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상원
(Sang Won Yang)
1
정석권
(Seok Kwon Jeong)
†
-
부경대학교 대학원 냉동공조공학과 학생
(
Student, Graduate School of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45, Yongso-ro, Nam-gu, Busan, Republic of Korea
)
-
부경대학교 냉동공조공학과 교수
(
Professor, Department of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45, Yongso-ro, Nam-gu, Busan, Republic of Korea
)
Copyright © 2016,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s of Korea
Key words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가변속 냉동시스템), Sliding mode control(슬라이딩 모드 제어), Optimal switching hyper-plane(최적 절환 초평면), Model uncertainty(모델 불확실성), Robust control(강인 제어)
기호설명
$A,\: B,\: C$:
계수 행렬 [-]
$d$:
부동작 시간 [sec]
$f_{i}$:
인버터 주파수 [Hz]
$H$:
정방행렬 [-]
$J$:
평가함수 [-]
$K$:
DC gain [-]
$Ks$:
스위칭 게인 [-]
$Q$:
하중함수 [-]
$r$:
지령값, 입력 [-]
$S$:
절환 초평면 기울기 [-]
$s$:
복소 변수 [-]
$sgn$:
부호 함수 [-]
$T_{o}$:
오일출구온도 [℃]
$T_{s}$:
과열도 [℃]
$U$:
가제어 행렬 [-]
$u$:
제어 입력 [V]
$uc$:
연속 제어 입력 [V]
$us$:
불연속 제어 입력 [V]
$V$:
Lyapunov 함수 [-]
$V_{o}$:
EEV 개도 지령 [step]
$x$:
상태변수 [-]
$y$:
출력변수 [-]
$\Delta$:
변화량 [-]
$\delta$:
시그모이드 함수 계수 [-]
$v$:
보조변수 [-]
$\sigma$:
절환 초평면 [-]
$\tau$:
시정수 [sec]
하첨자
$c$:
Compressor [-]
$e$:
EEV [-]
$l$:
선형화 [-]
$m$:
확대계 [-]
1. 연구배경 및 목적
가변속 냉동 시스템(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VSRS)은 VSD(Variable Speed Drive),
VRF(Variable Refrigerant Flow) 시스템 등으로 호칭되며, 부분 부하 대응 능력 및 에너지 절약 성능이 뛰어나 산업 전반에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1-12) MBM(Moving Boundary Model)을 적용한 VSRS의 해석학적 상태 공간 모델은 매우 복잡한 고차의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된다.(8) 최적제어와 같은 현대제어 이론을 적용하기 위해 선형화, 저차원화를 통해 얻은 실용적인 상태 공간 모델은 그 자체로도 모델의 불확실성(uncertainty)을
다수 내포하지만, 모델의 파라미터 동정(identification) 과정에서 모델의 불확실성이 한층 증대되어 모델 기반 제어
에서는 정밀한 제어 성능을 확보하기 어렵다.(7,8,10) 뿐만 아니라 상태 공간 모델 기반 제어는 상태변수의 피드백이 필수적이므로 다수의 상태변수를 갖는 고차의 상태 공간 모델은 우선 상태변수들의 물리적
의미 파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태변수를 관측하기 위해 설계된 관측기(observer)의 타당성을 검증하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복잡한 문제들을 피하기 위해 VSRS의 전달함수 모델을 기반으로 제어기를 설계하는 방법들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2,4,12) 이 방법은 동작점 근방에서 조작량 변동을 통해 제어량의 동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실험적
으로 전달함수 모델을 구하므로 모델링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이 전달함수 모델은 특성 파라미터를 통해 제어
대상의 거동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도 매우 쉽다. 하지만 이렇게 구한 공칭 전달함수 모델은 특정한 열 환경, 동작점(온도), 조작량의 미소 변동 하에서
얻어진 것이므로 이들 실험 조건이 다르거나 실제 운전 환경이 이 실험 조건과 다르게 되면 공칭 전달함수의 특성 파라미터가 수 십% 범위까지 변동한다.
