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형
(Do Hyung Lee)
1
원종연
(Jong Yeon Won)
2
양동헌
(Dong Heon Yang)
3
최윤철
(Yun Chull Choi)
4†
-
(주)네드 차세대 에너지 디자인 연구소 팀장
(Manager, Next Generation Energy Design Lab, NED, Seoul, Korea)
-
(주)네드 대표이사
(CEO, NED, Seoul, Korea)
-
한국토지주택공사 공공주택설비처 차장
(Manager, Public Housing Facilities Office/Facilities Planning Dep., Jinju-si, Korea)
-
한국토지주택공사 공공주택설비처 부장
(General Manager, Public Housing Facilities Office/Facilities Planning Dep., Jinju-si,
Korea)
Copyright © 2016,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s of Korea
키워드
탄소배출, 에너지비용, 에너지자립률, 공동주택, 제로에너지건축물
Key words
Carbon emission, Energy cost, Energy independence rate, Multi-unit dwelling, Zero energy building
기호설명
$IC$:
Influence Coefficient, 영향계수
$\Delta OP$:
출력값의 변화량
$OP_{BC}$:
Base case의 출력값
$CE$:
Cost Effectiveness, 비용효율
$\cos t_{AC}$:
Additional Construction Cost, 추가공사비
$\cos t_{M}$:
Maintenance Cost, 유지보수비
$\cos t_{ES}$:
Energy Saving Cost, 에너지절감비용
$ES$:
Energy Saving, 에너지절감량
1. 서 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국제사회의 기후위기 대응 강화 기조에 맞추어 정부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수립(2015.06)하였으며, 이후 국내 감축규모
확대, 감축목표 표기법 변경 등 반영하여 세 차례(2018년, 2019년, 2021년) 수정안을 마련하였다. 특히 2021년 수정안은 2018년 수정안의
탄소배출량 대비 40% 감축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의 약 7~8%를 차지하는 건물부문의 경우,
2018년 탄소배출량 대비 2030년에는 32.8% 감축해야 한다.(1) 탄소배출량 저감을 위해 정부는 공공건축물의 2025년 ZEB 등급 상향, 공공부문 공동주택의 ZEB 조기도입(2023년), 민간부문 공동주택의 ZEB
조기도입 (2024년) 등을 반영한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조정․발표(2021.12)하였다.(2)
온실가스배출 감축을 위해서는 건축물 에너지사용량 절감,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에너지사용량 측면에서 보면 전체 건축물 중 공동주택이
약 43.2%로 가장 큰 에너지사용량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공동주택의 에너지절감에 대한 노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공동주택 에너지사용량을 에너지원별로
구분하면 전기 33.3%, 도시가스 51.8%, 지역난방 15.0%이며, 전체 중 열에너지가 66.8%를 차지하고 있어(3) 열에너지 절감 노력이 중요하다. 공동주택 열에너지의 절감을 위해서는 패시브, 액티브의 성능향상이 이루어져야 하며,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에너지소비량
일부를 감당해야 하지만, 단열성능 등 패시브 기술요소는 건물에 적용하는 단열재 두께가 증가해도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에너지절감이 미미하고, 공동주택은
건축면적 대비 높은 용적률로 구성되어 있어 신재생에너지 중 가장 효율적인 태양광 발전시스템(4)의 설치 공간의 제약사항이 크기 때문에 고등급의 ZEB 달성이 난해하다. 고등급의 ZEB 구현을 위해서는 액티브 기술요소에서 적정용량의 설비계획,
지역난방 배관열손실을 고려한 기계실 위치 선정 등의 최적화 및 펌프동력, 효율 개선 등의 고도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는 LH에서 공급하는 500세대 규모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공급 형식(임대주택, 분양주택)과 난방 방식(개별난방, 지역난방)에
따라 기계설비 요소의 민감도 분석을 통해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도출된 기술요소 우선순위에 따라 ZEB 등급별로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ZEB 등급별 최적
설정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립한 ZEB 등급별 모델을 활용하여 에너지비용 절감 및 탄소배출량 저감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1.2 연구방법 및 범위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평가 프로그램인 ECO2를 활용하여 LH에서 공급하는 500세대 규모의 임대주택, 분양주택을 표준모델로
설정하고, 난방방식에 따라 적용되는 기계설비 요소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계설비 요소별로 도출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ZEB 등급별
기계설비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년도별 LH 공동주택 공급계획에 따라 에너지비용 절감 및 탄소배출량 저감 효과를 도출하였다.
