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조교수 (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wangwoon University, 20 Kwangwoon-ro, Nowon-gu, Seoul, 01897, Korea )
  2.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 ( Senior Researcher, Institute of Engineering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1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Korea )



Data center(데이터센터), Cooling system(냉방 시스템), Design support tool(설계 지원 툴), Energy analysis tool(에너지 분석 툴), DesignBuilder(디자인빌더)

기호설명

$Q_{zone,\:k}$ : 존 $k$의 서버 발열량 [kW]
$P_{rack}$: rack당 서버 발열량, 발열 밀도 [kW/rack]
$N_{rack}$: rack수량 [rack]
$P_{zone,\:k}$ : 존 $k$의 단위 면적당 서버 발열량 [kW/m]
$A_{k}$: 존 $k$의 바닥 면적 [m]
$P_{d,\:f/p}$ : 팬 또는 팬의 설계 동력 [kW]
$\triangle P_{d}$: 압력손실 또는 수두 @ 설계조건 [Pa]
$f_{d,\:f/p}$ : 팬 설계풍량 또는 펌프 설계유량 [m/s]
$\eta_{d,\:f/p}$ : 팬 또는 펌프 효율 @ 설계조건 [-]
$\eta_{d,\:motor}$ : 모터 효율 @ 설계조건 [-]
$P_{d,\:"X l\le r"}$ : 냉동기 동력 @ 설계조건 [kW]
$Q_{d,\:"X l\le r"}$ : 냉동기 용량 @ 설계조건 [kW]
$COP$: COP [-]
$P_{CRAH,\:fan}(t)$ : t시간에서의 CRAH 팬 동력 [kW]
$P_{d,\:CRAH}$ : CRAH 팬 동력 @ 설계조건 [kW]
$FR_{CRAH}(t)$: t시간에서의 Fan ratio [-]
$f_{CRAH,\:fan}(t)$ : t시간에서의 CRAH 팬 풍량 [m/s]
$f_{d,\:CRAH,\:fan}$ : CRAH 팬 설계풍량 [m/s]
$P_{pump}(t)$: t시간에서의 펌프 동력 [kW]
$P_{d,\: pump}$ : 펌프 동력 @ 설계조건 [kW]
$PR(t)$: t시간에서의 Pump ratio [-]
$f_{pump}(t)$: t시간에서의 펌프 유량 [m/s]
$f_{d,\: pump}$
$P_{comp}(t)$: t시간에서의 냉동기 동력 [kW]
$P_{d,\: comp}$ : 냉동기 설계 동력 [kW]
$T_{CHW,\:C}$ : 냉수 공급온도 [℃]
$T_{CW,\:C}(t)$ : t시간에서의 냉각수 공급온도 [℃]
$PLR(t)$: t시간에서의 Part load ratio [-]
$q_{"X l\le r"}(t)$: t시간에서 냉동기 부하 [W]
$q_{"X l\le r",\:avail}(t)$ : t시간에서 냉동기 가용 용량 [W]
$a\sim f$: 성능계수 [-]
$y$: 기준 데이터(DesignBuilder 결과 데이터)
$\hat y$: 비교 데이터(Tool 결과 데이터)
$\overline{y}$: $y$데이터의 평균
$n$: 데이터 수

1. 연구배경 및 목적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 처리를 위한 데이터센터의 중요성이 커지고, 산업환경 재편에 따른 데이터 사용량의 급증으로 최근 데이터센터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데이터의 처리․저장․전송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ITE(Information Technology Equipment)와 IT 장비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인프라 시스템에서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는 대표적인 에너지 다소비 건물이다. Uptime Institute에서 2020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데이터센터는 전 세계적으로 연간 400∼500 TWh의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전체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중 냉방 시스템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약 30∼50% 수준으로 냉방 시스템의 전력 소비가 IT 장비 다음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데이터센터 관련 업계에서는 냉방 에너지 저감을 통한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 향상에 노력을 기울여왔다. 특히, 연중 냉방부하만 발생하는 데이터센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기냉방과 외기냉수냉방 등 외기를 적극적으로 냉방에 활용하는 시스템을 적용하였고, 그 결과 냉방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 중 전력 소비량이 가장 많은 냉동기 운전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그리고 서버실의 권장 온습도 기준이 점차 완화되면서 이코노마이저 가용기간이 늘어나 냉방 에너지 절감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었다.