또한, 냉동사이클의 경우 장치 주변 온도를 포함해 열부하도 수시로 변동한다. 이러한 모델 불확실성과 외란으로 인해 기존의 공칭 전달함수 모델 기반의
PID(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제어와 일반적인 최적제어 방법으로는 정밀한 제어 성능을 확보하기 어렵다.(12) 또한, 기존의 VSRS 제어 관련 연구들 대부분이 공칭 모델 기반이어서 VSRS처럼 모델의 불확실성이 큰 경우에는 제어의 강인성(robustness)을
확보하기 어렵다.(12) 따라서 VSRS의 정밀한 온도 제어를 위해서는 제어기 설계에 용이한 실용적인 모델 구축과 이를 토대로 파라미터의 불확실성에 강인한 제어기 설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열부하 변동을 포함한 모델의 불확실성을 갖는 VSRS의 강인한 제어 성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발표
되었다.(4,10,12) VSRS를 대상으로 한 제어기는 일반적으로 이 냉동사이클이 적용된 장치에 요구되는 제어 정도
(accuracy)와 장치에 대한 동특성 모델링의 용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모델 불확실성이 큰 시스템에 대해서도 강인한(robust)
제어 성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설계한다. 슬라이딩 모드 제어(Sliding Mode Control; SMC)에 사용된 상태
공간 모델은 동작점 근방에서 실험을 통해 구한 전달함수 모델로부터 유도하였다. SMC 설계 시에는 부동작 시간(dead time)을 갖는 1차계 전달함수
공칭 모델에 Pade 근사(Pade approximation)를 적용해 구한 2차계의 선형 상태 공간 모델을 이용하였다. 특히, SMC는 모델 불확실성과
다양한 외란 하에서도 강인한 제어 성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정상상태오차를 신속히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최적 절환 초평면(optimal switching
hyper-plane)을 갖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지령값이 동작점 부근에서 변동하더라도 이를 추종할 수 있도록 제어기를 서보계 형태로 확대하여 설계하였다.
SMC를 설계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채터링(chattering)을 줄이기 위해 부호 함수(signum function) 대신 시그모이드 함수
(sigmoid function)를 적용하였다. 설계된 제어기는 VSRS가 장착된 오일쿨러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으며, 기존의
PI 제어기와 제어 성능 차이를 실험적으로 비교함으로써 그 유효성을 입증
하였다.
2. VSRS의 최적 슬라이딩 모드 강인 서보 제어기 설계
2.1 VSRS의 상태 공간 모델링
Fig. 1은 VSRS로 구성된 오일쿨러 장치의 모식도이다. 부분 부하 시 압축기 회전 속도를 가변속함으로써 냉매의 질량유량을 변화시켜 오일출구(혹은 입구)온도를
지령값에 신속히 추종시킨다. 이때 냉매의 급격한 질량
유량 변화로 인한 액백(liquid back) 현상이나 과열 증기 압축으로 인한 COP 저하를 막기 위해 EEV(Electronic Expansion
Valve) 개도를 제어함으로써 과열도(superheat)도 동시에 제어한다.
Fig. 2는 VSRS의 압축기와 EEV의 전달함수 모델을 구하기 위한 입․출력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VSRS 제어계의 제어량은 오일출구온도 $T_{o}$와
과열도 $T_{s}$이고, 조작량은 인버터 주파수 $f_{i}$ [Hz]와 EEV 개도 지령인$V_{o}$ [step]이다. 그림에서 $G_{1}(s),\:
G_{4}(s)$는 제어대상인 압축기와 EEV의 전달함수이고, $G_{2}(s),\: G_{3}(s)$는 압축기와 EEV 조작량이 상대방의 제어량에
미치는 간섭항의 전달함수를 각각 나타낸다.
Fig. 3은 VSRS의 압축기 조작량 $f_{i}$가 $T_{s}$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실험으로 구한 결과와, 이 결과로부터 유도한 전달함수 $G_{2}(s)$$(=\dfrac{348.1s-0.467}{885s+1})$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시뮬레이션 시에는 실험 결과와의 엄밀한 동특성 비교를 위해 $G_{2}(s)$는 외란의 형태로 반영하였지만, $G_{3}(s)$는
$T_{o}$에 미치는 영향이 극히 미미하였으므로 제외하였다.
Fig. 1 Oil cooler system with VSRS.
Fig. 2 Input and output variables of transfer functions for a compressor and EEV.
Fig. 3 Interference effect of compressor frequency variation on superheat.
