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부경대학교 대학원 냉동공조공학과 대학원생 ( Graduate Student, Graduate School of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45, Yongso-ro, Nam-gu, Busan, Republic of Korea )
  2. 부경대학교 냉동공조공학과 교수 ( Professor, Department of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45, Yongso-ro, Nam-gu, Busan, Republic of Korea )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가변속 냉동시스템), $\mu$-synthesis control($\mu$-합성 제어), Robust control(견실제어), Structured uncertainty(구조화 불확실성), Dynamic perturbation(동적 섭동)

기호설명

$C$ : 상보감도함수 [-]
$d$ : 외란 [-]
$e$ : 오차 [-]
$f_{i}$ : 인버터 주파수 [Hz]
$G$ : 일반화 제어대상 [-]
$K$ : 제어기 [-]
$k$ : DC 게인 [-]
$M$ : 폐루프 전달함수 [-]
$P$ : 제어대상 및 간섭항 전달함수 [-]
$p$ : 불확실성 비율 [-]
$S$ : 감도함수 [-]
$s$ : 복소 변수 [-]
$T$ : 온도, 제어량 []
$u$ : 제어입력 [-]
$V_{o}$ : EEV 개도 지령 [step]
$W$ : 가중함수 [-]
$w$ : 섭동입력 [-]
$y$ : 측정출력 [-]
$Z$ : 제어출력 [-]
$z$ : 섭동출력 [-]
$\Delta$ : 모델 불확실성(섭동) [-]
$\delta$ : 파라미터에 대한 섭동 [-]
$ \overline{\sigma}$ : 최대 특이치 [-]
$\tau$ : 시정수 [sec]
$\mu$ : 구조화 특이치 [-]
$\omega$ : 주파수 [rad/s]

하첨자

$c$ : 압축기 [-]
$d$ : 열부하 외란 [-]
$e$ : EEV [-]
$f$ : 가상의 불확실성 [-]
$i$ : 간섭, 압축기 측(1,2) [-]
$j$ : EEV 측(3,4) [-]
$k$ : DC 게인 [-]
$l$ : 하측 선형 분수 변환 [-]
$o$ : 오일출구 [-]
$p$ : 모델 불확실성 [-]
$s$ : 과열도 [-]
$u$ : 상측 선형 분수 변환 [-]
$\tau$ : 시정수 [sec]

1. 연구배경 및 목적

가변속 냉동시스템(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VSRS)은 부분 부하 대응 능력과 에너지 절약 성능이 뛰어나며 고정밀 온도 제어가 가능해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1-6)

VSRS의 제어기 설계를 위한 제어대상의 동특성 모델은 MBM(Moving Boundary Model)을 적용한 해석학적 고차원 상태공간 모델이나 실험으로 구한 저차원 전달함수 모델을 주로 이용한다. MBM을 적용한 VSRS의 모델은 매우 복잡한 고차의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되며, 이를 선형화, 저차원화 하고 파라미터를 동정(identification)하는 과정에서 모델의 불확실성(model uncertainty)이 증대된다.(1,2) 또한, 고차의 상태공간 모델은 다수의 상태변수를 가지므로 이들의 물리적 의미 파악이 어려워 설계한 상태관측기의 타당성 검증이 쉽지 않다. 한편, 저차원의 전달함수 모델은 VSRS의 동작점 근방에서 실험을 통해 구해진다.(3-6) 전달함수 모델은 모델링이 쉽고, 저차원이어서 실용적이지만 장치 주변 외기 온도, 동작점 등이 모델링 시와 다를 경우, 공칭모델에 오차(perturbation)가 발생하게 된다.(6) 결국 상태공간 모델이나 전달함수 모델 모두 모델 불확실성을 포함한다. 또한, VSRS는 열부하 외란이 수시로 인가되므로 정밀한 온도 제어를 위해서는 모델 불확실성과 외란에 대해 견실한 제어기 설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VSRS의 견실 제어법으로는 ORSC(Optimal Robust Servo Control), SMC(Sliding Mode Control) 등이 제안되어 있다.(2,5)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전달함수 공칭모델로부터 유도한 저차원 상태공간 모델 기반의 설계여서 비선형성과 모델의 불확실성이 큰 VSRS의 경우에는 견실성(robustness)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주파수 영역에서의 성능 평가를 통한 견실한 제어기의 적용이 검토되었으며, $H_{\infty}$제어와 $\mu$-synthesis 제어가 대표적이다. $H_{\infty}$제어와 $\mu$-synthesis 제어의 공통점은 주파수 정형을 이용하여 외란과 모델링 오차(모델의 불확실성)가 제어 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한다는 점이다. 두 제어법의 차이점은 설계 시 모델의 불확실성을 고려하는 방법과 이를 반영하는 설계 파라미터에 있다. $H_{\infty}$제어는 모델의 불확실성을 비구조화 섭동(unstructured perturbation)으로 다루며, 최대 특이치를 적용하여 설계한다.(7,8) 이런 까닭에 $H_{\infty}$제어는 특정 범위의 불확실성에 대한 안정성만을 보장하는 보수적인 설계로 된다. 반면에, $\mu$-synthesis 제어는 모델의 불확실성을 구조화 섭동(structured perturbation)으로 다루며, 구조화 특이치(structured singular value)를 이용하여 설계한다. 따라서 $\mu$-synthesis 제어는 구조화된 불확실성에 최적인 제어기 설계가 가능함으로써 견실 안정성과 견실 제어 성능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9-17) 이와 같은 $\mu$-synthesis 제어기($\mu$-제어기)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VSRS 제어에 $\mu$-제어기를 적용한 논문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mu$-제어가 주파수 영역에 기초한 설계이므로 해석이 어렵고 설계 파라미터인 가중함수의 선정과 제어기 설계에 반복 시행(trials and errors)을 요하는 번거로움 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VSRS의 정밀한 온도 제어를 위해 외란과 모델 불확실성에 견실한 $\mu$-synthesis 제어법을 적용한다. 제어기 설계를 위한 동특성 모델은 실용적이고 해석이 쉬운 전달함수를 이용한다. 전달함수 공칭모델이 갖는 불확실성은 정량화된 구조화 불확실성으로 취급되어 구조화 특이치 개념을 적용한 설계가 행해진다. VSRS의 견실 안정성 및 견실 제어 성능(견실 성능)을 만족시키는 $\mu$-제어기는 주파수 가중함수를 이용한 혼합감도문제로 정식화 되어 반복 시행을 통해 설계된다. 설계된 $\mu$-제어기는 실제 VSRS 기반 오일쿨러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그 타당성이 확인되고, 기존의 PI 제어기와의 성능 비교를 통해 그 유효성이 입증된다.

