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술원 (Engine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52 Gajeong-ro, Daejeon, Korea)
  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Principal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 Gajeong-ro, Daejeon, Korea)
  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2 Gajeong-ro, Daejeon, Korea)



온실가스, 시설원예, 히트펌프, 운영비용, 계간축열, 태양열
Greenhouse gas, Greenhouse, Heat pump, Operation cost, Seasonal thermal energy storage, Solar thermal

1. 서 론

지구온난화 등 지속적인 기후위기로 인해 저탄소사회로의 전환은 현대사회의 중요한 논제로 자리 잡고 있으며, 정부는 저탄소사회로의 전환을 위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및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정책 등 자체적으로 달성해야 하는 목표를 정했다. 최근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1)에 따르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30%가 농식품 시스템(food chain)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그중 19~29%의 탄소배출은 화석연료를 이용한 에너지공급에 따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FAO는 농업분야에서 지속가능한 개발을 농업 생산성과 소득의 지속가능한 증가, 기후변화 적응 및 유연한 대응, 그리고 온실가스 배출 저감 및 제거와 같이 세 가지 측면에서 정의하고 있다. 결국, 기존의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문제와 화석연료 비용의 증가에 대응하고, 장기화되고 있는 COVID-19로 인해 향후 식량안보의 문제까지도 고려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식량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식량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농업에너지 자립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국내 농업분야에서의 신재생에너지보급 비율은 저조한 상태이며, 상당량의 에너지원을 기존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다. 농업분야 중 가온온실에 소비되는 난방 및 냉방에너지는 주로 유류(81%)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전력(9%), 고체연료(7%), 지열원(3%), 가스(1%) 순으로 화석연료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2) 또한, 통계청(3) 자료에 따르면 2019년도 기준 농업부문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량 701백만 tCO2eq. 중 3%에 해당하고, 5년 평균 21백만 tCO2eq.의 온실가스가 배출되어 상당량의 온실가스가 지속적으로 배출되고 있다. 화석연료를 통한 열에너지공급은 다량의 온실가스가 배출될 뿐만 아니라 1차에너지의 관점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소비되어 농업분야에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및 확대를 통해 에너지소비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의 상당부분이 저감될 것으로 예상된다.

농업분야에 적용된 신재생에너지는 작물의 생산량 증대효과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의 대체효과 및 온실가스 저감효과도 상당하다. Park et al.(4)의 연구에 따르면, 지열히트펌프의 사용으로 파프리카 생상량이 9,539 kg/10a 만큼 증대 되었으며, 1,137리터/10a의 석유류 대체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Nacer et al.(5)의 연구에서는 알제리의 7개의 낙농업단지에 신재생에너지 잠재량을 분석을 통한 계통전력, 태양광, 풍력발전, ESS 등을 결합하여 최적의 시스템을 구성하였을 경우 온실가스저감효과를 확인하였는데, 각각의 경우의 시스템 최적화를 통해 연간 9천 톤에서 5.9만 톤의 CO2가 저감됨을 확인하였다.

농업분야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적용된 국외 사례(6)로 오스트리아 귀씽마을에서는 옥수수 및 풀 등을 이용한 바이오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열을 공급하고 있으며, 독일의 윤데마을에서는 바이오매스에 기반을 둔 재생에너지로 커뮤니티 내 에너지수요의 100%를 공급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경남 산청 갈전마을에는 풍력, 태양광, 태양열조리기, 바이오매스 발전시설 등이 구축되어 있으며, 전북 부안 등용마을에는 태양광, 풍력발전, 지열난방설비 등이 구축되어있다. 국내에서는 주로 건물의 냉난방과 관련된 신재생에너지 실증단지들이 구축되었는데, 국내의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융복합 커뮤니티로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이 있다. Kim et al.(7,8)의 연구에 의하면, 대상 실증지에는 태양광, 태양열, 계간축열조, 지열, 하수열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융복합 설비를 통해 전체 공공건물 전력부하의 130% 이상, 열에너지 수요의 100%를 신재생에너지설비로 충당하고 있음을 실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러한 신재생융복합에너지 설비의 운영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재생에너지융복합시스템을 활용한 가온온실의 냉난방 및 전력공급을 통해 에너지자립형 스마트팜 구현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9) 실증단지의 운영설비는 2021년 1차 구축이 완료되어 태양열 집열기 및 탱크방식 계간축열조(TTES)의 운영 위주로 진행되었다. PVT와 지중축열방식 계간축열조(BTES)는 2022년에 축열운전이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태양열, 지열 등의 신재생에너지 적용된 시설원예온실의 1차년도 첫 난방기간 시운전 실증운전결과를 바탕으로 운영비용 및 온실가스 절감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2. 실증단지 에너지설비