2. 선행연구 고찰
Munkhbat et al.(5)은 임대주택과 분양주택의 표준모델을 설정하고, ZEB 5등급 달성을 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설치용량을 산출하였다. 표준모델 설정을 위해 LH 공동주택
2019년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현황 50건을 대상으로 임대주택과 분양주택을 유형별(세대 규모, 층수, 세대 조합, 에너지성능, 적용 건축성능,
설비성능)로 검토하였다. 설정한 표준모델로 임대주택은 26 ㎡, 37 ㎡, 46 ㎡ 평면형태의 조합, 분양주택은 46 ㎡, 55 ㎡, 84 ㎡ 평면형태의
조합으로 층수, 세대조합 및 세대수가 가장 유사한 단지를 선정하여 단지배치를 계획하였다. 구현된 임대주택과 분양주택 표준모델의 에너지성능과 유사단지의
에너지성능 오차율 5% 이내로 분석되어 표준모델 수립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한 바 있다. 태양광 발전시스템 배치를 통해 ZEB 5등급 달성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임대주택과 분양주택 각각 단위면적당 설치해야 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용량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에너지자립률 20% 수준인 ZEB 5등급
달성만 검토하였고, 다양한 패시브, 액티브, 신재생에너지 기술요소 적용에 대한 검토와 ZEB 4등급 이상은 고려하지 않았다.
Spitler et al.(6)은 건물 시뮬레이션에 활용하기 위한 민감도 분석으로 영향계수(Influence Coefficient)로 지칭하여 방법론을 제시한 바 있다. Lam
et al.(7)은 업무시설을 대상으로 에너지성능 분석을 위해 민감도 분석 방법론인 영향계수를 활용하여 연간 에너지소비량 및 Peak load 측면에서 주요 인자들을
검토하였다. 연간 건물 에너지소비량 및 Peak load는 내부 부하, 창호, 온도 설정값 및 HVAC 효율에 따라 민감도가 큰 것으로 분석하였고,
각각의 민감도 계수를 제시하였다. 민감도 분석 방법론인 영향계수는 식(1)로 나타낼 수 있다.
LH에서 수립한 ‘제로에너지 주택 기술기준 가이드라인(8)은 건축, 기계, 신재생 요소기술에 대해 Base line 수준부터 일정 수준으로 단계별 성능 향상에 따른 민감도 및 비용효율을 검토하여, ZEB
등급별 적용해야 하는 기술 수준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재 구현가능한 기술 수준 위주로 분석하였으며, ZEB 2등급과 ZEB 1등급은 등급
달성을 위해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효율 증가 추이만을 고려하고 기계설비에 대한 기술개발은 고려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공동주택 표준모델과 민감도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설비시스템의 세부인자들의 영향정도를 분석하였다. 도출된 기술요소별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ZEB 등급별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LH ZEB 공동주택 보급계획에 따른 탄소저감과 에너지절감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3. 공동주택 표준모델 기계설비 민감도 분석
3.1 민감도 분석 모델 설정
Table 1과 같이 기계설비 요소의 조합에 따라 18가지의 Base line 모델을 수립하였고, 민감도 분석을 위해 Table 2와 같이 선행연구에서 ZEB 등급별로 설정한 단열성능, 기밀성능 및 조명밀도 수준(8)과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선행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은 기계설비 요소는 미래발전 가능성까지 고려하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에너지소비량 절감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계설비 요소 민감도 분석 설정조건은 Table 3과 같다.