2. 구조화 특이치를 이용한 VSRS의 $\mu$-synthesis 제어기 설계

2.1 VSRS의 전달함수 모델링과 모델 불확실성

Fig. 1은 VSRS 기반의 오일쿨러 시스템(Oil Cooler System; OCS)의 장치 모식도이다. VSRS는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인버터(inverter)로 가변시켜 냉매의 질량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목표 온도 $T_{o}$를 제어한다. 압축기의 급격한 가변속은 액백(liquid back)이나 과열증기 압축으로 인한 COP 저하를 초래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자팽창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의 개도(opening angle)를 EEV 드라이브로 조절함으로써 과열도도 동시에 제어한다. 과열도 $T_{s}$는 증발기 내의 압력 강하가 미소함을 고려하여 증발기 입구와 출구의 온도 차이로 정의하였다. 실제 시스템에서의 외란(disturbance)인 열 부하는 냉동 사이클에 부가적으로 장착된 전기히터를 통해 인가된다. Table 1은 실제 실험 장치의 냉동사이클 및 부속기기의 주요 사양을 나타낸다.

Fig. 2는 OCS의 모델링 및 제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전달함수의 블록도이다. OCS의 제어량은 오일출구온도 $T_{o}$와 과열도 $T_{s}$이고, 이들에 대응하는 조작량은 압축기 인버터 주파수 $f_{i}$와 EEV 개도 지령 $V_{o}$이다. 제어대상인 압축기와 EEV의 전달함수는 $P_{c}(s)$와 $P_{e}(s)$이다. 전달함수 $P_{ic}(s)$는 압축기 조작량이 $T_{s}$에 미치는 간섭 영향, $P_{ie}(s)$는 열부하 외란이 $T_{o}$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나타낸다. 이들 $P_{ic}(s)$, $P_{ie}(s)$ 두 전달함수는 시뮬레이션 시, 실제 제어대상의 동특성을 정확하게 모사하기 위한 용도로 쓰일 뿐, 제어기 설계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또한, EEV의 개도 변화가 $T_{o}$에 미치는 간섭 영향은 선행 연구 결과 극히 미미하였으므로 고려하지 않았다.(5)

OCS의 전달함수 공칭모델은 동작점(25$^{\circ} {C}$) 근방에서 동특성 실험을 통해 $f_{i}$와 $V_{o}$변화에 따른 $T_{o}$와 $T_{s}$의 응답 즉, $\delta T_{o}/\delta f_{i},\:\delta T_{s}/\delta V_{o}$로부터 식(1)과 같이 구하였다.(5) 여기서 기호 ‘$\delta$’는 미소 변동량을 나타낸다. 공칭모델의 불확실성 크기는 동특성 실험 시의 장치 주변 외기 온도, 동작점, 조작량의 변동량 등을 달리해 전달함수를 구한 결과, 그 최대 변동 범위가 약 $\pm$30%로 나타났다.(6) 이를 고려한 압축기와 EEV의 공칭모델의 불확실성은 식(2)와 같다.

Fig. 1. Conceptual diagram for OCS based on VSRS.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fig1.png

Table 1. Specifications of the OCS based on VSRS and the attached devices

Component

Note

Component

Note

Compressor

Rotary type, 30~90 [Hz], 0.86 [kW]

Inverter

4.5 [kVA], 3-Phase, PWM

EEV

0~2,000 [step], 12 [V]

EEV drive

4 [W], 24 [V], Bipolar type

Condenser

Air-cooled fin and tube type, 5.24 [kW]

Heater

4.5 [kW](max.)

Evaporator

Bare tube coil type, 2.1 [kW] (max.)

Oil tank

Immersion type, 400mm X 400mm X 385mm

Refrigerant

R-22, 0.9 [kg] (max.)

