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VSRS의 전달함수 모델링과 모델 불확실성
Fig. 1은 VSRS 기반의 오일쿨러 시스템(Oil Cooler System; OCS)의 장치 모식도이다. VSRS는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인버터(inverter)로
가변시켜 냉매의 질량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목표 온도 $T_{o}$를 제어한다. 압축기의 급격한 가변속은 액백(liquid back)이나 과열증기 압축으로
인한 COP 저하를 초래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자팽창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의 개도(opening angle)를
EEV 드라이브로 조절함으로써 과열도도 동시에 제어한다. 과열도 $T_{s}$는 증발기 내의 압력 강하가 미소함을 고려하여 증발기 입구와 출구의 온도
차이로 정의하였다. 실제 시스템에서의 외란(disturbance)인 열 부하는 냉동 사이클에 부가적으로 장착된 전기히터를 통해 인가된다. Table 1은 실제 실험 장치의 냉동사이클 및 부속기기의 주요 사양을 나타낸다.
Fig. 2는 OCS의 모델링 및 제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전달함수의 블록도이다. OCS의 제어량은 오일출구온도 $T_{o}$와 과열도 $T_{s}$이고,
이들에 대응하는 조작량은 압축기 인버터 주파수 $f_{i}$와 EEV 개도 지령 $V_{o}$이다. 제어대상인 압축기와 EEV의 전달함수는 $P_{c}(s)$와
$P_{e}(s)$이다. 전달함수 $P_{ic}(s)$는 압축기 조작량이 $T_{s}$에 미치는 간섭 영향, $P_{ie}(s)$는 열부하 외란이
$T_{o}$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나타낸다. 이들 $P_{ic}(s)$, $P_{ie}(s)$ 두 전달함수는 시뮬레이션 시, 실제 제어대상의 동특성을
정확하게 모사하기 위한 용도로 쓰일 뿐, 제어기 설계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또한, EEV의 개도 변화가 $T_{o}$에 미치는 간섭 영향은 선행 연구
결과 극히 미미하였으므로 고려하지 않았다.(5)
OCS의 전달함수 공칭모델은 동작점(25$^{\circ} {C}$) 근방에서 동특성 실험을 통해 $f_{i}$와 $V_{o}$변화에 따른 $T_{o}$와
$T_{s}$의 응답 즉, $\delta T_{o}/\delta f_{i},\:\delta T_{s}/\delta V_{o}$로부터 식(1)과 같이 구하였다.(5) 여기서 기호 ‘$\delta$’는 미소 변동량을 나타낸다. 공칭모델의 불확실성 크기는 동특성 실험 시의 장치 주변 외기 온도, 동작점, 조작량의
변동량 등을 달리해 전달함수를 구한 결과, 그 최대 변동 범위가 약 $\pm$30%로 나타났다.(6) 이를 고려한 압축기와 EEV의 공칭모델의 불확실성은 식(2)와 같다.
Fig. 1. Conceptual diagram for OCS based on VSRS.
Table 1. Specifications of the OCS based on VSRS and the attached devices
Component
|
Note
|
Component
|
Note
|
Compressor
|
Rotary type, 30~90 [Hz], 0.86 [kW]
|
Inverter
|
4.5 [kVA], 3-Phase, PWM
|
EEV
|
0~2,000 [step], 12 [V]
|
EEV drive
|
4 [W], 24 [V], Bipolar type
|
Condenser
|
Air-cooled fin and tube type, 5.24 [kW]
|
Heater
|
4.5 [kW](max.)
|
Evaporator
|
Bare tube coil type, 2.1 [kW] (max.)
|
Oil tank
|
Immersion type, 400mm X 400mm X 385mm
|
Refrigerant
|
R-22, 0.9 [kg] (max.)
|
Oil
|
ISO VG 10, Velocite oil No. 6, 40 [L]
|
Fig. 2. Transfer functions for a compressor and EEV.