실증단지는 경기도 여주시에 위치하였으며, 태양열 집열기 462 ㎡, 태양광열 집열기(PVT) 234 ㎡, 지열 및 복합열원히트펌프 130 RT의 열원설비가 TTES 1,200 ㎥, 버퍼축열조 120 ㎥, BTES 28,500 ㎥등의 축열시스템과 연계되어 인근 시설원예온실에 냉/난방열을 공급하고 있다. 대상 시스템은 2021년 10월부터 총 3,942 ㎡ 규모의 가온온실에 난방공급을 시작하였으며, 태양광열 집열기는 시운전 등의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제외한 나머지 열설비들의 실증운전결과를 바탕으로 운전결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단지 열에너지시스템의 구성도는 Fig. 2와 같으며, 난방운전의 경우 봄부터 가을까지 태양열집열기에서 생산된 열이 TTES에 저장되고, PVT집열기의 생산열은 BTES에 저장된다. TTES의 온열은 난방기간에 온실로 직접 공급되지만, BTES의 경우 축열온도가 낮아 난방열로 직접 공급할 수 없으므로 히트펌프(HP2.1, HP2.2)의 증발열원으로 공급하고 있다. TTES의 축열량이 소진되어 축열온도가 난방열을 직접 공급할 수 없는 온도가 되었을 경우(약48도 이하)에도 TTES의 잔열이 히트펌프(HP1.1, HP1.2)의 증발열원으로 공급되고 있다. 또한, TTES 및 BTES에서 히트펌프의 증발열원으로 공급되어 열을 생산하는 방식 외에도 지열원 히트펌프(HP3.1, HP3.2) 등을 통해 온실에 난방열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열원 히트펌프를 제외한 나머지 히트펌프는 복합열원 히트펌프로 공기열원을 활용하여 온열 및 냉열생산이 가능하며, 냉방운전의 경우 공기열원과 지열원등을 활용하여 온실에 냉방열을 공급하고 있다. 실증단지의 조감도는 Fig. 1과 같다.

Fig. 1 View of test facilities.
../../Resources/sarek/KJACR.2022.34.10.447/fig1.png
Fig. 2 System configuration of demonstration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2.34.10.447/fig2.png

3. 연구방법

실증단지에는 각 열원설비의 운전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주요부분에 온도센서 82개, 압력센서 19개, 유량센서 21개, 일사계 5개, 온/습도계 11개, 광합성센서 3개, 전력량계 16개 등의 계측센서들이 설치되어있다. 각 센서들의 계측 값은 30초 간격으로 저장되고 있으며, 계측센서에 대한 위치와 제원은 Fig. 3Table 1과 같다.

계측된 데이터 중 열원설비의 입/출구 온도, 유량, 전력량 등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각 열원설비의 열공급량 및 에너지소비량 등을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열량 및 전력량을 통해 온실가스배출량과 운영비용을 산출하였다.

Fig. 3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2.34.10.447/fig3.png
Table 1 Measurement sensor specification

Measurement sensor

Specification

Temperature

RTD PT100Ω, 3wire

Pressure

Pressure Range (0~10) kgf/㎠ g, Accuracy 0.039%FS

Flow rate

Flow Rate (0~180) ㎥/h, Accuracy ±05%

Irradiance

CMP 6, First class, Range ~2000 W/㎡

Quantum

PQS1, Range ~10,000 μmol/㎡·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Temperature Range (-40~60)℃, Accuracy ±0.6℃

Relative Humidity Range (0~100)%

Accuracy from (0~40)℃ ±3%RH over (0~90)% ±5%RH over (90~100)%

Accuracy from (-40~0, 40~60)℃ ±5%RH over (0~90)% ±7%RH over (90~100)%

3.1 운영비용

분석기간은 난방공급기간인 2021년 10월 1일부터 2022년 3월 31로, 온실로 공급된 총 난방열량($Q_{GH}$)을 기준으로 실증단지에 적용된 열원설비 대비 타 열원설비 사용하였을 경우의 운영비용 및 온실가스 절감효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타 열원설비의 성능에 대한 제원은 기름보일러(등유)의 경우 연료발열량(11)($HV_{OB}$)은 9.5 kWh/L(8,200 kcal/L), 기름보일러 설비효율($\eta_{OB}$)은 85%, 전기보일러의 경우 설비효율($\eta_{EB}$)은 95%를 적용하였다.