Table 1 Combination of standard model for sensitivity analysis of mechanical facilities
Type
|
Combination model
|
Rental aprtment and lot-solid apartment
|
Individual heating
|
Individual heating + Fuel cell(DHW)
|
Individual heating(DHW) + Geothermal(Heating(Closed-loop))
|
Individual heating(DHW) + Geothermal(Heating(Open-loop))
|
District heating
|
District heating + Fuel cell(DHW)
|
District heating(DHW) + Geothermal(Heating(Closed-loop))
|
District heating(DHW) + Geothermal(Heating(Open-loop))
|
District heating + Solar thermal system(DHW)
|
Table 2 Architectural and electrical technology elements set by ZEB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
Wall indirectly facing the outside air
|
Window indirectly facing the outside air
|
Infiltration rate
|
Light power density
|
Rental apartment
(Individual heating)
|
ZEB 5
|
0.24 W/㎡K
|
1.0 W/㎡K
|
3.0 ACH
|
5.0 W/㎡
|
ZEB 4
|
0.17 W/㎡K
|
0.8 W/㎡K
|
3.0 ACH
|
5.0 W/㎡
|
ZEB 3
|
0.17 W/㎡K
|
0.8 W/㎡K
|
1.5 ACH
|
5.0 W/㎡
|
ZEB 2
|
0.17 W/㎡K
|
0.8 W/㎡K
|
1.0 ACH
|
4.5 W/㎡
|
ZEB 1
|
0.17 W/㎡K
|
0.8 W/㎡K
|
0.7 ACH
|
4.5 W/㎡
|
Rental apartment
(District heating)
|
ZEB 5
|
0.24 W/㎡K
|
1.0 W/㎡K
|
3.0 ACH
|
5.0 W/㎡
|
ZEB 4
|
0.17 W/㎡K
|
0.8 W/㎡K
|
3.0 ACH
|
5.0 W/㎡
|
ZEB 3
|
0.17 W/㎡K
|
0.8 W/㎡K
|
3.0 ACH
|
5.0 W/㎡
|
ZEB 2
|
0.17 W/㎡K
|
0.8 W/㎡K
|
1.0 ACH
|
4.5 W/㎡
|
ZEB 1
|
0.17 W/㎡K
|
0.8 W/㎡K
|
0.7 ACH
|
4.5 W/㎡
|
Lot-solid apartment
(Individual heating)
|
ZEB 5
|
0.24 W/㎡K
|
1.0 W/㎡K
|
3.0 ACH
|
5.0 W/㎡
|
ZEB 4
|
0.17 W/㎡K
|
0.8 W/㎡K
|
3.0 ACH
|
5.0 W/㎡
|
ZEB 3
|
0.17 W/㎡K
|
0.8 W/㎡K
|
1.5 ACH
|
5.0 W/㎡
|
ZEB 2
|
0.17 W/㎡K
|
0.8 W/㎡K
|
1.0 ACH
|
4.5 W/㎡
|
ZEB 1
|
0.17 W/㎡K
|
0.8 W/㎡K
|
0.7 ACH
|
4.5 W/㎡
|
Lot-solid apartment
(District heating)
|
ZEB 5
|
0.24 W/㎡K
|
1.0 W/㎡K
|
3.0 ACH
|
5.0 W/㎡
|
ZEB 4
|
0.17 W/㎡K
|
0.8 W/㎡K
|
3.0 ACH
|
5.0 W/㎡
|
ZEB 3
|
0.17 W/㎡K
|
0.8 W/㎡K
|
3.0 ACH
|
5.0 W/㎡
|
ZEB 2
|
0.17 W/㎡K
|
0.8 W/㎡K
|
1.0 ACH
|
4.5 W/㎡
|
ZEB 1
|
0.17 W/㎡K
|
0.8 W/㎡K
|
0.7 ACH
|
4.5 W/㎡
|
Table 3 Setting conditions for sensitivity analysis by facility element
Classification
|
Sensitivity analysis setting conditions
|
Boiler
|
Efficiency
|
Enhance by +2%
|
Indoor temperature control
|
Change control method (on/off→PI control)
|
Applied structure
|
Change applied structure (Wet structure→Dry structure)
|
District heating
|
Water supply/return temperature
|
Decreased by 3.3℃
|
Indoor temperature control
|
Change control method (on/off→PI control)
|
Applied structure
|
Wet structure, Dry structure
|
Piping thermal conductivity
|
Increased by 10%
|
Piping length
|
Decreased by 16.7%
|
Pump power
|
Decreased by 10%
|
Energy recovery ventilation
system
|
Heating recovery rate
|
Enhance by +1%
|
Fan power
|
Increased by 10%
|
Geothermal system
|
COP
|
Increased by 10%
|
Water return temperature
|
5℃ reduction
|
Primary pump power
|
Decreased by 10%
|
Secondary pump power
|
Decreased by 10%
|
Solar thermal system
|
Solar collector type
|
Change type (flat type→vaccum tube type)
|
Solar pump rated power
|
Decreased by 10%
|
Fuel cell
|
Heat production efficiency
|
Enhance by +1%
|
Power generation efficiency
|
Enhance by +1%
|
3.2 민감도 분석 결과
기계설비 요소별 민감도 분석에 따라 1차 에너지소비량 절감율 결과는 Fig. 1 ~ Fig. 3과 같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동주택 표준모델별 기계설비 적용 우선순위를 도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개별난방 적용단지는 보일러 효율, 지역난방 적용단지는 난방 및 급탕 배관구간길이가 가장 민감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재생에너지가 추가
적용된 모델에서 지열은 COP가 가장 민감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양열의 경우 임대 주택은 난방 및 급탕 배관구간길이의 감소가 민감도 1순위로
나타났고, 분양주택은 집열기 방식 변경(평판형→진공관형)이 민감도 1순위로 분석되었다. 연료전지가 적용된 경우는 연료전지 발전효율이 민감도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1 Sensitivity analysis results(Boiler(left), District heating(right)).
