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삼인이에스 과장 (BIM Department Manager, Sahmin Environmental Science, Inc., Seoul, 04790, Korea)
  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01811, Korea)



건물정보모델, 모델링 상세기준, 기계전기소방설비, 시공상세도, 템플릿
Building Information Model, Level of Development, MEP/FP, Shop Drawing, Template

1. 연구배경 및 목적

2012년 조달청 발주공사를 필두로 국내 건설공사에서 BIM 납품이 계속 의무화되자 BIM을 외부 발주하거나 아예 실시설계 단계부터 BIM을 도입하는 기계설비사무소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현장에서 건축물 부재와의 간섭 및 타 공종과의 공사 중복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건축 기계 및 전기설비의 경우 설계단계에서부터 BIM을 구축하면 부재 간 간섭뿐만 아니라 설계 정합성 검토, 더욱 빠르고 정확한 물량 산출, 근거에 기반한 공정 관리 등 이점이 많다고 알려져 있다.

비록 BIM 구축의 주요 동기가 납품이기는 하나, 그 궁극적인 목적은 시공성 향상과 공사비 절감, 공기 단축에 있다. 따라서, 실시설계 단계에서 이미 BIM이 구축되었다면 시공상세도(Shop Drawing), 간트 차트(Gantt Chart), 자재목록표 (Bill of Material)까지 BIM에서 직접 추출이 가능하여야 한다. 그러나 국내 설비설계 BIM 구축 실무에서 실시설계도서, BIM, 시공상세도 납품자가 각자 다른 경우가 상당히 일반적이며, 설계사무소에서 실시설계 수준 BIM을 제작하더라도 시공상세도까지 추출할 수 있을 정도의 LOD(Level of Development: 모델링 상세기준)으로 BIM을 발전시키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자와 BIM 엔지니어/모델러, 공사 수급자(하수급인, 자재나 제품제조자 포함)의 도서 납품 업무를 효율화하고 실무자가 시공상세도를 BIM에서 직접 추출할 수 있는 BIM 템플릿 구성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IM에서 추출된 시공상세도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해 Shop BIM 프로세스를 제시하고(3장), 템플릿의 구성요소인 Material, Routing, Library의 제원과 정의 방법을 설명한 후(4장), Shop BIM 프로세스와 템플릿을 파일럿 프로젝트에서 시험하였다(5장).

2. 주요 관련 동향

2.1 BIM 템플릿의 역할

Lee et al.(1)은 BIM의 활용목적에 따라 특정한 템플릿을 구성하여 설계자에게 제공하면, 관련정보를 일일이 검색하여 입력값을 결정해야 하는 설계자의 모델링 부담을 줄여주고 타 분야 설계자 및 시공자들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여 결국 전체 프로젝트의 생산성을 향상해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Choi et al.(2)은 설계단계별 기계설비 BIM 설계 프로세스 및 LOD를 제안하고 BIL50 시공용 모델의 작성 객체와 속성 기준을 명시하였다. Kim et al.(3)은 국내 MEP 시공 실무의 요구 조건을 반영한 BIM 체크리스트를 제시하고, 특히 실무 요구 조건에 부합하는 공종별 작성객체별 속성 기준을 BIM의 활용목적에 매핑하였다. 즉, 숙련된 유경험자가 제시하는 객체와 그 속성 기준을 개별 프로젝트의 템플릿에 구현하여 모델러에게 제공하면 모델링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Choi et al.(4)은 MEP공사의 시공상세도 자동화를 위한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배관 공종을 대상으로 특정 Loop(예, 열원→분배기, 분배기→터미널)의 ISO 도면과 해당 공종의 자재명세서를 추출하는 매핑로직을 제시하였다. Deng et al.(5)은 Mullion, Transom과 같은 커튼월 부재의 시공상세도를 BIM에서 직접 추출하는 자동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즉, 시공상세도의 구성, 범위 및 스케일을 템플릿에 정의하고 개별 프로젝트에서 요구하는 엔지니어링 디테일과 제한사항(Constraints)을 템플릿에 설정하면 공종별 시공상세도 추출이 더 쉽고 자동화도 수월해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2.2 국내 시공상세도 작성 지침 및 모델링 가이드라인

