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기술원 (Senior Engine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52 Gajeong-ro, Daejeon, Korea)
  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후연구원 (Post-doc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 Gajeong-ro, Daejeon, Korea)
  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Principle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2 Gajeong-ro, Daejeon, Korea)
  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2 Gajeong-ro, Daejeon, Korea)



BIPV(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저탄소 에너지공유 커뮤니티, 재생에너지 자립율,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BIPV, Low carbon energy sharing community, Renewable energy penetration rate, ZEB certification

1. 서 론

2020년 우리나라 정부는 그린뉴딜 발표를 통해 탄소중립(Net-zero) 사회를 지향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을 구축하여 태양광․풍력(육상, 해상)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 생태계를 육성하고, 대규모 연구개발 (R&D)․실증사업 및 설비 보급 확대 계획이다. 특히 주택․상가 등 20만 가구를 대상으로 자가용 신재생에너지설비 설치비 지원하고, 소형도서 지역의 재생에너지 전환을 통해서 친환경 분산에너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국내는 공공건축물설치의무화 제도 추진으로 업무용 건물에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Building Instegrated Photovolatic, BIPV)시스템을 적용하여 성능평가를 한 수행한 사례가 대부분이다. Park et al.(1)은 건물에너지 소비특성과 BIPV시스템의 발전에 따른 건물의 피크로드 변화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An et al.(2)은 5kWp급 소규모 투광형 박막 BIPV 모듈을 대상으로 실증평가를 수행하였으며 모니터링을 통한 모듈의 발전성능과 표면온도를 분석하였다. 주택의 에너지 자립율 평가는 단독 주택 1채를 대상으로 수행한 사례가 대부분이다. Kim et al.(3)은 주택 1채를 대상으로 플러스에너지 자립율 40%를 달성하기 위해서 BIPV 6kW 용량이 필요하다고 확인하였고, An et al.(4)은 10%의 추가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서 주택 지붕에 BIPV 15.36 kW 설치해야 한다고 분석하였다. Lee et al.(5)은 공공시설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BIPV를 적용하게 되면 ZEB 등급이 향상되며 에너지자립율과 상관없이 에너지성능 과점에서 신재생에너지 설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Lee(6)는 저에너지 및 CO2 배출 저감을 목적으로 독일사례의 제로에너지 및 플러스에너지하우스 사례 분석을 통해서 태양에너지와 같은 분산에너지 자급자족 시스템은 중앙 공급형식 대비 공급거리 단축으로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자원활용 가능성, 거주민들을 위한 경제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독주거 커뮤니티 내 전체 시설을 대상으로 BIPV시스템의 설치 규모에 따라 연간발전량을 분석하여 커뮤니티의 에너지자립율과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증단지로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빌리지를 선정하고 주거용 건물과 커뮤니티센터와 같은 비주거용 건물을 포함한 커뮤니티의 에너지자립율을 평가하였다.

2. 연구방법

단독주거 커뮤니티 내 신축되는 주택(19세대), 홍보관, 주차장, 보행로, 커뮤니티 센터를 대상으로 BIPV시스템 설치 조건에 따라 연간발전량을 분석하고, 적용 대상에 따라 BIPV시스템을 통해서 생산되는 연간발전량이 커뮤니티의 에너지자립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BIPV시스템의 발전량 산출은 Solar Pro v4.7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에너지자립율의 분석은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평가에 활용되는 ECO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3. 커뮤니티 에너지 성능 개요

3.1 스마트빌리지 건축 개요

본 연구에서는 단독주거 커뮤니티 분석 대상지로 부산 에코델타시티(EDC, Eco Delta City) 스마트 빌리지 내 19세대 및 커뮤니티센터를 선정하였다(Fig. 1). 19세대는 1~2층 구조로 총 4개의 평면 타입으로 10개동으로 구성되었다. 19세대 부지 내에는 주택뿐만 아니라 홍보관, 보행로, 주차장이 계획되어 있다. 스마트빌리지의 전체 대지면적은 7,202 ㎡이며, 건축면적은 2,200 ㎡, 연면적은 3,620 ㎡이며, 주거부문 전용면적은 2,160 ㎡이다. 단독주택은 37세대인 1단지와 19세대인 2단지로 구분된다. 1단지는 3층 규모의 단독주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단지는 2층 규모로 구성되어 있다. 데모주택이 있는 2단지의 단독주택은 벽면, 지붕, 바닥, 창문의 열관류율은 각각 0.27, 0.103, 0.175, 그리고 0.963 W/(㎡․K)이다. 커뮤니티센터의 벽면, 지붕, 바닥, 창문 열관류율은 0.147, 0.107, 0.212, 그리고 0.997 W/(㎡․K)로 구성되어 있다. 커뮤니티센터는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축면적 266 ㎡, 연면적 1,192 ㎡, 냉난방 공급면적 428.9 ㎡이다. 보행로의 건축면적은 299.28 ㎡, 주차대수 33대이다.

