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박사과정 대학원생 ( Ph.D. Candidate, Graduate School of Energy and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Seoul, 01811, Korea )
  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 Professor, School of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Seoul, 01811, Korea )



BIM(건축정보모델링), Cost estimation(적산), Design change(설계 변경), Mechanical facility(기계설비), Piping work(배관공사)

1. 서 론

적산작업은 일반적으로 공사입찰 및 계약단계에서 시공계획에 입각하여 건설공사를 구성하는 세부공종별 공사 물량을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사비를 산정하는 업무이다. 그러나, 적산은 입찰, 계약단계 뿐만 아니라 기획, 설계단계의 사업계획 수립, 예산확보와 공사단계의 각종 설계대안에 대한 경제성 평가 등을 위해서도 수행된다.

기계설비 배관공사는 건축공사 및 토목공사에 비하여, 배관부속자재 등의 부자재가 많고 작업공정이 복잡 하여 적산작업이 상대적으로 어렵고 타 공종보다 공사금액에 비하여 품목수가 많아 적산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건설현장에서는 도면의 오류개선 및 품질향상을 위한 설계변경이 빈번히 발생되어 이에 따른 공사비 산출을 위한 적산작업은 현장 실무자의 업무를 가중시키고 있다.

건설현장에서 최소한의 인력으로 현장업무를 수행하는 현장 실무자들에게는 적산작업은 업무적으로 많은 부담이 되고 있다. 설계변경작업은 일반적으로 한두 번에 완료되기가 쉽지 않으며 건설현장에서는 의사결정을 위해서 공사비 산출이 요구되고 있다. 공사비 산출을 위해서 적산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나, 적산비용에 대한 기준은 부재하고 적산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해당 설계변경 사항이 취소되면 수행된 적산 작업에 대한 비용은 별도로 지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현장 실무자들의 인력으로 적산작업이 수행되는 현실 에서 기계설비 공사 중 내역항목이 가장 많고 복잡한 배관공사에 대한 적산작업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배관적산 효율화에 대한 논문, 보고서 등의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국내외 배관적산 기준을 조사하여 배관적산의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한다. 기계설비공사의 설계변경 절차를 조사하고 배관재별 부속자재를 조사한다. 건축물별 공종별 배관공사비의 특성을 분석하고 직관자재비와 부속자재의 비율을 조사한다. 기계설비 배관공사를 BIM에 의한 기계설비 배관공사 적산작업, 인력에 의한 적산작업과 배관부속자재를 산출하지 않는 방식의 인력에 의한 적산작업의 소요시간, 정확도 및 문제점에 대하여 비교분석한다. 비교방법은 산출한 물량에 단가를 기입하여 금액을 비교하고, 배관부속자재를 산출하지 않는 방식은 배관부속자재 요율을 배관금액에 곱하여 산출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에 대하여 기계설비 배관공사의 적산작업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3. 기계설비 배관공사의 적산작업

3.1 기계설비 배관 및 부속자재

기계설비 배관은 냉온수, 급수, 급탕, 냉매, 오배수 등의 유체를 이송하는 설비로, 이송되는 유체의 특성과 이송압력에 따라 기계설비에서 사용되는 주요 배관 재료의 종류는 Table 2와 같다. 같은 재질의 관이라도 연결방식에 따라 다양한 부속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STS관은 용접방식, 나사방식, 프레스 압접 방식, 원터치 탈착 방식 등의 연결방식(1)에 따라 다양한 부속류가 사용되고 있다. 강관의 경우에도 관경에 따라 티, 레듀셔, 엘보, 유니온, 소켓, 플러그, 니플, 부싱, 플랜지 등의 부속자재를 산출하며, 티와 레듀셔는 Table 1과 같이 이경부속도 산출하여야 하므로 배관부속의 산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강관 부속자재는 강관부속 외에도 관지지물인 행거, 클램프, U-볼트, 파이프 앵커, 턴버클, 밴드 등의 다양한 부속자재들이 있다. 이러한 관지지물은 배관 고정방식에 따라 다양한 관지지물이 설치되므로 적산작업을 가중 시키는 요소가 되고 있다.