Fig. 2 Sensitivity analysis results(Energy recovery ventilation system(left), Geothermal system(right)).
Fig. 3 Sensitivity analysis results(Solar thermal system(left), Fuel cell(right))
Table 4 Results of sensitivity analysis by facility element
Model
|
Housing Type
|
1$^{st}$
|
2$^{nd}$
|
3$^{rd}$
|
4$^{th}$
|
5$^{th}$
|
Individual heating
|
Rental apartment
|
Boiler efficiency
|
ERV fan power
|
Boiler PI control
|
ERV heating recovery rate
|
-
|
Lot-solid apartment
|
District heating
|
Rental apartment
|
District heating pipe length
|
ERV fan power
|
Pipe insulation performance
|
District heating
PI control
|
District heating(Heating) water supply & recovery temperature
/ ERV heating recovery rate
|
Lot-solid apartment
|
District heating
PI control
|
Pipe insulation performance
|
Individual heating
+ Geothermal
|
Rental apartment
|
Geothermal COP
|
Geothermal secondary pump power
|
ERV fan power
|
Boiler efficiency
|
ERV heating recovery rate
|
Lot-solid apartment
|
Geothermal first pump power
|
District heating
+ Geothermal
|
Rental apartment
|
Geothermal COP
|
Geothermal secondary pump power
|
ERV fan power
|
District heating pipe length
|
ERV heating recovery rate
|
Lot-solid apartment
|
Geothermal first pump power
|
District heating
+ Solar thermal system
|
Rental apartment
|
District heating pipe length
|
Collector type
(flat type → vacuum tube type)
|
ERV fan power
|
Pipe insulation performance
|
District heating
PI control
|
Lot-solid apartment
|
Collector type
(flat type → vacuum tube type)
|
District heating pipe length
|
District heating
PI control
|
Pipe insulation performance
|
District heating
+ Fuel cell
|
Rental apartment
|
Fuel cell power generation efficiency
|
District heating pipe length
|
ERV fan power
|
Pipe insulation performance
|
District heating
PI control
|
Lot-solid apartment
|
ERV fan power
|
District heating pipe length
|
District heating
PI control
|
Pipe insulation performance
|
4. 공동주택 ZEB 등급별 기술요소 적용 효과
4.1 공동주택 ZEB 등급별 기계설비 기술요소 설정
LH 공동주택의 ZEB 등급별로 적용한 기계설비 기술요소는 Fig. 4와 같다. 이 때, 선행연구(8)는 ZEB 등급별 신재생에너지 적용 시, 옥상 적용 태양광발전시스템, 입면 적용 태양광 발전시스템, 지열 또는 연료전지 순으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패시브 기술요소 및 조명밀도는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입면 적용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단지별 음영 조건도 상이하고, 유지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후순위로 고려하였다. 또한 도출된 기계설비 민감도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ZEB 등급별로 적용하였다. 개별난방 적용단지는 임대주택과 분양주택 모두 옥상에
적용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만으로도 ZEB 5등급 달성이 가능하다. ZEB 4등급부터는 임대주택에서 난방은 지열을 적용하고, 분양주택은 임대주택 대비
옥상에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적용 가능한 면적이 협소하여 ZEB 4등급 달성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난방, 급탕 모두 지열을 적용해야 한다.