Fig. 1 Overview of Busan EDC Smart Village.
../../Resources/sarek/KJACR.2023.35.1.020/fig1.png

3.2 스마트빌리지 에너지설비 개요

커뮤니티센터와 단독주택은 건물일체형 태양광시스템 BIPV가 설치되어있으며, 커뮤니티센터 지하에 기계실이 위치하여 각 건물의 냉난방과 급탕을 위한 열을 생산하고 열네트워크를 통해 공급하는 방식이다.

열 네트워크는 기계실에서 중앙 공급방식으로 단독주택을 포함한 커뮤니티센터에 냉난방 및 급탕열을 공급한다. 냉방 및 난방공급은 냉난방 축열조를 통해 공급되며, 지열 및 수열히트펌프를 활용한다. 축열에 활용되는 히트펌프의 정격용량 및 COP는 다음과 같다. 지열난방 용량은 104.9 kW 및 COP 3.79, 지열냉방 용량은 113.2 kW 및 COP 4.93, 수열난방 용량은 71.3 kW 및 COP 3.98, 수열냉방 용량은 77.0 kW 및 COP 5.6을 기준으로 하는 시스템으로 적용되었다. 급탕은 급탕축열조를 통해 공급되며, 71.3 kW 용량의 지열히트펌프가 적용되었다. 각 세대마다 난방열교환효율 70%, 냉방 60%를 가지는 전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다. 커뮤니티 센터의 냉방 및 난방은 3대의 수열 히트펌프를 통해 공급되며, 총 수열난방 용량 73.1 kW 및 COP 3.98, 수열냉방 용량 79.1 kW 및 COP 5.52의 성능을 가진 히트펌프가 적용되어 있다. 중앙 공급식 설비를 활용하는 경우, 단독주택으로 공급되는 네트워크 배관의 열손실이 있으나, 수열, 지열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설비를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 개별 건물의 지열원 히트펌프 설치방식에 비해, 축열조 설치등을 통해 히트펌프 설치용량 절감의 장점이 있다.

Fig. 2 Overview of convergence energy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3.35.1.020/fig2.png

3.3 태양광 발전설비 설계 개요

단독주거 커뮤니티인 부산 EDC 스마트빌리지의 에너지성능 목표는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1등급이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1등급을 달성하기 위한 조건은 건축물에너지효율 1++ 등급 이상과 에너지자립율 100%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에너지자립율은 1차에너지 소비량 대비 1차에너지 생산량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이에 에너지자립율의 목표 달성하기 위해서는 BIPV시스템에서 생산된 발전량으로 1차에너지 소비량를 100% 이상 공급 되도록 설계를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내 주택, 홍보관, 보행로, 주차장을 대상으로 설치가 가능한 모든 부위에 BIPV시스템을 적용하여 다른 건물 혹은 지붕으로 인한 음영이 발생하지 않는 부분으로 설계하고 지붕 구조물까지 고려하여 최대 설치 가능한 용량을 산출하였다(Fig. 3). 설계를 통한 최대 설치면적을 산출한 결과, Table 1과 같이, 주택(House) 88.92 kW, 주차장(Garage) 10.79 kWh, 보행로 상부(Corridor) 34.86 kWh, 커뮤니티센터(Community center) 55.1 kWh 따라서 BIPV시스템 총 189.67 kW 용량을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Fig. 4(a)와 같이, 주택 지붕에 적용된 BIPV시스템의 모듈은 360 W용량에 1,116×1,621×40 mm 사이즈를 가지며, 효율은 19.9%이다. 주차장 및 회랑에 적용된 PV시스템은 450 W 모듈 용량에 사이즈는 2,171×1,030×35 mm이며, 20.1%의 효율을 가진다(Fig. 4(b)). 지붕 주택에 설치한 패널은 지붕색과 심미성을 고려한 검은색 BIPV 패널로 설치하였으며, 주차장 및 회랑은 효율과 용량이 더 높은 패널을 활용하여 적용하였다. 커뮤니티센터에 적용된 BIPV 시스템은 Fig. 4(c)와 같으며, 지붕에 설치된 모듈의 용량은 360 W에 크기는 1,116×1,621×40 mm이며 효율은 19.9%이다. 벽면에 설치된 모듈은 200 W용량에 1,116×1,621×40 mm이며 효율은 12.0%이다. 주택에 적용된 BIPV 시스템은 PV의 온도저감을 위해 후면통기가 가능한 타입으로 설계되었다.

