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성
(Yu Sung Lee)
1
김우현
(Woo Hyun Kim)
2†
-
전남대학교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Ph.D Cours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686, Korea)
-
전남대학교 기계공학과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61186, Korea)
Copyright © 2016,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s of Korea
키워드
매핑 자동화, 에너지 절감, 최적 시작, 플러그 앤 플레이, 가변 냉매 흐름 시스템
Key words
Auto-mapping, Energy saving, Optimal starting, Plug-and-play, Variable Refrigerant Flow system
기호설명
$W$ :
Adjustment weight
$a$ :
Alternative representation
$AL$ :
Automation layer
$EC$ :
Energy consumption [kW]
$EI$ :
Energy saving index
$EM$ :
Equipment model
$FV$ :
Feature vector
$GT$ :
Ground truth
$T$ :
Temperature [℃]
$PM$ :
Point model
$t$ :
Time
$Score$ :
Similar score
$\beta$ :
Parameter of FV
$d_{jaro}$ :
Jaro-winkler distance
$u$ :
Number of equipment
$n_{trans}$ :
Number of token transpose
$s$ :
String sequence
$Cap$ :
Capacity coefficient
1. 서 론
미국 에너지국(United state Department of Energy, DOE)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적 에너지 사용량 중 건물 영역의
에너지 소비 비중은 약 39%, 건물 에너지 관련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다.(1) 세부적으로 상업용 건물에서는 공간 냉난방에 사용되는 에너지가 21.7%, 가정용 건물에서 공간 냉난방에 사용되는 에너지는 36.7%로 세부 에너지
항목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2) 미국 사례로 비추어 본 건물 에너지 소비는 연간 3,800억 달러 이상의 국가적으로 막대한 에너지 비용을 발생시키고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는 세계
평균에 비해서 전체 규모는 작지만 전체 에너지 소비량 중 30%가 건물에서 사용되고 있어 단위 면적 당 선진국보다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다.(3)
가변형 냉매 흐름(Variable refrigerant system, VRF) 시스템은 다수의 증발장치로 들어가는 냉매의 양을 조절하는 냉난방 장치로
대한민국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VRF 시스템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실험실 환경에서의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지만, 건물 운영 관점에서 스케줄이 시작하는
시간에 재실자의 쾌적성과 에너지 비용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는 미흡하다. 해외에서는 공기 제어 유닛에 대한 최적 제어 방법론 적용 사례가 많지만 국내
보급된 대부분은 VRF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내를 냉난방하므로 국내 실정에 맞는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공조 시스템은 일과 시작과 동시에 모든 실내기가
동시에 작동하면 단 시간 내에 건물 에너지 사용량이 매우 증가하기 때문에 스케줄 시작 전에 최적 시작되어 불필요한 작동을 줄이고 피크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되어야 한다.(4) 또한, 스케줄 시간 동안에는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공조 시스템 제어를 통해 실내 온도를 원하는 범위 내에서 유지하여야 한다.(5,6) 그러나, 기존 제어 방식은 소수의 전문가에 의해 수동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어 공조 시스템 관리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고, 최적 시작이 적용되었다고
하더라도 필요 이상으로 빨리 작동된다면 대상 공간에는 과냉난방이 발생될 수 있다.(7) 최적 시작 기법을 기반으로 적절한 건물 운영 스케줄링을 적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및 상업용 건물 등의 피크 수요를 줄이는 데 강점이 있다.(8-11) 단, 최적 시작 시간을 예측하는 데 압력 및 유량 센서와 같이 고비용 센서를 사용하면 설치 비용이 증가하고 현장 적용에는 많은 시간 낭비되므로,
저비용 센서를 사용하여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배포가 가능한 최적 시작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12)
VRF 시스템에는 구역별 용량이 다른 다수의 증발기가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냉난방 되므로 중앙난방과는 달리 개별적인 스케줄 관리가 되어야 한다.(13) 기존 방법은 물리 센서 측정값으로 물리적 상태량을 예측하는 연구와 최적 시작과 같은 이차적 특성을 예측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14) Sun et al.(15)은 다수의 장치를 관리하기 위해 전문 규칙을 적용하여 작동 대수를 줄이는 방식으로 최적 시작 관련 연구를 시도했으며, 초기에는 많은 장치를 작동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수를 줄이는 방식으로 건물에너지를 관리하였다. Wang et al.(16)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 값을 사용하여 인공신경망 및 물리적 관계를 융합한 최적 사전 냉방 시간을 결정하려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하지만, 현장 적용
시에는 매우 많은 변수를 수동적으로 관리하는 데 시간을 낭비하게 되며 포인트 관리 및 컴퓨팅 능력 제한 우려되는 상황이라면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RF 시스템의 개별적인 최적 운전 시작 시점을 예측하여 관리하는 방식에 포인트 관리 자동화를 적용하여 불필요한 작동
시간을 절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효율적 배포 방법의 개발을 위해 기존의 모델 배포 과정을 살펴보면, 최근 현장에서는 제어 포인트 관리가 체계적이지 않게 관리되고 있으며, 모델 배포
문제의 비중은 건물 에너지 관련 문제 중 42%를 차지한다.(17) 미국에서만 270만 채 이상의 상업용 빌딩에서 1.2조 개 이상의 측정 포인트가 있다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축약어, 동음이의어 등 무분별하게 관리되는
메타데이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모델 배포가 매우 어렵다. 이는 자동화된 지능형 건물 관리를 목표로 하였을 때 모델 신뢰성에도 영향이 갈 수 있다.
