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학생연구원 ( Ph.D. Candidate, University of Science Technology, Daejeon, 34113, Republic of Korea/ Student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Gyeonggi-do, 10223, Republic of Korea )
  2.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한국건설 기술연구원 연구위원 ( Professor, University of Science Technology, Daejeon, 34113, Republic of Korea/ Research Fellow,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Gyeonggi-do, 10223, Republic of Korea )
  3. ㈜비이엘테크놀로지 대표 ( CEO, BEL Technology, Seoul, 05548, Republic of Korea )
  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박사후연구원 ( Postdoctoral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Gyeonggi-do, 10223, Republic of Korea )



Condensation(결로), Hybrid ventilation system(하이브리드 환기), Ventilation system using centralized exhaust fan(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 Natural ventilation(자연환기),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전산유체역학)

1. 서 론

1.1 구 배경 및 목적

실내 표면 결로의 발생 원인은 차가운 표면과 높은 습도 두 가지로, 주택의 경우 동절기 단열성능 부족에 의한 표면 온도 저하와 거주자의 생활을 통해 발생하는 수증기가 대표적인 결로 발생의 원인이다. 결로 방지를 위해서는 각 취약부위를 포함한 세대 전체의 결로방지성능이 개선되어야 하는데, 현재의 법적 기준 및 성능은 부위별로 요구되고 있으며, 단열성능과 기밀성능에 기반하여 평가된다. Kim et al.(1)은 공동주택의 결로 저감을 위한 설계 기준 및 저감 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결로 취약 부위를 선정하여 열전달해석에 의한 결로 발생 유무를 검토하고 결로 방지를 위하여 단열재 두께 및 폭 조정, 창호의 유리 구성 변경 등과 같은 설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Choi and Cho(2)는 공동주택 결로 취약 부위별로 Mock-up 성능평가, 현장 성능평가,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검증 및 평가 결로방지 솔루션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선행 연구를 통해 제안된 솔루션들은 단열 또는 기밀을 개선을 통해 결로를 방지하는 기술들로, 생활습관 및 환기의 영향을 받는 습도 저감 기술이 동시에 적용되지 않는다면 결로를 방지할 수 없다.

최근 공동주택의 기밀성능이 우수해짐에 따라 실내공간에서 발생한 습기의 배출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는 결로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실내 공기질 악화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계획 환기의 도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2006년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서 공동주택의 환기회수 기준을 수립하는 등 환기의 중요성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세대 전체의 환기량이 충분히 확보되더라도 국소적인 정체 구간이 발생한다면 이 또한 결로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로 방지를 위해 자연환기구와 욕실/주방 배기시스템을 연동한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VCE, Ventilation system using centralized exhaust fan)을 제안하며,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를 통하여 공기 유동과 이에 따른 온습도 분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제 거주자가 생활하는 공동주택을 대상 으로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 적용에 따른 습도 저감 성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1.2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

본 연구에서는 결로 방지를 위해 루프팬과 연결된 공용 배기시스템과 자연환기구가 결합된 환기 시스템을 제안한다.

Fig. 1 The Conceptual diagram of VCE and natural ventilation.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fig1.png

Fig. 2 Roof fan of VCE.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fig2.png

적용된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은 공용 AD(Air Duct) 최상부에 에너지 절약형 루프팬을 설치하여 덕트 내부의 차압 조절기와 모터가 중앙 AD 내부와 외부 차압을 실시간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시스템으로, 전동식 정풍량 댐퍼를 이용하여 실내로부터의 배기량을 조절함으로써 환기량을 조절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Lee et al.(3)의 선행 연구에 따르면 실험주택에서 내부 창 및 자연환기구 개폐여부에 따라 환기율은 최대 0.54 회/h에서 최소 0.48 회/h의 환기량을 평균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용 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 개념도는 Fig. 1 공용 배기의 루프팬은 Fig. 2와 같다.

2. CFD를 통한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의 온습도 분포 분석

2.1 분석 방법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의 습도 저감 성능 분석을 위하여 자연환기를 설치했을 때와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을 설치했을 때로 나누어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평균 수증기 발생 상황과 취사 시 발생하는 최대수증기 발생 상황에서 공기 유동에 따른 온습도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시뮬레이션 대상은 바닥면적 48.9 ㎡의 표준 임대주택으로 실내 공간의 결로 발생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욕실에서 발생되는 습기는 고려하지 않아 모델링에서 제외되었고, 침실 2개와 거실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실의 창호 상부에는 실내외 압력차 2 pa일 때 50 ㎥/m의 환기량이 확보되는 슬릿형 자연환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외기와 접하는 발코니 벽체 상하에 관통형 자연환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욕실 입구에는 시간당 풍량 68.5 CMH인 루프팬에 의해 풍량이 0.5 ACH로 유지되는 AD와 연결된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연 환기구는 모두 열린 상태로 급기가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세대 규모 및 환기 설비의 설치 개요는 Table 1과 같고, 도면은 Fig. 3과 같다.