Fig. 3 Simulation model of BIPV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3.35.1.020/fig3.png
Fig. 4 Installation of BIPV systems.
../../Resources/sarek/KJACR.2023.35.1.020/fig4.png
Table 1 Capacity of BIPV System

Facility

House

Garage

Corridor

Community center

Village total

Roof

Wall

Module

Capacity

(W)

360

450

450

360

200

Size

(W×L×H, mm)

1116×1621×40

2,171×1,030×35

2,171×1,030×35

1,116×1,621×40

1,116×1,621×40

Efficiency

(%)

19.9

20.1

20.1

19.9

12.0

System

Capacity

(kWh)

88.92

10.79

34.86

55.1

189.67

4. 커뮤니티 에너지 성능 분석 결과

4.1 스마트빌리지 냉난방 요구량 분석 결과

ECO2 분석 결과, 19세대에 대한 난방 및 냉방요구량은 각각, 43.9 kWh/㎡와 22.0 kWh/㎡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연간 난방 및 냉방요구량이 각각 94.8 MWh/a와 47.5 MWh/a로 나타났다. 스마트빌리지의 주택의 19세대에 대해서는 모두 유사한 평면을 가지고 있어, 세대별 난방 및 냉방요구량에 차이는 거의 없었다. 커뮤니티센터의 난방 및 냉방요구량은 각각, 33.1 kWh/㎡와 32.2 kWh/㎡로 분석되었으며, 연간 난방 및 냉방요구량이 각각 14.2 MWh/a, 13.8 MWh/a로 분석될 수 있다. 시스템 기기 산정을 위한 RTS 프로그램을 활용한 19세대의 최대부하는 난방과 냉방부하가 각각 66.8 kW와 117.9 kW로 분석되었다. 커뮤니티시설의 경우, 난방 및 냉방 최대부하는 각각 33.7 kW 및 67.4 kW로 모두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주거용 및 커뮤니티센터의 연간 난방부하가 냉방부하보다 크나, 피크부하의 측면에서는 냉방부하가 난방부하보다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4.2 BIPV시스템 발전성능 및 에너지자립율 분석 결과

다양한 설계 조건에 따른 스마트빌리지의 에너지 자립율을 분석하기 위해,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치 위치에 따라 5가지 조합으로 나눠 분석을 진행하였다. Case 1에서는 주택 지붕에 설치된 BIPV만을 고려한 경우, Case 2에서는 주택 지붕의 BIPV와 주차장의 PV를 고려한 경우, Case 3에서는 주택 지붕의 BIPV와 회랑에 설치된 경우, Case 4에서는 주택 지붕의 BIPV와 회랑 및 주차장 PV시스템을 고려한 경우, Case 5에서는 커뮤니티센터 BIPV시스템을 고려한 경우, 그리고 Case 6에서는 주택 지붕의 BIPV, 회랑, 주차장 PV시스템 및 커뮤니티센터를 포함한 모든 태양광발전시스템을 고려한 경우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분석에서는 각각 Case 별 연간 발전량이 에너지자립율 조건에 충족하는지 분석하고, 그에 따라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등급을 검토하였다.

Fig. 5에서는 각 Case 별 발전량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Case 1의 경우 연간 114.0 MWh의 발전량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Case 2, Case 3, 그리고 Case 4는 Case 1 대비 각각 10.7%, 24.1% 및 30.4% 많은 발전량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커뮤니티센터만을 대상으로 설치한 Case 5를 살펴보면, 지붕에 설치한 면적대비 발전량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커뮤니티센터에 설치된 태양광발전시스템 중 23%가 벽면에 설치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벽면에 설치된 BIPV로 인해, 겨울철 발전량이 6월~9월의 발전량에 비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se 6은 스마트빌리지의 주거용 및 비주거용 건물과 유휴부지에 모두 태양광을 설치할 경우, 연간 220.3 MWh의 발전량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6과 같이, 본 시뮬레이션 결과 중 주택 지붕에 설치된 BIPV의 발전량과 실제 스마트빌리지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측정된 5개월(2022년 4월~8월)의 발전량을 비교할 경우, 2.6%의 차이만을 보이고 있어 비교적 정확한 시뮬레이션 분석이 진행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5 Monthly electricity generation of BIPV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3.35.1.020/fig5.png
Fig. 6 Comparison of experimental and simulation electricity generation of BIPV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3.35.1.020/fig6.png