Oil

ISO VG 10, Velocite oil No. 6, 40 [L]

Fig. 2. Transfer functions for a compressor and EEV.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fig2.png

(1)
$\begin{cases} P_{c}(s)=\dfrac{k_{c}}{\tau_{c}s+1} & \\ P_{e}(s)=\dfrac{k_{e}}{\tau_{e}s+1} \end{cases}$

(2)
$\begin{cases} k_{c}=\overline{k_{c}}(1+p_{kc}\delta_{kc}),\:\tau_{c}=\overline{\tau_{c}}(1+p_{\tau c}\delta_{\tau c})\\ k_{e}=\overline{k_{e}}(1+p_{ke}\delta_{ke}),\:\tau_{e}=\overline{\tau_{e}}(1+p_{\tau e}\delta_{\tau e}) \end{cases}$

식(2)에서 전달함수 공칭모델의 각 특성값은 압축기의 경우 $ \overline{\tau_{c}}= 1,\:680$, $ \overline{k_{c}}= -0.43$이고, EEV의 경우 $ \overline{\tau_{e}}= 67$, $ \overline{k_{e}}= -0.045$였다. 이때 상첨자 기호 ‘―’는 공칭값을 의미한다. 이들 파라미터의 섭동 $\Delta_{p}$의 범위는 각 파라미터의 최대 변동 범위가 $\pm$30%임을 고려하여, $-1\le\delta_{\tau c},\:\delta_{\tau e},\:\delta_{kc},\:\delta_{ke}\le 1$, 그 비율은 $p_{\tau c},\: p_{\tau e},\: p_{kc},\: p_{ke}= 0.3$으로 하였다. 제어대상에 대한 식(1)의 전달함수 모델은 상태공간 모델보다 제어량의 거동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각 특성 파라미터가 지닌 불확실성 요소를 비교적 쉽게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파수 공간에서의 $\mu$-제어기 설계에도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전달함수의 복소 변수 ‘$s$’를 표기의 편의상 생략한다.

Fig. 3은 압축기와 EEV의 공칭모델인 식(1)의 각 특성값 $\tau$와 $k$가 식(2)와 같이 최대 $\pm$30%까지 변동할 때 압축기와 EEV의 전달함수의 개루프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 보드선도이다. 각 보드선도로부터 제어대상 $P_{c}$, $P_{e}$의 모델 불확실성이 위상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지만 이득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기 설계 시에는 모델 불확실성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Fig. 3. Bode diagram according to change of model uncertainty in $\tau$ and $k$.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fig3.png

2.2 구조화 특이치를 이용한 $\mu$-synthesis 제어

Fig. 4는 $\mu$-제어기 설계를 위한 일반화 제어대상 모델 및 선형 분수 변환(Linear Fractional Transformation; LFT)을 통해 간략화된 등가 변환 블록도를 나타낸다. (a)는 구조화 불확실성 $\Delta$를 갖는 일반적인 견실 제어기 설계에 대한 구조이고, (b)는 (a)의 하측(lower) 선형 분수 변환을 통해 얻은 표준 $M$-$\Delta$구조도이다. (a)에서 $G$는 일반화 제어대상, $\Delta$는 섭동, $K$는 제어기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w$, $d$, $u$는 일반화 제어대상 $G$의 섭동입력, 외란, 그리고 제어입력을 각각 나타낸다. 출력인 $ {z}$, $e$, $y$는 일반화 제어대상 $G$의 섭동출력, 오차, 그리고 측정출력이다. (b)의 $M$은 입력 변수 $d$와 $u$, 출력 변수를 $e$와 $y$로 하여 식(3)과 같이 유도되며, 식(4)는 (b)의 상측(upper) 선형 분수 변환을 통해 도출된다.(9-13)

(3)
$M = F_{l}(G,\:K)=G_{11}+G_{12}K(I-G_{22}K)^{-1}G_{21}$

(4)
$e = F_{u}(M,\:\Delta)d =\left[M_{22}+M_{21}\Delta(I-M_{11}\Delta)^{-1}M_{12}\right]d$

여기서, 대각 행렬 구조를 갖는 $\Delta$를 식(5)와 같이 정의한다. $\Delta_{p}$는 놈(norm)이 한정된 불확실성(norm-bounded uncertainties)의 구조화된 집합으로서 공칭 전달함수에 포함된 모델 불확실성을 의미한다. $\Delta_{f}$는 $\mu$-제어에서의 견실 성능 조건을 나타내기 위해 도입한 가상의 불확실성이다.(12-16)

(5)
$\Delta =\left\{\begin{bmatrix}\Delta_{p} & 0\\0 & \Delta_{f}\end{bmatrix}:\Delta_{p}\in bold\Delta_{p},\:\Delta_{f}\in C^{n\times n}\right\}$

$\mu$-제어기 설계는 식(5)의 구조화 불확실성 $\Delta$를 갖는 Fig. 4(a)의 폐루프 시스템이 견실 안정성과 견실 성능을 만족하도록 하는 제어기 $K$를 구하는 문제이다. 견실 안정의 필요충분조건은 식(6)으로 정의된 구조화 특이치를 이용하면 $\mu_{\Delta}\{M(j\omega)\}\le 1(\forall\omega)$이다. 이때, $\Delta$의 최대 특이치는 1 이하, $M$은 안정이며 프로퍼(proper)한 전달함수이다.(9-15) 이 조건은 주요 루프 정리(Main Loop Theorem)에 의해 견실 성능도 동시에 보장한다.(14)

(6)
$\mu_{\Delta}(M):=\dfrac{1}{\min\{\overline{\sigma}(\Delta):\Delta\in bold\Delta ,\:\det(I-M\Delta)=0\}}$

