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민
(Yeongmin Kim)
1
고윤정
(Yoonjung Ko)
2
김종우,
(Jong Woo Kim)
34
오승진
(Seung Jin Oh)
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청정웰빙연구그룹 박사후연구원,
(Postdoctoral Researcher, Sustainable Technology and Wellness R&D Group,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Jeju, 63243, Korea)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청정웰빙연구그룹 석사과정
(Masters Course, Sustainable Technology and Wellness R&D Group,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Jeju, 6343, Korea)
-
제주대학교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Ph.D Cours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624, Korea)
-
㈜인터텍 최고기술경영자,
(Chief Technology Officer, Research and Development Division, Intertech Co., Ltd.,
Jeju, 63169, Korea)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청정웰빙연구그룹 수석연구원
(Principal Researcher, Sustainable Technology and Wellness R&D Group,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Jeju, 63243, Korea)
Copyright © 2016,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s of Korea
키워드
가돌리늄,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저온도차, 해수온도차발전, 역자기열량효과
Key words
Gadolinium, Hybrid generator system, Low temperature difference,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Reverse magnetocaloric effect
1. 서 론
지구 표면의 약 75%를 차지하고 있는 해양은 전 세계 전력 생산량의 약 4배에 달하는 방대한 부존 잠재량을 보유하고 있다.(1) 이러한 해양에너지는 조력, 조류, 파력, 해수온도차 등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효과적으로 전기 또는 열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변환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
해수온도차 발전(OTEC,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은 표층의 따뜻한 해수와 상대적으로 차가운 심층의 해수 온도차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방식이며 온도차가 약 20℃일 때 효율적인 발전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특히 사용 가능한 에너지원이 무한하며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있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저온 열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초기투자비용이 높으며 효율도
낮아 저온 열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4)
가돌리늄은 희토류계 강자성 물질 중 하나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온도가 변하는 자기열량효과를 가지고 있는 물질이다. Lee(5)는 가돌리늄의 자기열량효과에 대한 실증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퀴리온도(가돌리늄의 경우 21℃)에서 자기열량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자기열량효과를 역으로 이용한다면 저온 열원의 온도차로부터 전기적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현재 역자기열량효과를 활용한 발전 분야의 연구는 온수와
냉수의 온도차로부터 최대의 로우터 회전력을 얻고 최적의 발전기를 연계하여 최대의 효율을 얻는 연구가 주로 수행되고 있다. Ahmed et al.(6)과 Zeeshan et al.(7)은 가돌리늄의 역자기열량효과를 이용하여 온수와 냉수의 온도차 46.5℃와 45℃에서 263 RPM과 251 RPM의 로우터 회전력을 발생시켰으며 서로
다른 발전기를 연계하여 최종적으로 76.38 mW와 0.75 mW의 전기적 출력을 발생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열량효과를 가진 가돌리늄을 이용하여 로우터 형식의 TM(Thernal to Mechanical)변환 시스템을 개발하고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Electromagnetic generator and piezoelectric generator)과 연계한 역자기열량효과 발전시스템을 제작하였다.
또한, 해수온도차 발전에 활용되는 표층의 해수 온도를 온수로 적용하여 냉수와의 온도차에 따른 발전성능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2. 실험장치 구성 및 작동원리
2.1 가돌리늄 기반의 TM변환시스템
TM변환시스템은 회전체와 회전체에 균등한 간격으로 설치된 16개 가돌리늄 블록 그리고 막대 모양의 영구 자석으로 구성된다. 120°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3개의 물 공급 노즐은 온수(표층수)와 냉수(심층수)를 분사하여 TM변환시스템을 구동시킨다. Fig. 1은 가돌리늄 기반의 TM변환 시스템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개략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온수를 공급하는 노즐은 막대 모양의 자석 중앙의 가돌리늄 위쪽에
배치되고 두 개의 냉수 공급 노즐은 반대쪽에 배치되었다. 냉수 공급에 의해 가돌리늄의 온도는 퀴리온도 아래도 떨어져 강자성이 되어 자석으로 끌려오게
되고 온수 공급에 의해 가돌리늄의 온도는 퀴리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여 상자성이 되어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주기적인 회전 운동이 반복되어
TM변환시스템은 지속적으로 구동 된다.
Fig. 1 Schematic diagram of a thermomagnetic engine.
2.2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본 연구에서는 디스크 형태의 전자발전기(Electromagnetic generator)와 압전소자를 이용한 압전 발전기(Piezoelectric generator)를
연계하여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전자발전기는 TM변환시스템의 로우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자와 발전시스템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자로 구성되며 Fig. 2는 디스크 형태의 전자발전기를 보여준다. 회전자는 12개의 원통형 자석이 극성이 교차된 상태로 부착하였으며 고정자에는 12개의 코일을 직렬로 연결하여
부착하였다.
압전 소자는 압력을 가하면 전압을 발생 시키는 압전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Measurement specialties사의
LDT4-028K/L 압전 필름을 사용하여 압전 발전기를 제작하였다. 압전 필름은 유연하며 압력을 가할시 진동에 의해 출력을 발생시킨다. 압전 발전기는
가돌리늄 블록과의 상호작용을 위하여 압전 필름 끝 부분에 원통형 자석을 부착하였으며 가돌리늄 블록이 온도차에 따라 자성이 변하게 되면 끝 부분에 부착된
원통형 자석과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출력이 발생된다. Fig. 3은 압전 필름과 원통형 자석으로 구성된 압전 발전기를 보여준다.
Fig. 2 Design of a electromagnetic generator: (a) Rotor part, (b) Stator part.
Fig. 3 Design of a piezoelectric generators.
