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석사 (Ms.,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Geujeong-Gu, Busan, 4624, South Korea)
  2.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석사 (Ms.,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Geujeong-Gu, Busan, 4624, South Korea)
  3.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대학원 박사과정 (Ph. D. Student,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Geujeong-Gu, Busan, 4641, South Korea)
  4.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Professor, School of Mechanical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Geujeong-Gu, Busan, 46241, South Korea)



핀-튜브 열교환기, 성능 비교, 냉장고 증발기, 사각타원 튜브
Fin-tube heat exchanger, Performance comparison, Refrigerator evaporator, Round rectangle tube

기호설명

$A$: 면적 [㎡]
$C_{p}$: 비열 [kJ/kg․K]
$D$: 직경 [m]
$f$: Friction-factor
$V$: 속도 [m/s]
$j$: Colburn j-factor
$P$: 압력 [kpa]
$Q$: 열전달률 [W]
$T$: 온도 [K]
$\rho$: 밀도 [kg/㎥]
$\mu$: 점성계수 [N․s/㎡]

1. 서 론

핀-튜브 열교환기는 공기와 작동유체의 열교환을 위해 활용되는 열전달 기구이며, 단위체적 당 높은 전열면적을 보유하고 있어 소형 가전부터 산업용 대형 플랜트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핀-튜브 열교환기의 경우 열저항의 60~80%가 공기측 열교환 영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성능개선을 위한 주요 영향인자로 작용한다. 열교환기의 공기 측 전열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핀의 형상 변경 및 핀 측 전열면적 개선 등이 활용된다. 핀의 형상 변경 및 핀에 각도를 다르게 하여 열교환기의 전열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1~4) 열교환기 핀의 형상 변경을 통해, 열 경계층 발달을 억제하고 새로운 열 경계층 생성을 촉진시켜 전열성능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동시에, 열교환기에 핀을 조밀하게 설치하여 열교환기의 전열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열 경계층 생성이 촉진되면 운동량-열전달 상사에 따라 유동 경계층 생성 또한 촉진되어 압력손실량도 증가한다. 또한, 핀 간격을 조밀하게 설계하는 경우, 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저항이 증가하여 압력손실이 증가한다.

한편, 냉장고의 경우 낮은 온도로 인해 열교환기의 핀 표면에서 서리가 발생한다. 핀의 표면에서 발생한 서리로 인해 열교환기의 유로가 차단되어 성능 감소를 야기한다. 따라서, 냉장고용 핀-튜브 열교환기의 전열성능 개선과 압력손실 감소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하여, 새로운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다.

핀-튜브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튜브는 대부분 원형을 이용하고 있다. 공기가 원형 튜브를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후단부에서 유동 박리로 인한 후류(wake)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전열성능이 감소하고 압력손실이 증가한다. Tao et al.(5)의 연구에서 원형 튜브를 원형 튜브 직경과 동일한 타원형 튜브로 교체할 때 10% 압력 강하 증가와 함께 30%의 열전달 계수의 증가가 발생하였다. Gholami et al.(6)의 연구에서 타원형 튜브는 열교환기의 전열성능 개선과 함께 유동 박리의 지연을 통해 압력손실이 완화됨을 확인하였다. Min and Webb(7)은 열교환기의 공기측 열전달 및 압력손실 특성을 헤링본 물결 핀 형상을 통해 원형 튜브와 타원형 튜브의 종횡비의 효과를 수치해석으로 분석하였다. 3.0의 종횡비를 가진 타원형 튜브는 동일 직경의 원형 튜브보다 열전달 계수가 약 9% 낮았으나, 압력손실은 48.7% 감소했다. 하지만 타원형 튜브는 타원형 튜브보다 공기 측 열전달 계수가 약 2% 높게 나타났고, 압력손실 또한 6% 감소했다. Kim et al.(8) 또한, 동일한 물결 핀 형상에서 원형 튜브 열교환기와 타원형 튜브 열교환기의 공기 측 성능비교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원형 튜브 열교환기보다 타원형 튜브 열교환기를 적용한 경우에 압력강하 손실이 최대 21.1% 감소했다. Wu et al.(9)의 연구에서는 루버 핀 형상을 적용한 원형 튜브와 타원형 튜브의 전열성능 비교하였다. 타원형 튜브 열교환기는 원형 튜브 열교환기 보다 열전달률이 최대 4.9% 증가하였으며, 압력강하 손실이 최대 31.8% 감소했다.