전달함수 $G_{1}(s),\: G_{4}(s)$는 동작점 근방에서 조작량의 미소 변동 실험을 통해 얻은 제어량의 동특성을 분석해 구하였다. 또한,
$G_{1}(s)$를 구할 때는 EEV의 조작량을 일정(constant; c) 값으로, $G_{4}(s)$의 경우에는 $f_{i}$를 일정 값으로
고정하였다.
식(1)은 압축기의 인버터 지령 주파수 변화량 $\Delta f_{i}$에 따른 $T_{o}$의 변화량 $\Delta T_{o}$ 및 EEV 개도 지령 변화량
$\Delta V_{o}$에 따른 $T_{s}$의 변화량 $\Delta T_{s}$에 대한 전달함수이다.
식(1)에서 $G_{1}(s),\: G_{4}(s)$는 부동작 시간 $d$를 갖는 전형적인 1차계 전달함수 형태인 $\dfrac{K}{\tau s+1}e^{-ds}$로
비선형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tau ,\: K$는 1차계 전달함수의 특성 파라미터로 시정수(time constant)와 DC 게인을 각각 나타내며
이를 통해 제어 대상의 동특성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식(1)의 전달함수는 부동작 시간 항인 $e^{-ds}$항을 Pade 1차 근사법을 적용함으로써 2차계의 선형화된 전달
함수 모델인
식(2)로 유도된다. 여기서 하첨자 ‘$l$’은 선형화 전달함수 모델임을 의미한다.
SMC 설계를 위해서는 상태 공간 모델이 필요하므로 식(2)의 전달함수는 상태방정식 $\dot x = Ax+Bu$와 출력
방정식 $y=Cx$의 형식으로 식(3), 식(4)와 같이 각각 유도된다. 이때 압축기와 EEV의 상태방정식은 $\dot x_{ic}=A_{c}x_{ic}+$ $B_{c}u_{c}$, $\dot x_{ie}=A_{e}x_{ie}+B_{e}u_{e}(i=1,\:2)$,
출력방정식은 $y_{c}=C_{c}x_{ic}$, $y_{e}=C_{e}x_{ie}$의 형식으로 각각 구해졌다. 여기서 상태
변수 $x_{i}$는 상태 공간 모델 변환 과정에서 정의된 식으로 특정 물리량을 의미하지 않는다.
식(3)과
식(4)에서 하첨자 ‘c’와 ‘e’는 압축기(compressor)와 EEV를, 출력변수 $y_{c},\:y_{e}$는 오일출구온도 $T_{o}$와 과열도
$T_{s}$를 각각 의미한다. 또한, $u_{c}$와 $u_{e}$는 압축기의 회전수와 EEV의 개도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량인 압축기 인버터 주파수
$f_{i}$와 EEV 드라이브 개도 지령 $V_{o}$를 각각 나타낸다. 이들 수식 변환 과정에서 얻어지는 $A(2\times 2),\: B(2\times
1),\:C(1\times 2)$는 계수 행렬이다.
최적 슬라이딩 모드 서보 제어계에 적용하기 위해 식(3)과 식(4)를 가제어 표준형(controllable canonical form) 상태 공간 모델인 식(5)와 식(6)으로 변환한다. 이 모델은 변환 행렬 $T=UH$를 이용, $x=Tz$의 선형 변환을 통해 얻어졌다. 여기서 $U(=[B AB\cdots A^{n-1}B])$는
식(3)과 식(4)의 가제어 행렬, $H$는 행렬 $U$의 특성방정식의 계수로 구성된 정방행렬을 각각 나타낸다.
2.2 최적 절환 초평면을 갖는 슬라이딩 모드 서보 제어기 설계
Fig. 4 Conceptual diagram of SMC.
Fig. 5 Simplified SMC control system for VSRS.