국토교통부가 제공하는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 지침(6)은 일반적인 시공상세도 작성 방법 및 기준이 주요 내용이며 그마저 건축 및 토목공사 위주로 설명되어 있어 기계전기 설비 공사의 시공상세도 작성 방법에 대한 국토교통부의 기준은 명확하지 않다. LH 기계공사 일반 전문시방서(7)는 기계설비 공사의 시공상세도 목록은 자세히 제공하고 있으나 실제 작성 방법과 기준은 명시하고 있지 않다. 다행히 서울특별시 건축 기계설비 전문시방서(8)는 ① 배관재료, 배선, 설치규격, 설치 위치, 삽입물, 접합부와 접합방식, 앵커 철물, 작동장치, 개구부 등에 대한 시공 상세와 ② 배관 및 배선과 인접 구조물 사이의 공유부분과 공간 관계를 시공상세도에 작성할 것을 명시하고 있어, 시공상세도 추출을 위해 BIM 템플릿에 설정하여야 할 엔지니어링 디테일의 정도와 LOD를 가늠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BIM 지침(2018년 LH는 설계단계별 세부 BIM 모델링 가이드라인과 함께 템플릿까지 제공하였으나 기계전기설비의 시공상세까지는 정의되어 있지 않았다.)은 아직 시공상세도를 추출할 수 있을 정도의 상세한 모델링 가이드라인은 제공하고 있지 않다. 반면, 국외 BIM 설계자들에게 실질적인 모델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BIM Forum(9)은 실시설계 모델링 수준인 LOD 300과 조립도 수준인 LOD 400 사이의 시공 상세를 의미하는 LOD 350을 2013년 최초 제안하고 운송, 위생, 공조, 덕트, 배관, 소방, 전기/조명 및 배선설비 부재에 대한 속성 기준뿐만 아니라 “형상정보”의 상세 기준까지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BIM Forum이 제시하는 LOD 350은 일부 샘플에 불과하고 국내 건물 기계설비 장비 및 부재에 다소 적합하지 않은 묘사(Description)도 있어 국내 실무자가 참조할 수 있는 모델링 가이드라인으로는 한계가 있다.

국내 BIM 지침, 전문시방서, 시공단계 BIM에 관련된 연구들이 정성적인 텍스트 정보 위주로, 특히 BIM 객체의 속성정보 위주로 가이던스(Guidance)를 제공하고 있어 실무자들이 이를 해석하여 실무에 바로 적용하기에 모호한 점이 없지 않다. 시공상세도는 현장에 종사하는 기능공이나 엔지니어들이 설계도면 및 시방서 등에 불명확하게 설명된 부분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시공 시 유의사항 등을 바로 인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10) 부재에 관련된 부재의 치수, 규격, 위치, 이격, 접합방식 등을 시각적으로 명확히 묘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BIM에서 추출된 시공상세도의 시공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BIM 템플릿도 부재의 속성 정의에 치중하기보다 부재의 형상정보(Geometry)와 부재 간의 위상정보(Topology)를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정의되어야 한다.

3. Shop BIM: BIM 기반 건축기계설비 시공상세도 추출 프로세스

3.1 실시설계도서와 시공상세도

건축 기계설비 시공상세도는 공사 수급자나 벤더사가 작업이 가능하도록 실시설계도서를 근거로 구체적인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실시설계 도면과 시공상세도의 용도는 Table 1과 같은 차이가 있으며, 2차원 도면으로 작성된 시공상세도를 3차원으로 제작하면 더 세밀하고 복잡한 부분의 시공성과 유의사항을 검토할 수 있어 오시공 및 재시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견적, 자재 발주, 공기 등 다차원 공종간 간섭 검토가 가능하며 및 간섭요인도 핀셋 제거할 수 있다.