선행 연구에서 진행한 원형 튜브 열교환기와 튜브의 형상을 변경한 열교환기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냉장고용 증발기 튜브 측의 형상 변경을 통해 열교환기 전열성능 개선 및 압력손실 감소를 조사하였다. 또한, 핀-튜브 열교환기 전열성능은 공기측 열저항이 지배적이다. 열교환기의 관 형상 변경 시, 전열관 후단의 후류영역의 축소로 압력손실 감소와 전열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동일한 수력직경의 원형튜브와 사각타원관에 대해 수치해석을 선행 수행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성능개선을 검증하였다.

2. 연구방법

2.1 수치해석 모델

2.1.1 형상 조건 및 경계조건

Fig. 1의 (a)는 냉장고용 증발기의 형상이다. 냉장고용 증발기는 착상에 의한 유로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핀 피치는 기류 방향의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핀 개수 또한 증가하는 불균등 배열이다. 증발기의 튜브는 2열 8단의 정렬배열이다. Fig. 1의 (b)와 (c)는 냉장고용 증발기의 튜브 형상이며, 각각 원형 튜브와 사각타원 튜브이다. 사각타원 튜브의 경우, 종횡비는 0.5이며, 원형 튜브와 단면적은 동일하다. 원형 튜브과 사각타원 튜브의 수력직경은 0.3% 차이이며, 이로 인해 증발기 핀의 총 전열면적은 동일하나, 튜브의 전열면적을 고려한 총 전열면적은 다르다. 그러나, 총 전열면적의 차이가 1% 미만으로 미소하여, 원형튜브 열교환기와 사각튜브 열교환기의 전열면적은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Table 1에 수치해석 모델의 주요 형상 치수를 표기하였다.

수치해석의 유동 도메인에서 입․출구 영역에 전단 거리를 확보하여, 유동 발달 및 후류의 안정화를 고려하였다. 또한, 수치해석의 계산량 감소를 위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형상을 수치적으로 처리하는 periodic 조건을 활용하였다. 경계조건의 입구는 velocity inlet이며, 출구조건은 pressure outlet이다. 입구 유속은 0.77-1.16 m/s이며, 이때의 Reynolds 수는 약 2000~5000이다. 튜브 내측 벽면은 냉매의 증발 온도에 해당하는 -26.0℃로 일정한 값을 설정하였다. 고체 - 유체 경계면은 온도와 열유속의 연속성을 동시에 고려해 에너지 방정식의 수치 해를 얻는 방법을 선택했다. 계산에 사용된 열교환기의 해석조건과 경계조건을 Table 2에 나타내었다.

Fig. 1 Geometry of heat exchanger: (a) evaporator; (b) cross section of round tube; (c) cross section of round rectangle tube.
../../Resources/sarek/KJACR.2022.34.10.482/fig1.png
Table 1 Specifications of finned-tube heat exchanger for evaporator

Parameter

Symbol

Value (mm)

Length of main region

$L$

240

Longitudinal pitch of tube

$P_{L}$

30

Transverse pitch of tube

$P_{T}$

25

Outer diameter of round tube

$D_{o}$

7.0

Height of round rectangle tube

a

8.5

Width of round rectangle tube

b

5.1

Thickness of round tube

0.7

Thickness of round rectangle tube

0.7

Thickness of fin

tfin

0.18

Height of fin

h

27

Width of fin

w

30

Fin pitch

H

1-2 rows: 20

3-4 rows: 10

5-6 rows: 7

7-8 rows: 5

Table 2 Boundary conditions of simulation

Fluid domain

Air-side

velocity condition [m/s]

