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VSRS 기반 오일쿨러 시스템의 수학적 모델링
본 논문에서는 VSRS 기반의 오일쿨러 시스템(Oil Cooler System; OCS)을 제어대상으로 $H_{\infty}$제어기를 설계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한다. VSRS는 부분 부하 대응 능력과 에너지 절약 성능이 뛰어나 정밀공작기계, 반도체 제조 공정 분야의 고정밀 온도 제어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1-3) Fig. 1은 OCS의 제어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Table 1은 실제 실험 장치의 냉동사이클 및 부속기기의 주요 사양을 나타낸다. 이 시스템의 주 제어량인 오일 출구 온도 $T_{o}$는 인버터로 가변속 압축기의
냉매 질량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된다. 이때 액백 현상이나 과열 증기 압축 등의 부작용을 줄이고, COP가 최대인 상태로 시스템을 운전하기 위해 EEV
드라이브로 EEV의 개도를 조절하여 과열도 $T_{s}$도 동시에 제어한다.(1-3) 과열도 $T_{s}$는 증발기 내의 압력 강하가 미소함을 고려하여 증발기 입구와 출구의 온도 차이로 정의하였다. 실제 시스템에서의 외란인 열 부하는
냉동 사이클에 부가적으로 장착된 전기히터를 통해 인가된다.
Fig. 1 Conceptual control diagram for OCS based on VSRS.
Table 1. Specifications of the test unit and the attached devices
Component
|
Note
|
Component
|
Note
|
Compressor
|
Rotary type, 30-90[Hz], 0.86[kW]
|
Inverter
|
4.5[kVA], 3phase, PWM, V/f=C type
|
EEV
|
0~2000[step], 12[V]
|
EEV drive
|
4[W], 24[V], Bipolar type
|
Condenser
|
Air-cooled fin and tube type, 5.24[kW]
|
Heater
|
4.5[kW](max.)
|
Evaporator
|
Bare tube coil type, 2.1[kW](max.)
|
Oil tank
|
Immersion type, 400mm×400mm×385mm
|
Refrigerant
|
R-22, 0.9[kg](max.)
|
Oil
|
ISO VG 10, Velocite oil No.6, 40[L]
|
Fig. 2 Temperature control block diagram for VSRS based on dual SISO type.
Fig. 1의 OCS를 모델 기반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 시스템의 동특성을 표현하는 수학적 모델이 필요하다. Fig. 2는 오일 출구 온도 $T_{o}$와 과열도 $T_{s}$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Dual SISO(Single Input Single Output)
형태의 전달함수 기반의 피드백 제어계이다. 그림에서 $P(s)$와 $K(s)$는 제어대상의 전달함수와 제어기, $d(s)$와 $n(s)$는 외란과
잡음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widetilde G_{d}(s),\:\widetilde G_{i}(s)$는 열부하와 간섭항의 전달함수, 그리고 상첨자
‘*’는 설정값, $e(s)$와 $u(s)$는 제어오차와 제어입력을 각각 나타낸다. 특히 제어입력 $u_{c}(s)$는 인버터 주파수 $f$이고 $u_{e}(s)$는
EEV 개도(opening angle) $v$이다.
Fig. 2에서 적색 상자 속의 전달함수 $P(s)$는 Table 1의 사양을 갖는 Fig. 1의 OCS를 대상으로 동작점 근방에서 동특성 실험을 통해 구하였다.(2) 전달함수 $P_{c}(s)$는 인버터 주파수 $f$에 따른 $T_{o}$의 변화량 $\delta T_{o}/\delta f$, $P_{e}(s)$는
EEV 개도 $v$에 따른 $T_{s}$의 변화량 $\delta T_{s}/\delta v$를 나타낸다. 복소 전달함수를 나타내는 변수 ‘s’는 표기의
편의상 이후부터 생략한다. 전달함수 $\widetilde G_{d}$와 $\widetilde G_{i}$는 열부하 $d$ 변화에 따른 $T_{o}$
변화와 인버터 주파수 $f$ 변동이 과열도 $T_{s}$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나타내며 동특성 실험을 통해 구하였다. EEV의 개도 $v$의 변화가
$T_{o}$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하였으므로 무시하였다. 이들 $\widetilde G_{d}$와 $\widetilde G_{i}$는 시뮬레이션
시에 실제 제어대상의 동특성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한 용도일 뿐 제어계 설계 시에는 제외된다. 전달함수 $P_{c},\: P_{e}$는 식(1)과 같이 부동작 시간 $\widetilde d$를 포함한 비선형 식으로 나타나지만 $\widetilde d$가 시정수 $\tau$에 비해 무시할 정도로
짧았기 때문에 1차계로 간단히 모델링하였다. 식(2)는 $f$가 $T_{s}$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Table 2는 동특성 실험을 통해 구한 각 전달함수들의 특성 파라미터 시정수 $\tau$와 DC 게인 $k$의 값들을 나타낸다.
