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VSRS의 2차원 상태 공간 모델링
Fig. 1은 VSRS로 구성된 오일쿨러 시스템(Oil-Cooler System; OCS)의 모식도이다. OCS는 정밀 공작기계의 공작물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히 제거, 공작물의 열 변형과 가공 정밀도 저하를 방지한다. 이 장치는 공작물 가공 부위에 공급되는 오일 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OCS의 오일출구온도는 압축기의 회전수를 가변시켜 냉매의 질량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된다. 이때 냉매 질량유량의 급격한 과다 또는 과소로 인한
액백현상이나 과열 증기 압축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 하고, COP가 최대인 운전점에서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 과열도(superheat)도 보조적으로
제어한다. 과열도는 증발기 입․출구의 압력차가 작을 경우, 증발기 출구와 입구 측 온도 차로 구해지며 EEV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된다.
Fig. 2는 VSRS의 압축기와 EEV의 전달함수 모델을 구하기 위한 입․출력 관계를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Fig. 1 Schematic diagram of the oil cooler system based on VSRS.
Fig. 2 Input and output variables of transfer functions for a compressor and EEV.
OCS의 주된 제어량은 오일출구온도 $T_{o}$이며, 보조 제어량은 과열도 $T_{s}$이다. 두 제어량에 대한 제어입력
(조작량)은 인버터 주파수 $F_{i}$와 EEV 개도(opening angle) 지령 $V_{o}$이다.
Fig. 2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전달함수는 압축기와 EEV의 동특성 모델로서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한 용도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전달함수는 시뮬레이션 시에 간섭계인
제어대상의 실제 거동을 엄밀히 모사하기 위한 용도이다. 전달함수 $G_{d}(s)$는 외란(disturbance)인 열부하 변동에 따른 $T_{o}$의
거동, $G_{icp}(s)$와 $G_{iev}(s)$는 압축기 회전수 및 EEV 개도 변화가 $T_{o}$와 $T_{s}$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각각 나타낸다.
식(1)은 Fig. 1의 OCS를 대상으로 Fig. 2의 전달함수 $P(s)$를 얻기 위해 동작점 근방에서 압축기와 EEV의 조작량인 $F_{i}$와 $V_{o}$를 미소 변동시켜 얻은 전달함수이다.
동특성 실험 시, 간섭 영향을 주는 조작량은 일정(constant; c) 값으로 고정하였다. 식(1)로부터 전달함수는 부동작 시간을 갖는 1차계임을 알 수 있다.
식(2)는 열부하 변동에 대한 $T_{o}$의 거동, 식(3)은 압축기의 회전수($F_{i}$) 변동이 $T_{s}$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각각 나타낸다. Fig. 2의 $G_{iev}(s)$는 그 영향이 미미하여 시뮬레이션 시에는 제외되었다. 이는 본 논문이 비간섭제어 보다 외란을 포함한 모델의 불확실성에 강인한
제어기 설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SMC의 설계를 위한 OCS의 2차원 상태 공간 모델은
식(1)을 Pade 근사를 통해 선형 2차계로 표현한 후, 역 라플라스 변환을 통해 제어계의 해석과 설계가 쉬운 가제어 표준형인
식(4),
식(5)와 같이 유도된다.
여기서 상태변수 $x(t)$는 가제어 표준형 변환 과정에서 얻어진 가상의 물리량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간의 함수인 상태변수 $x(t)$,
출력변수 $y(t)$, 제어입력 $u(t)$의 ‘$t$’는 표기의 편의상 이후에는 생략한다.
2.2 칼만 상태관측기를 갖는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 설계
Fig. 3은 SMC의 위상평면도이다. SMC는 Fig. 3(a)에서 상태변수 $p_{1}$과 $p_{2}$를 설계자가 설정한 슬라이딩 평면을 따라 원점 $O$에 수렴시킨다. Fig. 3(b)는 서보계를 위한 SMC의 위상평면도이다. 서보계는 $p_{1}$과 $p_{2}$를 제어오차 $e(=T-T^{*})$와 그 미분값 $\dot e$으로
각각 치환함으로써 구성된다. 여기서 $T^{*}$는 $T$의 설정값이다.
Fig. 3 Phase plane of sliding mode control.
2차원 슬라이딩 함수 $\sigma$는 일반적으로 $\sigma =\lambda p_{1}+p_{2}$로 설정되며, 이때 $\lambda(\lambda
>0)$는 슬라이딩 라인의 기울기로서 $p_{1}$이 0에 수렴하는 속도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SMC에 의한 서보계 구축을 목표로 하므로 상태변수를
제어오차 $e$, 즉 $e_{o}(=T_{o}-T_{o}^{*})$와 $e_{s}(=T_{s}-T_{s}^{*})$로 하여 $\sigma$를
식(6)과 같이 설계한다.
제어량 $T_{o}$와 $T_{s}$를 제어하기 위한 SMC의 제어입력 $u$는 슬라이딩 모드 입력인 연속 제어입력 $u_{c}$와 도달 모드(reaching
mode) 입력인 불연속 제어입력 $u_{d}$의 합으로
식(7)과 같이 구해진다.
여기서 $u_{c}$는 슬라이딩 모드 입력이므로
식(6)에서 $\dot\sigma =0$일 때의 제어입력 $u$로부터 구한다. 우선 $T_{o}$를 제어하기 위한 $u_{c}$를 설계하기 위해
식(4)의 상태 공간 모델을 일반화 하면,
식(8)로 표현된다.
