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국립한밭대학교 공과대학 설비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Building and Pla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3458, Daejeon, Korea)
  2. 국립한밭대학교 대학원 건축설비공학과 석사과정 (M.S. Course, Department of Building and Plant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34158, Daejeon, Korea)
  3.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Ph.D. Course,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0476, Seoul, Korea)



공기청정기, 공기정화식물, 적용성, CADR, 공기청정능력, 실내공기질, 제거효율
Air purifier, Air purifying plant, Applicability, CADR, clean air delivery rate, Indoor air quality, Removal efficienc

1.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인은 주택, 지하역사, 사무실 등 실내에서 하루 평균 약 22시간 이상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1) 안전하고 쾌적해야하는 실내의 환경을 위협하는 생활주변의 미세먼지와 같은 다양한 유해인자가 증가하고 또한 라돈과 함께 실내 건축자재의 오염물질 방출 등으로 인해 실내 공기질 문제는 계속 이슈화 되고 있다. 에너지 절약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해 건축물의 기밀과 단열이 점차 강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밀폐된 실내에서 발생한 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할 경우, 실내 공기질은 더욱 악화 된다. 사회적 변화에 따라 1인 가구가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전용면적이 작은 공간에서의 기계 환기적용이 필수화 되어있지 않아 실내오염에 항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의 청정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거주자가 공기청정기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공기정화식물을 적용하여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려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유해물질이 증가하고 외피의 기밀이 밀실한 실내공간에서 공기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환기시스템의 개선도 필요하다. 실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필터를 사용하는 기계적방식(집진)이 가장 보편적이다. 또한 공기정화 식물의 생물학적 작용에 의한 생물학적 방식도 고려해 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환기 의무설치에서 제외된 1인 주거 공간을 대상으로 실내오염을 개선하기 위해 소형 공기청정기 2개와 공기정화식물 3종의 조합에 따른 공기청정도 성능과 제거효율을 검토하였다. 실내 공기질에 대한 환경적으로 안전하고 저렴하며 지속가능한 생물학적 실내오염 제거효율에 대한 정량적 검증사례는 현재까지 제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기청정기의 공기청정화 능력평가시험방법을 이용하여 식물 중 비교적 공기정화효과가 있다고 언급된 공기정화식물과, 시중에서 판매되는 식물거치형 소형 공기청정기를 조합하여 공기청정화 능력을 검토 하였다.

2. 사전 기술조사

최근 미세먼지의 심각성이 제기된 이후, 공기청정기의 고성능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졌다고 볼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공기청정기가 출시됨에 따라서 구매 선택의 폭이 점점 넓어지는 있고 또한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도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1인 주거시설은 기계환기설비의 필수설치 대상이 아니므로 소비자는 공기청정기에 의존하여 실내 공기질 확보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공기청정기는 1인 주거시설에 설치하기에 용량과 외형이 크기 때문에 협소한 설치공간을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소형 공기청정기를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판매량은 2017년 221만 대에서 2018년 314만대로 증가하였다. 대기업이 주도하는 실내용 공기청정기가 주류로 소형 공기청정기 시장은 규모가 작고 설치 용량에 대한 기준 및 가이드가 명확하지 않다. 환경부는 공기청정기의 안정성 및 성능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판매제품에 대한 적정 성능여부를 조사하였다.(2) 일반용과 소형(차량용) 공기청정기 총 35개 모델 중 27개는 표시성능 대비 미세먼지 제거능력을 만족(90% 이상) 하였으나, 5개 모델은 만족하지 못하였고 차량용 공기청정기 3개 모델은 미세먼지 제거능력을 표시하지 않았고 표시한 2개 모델은 표시성능 대비 미세먼지 제거능력이 4~5%에 불과하였다고 제시하였다. 여기서 미세먼지 제거능력은 0.3 μm 입자로 크기가 초미세먼지(PM2.5)의 1/8배 수준으로 일반 공기청정기는 조사 제품군 35개 중 90% 이상이 성능주준을 만족한 반면 소형 공기청정기는 그 수준이 미달하였다.