슬라이딩 모드 제어는
Fig. 4와 같이 피드백 되는 상태변수의 조건에 따라 선형, 비선형 시스템의 구조를 바꾸면서 동적 특성을 변경하는 가변 구조 제어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외란,
모델 불확실성 및 파라미터 변동에 강인한 제어 방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3-17) SMC 설계에서는 2.1절에서 구한 상태 공간 모델링 및
Fig. 4와 같은 절환 초평면 $\sigma$를 설계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리고 설계된 절환 초평면에 상태변수 $x_{i}(i=1,\:2)$를 구속
시키기 위해 불연속 제어 입력 $us$(switching input) 및 연속 제어 입력 $uc$(continuous input)를 설계한다. 제어대상에
인가되는 전체 조작량 $u$는 $u=uc+us$로 구성되며, 슬라이딩 모드에서는 $uc$가, 그리고 초기 상태나 슬라이딩 평면을 벗어날 경우, 스위칭
평면에 재 도달시키는 역할을 $us$가 담당한다.
Fig. 5는 SMC 제어계의 개략도이다.
식(5), 식(6)의 표준형 상태 공간 모델을 기반으로 압축기와 EEV 제어용 최적 절환 초평면을 설계한다. 이때 평가함수 $J$는 슬라이딩 평면(절환 초평면)에서의
상태변수 $x$($x\in R^{2}$)의 변동을 최소화 하도록 $J=\int_{t_{s}}^{t}(x^{T}Q x)dt$로 정한다. 여기서 $Q$($Q\in
R^{2\times 2}$)는 하중함수로 $Q_{12}=Q_{21}^{T}$이다. 또한, 상첨자 ‘$T$’는 행렬의 전치(transpose)를 나타
낸다. 이 평가함수 $J$를 최소로 하는 최적 절환 초평면 $\sigma =S_{1}x_{1}+S_{2}x_{2}$를 구하기 위해 보조변수 $v$($=x_{2}+Q_{22}^{-1}Q_{12}^{T}x_{1}$)
를 도입하여 기존의 평가함수 $J$를 2차형식의 일반적인 평가함수 $J_{2}(=\int(x_{1}^{T}Q_{11}^{*}x_{1}+v^{T}Q_{22}v)dt)$로
변환한다.(14) 여기서, $S_{1},\: S_{2}$는 최적 절환 초평면의 기울기, $Q_{11}^{*}$는 $Q_{11}^{*}=Q_{11}-Q_{12}Q_{22}^{-1}Q_{12}^{T}$를
나타낸다.
한편, 이 보조변수 $v$를 이용하면, 식(5)와 식(6)의 상태방정식은 최종적으로 $\dot x_{1}=A_{11}^{*}x_{1}+A_{12}v$의 형식으로 정리된다. 여기서 $A_{11}^{*}$는
$A_{11}^{*}=A_{11}-A_{12}Q_{22}^{-1}Q_{12}^{T}$이다. 따라서, 이 상태방정식과 2차형식의 평가함수 $J_{2}$를
최소로 하는 해 $v$는 식(7)의 리카티방정식(Riccati equation)의 해인 행렬 $P$를 통해 $v=-Q_{22}^{-1}A_{12}^{T}P x_{1}$으로 구해진다.
이를 앞서 정의한 $\nu =x_{2}+Q_{22}^{-1}Q_{12}^{T}x_{1}$에 대입하면, 최적 절환 초평면은 식(8)과 같이 유도된다.
서보계로의 확장을 위해 입력 $r$과 출력 $y$의 차를 적분한 변수 $z$(=$\int(r-y)dt$)를 도입하여
식(5)와
식(6)을
식(9)와 같은 확대계로 표현하면, 절환 초평면 역시 서보계로 확대되어
식(10)과 같이 유도된다. 여기서 하첨자 ‘$m$’은 확대계로 표현된 상태변수를 나타낸다.
제어 입력은
식(10)의 $\sigma_{m}$에 관한 Lyapunov 함수를 $V=(\sigma_{m}^{T}\sigma_{m})/2>0$와 같이 정의하고, 그 미분
값인 $\dot V\le 0$를 만족하는 $u$를 구하면 설계된 제어계가 점근 안정하게 된다.
