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대림대학교 소방안전설비과 조교수 (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Building System Technology, Daelim University College, Anyang, 13916, Korea )
  2. 수원과학대학교 소방안전설비공학과 조교수 (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Fire Protection and Building Facilities, Suwon Sceience College, Hwasung, 18516, Korea )
  3. 강원대학교 소방방재학부 교수 ( Professor, Division of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amcheok, 25913, Korea )



Intake system(취수시스템), Pump station(펌프장), Surging(서징), Overflow(월류)

기호설명

$A$: 취수관로 단면적 [m2]
$c$: 음속 [m/s]
$D$: 직경 [m]
$e$: 조도 [mm]
$f$: 마찰계수 [-]
$F$: 취수펌프장(서지탱크) 면적 [m2]
$H$: 구조물 높이 [m]
$L$: 취소관로의 길이 [m]
$Q$: 유량 [m3/s]
$V$: 속도 [m/s]
$Y$: 최고서지높이 [m]

하첨자

$E$: End shaft(도달 수직구)
$h$: Hydraulic(수력)
$L$: Launching shaft(발진 수직구)
$T$: TBM(Tunnel Boring Machine)

1. 서 론

해수를 이용한 화력발전소의 냉각수 계통은 일반적으로 수중 취수구 및 관로, 냉각수 펌프와 구조물, 복수기, 배수관로, seal well, 수중 배수관 및 배수구 등으로 구성되며, 취배수 시스템 설계 시 수력학적 특성과 안정성에 대한 검토는 필수적이다. 발전소 내 밸브의 급격한 개폐나 펌프 정지 및 기동으로 인한 서징(surging) 혹은 수격현상(water hammer)이 발생하면 압력파가 시스템 내 허용 압력 이상일 경우 관로 균열 등 각종 설비들을 파손시킬 우려가 높다. 따라서 대규모 발전시설은 경제적 손실을 막기 위해 이와 같은 서지 현상에 대한 정확한 해석이 필요하다.

발전소 취배수 계통의 서지해석 및 수리 안정성에 관한 연구로서 Choi et al.(1)은 흡수정 7개로 구성된 펌프장 모델과 단일 흡수정의 와류방지장치 유무에 따른 유동장 해석을 통해 상류로부터의 균일한 유동 유입분포가 설계 시 주요 고려사항임을 제시하였다. Kim et al.(2)은 광역상수도 관로시설의 취수펌프장의 펌프 운전 및 정지에 따른 현장시험과 서지해석을 통해 에어챔버의 압력 완화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Kan et al.(3)은 관개시설 펌프장에서 수격현상에 의한 압력 분포 해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Roh et al.(4)은 펌프장 내 섬프(sump) 주위의 유동해석을 통해 흡입수조의 설계 최적화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며, 건물 단위의 수격현상에 대한 연구로 Lee(5,6)는 급수 및 급탕 배관을 대상으로 압력 특성 및 수격현상에 대해 실험적인 규명을 통해 효과적인 압력 제어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까지 건물 단위에서의 유동 해석 및 밀폐 관로에 대한 서지 해석 연구는 비교적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발전소 규모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취수시스템으로 이용하는 형태에서 서지 발생시 안정적인 취수가 가능한 설계 안정성 평가 또는 취수 펌프장 내 구조물의 최적 설계 등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GRP, HDPE 등 일반적인 취수관로 재질의 밀폐회로에 대한 서지해석(7)이 아닌 취수계통 중간에 두 개의 수직구가 존재하는 콘크리트 재질의 개방형 취수관로의 서지해석에 대한 연구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수직구를 가진 발전플랜트의 취수관에서 범람 가능성을 정밀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원가절감이 가능한 발전플랜트 지중 냉각수 취수시스템의 최적 설계이며, 선행연구로서 냉각수 계통의 취수 펌프장, 육상 취수관로 등에서 펌프 정지 유무에 따른 서지 발생 시 범람(월류, overflow) 발생 가능성과 수리적(hydraulic) 안정성을 펌프장의 유입구(inlet bay)의 길이 변화에 따라 평가하였다. 또한 취수 펌프장 외에 TBM(Tunnel Boring Machine) 굴착을 위한 수직구(shaft)에서도 펌프 취수장의 길이를 기본 설계안보다 축소하였을 경우 기존보다 수위 상승이 예상되기에 구조물 벽체 높이 이상으로 넘칠 가능성은 없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2. 서지 해석 대상 및 방법