Table 1은 소형 공기청정기와 일반 공기청정기의 오염물 제거효율을 보여준다. 소형 공기청정기는 일반 공기청정기의 성능 대비 평균적으로 그 정화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2) 식물의 정화능력에 대한 기존 연구로 농촌진흥청에서 식물의 공기정화 방법을 원리를 정의하였다.(3) 첫째 원리는, 입과 근권부 미생물의 흡수에 의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입에 흡수된 일부 오염물질은 광합성의 대사산물로 이용되어 제거되고, 화분 토양내로 흡수된 오염물질은 근권부 미생물에 의해 제거된다. 두 번째는, 음이온, 향, 산소, 수분 등의 다양한 식물 방출물질에 의해 것 이다. 잎에 광량을 높이면 광합성속도가 증가하여 제거능력이 높아지고, 화분에 실내 오염물질을 자주 처리 할수록 근권부에 관련 미생물이 증가하여 제거능력이 우수해 진다고 한다. 낮에는 지상부의 잎을 통해서 전체 포름알데히드의 52%가 정화되고 밤에는 뿌리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 대부분 약 90% 제거된다. 공기정화식물은 공기중 오염물질을 식물기공(20~30 ㎛)에 흡수되거나, 식물 잎과 표면층의 털에 흡착된다. 또한 미세먼지(+이온)는 식물에서 발생한 음이온에 의해 제거된다.(3)

환경부의 실내 공기질 개선 시범사업 결과에 의하면, 서울 삼양초등학교 2개 학급에 빌레나무 500그루를 제공하여 식물벽(벽면녹화)을 구성하고 실내환경제어 및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측정하였다. 시범사업 측정결과 빌레나무가 보급된 교실의 습도는 보급되지 않은 교실보다 평균 습도가 10~20% 증가하여 습도조절이 가능했고 미세먼지 (PM2.5) 농도는 빌레나무를 보급하지 않은 교실과 비교할 때 평균 20%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고 보고했다. 또한 재실자인 학생들의 교실환경 만족도도 식물벽을 조성한 학급이 92.7%로 높게 나타났다.(4) Kwon et al.(5)은 실내 공기정화 식물 4종에 대한 소형 챔버를 이용한 실험으로 PM10, PM 2.5의 저감효과를 검토하였다. 식물의 미세먼지 흡착 효과는 잎 표면의 큐티클 층의 두께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 하였다. Kwon et al.(6)은 광량에 따른 실내식물 디펜바키아와 스파티필럼의 미세먼지 저거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두 식물 모두 광량이 높을수록 광합성율이 높아지고, 식물의 미세먼지 제거 효과를 위해서는 광합성율, 기공수, 배치 형태를 고려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도시 미세먼지저감 식재에 관한 연구에서는 수종 선정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퍼지 다기준 의사결정법(Fuzzy MCDM)을 이용하여 잎 면적과 수종의 종류에 따른 효과 검토 요소로, 잎 표면의 거칠기, 수고, 성장속도, 잎의 복잡성, 잎 가장자리 형태, 수피 특징을 요소로 선정하고 나열 순서가 영향을 미치는 기여도 순 으로 제시하였다.(7) 기존의 연구는 검토 대상으로 하고 있는 공기청정기와 공기청정 식물 동시 적용에 대한 공기질 개선효과의 정량적 검토는 실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중에서 효과의 검증 없이 판매되는 소형 공기청정기와 공기청정 식물의 복합적인 공기청정화 능력 및 제거효율을 시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Table 1 Compliance with fine dust removal efficiency of reference air purifiers

