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연구원 ( Researcher, Clean Energy R&D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Cheonan, 31056, Korea )
  2. 고려대학교 기계공학부 대학원생 (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
  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 Principal Researcher, Clean Energy R&D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Cheonan, 31056, Korea )



Absorption heat transformer(흡수식 히트트랜스포머), High temperature absorber(고온 흡수기), Falling film absorber(유하 액막 흡수기),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총괄 열전달계수)

기호설명

$D_{o}$: 전열관 외경 [mm]
$h$: 엔탈피 [kJ/kg]
$L$: 전열관 길이 [mm]
$\dot m$: 유량 [kg/s]
$N$: 전열관 개수
$Q_{abs}$: 흡수기 열량 [kW]
$Re_{f}$: 액막 레이놀즈 수
$T$: 온도 [℃]
$U$: 총괄 열전달계수 [W/m$^{2}$ㆍK]
$X$: 농도 [wt.%]
$\Gamma$: 흡수액 액막 유량 [kg/ms]
$\Delta T_{lm}$: 대수평균온도차 [K]
$\mu$: 점성계수 [kg/ms]

하첨자

eq: 평형
hw: 온수
in: 입구
out: 출구
ref: 냉매
s: 흡수액

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발전소, 소각장 등의 산업현장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 또는 활용하여 에너지 및 공정 효율을 향상 시키기 위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90℃ 이하의 미활용 폐열을 이용한 냉수, 온수, 스팀을 생산하는 흡수식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1,2) 일반적으로 흡수식 시스템은 펌프를 제외하면 별도의 전기 구동부가 없어 전력 소모가 적고, 80~90℃ 내외의 비교적 낮은 온도의 열을 구동 열원으로 사용하며 자연냉매인 물을 냉매로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3)

흡수식 시스템은 크게 냉수를 생산하는 냉동기와 스팀을 생산하는 히트트랜스포머로 구분한다. 흡수식 냉동기와 히트트랜스포머는 요소부품은 동일하지만 사용 목적에 따라 요소부품의 구성을 달리하여 각각 냉수와 스팀을 생산한다. 흡수식 냉동기는 증발기와 흡수기가 저압부에 위치하여 냉매를 증발시켜 저온의 냉수를 생산하는 시스템으로 중․대형 건물을 냉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흡수식 히트트랜스포머는 증발기와 흡수기가 고압부에 위치하여 냉매 흡수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고온수 또는 120~170℃의 스팀을 생산하는 시스템이며, IEA에서 선정한 21세기 유용한 미래 에너지 기술로써 에너지 설비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4,5) 그러나 시스템의 부피가 크고 제품 가격 및 초기 설비비용 과다로 인해 사용이 제한적이다. 이에 따라 흡수식 시스템을 소형화하고 고효율화하기 위해 각각의 요소부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중에서 흡수기는 전체 시스템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가장 크며 시스템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므로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6)

흡수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로는 크게 흡수액에 미량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거나, 흡수기 전열관 형상 및 표면 가공에 따른 성능 특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Hoffmann et al.(7)은 수평관형 흡수기를 사용하여 LiBr 수용액에 Alcohol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였을 때와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열전달 성능을 비교하였다.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경우 흡수액의 표면장력이 낮아져 액막의 교란 효과를 증폭시키고, 이에 따라 관외 측 열전달계수도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Kyung and Herold(8)는 계면활성제로 2-ethyl-hexanol(2EH)을 사용하였으며, 첨가하는 양에 따라 흡수기의 열전달계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2EH를 80 ppm 정도 첨가할 경우 열전달계수가 약 1.67배 증가하였으며, 그 이상부터는 첨가하는 양을 늘려도 열전달계수가 증가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Kim et al.(9)은 micro-scale 단위로 표면을 가공한 전열관(No. 24 tube, No. 600 tube)과 Bare tube의 젖음성을 비교하였으며, Bare tube의 젖음성과 열 및 물질전달 성능이 가장 낮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얻었다. Yoon et al.(10)은 3종류의 전열관(Bare tube, Hydrophilic tube, Floral tube)을 비교 실험하여 가공 전열관의 젖음성과 열전달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흡수기의 열 및 물질전달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흡수식 냉동기에 대한 연구로써 시스템 운전조건과 성능 특성이 다른 흡수식 히트트랜스포머에서의 흡수기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흡수식 히트트랜스포머의 흡수기에 대한 기초 성능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 흡수식 냉동기에서 흡수기 전열관으로 사용된 Copper floral tube로 흡수기를 제작하였으며, 1단 흡수식 히트 트랜스포머의 작동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흡수기의 운전조건에 따라 성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온수 및 흡수액 입구조건과 증발온도에 따른 성능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흡수식 히트트랜스포머의 흡수기를 설계하는데 있어 기초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한다.