0.77

0.87

0.97

1.06

1.16

Air-side outlet pressure [kPa]

101.325

Inlet temperature [℃]

5.0

Solid domain

Wall

Symmetry on bottom, left, right, side Adiabatic on the top side

Ref-side temperature [℃]

-26.0

2.1.2 지배 방정식 및 계산 격자

수치해석을 위해 3차원 비정상상태, 비압축성, 난류유동, 유체의 물성치는 일정하다고 가정하였으며, 열전달 현상을 구현하기 위해 conjugated heat transfer로 계산하였다. 또한, 벽면 근처에서 발생하는 난류현상을 비롯하여,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난류현상을 모사하기 위해 난류모델은 SST k-ω 모델을 적용하였다. 수치해석에 적용된 질량, 운동량, 에너지 보존 지배 방정식은 식(1)~(3)과 같다.

(1)
$\dfrac{\partial}{\partial x_{i}}(\rho u_{i})=0$
(2)
$\dfrac{∂}{∂ t_{s}}\left(ρ u_{i}u_{j}\right)=-\dfrac{∂P}{∂x}+\dfrac{∂}{∂ x_{j}}μ(\dfrac{∂ u_{i}}{∂ x_{j}}+\dfrac{∂ u_{j}}{∂ξ})-\left(ρ\overline{u_{i}u_{j}}\right)$
(3)
$\dfrac{∂}{∂x}\left(ρ c_{p}T u_{i}\right)=-\dfrac{∂}{∂ x_{i}}(-k\dfrac{∂T}{∂ x_{i}}+ρ c_{p}\overline{u_{i}^{'}T^{'}})$

수치해석의 경우, 유동 도메인에 생성된 계산 격자를 바탕으로 지배 방정식을 계산한다. 계산 격자의 해상도와 품질이 낮을 경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경계층 내부 속도구배, 후류 등의 복잡한 유동을 상세하게 모사하기 어렵다. 따라서, 복잡한 유동을 상당히 잘 모사한다고 보고된 다면체 격자(polyhedral cell)를 활용하였다. 또한, 벽면 근처 유동 경계층에서 급격하게 변화하는 물리량의 구배를 고려하기 위해, 벽면 근처에 조밀한 격자를 생성하였다. 격자 독립성 평가(grid independent test)결과, 5.4백만 개 이상의 계산 격자에서 격자 독립성을 만족하였다.

2.2 실험장치 및 실험방법

Fig. 2의 (a)는 핀-튜브 증발기의 성능 비교평가를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실험장치는 가정용 냉장고를 모사하기 위해 R600a를 사용하였으며, 압축기, 응축기, 오일 분리기, 필터 건조기, 팽창 장치 및 증발기 시험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증발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증발기 시험부는 팬, 히터와 칠러로 구성되어 온도와 유량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Fig. 2의 (b)는 실험에서 사용된 열교환기의 시료이며, 수치해석에서 사용된 시료 정보와 동일하다. 증발기의 자세한 제원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공기 측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층류유량계를 이용하였으며 냉매 측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질량유량계를 사용하였다. 온도 측정은 Omega의 T-type 열전대, 압력 측정은 Rosemount의 절대압력계와 차압계를 사용하였다. 계측기의 불확실도는 Table 3에 나타내었다. 외기 온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험장치는 2 cm 두께의 단열재로 단열하였다. 냉장고용 증발기의 성능 평가를 고려하여 25℃로 유지되는 항온챔버 내부에 실험장치를 설치하였다.