식(11)은 $\dot V =\sigma_{m}^{T}\dot\sigma_{m}=0$를 만족하는 연속 제어 입력을 구하기 위해 슬라이딩 모드의 조건 $\dot\sigma_{m}=S_{m}\dot
x_{m}=0$를 대입한 결과이다. 이 식으로부터 연속제어 입력 $uc$가
식(12)와 같이 구해진다. 불연속 제어 입력 $us$는 $\dot\sigma_{m}=-M sgn(\sigma_{m})$를 가정, 전체 제어 입력 $u=uc+us$에
입력한 후, 안정 조건을 만족하도록
식(13)과 같이 유도된다. 시스템의 상태가 슬라이딩 평면상에 있을 때의 연속 제어 입력인 $uc$는 $\sigma_{m}=\dot\sigma_{m}=0$의
조건에서 유도되었으며, 슬라이딩 모드가 아닐 때 스위칭 평면으로의 복귀를 위한 불연속 제어 입력인 $us$는 Lyapunov의 제2법칙인 도달법칙을
사용하여 유도되었다.
여기서 기호 ‘$sgn$’은 부호 함수를 의미하며, $\sigma_{m}SUCC0$이면 ‘+1’, $\sigma_{m}PREC0$이면 ‘$-$1’값을
갖는다. 또한, 불연속 제어 입력의 계수 $Ks$($Ks SUCC 0$)는 스위칭 게인(switching gain)으로 절환 초평면에 도달하는 속도를
결정한다.
3. 시뮬레이션과 실험 결과 및 고찰
Fig. 6과 Fig. 7은 본 논문에서 설계한 제어기의 타당성 검증에 사용된 실험장치의 개략도 및 실험을 위한 Matlab Simulink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Table 1과 Table 2는 실험장치의 냉동사이클과 부속기기의 주요 사양을 각각 나타낸다. 공작기계를 대신한 열부하로는 전기히터를 사용하였고, 제어장치로는 Matlab real-time
기반의 PXIe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압축기 회전수 제어를 위한 인버터는 범용 ‘$V/f$ = 일정’ 타입을 사용하였다. 온도 센서는 K-type
열전대를 사용하였으며, 인버터와 EEV 드라이브의 제어 입력은 Matlab에서 설계된 제어 로직에 따라 계산된 조작량을 PXIe 장치를 통해 아날로그
전압 지령으로 출력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실험에서는 VSRS인 오일쿨러를 대상으로 지령값 변경과 열부하 변동 두 가지 조건에 대하여 SMC와 PI 제어기의 제어 성능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SMC 제어기가 외란과 모델 파라미터 불확실성에 강인함을 검증한다. 시뮬레이션 및 실험에서 초기 조건은 $T_{o}$ = 30℃, $T_{s}$ =
7℃로 유지하였으며 열부하의 경우, 장치의 정격 부하인 1.68 kW를 전기히터를 통하여 인가하였다. 지령값 변경에 대한 강인성을 검토하기 위해,
1,000 초에 $T_{o}$의 지령값을 30℃에서 25℃로 변경하였고, $T_{s}$의 지령값은 액압축 현상 방지와 COP를 최대값으로 유지하기
위해 전 구간 7℃로 설정하였다. 열부하 변동의 경우, 4,000 초에 정격 열부하인 1.68 kW에서 10% 감소시킨 1.51 kW로 변경하였으며,
6,000 초에 정격 열부하의 10%를 증가시킨 1.85 kW로 변경하였다.
Fig. 6 Experimental system.
Table 1. Specifications of the test unit
Component
|
Note
|
Compressor
|
Rotary type, 30-90[Hz], 0.86[kW]
|
EEV
|
0~2000[step], 12[V]
|
Condenser
|
Air-cooled fin and tube type, 5.24[kW]
|
Evaporator
|
Bare tube coil type, 2.1[kW](max.)
|
Refrigerant
|
R-22,0.9[kg](max.)
|
Fig. 7 Matlab simulink block diagram.
Table 2. Specifications of the attached devices and oil
Component
|
Note
|
Inverter
|
4.5[kVA], 3phase, PWM, V/f=C type
|
EEV drive
|
4[W], 24[V], Bipolar type
|
Heater
|
4.5[kW](max.)
|
Oil tank
|
Immersion type, 400mm×400mm×385mm
|
Oil
|
ISO VG 10, Velocite oil No.6, 40[L]
|
Table 3. Gains of PI controller and SMC design parameters
Controller
|
PI
|
SMC
|
Component
|
P gain
|
I gain
|
Anti-windup
|
Sigmoid func.($\delta$)
|
Weighting func.