데이터센터 냉방 시스템에 이코노마이저 적용이 확대되면서, 최근 국내에서 설계되고 있는 민간 데이터센터는 연평균 PUE 1.3 정도의 에너지 효율 성능을 목표로 하고 있다. PUE 1.3 성능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센터의 전력손실을 10~15%라고 가정하였을 때, 냉방 시스템에서 소비되는 에너지가 연간 ITE 에너지의 약 15~20% 정도 수준을 유지해야한다. 따라서, PUE 1.3을 목표로 냉방에너지를 절감시키기 위해서는 외기냉방 또는 외기냉수냉방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이코노마이저 적용으로 인한 냉방에너지 절감량은 외기 조건 뿐 아니라 시스템 구성, 열매 온도, 이코노마이저 운전 조건 등에 따라서 시시각각 달라지므로, 데이터센터 발주처는 기계설비 엔지니어에게 복수의 대안에 대한 월별 냉방 에너지 사용량과 이코노마이저 가용시간 등을 근거자료로 요청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발주처에서 요구하는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외기에 따라 이코노마이저 운전 조건을 판단하여 이코노마이저 모드, 이코노마이저+냉동기 모드, 냉동기 모드에서 소비되는 에너지가 계산되어야 하므로 동적 에너지 시뮬레이션이 필요하다.

한편, 데이터센터는 대부분 기간 부분 부하 조건에서 운영되고, 외기 상태와 관계없이 연중 냉방이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냉방 시스템은 설계 조건과는 차이가 큰 부하와 외기 조건에서 장시간 운전되므로 냉방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는 off-design 성능을 고려하여 에너지 계산이 이루어져야 한다. 장비의 off-design 성능은 설계 조건이 아닌 조건에서의 장비 성능으로 변화하는 부하와 기상 조건에 따라 시시각각 달라지기 때문에 데이터센터 냉방 시스템의 연간 에너지 계산을 위해서는 시스템의 동적 성능을 모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시스템의 동적 성능을 반영하여 동적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기존의 상용 프로그램들은 최대한 다양한 건물 유형과 시스템의 에너지 해석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기 때문에 입력창이 매우 복잡하여 설계 엔지니어가 초기 설계단계에서 활용하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센터의 성능기반설계를 위해 기계설비 엔지니어가 데이터센터 시스템 설계 및 대안 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냉방 시스템 구성 및 장비 사이징, 그리고 이코노마이저 적용시 장비의 off-design 성능을 반영하여 연간 냉방 에너지 계산이 가능한 분석 툴을 개발하는 것이다. 추가로 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상의 데이터센터를 대상으로 상용 에너지 해석 툴인 Designbuilder 결과값과 비교하였다.

2. 데이터센터 냉방 시스템 설계지원 및 에너지 성능분석 툴 개요

2.1 프로그램의 개발방향

본 프로그램은 데이터센터 기계설비 엔지니어가 설계단계에서 냉방 시스템 설계 및 시스템 에너지 성능검토에 활용할 수 있는 툴로서, 목적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향 설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터센터 건물이 다른 건물과 차별화되는 부하특성 및 시스템 운영특성을 고려하여 시스템을 계획하고, 계획안의 에너지 성능을 정량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툴을 개발하였다. 데이터센터는 계획된 ITE 장비가 준공 초기에 한 번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이고 장기적으로 추가되는 경우가 빈번하다.따라서, 데이터센터의 냉방 시스템은 계획된 최대부하를 담당할 수 있는 동시에 부분 부하 운영 시에도 효율이 크게 저하되지 않는 시스템으로 계획해야 한다. 또한, 365일 냉방부하가 발생하는 데이터센터의 부하 특성을 고려하여 동계와 중간기에 외기를 냉방에 활용하는 시스템 적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외기냉방 또는 외기냉수냉방과 같은 이코노마이저 적용 시, 연중 변화하는 외기 상태에 따라 이코노마이저 운전조건을 판단하고, 외기 상태 및 부하율에 따라서 달라지는 시스템의 동적 성능을 반영하여 연간 에너지가 계산되도록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다.

둘째, 시스템 설계단계에서 기계설비 엔지니어를 지원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EnergyPlus, TRANSYS 등의 동적 에너지 해석 프로그램은 앞서 기술한 데이터센터의 부하 및 시스템 운영 특성을 고려한 에너지 해석이 가능하나, 설비 엔지니어가 설계단계에서 사용하기에는 입력변수가 많고, 인터페이스가 복잡하다. 따라서, 시스템 설계와 성능 평가를 위해 툴을 활용할 때 설비 엔지니어가 쉽게 이해하여 모델링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였다.

2.2 모듈의 구조 및 프로그램 기능

본 프로그램은 Matlab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Fig. 1과 같이 시스템 설계 모듈과 성능평가 모듈로 구분되어 있다. 설계 모듈에서는 내부 발열 및 기타 부하조건을 입력하고 공조 조닝 및 열원 시스템을 구성하면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스템의 주요 장비의 용량, 팬과 펌프의 설계 풍량 및 유량, 장비의 설계 동력을 순차적으로 계산한 후, 결과창에 최대 냉방부하와 함께 엔지니어가 장비 선정에 참고할 수 있는 장비 일람표를 출력해준다.