2. 실험 장치 및 조건

2.1 실험 장치

본 연구에서는 흡수식 히트트랜스포머의 요소부품 중 부피가 가장 크고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고온 흡수기의 성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Fig. 1과 같이 유하액막식 흡수기를 제작하였다. 흡수기 전열관은 외경 16 mm, 길이 500 mm의 Floral 형상의 동관을 사용하였으며, 관의 배열은 2열 6단으로 총 12개의 전열관으로 제작하였다. 흡수기의 자세한 사양은 Table 1에 나타내었다.

Fig. 1 Tube layout and photograph of absorber.
../../Resources/sarek/KJACR.2020.32.12.567/fig1.png

Fig. 2 Schematic diagram of absorber experimental apparatus.
../../Resources/sarek/KJACR.2020.32.12.567/fig2.png

Fig. 2는 흡수식 히트트랜스포머의 운전조건에 따라 흡수기의 성능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장치 개략도 이며, Fig. 3과 같이 제작하였다. 흡수기 실험장치는 크게 재생기, 응축기, 증발기, 흡수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열교환기는 항온조와 연결하여 일정하게 열원 및 부하를 모사하였다. 흡수식 히트트랜스포머의 운전 조건에 따라 일정하게 흡수기의 성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재생기와 응축기, 증발기는 흡수기에 비해 용량을 약 5배 이상으로 설계 및 제작하였다.

흡수액은 흡수기에서 냉매증기를 흡수하고, 묽어진 희용액은 재생기에서 농용액으로 재생시켜 다시 흡수기로 순환한다. 냉매는 증발기에서 증발하여 흡수기에서 농용액에 흡수되며, 재생기에서 다시 냉매증기와 농용액으로 분리된다. 이후 분리된 냉매증기는 응축기에 응축되어 증발기로 순환한다. 흡수기에 공급되는 농용액의 농도는 재생기와 응축기의 열량을 제어하여 농용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농용액의 온도는 용액 열교환기와 보조 열교환기의 열량을 제어하여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농용액의 유량은 재생기에서 흡수기로 보내는 배관에 용액펌프를 설치하고 이를 인버터와 밸브로 제어하였다. 흡수기에 공급되는 냉매증기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냉매펌프를 통해 증발기에 공급하였으며, 일정한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증발기에 공급하는 열원의 온도와 유량을 제어하였다. 그리고 실험장치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진공펌프를 설치하여 실험 전 진공상태로 만들었다. 흡수기에서 농용액이 냉매증기를 흡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흡수열은 온수와 열교환하며, 가열된 온수는 냉각기와 연결된 판형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되어 다시 흡수기로 순환된다.

흡수기의 농용액과 희용액의 유량, 온도, 농도 등을 측정하기 위해 입․출구 라인에 각각 RTD와 질량유량계를 설치하였으며, 농도는 질량유량계로 측정한 밀도와 온도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증발기와 흡수기 사이에는 RTD를 설치하여 냉매증기의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흡수기와 증발기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진공 압력계를 각각 설치하였다. 그리고 온수의 열량을 측정하기 위해 흡수기 온수라인 입․출구에 RTD와 압력계, 체적 유량계를 설치하였다. Table 2는 본 실험에 사용된 계측장치의 측정범위와 정밀도를 나타내며, 계측기의 사양과 계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계산한 흡수열량과 흡수기 열전달계수의 불확실도는 각각 5.52%, 6.91%이다.