식(2)에서 전달함수 공칭모델의 각 특성값은 압축기의 경우 $ \overline{\tau_{c}}= 1,\:680$, $ \overline{k_{c}}=
-0.43$이고, EEV의 경우 $ \overline{\tau_{e}}= 67$, $ \overline{k_{e}}= -0.045$였다. 이때 상첨자
기호 ‘―’는 공칭값을 의미한다. 이들 파라미터의 섭동 $\Delta_{p}$의 범위는 각 파라미터의 최대 변동 범위가 $\pm$30%임을 고려하여,
$-1\le\delta_{\tau c},\:\delta_{\tau e},\:\delta_{kc},\:\delta_{ke}\le 1$, 그 비율은 $p_{\tau
c},\: p_{\tau e},\: p_{kc},\: p_{ke}= 0.3$으로 하였다. 제어대상에 대한 식(1)의 전달함수 모델은 상태공간 모델보다 제어량의 거동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각 특성 파라미터가 지닌 불확실성 요소를 비교적 쉽게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파수 공간에서의 $\mu$-제어기 설계에도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전달함수의 복소 변수 ‘$s$’를 표기의 편의상 생략한다.
Fig. 3은 압축기와 EEV의 공칭모델인 식(1)의 각 특성값 $\tau$와 $k$가 식(2)와 같이 최대 $\pm$30%까지 변동할 때 압축기와 EEV의 전달함수의 개루프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 보드선도이다. 각 보드선도로부터 제어대상 $P_{c}$,
$P_{e}$의 모델 불확실성이 위상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지만 이득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기 설계 시에는 모델
불확실성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Fig. 3. Bode diagram according to change of model uncertainty in $\tau$ and $k$.
2.2 구조화 특이치를 이용한 $\mu$-synthesis 제어
Fig. 4는 $\mu$-제어기 설계를 위한 일반화 제어대상 모델 및 선형 분수 변환(Linear Fractional Transformation; LFT)을
통해 간략화된 등가 변환 블록도를 나타낸다. (a)는 구조화 불확실성 $\Delta$를 갖는 일반적인 견실 제어기 설계에 대한 구조이고, (b)는
(a)의 하측(lower) 선형 분수 변환을 통해 얻은 표준 $M$-$\Delta$구조도이다. (a)에서 $G$는 일반화 제어대상, $\Delta$는
섭동, $K$는 제어기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w$, $d$, $u$는 일반화 제어대상 $G$의 섭동입력, 외란, 그리고 제어입력을 각각 나타낸다.
출력인 $ {z}$, $e$, $y$는 일반화 제어대상 $G$의 섭동출력, 오차, 그리고 측정출력이다. (b)의 $M$은 입력 변수 $d$와 $u$,
출력 변수를 $e$와 $y$로 하여 식(3)과 같이 유도되며, 식(4)는 (b)의 상측(upper) 선형 분수 변환을 통해 도출된다.(9-13)
여기서, 대각 행렬 구조를 갖는 $\Delta$를 식(5)와 같이 정의한다. $\Delta_{p}$는 놈(norm)이 한정된 불확실성(norm-bounded uncertainties)의 구조화된 집합으로서 공칭 전달함수에 포함된 모델 불확실성을 의미한다. $\Delta_{f}$는 $\mu$-제어에서의 견실 성능
조건을 나타내기 위해 도입한 가상의 불확실성이다.(12-16)
$\mu$-제어기 설계는 식(5)의 구조화 불확실성 $\Delta$를 갖는 Fig. 4(a)의 폐루프 시스템이 견실 안정성과 견실 성능을 만족하도록 하는 제어기 $K$를 구하는 문제이다. 견실 안정의 필요충분조건은 식(6)으로 정의된 구조화 특이치를 이용하면 $\mu_{\Delta}\{M(j\omega)\}\le 1(\forall\omega)$이다. 이때, $\Delta$의
최대 특이치는 1 이하, $M$은 안정이며 프로퍼(proper)한 전달함수이다.(9-15) 이 조건은 주요 루프 정리(Main Loop Theorem)에 의해 견실 성능도 동시에 보장한다.(14)
구조화 특이치를 이용한 $\mu$-제어기 설계는 식(3)에서 정의한 폐루프 전달함수 $M = F_{l}(G,\:K)$, $M\in C^{n\times n}$을 전 주파수 대역에서 구조화 특이치 $\mu_{\Delta}(M)$의
최댓값을 최소화하는 안정한 제어기 $K$를 설계하는 문제로 정식화 된다.(9-13)
Fig. 4. Block diagram with structured uncertainty for a $\mu$-controller design.