Fig. 1 Modules of the data center cooling system design support and energy analysis tool.
../../Resources/sarek/KJACR.2021.33.10.543/fig1.png

성능평가 모듈에서는 ITE의 발열 프로파일을 일별, 주간별 또는 월별로 사용자가 선택해서 부분 부하 운전 조건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고, 입력된 발열 스케쥴에 따라 시간대별로 필요한 풍량 및 유량 그리고 시스템 성능이 반영된 장비의 소비동력이 계산된다. 이 때, 데이터센터가 위치하는 지역의 Hourly 기상데이터 파일을 불러와 외기냉방 또는 외기냉수냉방 적용에 따른 연간 냉방 에너지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성능평가 모듈의 결과창에서는 연간 냉방부하와 냉방 시스템 전체의 에너지 사용량, 주요 장비별 에너지 사용량, 이코노마이저 가용시간을 최소 한 시간 단위로 확인이 가능하며, 데이터센터 냉방 시스템 에너지 성능지표인 MLC(Mechanical Load Component)와 데이터센터 에너지 성능지표인 PUE(Power Usage Effectiveness)를 함께 출력해준다. 설계 모듈에서 저장된 데이터는 성능평가 모듈에서 불러와 에너지 계산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설계 모듈과 성능평가 모듈을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3. 프로그램의 알고리즘

3.1 냉방부하 및 주요 장비 설계데이터 산정

3.1.1 냉방부하 계산

냉방부하 계산을 위한 열획득의 경로 중 구조체에서 전도 열전달에 의해 획득되는 열은 구조체의 축열 효과에 의해 타임랙이 발생한다. 그리고 여러 가지 경로로 획득된 열은 복사 성분과 대류 성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대류 성분은 해당 시간에 획득된 열이 해당 시간의 냉방부하로 작용하나 복사 성분은 실내 표면에 흡수된 후, 대류 시스템에서 제거해야하는 부하가 되기까지 시간차가 발생한다. 외피의 영향이 큰 일반 건물에서는 이러한 지연효과를 반영하기 위하여 장비용량 산정을 위한 최대 부하 계산에는 주로 전도시계열과 복사시계열을 고려한 RTS(Radiant time series) 방법을 활용하고, 에너지 계산을 위한 기간 부하 계산에는 주로 HB(Heat balance)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IT 장비로부터의 발열이 지배적이고 24시간 운영되는 데이터센터는 전체 냉방부하 대비 외피부하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고, 서버실의 경우, 상주 인원이 없어 인체 발열부하도 없다고 가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센터 냉방부하를 계산하기 위하여 부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IT 장비의 발열량은 식(1)과 같이 랙당 발열량에 랙수량을 곱해서 구하거나 발열 밀도에 상면 면적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도록 하였고, IT장비 발열부하를 제외한 기타 냉방부하는 바닥면적 당 0.054 kW의 상수를 곱하여 계산하였다. 0.054 kW/m은 조명, 침기, 환기 및 외피 구조체를 통해 획득되는 열로서, 일반적인 오피스 건물의 냉방부하인 0.17 kW/m(=0.1RT/py)의 약 30% 수준이다. 데이터센터는 무창으로 계획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침기 및 관류부하가 작고, 상주인원이 없어 환기부하도 매우 작은 편이다. 또한, 오피스의 기기발열부하 부분도 데이터센터에서는 서버 발열부하로 별도로 계산을 해주기 때문에 IT장비 발열부하를 제외한 냉방부하는 일반적인 오피스 건물에 비해서는 낮은 값을 갖는다. 최근 국내에서 설계되는 데이터센터의 평균 발열 밀도는 일반적으로 5~7 kW/rack 정도 수준으로, 이를 단위면적 당 발열 밀도로 환산하면 1.7~2.4 kW 정도 된다. 이 경우, 기타 부하가 데이터센터 전체 냉방부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3% 정도 수준으로 비중이 크지 않으며 서버 발열 밀도가 높아질수록 영향도는 더 작아진다. 냉방 에너지 해석을 위한 기간 부하의 계산은 앞서 계산된 IT장비의 최대 발열량에 매시간 부하율을 곱하여 구하도록 하였다. IT장비 부하율은 사용자가 월별, 주별, 일별로 선택하여 스케쥴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최소 한 시간 단위까지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1)
$Q_{zone,\:k}=P_{rack}\times N_{rack}$ or $Q_{zone,\:k}=P_{zone,\:k}\times A_{k}$

3.1.2 주요 장비 설계데이터 산정

설계 모듈에서는 계산된 최대 냉방부하를 바탕으로 데이터센터 냉방 시스템의 주요 장비 용량을 계산하고, 설계 조건에서의 팬 풍량, 펌프 유량, 주요 장비 설계 동력 등의 설계데이터를 Fig. 2와 같이 순차적으로 계산해준다. 주요 장비의 용량은 최대 냉방부하 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안전율(S.F.)을 고려하여 필요한 설계 용량을 계산하고, 냉방코일 용량 산정 시에는 CRAH 팬 발열을 고려하여 계산하도록 하였다.