Fig. 3 Photograph of Experimental apparatus.
../../Resources/sarek/KJACR.2020.32.12.567/fig3.png

Table 1 Specification of absorber

Contents

Unit

Value

Tube outer diameter

mm

16

Tube thickness

mm

0.6

Tube length

mm

500

Row & step

-

2, 6

Longitudinal pitch

mm

20

Transverse pitch

mm

26

Tube type

-

Floral

Groove number

-

12

Material

-

Copper

Heat transfer area

m$^{2}$

0.3014

Table 2 Specification of measuring equipment

Item

Specification

Unit

RTD

Range

-200 to 200

Accuracy

±0.1

Mass flow

meter

Range

0.2 to 20

kg/min

Accuracy

±0.1

%

Volumetric flow

meter

Range

0 to 2

m$^{3}$/h

Accuracy

±0.3

%

Pressure

transducer

Range

0 to 6

bar

Accuracy

±0.13

%

Vacuum pressure transducer

Range

0 to 1000

torr

Accuracy

±0.5

%

2.2 실험 조건 및 방법

본 연구에서 흡수식 히트트랜스포머의 고온 흡수기 실험의 작동유체로 사용된 냉매와 흡수액은 H2O와 LiBr 이다. 흡수식 시스템은 진공상태에서 운전되므로 실험장치 또한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실험 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실험장치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누설여부를 확인하고, 흡수액과 냉매를 각각 재생기와 증발기에 주입하였다. 그리고 흡수액 펌프와 냉매펌프, 재생기 내 흡수액 순환펌프, 증발기 내 냉매 순환펌프를 작동시켜 흡수액과 냉매를 순환시켰다. 냉각수 및 온수를 먼저 작동시킨 후 증발기와 재생기에 열원을 공급하였다. 실험 조건에 따라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은 평균적으로 약 3시간정도 소요되었으며, 흡수기 실험장치가 정상상태에서 안정화를 이루면 30분간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흡수기의 성능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실제 흡수식 히트트랜스포머의 작동조건을 기준으로 흡수액의 농도, 온도, 유량, 증발온도, 온수 입구 온도와 유속 등을 변화시켜가면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자세한 실험 조건은 Table 3에 나타내었다.

2.3 실험 결과 처리

고온 흡수기의 열전달률은 식(1)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1)
$Q_{abs}=\dot m_{hw}(h_{hw,\:out}-h_{hw,\:i n})=\dot m_{s,\:i n}h_{s,\:i n}+\dot m_{ref}h_{ref}-\dot m_{s,\:out}h_{s,\:out}$

여기서 $\dot m_{ref}=\dot m_{s,\:out}-\dot m_{s,\:i n}$는 흡수기에 흡수된 냉매증기량이다.

흡수기 전열관의 총괄열전달계수는 식(2)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2)
$U=\dfrac{Q}{A_{o}\Delta T_{lm}}$

여기서 $A_{o}=\pi D_{o}\ln$는 관외 표면적이며, $\Delta T_{lm}$은 흡수기의 대수평균온도차로 식(3)과 같다.

(3)
$\Delta T_{lm}=\dfrac{\left(T_{s,\:i n}^{eq}-T_{hw,\:out}\right)-\left(T_{s,\:out}^{eq}-T_{hw,\:i n}\right)}{\ln\left[\left(T_{s,\:i n}^{eq}-T_{hw,\:out}\right)/\left(T_{s,\:out}^{eq}-T_{hw,\:i n}\right)\right]}$

여기서 $T_{s,\:i n}^{eq}$, $T_{s,\:out}^{eq}$는 용액의 입·출구 평형온도이다.

흡수액 측의 액막 Reynolds 수(Ref)는 식(4)와 같이 정의하였다.

(4)
$Re_{f}=\dfrac{4\Gamma}{\mu_{s}}$

단위길이 당 액막 유량$(\Gamma)$의 정의는 식(5)와 같다.

(5)
$\Gamma =\dfrac{\dot m_{s,\:i n}}{2L}$

Table 3 Experimental conditions

Components

Parameters

Values

Absorber

Hot water

Inlet temperature[℃]

100, 105, 110, 115*

Flow velocity [m/s]

0.5, 0.75, 1.0*, 1.25, 1.5

Solution

Concentration [wt%]

59, 60, 61*, 62, 63

Inlet temperature[℃]

115*

Film Reynolds number

20, 35, 50*, 65, 80

Evaporator

Evaporating

Temperature[℃]

72, 75, 78*, 81, 84

*Basic operating conditions.