열교환기를 평가하기 위한 과정에서, 공기 중 수분은 증발기 표면에서 착상될 수 있다. 서리 착상은 열교환기 성능에 영향을 미치며 정확한 해석이 어렵다. 본 실험에서는 서리가 없는 조건에서 열교환기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공기를 폐루프로 순환시키며 칠러를 통과시켜서 공기 중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과정을 수행했다. 제습과정은 증발기 표면에서 서리가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5회 반복하였다. 제습과정이 완료된 후, 실험장치가 정상상태에 도달한 뒤, 10분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한편, 제습과정에서 온도가 낮아진 공기는 히터로 가열함으로써 공급온도를 조절하였다.

원형 튜브와 사각타원 튜브 증발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 측 실험조건은 유량 0.56 g/s, 온도 -26.5℃, 압력 50.1 kPa로 제어되었다. 또한, 증발기로 공급되는 공기 측 실험조건은 유량 0.5 ㎥/min, 온도 5.0℃, 대기압 조건으로 유지하였다.

Fig. 2 Experimental apparatus: (a) schematic of apparatus, (b) evaporator (round tube type).
../../Resources/sarek/KJACR.2022.34.10.482/fig2.png
Table 3 Uncertainty of instrument

Measured parameter

Uncertainty

Pressure, Air side

±1.6 pa

Pressure, Refrigerant side

±1.4 kPa

Temperature

±0.3℃

Refrigerant mass flow rate

±0.5% of reading

Air volume flow rate

±0.1% of reading

3. 결과 및 토론

3.1 수치해석 결과

Fig. 3의 (a)는 원형 튜브, (b)는 사각타원 튜브 증발기 단면의 속도장을 나타낸다. Fig. 3에서 볼 수 있듯이 원형 튜브 대비 사각타원 튜브의 후류영역이 축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수치해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무차원수로 비교하였다.

평균 대류 열전달계수는 식(4)를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4)
$\overline{h}=\dfrac{Q}{A_{total}× ∆ T_{LMTD}}$

열교환기 전열량은 공기 측 입․출구 온도차를 사용하여 식(5)와 같이 계산된다.

(5)
$Q=\dot{m}C_{p}\left(T_{"\in "}-T_{out}\right)$

대수평균 온도차는 증발기의 입․출구 온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6)
$$ \triangle T_{L M T D}=\frac{\left(T_{\text {ref,out }}-T_{\text {air,in }}\right)-\left(T_{\text {ref,in }}-T_{\text {air,out }}\right)}{\ln \left[\left(T_{\text {ref,out }}-T_{\text {air }, \text { in }}\right) /\left(T_{\text {ref,in }}-T_{\text {air,out }}\right)\right]} $$

열교환기의 성능분석을 위해 구한 평균 대류열전달계수를 활용하여 Nusselt 수를 정의한다. 압력손실과 전열성능은 아래 식으로 정의되는 friction-factor와 Colburn j-factor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7)
$ f=\dfrac{∆P}{(ρ×\dfrac{V_{\max}^{2}}{2})}\dfrac{D_{h}}{4L}$
(8)
$j=\dfrac{N}{R e_{x}Pr}× Pr^{\dfrac{2}{3}}$ where, $N =\dfrac{\overline{h}D_{h}}{k}$ , $Re_{D_{h}}=\dfrac{ρ v_{\in}D_{h}}{μ}$ , $Pr =\dfrac{ν}{α}$

원형 튜브와 사각타원 튜브 형상 별, 입구 유속에 따른 f-factor와 j-factor를 Fig. 4에 나타내었다. Reynolds 수가 증가할수록 f-factor와 j-factor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원형 튜브를 사각타원 튜브로 변경하였을 때, f-factor는 최소 9.8%, 최대 17.7% 감소하였으며, j-factor는 최소 1.6%, 최대 3.7% 증가하였다.