플러그 앤 플레이(Plug-and-play)는 꽂으면 실행된다는 의미의 용어로써 새롭게 개발된 예측 모델이나 알고리즘 등을 건물에 적용할 때 매우
많은 약자, 기관의 관리자마다 다른 수동적인 명명 규칙, 국가별 비 표준화된 언어, 수동 작업 오류 등에 의한 단어 실수 등이 포함된 입력 변수의
메타데이터에 대해서 별다른 설정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술의 필요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Balaji et al.(18)은 모델의 대량 배포를 위해서는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이름을 지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론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하였으며 다양한 제어
계층을 정의하였다. 또한, 비지도 학습 기반의 계층적 클러스터링 기법, 앙상블 기반의 랜덤 포레스트 기법 등을 사용한 분류기를 사용하여 분류 모델을
적용하였다. Leonardi et al.(19)은 최소한의 라벨링 된 입력을 받아 의미 분석을 통해 높은 정확도를 가진 분류 모델을 만들어 내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러그 앤 플레이 기술을 VRF 시스템의 최적 시작 모델에 적용하여 실험적 증명을 진행함으로써 국내 실정에 맞는 데이터 기반 에너지
관리 모델을 개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며 기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저비용 범용 온도 센서만을 사용하여 실내기의 최적 가동 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모델을 개발하여 적절한 최적 가동 시간을 알기 어려운 기존의 건물 운영방식의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두 번째로, 일관되지 않은
약자나 단어로 이루어진 최적 시작 모델의 입력 변수의 문자열 메타데이터 라벨에 대해서 원본 메타데이터와 장치 모델 객체의 메타데이터 사이의 유사도를
비교하고, 다수의 VRF 시스템 실내기가 설치된 건물로의 최적 시작 모델 배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플러그 앤 플레이 포인트 매핑 자동화 방법을 개발한다.
최종적으로는 포인트 매핑 자동화와 최적 시작 모델이 통합된 방법을 다수의 실내기가 있는 실제 건물에 적용하여 실험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모든 구역의
실내기가 동일하게 사전 냉난방을 시작하는 단순 작동 방식에서 나아가 개별 구역별로 고유한 최적 시작을 예측하여 불필요한 작동을 줄여 스케줄 시작 이전
시간의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현장 적용 방안을 제안한다.
2. 플러그 앤 플레이 포인트 매핑 자동화 기반 최적 시작 모델 개발
2.1 VRF 시스템의 최적 시작 모델 개발
2.1.1 Optimal start model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연결되어 운전되는 VRF 시스템은 최적의 상태로 운전되지 않을 때 과냉난방이 발생한다. 과냉난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냉난방 구역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건물의 에너지 방정식에 기반한 최적 시작 모델 도출이 필요하다. 식(1)은 최적 시작 모델의 근간이 되는 에너지 방정식이며 적절한 냉난방량($q$)은 구역 별 열 용량($C$)와 열 저항($R$), 외부 영향($q_{dist}$)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20) 단, 현장 적용 시 $q$를 결정하는 최적 시작을 계산하기 위해 모든 방의 $C$과 $R$을 계산 및 측정은 어렵고 비용적 고려도 동반되어야 하므로
범용 온도 센서만을 사용한 최적 시작(Optimal start)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여기서, $T_{z}$는 실내 온도, $T_{oa}$는 실외 온도이고 일정한 시간 $t$ 동안에 작동하면 냉난방량 $q$에 따라서 $T_{z}$가
제어된다. 최적 작동 시간은 작동 시작 시점의 초기 실내 온도($T_{z,init}$)에서부터 냉난방을 시작하여 재실 시간(Occupancy time)에
도달하기까지 시간 길이로 정의하고 작동 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져 설정 온도($T_{sp}$)를 초과하여 냉난방한 것을 과냉난방으로 정의한다.