Fig. 2 Flow chart of the cooling system design module.
../../Resources/sarek/KJACR.2021.33.10.543/fig2.png

CRAH 풍량과 냉수 및 냉각수 유량은 시스템에서 제거해야 할 부하량과 사용자가 입력한 열매(공기, 물)의 온도차 및 열용량으로부터 계산하고, 계산된 팬 풍량(또는 펌프 유량) 데이터를 가지고 설계 조건에서의 팬(또는 펌프)효율과 모터효율, 그리고 정압(또는 양정)을 사용자가 입력하면 팬(또는 펌프)의 동력은 식(2)에 의해 계산된다. 냉동기의 설계 동력은 계산된 냉동기의 용량에 사용자가 입력한 설계조건에서의 COP 데이터로 식(3)에 의해 계산한다.

(2)
$P_{d,\:f/p}=\dfrac{\triangle P_{d}\times f_{d,\:f/p}}{\eta_{d,\:f/p}\times\eta_{d,\:m}\times 1,\:000}$

(3)
$P_{d,\:"X l\le r"}=\dfrac{Q_{d,\:"X l\le r"}}{COP}$

3.2 냉방 에너지 계산

성능평가 모듈에서는 주요 장비의 설계 데이터와 사용자가 입력한 ITE 발열 스케줄, 그리고 기상데이터를 입력받아 각 장비에서 매시간 소비되는 동력과 장비별 에너지를 계산하고, 시스템의 에너지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성능지표를 출력한다. 장비에서 소비되는 동력을 계산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ASHRAE 90.1 Performance rating method reference manual과 EnergyPlus의 Engineering reference를 참고하였으며, 성능평가 모듈에서 에너지와 시스템의 에너지 성능지표를 계산하기 위한 흐름도는 Fig. 3과 같다.

Fig. 3 Flow chart of the cooling system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module.
../../Resources/sarek/KJACR.2021.33.10.543/fig3.png

3.2.1 CRAH 팬 에너지

CRAH의 매시간 팬 소비동력 $P_{CRAH,\:fan}(t)$은 팬의 설계 동력($P_{d,\:CRAH}$)과 Fan Ratio($FR_{CRAH}(t)$), 그리고 성능계수 데이터($a\sim d$)를 활용하여 식(4)에 의해 계산한다. 여기서 Fan Ratio는 해당 시간에 필요한 풍량 ($f_{CRAH,\:fan}(t)$)과 설계풍량($f_{d,\:CRAH,\:fan}$)의 비율로 정의되며 식(5)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Fan Ratio를 계산하기 위한 설계풍량은 설계 모듈에서 불러오고, 해당 시간에 필요한 풍량은 부하의 발열 스케줄에 따라 해당 시간에 발생한 부하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풍량으로 매시간 계산되는 값이다. 식(4)의 4개의 성능계수는 장비업체로부터 제공 받은 데이터를 엔지니어가 직접 입력하거나 프로그램 입력창에서 팬유형과 제어유형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분 부하 운전에 따른 동적 성능이 반영되어 동력이 계산될 수 있도록 하였다.

(4)
$P_{CRAH,\:fan}(t)=P_{d,\:CRAH}\times\left(a+b\bullet FR_{CRAH}(t)+c\bullet FR_{CRAH}(t)^{2}+d\bullet FR_{CRAH}(t)^{3}\right)$

(5)
$FR_{CRAH}(t)=\dfrac{f_{CRAH,\:fan}(t)}{f_{d,\:CRAH,\:fan}}$

3.2.2 냉수/냉각수 펌프 에너지

냉수와 냉각수 펌프에서 요구되는 동력 $P_{pump}(t)$의 계산은 CRAH 팬 동력과 유사하게 식(6)식(7)에 의해서 계산한다. CRAH 팬과 동일하게 부분 부하 운전에 따른 장비의 동적 성능을 반영할 수 있도록 사용자는 펌프의 성능계수 $a\sim d$를 직접 또는 입력창에서 선택하는 방법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6)
$P_{pump}(t)=P_{d,\:pump}\times\left(a+b\bullet PR(t)+c\bullet PR(t)^{2}+d\bullet PR(t)^{3}\right)$

(7)
$PR(t)=\dfrac{f_{pump}(t)}{f_{d,\:pump}}$

3.2.3 냉동기 에너지

냉동기의 소비 동력 $P_{comp}(t)$는 냉수 및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가용용량과 냉수, 냉각수 온도, 그리고 부분 부하 운전에 따라 달라지는 냉동기 효율을 고려하여 식(8)~식(13)에 의해서 계산한다. 냉수의 공급온도는 항상 설계 공급온도로 유지된다고 가정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를 상수($T_{CHW,\:C}$)로 입력받아 계산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동일한 냉동기에서 냉수공급 설정온도가 다른 대안의 에너지 성능비교가 가능하다.