식(8)의 출력방정식에서 상태변수 $x_{i}(i=1,\:2)$가 출력 $y(=T_{o})$에 미치는 기여도를 Hankel의 특이치 분해로 분석한 결과를
반영하면 근사적으로
식(9)가 얻어진다.
제어오차 $e$는 $e=T-T^{*}$이므로 $e=C_{11}x_{1}-T^{*}$로 된다. 이 $e$와 $\dot e$을 구해
식(6)에 대입하여 $\dot\sigma$을 구하면
식(10)이 얻어진다. $\dot\sigma =0$일 때의 제어입력 $u$가 $u_{c}$이므로,
식(10)으로부터
식(11)이 구해진다. $T_{s}$를 제어하기 위한 $u_{c}$도 위에서 기술한 $T_{o}$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구해진다. 최종적으로 $u_{c}$는
시스템의 파라미터 값들을 대입하여
식(12)와 같이 유도된다.
한편, 불연속 제어입력 $u_{d}$는 Lyapunov의 제2법칙인 도달법칙으로부터
식(13)과 같이 설계된다. 여기서 계수 $K$는 스위칭 게인으로서 반복 시행으로 구해지며, 부호(signum)함수 $sgn(\sigma)$는
식(14)로 정의된다.
식(12)의 연속 제어입력 $u_{c}$는 시스템의 파라미터와 연동되어 있지만,
식(13)의 불연속 제어입력 $u_{d}$는 시스템의 파라미터와 무관하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의 상태변수가 외란 또는 모델의 불확실성에 의해
슬라이딩 라인을 이탈하면, 이 불연속 제어입력 $u_{d}$가 상태변수를 강제적으로 슬라이딩 라인에 구속시킴으로써 SMC는 외란과 모델의 불확실성에도
강인(robust)한 제어성능을 보이게 된다.
설계된 SMC 서보 제어계는 Lyapunov 안정 조건을 만족한다. 슬라이딩 함수 $\sigma$에 관한 Lyapunov 함수를 $V=\sigma^{2}/2$로
정의하면, $V>0$이고 $\dot V <0$이므로, 설계된 제어계는 점근 안정임을 알 수 있다.
식(12)의 $u_{c}$는 상태변수 $x$의 정보를 필요로 하지만, 이 $x$는 제어대상 모델을 식(4), 식(5)에서와 같이 가제어 표준형으로 변환된 가상의 물리량이므로 제어 시에는 상태관측기를 설계하여 이 값들을 추정한다. OCS의 압축기와 EEV의 출력방정식에는
잡음을 포함한 열부하 등의 외란이 인가되므로, 상태관측기는 이에 강인한 칼만 필터(Kalman filter)로 구성한다. 칼만 필터 설계는 백색잡음(white
noise)으로 가정된 시스템 잡음 $\omega$와 관측 잡음 $\nu$를 갖는 식(15)의 선형 시스템을 대상으로 출력 $y$로부터 상태 $x$의 최소 평균 제곱 오차(minimum mean square error)의 추정값을 찾는 문제이다.
이때, 식(15)의 $A$, $B$, $C$는 상태 공간 모델인 식(4)와 식(5)에서 정의된 행렬이다.
식(16)은 칼만 필터를 적용한 상태관측기이다. 상첨자 기호 ‘$\hat{}$’은 추정값, $L$은 칼만 필터의 게인으로서 $L=SC'V^{-1}$로부터 구해진다.
여기서 행렬 $S$는
식(17)의 리카티 방정식(Riccati equation)으로부터 얻어진다.
식(17)에서 $V$와 $W$는
식(15)의 시스템 및 관측 잡음인 $\omega$와 $\nu$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이다.
한편,
식(13)의 $u_{d}$는
식(14)의 부호함수로 인해 제어입력과 제어량에 채터링을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억제하기 위해 경계층 두께 $\Phi(\Phi >0)$를 갖는
식(18)의 포화(saturation; sat)함수를 사용하였다.
포화함수는 $\Phi
$로 인해 $T_{o}$의 과도응답을 열화시킨다. 이를 개선하고자 피드포워드 제어기를 추가로 설계한다. 피드포워드 제어기는 $\Phi
$의 영향을 포함한 외란을 $\hat d$으로
식(19)와 같이 추정하여
식(20)과 같이 설계한다.
결과적으로 주 제어량인 $T_{o}$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최종 제어입력 $u$는
식(8)과
식(20)을 더한
식(21)로 설계된다. 반면, 보조 제어량인 $T_{s}$의 경우에는 피드포워드 제어기를 생략한 $u = u_{c}+u_{d}$로 설계하였다.
Table 1은 본 논문에서 설계한 SMC 제어기와 설계 파라미터들을 각각 나타낸다.
Table 1. Designed parameters and gains of SMC with feedforward controller
Plant
|
Designed parameters and gains
|
$\lambda$
|
$K$
|
$\Phi$
|
$L$
|
$F_{f}$
|
Compressor
|
0.023
|
-6.72×106
|
0.93×104
|
[-0.0542 3.21×10-5]´
|
0.6280
|
EEV
|
0.0595
|
-2.62×106
|
7.0×104
|
[-0.0054 8.08×10-5]´
|
-
|
Fig. 4 Block diagrams for MATLAB simulations and real experiments to control $T_{o}$.
Fig. 4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칼만 상태관측기와 피드포워드 제어기를 갖는 압축기 제어용 SMC의 MATLAB 기반 시뮬레이션 및 실험 블록선도이다. EEV의
경우에는 $u_{f}$를 제외하면
Fig. 4와 동일한 구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