최적 시작은 과냉난방 시간을 최소화하여 $T_{sp}$까지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 길이를 예측하는 방식의 제어 방법이다. 식(3)과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온도 계수($Cap_{1}$, min/℃)와 열전달 용량 계수($Cap_{2}$, min/°$C^{2}$)가 모두 고려된 모델이다.
이전 날의 $T_{sp}$과 $T_{z,\: occ}$의 차이를 계산하여 이전 날의 제어 결과가 과냉난방이 되었는지 제어 미달이 되었는지를 식(5)와 같이 조정값($R_{adj}$)을 고려하여 온도 반응에 기반한 최적 가동 시간($t_{3,\: opt}$)가 식(2)와 같이 계산된다. $W_{adj}$은 5 min/℃으로 설정되었다. 제안된 모델은 과냉난방이 발생하여 재실 시간에 설정 온도보다 실내 온도가 2℃가
초과 되었다면 $W_{adj}$를 고려하여 다음날의 작동 시에는 10분을 더 작동하도록 반영한다. 반대로, 최적 시작 결과가 설정 온도에 미달한 경우에
2℃가 미달 되었다면 $W_{adj}$를 고려하여 다음날의 작동 시에는 10분을 덜 작동하도록 반영한다.
2.2 플러그 앤 플레이 포인트 매핑 자동화
2.2.1 건물 제어 계층과 매핑자동화
효율적인 모델 배포를 위해서는 필드 계층에 있는 수많은 센서 라벨을 관리하면서 낭비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센서 단위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스템이 공존하는 범위까지 포괄하여 관리될 수 있어야 한다.(19) 이때 필드 계층에 모델을 효과적으로 배포하여 원하는 목적으로 이루고자 할 때 데이터 관리를 위해 명명된 라벨인 메타데이터 또는 포인트가 적절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필드 계층에는 VRF 시스템과 같은 필드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와 장치가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매핑 자동화 기법을 최적 시작 모델의
배포에 적용하여 전체 건물 수준에서의 계획 수립을 위해 필드 계층의 다수의 실내기에 대한 개별적 쾌적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전반적인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2.2.2 플러그 앤 플레이 포인트 매핑 자동화
플러그 앤 플레이 포인트 매핑 자동화는 최적 시작 모델 구동에 필요한 입력 변수의 라벨인 메타데이터를 새로운 표현으로 대체하는 과정을 자동화한다.
다양한 단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메타데이터는 다양한 국가의 언어나 단어들로 혼재되어 있으므로 전 세계 문자의 산업 표준인 유니코드로 변환하여 토큰화한
후 문자열 유사도 파악한다. 식(6)과 식(7)의 Jaro-winkler distance($d_{jaro-winkler}$)는 두 문자열이 얼마나 유사한지를 정량화하기 위한 개념으로 유니코드(Unicode)화
된 어떤 문자열을 다른 문자열로 변환하는 데 필요한 작업 수를 계산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문자열의 유사도를 파악하는 기법이다. $u$는 장치 모델의
개수, $\left | s_{1}\right |$은 첫 번째 토큰의 문자열 길이, $\left | s_{2}\right |$는 두 번째 토큰의 문자열
길이를 의미한다. $n_{trans}$는 두 토큰의 위치 교환 횟수이다. 식(6)에 나타난 $d_{jaro}$은 그 크기가 클수록 두 단어의 유사한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식(7)에 나타난 $d_{jaro-winkler}$는 동일 접두어를 가진 토큰을 비교하는 편집 거리 계산 방법으로 $d_{jaro}$를 사용한 두 토큰의
기본적인 유사도 계산이 완료된 후 공통 접두사가 있는 토큰의 경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유사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두 문자열 사이의 공통
접두사 길이($l$)는 4로 설정되었으며, 고정된 공통접두사가 있는 경우에 대한 가중치($p$)는 0.1로 설정되었다.