|
Switching gain($Ks$)
|
Compressor
|
-1
|
-0.01
|
-0.5
|
$1.2\times 10^{5}$
|
diag([0.063 0.0115])
|
200
|
EEV
|
-0.02
|
-0.0009
|
-0.01
|
$3.5\times 10^{5}$
|
diag([0.75 0.0015])
|
2700
|
설계된 SMC 제어기의 각 설계 파라미터와 PI 제어기 게인들을
Table 3에 각각 나타내었다. 특히 PI 제어
에서는 적분 누적 포화 방지를 위해 앤티와인더업(anti-windup) 제어기를 추가로 설계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실험에서는 SMC의 단점인 채터링 완화를 위해 조작량 $us$의 부호 함수 대신 계수 $\delta$($\delta >0$)를 갖는 식(14)의 시그모이드 함수를 적용하였다. 설계한 SMC의 제어성능 비교를 위한 PI 제어기는 지령값 변동 시 SMC와 동일한 설계 사양인 최대 언더슈트 0.5℃(10%)
이내를 만족하도록 설계하였다. 샘플링 주파수는 오일쿨러 장치의 동특성을 고려하여 1 초로 정하였다.
3.1 시뮬레이션 결과 및 고찰
Fig. 8은 동작점 근방에서 조작량의 미소 변동 실험을 통해 얻은 압축기와 EEV의 실제 동특성(흑색 실선)과 전달함수로부터 유도한 상태 공간 모델의 시뮬레이션
결과(적색 파선)를 나타낸다. 이 상태 공간 모델은 실험 결과로부터 얻은 전달함수 모델에 2.1절에서 제안한 방법을 적용하여 구하였다. Fig. 8에서 상태 공간 모델의 시뮬레이션 응답은 실제 압축기와 EEV의 동특성 실험 결과와 매우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MC 설계에 사용된 상태
공간 모델의 타당성이 입증된다.
Fig. 8 Responses of a transfer function model and a state space model.
Fig. 9 Simulation result for SMC.
Fig. 10 Simulation result for PI.
Fig. 9와
Fig. 10은 본 논문에서 설계한 SMC 제어기와 PI 제어기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각각 보여준다. 각 그림의 (a)는 제어량인 $T_{o}$와 $T_{s}$의
응답을 각각 나타낸다. 그림 (b)와 (c)는 제어량의 응답 (a)를 얻기 위한 압축기와 EEV의 조작량인 인버터 주파수 $f_{i}$와 EEV 드라이브
개도 지령 $V_{o}$를 각각 나타낸다. SMC와 PI의 제어량의 응답을 비교해 보면, SMC 제어기가 지령값 변경 및 열부하 변동 하에서도 $T_{o}$와
$T_{s}$ 모두 정상상태오차 없이 엄밀하게, 그리고 목표값에 신속하게 추종함으로써 강인한 외란 억제 성능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T_{s}$는
SMC가 PI 제어의 경우보다 정상상태오차가 2.8% 작았고, 지령값 변동과 같이 냉매의 질량유량이 급격히 변동되는 시점에서의 간섭 영향도 PI 제어기보다
35% 줄어드는 결과를 보였다.
Fig. 11 Experimental result for SMC.
Fig. 12 Experimental result for PI.
3.2 실험 결과 및 고찰
실험은 Fig. 6의 장치와 Table 3의 설계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Fig. 11과 Fig. 12는 SMC와 PI 제어기에 의한 지령값 및 열부하 변동 시의 실험 결과로서, 제어량인 $T_{o}$와 $T_{s}$의 응답, 그리고 이때의 압축기와
EEV 조작량인 인버터 주파수 $f_{i}$와 EEV 드라이브 개도 지령 $V_{o}$를 각각 나타낸다. 정착시간은 오차 범위 $+-$0.1℃($+-$2%)
이내로 수렴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였다.
지령값 변경 시 SMC에 의한 $T_{o}$의 정착시간은 2,091 초였으며, PI 제어기의 경우는 2,410 초였다. 최대 언더
슈트는 두 제어기 모두 0.5℃(10%) 이내를 만족하도록 설계하였으나 SMC는 설정값보다 소폭 감소한 0.39℃, PI 제어기는 소폭 증가한 0.6℃로
확인되었다. 정상상태오차는 두 제어기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Fig. 13 Experimental results for $T_{o}$ and $T_{s}$ according to change of ambient temperature based on SMC.