Air purifiers

~90%

90% ~ 110%

110%

unknown

Total

Domestic

1

17

4

0

22

Import

2

4

2

0

8

Automobile

2

0

0

3

5

Total

5

21

6

3

35

3. 연구의 방법

3.1 시험 대상

본 연구에서 실내 공기정화 능력을 보유한 식물과 소형 공기청정기의 조합을 통해 실내 공기청정화 능력을 평가하였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소형공기청정기(식물이 거치가능)와 공기정화 능력을 보유한 식물(홍콩야자, 홍페페 페페로미아, 후마타 넉줄고사리)을 시험대상으로 선정하였다.(2) Fig 1은 공기청정화능력 평가를 위한 대상 식물 3종과 소형 공기청정기 2종을 보여준다. Table 2는 기존 관련 연구의 결과를 준용하여 공기정화식물(홍콩야자, 홍페페 페페로미아, 후마타 넉줄고사리)의 표면적당 포름알데히드 제거능력을 나타낸 것이다.(3) 공기정화식물마다 제거 가능한 오염물질이 각각 다르며 그 중 포름알데히드는 공기정화식물 모두 공기정화 효과 ‘상’ 급의 식물군으로 분류된다. 공기청정기의 정격풍량은 A는 2.4 ㎥/min, B는 2.1 ㎥/min이다. 한국공기청정협회에서 운영하는 공기청정기 제품인증을 받지 않은 제품이며, 상단에 식물거치가 가능하도록 형상이 만들어져 있다.

Table 2 Test specimen specifications for CADR testing

Air purifying plants

Removal amount for Formaldehyde

Air purifiers

Rated flow rate

Plant-1

0.58 mg/㎡․h × leaf area/㎡

Air purifiers-A

2.4 CMM (144 CMH)

Plant-2

1.88 mg/㎡․h × leaf area/㎡

Air purifiers-B

2.1 CMM (126 CMH)

Plant-3

8.3 mg/㎡․h × leaf area/㎡

3.2 공기청정기의 정의 및 청정화 능력

본 연구에서는 실내공기 청정을 위한 소형 공기청정기와, 공기정화식물의 조합에 따른 공기질 개선효과 검증을 위하여 국내 공기청정기의 공기청정화능력 평가 표준인 한국공기청정협회 실내공기청정기 시험규격(SPS-KACA002-132)을 준수하였다.(8) 본 표준에서는 실내공기청정기를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미세먼지 정화장치, 유해가스 정화장치 및 송풍기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제품으로 정의하고 있다. 공기청정의 성능 평가를 위해 공기청정기 가동 후 공기 중 미세먼지가 제거되는 정화능력으로 청정화능력(CADR; Clean Air Delivery Rate) 이 정의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도 공기청정화능력을 평가 지표로 이용 하였다. 시험체의 청정화능력은 식(1), 전용면적은 식(2) 및 입자제거효율은 식(3)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8)

(1)
$P =\dfrac{V}{N·t}\times(\ln\dfrac{C_{i2}}{C_{t2}}-\ln\dfrac{C_{i1}}{C_{t1}})$
(2)
$A = 7.7\times P$
(3)
$\eta =(1 - C_{o}/C_{i})\times 100$

P : 청정화능력 (㎥/min)

t : 운전 감소시의 측정시간 (min)

A : 전용면적(㎡)

V : 시험챔버 체적 (㎥)

N : 시험체 대수

$C_{i1}$ : 자연감소시 측정개시점 t = 0에서의 입자농도 (N/㎤)

s : 운전 감소시의 측정시간 (s)

$C_{i2}$ : 운전감소시 측정개시점 t = 0에서의 입자농도 (N/㎤)

$\eta$ : 입자제거효율 (%)

$C_{t1}$ : 자연감소시 측정시간 t 분에서의 입자농도 (N/㎤)

$C_{o}$ : 운전감소 측정시 s 초에서의 입자농도 (N/㎤)

$C_{t2}$ : 운전감소시 측정시간 t 분에서의 입자농도 (N/㎤)

$C_{i}$ : 운전감소 측정시 초기 입자농도 (N/㎤)

3.3 시험방법

청정화능력 및 미세먼지 제거효율 시험을 위해서는 SPS-KACA002-132에서 요구하는 시험장비의 요구조건 및 시험입자의 종류가 규정되어 있다. 시험챔버의 크기는 청정화능력에 따라 선정하게 되어있다. Table 3은 청정화능력 범위에 따른 시험챔버 크기를 보여준다.(8) 시험용 입자는 KCl(다분산의 고체상 염화칼륨)입자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염화칼륨을 용해시킨 수용액을 입자발생장치를 사용하여 분무 하도록 시험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 공기청정기를 시험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챔버 크기를 8 ㎥로 선정하였다. Fig. 2는 청정화능력 시험방법 및 측정장비를 보여주고 있다. 시험대상인 소형 공기청정기는 시험챔버 중앙에 위치시키고 바닥에서 약 75 cm 높이에 설치한다. 입자농도 측정 샘플링 위치는 시험챔버 중앙 바닥에서 120 cm 높이의 1개 지점으로 진행하였다. 샘플링 튜브로는 정전기에 의한 관내 입자손실이 적은 재질로 만든 것을 사용하며 시험 중에 실내 기류 등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고정시켰다. 시험입자는 정량입자발생장치(TSI 3076)를 사용하여 생성하였다.