실제로 식(7)의 해를 직접 구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제어기 설계 시는 식(8)과 같이 구조화 특이치 $\mu_{\Delta}(M)$보다 같거나 큰 최대 특이치 $ \overline{\sigma}(M)$을 이용한다. 그러나 최대
특이치는 $\Delta$의 불확실성 구조가 반영되어 있지 않아서 대각 비례 행렬(diagonal scaling matrices) 집합인 식(9)의 $D$를 도입하여 식(10)을 푸는 문제로 대체된다.(9-13)최종적으로 $\mu$-제어기 설계는 식(11)의 $D$를 최소화하는 안정한 제어기 $K$를 설계하는 문제로 귀착되며, 식(7)을 푸는 문제와 동일한 결과로 된다. 식(9)의 상첨자 기호 ‘*’는 복소 공액 전치를 나타낸다.
결국, $\mu$-제어기 설계는 식(11)을 최소화하는 제어기 $K$를 찾는 문제로서, scale factor인 $D$값을 수정해 가면서 $\mu$값이 최소화되는 제어기를 반복 계산으로 찾는
방법이다.(9-13) 이와 같이 최적의 제어기를 찾는 방법은 D-K iteration으로 알려져 있으며, 견실 안정성과 견실 성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mu$-제어기의
설계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2.3 VSRS의 $\mu$-synthesis 제어기 설계
Fig. 5는 압축기와 EEV의 $\mu$-제어기 설계를 위한 구조화 불확실성과 가중함수를 갖는 피드백 제어계를 나타낸다. 그림에서 $K_{c}$, $K_{e}$는
압축기와 EEV용 제어기이며, $W_{i}$($i$=1, 2), $W_{j}$($j$=3, 4)는 가중함수이다. 가중함수는 폐루프 성능 조건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반영시키기 위한 설계 인자로서 $W_{i}$는 $T_{o}$, $W_{j}$는 $T_{s}$의 성능을 각각 조절하는 하중함수이다. $Z_{i}$($i$
= 1, 2), $Z_{j}$($j$ = 3, 4)는 가중치가 부가된 제어출력을 나타낸다. 한편, 모델 불확실성의 집합 $\Delta_{p}$는 $\Delta_{c}$,
$\Delta_{e}$로 구성되며, $\Delta_{c}=diag[\delta_{\tau c},\:\delta_{kc}]$, $\Delta_{e}=diag[\delta_{\tau
e},\:\delta_{ke}]$로 정의되는 대각행렬로서 $P_{c}$와 $P_{e}$의 구조화 불확실성을 반영한다. 또한, $w_{c}$와 $w_{e}$는
제어대상에 대한 섭동입력이고 $ {z}_{ {c}}$와 $ {z}_{ {e}}$는 각 제어대상의 덧셈형 불확실성 식(2)에 해당되는 섭동출력이다. $d_{c}$와 $d_{e}$는 외란입력으로서 $d_{c}$는 $T_{o}$에 미치는 열부하 외란, $d_{e}$는 $u_{c}$가
$T_{s}$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각각 나타낸다. $u_{c}$와 $u_{e}$는 제어입력(조작량)으로서 $f_{i}$와 $V_{o}$이고, $y_{c}$와
$y_{e}$는 압축기와 EEV의 측정출력을 각각 나타낸다.
Fig. 5. Control system with weighting functions and model uncertainties.
우선 모델의 불확실성을 설계에 반영하기 위해, Fig. 5의 압축기와 EEV의 공칭모델 $P_{c}$와 $P_{e}$는 식(12)의 LFT를 통해 모델 불확실성 $\Delta_{p}$를 갖는 제어대상 $\widetilde P$로 표현된다. 여기서 상첨자 기호 ‘~’는 불확실성이
포함된 제어대상을 의미한다.