구조화 특이치를 이용한 $\mu$-제어기 설계는 식(3)에서 정의한 폐루프 전달함수 $M = F_{l}(G,\:K)$, $M\in C^{n\times n}$을 전 주파수 대역에서 구조화 특이치 $\mu_{\Delta}(M)$의 최댓값을 최소화하는 안정한 제어기 $K$를 설계하는 문제로 정식화 된다.(9-13)

(7)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equ7.png

Fig. 4. Block diagram with structured uncertainty for a $\mu$-controller design.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fig4.png

실제로 식(7)의 해를 직접 구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제어기 설계 시는 식(8)과 같이 구조화 특이치 $\mu_{\Delta}(M)$보다 같거나 큰 최대 특이치 $ \overline{\sigma}(M)$을 이용한다. 그러나 최대 특이치는 $\Delta$의 불확실성 구조가 반영되어 있지 않아서 대각 비례 행렬(diagonal scaling matrices) 집합인 식(9)의 $D$를 도입하여 식(10)을 푸는 문제로 대체된다.(9-13)최종적으로 $\mu$-제어기 설계는 식(11)의 $D$를 최소화하는 안정한 제어기 $K$를 설계하는 문제로 귀착되며, 식(7)을 푸는 문제와 동일한 결과로 된다. 식(9)의 상첨자 기호 ‘*’는 복소 공액 전치를 나타낸다.

(8)
$\mu_{\Delta}(M)\le\overline{\sigma}(M)$

(9)
\begin{align*} D=diag[D_{1},\: D_{2},\:\ldots ,\: D_{S},\: d_{1}I,\: d_{2}I,\:\ldots ,\: d_{F}I]:\\ D\in C^{r\times r},\: D=D^{*},\: d\in R,\: d> 0 \end{align*}

(10)
$$ \mu_{\Delta}(M) \leq \inf _{D \in D} \bar{\sigma}\left(D M D^{-1}\right) $$

(11)
$$ \min _{\text {stable } K} \min _{D \in D}\left\|D M D^{-1}\right\|_{\infty} $$

결국, $\mu$-제어기 설계는 식(11)을 최소화하는 제어기 $K$를 찾는 문제로서, scale factor인 $D$값을 수정해 가면서 $\mu$값이 최소화되는 제어기를 반복 계산으로 찾는 방법이다.(9-13) 이와 같이 최적의 제어기를 찾는 방법은 D-K iteration으로 알려져 있으며, 견실 안정성과 견실 성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mu$-제어기의 설계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2.3 VSRS의 $\mu$-synthesis 제어기 설계

Fig. 5는 압축기와 EEV의 $\mu$-제어기 설계를 위한 구조화 불확실성과 가중함수를 갖는 피드백 제어계를 나타낸다. 그림에서 $K_{c}$, $K_{e}$는 압축기와 EEV용 제어기이며, $W_{i}$($i$=1, 2), $W_{j}$($j$=3, 4)는 가중함수이다. 가중함수는 폐루프 성능 조건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반영시키기 위한 설계 인자로서 $W_{i}$는 $T_{o}$, $W_{j}$는 $T_{s}$의 성능을 각각 조절하는 하중함수이다. $Z_{i}$($i$ = 1, 2), $Z_{j}$($j$ = 3, 4)는 가중치가 부가된 제어출력을 나타낸다. 한편, 모델 불확실성의 집합 $\Delta_{p}$는 $\Delta_{c}$, $\Delta_{e}$로 구성되며, $\Delta_{c}=diag[\delta_{\tau c},\:\delta_{kc}]$, $\Delta_{e}=diag[\delta_{\tau e},\:\delta_{ke}]$로 정의되는 대각행렬로서 $P_{c}$와 $P_{e}$의 구조화 불확실성을 반영한다. 또한, $w_{c}$와 $w_{e}$는 제어대상에 대한 섭동입력이고 $ {z}_{ {c}}$와 $ {z}_{ {e}}$는 각 제어대상의 덧셈형 불확실성 식(2)에 해당되는 섭동출력이다. $d_{c}$와 $d_{e}$는 외란입력으로서 $d_{c}$는 $T_{o}$에 미치는 열부하 외란, $d_{e}$는 $u_{c}$가 $T_{s}$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각각 나타낸다. $u_{c}$와 $u_{e}$는 제어입력(조작량)으로서 $f_{i}$와 $V_{o}$이고, $y_{c}$와 $y_{e}$는 압축기와 EEV의 측정출력을 각각 나타낸다.

Fig. 5. Control system with weighting functions and model uncertainties.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fig5.png

우선 모델의 불확실성을 설계에 반영하기 위해, Fig. 5의 압축기와 EEV의 공칭모델 $P_{c}$와 $P_{e}$는 식(12)의 LFT를 통해 모델 불확실성 $\Delta_{p}$를 갖는 제어대상 $\widetilde P$로 표현된다. 여기서 상첨자 기호 ‘~’는 불확실성이 포함된 제어대상을 의미한다.