Table 1. The description of the Simulation house scales and the ventilation systems

Area

(㎡)

Height

(m)

Volume

(㎥)

Ventilation Systems

Type

Size

Number

Living/

Kitchen

25.4

2.8

71.2

Window type natural ventilation, Exhaust fan

(68.5 CHM)

750 ㎜

1 ea

Room 1

9.2

2.8

25.8

Wall type

natural ventilation

750 ㎜

1 ea

Room 2

7.4

2.8

20.8

600 ㎜

1 ea

Balcony

6.9

2.8

19.3

3.5 ㎠

2 ea

Table 2. Conditions for generating water vapor

Amount of Water Vapor

Remark

Average

0.12 kg/h

Average of the sum of daily water vapor generation

Maximum

0.9 kg/h

Cooking(2.7 kg/day, 3 times a day)

Fig. 3 Floor plan of Simulation house.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fig3.png

환기량 평가를 위해 Contam W 프로그램의 Air network model를 활용하였고, 기류 분석은 CD-Adapco의 Star- CCM+ ver.10을 활용하였다. 시뮬레이션 수행 시 정상상태에서 3차원 분석으로 진행하였고, Polyhedral mesh는 680,974 cells로, 기타 조건은 Constant density, Multi-component gas, K-Epsilon Turbulence/Gravity, Segregated flow/Segregated fluid temperature로 설정하였다. 실내외 조건은 ‘공동주택 결로방지를 위한 설계기준’에 따라 실내온도 25℃. 상대습도 50%, 외기온도 0℃로 설정하였고, 발코니는 비난방공간이므로 10℃로 설정하였다.(4) 세대 내 수증기 발생조건은 Table 2와 같다.

2.2 분석 결과

2.2.1 환기량 및 외기 유출입 경로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의 습도 저감 성능 분석을 위하여 각 환기시스템 적용에 의한 세대의 환기량 및 외기 유출입 경로에 대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Fig. 4Fig. 5와 같다. 자연환기(외기 무풍 조건) 적용 시 세대 전체의 평균 환 기량은 0.15 ACH로 분석되었고,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의 경우 0.5 ACH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공용배기 활용 환기시스템이 추가 적용되어 세대 중앙부인 욕실 입구에 설치된 배기구를 통하여 시간당 0.5 ACH 강제 배기가 이루어져 외기의 유입이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외기의 유출입 경로를 분석한 결과, 자연환기의 경우 Room 2에 설치된 자연환기구를 통하여 유입된 외기가 거실 및 Room 1에 설치된 자연환기구를 통하여 발코니로 이동하고, 이후 발코니의 자연환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발코니 내부에서도 대류에 의하여 외기가 일부 유입되어 발코니의 공기온도 저하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의 경우 외기와 접한 Room 2와 발코니를 통하여 양 방향 으로 외기가 유입되어 배기구가 있는 세대 중앙으로 이동한 후, 욕실에 설치된 배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결로발생 가능성 분석 결과, 자연환기의 경우 실내공간을 거치며 다량의 수증기를 포함한 고온 다습한 공기가 발코니로 이동하여 외기와 접한 차가운 벽체와 만나 결로 발생 위험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자연 환기로 인한 공기 유동은 실내외/온도차, 외부 바람 등과 같은 자연적 구동력에 의해서만 발생하기 때문에 국소적으로 공기 정체가 결로발생 위험을 더욱 높인다. 특히 실내 습도 발생량이 클 경우 결로 발생 위험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의 경우 외기의 유입으로 공기 온도 저하와 이로 인한 결로가 우려되나, 발코니를 통해 유입된 차가운 외기가 다시 발코니 분합창의 자연환기구를 통하여 실내로 이동한 후, 욕실 배기팬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결로 발생의 위험이 자연환기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Fig. 4 Flow path of natural ventilation.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fig4.png

Fig. 5 Flow path of VEC.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fig5.png