냉수의 공급 온도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과 비교하여 외기냉수냉방 적용 시, 냉각수의 공급 온도는 16~30℃(냉수 공급온도 18℃, 냉각수 공급온도 30℃ 기준)의 넓은 범위에서 운전되므로 냉각수 온도 변화에 따른 냉동기의 효율도 크게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외기냉수냉방 모드에서는 외기습구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냉각수 온도를 변수로 입력받아 냉동기의 동력이 계산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단, 외기냉수냉방 운전을 제외한 경우의 냉각수 공급온도는 냉각탑의 팬 풍량 제어를 통해 냉각수 공급온도가 설정 온도로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하여 계산하였다.

(8)
$P_{comp}(t)=P_{d,\:comp}\times "\cap FT"(t)\times EIRFPLR(t)\times EIRFT(t)$

(9)
$"\cap FT"(t)=a+b\bullet T_{CHW,\:C}+c\bullet T_{CHW,\:C}^{2}+d\bullet T_{CW,\:C}(t)+e\bullet T_{CW,\:C}(t)^{2}+f\bullet T_{CHW,\:C}\bullet T_{CW,\:C}(t)$

(10)
$EIRFPLR(t)=a+b\bullet PLR(t)+c\bullet PLR(t)^{2}$

(11)
$PLR(t)=\dfrac{q_{"X l\le r"}(t)}{q_{"X l\le r",\:avail}(t)}$

(12)
$q_{"X l\le r",\:avail}(t)="\cap FT"(t)\times Q_{d,\:"X l\le r"}$

(13)
$EIRFT(t)=a+b\bullet T_{CHW,\:C}+c\bullet T_{CHW,\:C}^{2}+d\bullet T_{CW,\:C}(t)+e\bullet T_{CW,\:C}(t)^{2}+f\bullet T_{CHW,\:C}\bullet T_{CW,\:C}(t)$

3.2.4 냉각탑 팬 에너지

냉각탑 팬 에너지 계산에는 EnergyPlus의 변풍량 냉각탑 모델인 YorkCalc correlations을 적용하였다. YorkCalc correlations은 3개의 독립적인 변수인 외기 습구온도, 냉각탑 레인지, 냉각수 유량비와 냉각탑 풍량비 간의 비율(LGRatio)과 27개의 성능계수로 구성된 회귀식이다.

4. 프로그램의 검증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로그램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가상의 데이터센터 건물을 대상으로 개발 중인 툴과 디자인빌더를 활용하여 동일한 냉방 시스템을 모델링한 후, 각 모델의 연간 냉방 에너지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비교하였다.

4.1 대상건물 및 시스템 개요

인천에 위치한 가상의 데이터센터를 대상으로 개발 중인 툴의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대상건물 데이터센터의 최대 서버 발열량은 1MW으로, 전체 서버 중 부하율은 0.85로 가정하였다. 또한, 서버 발열량의 12% 정도가 UPS 및 PDU에서 발열되고, 외피, 조명, 환기 등의 기타 냉방부하로 단위면적당 0.054 kW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이상 대상건물의 개요는 Table 1과 같다. 서버룸은 공조효율을 고려하여 컨테인먼트가 설치되었다고 가정하고, CRAH의 급기온도는 열획득을 감안해서 Cold aisle 온도보다 2℃ 낮은 공기를 급기하여 컨테인먼트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최근의 데이터센터는 컨테인먼트를 설치하고 row-based 공조방식을 적용함으로써, CRAH에서 취출된 공기가 서버입구에 도달하기까지 획득되는 열이 기존의 room-based 공조방식의 데이터센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CRAH 취출공기 온도가 20~24℃ 정도로, 기존의 20℃ 이하의 저온 취출방식에 비하여 구조체로부터 획득되는 열도 크게 줄어들어 최근 설계회사에서는 CRAH 취출 공기온도를 Cold aisle 공기보다 2℃정도 낮게 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서버룸의 냉방 시스템은 중앙냉수식으로, 안전율 1.0~1.2를 적용하여 개발 중인 툴의 설계 모듈로 시스템을 계획하였다. Cold aisle 설정온도를 26℃로 유지하기 위하여 서버룸의 공조를 담당하는 CRAH의 급기온도는 24℃로 설정하였으며, CRAH의 급배기 온도차는 12℃(서버$\triangle$T=10℃ 및 열획득 2℃가정)로 설정하였다. 냉수의 공급수/환수 온도는 10℃/18℃, 냉각수의 공급수/환수 온도는 30℃/35℃를 적용하였다. 설계조건에서의 열매온도, 정압과 양정, 시스템 효율을 입력하여 설계 모듈에서 계산된 팬풍량/펌프유량 및 장비의 설계 동력은 Table 2와 같다. 설계 모듈에서 산정된 장비의 설계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하여 디자인빌더 시뮬레이션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하였고, 동일한 데이터의 입력이 어려운 경우에는 두 모델의 장비 데이터가 최대한 유사한 값을 갖도록 디자인빌더로 모델링하였다(Table 2 비교표 참조).