열교환기 성능에서 전열성능과 압력손실 모두 중요하다. 따라서, 전열성능과 압력손실 개선율을 동시에 비교할 수 있는 goodness factor를 활용한다. Area goodness factor는 동일한 전열면적에서 압력강하 대비 전열성능을 비교하는 지표이며, Volume goodness factor는 단위 전열면적당 소요되는 소요동력 대비 열전달 용량을 의미한다. Area goodness factor 와 volume goodness factor는 각각 식(9)와 식(10)으로 표현된다.

(9)
$\dfrac{j}{f}=\dfrac{1}{A_{f}^{2}}(\dfrac{Pr^{\dfrac{2}{3}}}{2ρ}\dfrac{NTU∙ m^{2}}{∆P})$
(10)
$E=\dfrac{P}{A}=\dfrac{μ^{3}}{2 ρ^{2}}∙\dfrac{1}{D_{h}^{3}}∙f∙R e^{3},\: h=\dfrac{C_{p}μ}{Pr^{\dfrac{2}{3}}}∙\dfrac{1}{D_{h}}∙j∙Re$

해석 조건에 따른 area goodness factor 와 volume goodness factor를 Fig. 5 (a)와 (b)에 나타내었다. Area goodness factor는 최소 15%, 최대 23.6% 증가하였으며, volume goodness factor는 최소 7%, 최대 8.5% 증가하였다. 따라서 냉장고 증발기를 사각타원 튜브로 변경 시, 원형 튜브 열교환기 대비 성능개선의 효과가 나타났다.

Fig. 3 Velocity distributions: (a) round tube, (b) round rectangle tube.
../../Resources/sarek/KJACR.2022.34.10.482/fig3.png
Fig. 4 F-factor and j-factor for round-tube evaporator and round-rectangle-tube evaporator.
../../Resources/sarek/KJACR.2022.34.10.482/fig4.png
Fig. 5 Area and volume goodness factors for round-tube evaporator and round-rectangle-tube evaporator.
../../Resources/sarek/KJACR.2022.34.10.482/fig5.png

3.2 실험결과

수치해석 결과, 공기 측 입구 유속 상승에 따라 f-factor와 j-factor 모두 유사한 개선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검증 실험조건은 수치해석 결과의 경향을 고려한 조건으로 수치해석 조건의 입구 유속 중간 값인 0.97 m/s을 기준으로 약 1 m/s의 입구 유속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공기 측 입구 온도와 압력 조건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Fig. 6의 (a)는 원형 튜브 열교환기와 사각타원 튜브 열교환기에 대한 공기 측 압력강하 비교 결과이다. 원형 핀-튜브 열교환기의 경우에는 약 310 Pa, 사각타원 핀-튜브 열교환기의 경우 약 270 pa으로 12% 압력손실이 감소되었다. Fig. 6의 (b)는 원형 튜브 열교환기와 사각타원 튜브 열교환기에 대한 공기 측 전열성능과 UA의 비교 결과이다. 여기에서, UA는 총괄 열전달계수에 전열면적을 곱한 값으로 식(11)을 통해 구할 수 있다.

(11)
$$ U A=\frac{\dot{Q}}{\Delta T_{l m}}=\frac{\dot{Q} \ln \left[\left(T_{r e f, o u t}-T_{a i r, i n}\right) /\left(T_{r e f, i n}-T_{a i r, \text { out }}\right)\right]}{\left(T_{r e f, \text { out }}-T_{a i r, i n}\right)-\left(T_{r e f, i n}-T_{a i r, \text { out }}\right)} $$

실험에서 측정된 열전달률은 수치해석에서 예측된 값과 5.9%의 차이를 보였다. 실험 결과, 원형 튜브 열교환기보다 사각타원 튜브 열교환기의 열전달률이 2% 감소하였다. 그러나, 총괄 열전달계수로 비교하였을 때, 원형 튜브보다 사각타원 튜브 열교환기가 5.3% 증가하였다. 이는 사각타원 튜브 하류에 생성되는 후류 영역이 감소하여 총괄열전달계수가 증사한 것이다.