2.2.2 실내 온도 분포

공용배기 적용 환기 시스템의 습도저감 성능 분석을 위해 실내 공기온도 분포를 분석하고 이를 자연환기 적용 케이스와 비교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환기 시스템에 무관하게 모든 케이스에서 실내 난방공간은 설정온도인 25℃의 공기온도가 고르게 분포하였고, 비난방공간인 발코니는 5~15℃ 사이의 상대적 으로 낮은 온도가 분포하였다. 공기온도가 가장 낮은 부위는 비난방 공간의 외기 유입구인 발코니의 자연환기구 주변이었고, 공기온도가 가장 높은 부위는 FL+0.3 m의 낮은 높이의 중앙부로 나타났다. 습기 조건에 따른 공기온도 분포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환기조건에 따른 공기온도 분포는 국부적으로 차이가 발견되었다.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 적용 시 발코니 자연환기구를 통한 외기의 유입이 활성화되어 발코니 및 벽체 일부에서 자연환기보다 공기온도가 더 낮은 경우가 발생하였으나, FL+0.3 m의 높이에서는 30℃ 이상인 고온의 공기온도가 자연환기에 비하여 적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온도 차이는 자연환기 조건과 비교 하였을 때 국부적으로 나타났으며, ASHRAE(5)에서 정의하고 있는 SET*(The Standard Effective Temperature)의 실내 쾌적 범위인 23℃~27℃(활동량 1.0 met, 착의량 0.6 clo, 상대습도 50%, 풍속 0.1 m/s 조건)를 벗어나지 않아 거주자 온열환경의 불쾌적 요인으로 해석할 수 없다.

Table 3.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s

Water Aapor Generation Condition

Ventilation System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FL+2.1 m

(Natural Ventilation Installation Height)

FL+1.9 m

(Height of the Upper Balcony Ventilation)

FL+1.0 m

(Indoor Middle Height)

FL+0.3 m

(Installation Height of the Lower Balcony Ventilation)

-

Average

Natural Ventilation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3_1.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3_2.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3_3.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3_4.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3_5.png

VEC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3_6.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3_7.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3_8.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3_9.png

2.2.3 세대 내부 표면 상대 습도 분포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의 습도 저감 성능 분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 이를 횡/단으로 절단하여 세대 내부 표면의 상대습도 분포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4Table 5와 같다.

평균 습도 조건일 때 자연환기 적용 시 실내 난방공간은 설정 습도와 유사하게 50% 내외의 상대습도로 분석되었으나, 비난방공간인 발코니의 경우 100%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실내 공간에서는 높이에 따른 습도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외기와 직접 면하는 Room 1의 자연환기구 부위도 주변부와 유사한 상대습도를 나타냈다. 발코니의 경우 외기와 직접 면하는 모든 부위의 상대습도가 100% 이상으로 결로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았으며, 특히 상부로 갈수록 상대습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의 경우 모든 공간이 50% 내외로 설정 상대습도가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코니와 실내공간의 차이도 발생하지 않아 설정한 상대습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습도 조건일 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연환기 적용 시 바닥면을 제외한 모든 구조체 표면의 상대습도가 120% 이상으로 결로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그 중 외기와 접하는 발코니는 200% 이상의 상대습도로 나타났다. 반면,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의 경우 전체적인 상대습도가 100% 이하로 분석되었고, 발코니의 경우 실내공간 보다 더 낮은 50% 이하의 상대습도로 나타났다.

Table 4. Relative humidity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s under average water vapor generation condition

Natural Ventilation

VEC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1.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4.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9.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12.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17.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5.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13.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6.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14.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2.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7.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10.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15.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3.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8.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11.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4_16.png

Table 5. Relative humidity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s under average water vapor generation condition

Natural Ventilation

VEC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1.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4.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9.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12.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17.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5.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13.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6.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14.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2.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7.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10.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15.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3.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8.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11.png>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table5_16.png

2.2.4 소결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 적용으로 인한 습도 저감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실내 공기온도 및 세대 내부 표면의 상대습도를 분석하고 이를 자연환기 적용 케이스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 적용 시 국부적으로 공기온도가 자연환기보다 낮은 분포가 나타났지만, 방 전체의 공기온도 평균을 분석한 결과 실내공간 및 발코니 모두 약 1℃ 내외의 근소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환기 시스템에 따른 실내 평균 공기 온도는 Fig. 6과 같다.

