계획하였고, 유인팬의 용량은 2000 CMH 2대를 계획하였다.

case 3은 급기팬/루프팬/급기팬을 이용하는 방법이며 급기팬의 용량은 3500 CMH로 2대를 계획하였고, 루프팬은 주방배기용 1100 CMH 4대, 욕실배기용 520 CMH 5대를 계획하였다. 루프팬은 배연성능을 비교하는 조건으로 수직 연돌효과에 의한 배기는 반영하지 않았으며 지하주차장에서 3.6 m 상부에 case 2의 배기풍량을 기준으로 루프팬 배기풍량을 선정하였으며 실제 공용배기방식의 루프팬의 용량보다는 작은 것으로 선정하였다. 본 건축물의 실제 설계는 하나의 공용 덕트에서 주방배기 용량은 1600 CMH이고, 화장실 배기 용량은 700 CMH로 설계되었다. 배연설비방법의 조건은 Table 2와 같으며, 배연설비 장비 위치와 화재지점은 Fig. 2와 같다.

Table 2. Condition of method of smoke exhaust system

Items

case 1

case 2

case 3

Method of Smoke Exhaust System

Natural Supply/Natural Exhaust

Supply Fan/Ventilation Fan/

Exhaust Fan

Supply Fan/Roof Fan/

Supply Fan

Supply/Exhaust Outlet

2000 mm×2500 mm×2 sets

-

-

Supply Fan Capacity

-

7000 CMH×1 set

3500 CMH×2 sets

Exhaust Fan Capacity

-

7000 CMH×1 set

Ventilation Fan Capacity

-

2000 CMH×2 sets

Roof Fan Capacity

-

-

Kichen : 1100 CMH×4 sets

Bathroom : 520 CMH×5 sets

Conceptual Diagram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2-1.png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2-2.png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2-3.png

4.3 화재시뮬레이션 배연 성능 분석

FDS에 의해 화재성장은 앞 절에서 제시한 조건을 기반으로 화재 발생 후 300초 때에 1.05 MW의 열방출률이 발생하는 조건으로 시뮬레이션이 실시되었으며 실제적인 배연성능의 분석은 300초에서 1000초까지 각 조건에 따른 가시도와 연기농도를 분석하였다. 화재시뮬레이션에 의한 연기의 상태를 Table 3과 같이 시뮬레이션 시간 200초, 500초와 800초일 때를 나타내었다. case 1의 경우 별도의 장치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200초에서도 급배기구를 통해 연기가 배출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Table 3. State of smoke

Time

Case 1

Case 2

Case3

200 s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3-1.png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3-2.png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3-3.png

500 s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3-4.png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3-5.png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3-6.png

800 s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3-7.png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3-8.png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3-9.png

4.3.1 가시도 분석

case 1, case 2, case 3 조건으로 6곳의 가시도를 측정하였다.

case 1의 경우 V1의 지점에서 300초에 화재성장은 멈추었지만 300~400초 사이에 연기확산에 의해 기류가 형성되는 관계로 잠시 가시도가 높아졌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연기는 안정화를 취하면서 배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연성능이 낮은 관계로 400초 이후 가시도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ase 2의 경우 case 1보다 V1과 V2의 지점에서는 급기의 영향으로 높게 나왔으나 화재지점과 멀어질수록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각지대인 V6지점에서는 case 1과 비슷한 가시도를 보여 주었다.

case 3의 경우 V1지점에서 배기가 잘 이루어져 시간에 따라 가시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화재지점 근처에 루프팬이 3대가 설치되어 있어 원활한 배기가 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V2~V6의 지점 에서는 루프팬과 거리가 있어 배기성능이 낮았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시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 높은 성능을 보이기 위해서는 천장에 덕트 설치를 고려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300초 이후 가시도 변화가 시간에 따라 서서히 변하는 것은 가시도 측정지점이 바닥으로부터 1.8 m 지점 이며 화재 후 300초까지 지하주차장에 연기를 채운 후 배연을 시켰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실제 감지기에 의해 배연설비가 작동할 경우 보다 높은 성능이 나올 것으로 판단된다.

연기의 가시도 분석은 Table 4와 같다.