Table 1 Use cases of construction engineering document and shop drawing

Construction Engineering Document

Shop Drawing

When legacy 2D drawn

∙Specification of the Design Development

∙Production of HVAC and plumbing schematic diagram, plan, and HVAC zonning

∙Preparation of engineering specification

∙Estimation of construction cost

∙Detailed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methods

∙Clash detection between directly related disciplines

∙Verification of accurate dimension and constructability

∙Detailed diagram of primary parts and assemblies

∙Ordering materials

When 3D modeled

∙Spatial analysis including maintenance area

∙Clash analysis of primary elements

∙Checking up of omission, error, disparity in construction document

∙nD clash analysis between construction disciplines

∙Precise elimination of clashes

∙Diagnostic of complicated assembly and its simplification

3.2 Shop BIM 프로세스

현행 실무에서 시공상세도는 설계자가 납품한 실시설계도서를 참조하여 공사수급자가 제작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 도면으로 작성된 시공상세도를 3D로 전환하여 시공성을 재검증하기도 한다. 이때 3D 전환설계는 Fig. 1과 같은 단계를 거치고 있다. 실시설계도서를 3D 모델링하여 BIM을 1차 구축한 다음 납품용 실시설계도서를 수정하고, 이에 따라 작성된 시공상세도를 다시 3D로 전환하여 BIM을 2차 구축하는 이중 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는 실시설계를 담당하는 설계자, BIM을 구축하는 모델러, 시공상세도를 작성하는 엔지니어 (a.k.a 샵기사)로 업무가 분리되어 있어, 설계자↔모델러, 샵기사↔모델러 의사소통이 중요한데도 동시 협업을 하는 경우가 드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현행 3D 전환설계 프로세스에서는 결국 모델러가 실시설계도서 및 시공상세도를 분석하여 BIM을 제작하여야 하나 모델러가 시공/설치에 관한 지식이 부족하면 BIM 품질이 떨어지고 추출된 시공상세도의 유용성도 낮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모델러의 경력과 특정공사에 관한 전문지식에 따라 BIM의 품질과 추출된 시공상세도의 완성도가 달라질 수밖에는 구조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납품된 실시설계도서와 시공상세도를 모델러가 주관적으로 해석하여 BIM을 구축하기 때문에 모델러에 따라 BIM 구조와 설비 및 부재의 제원이 다르게 정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시설계도서를 접수 후 작업중복을 줄이고 BIM 모델링 생산성을 향상시켜 시공상세도까지 추출할 수 있는 Shop BIM 프로세스를 제안하는 바이다. Shop BIM의 가장 중요한 준비사항은 모델러가 실시설계도서에서 해석한 정보에 적정한 수준의 시공 상세를 추가하여 BIM을 제작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인프라, 즉 모델러에게 체계적인 템플릿과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템플릿은 모델링의 목적에 적합한 산출물을 취득하는 데 필요한 환경과 제약/조건을 도메인 전문가가 미리 정의해 놓은 환경으로, 해당 분야의 초보 모델러라 하더라도 템플릿을 거쳐 BIM을 작성하면 미리 정의해 놓은 워크플로우와 지정된 입/출력 양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모델러가 입력정보를 검색하고 정제하는데 과도하게 시간을 소비하지 않고도 일정한 품질의 모델과 납품도면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반복적인 작업유형을 재사용할 수 있고 지정된 입력 조건을 준수해야 하므로 설계에 대한 모델러의 주관적인 해석을 최소화하고 모델링 실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기계설비설계 사무소와 3D 전환설계 사무소에서 사용하는 BIM 템플릿은 실시설계 기준으로 맞추어져 있어 일정 수준 이상의 시공성을 담보해야 하는 시공상세도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부재의 형상 정보와 부재간 위상정보가 템플릿에 더욱 자세히 정의되어야 한다.

Fig. 1 Conventional 3D conversion workflow vs. Shop BIM workflow.
../../Resources/sarek/KJACR.2022.34.9.426/fig1.png

4. 시공상세도면 추출을 위한 BIM 템플릿

국내 일반적인 건축 기계설비공사에서 공사수급자가 발주처에 납품하여야 하는 시공상세도는 Table 2와 같다. 배관 및 덕트 평면도, 구조체 관통 부위 상세, 위생 설비 및 기계실 시공 방법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므로 배관, 덕트, 기타 시공용 자재와 부속 위주로 템플릿이 구성되어야 한다.