Table 3 The size of the test chamber according to the CADR

CADR (㎥/min)

0.1 < P ≤ 1.6

1.6 < P ≤ 15.0

15.0 < P ≤ 25.0

Chamber size(㎥)

8.0 ± 0.5

30.0 ± 1.5

50.0 ± 1.5

Fig. 1 Test specimens; (a) Plant-1 (umbrella tree), (b) Plant-2 (Pepper Face), (c) Plant-3 (Squirrel’s-foot fern) and (d) Air purifier-A, (e) Air purifier-B.
../../Resources/sarek/KJACR.2022.34.6.270/fig1.png
Fig. 2 Experimental set-up; test chamber and measurement equipment.
../../Resources/sarek/KJACR.2022.34.6.270/fig2.png

청정화능력 시험에 사용된 주요 장비는 광학자동입자계수기(Grimm11-A), 정량입자발생기(TSI3076) 등 이며 이들의 성능은 Table 4와 같다. 시험방법으로는 소형 공기청정기 가동 3분후 시점을 t = 0로 한다. 이때의 입자농도를 초기입자농도로 설정하였다. 소형 공기청정기를 가동하면서 입자크기채널의 0.30 μm 입자가 포함된 입자농도로 30분 동안 시험을 수행하였다. Table 5는 공기청정기와 공기청정식물을 조합한 시험 대상의 정보를 보여준다. 총 8가지 조합과 방법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챔버 내 시험입자 발생 3분과 안정화 3분경과 이후 30분간 측정을 수행하였다. Case 0은 자연감소율 측정으로 공기청정기를 가동하지 않고 20분간의 자연감소 입자농도곡선을 입자계수기의 모든 입자크기채널에 대해 각각 산출하였다. 자연감소 측정 결과로 시험챔버 내의 기밀도를 확인하였다.(8)

Table 4 Measuring instruments and measurements range

Items

Aerosol spectrometer

Aerosol generator

Test chamber

Instrument

Grimm 11-A

TSI 3076

V = 8.0 ㎥

Features

- Measuring range: 0.25 µm to 32 µm in 31 size channels

- Particle concentration: 1 to 3,000,000 particles/L

- Dust mass: 0.1 to 100,000 µg/㎥

- Concentrations: over 107 particles/㎤

- Nominal aerosol flow rate: 3.0 L/min

- Example aerosols: Up to 2 µm PSL

- Salt aerosol with mode in the range of 20 to 100 nm

Chamber containing filter adjustment valve and damper

Table 5 Experimental case classification

No.

Test cases

Remark

Case 0

Natural reduction (without air purifier operation)

N/A

../../Resources/sarek/KJACR.2022.34.6.270/tb5-1.png

Case 1

Air purifier-A fan-on without filter

A

Case 2

Air purifier-B fan-on without filter

B

Case 3

Air purifier-A fan-on with filter

A

Case 4

Air purifier-B fan-on with filter

B

Case 5

Plant-1 and Air purifier-A fan-on with filter

1-A

Case 6

Plant-2 and Air purifier-A fan-on with filter

2-A

Case 7

Plant-3 and Air purifier-B fan-on with filter

3-B

Case 1~7은 운전감소 입자농도 측정으로서 소형 공기청정기를 운전시키면서 조건에 따라 입자농도를 측정하였다. 입자제거효율은 초기 입자농도와 30분간 6초 간격으로 측정한 300개의 데이터 중 최댓값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Case 1과 2는 소형 공기청정기의 필터를 제거하고 순환팬만을 가동한 미세먼지 저감성능을 확인하는 운전감소이다. Case 3과 4는 소형 공기청정기의 필터를 장착하고 입자농도 측정을 수행한 운전감소이다. 마지막으로, Case 5와 6 및 7은 공기정화식물을 시험시작 하루 전 물을 주고 상온에 거치된 상태의 조건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측정 결과로 입자제거효율 및 청정화능력을 산출하고 최종적으로 동일 용량의 소형 공기청정기와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4. 청정화능력 시험결과