2.1 해석 대상

발전소 냉각은 수원(water source)으로부터 냉각수를 취수하여 복수기로 보내 열교환 후 이를 다시 수원으로 방출시키는 직접순환방식(once-through system)을 채택하고 있으며 전체 냉각수 계통의 흐름을 Fig. 1에 나타내었다. 본 연구 대상인 G 프로젝트의 취수 관로는 지리적 여건상 취수관로를 지상에 구성할 수 없는 구간이 존재하여 해상과 육상 관로로 구성되며, Fig.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구간의 전후에 지하 50 m 근처까지 수직갱도를 구성하고 깊은 심도에 취수관로를 배치한 구조이다. 이에 따라 해수는 취수관로를 따라 유입되다가 중력방향으로 50 m 깊이까지 하강 이후 900 m를 진행한 후 수직방향으로 지표면근처까지 상승한 다음 펌프장으로 유입되는 다소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육상 관로 중 TBM(Tunnel Boring Machine) 굴착을 위한 17.6 m 직경의 발진 수직구(launching shaft)와 14 m 직경의 도달 수직구(end shaft)로 구성되어 지중에 콘크리트 관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육상의 발전플랜트 펌프 취수장의 평면 및 단면에서의 구조는 Fig. 3(a)Fig.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수펌프가 총 8대로 블럭당 4대씩 구성되어 있으며, 펌프 취수장의 높이는 6 m이다. 펌프 취수장의 입구에서 1차 스크린까지의 거리는 36 m이며, 내부는 다수의 콘크리트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펌프의 유량 및 취수관로의 직경 등 해석에 필요한 조건들은 Table 1에 나타내었고, 해수면의 높이인 조위는 극한조건인 고극조위(highest high water level)를 적용하였으며, 수중 및 육상 취수관로는 가로, 세로의 길이가 각각 4.5 m의 사각 콘크리트 구조물로 수력학적 직경(D$_{h}$)으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서 조도 및 음속은 문헌(8)을 참고하여 설정하였다.

Fig. 1 Schematic of once-through cooling system in a power plant.
../../Resources/sarek/KJACR.2021.33.11.557/fig1.png

Fig. 2 Schematic of underground sea water intake system in a power plant.
../../Resources/sarek/KJACR.2021.33.11.557/fig2.png

Fig. 3 Schematic of pump station structure of sea water intake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1.33.11.557/fig3.png

2.2 해석 방법

서지 발생에 따른 유체의 높이를 예측하는 이론식은 단순하나 대규모 발전소와 같이 정밀한 해석이 요구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배관망 해석 프로그램이나 상용 CFD 프로그램을 이용한 3차원 비정상 해석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3차원 비정상 해석방법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발전소 취수관로와 같은 매우 긴 배관망에서는 서징현상으로 인한 배관 내 유동 및 압력파 거동이 일방향성 경향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1차원으로 가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기반이지만 비정상해석 수행시 비교적 정확도가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범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배관망 해석프로그램인 Flowmaster 7.9.5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서지해석을 위한 1차원 비정상 연속방정식과 운동량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
$\dfrac{\partial P}{\partial t}+\dfrac{c^{2}}{g}\dfrac{\partial V}{\partial x}=0$

(2)
$\dfrac{\partial V}{\partial t}+g\dfrac{\partial P}{\partial x}+\dfrac{f}{2D}V\enspace |\enspace V\enspace | =0$

여기서, P는 압력수두(m), V는 유속(m/s), c는 음속(m/s), f는 마찰계수를 의미한다.