Table 2. Type of mechanical facility piping

Pipe material

Standard and type

Steel pipe(Black, white)

SPP, SPPS, SPPW, SCH10, SCH20, SCH30, SCH40, SCH50, SCH60

Stainless steel

STS304, STS316, STS430, SCH5, SCH10, SCH20, SCH40, SCH80

Cast iron

Ductile cast iron pipe, Epoxy-powder coating pipe

PVC

VG1, VG2

Copper

K-Type, L-Type, M-Type

3.2 설계변경으로 인한 기계설비공사 적산작업

현장에서 주로 수행되는 적산작업은 설계변경 공사비 적산작업과 정산을 위한 적산작업이 진행된다. 정산을 위한 적산작업은 준공 후 최종 정산으로 공사업무와 적산작업이 병행되지 않아 시간적으로 다소 여유가 있는 편이다. 그러나 설계변경을 위한 적산작업은 신속하게 설계변경이 진행되지 않으면 후속공정이 진행될 수 없고 전체공정에 차질을 줄 수 있어 현재 진행 중인 공사에 대해 수행하며 별도로 설계변경을 동시에 진행하는 Fast-Track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현장 담당자의 업무는 가중될 수밖에 없다.

설계변경은 공사의 시공 도중에 예기치 못한 사태의 발생이나 공사물량의 증감, 계획의 변경 등으로 당초의 설계내용을 변경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설계변경으로 공사량의 증감이 있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계약 금액을 조정하게 된다. 설계변경은 사업계획의 변경, 설계서의 부적합, 신기술신공법 등의 적용 시에 발생한다.(2) 공사 중의 설계변경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된다.

설계변경은 Fig. 1과 같이 발주처의 승인을 얻어야 완료가 되므로 발주처의 승인을 얻을 때까지 11종류의 서류(도면 포함)를 반복해서 작성하여야 한다. 발주처의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변경된 도면과 금액이 제시되어야 하므로 설계변경이 확정될 때까지 금액산출을 위한 적산작업은 반복된다. 이렇게 여러 번의 적산작업을 수행 하여도 설계변경 사항이 취소되면 지금까지 수행한 적산작업에 대한 비용은 지급되지 않는다.

Fig. 1 Design change procedure during construction.
../../Resources/sarek/KJACR.2021.33.7.332/fig1.png

기계설비 배관공사는 각종 배관부속자재와 관지지물을 배관의 관경, 연결방식, 고정방식 등에 따라 산출 하여야 하므로 다양하고 많은 내역항목이 생성된다. 내역항목이 많아짐에 따라 신규항목도 다수가 발생되며, 이러한 신규항목에 따른 신규비목 사유서, 단가대비표 등을 작성하여야 하므로 내역항목의 증가에 따른 적산 업무가 가중되고 있다.

4. 관련기준 및 정부의 정책

4.1 설계자동화 정책

정부는 Table 3과 같이 2018년 11월 1일에 2025년까지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기반을 구축하고 2030년까지 건설자동화를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스마트건설기술 로드맵」(3)을 수립하였다. 이 로드맵에서는 건설 분야에 설계 단계에서부터 건축정보모델링(BIM)을 활용한 디지털정보모델을 정착시킨 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설계 자동화를 추진하였다.

BIM이 시장 전반에 확산될 수 있도록, 공공사업에 BIM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고 관련 제도를 정비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BIM 확대 적용 방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BIM 설계는 일부 공사에 한하여 적용되고 있다.

4.2 국내 배관적산 관련 기준

국내 배관적산 관련 기준으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발간하는 건설공사 표준품셈(4)과 건설교통부에서 2007년에 제정한 기계설비ㆍ플랜트설비공사 수량산출기준지침서(5)가 있다.

4.2.1 건설공사 표준품셈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시행하는 건설공사의 적정한 예정가격을 산정하기 위하여 만든 기준으로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민간기관에서도 건설공사 예정가격 산정, 설계변경 시의 금액 산정, 공사 후의 정산금액 산정 등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

표준품셈은 작업량에 소요되는 인원수를 규정한 것으로, 기계설비 배관공사는 배관길이 또는 배관중량 당 소요되는 작업인원수를 명시하고 있다. 또한, 강관배관의 부자재 산정요율을 일반업무용 건물과 병원건물에 한해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강관부자재 산정요율은 물가자료 1987년 8월호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므로 현재의 강관부자재의 종류 및 금액과는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 방법은 강관 부자재에 대한 직접적인 산출보다는 요율적용을 통한 효율적인 부자재 산출을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4.2.2 전기부문 표준품셈

한국전기공사협회에서 발간하는 전기부문 표준품셈에서는 전기공사 중 내선설비공사에서 전선관 부속품률을 명시하고 있다.(6) 전선관 부속품의 금액을 전선관 금액에 부속품률을 곱하여 계상한다. 따라서 전선관의 부속품은 기계설비 배관부속자재와는 달리 도면에 의한 물량산출이 아닌 전선관 금액에 부속품율을 곱하여 산정하고 있다.