4.1 챔버의 기밀도 평가(예비평가)

시험챔버 내의 배경입자농도는 입자크기가 0.30 μm인 입자에 대해 3×108 N/㎥ 이하가 되도록 한다. 시험챔버의 기밀도는 입자크기가 0.30 μm인 입자에 대해 20분 경과후의 입자농도가 초기농도의 90% 이상 확보되는 것이어야 한다.(8) 챔버 내의 입자농도는 10분(초기농도), 30분(20분경과 후 농도)로 산정하여 챔버 기밀도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Table 6은 챔버의 기밀도 평가 결과를 보여준다. 0.28~0.30 μm(0.30~0.35 μm) 초기농도의 99%(96%) 이상 확보되어 표준요구치인 시험챔버의 기밀도 90% 이상 조건은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6 Airtightness measurement of the test chamber (Case 0)

Particle size of Case 0

(0.28 ~ 0.30) μm

(0.30 ~ 0.35) μm

Initial particle concentration (N/㎥)

553.00

558.00

T=30 min particle concentration (N/㎥)

549.66

540.15

Suitability

99% or higher ’True’

96% or higher ’True’

Fig. 3(a)는 Case 0의 자연감소에 따른 입자별 농도 변화를 보여준다. 챔버 내의 입자농도가 시험시간동안 안정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3(b)(c)는 시험조건 Case 1과 Case 2로 대상 소형 공기청정기 A와 B에 필터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로 정격 운전모드로 송풍기만 가동한 상태에서의 입자별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소형 공기청정기에 필터가 장착되지 않았기에 송풍기에 의해 공기가 내부 순환만 이루어진 것으로 입자농도의 저감이 일부 관찰되지만 입자발생기에서 발생된 입자가 챔버 표면 등에 부착되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효과적인 저감효과가 나타난 것은 아니다. Case 1은 초기 농도는 0.28~0.30 μm 입자범위에서 571.41 N/㎥, 0.30~0.35 μm 에서 660.99 N/㎥이고 30분후 농도 감소량은 23%(0.28~0.30 μm), 31%(0.30~0.35 μm)로서 소형 공기청정기의 순환팬 자체 성능으로도 미세한 저감효과를 나타냈다. Table 7을 보면 30분간 최대 입자제거효율은 21.8%로 분석되었다.

Fig. 3 The particl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a) Case 0, (b) Case 1 and (c) Case 2.
../../Resources/sarek/KJACR.2022.34.6.270/fig3.png
Table 7 Test results of Case 1 and Case 2

Classification

@ 0.28~0.30 μm (0.30~0.35 μm)

Remark

Case 1

Case 2

Initial particle concentration (N/㎥)

571.41 (660.99)

628.62 (768.92)

T=30 min particle concentration (N/㎥)

435.36 (455.80)

591.17 (694.82)

Particle removal efficiency (%)

Maximum 21.8

Maximum 6.7

CADR (㎥/min)

0.059 (0.095)

0.0032 (0.023)

0.1 < P < 1.6

CADR rating

‘False’

‘False’

Case 2는 초기농도 628.62 N/㎥(0.28~0.30 μm), 768.92 N/㎥(0.30~0.35 μm) 대비 30분후 농도 감소량은 각각 6.0%와 9.6%로 미세먼지 제거효과가 거의 없고 자연감소 측정 수치와 감소량이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ase 2의 30분간 최대 입자제거효율은 6.7%로 거의 입자제거가 되지 않은 수준이었다.