외란 $d_{c}$, $d_{e}$가 제어출력 $Z_{i}$, $Z_{j}$에 미치는 영향은 식(13)과 같다. 이때 가중함수 $W_{i}$, $W_{j}$는 주파수 정형(loop shaping)을 통해 외란과 모델 불확실성에 대한 성능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외란 $d_{c}$, $d_{e}$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식(14)로 정의되는 감도함수 $|\widetilde S |$가 작게, 즉 제어기 $K$($K_{c},\: K_{e}$)를 증가시키고, 모델 불확실성 $\Delta_{p}$가
출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식(14)의 상보감도함수 $|\widetilde C |$를 감소, 즉 $K$를 감소시켜야 한다. 식(14)로부터 $\widetilde S +\widetilde C =1$이므로 감도함수와 상보감도함수는 상호 절충(trade-off)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중함수 선정에도 절충 조건이 존재하므로 가중함수를 동시에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란과 모델 불확실성에 대해 견실 안정성과 견실 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압축기와 EEV의 $\mu$-제어기 설계는 식(13)에 식(14)의 감도함수와 상보감도함수를 적용하여 식(15), 식(16)과 같이 혼합감도문제로 정식화 된다.
제어기 $K$($K_{c},\: K_{e}$)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중함수 $W_{i}$, $W_{j}$의 초기값을 적절히 선정해야 한다. $\mu$-제어기는
이 가중함수들의 초기값을 이용하여 일차적으로 설계되며, 설계사양이 만족될 때까지 Fig. 6과 같이 가중함수의 반복적인 수정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설계된다.
가중함수 $W_{i}$, $W_{j}$의 초기값들은 각 가중함수들의 역할을 고려하여 선정된다. Fig. 5에서 $W_{1}$과 $W_{3}$는 외란이 제어출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역할, $W_{2}$와 $W_{4}$는 모델 불확실성에 대한 제어계의
견실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즉, 저주파수에서는 외란의 영향이 크므로 이를 억제할 수 있도록 $W_{1}$과 $W_{3}$를 설계하고,
고주파수에서는 모델 불확실성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이를 고려하여 $W_{2}$와 $W_{4}$를 적절한 초기값으로 선정한다. 따라서 가중함수
$W_{i}$, $W_{j}$는 식(15)와 (16)으로부터 식(17)과 같이 설계된다.
Fig. 6. Flow chart for $\mu$-controller design using by iteration method.
Table 2. Designed weighting function for $\mu$-controller
Fig. 7. Frequency responses for functions of weighting, sensitivity, and complementary sensitivity of compressor.
Fig. 8. Frequency responses for functions of weighting, sensitivity, and complementary sensitivity of EEV.
Table 2는 Fig. 6의 반복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설계된 압축기와 EEV 제어용 가중함수이다. Fig. 7과 Fig. 8은 Fig. 5의 압축기 및 EEV 측 폐루프 시스템의 감도함수와 상보감도함수를 계산하고, 식(17)의 조건이 충족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주파수 응답 선도이다.
Fig. 7(a)에서, 감도함수 응답은 모든 주파수 범위에서 가중함수 $W_{1}^{-1}$의 아래쪽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외란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주파수 대역에서 감도함수의 게인이 작게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다.
Fig. 7(b)에서도 상보감도함수의 응답이 가중함수 $W_{2}^{-1}$의 아래쪽에 위치해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고주파수 영역에서 상보감도함수의 게인이
상대적으로 더 작으므로 잡음을 포함한 모델 불확실성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견실 안정성을 극대화 하도록 설계되었음을 의미한다.
Fig. 8의 EEV 제어용 가중함수들도 압축기 제어용 가중함수들과 동일한 원리로 설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설계된 각 가중함수들은
식(17)의 조건을 만족시킴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압축기와 EEV의 일반화 제어대상을 구성한다. 각 제어대상의 입력은 $w$,$u$,$d$이고, 출력은 $ {z}_{i}$, $ {z}_{j}$,
$y$이므로 입출력 간의 전달함수를 구하여 Doyle의 기호법을 사용하여 나타내면, 식(18), 식(19)와 같다.(9-13)
$\mu$-제어기가 견실 안정성과 견실 성능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구조화 특이치 $\mu$의 값이 1 이하여야 한다.(9-13) 이 조건이 만족되도록 Table 2의 가중함수들을 이용하여 식(11)의 D-K iteration으로 구한 최종적인 $\mu$의 값은 압축기 측이 $\mu_{c}=0.986$, EEV 측이 $\mu_{e}=0.405$였다.
이 $\mu$의 값이 작을수록 $\mu$-제어기는 더 큰 섭동에 대한 견실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 값들을 바탕으로 설계된 압축기와 EEV 측의 $\mu$-제어기
$K_{c}$, $K_{e}$는 상태공간 모델을 전달함수 모델로 변환하여 식(20)과 같이 나타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