Fig. 3 $H_{\infty}$ control framework with two inputs and two outputs.
Table 2. Characteristic parameters of transfer functions for VSRS
Transfer function
|
$P_{c}$
|
$P_{e}$
|
$\widetilde G_{d}$
|
DC gain $k$
|
-0.43
|
-0.045
|
19.9
|
Time constant $\tau$ (sec)
|
1680
|
67
|
1790
|
제어대상의 1차계 전달함수 식(1)은 특정 동작점에서 얻은 선형 근사 모델이므로 고차 항들이 무시된 까닭에 모델의 불확실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Table 2의 특성 파라미터들도 동작점 또는 주변 환경이 변함에 따라 그 값들이 변하므로 모델의 불확실성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OCS는 열 부하가 상시 변동하므로
이들 열부하 변동과 모델 불확실성에 강인한 제어 성능을 갖는 제어기 설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2.2 OCS의 강인한 온도 제어를 위한 $H_{\infty}$제어기 설계
Fig. 3은 $H_{\infty}$제어 개념 설명을 위한 입․출력 블록도이다. 그림에서 $G$는 일반화 제어대상, ${w}$와 $u$는 입력벡터로서 각각 외란을
포함한 외부 입력과 제어입력이다. ${z}$와 ${y}$는 출력벡터로서 목표로 하는 제어량과 관측출력, $K$는 피드백 제어기를 나타낸다. $H_{\infty}$제어는
외란을 포함한 외부 입력 ${w}$로부터 제어량 ${z}$까지의 주파수 전달함수 $G_{{zw}}(j\omega)$의 무한대 놈 $\left\|G_{z
\mathrm{~W}}\right\|_{\infty}$를 최소화시키는 제어기 $K$를 구하는 문제로 귀착된다.
Fig. 4 Feedback control system with disturbance and modelling error.
외란과 모델의 불확실성에 대한 강인성을 갖는 $H_{\infty}$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들의 영향을 나타내는 전달함수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Fig. 4는 이들의 전달함수를 도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4(a)는 외란 $d$가 인가되고 모델의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덧셈형 모델링 오차 $\triangle_{a}$를 갖는 피드백 제어계이며, Fig. 4(b)는 $\triangle_{a}$를 갖는 모델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소이득 정리를 설명하고자 Fig. 4(a)를 간략화 한 그림이다. Fig. 4(a)에서 외란 $d$가 출력 ${y}$에 미치는 영향인 감도함수 $S$는 식(3)과 같이 유도된다. Fig. 4(b)에서 점 $a$부터 점 $b$까지의 전달함수 $KS$는 Fig. 4(a)로부터 식(4)와 같이 유도된다. 단 식(4)의 유도 과정에서는 모델링 오차 $\triangle_{a}$의 영향에만 주목하므로 Fig. 4(a)의 지령값 $r$과 외란 $d$는 제외되었다.
$H_{\infty}$제어기는 적절한 가중함수 ${w}_{i}$의 선정을 통해 외란과 모델의 불확실성에 대한 강인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먼저 외란은
식(3)의 감도함수의 크기를 최소화시키는 가중함수 ${w}_{1}$을 선정, 식(5)가 만족되도록 설계하면 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gamma$는 반복계수(iteration coefficient)이며 이 값이 작을수록
외란에 대해 큰 강인성을 갖게 된다.
다음으로 모델링 오차(모델 불확실성) $\triangle_{a}$에 대한 강인성은 Fig. 4(b)에서 소이득 정리를 적용하여, 식(6)의 견실 안정화 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확보된다.
그런데, 모델링 오차 $\triangle_{a}$를 정확히 계산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식(6)은 설계에 직접 반영되기 어렵다. 따라서 제어기 설계 시에는 $\triangle_{a}$의 최대 변동 범위를 고려, 최대 특이값 $\bar{\sigma}\left\{\triangle_{a}(j\omega)\right\}$를
계산한다. 모델링 오차 $\triangle_{a}$에 대한 견실 안정성은 식(7)과 같이 $\triangle_{a}$의 최대 특이값보다 큰 가중함수 ${w}_{2}$를 선정하여, 식(8)이 성립하도록 설계함으로써 확보된다. 본 논문에서 모델링 오차 $\triangle_{a}$는 제어대상의 특성 파라미터인 $\tau$와 $k$를 각각
최대 30% 범위에서 변동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최대 특이값을 구하고 이를 식(8)에 반영하였다.(1)
한편, 외란 인가 시 OCS의 정밀한 제어를 위해 식(5)에 가중함수 ${w}_{3}$를 추가하고, 이 ${w}_{3}$의 시정수가 전달함수 $\widetilde G_{d}$의 시정수와 유사하도록 선정하였다.