환기 시스템에 따른 세대 내부 표면의 상대습도를 분석한 결과 자연환기 적용 시 습도조건에 관계없이 상대 습도가 100%를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 적용 시 모든 조건에서 상대습도가 100% 미만으로 분석되었다. Fig. 7은 세대 내부 표면의 상대습도 중 최대값을 비교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대 습도 분포에 다른 경향이 나타나는 이유는 외기 유출입 경로에 따른 차이 때문이다. 자연환기의 경우 실내에서 발생한 고온 다습한 공기가 발코니로 이동하여 외기에 의해 차가워진 구조체와 만나 상대습도를 높이고,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의 경우 발코니와 Room 2를 통해 들어온 저온저습한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듯한 실내공간을 거쳐 욕실 배기팬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상대습도가 균일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Fig. 6 Difference of ai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s.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fig6.png

Fig. 7 Difference of relative humidity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s.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fig7.png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일부의 조건에서 100% 이상의 상대습도가 나타나지만, 실제로 공기 중 상대 습도는 100%를 상회할 수 없으며, 100%에 도달할 경우 응결하여 결로 수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대습도 200%는 해당 공간에 공기가 수용할 수 있는 수증기량의 두 배가 포함되어 있고, 현재 수증기량의 절반 이상이 응결 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 본 해석에서는 응결에 따른 수증기량 저감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상대습도가 100% 이상일 경우 결로가 발생되는 조건으로 판단한다.

3. 실증을 통한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의 습도저감 성능 분석

3.1 실험 방법

공용배기활용 환기 시스템의 결로 저감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상 세대는 경남 진주의 L 아파트 1세대로, 모든 창호에 자연환기구가 적용되었고, 욕실 및 주방 배기구가 루프팬과 연결된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실제로 성인 4명 아동 2명이 거주하는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하였고, 실험 케이스는 Table 6과 같이 공용배기를 가동한 경우(공용배기 활용 환기시스템)/미가동한 경우(자연환기)로 나누어 케이스별 각 2일씩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중 외기 조건이 유사한 날을 선정하여, 환기 시스템을 가동 후 한 시간이 지난 8시부터 가동 종료 시간인 20시까지 12시간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실내 공간은 실내 온습도 분포를 대표하는 거실과 결로의 주요 발생 공간인 세탁실, 대피공간, 발코니 총 5 지점을 선정하였고, 결로 저감 성능 평가를 위하여 온습도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실험 대상 세대의 평면도는 Fig. 8과 같고, 측정 지점 사진은 Fig. 9와 같다.

Table 6. The ventilation systems operating conditions

Measurement Date

Condition

Case 1

02.06~07

Natural ventilation openings from 7AM to 8PM

Case 2

02.10~11

VCE operation from 7AM to 8PM

Fig. 8 Floor plan of the experimental house.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fig8.png

Fig. 9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ment points for each room.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fig9.png

Table 7. The average measurement values according to the ventilation systems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bsolute Humidity(kg/kg)

Case 1

Case 2

Case 1

Case 2

Case 1

Case 2

Outdoor

5.1

5.62

44.53

44.26

0.0022

0.0023

Indoor

Living Room

23.16

22.04

62.43

33.42

0.0111

0.0055

Laundry Room

11.5

9.41

74.04

49.96

0.0063

0.0036

Evacuation Space

7.56

5.48

80.38

56.31

0.0052

0.0031

Balcony

8.95

6.32

40.74

69.82

0.0029

0.0042

Fig. 10 Absolute humidity of Case 1.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fig10.png

Fig. 11 Absolute humidity of Case 2.
../../Resources/sarek/KJACR.2021.33.2.055/fig11.png

3.2 실험 결과

공용배기 활용 환기시스템의 결로 저감 성능평가를 위하여 각 각의 환기시스템 가동 전/후 각 공간의 공기 온도, 상대습도, 절대습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평균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공기 온도 비교 결과 Case 1 모든 실의 공기온도가 더 높은 것으로 측정 되었다. 결로 취약부위인 세탁실, 대피공간, 발코니의 경우 각 각 2.09℃, 20.9℃, 2.63℃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실내공간을 대표하는 거실은 1.12℃로 미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상대습도 비교 결과 Case 1이 전체적으로 습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거실은 Case 2와 비교하였을 때 상대습도가 46.47% 더 높아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반면 발코니의 경우 Case 2의 상대습도가 29.08%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절대습도 역시 상대습도와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Case 1의 거실, 세탁실, 대피공간의 절대습도가 더 많았고, 발코니만 Case 2가 많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상세 분석을 위해 Case별 절대습도 측정값을 그래프로 그린 것은 Fig. 10Fig. 11과 같다.