2.3 역자기열량효과 발전시스템
역자기열량효과 발전시스템은 가돌리늄 기반의 TM변환 시스템과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연계한 시스템이다. TM변환 시스템 로우터에 부착된 가돌리늄 블록은
공급되는 온수와 냉수에 의해 자기장 세기가 변하며 자석과의 상호작용으로 회전된다. 전자발전기 중 회전자는 로우터와 기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로우터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며 출력을 발생시킨다. 압전 발전기는 원형 자석이 부착된 부분을 로우터에 부착된 가돌리늄 블록과 전자발전기의 원형자석과 상호
작용하도록 배치하였으며 총 20개의 압전 필름을 사용하였다. 압전 발전기는 가돌리늄 블록과 전자발전기의 원형 자석의 상호작용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며
진동이 발생하고 출력을 발생시킨다. Fig. 4와 Fig. 5는 TM변환 시스템과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을 연계한 개략도와 실제 제작된 역자기열량효과 발전시스템을 보여준다.
Fig. 4 Schematic diagram of a magnetocaloric effect power generation system.
Fig. 5 Magnetocaloric effect power generation system.
3. 실험결과
3.1 TM변환시스템
TM변환시스템은 냉수 온도를 18.5℃로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온수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며 온도차에 따른 회전 속도를 측정하였다. Fig. 6은 온수와 냉수의 온도차에 따른 로우터의 회전속도를 보여준다.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TM변환시스템은 온수와 냉수의 온도차가 4℃일 때 70 RPM으로
구동되기 시작하였으며 온도차가 45℃일 때 회전속도 228 RPM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온수와 냉수의 온도차가 4℃에서 6.5℃로 올라갈 때 로우터의
회전속도가 급격히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가돌리늄 블록의 온도가 퀴리온도일 때 역자기열량효과가 극대화되어 회전속도가 급증한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온도차가 45℃ 이후에 로우터의 회전속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로우터의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로우터에 부착된 가돌리늄
블록이 온수와 냉수에 의해 온도차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Fig. 6 Variation of rotational speed with temperature differences.
3.2 역자기열량효과 발전시스템
역자기열량효과 발전시스템의 성능은 해수온도차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온수의 온도를 25℃, 냉수의 온도를 18.5℃(온도차 6.5℃)로 고정하여
진행하였으며 이때 로우터의 회전속도는 130 RPM이다.
Fig. 7과 Fig. 8은 각각 압전 발전기와 전자발전기의 출력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압전 발전기의 경우 최대 8 V의 개방 회로 전압과 8.2 ㎂의 단락 전류를 생성하였고
전자발전기는 최대 2 V의 개방 회로 전압과 6 ㎃의 단락 전류를 생성하였다. 두 발전기의 출력 특성 비교 시 압전 발전기는 전자발전기에 비해 높은
전압을 생성하나 전류의 출력이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압전 필름의 고전압 저전류 특성을 보여준다. 또한, 압전 발전기의 경우
전자발전기에 비해 발생되는 출력이 불안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발전기는 TM발전기 로우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므로 출력이 일정한 반면
압전 발전기는 자기장과의 상호작용으로 출력이 일정치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Fig. 7 Power output by Piezoelectric generator.
Fig. 8 Power output by electromagnetic generator (EM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가돌리늄의 역자기열량효과에 의해 구동되는 TM변환시스템을 제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가지 타입의 발전시스템을 연계한 역자기열량효과
발전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해수온도차발전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해수온도차발전에 적용되는 표층수 온도를 온수 온도로 설정하여 발전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온도차 6.5℃, 회전속도 130 RPM에서 압전 발전기와 전자발전기는 개방 회로 전압 8 V 및 2 V, 단락전류 8.2
㎂ 및 6 ㎃의 출력을 발생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TM변환발전시스템은 해수온도차발전에 이용되는 온도로 구동 및 발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실제 해수온도차발전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출력을 얻기 위한 스케일 업과 발전시스템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후 기
본 연구는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 잉여전력 부문간 연계(섹터커플링) 기술개발 사업의 재원으로 재생에너지 출력제한(Curtailment)을
이용한 P2Heat 기술개발 연구사업(과제번호: 20226210100050)과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농업용 관정제어 효율화
기술 개발” 사업(과제번호: 320048-3)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References
Vega L. A., 2003,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primer, Marine Technology Society
Journal, Vol. 6, No. 4, pp. 25-35
Lee H. S., Kim H. J., J D. H., Moon D. S.,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Cycle
Efficiency of Closed-type OTE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35, No. 1, pp. 46-52
Shin S. H., Jung D. S., Kim C. B., Seo T. B., Chun W. G., Auh C. M., 1997, A Study
of Closed OTEC Power Plants, Solar Energy, Vol. 17, No. 4, pp. 23-33
Kang Y. Y., Park S. S., Kim N. J., 2012, A Study on Regenerative OTEC System using
the Condenser Effluent of Uljin Nuclear Power Plant,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24, No. 7, pp. 591-597
Lee J. S., 2004, Demonstrative Experiments on the Magnetocaloric Effect of Gadolinium,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16, No. 4,
pp. 383-389
Ahmed R., Kim Y. M., Mehmood M. U., Zeeshan Shaislamov U., Chun W. G., 2019, Power
generation by a thermomagnetic engine by hybrid operation of an electromagnetic generator
and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Research, Vol.
43, No. 11, pp. 5852-5863
Zeeshan , Ahmed R., Chun W. G., Oh S. J., Kim Y. M., 2019, Power Generation from a
Hybrid Generator (TENG-EMG) Run by a Thermomagnetic Engine Harnessing Low Temperature
Waste Heat, Energies, Vol. 12, No. 9, pp. 1774-1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