기름보일러의 운영비용의 경우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의 경기지역 평균 면세유(실내등유) 및 실내등유 가격(12)을 참고하였다. 농업용 난방기의 경우 면세유가 적용되지만, 고유가 및 유류세 변동 등을 고려하여 실내등유를 사용할 경우에 대해서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면세유의 월별 단가는 2021년 10월부터 868.54 원/L, 949.95 원/L, 957.94 원/L, 950.83 원/L, 1,012.12 원/L, 1,140.99 원/L를 적용하였다. 또한, 월별 실내등유 평균 가격은 2021년 10월부터 1022.82 원/L, 1111.89 원/L, 1117.51 원/L, 1125.95 원/L, 1196.73 원/L, 1366.01 원/L를 적용하였다. 전기보일러 및 실증단지의 운영비용은 한국전력공사 전기요금(13)을 참고하였으며, 농업용 전력(을) 고압요금제를 적용하여 기본요금 1,210 원/kW, 전력량요금 봄/가을철 34.9 원/kWh, 겨울철 36.9 원/kWh을 적용하였다.

하지만, 농업용 전기요금도 최대부하 1,000 kW초과시 산업용 요금제를 적용받게 된다. 본 실증설비의 설비용량산정 시 최대 전기부하가 1,000 kW 이상이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산업용 요금제를 사용할 경우에 대해서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단지의 경우 열설비의 최대수요전력은 145 kW로 측정되었으며, 여유율 10%를 고려하여 계약전력을 159 kW로 선정하였다. 실증단지에 전기보일러를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실증단지의 최대열부하에 전기보일러 열효율 0.85, 여유율 10%를 고려하여 계약전력을 691 kW 로 산정하였다.

계산된 계약전력을 기준으로 실증단지의 산업용 요금제는 ‘산업용 전력갑2 고압A 선택2’요금제로, 전기보일러를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산업용 전력을 고압A 선택2’로 선정하였다.

운영비용은 에너지소비량 계산식에 의해 산출된 각 열설비별 에너지소비량에 각 에너지원의 판매단가를 곱하여 계산되었다. 등유의 연료소비량($V_{OB}$) 및 전기보일러의 전기에너지소비량($P_{EB}$) 계산식은 각각 식(1), 식(2)와 같다.

(1)
$V_{OB}=Q_{GH}/(HV_{OB}\times\eta_{OB})$
(2)
$P_{EB}=Q_{GH}/\eta_{EB}$

3.2 온실가스배출량

온실가스배출량($GHG_{e}$)은 각 열설비별 에너지소비량에 각 에너지원에 해당하는 온실가스 배출계수와 지구온난화지수를 곱하여 계산하였다. 등유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계수(14)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등에 대한 배출계수를 고려하였다. 기타등유의 경우 112 tCO2eq./TJ, 0.3 tCO2eq./TJ, 0.004 tCO2eq./TJ를 적용하였으며, 지구온난화지수는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순서대로 1, 21, 310을 적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계산된 등유 보일러의 온실가스배출계수($EF_{OB}$)는 72.30 tCO2eq./TJ 로 산정되었다. 전력부문 온실가스배출계수($EF_{EB}$)(15)는 0.45941 tCO2eq./MWh으로 적용하여 온실가스배출량을 산출하였으며, 온실가스배출량 계산식은 식(3)과 식(4)와 같다.

(3)
$GHG_{e,\: OB}=V_{OB}\times HV_{OB}\times EF_{OB}$
(4)
$GHG_{e,\: EB}=P_{EB}\times EF_{EB}$

3.3 1차에너지소비량

1차에너지소비량($PE$)은 각 열설비별 에너지소비량에 각 에너지원에 해당하는 발열량을 곱하여 석유환산톤 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이에 등유보일러의 1차에너지소비량은 등유의 연료소비량($V_{OB}$)에 따른 총 발열량 값과 같으며. 전력의 경우 소비전력량에 전력(발전기준) 에너지 열량 환산계수(11)($PEF_{EB}$) 0.213 toe/MWh를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1차에너지소비량 계산식은 식(5)와 식(6)과 같다.