Table 4. Visibility

V1

V2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4-1.png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4-2.png

V3

V4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4-3.png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4-4.png

V5

V6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4-5.png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4-6.png

X : time(s) Y : visibility(m)

4.3.2 연기농도 분석

case 1, case 2, case 3 조건으로 6곳의 연기농도를 분석하였다.

case 1의 경우 S1의 지점에서 V1과 비슷한 상태를 보여주었다. 300~400초 사이에 연기농도가 낮아졌으나 그 이후는 연기농도가 높아지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금씩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2의 경우 170 초에서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기류의 유동에 따라 농도가 높고 낮음을 반복하면서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3의 경우는 300~400초 사이에 최고 높은 농도를 유지하다 우측의 공간으로 확산이 되면서 점점 낮아지는 상태를 보이다가 다시 710초부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4와 S5의 지점은 연기의 확산에 따라 500초 때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시간에 경과에 따라 서서히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case 2의 경우 S1의 지점에서는 화재성장이 멈추고 급기팬의 가동과 동시에 농도가 높아졌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농도가 낮아졌다. S2와 S3의 지점에 유인팬의 영향으로 농도는 300초 이후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배기팬의 위치와 가까운 S5는 연기의 기류형성에 따라 일정한 농도를 유지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특히 사각지대인 S6지점에서는 배기가 잘 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은 오히려 유인팬의 방해요소로 판단되며 유인팬을 추가 설치가 검토되는 부분이다.

case 3의 경우 Case 2와 마찬가지로 S1의 지점에서 급기량의 변화로 300~400초 사이에 많은 변화를 보이다가 서서히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S1 지점에서는 루프팬 3대가 동시에 배출이 되는 관계로 제일 낮은 농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S2~S4에서는 시간이 조금 경과한 400~500초에 기류의 흐름에 의한 영향으로 높게 나타났다가 500초 이후부터는 다시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S5의 지점이 다른 지점 보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300초 이후 비슷한 농도를 나타내고 있어 급기팬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경우 다른 방법보다 농도가 전체적으로 낮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기농도 분석은 Table 5와 같다.

Table 5. Concentration of smoke

S1

S2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5-1.png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5-2.png

S3

S4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5-3.png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5-4.png

S5

S6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5-5.png

../../Resources/sarek/KJACR.2020.32.7.340/table5-6.png

X : time(s) Y : concentration of smoke(%)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3가지의 배연설비 방법을 설정하여 가시도와 연기농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시도는 case 3의 성능이 좋은 조건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연기의 체류가 상층부에 존재하고 상층부 에서 배연시키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다음 순으로 case 2, case 1의 순서로 나타났다.

(2) 연기농도는 case 3의 성능이 좋은 조건으로 분석되었다. 이것 또한 가시도와 같은 현상으로 판단된다. 다음 순으로 case 2, case 1의 순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사례로 볼 때 case 3의 경우가 가시도와 연기농도의 성능이 높게 나타났다. 지하주차장의 배연설비를 반영할 경우 여러 가지 대안을 설정하여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급기팬/루프팬/ 급기팬의 배연성능이 가장 좋은 조건으로 나와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화재지점, 측정점의 위치, 급배기 풍량, 급배기 방향, 급배기의 위치 및 층간 방화구획 등 여러 가지 사항들을 고려하여 건축물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최적의 조건을 파악 후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차후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여 다양한 연구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배연 성능과 소화활동에 안전성을 높일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Jeon S. H., 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re Protection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s, 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re Protection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s, Dept. of Fire Protection & Urban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Google Search
2 
Lee J. M., 2016, A Study on the Method of Smoke Control Using Fire Dynamic Simulator in Large Scale Underground Parking Lot, Major in Fire & Disaster Protection,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Environment Gachon UniversityGoogle Search
3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Design Method of Smoke Control/Ventilation System for Underground Parking Lot, SAREK 205-2017Google Search
4 
Shin H. S., 2012,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domestic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Construction Technology Review, Summer, Vol. 63, pp. 4-11Google Search
5 
Choi Y., 2016, Catch both Ventilation and Smoke control in Underground parking lot, Fire Protection NewsGoogle Search
6 
Jeong G. S., 2015, Hazard Underground parking lot, fire measures are necessary, Fire Protection NewsGoogle Search
7 
Oh C. Y., Son B. S., 201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moke Control in the Change Floor of Height in Underground Parking Lot, Korea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30, No. 2, pp. 470-478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