Table 1 Simulation conditions of data center

Location

Incheon, South Korea

Volume

20 $\times$ 50 $\times$ 3.5 m$^{3}$ (W $\times$ D $\times$ H)

Configuration

Cold aisle containment

Internal heat gain

Servers

1MW (= 1kW/m$^{2}$)

Load ratio

0.85

UPS & PDU

120 kW

External heat gain + Lighting + Infiltration

0.054 kW/m$^{2}$

중앙냉수시스템에 대한 검증과 함께 외기냉방(ASE)이 적용된 모델의 검증도 함께 진행되었다. 앞서의 중앙냉수시스템 모델에 외기냉방을 위한 배기팬이 추가되었고, 외기냉방의 제어는 외기의 노점온도(DP)와 건구온도(DBT)를 기준으로 제어하였다. ASHRAE thermal guideline의 서버실 권장 온습도 조건과 CRAH의 공급공기와 리턴공기의 온도를 바탕으로 외기의 노점온도가 15℃ 이상 또는 건구온도가 34℃ 이상인 경우에는 냉동기만 운전하고, 노점온도가 15℃ 미만이면서 건구온도가 22℃ 초과 34℃ 미만인 경우에는 외기냉방과 냉동기를 병렬로 운전하고, 노점온도가 15℃ 미만이면서 건구온도가 22℃ 이하인 경우에는 냉동기 운전없이 외기로만 냉방하도록 제어를 설정하였다. 외기냉방을 위한 배기팬의 설계 데이터와 외기냉방 제어방법은 Table 2에 기술하였다.

Table 2 Cooling system design parameters

Systems

Components

Parameters

Values

Tool

( )

DesignBuilder

( )

Chilled water system

(Baseline)

CRAH fan

Supply temp. / Return temp.

24℃ / 36℃

24℃ / 36℃

100

Design flow rate

73.29 m$^{3}$/s

73.29 m$^{3}$/s

Static pressure

500 Pa

500 Pa

Rated fan power

52.35 kW

52.35 kW

Chiller

Capacity

1233 kW

1233.1 kW

99.99

COP

8

8

100

Rated power

154.13 kW

154.14 kW

99.99

CHW pump

Supply temp. / Return temp.

10℃ / 8℃

10℃ / 8℃

100

Design flow rate

0.0368869 m$^{3}$/s

0.0368869 m$^{3}$/s

Static pressure

500,000 pa

500,000 pa

Rated pump power

26.35 kW

26.27 kW

100.30

CW pump

Supply temp. / Return temp.

30℃ / 5℃

30℃ / 5℃

100

Design flow rate

0.0665111 m$^{3}$/s

0.0665111 m$^{3}$/s

Static pressure

300,000 Pa

300,000 Pa

Rated pump power

28.50 kW

28.42 kW

100.28

Cooling tower

(Counter flow)

Capacity

1400.0 kW

1381.4 kW

101.35

Rated fan power

15.0 kW

14.59 kW

102.81

Direct air-side economizer

(ASE)