시공상세도 추출을 위한 BIM 템플릿의 가장 중요한 속성은 부재의 Material, Routing, Library로 나누어진다. Material은 배관과 덕트 등 부재의 재질과 규격으로 기본적으로 KS표준을 따라야 하나 전문시방서나 공사/특기시방서의 특이사항을 준용하여야 한다. Routing은 부재와 부재의 연결방식에 대한 정의로 전문시방서나 공사/특기시방서를 따른다. Library는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모든 부재, 장비, 장치에 대한 제원으로 KS표준을 따르거나 제품 카달로그의 제원에 따라 정의하여야 한다.

Table 2 Typical MEP shop drawing submittals

Type of shop drawings

Plumbing, air distribution, hydraulic distribution, and fire protection elements

Plumbing and piping plan

Hot water/cold water/heating water/chiller water/condenser water pipe (with manifold, coil saddle, spacer, drain), Boiler feed water/pressure steam/condensate pipe, Fire protection piping/dry standpipe/sprinkler piping/wet fire protection piping, refrigerant pipe (with casement, encased box), Air vent line, Drain line/sanitary waste (with sections), Piping under piloti (with access door, heating cable), Sump pump piping, Buried pipe, Further details on kitchen/porch/laundry/balcony

Penetration drawing

Conduit, Floor penetration sleeve (with thermostat), Double wall pipe (with faucet, manifold), Roof penetration sleeve, Wall penetration sleeve, Wall penetration box, Ground beam penetration sleeve, Fire hose cabinet, Hose bib enclosure, Smoke damper

Insert/Insert plate layout

For indoor piping, For outdoor piping, For drain and waste piping, For sprinkler piping, For fire protection piping

Technical drawing

Bathroom (with faucet, water hammer arrestor, toilet, basin, urinal, sink, tub, tile and finishes)

Ductwork layout

SA/EA duct, Smoke exhaust duct, Elevator shaft ventilation duct, Smoke makeup air duct

Section

Pipe Duct (PD) access door (with air vent valve)

Mechanical/electrical/ pump/fan room

Control and monitoring panel layout, Jet fan layout

4.1 Material 구성

납품용 시공상세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배관의 KS규격과 접합방식을 Table 3Fig. 2에 설명하였다. 단, 고강도 폴리염화비닐관처럼 아직 KS규격이 없는 부재는 국제규격(ANSI, JIS, DIN 등) 또는 인증서의 규격을 준용할 수 있다.

덕트의 경우 아연도금강판, 스테인리스, 플레시블 덕트는 내외경 차이가 없지만, PVC나 FRP 덕트는 단면 모양과 호칭경에 따라 내외경 차이가 있으므로 배관처럼 템플릿에서 규격을 미리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로 Autodesk Revit에서는 덕트 내외경을 설정할 수 없다.

Table 3 Pipe specification and joining method per material

Pipe typ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Pipe joining method

SPP (Carbon Steel Pipe for Ordinary Piping)

KS D 3507

Screw type

Groove joint type

Weld type

SPPS (Steel Pipe for Pressure)

KS D 3562

Stainless steel pipe

KS D 3576

Stainless weld type

Stainless steel pipe for ordinary piping

KS D 3595

Press joint type

Cast-iron soil pipe

KS D 4307

Mechanical joint type

Hub type

Hubless type

Ductile iron pipe for sewage applications

KS D 4323

Crosslinked polyethylene(PE-X) pipe

KS M 3357

-

Polybutylene (PB) pipe

KS M 3363

-

Unplasticized poly(vinyl chloride)(PVC-U) pipe for non-pressure applications

KS M 3404

DRF type

DTS type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PVC-C) pipe

KS M 3414

Polyethylene (PE) pipe

KS D 3514

-

Extruded polyethylene coated steel pipe

KS D 3589

-

High strength poly(vinyl chloride)(PVC-U) pipe

N/A

Fig. 2 Definition of segments and sizes of various pipes using Autodesk Revit.
../../Resources/sarek/KJACR.2022.34.9.426/fig2.png