(5)
$PE_{OB}=V_{OB}\times HV_{OB}$
(6)
$PE_{EB}=P_{EB}\times PEF_{EB}$

4. 연구결과

4.1 실증 운전 결과분석

분석 대상기간의 실증단지의 일별 외기온도 및 일사량 그래프는 Fig. 4와 같으며, 실증단지의 평균외기온도는 3.4℃로 전국 평균 외기온(16) 5.3℃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월별 총 일사량의 경우 2022년 3월달 95.1 kWh/㎡로 가장 높았으며, 2021년 12월 59.9 kWh/㎡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Fig. 5는 TTES의 입/출입 열량과 내부평균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로, 내부평균온도는 2021년 10월 1일 65.4℃로 시작하여 2021년 10월 22일 46.5℃로, 축열된 대부분의 열이 10월 한 달 동안 전부 난방열로 직접공급 되었으며, 이후에는 히트펌프의 증발열원으로 공급되어, 2022년 2월 23일 9.3℃로 축열조의 온도가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Fig. 6은 실증단지 열설비에서 부하측으로 공급된 열량을 일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2021년 10월 말까지는 TTES에서 주로 열이 공급되었으며, 이후로는 BTES 잔열을 이용한 히트펌프 및 지열원 히트펌프로 열이 공급되었다. 또한, BTES의 열이 소진된 2022년 1월 말부터는 TTES의 잔열을 이용한 히트펌프가 운전되었으며, 부하량이 많은 2021년 12월 말과 2022년 1월 초까지는 복합열원 히트펌프가 공기식으로 운전되었다.

Fig. 4 Daily solar irradiation and ambient temperature.
../../Resources/sarek/KJACR.2022.34.10.447/fig4.png
Fig. 5 Daily heat value and average temperature of the TTES.
../../Resources/sarek/KJACR.2022.34.10.447/fig5.png
Fig. 6 Daily heat value for the test site.
../../Resources/sarek/KJACR.2022.34.10.447/fig6.png
Table 2 Monthly operation Results

Heating Supply(MWh)

Electric energy consumption(MWh)

Direct solar thermal

(TTES)

Indirect solar thermal

GSHP

ASHP

HP

(Renewable energy source)

HP

(Air source)

Pumps for HP

Pumps for thermal network

TTES

BTES

2021.10.

26.7

0.0

0.7

3.4

4.9

1.1

1.7

1.2

0.1

2021.11.

1.4

12.0

22.0

39.0

4.2

22.4

2.1

4.6

0.2

2021.12.

0.0

2.1

29.9

71.9

3.4

32.6

5.0

7.6

0.3

2022.01.

0.1

6.2

30.5

73.2

5.7

36.5

9.7

8.7

0.2

2022.02.

0.2

15.5

17.5

53.9

1.3

31.0

2.1

7.0

0.1

2022.03.

0.1

17.2

3.2

31.1

4.7

17.2

3.5

4.3

0.0

분석 대상기간의 월간 실증운전결과는 Table 2와 같다. 간접 태양열 열공급은 계간축열조 또는 BTES에 축열된 열이 난방공급이 불가능할 때 히트펌프의 증발열원으로 사용된 경우의 열공급량을 의미하며, 전체 열공급량 중 38.4% 가 태양열원을 이용해서 열이 공급되었다. 계간축열조, BTES의 축열시점 및 태양열시스템 시운전 등으로 인해 태양열 분담률이 다소 낮게 측정되었다. 히트펌프 자체 COP의 경우 신재생열원을 활용한 히트펌프는 3.05, 공기열원 히트펌프는 1.01로 측정되었으며, 히트펌프의 소비전력과 열원순환펌프 소비전력이 고려된 히트펌프의 시스템 COP는 2.28로 계산되었다. 또한, 태양열집열기로부터 직접 공급량과 이를 위한 순환펌프의 동력을 고려한 전체 시스템의 COP는 2.40으로 측정되었다. 실증단지 온실의 난방열은 주로 심야시간에 공급되는데, 실증단지의 겨울철 심야시간 외기온도가 매우 낮아, 복합열원 히트펌프가 공기식으로 운영 시 COP가 매우 낮게 운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스템이 안정화 되어 PVT 및 BTES에 운영이 시작되는 2차년도 이후 전반적인 열성능 및 태양열 분담률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4.2 운영비용 및 온실가스 절감효과 분석

실증단지 내 난방기간 총 공급열량($Q_{GH}$)은 481.9 MWh로, 동일열량을 기존 열원을 통해 공급되었을 경우의 운영비용 및 온실가스발생량은 Table 3과 같다. 연구결과, 제안된 재생에너지융복합시스템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기존 등유보일러와 전기보일러는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각각 37.3%와 64.5%의 배출량 절감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 Operation Cost and Greenhouse gas emission

Oil-Boiler

Electric Boiler

Proposed system

Tax-free oil

Kerosene

Agricultural Tariff

Industrial Tariff

Agricultural Tariff

Industrial Tariff

$GHG_{e}$[tCO2eq.]