절대습도 분석 결과 Case 1의 경우 자연환기구가 개방되는 오전 7시를 기점으로 욕실의 절대습도는 감소하고 거실, 세탁실, 대피공간의 절대습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Case 2 경우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는 7시 이후 욕실을 비롯한 거실, 세탁실의 절대습도가 감소하였고, 발코니와 대피공간의 절대습도는 증가하였다. 이는 환기 시스템 가동으로 욕실의 수증기가 공기와 함께 유동하여 거실 중앙부를 지나 세탁실, 대피공간, 발코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Case 2에 적용된 환기시스템의 환기량이 더 많기 때문에 절대습도 감소 폭이 더 크고 각 실별 습도의 편차가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4. 결 론

결로 방지를 위한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의 습도 저감 성능 분석을 위하여 CFD를 통해 공기온도, 상대습도 분포를 분석하였고, 실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온습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FD를 통해 환기 시스템 적용에 따른 실내 평균 온습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내 공기온도는 약 1℃ 내외로, 근소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상대습도의 경우 자연환기의 적용 시 평균 수증기 발생 조건에서 발코니의 상대습도가 119.5%로 결로 발생 조건이 형성되며, 최대 수증기 발생 조건에서는 실내 최대 상대습도 127.9%, 발코니 최대 상대습도 206.2%로 발코니 뿐 아니라 실내에서도 결로 발생 조건이 형성된다. 반면,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의 경우 모든 조건에서 최대 상대습도가 100% 미만으로 결로 발생 조건이 형성되지 않는다.

(2) 실험을 통한 환기 시스템 적용에 따른 실내 평균 공기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 가동 시 자연환기구만 개방 조건과 비교하여 거실은 1.9℃, 세탁실, 발코니, 대피공간은 평균 2.27℃ 더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절대습도 분석 결과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 가동 시 자연환기 개방 조건과 비교하여 거실, 세탁실, 대피공간 경우 50.45%, 42.86%, 40.38% 절대습도가 더 적었으나, 발코니의 경우 30.95% 더 많았다. 이는 환기시스템을 통해 제거되지 않은 수증기 중 일부가 활발해진 공기 유동으로 인해 각 실로 고르게 분포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용배기 활용 환기 시스템 적용 시 자연환기보다 습도저감 성능이 높고, 이는 결로 방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해석에서는 시뮬레이션 수행 시 결로수 응결에 따른 수증기량 저감, 온도 저감에 대한 변화가 반영되지 않는 시뮬레이션의 한계가 있다. 또한, 실 거주 세대에서 진행된 현장실험의 제약으로 실험 결과에 대한 일반화가 어려운 한계가 있기 때문에 추후 이에 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후 기

이 연구는 2020년도 국토교통부 주거환경연구사업의 연구비지원(20RERP-B082204-07)에 의해 수행국토교통에 의한 결과의 일부임.

References

1 
Kim J. Y., Hwang H. J., Kim G. T., Ryu C. S., Kim G. S., 2014, A Study on the Prevention of Condensation in Apartment Buildings,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pp. 241Google Search
2 
Choi G. S., Cho S. H., 2018, Development of Building Technology to Preventing Condensation in Apartment Building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62, No. 5, pp. 36-41Google Search
3 
Lee J. E., Kang J. S., Kim Y. M., 2015, The Ventilation Performance Analysis of a Fan-assisted Hybrid Ventilation System, Journal of Journal of Korean Living Environment System, Vol. 22, No. 3, pp. 454-459Google Search
4 
Ministry of Land , 2014,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esign Standards for Prevention of Condensation in Multi- family HousingGoogle Search
5 
ASHRAE , 2013, ASHRAE Standard 55, Thermal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Human OccupancyGoogle Search
6 
Kim Y. M., Lee J. E., Choi G. S., Lee Y. J., Kang J. S., 2015, Evaluation of Condensation Prevention for Centralized Hybrid Ventilation System Using TDR,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Journal, Vol. 15, No. 6, pp. 81-86DOI
7 
Kang S. Y., Cho W. J., Kim Y. T., Lee Y. J., 2014, Insulation and Ventilation Methods for Apartment Balcony to Reduce Condensation Problems(2)-Ventilation Characteristic Analysis with Simulation, Conferenc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4, No. 2, pp. 363-364Google Search
8 
Song D. S., 2015, Indoor Moisture Generation Rates and Ventilation Methods for Humidity Control in Multi- residential Building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Review of Arc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Vol. 59, No. 9, pp. 27-31Google Search
9 
Cho W. J., Kang S. Y., Kim Y. T., Lee Y. J., 2014, Insulation and Ventilation methods for Apartment Balcony to Reduce Condensation Problems(1)-Design Guideline by Case Study”, Conferenc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4, No. 2, pp. 361-362Google Search
10 
Suh H. S., Ryu S. R., 2012, An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Effect of the Ventilation System on the Condensation Reduc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7, No. 1, pp. 1027-1028Google Search
11 
Myeong J. M., Sin J. S., Choi Y. H., Shin S. Y., Song D. S., 2016, Proposal of a Control Logic of Hybrid Ventilatio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Vol. 2016, No. 6, pp. 6-9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