4.2 청정화능력 평가(본 평가)

공기청정기에 동일필터장착과 식물조합에 따른 청정화능력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Fig. 4는 두 개 대상의 소형 공기청정기의 청정화능력 평가를 위한 광학자동입자계수기를 통해 실시간 농도 변화를 나타낸다. 소형 공기청정기의 운전 방식은 자동운전방식에 따른 결과이다. Table 8은 소형 공기청정기 필터 장착 후 청정화능력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Case 3의 청정화 능력은 0.062 ㎥/min(0.28~0.30 μm), 0.09 ㎥/min(0.30~0.35 μm)으로 청정화능력인 CADR의 P값은 최소 기준치인 0.1 ㎥/min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Case 4의 청정화 능력 또한 0.044 ㎥/min(0.28~0.30 μm), 0.073 ㎥/min(0.30~0.35 μm)으로 P값의 최소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였다. 30분간 최대 입자 제거 효율은 Case 3은 18.6%, Case 4는 14.9%로 확인되었다. Case 3, Case 4 모두 입자제거효율이 20%에 미치지 못했다. A, B 공기청정기에 적용한 필터는 동일한 성능의 제품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각각의 공기청정기 하단부에 필터가 장착되는 구조적 차이로 필터의 성능이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4 The particl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a) Case 3, (b) Case 4.
../../Resources/sarek/KJACR.2022.34.6.270/fig4.png
Table 8 Test results of Case 3 and Case 4

Classification

@ 0.28~0.30 μm (0.30~0.35 μm)

Remark

Case 3

Case 4

Initial particle concentration (N/㎥)

518.48(575.89)

492.85(531.9)

T=30 min particle concentration (N/㎥)

391.82(406.19)

397.92(398.85)

Particle removal efficiency (%)

Maximum 18.6

Maximum 14.9

CADR (m3/min)

0.062 (0.09)

0.044 (0.073)

0.1 < P < 1.6

CADR rating

‘False’

‘False’

Case 5, 6, 7은 공기청정기와 공기정화식물을 장착하여 청정화능력 시험을 진행하였다. Case 5는 공기청정기-A에 공기청정식물-1을 거치, Case 6은 공기청정기-A에 공기청정식물-2를 거치하고 Case 7은 공기공청기-B와 공기청정식물-3을 조합하여 청정화능력과 입자제거효율 평가하였다. 공기청정기에는 새로운 필터를 장착하고 식물은 공기청정기의 상단에 거치 후 정격운전모드로 작동하였다. Fig. 5Table 9는 Case 5, 6, 7의 30분간 입자농도 측정결과를 보여준다.

Table 9 Test results of Case 5, Case 6 and Case 7

Classification

@ 0.28~0.30 μm (0.30~0.35 μm)

Remark

Case 5

Case 6

Case 7

Initial particle concentration (N/㎥)

521.92(616.58)

397.35(414.58)

492.85(531.9)

T=30 min particle concentration (N/㎥)

348.82(353.35)

334.35(324.67)

447.82(482.26)

Particle removal efficiency (%)

Maximum 40.93

Maximum 23.13

Maximum 18.44

Mean 28.89

Mean 11.42

Mean 10.56

CADR (㎥/min)

0.14(0.21)

0.049(0.09)

0.027(0.06)

0.1 < P < 1.6

CADR rating

‘True’

‘False’

‘False’

Fig. 5 The particle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a) Case 5, (b) Case 6 and (c) Case 7.
../../Resources/sarek/KJACR.2022.34.6.270/fig5.png