Control

Type

Dew point temp. & Dry bulb temperature control

100

DP ≥ 15℃ or DBT ≥ 34℃: Chiller only mode

DP < 15℃ and, 22℃ < DBT < 34℃: Chiller + ASE mode DBT ≤ 22 ℃: ASE only mode

EA fan

Design flow rate

73.28 m$^{3}$/s

73.28 m$^{3}$/s

Static pressure

200 pa

200 pa

Rated fan power

20.94 kW

20.94 kW

4.2 시뮬레이션 결과비교

앞 절에서 제시한 대상건물 및 시스템 개요를 바탕으로 개발 중인 분석 툴과 DesignBuilder로 각각 모델링을 실시한 후, 두 모델의 연간 냉방 에너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Fig. 4는 중앙냉수시스템 모델(Baseline 모델)과 외기냉방을 적용한 모델(ASE 모델)을 툴(Tool)과 DesignBuilder(DB)로 시뮬레이션하여 계산된 주요 장비의 연간 냉방 에너지 및 두 모델 결과값의 NMBE(Normalized mean bias error)와 CVRMSE(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root mean square error)를 비교한 것이다. NMBE와 CVRMSE는 두 값(기준값과 비교값)의 차이를 정규화하여 서로 다른 스케일의 MBE와 RMSE를 비교 가능하도록 한 값으로 NMBE와 CVRMSE 값이 작을수록 기준값과 비교값 데이터의 일치율이 높다고 판단한다. 각각의 값은 아래의 식(14)(15)에 의해 구하며, ASHRAE guideline 14에 의해 NMBE값이 ±5% 미만이고, CVRMSE값이 15% 미만이면 모델이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Table 3 참조). 중앙냉수시스템 모델과 외기냉방 모델을 툴과 디자인빌더로 시뮬레이션 한 결과, 외기냉방 운전시 냉동기 에너지 사용량의 CVRMSE가 19.00로 유효범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의 데이터는 NMBE와 CVRMSE값이 모두 ASHRAE 가이드라인에서 제시된 값 이내로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외기냉방 모드 시 냉각탑 팬 에너지 사용량의 CVRMSE값은 14.45%로 유효범위인 15% 이내이나 비교적 높은 CVRMSE값을 나타냈다. CVRMSE는 오차를 정규화하기 위하여 RMSE를 기준값 에너지의 평균값(디자인빌더로 계산된 월별 에너지의 평균값)으로 나눠준다. 냉각탑 팬의 경우, RMSE는 0.8로 오차가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사용량 자체가 작기 때문에 CVRMSE값이 다른 장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 Requirements of level of uncertainty for whole building simulation calibration data represented in ASHRAE guideline 14

Calibration data

Indices

Requirements for ASHRAE Guideline 14

For monthly data

NMBE

±5%

CVRMSE

15%

For hourly daty

NMBE

±10%

CVRMSE

30%

Fig. 4 Tool and DesignBuilder simulation results for baseline and ASE models.
../../Resources/sarek/KJACR.2021.33.10.543/fig4.png

Fig. 5 Monthly chiller energy consumption comparison results of baseline model (Left: Tool, Right: DesignBuilder, NMBE: -2.96, CVRSME: 9.32).
../../Resources/sarek/KJACR.2021.33.10.543/fig5.png

개발 중인 툴과 디자인빌더 모델의 냉동기 에너지 사용량 오차의 원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냉동기의 월별 에너지 사용량 결과를 비교한 결과, Fig. 5와 같이 툴을 사용하여 계산된 냉동기의 에너지는 월별로 유사한 수준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나 디자인빌더로 계산된 월별 냉동기 에너지는 외기온도가 낮아지는 동계에는 냉동기 에너지가 줄어들고 외기온도가 높은 하계에는 냉동기 에너지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외기온도에 따라서 월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자인빌더 모델의 경우, 냉각수 온도가 외기온에 따라서 변하면서 냉각수 온도가 낮아지는 겨울에는 냉동기 효율이 높아지고 냉각수 온도가 높아지는 하계에는 냉동기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반영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월별 냉동기 에너지 사용량에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툴에 적용된 냉동기 모델은 외기냉수냉방이 적용된 경우에 한해서 외기온에 따라 냉각수 온도가 변하고 그에 따른 냉동기 효율이 달라지는 것을 모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이 되어있다. 외기냉수냉방 이외에는 냉각탑의 팬 풍량 제어를 통해 냉각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하도록 되어있어 툴로 모델링한 중앙냉수시스템의 월별 냉동기의 에너지 사용량은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따라서, 디자인빌더의 냉동기 모델링과 유사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 부분에 대한 추후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외기냉방이 적용된 경우, 툴과 디자인빌더를 활용하여 월별 냉방 에너지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는 Fig. 6과 같다. 두 모델의 외기냉방 제어는 Table 2에서와 같이 외기의 노점온도와 건구온도를 기준으로 동일한 제어를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두 모델 모두 인천의 외기조건을 기준으로 11월부터 4월까지는 냉동기 가동 없이 외기냉방만으로 냉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ASE가 적용된 두 모델의 연간 에너지 사용량은 거의 유사하였으나(Fig. 4참조) 두 모델의 냉동기 동력계산 방식의 차이로 인하여 냉동기 가동시 간이 늘어나는 7월과 8월에는 두 모델 간의 냉방 에너지 사용량 오차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6참조)

Fig. 6 Comparison results of monthly cooling energy consumption when ASE is applied (NMBE: 2.55, CVRSME: 11.31).
../../Resources/sarek/KJACR.2021.33.10.543/fig6.png

.