이로 인해 식(8)도 ${w}_{3}$를 포함하는 식으로 변환되므로 이들을 혼합감도 문제로 정식화하면 식(9)와 같이 된다. 결국, $H_{\infty}$제어기는 식(9)를 만족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외란과 모델의 불확실성에 대한 강인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Fig. 5는 가중함수 ${w}_{i}$를 포함한 혼합감도 문제를 도식화 한 것이다. Fig. 5(a)는 식(9)의 혼합감도 문제를 도식화 한 것이고, Fig. 5(b)는 Fig. 5(a)에서 발생하는 정상상태오차 제거를 위해 ${w}_{1}$을 적분기 전달함수 $M$과 $\widetilde{w}_{1}$로 분해하여 나타낸 그림이다.
식(9)를 만족하도록 설계된 Fig. 5(a)의 제어기 $K$는 ${w}$로부터 ${z}_{1}$과 ${z}_{2}$까지의 주파수 전달함수 $G_{{zw}}(j\omega)$의 무한대 놈 $\left\|G_{z
\mathrm{~W}}\right\|_{\infty}$를 최소화시켜 외란과 모델의 불확실성에 대한 강인성을 갖게 된다.
Fig. 5 Transformation of the form containing an integrator to reduce steady state error.
Fig. 5(a)의 일반화 제어대상 $G$를 통해 제어기 $K$를 설계하면, 제어 응답에 미소한 정상상태오차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w}_{1}$을
불안정한 극점(pole)을 갖는 적분기 형태로 설계하면 이는 표준 $H_{\infty}$제어 문제의 가정 중 가관측(detectable)과 풀 랭크(full
rank)의 조건을 위배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화 제어대상 $G$는 식(10)과 같이 ${w}_{1}$을 전달함수 $M$과 $\widetilde{w}_{1}$로 분해시켜 Fig. 5(b)와 같이 구성하였다. 우선, $M$을 식(11)과 같이 불안정한 극점을 가지는 바이프로퍼(biproper) 전달함수로 선정하면, 이 $M$이 ${w}_{1}$의 불안정한 극점을 가지므로 $\widetilde{w}_{1}$는
불안정한 극점을 갖지 않게 된다. 여기서 $\alpha$는 임의의 실수이다. 그러므로 $M$과 $\widetilde{w}_{1}$를 통해 제어기를
설계하면, 표준 $H_{\infty}$제어 문제의 가정을 충족시킨다. 식(12)는 Fig. 5(b)를 혼합감도 문제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제어기 $\widetilde K$는 식(12)의 혼합감도 문제를 만족시키는 해이다. 최종적인 제어기 $K$는 이 $\widetilde K$를 사용하여 식(13)과 같이 불안정한 극점을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식(12)는 식(10)과 식(13)을 통해 식(14)와 같이 유도되므로 이는 Fig. 5(a)의 혼합감도 문제인 식(9)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Fig. 5(b)는 Fig. 5(a)와 동일한 $H_{\infty}$제어 문제로 귀착되므로 이를 통해 제어기 $K$는 적분기를 갖는 형태로 설계가 가능하다.(9)
압축기의 제어기 $K_{c}$의 설계를 위한 가중함수는 식(14)의 혼합감도 문제를 만족하도록 반복 시행을 통해 식(15)와 같이 선정되었다.
식(16)은 압축기의 전달함수 $P_{c}$를 전달행렬로 나타낸 것이며, 식(17)은 식(15)의 가중함수와 식(16)의 전달행렬 $P_{c}$로부터 구한 일반화 제어대상 $G_{c}$를 나타낸 것이다.
최종적으로 압축기의 제어기 $K_{c}$는 식(17)을 통해 MATLAB의 $\gamma$-iteration을 사용하여 식(18)로 설계되었다.
이때 $\gamma$는 0.9766이었다.
Fig. 6은 ${w}_{2}$ 설계를 위한 조건인 식(7)이 만족하는지의 여부와 설계된 제어기 $K_{c}$가 혼합감도 문제 식(14)를 만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주파수 응답 선도이다. Fig. 6(a)를 통해 가중함수 ${w}_{2}$는 $\triangle_{a}$의 최대 특이값 $\bar{\sigma}\left\{\triangle_{a}(j\omega)\right\}$보다
전 주파수 영역에서 큰 값을 갖도록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다. Fig. 6(b)를 통해 제어기 $K_{c}$가 혼합감도 문제 식(14)를 만족하도록 설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 6 Frequency response of ${w}_{2}$ and behaviors of singular values in식(14).
Fig. 6으로부터 가중함수 ${w}_{2}$와 설계된 제어기 $K_{c}$는 식(7)과 식(14)를 각각 만족하므로, $H_{\infty}$제어기 $K_{c}$는 타당하게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다. EEV 제어기 $K_{e}$도 $K_{c}$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계하였다. 식(19)는 최종적으로 설계된 EEV 제어기 $K_{e}$를 나타낸다. 이때 $\gamma$는 0.9766이었다.
설계된 $H_{\infty}$제어기는 지령값이 크게 변동될 경우, 적분 누적으로 인한 언더슈트가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티와인드업(anti-windup)
제어기를 추가로 설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