3. 결과 및 고찰

3.1 액막 Reynolds 수와 용액입구 농도 변화에 따른 흡수기의 성능 특성

Fig. 4는 흡수기의 액막 레이놀즈수 변화에 따른 열전달률과 총괄 열전달계수를 보여주고 있다. 액막 레이놀즈 수가 증가함에 따라 흡수기의 열전달률과 총괄 열전달계수는 모두 증가하지만 증가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액막 레이놀즈수가 20에서 50으로 변함에 따라 열전달률은 약 64% 증가하지만, 액막레이놀즈 수가 50에서 80으로 변할 경우에는 열전달률은 약 1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수기의 총괄열전달계수 또한 액막 레이놀즈수가 50 이상에서는 증가정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액막 레이놀즈수가 증가함에 따라 액막두께가 증가하면서 표면의 젖음성이 좋아지고 흡수액이 흡수기 출구까지 과냉상태로 흡수능력을 유지하지만, 일정 이상의 액막 레이놀즈수에서는 액막두께에 의한 열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흡수기의 열전달률 및 총괄 열전달계수의 증가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1단 흡수식 히트트랜스포머의 고온흡수기의 액막 레이놀즈수는 50이 최적이라 판단하였으며, 이때 열전달률과 총괄 열전달계수는 각각 4.42 kW, 1,347 W/m$^{2}$K로 나타났다.

Fig. 5는 액막 레이놀즈수 변화에 따른 흡수기의 용액 입․출구 농도 차와 온수 및 희용액의 출구온도를 보여주고 있다. 흡수기의 액막 레이놀즈수가 증가함에 따라 희용액의 출구온도가 증가하면서 용액 포화온도와 가까워짐에 따라 흡수기 열량의 증가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액막 레이놀즈수가 증가함에 따라 흡수기의 용액 입․출구 농도 차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수기의 액막 레이놀즈수가 20일 때 용액 입․출구 농도차는 약 3.8%이며, 액막 레이놀즈수가 80일 때 용액 입·출구 농도 차는 약 2.1%로 감소하였다. 흡수기의 용액 입·출구 농도 차가 감소할수록 시스템 효율이 감소하므로 농도 차와 희용액 출구 온도를 고려하여 흡수기의 전열관 배열을 설계해야 한다.

Fig. 6은 흡수기 입구 농용액 농도 변화에 따른 흡수기의 열전달률 및 총괄 열전달계수를 보여주고 있다. 농용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수기의 열전달률은 증가하고, 총괄 열전달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용액이 냉매증기를 흡수하는 구동력은 흡수기 내부에 있는 냉매증기의 압력과 액막 계면에 있는 냉매증기의 분압 차이에 의한 것이다.(11) 액막 계면에서의 냉매증기의 분압은 농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진다. 따라서 흡수기 내부의 압력이 동일할 때, 농용액의 농도가 진할수록 냉매증기 흡수량이 증가하여 더 많은 흡수열이 발생한다. 흡수기 입구 농용액의 농도가 61 wt.%에서 1 wt.% 증가함에 따라 열전달률은 약 5.2% 증가하고, 1 wt.%감소함에 따라 열전달률은 약 17.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7은 농용액의 입구 농도 변화에 따른 흡수기의 용액 입·출구 농도 차와 온수와 희용액의 출구온도를 보여주고 있다. 농용액의 입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수기 내의 포화온도는 점차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희용액 및 온수 출구온도는 냉매증기를 흡수하는 구동력이 증가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용액 입구 농도가 61 wt.%에서 63 wt.%로 증가함에 따라 흡수기의 용액 입·출구 농도 차는 약 2.6%에서 3.1%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4 Variation in heat transfer rate and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with film Reynolds number.
../../Resources/sarek/KJACR.2020.32.12.567/fig4.png

Fig. 5 Variation in solution concentration difference and absorber temperature with film Reynolds number.
../../Resources/sarek/KJACR.2020.32.12.567/fig5.png

Fig. 6 Variation in heat transfer rate and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with strong solution concentration.
../../Resources/sarek/KJACR.2020.32.12.567/fig6.png