한편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서지 발생시 해수가 증가하는 높이를 이론적인 예측값과 서로 비교하기 위하여 취수펌프장에서의 서지 높이를 예측할 수 있는 식(9)을 사용하였다.

(3)
$Y_{\max}=\overline{V}\sqrt{\dfrac{L A}{g F}}$

여기서, Y$_{max}$는 최고 서지 높이(m), $\overline{V}$는 취수관로의 단면평균유속, $L$은 취수관로의 길이, $A$는 취수관로의 단면적, $g$는 중력가속도, $F$는 취수펌프장(서지탱크)의 면적을 의미한다.

서지에 의한 최고수위 높이는 식(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수관로의 유속, 길이, 단면적 등의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채택하고 있는 모델에서와 같이 취수관로에 두 개의 수직구가 존재하여, 수직방향의 유동이 발생하고, 단면적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위 식에서는 그 영향을 해석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지 현상에 대한 정밀 해석이 필요하였으며, 두 결과값을 비교하기 위해 초기조건 및 경계조건은 취수시스템의 각종 형상 정보와 펌프 유량을 나타낸 Table 1의 값을 각각 이론해석과 시뮬레이션의 입력조건으로 활용하였다.

Fig. 4는 수치해석 모델을 취수관로와 비교해서 나타낸 그림이다. 취수의 대상인 해수면은 무한한 저수조로 나타냈으며, 두 개의 수직구와 펌프장은 대기에 노출된 수조로 가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표면적을 지닌 개방형 수조(open reservior)로 모델링하였다. 취수관로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직경의 확대 또는 축소로 인한 각종 부차손실은 head loss 요소로 가정하였으며, 펌프는 일정 유속 조건을 부여하였다. 여기서 비정상해석을 위해 각각의 펌프는 펌프 유량을 고정하여 정상상태를 해석한 다음, 그 해를 시간 0으로 하여 각 Case에 해당하는 갑작스런 정지부터 비정상해석을 수행하여 시간에 따른 펌프장 및 발진구에서의 수면 높이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해석 시간 간격은 0.005 초로 설정하였으며, 초기조건 및 경계조건은 취수시스템의 각종 형상 정보와 펌프의 유량을 나타내었던 Table 1의 값을 시뮬레이션의 입력조건으로 활용하였다.

Table 1. Boundary conditions and input data

Elevation

Pipe

Shaft

Pump

Parameter

Highest water level[m]

D$_{h}$[m]

e[mm]

c[m/s]

DL[m]

HL[m]

DE[m]

HE[m]

DT[m]

Q[m3/s]

Total number of pump

Value

+0.768

4.67

0.01

1,050

17.6

5.0

14.0

6.5

7.2

11.11

8

Table 2는 서지해석 시뮬레이션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Case 1은 펌프장 내 취수 펌프 8대가 모두 정지하는 극한의 경우이며, Case 2는 취수 펌프 중 증기터빈 1기를 담당하는 4대의 펌프만 정지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Inlet bay의 길이는 원 설계안(a)의 경우 폭이 36 m이며, 대안(b)은 inlet bay의 길이가 27 m로 9 m 축소하여 취수장 내 접근 유속이나 수직 통과 유속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 구조물의 물량 감소를 목적으로 설정한 길이이다. 상세한 해석모델별 형상의 차이는 Fig. 5에 나타내어 비교하였다.

Fig. 4 Computational model of sea water intake system in a power plant.
../../Resources/sarek/KJACR.2021.33.11.557/fig4.png

Table 2. Simulation cases for surge analysis

Length of inlet bay[m]

Total flow rate[m3/s]

Remarks

Case 1(a)

36

88.88

All pumps trip

Case 1(b)

27

88.88

All pumps trip

Case 2(a)

36

44.44

4 pumps trip

Case 2(b)

27

44.44

4 pumps trip

Fig. 5 Schematic digram of simulation cases with inlet bay length.
../../Resources/sarek/KJACR.2021.33.11.557/fig5.png