전열성능과 압력손실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해, 열교환기의 전열량과 소요동력의 비로 나타내었으며, 식(12)와 같다.

(12)
$\dfrac{Heat\,transfer\,rate}{Pumping\,power}=\dfrac{Q}{V∙∆P}$

전열량과 소요동력의 비로 분석한 결과, 원형 튜브 대비 사각타원 튜브 열교환기는 9% 향상되었다. 이는 앞서 분석한 수치해석과 일치하는 경향이다.

Fig. 6 Experimental results: (a) pressure drop, (b) heat transfer performance and UA
../../Resources/sarek/KJACR.2022.34.10.482/fig6.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냉장고용 증발기 튜브의 형상이 열교환기 성능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과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수치해석과 실험 모두 열교환기의 성능이 개선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해석결과 사각타원 튜브로 변경한 경우, friction-factor는 9.8%에서 최대 17.7%까지 감소하였으며, j-factor는 1.6%에서 최대 3.7% 증가하였다.

(2) Area goodness factor 비교 결과, 사각타원 튜브를 적용할 경우, 성능은 최대 23.6% 개선되었다. 또한, Volume goodness factor 비교 결과, 사각타원 튜브를 적용할 경우, 성능은 최대 8.5% 개선되었다.

(3) 실험결과 사각타원 튜브를 이용한 경우, 압력손실이 12% 감소하였으며, UA 비교 결과, 사각타원 튜브로 변경하였을 때, 5.3% 개선되었다. 또한, 에너지 비율로 비교한 결과, 사각타원 튜브 이용한 경우가 약 9%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수치해석 및 실험결과 모두, 사각타원 튜브 열교환기의 성능이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냉장고 증발기의 튜브를 사각타원 튜브로 변경할 경우 냉각성능 향상을 통한 에너지 효율 개선이 기대된다.

References

1 
Kiatpachai P., Keawkamrop T., Asirvatham L. G., Mesgarpour M., Dalkilic A. S., Ahn H. S., Mahian O., Wongwises S., 2022,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air-side performance of a novel louver spiral fin-and tube heat exchanger, Alexandria Engineering Journal, Vol. 61, pp. 9811-9818DOI
2 
Chang Y.-J., Chang W.-J., Le M.-C., Wang C.-C., 2006, An amendment of the generalized friction correlation for louver fin geometry,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49, pp. 4250-4253DOI
3 
Pérez A. M., Altamirano C. F., Perez R. B., 2022, Parametric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geometric variables of vortex generators on compact louver fin heat exchagers, Thermal Science and Engineering Progress, Vol. 27, pp. p 101151DOI
4 
Promvonge P., Skullong S., 2022, Thermohydraulic performance and entropy generation in heat exchanger tube with louvered winglet tape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mal Sciences, Vol. 181, pp. 107733DOI
5 
Xie X., He C., Xu T., Zhang B., Pan M., Chen Q., 2017, Deciphering the thermal and hydraulic performances of closed wet cooling towers with plain, oval and longitudinal fin tube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120, pp. 203-218DOI
6 
Gholami A., Mohammed H. A., Wahid M. A., Khiadani M., 2019, Parametric design exploration of fin-and-oval tube compact heat exchangers performance with a new type of corrugated fin pattern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mal Sciences, Vol. 144, pp. 173-190DOI
7 
Min J., Webb R. L., 2002, Long-term wetting and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hot water treated aluminum and copper fin stocks,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25, pp. 1054-1061DOI
8 
Kim N.-., Kim C.-H., Han H.-S., 2021, An airside performance of the wavy fin-and-tube heat exchangers having oval tube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190, pp. 116807DOI
9 
Han H., He Y.-L., Li Y.-S., Wang Y., Wu M., 2013, A numerical study on compact enhanced fin-and-tube heat exchangers with oval and circular tube configu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65, pp. 686-695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