4.2 Routing 구성

현행 전환설계 3D모델링은 배관과 덕트의 라우팅 속성에 프로그램 Default를 사용하거나 건축 기계설비공사의 일반적인 설정을 사용한다. 그러나 배관과 덕트 부재가 접합될 때 피팅 부재의 종류, 각도, 크기, 접합 방식 등에 대한 전문시방서나 특기시방서의 요구사항을 템플릿에 미리 정의하여야(Fig. 3Fig. 4) 발주처가 요구하는 품질의 시공상세도 납품이 가능하다.

Fig. 3 Revit example of pipe routing preference.
../../Resources/sarek/KJACR.2022.34.9.426/fig3.png
Fig. 4 Specification for pipe joining method per material and size
../../Resources/sarek/KJACR.2022.34.9.426/fig4.png

4.3 Library 구성

발주처 요구사항 및 프로젝트 BIM 가이드라인에 따라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인 3D 전환설계는 LOD 300 기준이며 시공상세도는 LOD 350 기준이다. LOD 300에서는 특정한 설비, 부품, 부속의 부재가 실시 설계상의 크기, 모양, 위치, 방향, 각도, 이격거리, 개수로 표현된 형상정보로 표현되어야 하여 보온재, 댐퍼, 밸브, 디퓨저, 계량기까지 모델링되어야 한다. 이때 입상, 주관, 지관, 주덕트, 분기덕트용 가대, 지지대, 내진용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부재간 거리를 충분히 유지해야 한다. 비형상정보(속성, 함수, 설명, 치수선 등)도 부재에 표현될 수 있다. 그러나 LOD 350에서는 LOD 300에서 표현된 모든 자재가 실제 시공되는 제품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모델링되어야 하며 모든 장비들이 연결되어 있고 장비 지지대 및 구조체를 관통하는 부재와 슬리브까지 표현되어야 한다(Table 4). LOD 400에서는 LOD 350의 부재들이 실제로 제작, 설치 및 시공될 수 있을 정도, 즉 조립도 수준까지(예, 연결철물 규격, 실제 홈의 깊이) 상세하게 표현되어야 하지만 시공상세도에 표현되기에는 과도한 수준이다. Table 5는 건축 기계설비 공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재에 대하여 시공상세도에 표현되어야 하는 LOD와 3D 전환설계 시 필요한 LOD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Fig. 5는 LOD 300과 LOD 350에 따른 형상정보와 위상정보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묘사하였다.

Table 4 Definition of LOD 300, 350, 400 and their practical interpretation

LOD 300

LOD 350

LOD 400

By definition (11)

The Model Element is graphically represented within the Model as a specific system, object or assembly in terms of quantity, size, shape, location, and orientation; Non-graphic information may also be attached to the Model Element.

The same definition as LOD 300, but with interfaces between building systems.

The same definition as LOD 350, but with detailing, fabrication, assembly, and installation information

By BIM forum(9)

The quantity, size, shape, location, and orientation of the element as designed can be measured directly from the model without referring to non-modeled information such as notes or dimension call-outs; The project origin is defined and the element is located accurately with respect to the project origin.

The same definition as LOD 300, but all the elements shall be modeled as actual dimension and geometry; Parts necessary for coordination of the element with nearby or attached elements are modeled. These parts will include such items as supports and connections.

The same definition as LOD 350; An LOD 400 element is modeled at sufficient detail and accuracy for fabrication of the represented component.