3. 결과 및 고찰

3.1 이론적 예측에 의한 서징 높이

시뮬레이션 해석 Case와 유사한 조건으로 서지 최대높이를 식(3)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식(3)으로 계산하는 경우 수직구의 영향은 무시하게 된다. 여기서, 냉각수의 평균 유속은 전체 유량을 TBM 원형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며, 길이는 전체 취수관로 뿐만 아니라 수직구, TBM관로 등의 모든 길이의 합으로 계산하였다. 서지 탱크의 면적은 취수펌프장으로 냉각수가 유입될 시 버퍼 역할을 하는 내부 공간의 면적으로 산정한 것이다. 산출된 최대 서지 높이는 inlet bay의 폭이 36 m인 Case 1의 경우 4.06 m였으며, 폭을 27 m로 감소시킨 Case 2의 경우 서지탱크 역할을 하는 면적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서지 높이가 4.45 m로 10% 증가하였다. 이론적인 계산식에 의해 산정한 최대 서지 높이는 펌프 구조물의 높이인 5 m 이하이므로 범람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2 취수 펌프 모두 정지 시 수위변화 예측

Fig. 6은 취수펌프 8대가 모두 정지했을 경우 펌프장에서의 수위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Inlet bay의 길이가 36 m인 기준모델의 경우, 8대 펌프 정지 시 펌프장에서의 수위는 최초 -0.5 m에서 3.6 m로 수위가 4.1 m 상승하였다. 이론적으로 계산한 최대 서지 높이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역시 펌프장 내 구조물의 높이인 5 m를 초과하지 않아 펌프 정지시 서징에 의한 범람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펌프 정지 후 약 218 초 후에 펌프 스테이션 수위는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압력파가 소멸되어 수위가 정상화되기까지는 약 1시간 6분이 소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Fig. 6에서 Inlet bay 길이가 27 m인 비교모델의 경우, 8대 펌프 정지시 펌프장에서의 수위는 최초 -0.5 m에서 3.9 m로 상승하여 4.4 m 상승하였으며, 기준모델에 비해 inlet bay 길이가 축소되었기 때문에 최고 수위는 0.3 m 정도 더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역시 이론적인 최대 서지 높이값인 4.45 m로 시뮬레이션 해석값과 이론적인 계산값이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최고 수위에 도달하는 시간은 펌프 정지 후 약 204 초로 기준모델 대비 14 초 정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펌프장 수위가 정상화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1시간 20분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Theoretical analysis for surge height

Parameter

Total length of pipe

(L)

Sectional area

(A)

Average velocity

(V)

Surge tank area

(F)

Maximum surging height(Y)

Original

Alternative

Unit

m

m2

m/s

m2

m

m

Case 1

1,665

39.86

2.18

1950.6

4.06

4.45

Case 2

1.09

1620.1

2.03

2.23

Fig. 6 Water level at the pump station for original and alternative design in case 1.
../../Resources/sarek/KJACR.2021.33.11.557/fig6.png

Fig. 7 Water level variation at the launching shaft and end shaft in case 1.
../../Resources/sarek/KJACR.2021.33.11.557/fig7.png

Table 4. Comparison of maximum surge height between theoretical calculation and simulation in Case 1

Water level[m]

Theoretical

Simulation

Case 1(a)

4.06

4.10

Case 1(b)