Fig. 7 Variation in solution concentration difference and absorber temperature with strong solution concentration.
../../Resources/sarek/KJACR.2020.32.12.567/fig7.png

3.2 고온수 입구온도 및 유속과 증발온도 변화에 따른 흡수기의 성능 특성

Fig. 8은 고온수의 입구온도 별 관내 유속에 따른 흡수기의 열전달률을 보여주고 있다. 고온수 입구온도별로 고온수 관내 유속이 0.5 m/s에서 1 m/s로 증가함에 따라 흡수기의 열전달률은 평균 약 15.4% 증가하지만, 고온수 관내 유속이 1 m/s에서 1.5 m/s로 증가함에 따라 흡수기의 열전달률은 평균 약 6.9% 증가하여 고온수 관내 유속이 1 m/s를 기준으로 열전달률의 증가정도가 약 45%정도 감소하였다. 따라서 열전달률 및 압력손실, 펌프 동력 등을 고려했을 때 흡수기의 고온수 관내 유속은 1 m/s를 기준으로 설계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고온수의 입구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수기의 열전달률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온수 입구온도가 100℃에서 115℃로 증가함에 따라 열전달률은 약 47%정도 감소하였다. 이는 고온수의 입구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수 능력이 감소하고, 흡수액 포화온도와의 온도 차가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Fig. 9는 고온수의 입구온도와 관내 유속에 따른 흡수기의 총괄 열전달계수를 보여주고 있다. 고온수의 입구온도 별로 고온수의 관내 유속이 0.5 m/s에서 1.5 m/s로 증가함에 따라 총괄 열전달계수는 약 18~23% 증가하였다. 또한 고온수의 유속이 동일할 때, 고온수의 입구온도가 100℃에서 115℃로 증가함에 따라 총괄 열전달계수는 평균 약 1.6%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미미한 영향을 나타났다. 흡수기의 총괄 열전달계수는 고온수의 입구온도보다 고온수의 관내 유속에 따라 더 큰 변화를 보였으며, 이는 고온수의 관내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고온수의 Reynolds 수(Ref)가 증가하여 관내 열전달계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Fig. 8 Variation in heat transfer rate with hot water velocity.
../../Resources/sarek/KJACR.2020.32.12.567/fig8.png

Fig. 9 Variation in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with hot water velocity.
../../Resources/sarek/KJACR.2020.32.12.567/fig9.png

Fig. 10 Variation in heat transfer rate with evaporating temperature.
../../Resources/sarek/KJACR.2020.32.12.567/fig10.png

Fig. 11 Variation in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with evaporating temperature.
../../Resources/sarek/KJACR.2020.32.12.567/fig11.png

Fig. 10Fig. 11은 증발온도와 고온수의 입구온도에 따른 흡수기의 열전달률 및 총괄 열전달계수를 보여 주고 있다. 흡수기에서 용액이 냉매증기를 흡수함으로 증발기의 증발온도를 정확히 유지하며 실험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증발온도 78℃를 기준으로 3℃씩 변화시켜가면서 증발온도와 흡수기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증발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냉매증기의 포화압력이 상승 하고 용액의 흡수 구동력의 증가로 인해 열전달률은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고온수의 입구 온도 별로 증발온도가 72℃에서 84℃로 증가함에 따라 흡수기의 열전달률은 평균 약 4 kW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발온도에 따라 흡수기의 총괄 열전달계수는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발온도에 따라 총괄 열전달계수는 평균 약 0.6% 정도 미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흡수식 히트트랜스포머용 흡수기에 대한 기초 설계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 흡수식 냉동기에서 흡수기 전열관으로 사용된 Copper floral tube로 흡수기를 제작하여 1단 흡수식 히트트랜스포머의 작동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흡수기의 운전조건에 따른 성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온수 및 흡수액의 입구조건, 증발온도를 변화시켜가면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액막 레이놀즈수가 50이상에서는 액막두께에 의한 열저항이 증가하여 총괄 열전달계수의 증가정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1단 흡수식 히트트랜스포머에서 고온 흡수기의 액막 레이놀즈수는 50이 최적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때 고온 흡수기의 열전달률과 총괄 열전달계수는 각각 4.42 kW, 1,347 W/m$^{2}$K로 나타났다.