열부하 감소 시 SMC에 의한 $T_{o}$의 정착시간은 909 초였으며, PI 제어기의 경우는 1,006 초였다. 최대 언더
슈트는 SMC가 0.27℃였으며, PI 제어기는 SMC보다 소폭 증가한 0.3℃로 확인되었다. 정상상태오차는 두 제어기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열부하 증가 시 SMC에 의한 $T_{o}$의 정착시간은 1,162 초였으며, PI 제어기의 경우는 1,990 초였다. 최대 오버
슈트는 SMC가 0.6℃였으며, PI 제어기는 SMC보다 소폭 증가한 0.75℃로 나타났다. 정상상태오차는 두 제어기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이 결과들을 통해 열부하 변동 하에서도 $T_{o}$와 $T_{s}$는 두 제어기 모두 지령값에 엄밀히 추종함으로써 정상 특성 지표인 정상상태오차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과도 특성 지표인 정착시간과 최대 언더슈트, 최대 오버슈트는 SMC가 PI 제어기보다 현저히 작게 나타나
제어의 강인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Fig. 13은 실험 장치의 주변 온도(ambient temperature)가 변동되는 상태 하에서 Fig. 11(a)와 동일한 조건으로 SMC를 적용한 실험 결과이다. 장치의 주변 온도가 최저 21℃에서 최고 29℃까지(38%) 불규칙적으로 변동하는 상태에서 지령값을
변경한 경우, $T_{o}$의 정착시간은 1,909 초, 최대 언더슈트는 장치 주변 온도가 일정한 경우보다 0.19℃ 줄어들었다. 열부하 감소 및
증가 시 정착시간은 각각 870 초와 1,050 초로 나타났다. 최대 언더슈트 및 오버슈트는 열부하 감소 및 증가 시 각각 0.25℃, 0.5℃로
나타났다. 정상상태오차는 지령값 변경과 열부하가 감소하거나 증가한 경우에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 결과들을 통해, 장치의 주변 온도가 변동하는 경우에도
지령값 변경 시의 정착시간과 최대 언더슈트는 거의 변동하지 않았다. 열부하 변경 시의 최대 언더슈트와 최대 오버슈트도 모두 작게 나타났다. 이는 모델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더라도 $T_{o}$와 $T_{s}$는 모두 지령값에 엄밀히 추종함을 알 수 있고, 과도 특성 및 외란 제거 성능이 우수하여 설계한
제어기의 제어 성능이 강인함을 알 수 있다.
특히, SMC 제어기는 PI 제어기와는 달리 지령값 및 열부하 변동 시에 조작량이 안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령값 변동 시, 최대 언더슈트가
비슷하더라도 안정된 제어량으로 인해 $T_{o}$의 정착시간은 SMC가 PI 제어기보다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부하 변경 시, 최대 언더슈트
및 최대 오버슈트는 SMC가 PI 제어기보다 감소하였다. 이는 압축기 인버터 주파수 조작량이 불연속 제어 입력 $us$로 인해 PI 제어기보다 빠르게
증․감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들 실험 결과는 모델의 불확실성이 다수 포함된 식(1)의 공칭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된 제어기의 응답이므로, 설계된 SMC 제어기가 모델의 불확실성에 강인함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 행한 SMC와 PI
제어기 성능에 대한 엄밀한 정량적 비교 평가는 SMC의 강인 제어 성능을 보다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즉, 동일한 공칭 모델을 대상으로 동일한
설계사양을 갖도록 설계된 SMC와 PI 제어기가 파라미터의 불확실성과 각종 외란의 변동 하에서는 제어 성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비교 평가하고자 한
것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성이 강하고, 외란을 포함한 파라미터 불확실성이 큰 가변속 냉동시스템의 강인한 온도 제어를 위해 최적 절환 초평면을 갖는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SMC 설계를 위한 상태 공간 모델은 모델링이 용이하고, 모델의 특성 파라미터를 통해 동특성 예측이 가능한 전달함수 모델로부터
쉽게 구하였다. 특히, 비선형을 갖는 1차계 전달함수 모델은 Pade 근사법을 적용해 2차계의 실용적인 선형 상태 공간 모델로 유도되었다. 또한 최적
절환 초평면을 갖는 SMC를 서보계로 확대하여 제어계를 설계하고, 시뮬레이션과 실제 실험을 통해 PI 제어기와 제어 성능을 비교하여 설계된 SMC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모델 불확실성을 포함한 공칭 모델 기반으로 설계된 최적 슬라이딩 모드 서보 제어계는 제어량인 오일출구온도와 과열도를 지령값 및 외란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강인하게 제어함을 확인하였다.