두 토큰 사이의 $d_{jaro-winkler}$ 계산 결과에 따라 어떤 센서 노드와 일치하는가를 결정하여 라벨링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d_{jaro-winkler}$의
계산을 위해 관리자가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대체 표현을 만들어 놓은 객체인 장비 모델(EM, Equipment model), 모델 학습을 위한
원본 메타데이터 셋인 실제 포인트 정보(GT, Ground truth)가 사용되었다. 즉, 포인트 매핑은 GT를 기준으로 EM에 등록되어 있는 중에서
가장 유사도가 높은 대체 표현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식(8)에 표현된 Score는 대체 표현 집합($A$) 중에서 한 토큰의 길이($∥ g ∥$)와 대체 표현의 토큰 길이($∥ a ∥$)를 비교하여 $d_{jaro-winkler}$가
가장 큰 대체 표현 토큰($a$)을 찾기 위한 수치이다. 식(9)에 표현된 특징 벡터(FV)는 현재 포인트들의 특징을 수치로 표현하기 벡터이다. FV는 EM에 등록된 장치 모델 집합($M_{q}$), 전체 센서
포인트($c_{r}$) 중에서 가장 유사한 대체 표현 포인트($p$)들을 포함하는 장치 모델($m$)로 결정한다. 즉, 특징 벡터는 포인트들을 기반으로
현재 인식하고자 하는 장치가 어떤 장치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벡터이다. 단, 본 연구에서는 장치 모델은 VRF 시스템으로 일정하기 때문에 장치 매핑은
수행하지 않으며 포인트 매핑만 수행한다. 특징 벡터는 포인트의 특징을 명확하게 반영하여 매핑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제곱한 수치를 특징 벡터에 사용하였다.
식(10)에 표현된 포인트 라벨링 과정(PL)에서는 Score를 가장 높게 하는 모델 $m$에 해당하는 포인트 라벨($f_{label}$)이 최종적으로 매핑된다.
Fig. 1은 플러그 앤 플레이 기반 매핑 자동화를 적용한 최적 시작 모델 배포 방법을 보여준다. VRF 운전 데이터로 취득된 $T_{z}$ 및 $T_{oa}$의
메타데이터는 자동으로 매핑되어 새로운 라벨이 부여된다. 최적 시작 모델은 자동 매핑된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적 시작을 계산하여 모든 구역이 동일하게
냉난방을 시작하는 단순 운영 방식과는 달리 각 방 별로 고유한 최적 시간 시점부터 작동을 시작한다. 예측된 최적 시작 시점은 Python과 오픈소스
기반의 Request 모듈을 사용하여 디바이스와 매핑되어 있는 고유 인식 번호를 사용하여 REST 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 기반의 통신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최적 시작 시간이 될 때까지 메시지를 대기한 후 가동 시작 시간이 되면 여러 대수 실내기를
서로 다른 시간에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디바이스가 제어된다.
Fig. 1 Plug and play auto mapping based deployment strategy for Optimal start model.