4.45

4.40

Fig. 7은 취수펌프 8대가 모두 정지하였을 경우 발진 수직구와 도달 수직구에서의 수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발진 수직구와 도달 수직구에서의 수위 변화는 펌프장에서의 수위 변화와 경향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위치에 따른 최고 수위에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원안의 경우 발진 수직구에서의 최고 수위는 3.9 m까지 상승하였는데 취수펌프에서 가깝게 위치해 있기 때문에 도달 수직구의 수위보다 더 높이 상승하였다. 그러나 수직구의 지상 구조물 높이가 5 m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곳 역시 서지에 의한 범람의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교모델의 경우 발진 수직구에서 최고 수위는 4.2 m로 취수펌프에서 가깝게 위치해 있기 때문에 도달 수직구의 수위인 2.2 m에 비해 2 m 정도 차이를 보였으며, 이 경우 도달 수직구에서 최고 수위는 2.1 m로 원안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는 Case 1의 경우 시뮬레이션을 통한 최대 서지 높이값과 이론적으로 계산한 값을 비교한 것이다. 본 연구대상의 경우 비정상 서지해석 시뮬레이션 결과값과 수직구의 존재 및 단면의 변화가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이론식으로 계산한 값이 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개방형 저수조 및 유속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서지탱크 역할을 하는 취수장에서의 취수면적이나 평균 유속이 정밀 시뮬레이션의 입력값과 동일한 조건이라면 취수장 이외에서의 영향은 크게 작용하지 않으며, 냉각수 계통의 수리 설계 시 빠른 시간에 서지 높이 계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3.3 취수 펌프 4대만 정지 시 수위변화 예측

Fig. 8은 취수펌프 중 50%인 4대가 정지했을 경우 펌프장에서 수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inlet bay 길이가 36 m인 원안의 경우, 펌프 정지 시 펌프장에서의 수위는 최초 -0.5 m에서 1.6 m까지 수위가 상승하였다. 펌프 유량이 50%로 감소하였기 때문에 8대 모두 정지 시에 비해 유량이 감소하여 수위는 2 m 정도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원안의 경우, 펌프 정지 시 서징에 의한 범람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펌프 정지 후 약 231 초 뒤 펌프장의 수위가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대안의 경우, 4대 펌프 정지 시 펌프장에서의 수위는 최초 -0.5 m에서 1.7 m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최고 수위에 도달하는 시간은 펌프 정지 후 약 212 초로 원안 대비 19 초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펌프장 수위는 약 50분 뒤에 정상화됨을 알 수 있다.

Fig. 9는 취수펌프 4대가 정지하였을 경우 발진 수직구와 도달 수직구에서의 수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발진 수직구와 도달 수직구에서의 수위 변화는 펌프장의 수위 변화와 경향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위치에 따른 최고 수위에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원안의 경우 발진 수직구에서 최고 수위는 2.0 m로 유량 감소비율에 비례하여 상승폭이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발진 수직구의 위치가 취수펌프에 가깝게 위치해 있기 때문에 도달 수직구에서 수위 상승폭인 1.1 m에 비해 더 높이 상승하였으며, 대안의 경우 inlet bay의 폭이 감소되어도 발진 수직구에서 최고 수위는 2.1 m로 원안과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증기터빈 1대의 냉각을 담당하는 취수펌프 4대가 정지하는 Case 2의 경우에도 서지에 의해 수직구 지상 구조물 높이를 초과하는 범람의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8 Water level at the pump station for original and alternative design in case 2.
../../Resources/sarek/KJACR.2021.33.11.557/fig8.png

Fig. 9 Water level variation at the launching shaft and end shaft in case 2.
../../Resources/sarek/KJACR.2021.33.11.557/fig9.png

Table 5. Comparison of maximum surge height between theoretical calculation and simulation in Case 2

Water Level[m]

Theoretical

Simulation

Case 2(a)

2.03

2.10

Case 2(b)

2.23

2.20

Table 6. Results for water level and peak time with inlet bay length

Case 1

Case 2

(a) Original

(b) Alternative

(a) Original

(b) Alternative

inlet

bay

launch-

ing shaft

end shaft

inlet

bay

launch-

ing shaft

end shaft

inlet

bay

launch-

ing shaft

end shaft

inlet

bay

launch-

ing shaft

end shaft

Water level increase [m]

4.1

3.9

2.1

4.4

4.2

2.2

2.1

2.0

1.1

2.2

2.1

1.2

Time to max. level [s]