148

233

92

Operation cost [1,000 won]

58,250

68,688

21,912

51,931

8,592

17,170

$PE$[toe]

48.8

108.0

42.9

제안된 시스템의 운영비용은 제안된 시스템이 농업용 전력을 사용하고 기존 등유보일러는 면세유와 세금이 포함된 실내등유를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할 경우, 각각 85.2%와 87.5%의 운영비용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 전기보일러가 농업용과 산업용 전력을 사용하는 것으로 비교할 경우, 각각 60.8%와 83.5%의 운영비용 절감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차에너지소비량 기준으로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 등유보일러 및 전기보일러 대비 12.1% 및 60.3%의 절감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서 현재시스템을 제외한 기존 열원설비는 정격운전을 가정하였으며, 현재시스템은 실증운전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되어 기존 설비가 다소 유리한 조건이 적용되어 연구결과가 산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안된 시스템이 높은 경제성과 온실가스 절감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시설원예온실에 적용된 신재생융복합시스템의 운영비용 및 온실가스절감효과를 종래 열원설비와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운영 결과는 1차 구축이 완료된 태양열 집열기 및 탱크방식 계간축열조(TTES)의 운영을 위주로 분석되었다. 실증단지에 구축된 설비의 운영비용과 온실가스 배출량 모두 기존 시스템 대비 가장 낮게 운전됨을 확인하였다. 현재 실증단지 분석결과는 초기 시운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되어 시스템 안정 시 타 열원설비보다 운영비용 및 온실가스발생량의 높은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2차년도부터 진행될 PVT와 BTES 축열운전이 진행될 경우, 전력공급에 따른 에너지자립률 증대와 히트펌프 COP 증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연구에서는 연구대상 실증설비의 보다 안정화된 실증데이터를 기반으로 초기투자비용 및 운영비용이 고려된 생애주기비용분석을 통해 농업가장 효과적인 재생에너지융복합시스템을 확인하고자 한다.

후 기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농업에너지 자립형 산업모델 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과제번호 : 120096-3).

References

1 
FAO , The Contribution of Agriculture to Greenhouse Gas Emissions 2020Google Search
2 
Kim M.H., Lee D.W., Heo J., Kim D.W., 2020, The Demonstration Model Construction of Solar and Geothermal Convergence Energy Production, Storage and Management System for Greenhouse,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Google Search
3 
Statistics Korea , [URL]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6&tblId=DT_106N_99_2800020&conn_path=I2URL
4 
Park J., Kim Y., 2019, The Effect of Renewable Energy in Agricultural Sect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0, No. 1, pp. 224-235DOI
5 
Nacer T., Hamidat A., Nadjemi O., 2015, A Comprehensive Method to Asses the Feasibility of Rnenwable Energy on Algerian Dairy Farms, Cleaner Production, Vol. 112, pp. 3631-6342DOI
6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 2015, Policy Research on New Renewable Energy in Agricultural Sector, Policy dataGoogle Search
7 
Kim D., Heo J., Kim M., Lee D., 2021, Operational Result Analysis of 850 kW Photovoltaic System in Eco-friendly Energy Town,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41, No. 2, pp. 25-37DOI
8 
Kim D., Heo J., Kim M., Lee D., 2021, Operational Result Analysis of Renewable Heat Energy System in Eco-friendly Energy Town,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41, No. 2, pp. 51-62DOI
9 
Kim M. H., Kim D., Lee D.W., Heo J., 2021, Applicability of Renewable Energy Convergence System based on Seasonal Thermal Energy Storage for Greenhouse, Vol. 33, No. 8, pp. 395-403Google Search
10 
Kim D.W., Lee D.W., Kim B.G., Ryu G.H., Kim M.H., 2022, Analysis of Carbon Reduction and Operation Cost Reduction Effect of Solar Thermal-based Renewable Energy Convergence System applied to Greenhouse,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2022 Summer Annual ConferenceGoogle Search
11 
Korea Energy Agency, EG-TIPS , [URL]https://tips.energy.or.kr/purpose/standard_info.doURL
12 
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 Opinet , https://www.opinet.co.kr/user/dopospdrg/dopOsPdrgTaxfreeAreaView.do#URL
13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 2021 Electric Rates TableGoogle Search
14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Google Search
15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 2020, Climate Change &Carbon Market, ETS insight, Vol. 18Google Search
1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URL]https://data.kma.go.kr/stcs/grnd/grndTaList.do?pgmNo=70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