(2) 흡수기 입구 농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흡수기의 열전달률은 증가하였지만 총괄 열전달계수는 감소 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흡수기 내부의 압력이 동일할 때, 농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흡수액의 포화 온도와 흡수 구동력이 상승하여 희용액 및 온수 출구온도가 증가하였다.

(3) 고온수 관내 유속 증가에 따른 흡수기 열전달률의 증가정도는 관내 유속 1 m/s를 기준으로 크게 감소 하였다. 따라서 압력손실 및 펌프 동력을 고려하였을 때, 흡수기의 고온수 관내 유속은 1 m/s를 설계 기준 값으로 선정해야 한다. 고온수의 입구온도가 100℃에서 115℃로 증가함에 따라 흡수기의 열전달률은 약 47% 감소하였으며, 흡수기의 총괄 열전달계수는 실험 범위 내에서 관내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 약 23% 증가하였다.

(4) 증발온도를 72℃에서 84℃까지 증가시켰을 때, 고온수 입구온도에 따라 흡수기의 열전달률은 평균적으로 4 kW씩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고온수의 입구온도가 100℃, 증발온도가 84℃일 때 흡수기의 열전달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총괄 열전달계수는 농용액 유량이 동일할 때, 증발온도와 고온수 입구온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후 기

이 논문은 2020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 20202020800200, 열에너지 다소비 산업설비 스마트 설계 플랫폼 기술개발 및 실증).

References

1 
Na S. I., Lee Y. S., Lee G. B., 2017, A Study on the Energy Reduction of a Heating Network Through the Application of an Absorption Heat Pump,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5, pp. 239-248DOI
2 
Yoon J. S., Kwon O. K., Cha D. A., Bae K. J., Kim I. G., Kim M. S., Park C. W., 2017, Effect of Operation Conditions on the Performance of Type Ⅱ LiBr-H2O Absorption Heat Pump, Korean Journal of Air- 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9, No. 1, pp. 7-014DOI
3 
Parham K., Khamooshi M., Tematio D., Yari M., 2014, Absorption Heat Transformers-A Comprehensive Review, Renewable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34, pp. 430-452DOI
4 
Lubis A., Giannetti N., Yamaguchi S., Saito K., Inoue N., 2017, Experimental Performance of a Double-lift Absorption Heat Transformer for Manufacturing-process Steam Generation,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148, pp. 267-278DOI
5 
Wakim M., Rivera-Tinoco R., 2019, Absorption Heat Transformers : Sensitivity Study to Answer Existing Discrepancies, Renewable Energy, Vol. 130, pp. 881-890DOI
6 
Altamirano A., Stutz B., Le-Pierrès N., 2020, Review of Small-capacity Single-stage Continuous Absorption Systems Operating on Binary Working Fluids for Cooling : Compact Exchanger Technolo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114, pp. 118-147DOI
7 
Hoffmann L., Greiter I., Wagner A., Weiss V., Alefeld G., 1996,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Heat Transfer in a Horizontal Tube Falling Film Absorber with Aqueous Solutions of LiBr With and Without Surfactants, 1996,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19, No. 5, pp. 331-341DOI
8 
Kyung I. S., Herold K. E., 2002, Performance of Horizontal Smooth Tube Absorber With and Without 2-Ethyl-Hexanol, Journal of Heat Transfer, Vol. 124, No. 1, pp. 177-183DOI
9 
Kim J. K., Park C. W., Kang Y. T., 2003, The Effect of Micro-scale Surface Treatment on Heat and Mass Transfer Performance for a Falling Film H2O/LiBr Absorber,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26, No. 5, pp. 575-585DOI
10 
Yoon J. I., Phan T. T., Moon C. G., Lee H. S., Jeong S. K., 2008, Heat and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Horizontal Tube Falling Film Absorber With Small Diameter Tubes, Heat and Mass Transfer, Vol. 44, pp. 437-444DOI
11 
Miller W. A., 1996, The Synergism between Heat and Mass Transfer Additives and Advanced Surfaces in Aqueous LiBr Horizontal Tube Absorber, International Sorption Heat Pump Conference, Munich, Germany, Vol. , pp. 307-321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