4.2.3 기계설비․플랜트설비공사 수량산출지침서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4조 및 정부 입찰ㆍ계약 집행기준 제19조에 규정된 공종별 목적물 물량내역서 및 산출내역서를 작성함에 있어서 적용하여야 할 기준을 정한 기준으로 흑관, 백관, 압력용 흑관, 압력용 배관, 수도용 도복장 강관, PE 피복강관, 단열 이중관을 기계설비 산출 대상 배관재로 명시하고 있다.

Table 3. Road map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design stage)

Classification

Present

2025

2030

Design

Site survey

2D design

Drone survey

BIM design settlement

Design automation

Table 4. Mechanical and plant facility work quantity calculation standard guidelines(5)

Additional notice(A)

Quantity calculation method(M)

Unit price definition(C)

M1. Calculate with net quantity.

M2. Straight pipe length of piping does not exclude the length of the parts(valve, tee, etc.) in the middle.

M3. The tee draw is calculated by the tee, and the bending is calculated by the elbow.

C1. Includes main material cost and cutting, hydraulic or ventilation test, transportation cost, small transportation cost.

C2. Includes premiums and miscellaneous materials

수량산출방법에서는 Table 4에 제시한 바와 같이 정미 수량으로 산출하지만 배관의 직관길이는 도중의 부속 (밸브, T 등)에 대한 길이를 배제하지 않으며, 할증을 포함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본 기준에서는 배관 부속자재 산출기준은 규정하지 않고 있다.

4.3 국외 배관적산 관련 기준

영국 왕실 적산 및 건설협회에서 제정한 SMM7(Standard Method of Measurement of Building Works Seventh Edition Revised 1998)(7)은 냉수배관, 온수배관, 급수ㆍ급탕배관, 증기배관, 진공배관, 스프링클러배관, 소화전 배관 등에 대한 물량산출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SMM7은 배관길이 산출 시에 각종 조인트류 및 피팅류는 배관 길이에 포함됨을 Table 5와 같이 명시하고 있다. 이 기준도 배관부속자재 요율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

5. 선행연구 고찰

기계설비 배관공사의 적산작업 효율화 방안에 대한 선행연구를 조사하였으며, 대표적인 4가지 연구사례는 다음과 같다.

5.1 시설공사 내역서 표준화 및 간소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구매조달학회에서 2004년 조달청의 용역으로 수행된 연구로 건축ㆍ설비부문 설계내역서 작성방법과 설비공사 설계내역서 간소화 방안을 제시하였다.(7) 설비공사 내역서 간소화 방안으로 배관재, 보온재 및 연도의 부속자재 산정비율로 부속자재 금액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설비공사 품목 수가 58% 간소화 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5.2 건축설비분야에서의 적산작업 간소화방안에 관한 연구

이 연구는 초등학교 2개소, 아파트 2개소, 사무실 2개소 및 병원 1개소 건축물의 배관재에 대한 부속자재 금액 비율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8) 건축물 유형별, 공종별 부속자재 비율은 기계실 배관은 최대 16%, 냉ㆍ 난방배관은 최대 17%, 급수급탕배관은 최대 49%, 오배수배관은 최대 98%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국내외 내역서 작성사례를 Table 6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Table 5. Mechanical and electrical services measurement

Classification

Measurement rules

Coverage rules

1. Pipes

M3 pipes are measured over all fittings and branches

C3 pipes are deemed to include joints in their running length

Table 6. Comparison of domestic and overseas cost breakdown cases

Classification

Domestic

United States of America

Europe

Japan

Item

Simple

Detail

Detail

Simple

Unit price

Material, wage, expense

Rate

Rate

Unit price definition by item

Main materials

Sub materials

Separate

Included

Included

Included

Cost breakdown

Detail

Step by step

Step by step

Step by step

5.3 건축설비분야에서의 적산작업 간소화방안에 관한 연구(9)

이 연구는 공동주택의 위생배관공사, 난방배관공사, 소방배관공사, 가스배관공사의 부속자재 요율을 조사 하였다. 위생배관은 개별난방방식인 10개 단지의 부속자재 비율을 조사하였으며, STS관은 최대 24%, 동관은 최대 17%, PVC관은 최대 31%가 차이가 나타났다. 지역난방방식인 공동주택 4개 단지의 난방배관 부속자재 비율에서 STS관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동관은 최대 17%, 흑관은 최대 34% 차이가 발생했다.