(14)
$NMBE=\dfrac{\sum_{i=1}^{n}\left(y_{i}-\hat y_{i}\right)}{n\times\overline{y}}\times 100$

(15)
$CV{SE}=\dfrac{\sqrt{\dfrac{\sum_{{i}=1}^{{n}}\left({y}_{{i}}-\hat{y}_{{i}}\right)^{2}}{{n}}}}{\overline{y}}\times 100$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센터 설계 단계에서 냉방 시스템의 용량 산정 및 에너지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툴을 Matlab 기반으로 개발하였으며, 동적 에너지 시뮬레이션인 디자인빌더 결과값과 비교를 통해 개발 중인 툴의 신뢰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데이터센터 성능기반 설계에 활용하기 위하여 개발된 본 프로그램은 시스템 설계 모듈과 성능평가 모듈의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계설비 엔지니어가 시스템 설계와 시스템의 에너지 성능을 검토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설계 모듈에서는 최대 냉방부하 계산 및 장비 선정을 위한 장비 일람표를 출력해주고, 성능평가 모듈에서는 설계 모듈에서 불러온 장비 데이터와 기상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간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간 부하, 장비별 에너지 사용량, 이코노마이저 가용시간, MLC, PUE 등을 출력해줌으로써 시스템 설계 초기에 설계 대안의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2) 연중 냉방부하가 발생하고, 대부분의 시간 부분 부하로 운전되는 데이터센터 건물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off-design 조건에서의 장비 효율을 반영하여 동력이 계산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팬과 펌프는 부분 부하율에 따라서 동력을 계산하고, 냉동기는 부분 부하 및 냉수와 냉각수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장비 성능을 고려하여 동력이 계산되도록 하였다.

(3) 본 프로그램은 전체 냉방부하 중 서버발열의 비중이 큰 데이터센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서버발열을 제외한 기타 냉방부하는 바닥면적 당 일정 상수를 곱하는 방식으로 계산하였다. 따라서, 기타 부하가 데이터센터 전체 냉방부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 이하가 되는 중대규모 이상의 데이터센터를 대상으로 유효하며 기타 부하의 비중이 높아지는 소규모 데이터센터에서는 부하계산의 오차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

(4) 개발 중인 프로그램의 검증을 위하여 상용 에너지 시뮬레이션인 디자인빌더 결과값과 비교한 결과, NMBE와 CVRMSE값이 외기냉방 운전시 냉동기 에너지 사용량을 제외하고는 모두 ASHRAE 가이드라인에서 제시된 모델 유효성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 중인 툴의 경우, 냉각수 온도변화가 중요한 외기냉수냉방 모드를 제외하고는 냉각수 온도가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냉각수 온도변화에 따른 냉동기 효율 차이가 반영되지 않아 생긴 오차로 판단되며 이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5) 본 연구에서 Matlab으로 개발 중인 툴은 본 연구에서 확인된 보완사항을 반영하고, 추가적인 검증과정을 거쳐 향후 윈도우 기반의 툴로 개발될 예정이다.

후 기

본 연구는 2018년도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에너지수요관리핵심기술사업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음. 과제번호: 2018201600010.

References

1 
Bashroush R., Andy L., Beyond PUE: Tackling IT’s Wasted Terawatts, Uptime InstituteGoogle Search
2 
ASHRAE , 2009, Best Practices for Datacom Facility Energy Efficiency,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Inc, AtlantaGoogle Search
3 
Beaty D., 2015, Airside Economizers in Data Centers, ASHRAE Journal, Vol. 57, No. 1, pp. 60-64Google Search
4 
Geng H., 2015, Data Center Handbook, Wiley & Sons, Inc., Hoboken, New Jersey, USAGoogle Search
5 
ASHRAE , 2019, ANSI/ASHRAE Standard 90.4-2019: Energy Standard for Data Centers,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Google Search
6 
ASHRAE , 2012, Datacom Equipment Power Trends and Cooling Applications,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Inc.Google Search
7 
Rasmussen N., 2013, Calculating Space and Power Density Requirements for Data Centers, pp. 3Google Search
8 
Goel S., Resenberg M., Eley C., 2017, ANSI/ASHRAE/IES Standard 90.1-2016 Performance Rating Method Reference Manual,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 (PNNL): Richland, WA, USADOI
9 
DOE , 2019, EnergyPlus Version 9.2.0 Documentation: Engeneering Reference, U.S. Department of Energy, Ch.16Google Search
10 
DOE , 2019, EnergyPlus Version 9.2.0 Documentation: Engeneering Reference, U.S. Department of Energy, pp. 1005-1006Google Search
11 
ASHRAE TC 9.9 , 2015, Thermal Guidelines for Data Processing Environments, 4th Edition,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IncGoogle Search
12 
ASHRAE Guideline 14-2014 , 2014, Measurement of Energy, Demand, and Savings,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