Table 5 Required LOD for 3D conversion and Shop BIM

Discipline

Category

Element

LOD

3D conversion at construction document phase

Shop BIM

Air distribution

Duct

Trunk, Wall stack

300

300

Branch duct

300

300

Flexible

300

300

Fitting

Elbow, Angle, Wye, Boot, Reducer, Hess, Stackhead, Chamber

300

350

Cap, Plenum, Muffler, Box

300

350

Collar, Lining

-

350

Control device, Instrument,

Accessories

Damper

300

300

Diffuser, Grille, Register, Hood, Gooseneck

300

300

Meter, Access panel

300

300

Filter, Silencer

-

350

Plumbing,

HVAC piping,

gas distribution

Pipe

Header pipe, Riser

300

300

Branch pipe

300

300

Drain pipe

300

300

Heating water, Chilled water, Condenser water, Refrigerant, Fuel pipe

300

300

Encased pipe

300

300

Fitting, Connector

Elbow, Tee, Reducer, Increaser, Cross, Wye, Manifold

300

350

Cap, Plug

300

350

Trap, Adapter, Coupling, Barb, Nipple, Union, Sleeve, Flange, Clip, Joint

-

350

Bathroom fixture

Toilet, Urinal, Shower head, Bathtub, Faucet

300

350

Kitchen fixture

Sink, Faucet, Countertop

300

350

Control device, Instrument,

Accessories

Valve

300

350

Meter, Strainer, Arrestor

300

350

Fire protection

Pipe

Feed main pipe, Cross main pipe, Riser

300

300

Branch line

300

300

Main drain

300

300

Fitting, Connector

Elbow, Tee, Reducer, Increaser, Cross, Wye, Manifold, Trap

300

350

Cap, Plug

300

350

Adapter, Coupling, Barb, Nipple, Union, Sleeve, Flange, Clip, Joint

-

350

Control device, Instrument,

Accessories

Valve, Alarm valve, Preaction valve, Isolation valve, Switch, Test connection

300

350

Sprinkler head

300

350

Fire departmental connection

300

350

Supression gas storage, Nozzle

300

350

Tank, Hose reel, Vibration isolator, Fire/smoke detector, Hydrant

300

350

Supports,

Hanger,

Insert

Sleeve

Penetration sleeve

-

350

Closet flange, Gasket sleeve

-

350

Hanger

Hanger, Clamp, Braket, Brace, Strap

-

350

Guard

Pipe guard, Ductwork saddle

-

350

HAVC equipment

Air handler

300

350

Boiler, Chiller, Heat exchanger, Heat pump outdoor unit, Pump, Tank

300

350

ERV (Energy Recovery Ventilator)

300

350

FCU (Fan Coil Unit), Indoor unit, Radiator, Terminal

300

350

Jet fan, Blower, Fan

300

350

Fig. 5 LOD 300 vs. LOD 350 for exemplary HVAC model elements.
../../Resources/sarek/KJACR.2022.34.9.426/fig5.png

5. 파일럿 프로젝트

서울시에 위치한 지상 17층 및 지하 6층 규모의 신축 업무 및 근린생활시설을 대상으로 기계설비가 집중된 지하층과 오피스텔 단위세대의 시공상세도를 기존 방법(실시설계도서를 참조하여 샵기사가 시공상세도 작성)으로 작성하고 작업시간을 비교하였다(Table 6). 실시설계도서를 참조하여 상세한 시공 방법까지 고려하여 모델링해야 하는 데다가 2D 도면으로 추출하기 위해 도각을 수정하여야 하는 등 프로그램 설정 때문에 Shop BIM의 작업시간이 더 길어졌다. 그러나 Shop BIM으로 추출한 시공상세도는 실시설계도서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샵기사의 주관적인 해석이 배제되어 보다 균일한 품질로 제작되었으며, 특히 특정 공종을 단면을 포함한 여러 각도에서 3차원으로 묘사하거나 작업순서 등을 작업자에게 설명하기에 더 용이하였다(Fig. 6).

Table 6 Elapsed hours to produce shop drawings (unit: man·hr)

Type of shop drawing

Conventional production of shop drawings

Shop BIM

Construction of BIM

based on const. doc

Production of shop drawings out of BIM

Plumbing plan

12

10

4

Sewage and waste piping plan

24

22

6

Fire protection piping plan

12

10

4

Ventilation ductwork layout

4

2

2

Smoke ductwork layout

4

2

2

Section of equipment and system

8

-

4

Wall penetration sleeve plan

4

3

2

Floor penetration sleeve plan

8

6

4

Insert plan

8

6

4

Insert plate plan

4

2

2

Residential unit plan (Typical floor)