Table 2와 같이, 에너지 자립율을 분석한 결과, 주거 부분에서 주택에만 BIPV 시스템을 적용한 Case 1은 연간 발전량 113,960.4 kWh, 에너지자립율 75.77%,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3등급으로 목표를 충족할 수 없는 조건으로 나타났다. 주택에 주차장을 포함시킨 Case 2도 에너지자립율이 82.95%, 제로에너지건축물 2등급으로 목표를 충족하지 못했다. 주택에 보행로를 포함시킨 Case 3은 에너지자립율이 102%, 제로에너지건축물 1등급으로 분석되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조건으로 나타났다. 주택, 주차장, 보행로를 모두 활용한 Case 4도 에너지자립율이 109.3%, 제로에너지건축물 1등급을 충족하였다. 따라서 주거 부분의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최소 주택과 보행로를 활용하여 BIPV시스템을 적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조건에 주차장을 포함시킨다면 BIPV시스템의 잉여 발전량이 1차에너지 소비량 대비 9.3%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잉여 발전량으로 주거 부분의 에너지공유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커뮤니티센터인 Case 5는 지붕면과 벽면을 대상으로 적용가능한 모든 부위에 BIPV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에너지자립율이 171.7% 로 제로에너지건축물 1등급을 충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Case 6과 같이, 스마트빌리지에 전체 태양광을 설치할 경우, 120.5%의 제로에너지율을 보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제로에너지건축물 1등급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2 Energy performance of each case

Case

Case 1

Case 2

Case 3

Case 4

Case 5

Case 6

Facility Combine

House (roof)

House(roof) +Garage

House(roof) +Corridor

House(roof) +Garage+Corridor

Community center

House(roof) +Garage+Corridor+Community center

Capacity (kW)

88.92

99.71

123.78

134.57

55.1

189.67

Annual Generated Energy (kWh/a)

113,960.4

127,575.7

150,082.4

163,697.5

56,548.8

220,246.3

Renewable energy penetration rate (%)

75.8

83.0

102.2

109.3

171.7

120.5

ZEB grade

3

2

1

1

1

1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단독주거 커뮤니티 내 전체 시설을 대상으로 BIPV시스템 적용에 따른 연간발전량을 분석하여 커뮤니티의 에너지자립율과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등급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Case 1과 같이, 주택의 지붕에만 설치할 경우, 연간 발전량 114.0 MWh, 에너지자립율 75.8%로 제로에너지건축물인증 3등급인데 반해, 유휴부지에 설치면적을 증대시킬수록 에너지자립율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ase 2는 에너지자립율이 82.95%로 제로에너지건축물 2등급, Case 3은 에너지자립율이 102%로 제로에너지건축물 1등급, Case 4는 에너지자립율이 109.3%로 제로에너지건축물 1등급, 커뮤니티 센터만 분석한 Case 5는 에너지자립율이 171.7%로 제로에너지건축물 1등급, 그리고 스마트빌리지 전체 Case 6에서 에너지자립율이 120.5%로 제로에너지건축물 1등급을 충족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추후 단독주거 커뮤니티 내 전체 시설을 대상으로 BIPV시스템의 다양한 설치 조건에 따른 발전성능을 분석하여 에너지자립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각 조건별 BIPV시스템의 공사비 등 초기투입비용에 대한 회수 방안 등을 고려하여 여러 조건별 경제성을 분석할 예정이다. BIPV 후면 통기 방식이 적용됨에 따른 PV패널 온도저감 및 주택 냉방부하 저감효과 등에 대해서도 정량적 분석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빌리지의 전력생산 및 소비량에 대한 정량적 평가와 주거용 및 비주거용 건물의 냉방 및 난방요구량에 대한 실증결과와의 비교분석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주거용 및 비주거용 건물에서 BIPV 시스템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해 향후 제로에너지건축물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후 기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의 재원으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과제번호 : 22PIYR-B153277-04)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Park, J. W., Shin, U. C., Kim, D. G., and Yoon, J. H., 2013, A Study on BIPV System Generation Matching by Electricity Load Characteristic of Building,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3, No. 3, pp. 67-74.DOI
2 
An, Y. S., Kim, S. T., Lee, S. J., Song, J. H., Hwang, S. K., and Yoon, J. H., 2010, Case Study on 5kWp Transparent Thin-Film BIPV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0, No. 2, pp. 29-35.URL
3 
Kim, M. H., Kim, H. W., Shin, U. C., Kim, H. J., Kim, H. K., and Kim, J. K., 2018, Design and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of Plus Energy House,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8, No. 1, pp. 55-66.DOI
4 
An, Y. S., Ahn, H. J., and Kim, Y. K., 2014, A Case Study on the Photovoltaic System for Plus Energy Hous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Spring Conference, Vol. 14, No. 1, pp. 140-141.URL
5 
Lee, S. M., Kim, J. H., Shin, G. S., and Kim, E. J., 2018, Market Acceptability of the ZEB Certification System for Public Buildings According to the 2025 Roadmap, Journal of KIAEBS, Vol. 12, No. 6, pp. 557-566.DOI
6 
Lee, E. J., 2018, A Energy Concept Review of Zero-and Plus Energy Settlement through the Case Analysis: Focused on German Case, KIEAE Journal, Vol. 18, No. 6, pp. 111-119.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