ZEB 2등급은 기존 개별보일러 방식에서 중앙식인 캐스케이드를 도입하여 급탕에 연료전지를 추가 적용하고 ZEB 1등급은 지열을 통한 난방을 추가 계획해야
달성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난방 적용단지의 경우, 임대주택은 ZEB 4등급까지 옥상에 적용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만으로 달성이 가능하고, ZEB
3등급부터는 급탕에 연료전지를 추가 계획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양주택은 임대주택 대비 옥상에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적용 가능한 면적이 협소하여
ZEB 4등급부터는 급탕에 연료전지를 추가 계획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4 Application of optimization of mechanical equipment by ZEB grade in multi-unit dwelling.
4.2 공동주택 ZEB 등급별 기계설비 에너지자립률 기여도 분석
Fig. 4에서 설정한 공동주택 ZEB 등급에 따라 기계설비 기술요소가 에너지자립률에 기여하는 정도는 Fig. 5와 같다. ZEB 5등급 및 일부 4등급 모델은 현재 구현 가능한 기계설비 요소들의 적용과 옥상 적용 태양광 발전시스템만으로도 달성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ZEB 고등급으로 갈수록 패시브 기술요소의 한계성으로 인해 1차 에너지소비량 절감과 에너지자립률 확보를 위해 기계설비 기술요소의 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지역난방 적용단지 분양주택은 기술개발의 한계성으로 ZEB 2등급에서 ZEB 1등급으로 상향 시, 입면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5 Effect of energy independence rate on mechanical facilities by ZEB grade in multi-unit dwelling.
4.3 연도별 공동주택 공급에 따른 에너지비용 절감 및 탄소저감 효과
LH의 ZEB 공동주택 보급 계획은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활용하였다.(9) 선행연구는 공동주택의 ZEB 의무화 조기도입이 반영되지 않은 2025년부터 ZEB 5등급 공동주택을 보급하는 것으로 수립하였다. 본 연구는 2021년
12월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국토교통 2050 탄소중립 로드맵(2)에 따라 공공부문 공동주택이 2023년으로 ZEB 조기도입 시행됨을 반영하여 Table 5와 같이 공동주택 보급계획을 설정하였다.
LH 공동주택의 ZEB 등급별 1차 에너지소요량 및 탄소배출량 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현 법적수준인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의 건설기준’에 따라 설계된 모델에서 개별난방 단지 임대주택은 1차 에너지소요량 195.5 kWh/㎡․yr,
탄소배출량 35.1 kgCO$_{2}$/㎡․yr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난방 단지 분양주택은 1차 에너지소요량 114.5 kWh/㎡․yr,
탄소배출량 22.9 kgCO$_{2}$/㎡․yr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배출량은 현 법적수준 대비 ZEB 5등급 구현 시, 34.1~36.8%,
ZEB 4등급 구현 시, 50.7~63.8%, ZEB 3등급 구현 시, 64.7~78.9%, ZEB 2등급 구현 시, 81.2~86.6%, ZEB
1등급 구현 시, 92.6~96.9%만큼 저감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위면적당 에너지비용 산정을 위해 Table 7과 같이 서울도시가스주식회사의 요금표(2021년 12월 01일 기준),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주택용 동절기 열요금표(2020년 07월 01일 기준),
한국전력공사의 주택용 전력(저압) 기준 요금표(2021년 01월 01일 기준)를 적용하였다.