시험은 앞의 5개의 Case 와는 별도로 시험입자 발생 3분 입자 안정화 10분 대기후 20분간 측정하였다. 식물의 잎에 시험입자가 침착되어 챔버내의 입자농도가 불안정한 상태를 보여 안정을 확보한 후 시험을 진행하였다. Case 5는 초기농도 521.92 N/㎥(0.28~0.30 μm), 616.58 N/㎥(0.30~0.35 μm) 대비 30분후 농도 감소량은 33% (0.28~0.30 μm)와 43%(0.30~0.35 μm)로서 Case 6, 7에 비교해 명확한 저감효과를 나타냈다. 청정화능력 CADR은 입자크기별 0.14와 0.21로 최소 기준치인 0.1 ㎥/min 이상에 부합하였고 Case 5의 30분간 최대 입자제거효율은 40%로 분석되었다. Case 6은 초기농도 397.35 N/㎥(0.28~0.30 μm), 414.58 N/㎥(0.30~0.35 μm) 대비 30분후 농도 감소량은 16% (0.28~0.30 μm)와 22% (0.30~0.35 μm)로 미세한 저감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청정화 능력 CADR은 입자크기별 0.049와 0.09로 최소 기준치인 0.1 ㎥/min에 부합하지 못하였고 Case 6의 30분간 최대 입자제거효율은 23%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Case 7은 초기농도 492.85 N/㎥(0.28~0.30 μm), 531.9 N/㎥ (0.30~0.35 μm) 대비 30분 후 농도 감소량은 9% (0.28~0.30 μm), 9% (0.30~0.35 μm)로서 Case 5, 6과 비교했을 때 가장 적은 입자감소량을 나타냈다. Case 7의 30분간 최대 입자제거효율은 18%이고 청정화능력 CADR은 0.027과 0.062로 최소 기준치인 0.1 ㎥/min에 부합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6은 Case 5, 6, 7의 입자제거효율을 CA인증(9)을 받은 소형 공기청정기의 결과와 비교한 것이다. 인증제품의 입자제거효율은 약 20분 정격운전으로 가동시에 제거효율이 100%에 가깝게 분석이 되지만 Case 5, 6, 7의 제거효율은 절반수준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증제품은 약 10분 이후 입자제거효율이 90% 가까이 도달하는 반면 청정화 능력 최소기준인 0.1 ㎥/min의 수치를 유일하게 상회하는 결과를 보여준 Case 5는 최대 도달효율이 40%로 분석되었다.

Fig. 6 Particle removal efficiency of Case 5~7.
../../Resources/sarek/KJACR.2022.34.6.270/fig6.png

3가지 시험대상의 30분 경과에 따른 챔버내 입자제거효율은 10~40%로 거의 효과가 없는 수준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KCl 표준입자의 자연감소 대비 공기청정기의 종류와 식물 종간의 구성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성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Table 10을 보면 최종 성능분석인 Case 5, 6, 7중 Case 0 대비 Case 5의 0.28~0.30 μm의 제거량은 약 51배 0.30~0.35 μm은 14배로 나타났다. 입자제거효율 및 청정화 능력도 다른 조합과 비교하여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공기청정기-A와 공기정화식물-1의 홍콩야자를 동시 이용으로 가장 큰 공기청정화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Table 11은 Case 별 청정화능력으로 식(2)를 사용하여 전용면적 산출 결과이다. CA인증을 받은 소형 공기청정기와 시험군 3가지의 전용면적과 청정화 능력을 비교한 것이다. 적용면적은 공기청정기가 사용되는 장소나 위치 등의 여러 가지 환경요인과 변화에 크게 변화하여 명확하게 규정하기 어려우나 제품을 구입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성능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청정화 능력을 이용해 산출한다.(8)

Table 10 Final experimental results

Classification

Particle removal efficiency

CADR (㎥/min)

Amount of particle removal

@ 0.28~0.30 μm (0.30~0.35 μm)

0.28~0.30 μm

0.30~0.35 μm

Case 0

-

-

N/A

3.34

17.85

Case 1

21.8%

0.059 (0.095)

‘False’

136.05

205.19

Case 2

6.7%

0.0032 (0.023)

‘False’

37.45

74.1

Case 3

18.6%

0.062 (0.09)

‘False’

126.66

169.7

Case 4

14.9%

0.044 (0.073)

‘False’

94.93

133.05

Case 5

40.93%

0.14 (0.21)

‘True’

173.1

263.23

Case 6

23.13%

0.049 (0.09)

‘False’

63

89.91

Case 7

18.44%

0.027 (0.062)

‘False’

45.03

49.64

Table 11 Air purifier area of Case 5, 6, 7

Classification

Case 5

Case 6

Case 7

Area (㎡)

CADR (㎥/min)

Area (㎡)

CADR (㎥/min)

Area (㎡)

CADR (㎥/min)

(0.28~0.30 μm)

1.078

0.14

0.3773

0.049

0.2079

0.027

(0.30~0.35 μm)

1.617

0.21

0.693

0.09

0.4774

0.062

Regular Air purifier

A = 5.5 ㎡

CADR P = 0.7 ㎥/min

비교결과, 약 6배 정도의 성능차이가 나타나며 Case 5 외에는 전용면적이 1 ㎡ 이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험군의 전용면적은 1평 즉 3.3 ㎡에도 미치지 않는 수치를 나타내어 효과가 매우 미약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형 공기청정기는 필터를 이용해 실내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시험결과에서 분석된 것처럼 공기청정기와 공기청정식물을 조합한 3가지 중 한 가지 대상만 청정화능력 기준치를 미세하게 상회하는 결과로 분석되었다.