218.5

221.0

235.0

204.0

195.5

234.0

231.0

224.0

239.0

211.5

215.0

236.0

Table 5는 Case 2의 경우 시뮬레이션을 통한 최대 서지 높이값과 이론적으로 계산한 값을 비교한 것이다. Case 1과 마찬가지로 시뮬레이션 값과 이론값이 2% 이내의 오차로 거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 6은 시뮬레이션 해석 Case별 수위 상승 높이와 최고 수위에 도달하는 시간을 요약하여 나타낸 것이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해수를 이용한 발전플랜트의 지중 냉각수 취수 시스템에서 inlet bay의 길이에 따른 서지 해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시뮬레이션으로 정밀 해석한 결과값과 개방형 수조의 유무 및 유속 변화의 영향을 무시한 이론적인 서지 높이 예측값은 잘 일치하였으며, 특수한 조건을 가진 냉각수 계통의 수리 설계 및 서지 높이 예측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8대 펌프 모두 정지 시 펌프 취수장 inlet bay의 길이가 36 m인 원안의 경우, 취수장에서의 수위는 약 4.1 m 상승하여, 구조물 높이인 5 m보다 낮아 범람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진 수직구와 도달 수직구에서의 수위 변화는 취수장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최고 수위는 4 m 이하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수력학적으로 안정적임을 확인하였다.

(3) 8대 펌프 모두 정지 시 펌프 취수장 inlet bay 길이가 27 m인 대안의 경우, 펌프 취수장에서의 수위는 원안에 비해 최고 수위가 0.3 m 추가 상승하나 역시 구조물 높이 이하로 유지가 가능하므로 inlet bay 길이 축소를 통해 원가절감이 가능한 설계 대안임을 확인하였다.

(4) 4대의 펌프가 정지 시에는 원안과 대안 모두 유량 및 유속 감소와 긴 배관망의 영향으로 12 초 이상의 서지 지연효과가 나타났으며, 취수장 및 수직구에서 수위 상승은 모두 구조물 이내 높이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향후 펌프 취수장의 inlet bay의 길이를 축소한 대안의 경우 취수장 내의 유동해석 및 균일도 확보 여부에 대해 CFD 해석 등의 추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References

1 
Choi J. W., Choi Y. D., Lim W. S., Lee Y. H., 2009, Numerical Analysis on the Flow Uniformity in a Pump Sump Model with Multi Pump Intake, The KSFM Journal of Fluid Machinery, Vol. 12, No. 4, pp. 14-22DOI
2 
Kim K. Y., Ahn C. H., Kim B. J., 2012, Water Hammer for the In-line Intake Pumping Station with Air Chamber, The KSFM Journal of Fluid Machinery, Vol. 15, No. 6, pp. 70-76DOI
3 
Kan E., Muratov A., Yusupov M., Ikramov N., 2020, Calculation of Water Hammer on the Pressure Pipeline of Modernized Irrigation Pmping Station, IPICSE 2020Google Search
4 
Roh H. W., Kim J. S., Suh S. H., 2002, Flow Analysis Around within Sump in a Pump Station Using by the CFD, Proceedings of the KFMA Annual Meeting, pp. 89-94Google Search
5 
Lee Y. H., 2009, The Study of Water Hammer in Polybutlene Double Piping System,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1, No. 7, pp. 380-385Google Search
6 
Lee Y. H., Yoo J. O., Park H. S., Kim Y. H., 2000, The Experimental Study of Water Hammer by Valve Closure in Water Supply Piping System,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12, No. 7, pp. 697-702Google Search
7 
Iffa R. B., Triki A., 2019, Assessment of Inline Technique-based Water Hammer Control Strategy in Water Supply Systems, Journal of Water Supply: Research and Technology-Aqua, Vol. 68, No. 7, pp. 562-572DOI
8 
Huo J., 2013, Surge Analysis and Engineering Design for a Somerset Pump Station and its Water Distribution System,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Congress 2013DOI
9 
Perliter S., Urbain E. A., 1964, Pipeline Surges and their Effect on Pump Station Design, Journal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Vol. 56, No. 7, pp. 823-864DOI
10 
Triki A., Essaidi B., 2021, Investigation of Pump Failure-Induced Waterhammer Waves: A Case Study, Journal of Pressure Vessel Technology, Vol. 143, No. 6, pp. 256-263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