Table 5 A plan for the supply of zero energy multi-unit dwelling by year
Year
|
Supply rate
|
Legal level
|
ZEB 5
|
ZEB 3
|
ZEB 2
|
ZEB 1
|
2021
|
100%
|
|
|
|
|
2022
|
65%
|
35%
|
|
|
|
2023
|
|
100%
|
|
|
|
2024
|
|
100%
|
|
|
|
2025
|
|
100%
|
|
|
|
2026
|
|
100%
|
|
|
|
2027
|
|
65%
|
35%
|
|
|
2028
|
|
45%
|
55%
|
|
|
2029
|
|
15%
|
85%
|
|
|
2030
|
|
|
100%
|
|
|
2031
|
|
|
100%
|
|
|
2032
|
|
|
65%
|
35%
|
|
2033
|
|
|
45%
|
55%
|
|
2034
|
|
|
15%
|
85%
|
|
2035
|
|
|
|
100%
|
|
2036
|
|
|
|
100%
|
|
2037
|
|
|
|
65%
|
35%
|
2038
|
|
|
|
45%
|
55%
|
2039
|
|
|
|
15%
|
85%
|
2040
|
|
|
|
|
100%
|
․ ․ ․
|
|
|
|
|
․ ․ ․
|
2050
|
|
|
|
|
100%
|
Table 6 Results of primary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emission by ZEB grade in multi-unit dwelling
Classification
|
Primary energy consumption [kWh/㎡․yr]
|
Carbon emissions [kgCO$_{2}$/㎡․yr]
|
Rental apartment
(Individual heating)
|
Legal level
|
195.5
|
35.1
|
ZEB 5
|
122.4
|
22.3
|
ZEB 4
|
71.7
|
12.7
|
ZEB 3
|
43.7
|
7.4
|
ZEB 2
|
19.7
|
4.7
|
ZEB 1
|
0
|
1.1
|
Rental apartment
(District heating)
|
Legal level
|
126.3
|
25.5
|
ZEB 5
|
77.2
|
16.2
|
ZEB 4
|
55.8
|
12.4
|
ZEB 3
|
38.2
|
9.0
|
ZEB 2
|
15.4
|
4.4
|
ZEB 1
|
0
|
1.7
|
Lot-solid apartment
(Individual heating)
|
Legal level
|
169.3
|
30.4
|
ZEB 5
|
105.3
|
19.2
|
ZEB 4
|
75.4
|
12.9
|
ZEB 3
|
43.6
|
7.4
|
ZEB 2
|
18.0
|
4.4
|
ZEB 1
|
0
|
1.0
|
Lot-solid apartment
(District heating)
|
Legal level
|
114.5
|
22.9
|
ZEB 5
|
72.2
|
15.1
|
ZEB 4
|
47.8
|
11.3
|
ZEB 3
|
33.2
|
7.6
|
ZEB 2
|
14.8
|
4.3
|
ZEB 1
|
0
|
1.7
|
Table 7 Reference energy fee table for energy cost estimation
|
₩/MJ
|
₩/kWh
|
Note
|
City gas (Residential heating)
|
14.2243
|
51.17
|
Seoul residential standard
|
District heating (Winter hot water for residential use)
|
67.13
|
78.07
|
Based on the differential fee for the winter season
|
Residential electric power (Low voltage)
|
-
|
88.3
|
Average of summer(July-August) and other fee(January-June, September-December)
|
LH 공동주택 공급에 따른 탄소배출량 및 에너지비용 산정을 위해 연도별 공급 호수는 임대주택 5.6만호, 분양주택 2.6만호, 평균 공급면적은 임대주택
36 ㎡, 분양주택 65 ㎡로 설정하였고(9),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인증 취득 50개 단지를 대상으로 지역난방 단지와 개별난방 단지를 분석한 결과인 지역난방 64%, 개별난방 36% 비율을 적용하여
Fig. 6과 같이 5가지 요소를 고려하였다.
ZEB 로드맵 이행에 따른 탄소배출량 저감 및 에너지비용 절감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8, Fig. 7과 같다. 2021년 공급되는 LH 공동주택 대비 ZEB 5등급 수준의 공동주택이 100% 보급되는 시점인 2023년에는 탄소배출량 36.0% 저감,
에너지비용 29.7% 절감, ZEB 3등급 수준의 공동주택이 100% 보급되는 시점인 2030년에는 탄소배출량 70.8% 저감, 에너지비용 64.1%
절감, ZEB 2등급 수준의 공동주택이 100% 보급되는 시점인 2035년에는 탄소배출량 83.8% 저감, 에너지비용 70.8% 절감, ZEB 1등급
수준의 공동주택이 100% 보급되는 시점인 2040년에는 탄소배출량 94.6% 저감, 에너지비용 79.7%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6 Factors considered for the calculation of energy cost and carbon emissions by year.
Fig. 7 Analysis of carbon emissions and energy cost reduction by ZEB roadmap implementation.