(12)
$\begin{cases} \widetilde P_{c}=F_{u}(P_{c},\:\Delta_{c}) & \\ \widetilde P_{e}=F_{u}(P_{e},\:\Delta_{e}) & \end{cases}$

외란 $d_{c}$, $d_{e}$가 제어출력 $Z_{i}$, $Z_{j}$에 미치는 영향은 식(13)과 같다. 이때 가중함수 $W_{i}$, $W_{j}$는 주파수 정형(loop shaping)을 통해 외란과 모델 불확실성에 대한 성능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13)
$\begin{cases} \left[\begin{aligned}Z_{1}\\Z_{2}\end{aligned}\right]=\left[\begin{aligned}W_{1}(I +\widetilde P_{c}K_{c})^{-1}\\W_{2}\widetilde P_{c}K_{c}(I +\widetilde P_{c}K_{c})^{-1}\end{aligned}\right]d_{c} & \\ \left[\begin{aligned}Z_{3}\\Z_{4}\end{aligned}\right]=\left[\begin{aligned}W_{3}(I +\widetilde P_{e}K_{e})^{-1}\\W_{4}\widetilde P_{e}K_{e}(I +\widetilde P_{e}K_{e})^{-1}\end{aligned}\right]d_{e} & \end{cases}$

외란 $d_{c}$, $d_{e}$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식(14)로 정의되는 감도함수 $|\widetilde S |$가 작게, 즉 제어기 $K$($K_{c},\: K_{e}$)를 증가시키고, 모델 불확실성 $\Delta_{p}$가 출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식(14)의 상보감도함수 $|\widetilde C |$를 감소, 즉 $K$를 감소시켜야 한다. 식(14)로부터 $\widetilde S +\widetilde C =1$이므로 감도함수와 상보감도함수는 상호 절충(trade-off)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중함수 선정에도 절충 조건이 존재하므로 가중함수를 동시에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14)
$\begin{cases} \widetilde S =(I +\widetilde P K)^{-1} & \\ \widetilde C =\widetilde P K(I +\widetilde P K)^{-1} & \end{cases}$

외란과 모델 불확실성에 대해 견실 안정성과 견실 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압축기와 EEV의 $\mu$-제어기 설계는 식(13)식(14)의 감도함수와 상보감도함수를 적용하여 식(15), 식(16)과 같이 혼합감도문제로 정식화 된다.

(15)
$$ \left\|\left[\begin{array}{c} W_{1} \widetilde{S}_{c} \\ W_{2} \widetilde{C}_{c} \end{array}\right]\right\|_{\infty}<1 $$

(16)
$$ \left\|\left[\begin{array}{c} W_{3} \widetilde{S}_{e} \\ W_{4} \widetilde{C}_{e} \end{array}\right]\right\|_{\infty}<1 $$

제어기 $K$($K_{c},\: K_{e}$)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중함수 $W_{i}$, $W_{j}$의 초기값을 적절히 선정해야 한다. $\mu$-제어기는 이 가중함수들의 초기값을 이용하여 일차적으로 설계되며, 설계사양이 만족될 때까지 Fig. 6과 같이 가중함수의 반복적인 수정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설계된다.

가중함수 $W_{i}$, $W_{j}$의 초기값들은 각 가중함수들의 역할을 고려하여 선정된다. Fig. 5에서 $W_{1}$과 $W_{3}$는 외란이 제어출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역할, $W_{2}$와 $W_{4}$는 모델 불확실성에 대한 제어계의 견실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즉, 저주파수에서는 외란의 영향이 크므로 이를 억제할 수 있도록 $W_{1}$과 $W_{3}$를 설계하고, 고주파수에서는 모델 불확실성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이를 고려하여 $W_{2}$와 $W_{4}$를 적절한 초기값으로 선정한다. 따라서 가중함수 $W_{i}$, $W_{j}$는 식(15)와 (16)으로부터 식(17)과 같이 설계된다.

Fig. 6. Flow chart for $\mu$-controller design using by iteration method.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fig6.png

(17)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equ17.png

Table 2. Designed weighting function for $\mu$-controller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tbl2.png

Fig. 7. Frequency responses for functions of weighting, sensitivity, and complementary sensitivity of compressor.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fig7.png

Fig. 8. Frequency responses for functions of weighting, sensitivity, and complementary sensitivity of EEV.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fig8.png

Table 2Fig. 6의 반복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설계된 압축기와 EEV 제어용 가중함수이다. Fig. 7Fig. 8Fig. 5의 압축기 및 EEV 측 폐루프 시스템의 감도함수와 상보감도함수를 계산하고, 식(17)의 조건이 충족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주파수 응답 선도이다.

Fig. 7(a)에서, 감도함수 응답은 모든 주파수 범위에서 가중함수 $W_{1}^{-1}$의 아래쪽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외란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주파수 대역에서 감도함수의 게인이 작게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다.

Fig. 7(b)에서도 상보감도함수의 응답이 가중함수 $W_{2}^{-1}$의 아래쪽에 위치해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고주파수 영역에서 상보감도함수의 게인이 상대적으로 더 작으므로 잡음을 포함한 모델 불확실성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견실 안정성을 극대화 하도록 설계되었음을 의미한다.