5.4 건축설비공사 적산작업 간소화를 위한 부속자재 요율 산정에 관한 연구(10)

이 연구는 공공건축물 중 업무시설 12개소, 전시체육시설 11개소, 교육연구시설 8개소에 대하여 기계실배관 공사, 공조배관공사, 위생배관공사, 소화배관공사, 가스배관공사의 직관(주자재) 금액에 대한 부속자재 금액을 분류하여 부속자재 요율을 산출하였다. 건축물별, 공종별, 배관재별 부속자재 요율의 차이는 Table 7과 같이 나타난다.

Table 7. Difference in the ratio of attached piping of mechanical room piping work & HVAC piping work

Classification

Mechanical room pipes

HVAC pipes

Steel pipe

STS pipe

Copper pipe

Steel pipe

STS pipe

Copper pipe

12 Office buildings

240%

535%

13%

370%

191%

20%

11 Exhibition and sports facilities

131%

230%

28%

204%

53%

17%

8 Educational research facilities

147%

202%

-

153%

146%

19%

기계실배관과 공조배관의 부속자재 요율은 건축물별, 공종 배관재별로 달라지며 STS관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상대적으로 강관과 동관이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5.5 소결

기계설비 배관공사의 적산작업 효율화를 위한 4개의 선행연구는 기계설비 배관의 부속자재류를 직접 산출하지 않고 부속자재 요율을 적용하여 부속자재금액을 산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같은 유형의 건축물간에도 배관부속자재 비율은 최대 535% 차이가 나타날 정도로 배관부속자재 비율은 매우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다른 유형의 건축물간에도 많은 차이가 나타나 기계설비 배관부속자재 요율을 도출하지 못했다. 따라서, 4개의 선행연구는 배관부속자재 요율 적용방식을 통한 기계설비 배관공사 적산작업 효율화 방안을 제안하였으나, 배관부속자재 요율은 제시되지 않았다.

6. 배관공사 적산방식 비교

정부의 설계자동화 정책에 따라 공공기관은 건설공사 시 BIM 설계 확대적용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기계설비 배관공사의 설계변경 시 BIM에 의한 적산방식과 직접산출에 의한 적산방식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6.1 BIM을 활용한 적산

BIM은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기계, 전기 등), 시공 및 유지관리, 폐기 단계 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BIM은 객체의 의미로써 건설정보 모델로 해석할 수 있다. 기계설비 시스템을 시스템별로 구분하여 위생배관(급수, 급탕, 오수, 배수 등), 공조덕트(급기, 배기, 환기, 외기 등) 등의 계통 및 속성 값을 입력하면 물량이 산출된다.

6.2 BIM을 활용한 적산작업과 직접산출에 의한 적산작업 비교

본 연구에서는 배관적산 효율화를 위하여 BIM을 활용한 방식과 직접 산출한 방식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BIM에 의한 배관물량, 직접 산출한 배관물량, 금액 및 소요시간을 비교하고 직접 산출에 의한 배관부속자재 산출방식과 부속자재 산출을 제외한 방식과의 금액 및 시간을 비교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H사 Utility 배관 평면도를 적용하였다(Fig. 2참조).

Fig. 2의 Air 배관, CO2 배관, Oxygen 배관, Ethylene 배관은 65 mm 주배관에서 25 mm 배관으로 분기하여 57대의 장비에 연결된다. Fig. 2의 배관 평면도를 BIM을 활용하여 3차원으로 변형한 도면은 Fig. 3과 같다. Fig. 3의 도면을 BIM으로 모델링하여 물량을 산출한 물량은 Table 8과 같다. Table 8의 BIM으로 산출한 물량을 내역서로 정리한 것과 소요된 산출 시간은 Table 9와 같다.