56

40

20

Mechanical room plan

28

24

10

Mechanical room section

8

-

4

Total

180

127

68

Fig. 6 Conventional shop drawing (left) vs. BIM-based shop drawing (right).
../../Resources/sarek/KJACR.2022.34.9.426/fig6.png

6. 결 론

시공상세도는 부위별 재료명과 시공 또는 설치 방법 및 마감 상태를 명확히 표기해야 하고, 정확한 치수, 축척, 도면 제목, 관련 도면번호 등의 식별정보를 명시해야 한다.(12) 또한 현장에 종사하는 기능공과 엔지니어들이 설계도면 및 시방서 등에 불명확하게 설명된 부분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시공 시 유의사항 등을 바로 인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부재의 치수, 규격, 위치, 이격, 접합방식 등을 시각적으로 명확히 묘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BIM의 시공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BIM 템플릿은 부재의 속성값 정보에 치중하기보다 부재의 형상정보(Geometry)와 부재 간의 위상정보(Topology)를 보다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정의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본 연구는 ① 템플릿 구성 시 Material과 Routing을 일반적인 설정값이나 프로그램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대신 시방서 및 발주처의 요구사항을 입수하여 프로젝트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정의할 것을 권고하며, ② 특히 Library의 상세수준은 LOD 300을 기본으로 하되 부품과 부재의 종류에 따라(Table 5) LOD 350까지 표현할 것을 권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템플릿 설정을 사용하더라도 추출된 일부 시공상세도는 현장에서 요구하는 수준에 못 미칠 수 있다. 그 이유는 시공상세도에는 부재의 재료, 규격과 같이 BIM에서 직접 추출되는 1차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동일한 접합 부분이라도 시공순서를 고려하여 여러 View를 다양한 Scale에서 보여주는 등(5) 2차적인 분석 및 추론 정보도 함께 표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는 공사수급자의 요구사항대로 모델러가 BIM에서 추출된 시공상세도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시공성과 가시성을 고려하여 공사수급자가 원하는 디테일과 관점만을 BIM에서 추론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시공상세도 추출 자동화를 위해 필요하다.

후 기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 (MSIT) (No. 2020R1A2C1012952).

References

1 
Lee S. H., Kim M. K., Choi H. A., Jun H. J., 2011, A Study on Analysis of the Template Component for the Development of BIM Templat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Journal, Vol. 11, No. 2, pp. 123-130URL
2 
Choi E. H., Lee T. G., Kim S. H., 2021, A Suggestion on BIM Mechanical Design Process and Level of Modeling Detail, Korea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33, No. 9, pp. 476-483Google Search
3 
Kim W., Park J., Cha Y., Hyun C., Han S., 2019, Development of Model Requirements Checklist for Utilizing BIM in Construction Phase,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20, No. 1, pp. 22-31DOI
4 
Choi C. H., Kwon D. Y., Cho S. H., Kim J. H., 2020, An Automated Process to Produce Shop Drawings for MEP Works in BIM Environment, KIBIM Magazine, Vol. 10, No. 4, pp. 22-31DOI
5 
Deng M., Gan V. J., Tan Y., Joneja A., Cheng J. C., 2019, Automatic generation of fabrication drawings for facade mullions and transoms through BIM models, 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Vol. 42, pp. 100964DOI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2010, Guideline for Preparing Shop Drawing in ConstructionGoogle Search
7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 2020, LH Specification for General Mechanical Construction LHCS 10 10 05 45: 2020Google Search
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2018, SM Specification for Mechanical Construction SMCS 31 10 10 :2018Google Search
9 
BIM Forum , 2022, Level of Development Specification Version 2021, BIMForum, USAGoogle Search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2021, Enforcement Rule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Article 40Google Search
11 
The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 2013, AIA Contract Document G202-2013,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Protocol FormGoogle Search
12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 2021, EC Specification for General Mechanical Construction EXCS 31 10 10: 2021, Retrieved from https://www.kcsc.re.kr/StandardCode/Viewer/40658 (Accessed on June 16th, 2022)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