Fig. 8의 EEV 제어용 가중함수들도 압축기 제어용 가중함수들과 동일한 원리로 설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설계된 각 가중함수들은 식(17)의 조건을 만족시킴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압축기와 EEV의 일반화 제어대상을 구성한다. 각 제어대상의 입력은 $w$,$u$,$d$이고, 출력은 $ {z}_{i}$, $ {z}_{j}$, $y$이므로 입출력 간의 전달함수를 구하여 Doyle의 기호법을 사용하여 나타내면, 식(18), 식(19)와 같다.(9-13)

(18)
$$ \left[\begin{array}{c} \dot{x}_{c} \\ \dot{x}_{1} \\ \dot{x}_{2} \\ z_{1} \\ z_{2} \\ y_{c} \end{array}\right]=\left[\begin{array}{ccc|ccc} -0.005952 & 0 & 0 & 0.0005952 & 0 & 0.005952 \\ -0.02687 & -0.0003333 & 0 & 0 & 0.0625 & 0 \\ 0 & 0 & -3000 & 0 & 0 & 2048 \\ -0.1075 & 0.07867 & 0 & 0 & 0.25 & 0 \\ 0 & 0 & -3662 & 0 & 0 & 2500 \\ 0.43 & 0 & 0 & 0 & -1 & 0 \end{array}\right]\left[\begin{array}{c} x_{c} \\ x_{1} \\ x_{2} \\ w_{c} \\ u_{c} \\ d_{c} \end{array}\right] $$

(19)
$$ \left[\begin{array}{c} \dot{x}_{e} \\ \dot{x}_{3} \\ \dot{x}_{4} \\ z_{3} \\ z_{4} \\ y_{e} \end{array}\right]=\left[\begin{array}{ccc|ccc} -0.01493 & 0 & 0 & 0.01493 & 0 & 0.01493 \\ 0.001406 & -0.0005 & 0 & 0 & 0.03125 & 0 \\ 0 & 0 & -2 & 0 & 0 & 0.5 \\ 0.000225 & 0.01592 & 0 & 0 & 0.005 & 0 \\ 0 & 0 & -0.38 & 0 & 0 & 0.1 \\ -0.045 & 0 & 0 & 0 & -1 & 0 \end{array}\right]\left[\begin{array}{c} x_{e} \\ x_{3} \\ x_{4} \\ w_{e} \\ u_{e} \\ d_{e} \end{array}\right] $$

$\mu$-제어기가 견실 안정성과 견실 성능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구조화 특이치 $\mu$의 값이 1 이하여야 한다.(9-13) 이 조건이 만족되도록 Table 2의 가중함수들을 이용하여 식(11)의 D-K iteration으로 구한 최종적인 $\mu$의 값은 압축기 측이 $\mu_{c}=0.986$, EEV 측이 $\mu_{e}=0.405$였다. 이 $\mu$의 값이 작을수록 $\mu$-제어기는 더 큰 섭동에 대한 견실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 값들을 바탕으로 설계된 압축기와 EEV 측의 $\mu$-제어기 $K_{c}$, $K_{e}$는 상태공간 모델을 전달함수 모델로 변환하여 식(20)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20)
$\begin{cases} K_{c}=\dfrac{369.6s^{4}+4.55\times 10^{-3}s^{3}-1.6\times 10^{-7}s^{2}-1.1\times 10^{-8}s-8.9\times 10^{-7}}{s^{5}+1.7\times 10^{-4}s^{4}+6.2\times 10^{-3}s^{3}+3.2\times 10^{-8}s^{2}+3.8\times 10^{-8}s+6\times 10^{-6}} & \begin{aligned}\\ \\ \end{aligned}\\ K_{e}=\dfrac{0.09357s^{2}+0.1888s+0.003308}{s^{3}+0.4394s^{2}+0.02309s+1.144\times 10^{-5}} & \end{cases}$

3. 시뮬레이션과 실험 결과 및 고찰

Fig. 9Fig. 10은 본 논문에서 사용한 실험장치의 개략도와 실제 실험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실험장치의 냉동사이클과 부속기기의 주요 사양은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공작기계를 대신한 열부하로 전기히터를 사용하였고, 제어장치로는 MATLAB real-time 기반의 PXIe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압축기의 회전수 제어용 장치로는 범용 ‘$V/f=일정$’ 타입의 인버터, EEV 제어에는 EEV 드라이브를 각각 사용하였다. $T_{o}$와 $T_{s}$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와 EEV 드라이브의 제어 입력은 PXIe 장치에서 주어진 지령값과 피드백된 온도 계측값으로부터 오차 정보가 계산되고 설계된 제어 로직에 따라 이 오차를 0으로 하는 조작량이 연산된다.

디지털 값으로 연산된 조작량은 D/A변환기를 거쳐 I/O 모듈을 통해 아날로그 전압 지령으로 인버터와 EEV 드라이브에 출력된다.

시뮬레이션과 실험에서는 OCS를 대상으로 지령값 변경과 열부하 변동 두 조건에 대하여 목표 제어량 $T_{o}$와 $T_{s}$의 응답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설계된 $\mu$-제어기의 견실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PI 제어기를 설계하고 두 제어기의 견실 성능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PI 제어기는 지령값 변경 시의 추종 성능이 $\mu$-제어기와 동일하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mu$-제어기와의 성능 비교는 모델 불확실성과 열부하 외란에 대한 견실성만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Fig. 9. Control system for OCS.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fig9.png

Fig. 10. Real experimental unit.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fig10.png

Table 3. Conditions for simulations and experiments

Type

Reference variation

Heat load variation

Value

30 → 25 [$^{\circ}{C}$]

1.68 → 1.84 [kW]

1.84 → 1.51 [kW]

Time

1,000 [sec]

4,000 [sec]

6,000 [sec]

시뮬레이션 및 실험에서 초기 조건은 장치의 정격 부하인 1.68 kW를 인가한 상태에서 $T_{o}= 30^{\circ} {C}$, $T_{s}= 7^{\circ} {C}$로 유지하였다. $T_{s}$는 액압축 현상 방지와 COP를 최대값으로 유지하기 위해 전 구간에 걸쳐 7$^{\circ} {C}$로 제어하였다. 시뮬레이션 및 실험 시의 각 시간대별 지령값 및 열부하 변동 조건은 Table 3과 같다.