Fig. 2 H-company utility piping layout drawing.
../../Resources/sarek/KJACR.2021.33.7.332/fig2.png

Fig. 3 H-company utility piping isometric BIM drawing.
../../Resources/sarek/KJACR.2021.33.7.332/fig3.png

Table 8. Pipe & fitting quantity calculation by BIM

Pipe schedule

Pipe fitting schedule

A

B

C

A

B

C

Family and type

Size

Length

Family and type

Size

Count

Pipe types: general

25 mm $\phi$

4062849

Cap_general pipe

65 mm $\phi$

28

Pipe types: general

65 mm $\phi$

2365600

Long elbow_general pipe

65 mm $\phi$ -65 mm $\phi$

47

Short elboe_general pipe

25 mm $\phi$ -25 mm $\phi$

684

Tee_general pipe

65 mm $\phi$ -65 mm $\phi$ -25 mm $\phi$

228

Tee_general pipe

65 mm $\phi$ -65 mm $\phi$ -65 mm $\phi$

20

Table 9. Material bill by BIM

Item

Diameter

Unit

Quantity

Extra

Quantity+Extra

White pipe(SPP)

D 25

M

4063

0%

4063

White pipe(SPP)

D 65

M

2366

0%

2366

White elbow

D 25

EA

684

684

White elbow

D 65

EA

47

47

White tee

D 65

EA

248

248

White reducer

D 65

EA

228

228

White cap

D 65

EA

28

28

Steel pipe welding

D 25

Place

2273

2273

Steel pipe welding

D 65

Place

1012

1012

Remarks

Running time 70 minutes

Fig. 4 Quantity calculation sheet by direct calculation.
../../Resources/sarek/KJACR.2021.33.7.332/fig4.png

Table 9의 BIM으로 산출한 물량에서는 배관의 할증률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 현장에서는 관례적으로 BIM 으로 산출한 물량은 시공물량과 일치한다고 간주하여 별도의 할증율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

Fig. 2의 도면으로 직접 산출한 물량산출서는 Fig. 4와 같다. Fig. 4의 물량산출서를 정리한 물량내역서와 소요된 산출 시간은 Table 10과 같다.

Table 10. Material bill by direct calculation

Item

Diameter

Unit

Quantity

Extra

Quantity+Extra

White pipe(SPP)

D 25

M

4085

10%

4493

White pipe(SPP)

D 65

M

2409

10%

2649

White elbow

D 25

EA

684

684

White elbow

D 65

EA

47

47

White tee

D 65

EA

248

248

White reducer

D 65

EA

228

228

White cap

D 65

EA

28

28

Steel pipe welding

D 25

Place

2276

2273

Steel pipe welding

D 65

Place

1019

1012

Remarks

Running time 30 minutes

Fig. 5 Difference in pipe length calculation method.
../../Resources/sarek/KJACR.2021.33.7.332/fig5.png

Table 11. Comparison of calculation by BIM, direct calculation, direct calculation(excluding fitting)

Item

Diameter

Unit

BIM

Cost

(Won)

Direct

Cost

(Won)

Direct

(no fitting)

Cost

(Won)

White pipe(SPP)

D 25

M

4063

58,541,591

4493

64,742,087

4493

64,742,087

White pipe(SPP)