5. 결 론

1인가구의 증가, 하루 중 대부분을 실내에서 생활하는 현대인, 초미세먼지의 증가와 COVID-19 펜데믹 등 실내공기오염에 관한 관심도와 함께 공기청정기를 포함한 환기시스템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공기정화식물과 조합한 성능인증 없이 판매되는 소형 공기청정기의 복합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 식물거치가능 소형 공기청정기 2개와 공기정화효과가 있는 식물 3가지(후마타 넉줄고사리, 홍콩야자, 홍페페 페페로미아)를 조합하여 공인 시험규격으로 공기청정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 공기정화식물은 거치하지 않고 2개의 대상 공기청정기를 정격운전모드로 가동할 경우, 공기청정성능시험 기준에 모두 미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대상 공기청정기와 3개의 공기정화식물은 조합하여 정격운전모드로 가동하여 측정한 결과, 1개의 대상만 유일하게 청정화능력 기준을 통과하였다. 따라서 일부 공기정화식물의 효과는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그러나 다른 대상의 경우, 성능인증을 받은 제품과 비교하여 절반수준의 입자제거효율이 나타났고 30분 경과에 따른 챔버내 입자효율은 거의 효과가 없는 수준이었다.

⦁ 공기정화 식물의 순수 입자제거율을 기준으로 약 10평의 거실에 적용할 경우, 실험에 사용한 공기정화식물 11개 정도 설치를 해야만 정화효과가 발생한다.

식물정화식물의 효과와 공기청정기의 성능과 결합하여 복합적인 기능으로 입자제거효율의 상승을 기대했지만 현재 시판중인 인증을 득하지 않은 대부분의 공기청정기는 그 성능이 미달하는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시중에서 성능검증 없이 효과를 광고하는 공기정화식물 거치형 공기청정기로부터 소비자의 보호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공기정화식물은 미세먼지의 제거는 아니지만 실내공기질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식물의 공기정화능력을 상승시키며 일정수준 이상의 입자제거효율을 유지하는 지속가능한 공기청정기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후 기

본 논문은 2022년도 국토교통부 재원으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과제 결과의 일부임(과제번호: 22TBIP-C161839-02).

References

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2009, A Study on Management of Major Indoor Air Pollutants by House Type in Korea (Ⅰ) - Indoor Air Pollution and Health Effects in Residential ApartmentGoogle Search
2 
Ministry of Environment press release , 2019, Announcement of Results of Joint Research on Safety and Performance of Air PurifiersGoogle Search
3 
National Institute i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 20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Academy of Horticultural Sciences, Indoor Air Purifying Plants, 11-1390804-000419-01Google Search
4 
Ministry of Environment Press Release , 2019, Expansion of Pilot Projects for Distribution of Maesa Japonica Showing Improvement in Indoor Air QualityGoogle Search
5 
Kwon G. J., Park B. J., 2014,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s of Four Foliage Plant-Based Biofilter,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 30, No. 2, pp. 157-160Google Search
6 
Kwon K. J., Park B. J., 2018, Particulayte Matter Removal of Indoor Plants, Diffenbachia amonena ‘Marianne’ and Spathiphyllum spp. according to Light Intens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46, No. 2, pp. 62-68DOI
7 
Cho D. G., 2019, Proioritization of Species Selection Criteria For Urban Fine Dust Reduction Planting, Korea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 33, No. 4, pp. 472-480DOI
8 
KACA , 2021, SPS-KACA002-132; Indoor Air Cleaners, Korea Air Cleaning Association, KoreaGoogle Search
9 
KACA , 2016, Collective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Indoor Air Cleaner, KoreaGoogl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