3.1 $\mu$-제어기와 PI 제어기 시뮬레이션 결과 및 고찰

설계한 $\mu$-제어기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MATLAB 기반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또한 $\mu$-제어기의 견실성을 확인하기 위해 PI 제어기와의 비교 시뮬레이션을 행하였다. PI 제어기는 지령값 변동 시, $\mu$-제어기와 동일한 설계 사양인 정착시간 1,600 초($\pm 2 \%$)와 최대 언더슈트 0.5$^{\circ} {C}$($\pm 10 \%$) 이내를 만족하도록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 설계된 PI 제어기는 압축기의 P 게인과 I 게인이 각각 $-$20, $-$0.005, EEV의 P 게인과 I 게인이 각각 $-$9, $-$0.15였다. 한편, 샘플링 주파수는 오일쿨러 장치의 동특성을 고려하여 1 초로 정하였다.

Fig. 11Fig. 12는 본 논문에서 설계한 $\mu$-제어기와 PI 제어기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각각 보여준다. 각 그림의 (a)는 제어량 $T_{o}$와 $T_{s}$의 응답, (b)와 (c)는 제어량의 응답 (a)에 대응한 압축기와 EEV의 조작량인 인버터 주파수 $f_{i}$와 EEV 드라이브 개도 지령 $V_{o}$를 각각 나타낸다. (a)로부터 지령값 변경 시의 두 제어량의 응답은 설계한 의도대로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제어기의 견실성은 열부하 변동 시의 두 제어기 응답을 비교하여 확인한다.

Fig. 11. Simulation results for $\mu -$synthesis control.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fig11.png

Fig. 12. Simulation results for PI control.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fig12.png

Fig. 13. Experimental results for $\mu$-synthesis control.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fig13.png

Fig. 14. Experimental results for PI control.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fig14.png

열부하 변동 시 두 제어기의 응답은 모두 오버슈트와 언더슈트가 존재하지만 $\mu$-제어기가 PI 제어기의 경우보다 정상상태오차 없이 목표값에 엄밀히 추종함을 보였다. 이로써 $\mu$-제어기의 견실성이 확인되었다.

3.2 $\mu$-제어기와 PI 제어기 실험 결과 및 고찰

실험은 Fig. 10의 장치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수행하였다. Fig. 13Fig. 14는 $\mu$-제어기와 PI 제어기에 의한 지령값 및 열부하 변동 시의 실험 결과로서, (a)는 $T_{o}$와 $T_{s}$의 응답, (b)와 (c)는 (a)에 대응한 압축기와 EEV의 조작량인 인버터 주파수 $f_{i}$와 EEV 드라이브 개도 지령 $V_{o}$를 각각 나타낸다.

우선 실험결과들은 시뮬레이션 결과들과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설계한 제어기들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로부터 지령값 변경 시의 두 제어량의 응답은 설계한 의도대로 거의 동일하며 정상상태오차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두 제어기의 견실성에 대한 비교는 열부하 변동 시 주된 제어량인 $T_{o}$의 응답을 통해 확인한다. 열부하 증가(10%) 시, $\mu$-제어기에 의한 $T_{o}$의 최대 오버슈트는 0.2$^{\circ} {C}$, PI 제어기는 0.4$^{\circ} {C}$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정상상태오차는 두 제어기 모두 허용오차 범위인 0.1$^{\circ} {C}$ 이내로 나타났다. 열부하 감소(20%) 시에는 $\mu$-제어기에 의한 최대 언더슈트는 0.2$^{\circ} {C}$, PI 제어기는 약 0.5$^{\circ} {C}$ 발생하였고, 특히 $\mu$-제어기는 정상상태오차가 발생하지 않은 반면에 PI 제어기는 최대 과도 오차가 약 0.3$^{\circ} {C}$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설계한 $\mu$-제어기가 외란과 모델불확실성에 더 견실함을 알 수 있다.

Fig. 15. Comparison of experimental results between $\mu$-synthesis and PI control during 6,000 sec ~ 8,000 sec.
../../Resources/sarek/KJACR.2021.33.12.619/fig15.png