D 65

M

2366

60,426,886

2649

7,674,996

2649

7,674,996

White Elbow

D 25

EA

684

512,316

684

512,316

32% of

pipe cost applied to fitting

42,373,467

White Elbow

D 65

EA

47

139,402

47

139,402

White Tee

D 65

EA

248

1,240,992

248

1,240,992

White Reducer

D 65

EA

228

395,580

228

395,580

White Cap

D 65

EA

28

71,680

28

71,680

Steel Pipe Welding

D 25

Place

2273

20,707,030

2276

20,734,630

Steel Pipe Welding

D 65

Place

1012

18,877,848

1019

19,008,426

Sum

160,913,326

174,519,839

174,790,550

Remarks

8% increase compared to BIM

8% increase compared to BIM

Running time

70 minutes

30 minutes

20 minutes

Table 10은 배관할증을 반영하고 있다. 직접산출 시에는 배관부속자재도 배관길이에 포함하여 산출하나, BIM은 모델링에 의한 실제 배관만 배관물량으로 산출하므로 BIM으로 산출한 배관 물량이 적게 산출되었다. Fig. 5는 직접산출과 BIM에 의한 배관 산출시 배관 길이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Table 11은 BIM에 의한 산출, 직접 산출, 직접 산출(배관부속자재 제외) 방식을 비교하였다. Table 11은 BIM에 의한 물량산출이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BIM에 의한 물량 산출 방식 대비 직접 산출 방식은 57%, 배관부속자재가 제외된 직접 산출 방식은 71% 산출 시간이 감소하였고 직접 산출 방식 대비 배관부속자재가 제외된 직접 산출 방식은 33% 산출 시간이 감소하였다. BIM에 의한 물량 산출 시 기존의 2차원 도면을 BIM으로 모델링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직접 산출방식은 배관 경로가 유사한 것이 많아서 비교적 소요시간이 적게 나타났다. 배관 할증 적용여부와 배관부속자재의 배관길이 포함여부에 따라 8% 정도의 금액 차이가 발생했다.

7.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 기계설비공사 중에 발생되는 설계변경 업무 중 가장 업무 부담이 많은 적산작업 효율화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관부속자재 요율을 적용하는 배관공사 물량산출 소요시간은 배관부속자재를 직접 산출하는 배관공사 물량산출 소요시간에 비하여 33% 경감됨으로 배관부속자재요율을 적용하는 물량산출방식이 훨씬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같은 유형의 건축물간에도 배관부속자재 비율은 최대 535% 차이가 발생되어 일률적인 배관부속자재 요율을 적용하기 보다는 기존 계약내역의 주자재(배관 등)와 부자재(배관부속 등) 요율을 산출한 후 설계변경 부분에 한하여 산출된 배관 부속자재요율을 적용한다면 현장 특성이 반영된 배관부속자재 요율이 적용되어 더욱 실효성이 높을 것이다.

(2) 배관부속자재를 배관길이에 포함시키지 않고 배관 할증도 적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8% 정도의 금액 감소가 발생됨으로 BIM을 활용하여 물량을 산출할 경우에도 국토교통부의 기계설비ㆍ플랜트설비공사 수량산출 기준지침서 및 건설공사 표준품셈에 따라 배관부속자재도 배관길이에 포함시키고 배관길이 할증(10%)도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3) 기존의 2차원 도면을 BIM에 활용하여 3차원 도면으로 변경하여 물량을 산출할 때에는 모델링하는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숙련된 적산 전문가가 물량을 산출하고 정형화된 도면일 경우에는 직접 산출 시간이 더 적게 소요될 수 있다. 직접 산출 방식은 BIM 대비 산출 소요시간이 57% 적었다.

본 연구에서는 적산작업 효율화를 위한 선행연구와 국내외 관련기준을 조사하고 BIM을 활용한 물량산출 방식, 직접산출 방식과 배관부속자재 요율을 적용하는 직접산출방식의 소요시간을 비교검토하여, 건설현장 에서 설계변경으로 인한 배관공사 적산작업의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적산작업 효율화 방안이 적용된다면 현장 실무자의 적산작업 부담은 다소 경감될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1 
Kang S. K., 2018, Pipe Connection Method for Seismic Preparation, Magazine of the SAREK, Vol. 47, No. 5, pp. 36-40Google Search
2 
3rd Ceramic Art Research Center , , http://www.3.co.kr/technote7/board.php?board=3help&search= tbody&command= body&no=704Google Search
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2018. 10. 31, Road Map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Roadmap Establishment, Press ReleaseGoogle Search
4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 2018, Construction Standard Production Unit SystemGoogle Search
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2007, Mechanical FacilityㆍPlant Facility Quantity Calculation Standard GuidelinesGoogle Search
6 
Korea Electrical Contractors Association , 2018, Electricity Standard Production Unit SystemGoogle Search
7 
The Royal Institution of Chartered Surveyors and the Construction Confederation , 1998, Standard Method of Measurement of Building Works, Seventh Edition RevisedGoogle Search
8 
Yoo S. U., 2004, A Study on Standardization and Simplific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 Bill, Korea Association of Procurement and Supply ManagementGoogle Search
9 
Kwak S. H., Park R., 2005, A Study on the Simplified Method of Estimate Work in Building Equipment Field, Conferenc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 No. no 1, pp. 731-734Google Search
10 
Jang C. H., 2012,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the Rate of Subsidiary Materials for Plumbing in Apartment Houses for Simplification of Estimate Work, Master Thesis, Dong-eui UniversityGoogle Search
11 
Roh U. Y., 2015, A Study on Calculation of the Attached Piping Material Rate for Simplification of Estimation Work in Building Equipment System,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