Table 8 Analysis of carbon emissions and energy cost reduction by ZEB roadmap implementation
Year
|
Carbon emission [tCO$_{2}$eq/yr]
|
Percentage reduction compared to 2021
|
Energy cost
[A hundred million won/yr]
|
Percentage savings compared to 2021
|
2021
|
101,639
|
-
|
315
|
10.4%
|
2022
|
88,850
|
12.6%
|
282
|
29.7%
|
2023
|
65,100
|
36.0%
|
221
|
29.7%
|
2024
|
65,100
|
36.0%
|
221
|
29.7%
|
2025
|
65,100
|
36.0%
|
221
|
29.7%
|
2026
|
65,100
|
36.0%
|
221
|
29.7%
|
2027
|
52,712
|
48.1%
|
183
|
41.8%
|
2028
|
45,633
|
55.1%
|
162
|
48.6%
|
2029
|
35,014
|
65.6%
|
129
|
58.9%
|
2030
|
29,705
|
70.8%
|
113
|
64.1%
|
2031
|
29,705
|
70.8%
|
113
|
64.1%
|
2032
|
25,054
|
75.4%
|
106
|
66.4%
|
2033
|
22,396
|
78.0%
|
101
|
67.8%
|
2034
|
18,409
|
81.9%
|
95
|
69.8%
|
2035
|
16,416
|
83.8%
|
92
|
70.8%
|
2036
|
16,416
|
83.8%
|
92
|
70.8%
|
2037
|
12,574
|
87.6%
|
82
|
73.9%
|
2038
|
10,379
|
89.8%
|
76
|
75.7%
|
2039
|
7,085
|
93.0%
|
68
|
78.4%
|
2040
|
5,439
|
94.6%
|
64
|
79.7%
|
․ ․ ․
|
․ ․ ․
|
․ ․ ․
|
․ ․ ․
|
․ ․ ․
|
2050
|
5,439
|
94.6%
|
64
|
79.7%
|
5. 결 론
본 연구는 탄소중립이 화두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공동주택의 ZEB화에 따라 탄소저감 효과와 에너지비용 절감 효과 도출을 하고자 하였다.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평가 프로그램인 ECO2를 활용하여 LH에서 공급하는 500세대 규모의 임대주택과 분양주택을 표준모델로 설정하여 개별난방과
지역난방 모델에 적용가능한 기계설비 요소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ZEB 등급별 기계설비 로드맵을 제시하고,
연도별 LH 공동주택 ZEB 로드맵 이행에 따른 탄소배출량 저감 및 에너지비용 절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LH 공동주택 표준형태로 임대주택은 26 ㎡ + 37 ㎡ + 46 ㎡ 조합으로 구성하였고, 분양주택은 임대주택 대비 비교적 큰 평면형태인 46
㎡ + 55 ㎡ + 84 ㎡ 조합으로 구성하였다. 공동주택에 적용하는 기계설비 요소의 민감도 분석을 위해 18가지의 기계설비 조합 모델을 수립하였다.
(2) 민감도 분석 결과, 개별난방 단지는 보일러 효율, 지역난방 단지는 지역난방 배관구간길이가 1순위로 도출되었으며, 개별난방+지열 적용 단지 및
지역난방+지열 적용 단지는 지열히트펌프 COP, 지역난방+태양열 급탕시스템 적용 단지는 지역난방 배관구간길이 및 태양열 집열기 유형의 변경(평판형→진공관형),
지역난방+연료전지 적용 단지는 연료전지의 발전효율이 1순위로 도출되었다.
(3) LH 공동주택 ZEB 등급별 모델을 설정하여 탄소배출량 저감 및 에너지비용 절감 효과를 분석한 결과, 2021년에 공급되는 공동주택 대비 ZEB
1등급이 100% 보급되는 시점인 2040년에는 탄소배출량 94.6% 저감, 에너지비용 79.7%만큼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전체 건축물 중 에너지사용량을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공동주택의 에너지절감 노력이 절실하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의
제로에너지건축물 고등급화는 필수불가결한 상황이다. 공동주택의 에너지절감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패시브 기술요소인 단열성능, 기밀성능은 한계치에 다다랐으며,
에너지생산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경우, 설치공간의 제약사항으로 인해 에너지생산량의 확보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의
고등급 제로에너지건축물 구현을 위해서는 기계설비의 기술개발 및 최적의 설비시스템 조합,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의 적절한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