Fig. 15는 열부하 감소 시 두 제어기의 $T_{o}$ 응답을 확대한 그림이다. 그림에서 PI 제어기는 최대 과도 오차가 약 0.3$^{\circ} {C}$ 발생한 반면에 $\mu$-제어기는 정상상태오차가 발생하지 않고 목표치에 엄밀히 추종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들을 통해 열부하 변동 하에서도 $\mu$-제어기는 $T_{o}$와 $T_{s}$ 모두 지령값에 엄밀히 추종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과도 특성 지표인 최대 오버슈트와 최대 언더슈트도 $\mu$-제어기가 PI 제어기보다 현저히 작게 나타나 더 견실함을 알 수 있다. 특히, Fig. 13Fig. 14의 (b)를 보면 $\mu$-제어기는 PI 제어기와는 달리 지령값 및 열부하 변동 시에도 조작량이 매우 안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mu$-제어기가 주파수 정형을 통해 잡음을 포함한 모델 불확실성과 외란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의 $\mu$-제어기와 PI 제어기 실험 결과들에 대한 정량적 비교는 상대적 우수성 평가보다는 제안한 $\mu$-제어기의 견실 제어 성능을 보다 명확히 나타내기 위한 것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제안한 $\mu$-제어기는 식(20)에서와 같이 차수가 높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구현이 어렵고, 핵심 설계 파라미터인 가중함수의 최적 설계가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최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고성능 저가격 추세와 더불어, MATLAB/Simulink와 같은 CAD를 통한 제어기 설계가 보편화 되고 있어 향후 $\mu$-제어기의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적용이 한층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핵심 설계 파라미터인 가중함수 설계에 AI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설계 시간 단축과 최적성 확보가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가변속 냉동시스템의 견실 온도 제어를 위해 실용적인 전달함수 모델을 기반으로 구조화 특이치 개념을 적용한 $\mu$-제어기를 설계하였다. 모델의 불확실성은 실험으로 구한 전달함수 공칭모델의 최대 변동 범위를 $\pm$30%로 고려하여 제어대상을 구성하였다. 또한 외란과 모델 불확실성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주파수 가중함수를 설정하였고, 견실 안정과 견실 성능을 보장하는 혼합감도문제로 정식화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일반화 제어대상을 구성하여 $\mu$-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mu$-제어기는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PI 제어기와의 비교를 통해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얻은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구조화 특이치를 이용한 $\mu$-제어기는 최대 $20%$의 열부하 외란과 최대 $\pm$30%의 모델 불확실성 하에서도 엄밀한 온도제어를 달성함으로써 견실 안정성과 견실 성능을 보장함을 보였다.

(2) 설계한 $\mu$-제어기는 열부하 외란 변동 시, PI 제어기보다 과도 특성 및 정상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남으로써 더 견실한 제어 성능을 보였다.

(3) 설계한 $\mu$-제어기는 잡음을 포함한 모델 불확실성 하에서도 가중함수의 주파수 정형을 통해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PI 제어기에 비해 조작량을 현저히 안정화시켜 압축기의 안정적 운전이 가능하였다.

후 기

이 논문은 2021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 2021R1I1A304901511)

References

1 
Lee D. B., Jeong S. K., Jung Y. M., 2014, State Equation Modeling and the Optimum Control of a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Korea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6, No. 12, pp. 579-587DOI
2 
Jeong S. K., Kwon T. E., 2019, Robust Linear Quadratic Gaussian Controller Design for Oil Coolers Based on a State Space Model,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31, No. 3, pp. 130-139Google Search
3 
Li H., Jeong S. K., Yoon J. I., You S. S., 2008, An Empirical Model for Independent Control of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28, No. 14-15, pp. 1918-1924DOI
4 
Jeong S. K., Hong K. H., 2013, Optimal PI Controller Design for Refrigeration System Considering Disturbance, Korea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5, No. 2, pp. 85-93DOI
5 
Yang S. W., Jeong S. K., 2021, Robust Temperature Controller Design Based on a Sliding Mode with Optimal Switching Hyper-plane for a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33, Vol. 33, No. 3, pp. 101-112Google Search
6 
Kim J. G., Han C. H., Jeong S. K., 2020, Disturbance Observer Design Based on $H_{\infty}$ Norm Optimization for Robust Control of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116, pp. 49-58Google Search
7 
Zames G., Francis B., 1983, Feedback, Minimax Sensitivity, and Optimal Robustness,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Vol. 28, No. 5, pp. 585-601Google Search
8 
Doyle J. C., Glover K., Khargonekar., Francis B. A., 1989, State-space Solutions to Standard $H_{2}$ and $H_{\infty}$ Control Problems, IEEE Transaction Automatic Control, Vol. 34, No. 8, pp. 831-847DOI
9 
Doyle J. C., 1985, Structured Uncertainty in Control System Design, 24th IEEE Conference on Decision and Control Decision and Control, Vol. ft. lauderdale, No. fl, pp. 260-265DOI
10 
Doyle J. C., 1987, A Review of $\mu$ for Case Studies in Robust Control, IFAC Proceedings, Vol. 20, No. 5, pp. 365-372DOI
11 
Packard A., Doyle J. C., 1993, The Complex Structured Singular Value, Automatica, Vol. 29, No. 1, pp. 71-109DOI
12 
Nonami K., Nishimura H., Hirata M., 1998, Control System Design by MATLAB(in Japanese), pp. 141-162Google Search
13 
Gu D. -W., Petkov P. Hr., Konstantinov M. M., 2005, Robust Control Design with Matlab, Springer, pp. 13-97Google Search
14 
Kang K. H., Kim K. S., 2000, Robust Velocity Control for Inverter-Driven Hydraulic Elevators Using DGKF/μ Approach, Journal of Control Automatic and System Engineering, Vol. 6, No. 2, pp. 217-227Google Search
15 
Hwang S. K., Lee Y. C., Kim C. H., Jung B. G., 2011, Design of Robust Speed Controllers for Marine Diesel Eng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35, No. 6, pp. 820-828DOI
16 
Phuc B. D. H., You S. S., Choi H. S., Jeong S. K., 2017, Advanced Control Synthesis for Reverse Osmosis Water Desalination Process, Water Environment Research, Vol. 89, No. 11, pp. 1932-1941DOI
17 
Kim I. A., Jeong S. K., 2020, $\mu$-Synthesis Controller Design for Robust Temperature Control of a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Proceeding of SAREK Winter Annual Conference, pp. 92-95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