(2) 부동작 시간까지를 고려하여 Pade 근사법을 적용해 얻은 실용적인 2차계 동특성 상태 공간 모델은 열 유체의 해석적 모델인 고차의 편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되는 상태 공간 모델보다 실험을 통해 쉽게 도출되며, 제어계 설계 또한 간편하므로 제어기 설계에 실용적인 모델임을 확인하였다.
(3) SMC와 PI 제어기의 제어 성능 비교 결과, SMC가 PI 제어기보다 목표값에 더욱 빠르고 엄밀하게 수렴하며, 외란으로 인한 오일출구온도의
최대 언더슈트 및 최대 오버슈트를 작게 유발하여 과도 특성도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후 기
본 연구는 2020년도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에너지인력양성사업으로 지원받아 수행한 인력양성 성과입니다(No.
20184010201700).
References
Lin J. L., Yeh T. J., 2007, Modeling,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Air-conditioning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30, No. 2, pp. 202-220
Li H., Jeong S. K., Yoon J. I., You S. S., 2008, An Empirical Model for Independent
Control of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28, No. 14-15, pp. 1918-1924
Schurt L. C., Hermes C. J. L., Neto A. T., 2009, A Model-driven Multivariable Controller
for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32, pp. 1672-1682
Li H., Jeong S. K., You S. S., 2009, Feedforward Control of Capacity and Superheat
for a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29, pp.
1067-1074
Jeong S. K., Kim S. H., 2011, Optimum Controller Design of a Water Cooler for Machine
Tools Based on the State Space Model, SAREK, Vol. 23, No. 12, pp. 782-790
Beak S. M., Moon C. G., Kim E. P., Jeong S. K., Yoon J. I., 2011, The Characteristic
Study of Capacity Control of an Industrial Cooler Using an Inverter Compressor with
Varing the Ambient Temperatu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35, pp. 238-243
Jeong S. K., Hong K. H., 2013, Optimal PI Controller Design for Refrigeration System
Considering Disturbance, SAREK, Vol. 25, No. 2, pp. 85-93
Lee D. B., Jeong S. K., Jung Y. M., 2014, State Equation Modeling and the Optimum
Control of a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SAREK, Vol. 26, No. 12, pp. 579-587
Jeong S. K., Lee D. B., Hong K. H., 2014, Comparison of System Performance on Hot-gas
Bypass and Variable Speed Compressor in an Oil Cooler for Machine Tools,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28, No. 2, pp. 721-727
Jeong S. K., Han C. H., Li H., Wahyu K. W., 2018, Systematic Design of Membership
Functions for Fuzzy Logic Control of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142, pp. 303-310
Jeong S. K., 2019, Optimum Robust Control for an Oil Cooler System with Variable Speed
Drive of Machine Too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ower System Engineering,
Vol. 23, No. 3, pp. 18-26
Kim J. G., Han C. H., Jeong S. K., 2020, Disturbance Observer-based Robust Control
against Model Uncertainty and Disturbance for a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116, pp. 49-58
Vadim U. I., 1993, Sliding Mode Control Design Principles and Applications to Electric
Drive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40, No. 1, pp. 23-35
Nonami K., Den G., 1994, Sliding Mode Control, Corona Publishment, pp. 61-63
Nonami K., Nishimura H., Hirata M., 1999, Controller System Design by Matlab, Tokyo
Denki University, pp. 163-201
Damiano A., Gatto G. L., Marongiu I., Pisino A., 2004, Second-Order Sliding-Mode Control
of DC Drive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 51, No. 2, pp. 364-373
Yang S. W., Kim J. G., Jeong S. K., 2019, Sliding Mode Control Based on a State Space
Model for a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Proceeding of SAREK Winter Annual
Conference, pp. 7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