3. 실험 조건
3.1 실증 테스트베드
Table 1에 정리된 실증 건물은 대한민국의 전남대학교에 위치한 7층짜리 대형 교육용 건물이다. 실증 실험을 위해 실외기(ODU) 3대, 실내기(IDU) 8대가
사용되었고 테스트베드에서는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다. VRF 시스템의 용량 및 시스템 구성을 ODU 1의 예로 설명하면, 냉방 용량은 87
kW, 난방 용량은 97.8 kW이다. 또한, 1번 실외기에는 1번 및 2번 실내기가 연결되어 있고 1번 실내기의 냉방 용량은 29 kW이며, 난방
용량은 32.6 kW이다. 일반적으로 실외기는 연결된 실내기 용량의 총합보다 큰 실외기가 현장에 사용된다. 실증 실험은 실내 온도 변화의 외부 영향을
줄이기 위해 모든 문 닫음, 창문 블라인드 내림, 라디에이터 정지 상황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Table 1 Building specification
Building name
|
Jinli building
|
Building type
|
Educational building
|
Zone type
|
Lecture room, Hall & Lounge
|
Schedule
|
from 09:00 AM
|
Outdoor unit
|
Outdoor unit capacity (kW)
|
Indoor units
|
Cooling capa
(kW)
|
Heating capa
(kW)
|
Cooling
|
Heating
|
ODU 1
|
87
|
97.8
|
1
|
29
|
32.6
|
2
|
29
|
32.6
|
ODU 2
|
92.8
|
104.4
|
3
|
20
|
22
|
4
|
20
|
22
|
5
|
20
|
22
|
ODU 3
|
87
|
97.8
|
6
|
26
|
29
|
7
|
29
|
32.6
|
8
|
29
|
32.6
|
3.2 플러그 앤 플레이 포인트 매핑 분류 성능 검증 방법
플러그 앤 플레이 포인트 매핑 자동화는 GT를 기준으로 EM에 입력된 토큰 셋을 비교한다. $d_{jaro-winkler}$의 계산 결과를 사용하여
FV를 생성해 포인트 라벨링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EM에는 최적 시작 모델 구동에 필요한 센서 노드만을 입력하여 냉난방 장치의 제어 포인트
관리가 가능하다. 본 연구의 초점은 최적 시작 모델 배포를 위한 실제 현장의 포인트명의 인식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것에 있으므로 EM에는
최적 시작 모델에 필요한 센서 노드인 $T_{z}$, $T_{oa}$, $T_{sp}$의 원본 라벨을 입력하였다. 최적 시작 배포 및 구동에 필요하지
않은 센서 포인트의 토큰 셋은 EM에서 생략하였다. 인식 성능 평가를 위해 정의된 거짓 양성(False positive, FP)은 실제 GT는 최적
시작에 필요하지 않은 라벨이지만 구동에 필요한 라벨로 인식하는 샘플의 수로 정의된다. 거짓 음성(False negative, FN)은 구동에 필요한
라벨로 인식해야 하지만 구동에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샘플의 수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최적 시작을 위해서는 온도 센서의 라벨이 정확하게 인식되어야
하므로 FP와 FN에 초점을 맞춰 올바르게 포인트가 자동으로 매핑되었는지를 평가한다.
3.3 모델 성능 비교 및 최적 시작 실험
실증 실험은 2022년 9월에는 냉방 조건으로 5일간 수행되었고 최적 시작 예측 성능 검증은 냉방 조건에서 2019년 7월, 난방 조건에서 2019년
1월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증 실험은 외기 온도의 변화 등이 반영될 수 있도록 실제 IDU들이 작동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오전 8시를 최적 시작
타깃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시작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실내기의 최소 작동 시간은 15 min으로 설정하였으며, 최대 작동 시간은 60 min으로 설정하였다.
날짜가 변함에 따라 최적 시작이 정확하게 예측되도록 보정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T_{sp}$는 22℃로 고정된다. VRF 시스템의 최적 시작 시간
예측 모델을 현장에 적용 전 예측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Table 2의 Prediction error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Prediction error는 실제 작동 시간 길이($\Delta t_{real}$)
대비 예측된 작동 시간($\Delta t_{predicted}$)의 비율로서 계산하여 낮을수록 높은 성능을 가진 모델을 의미한다. 또한, 에너지 절감
성능 검증에서는 기존 제어 방식의 에너지 사용량($EC_{con}$) 대비 최적 시작 적용 시 에너지 사용량($EC_{opt}$)의 비율인 Energy
saving index(EI)를 사용하여 모델의 에너지 절감 성능이 검증된다. 기존 최적 시작 모델 베이스라인은 모든 기기가 타깃 시간의 1시간 전에
작동되도록 설정된다.
Table 2 Performance evaluation metrics
Evaluation metrics
|
Equation
|
Purpose
|
Prediction error
|
$Error=(\dfrac{\Delta t_{predicted}}{\Delta t_{real}}-1)\times 100(\%)$
|
Prediction error optimal start time
|
Energy saving
|
$EI=(1-\dfrac{EC_{opt}}{EC_{con}})\times 100(\%)$
|
Energy saving performance
|
4. 결과
4.1 플러그 앤 플레이 포인트 매핑 자동화 성능
테스트 과정에서는 $FV$를 가진 분류 모델에 메타데이터를 입력하여 포인트를 예측하고 자동으로 라벨링을 수행한다. 필드 계층에서는 수많은 제어 포인트가
있으므로 포인트 매핑 자동화가 적용되어 센서 포인트를 자동으로 매핑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면 건물 관리자의 업무 강도를 낮출 수 있다. Table 3은 실험에 사용한 3대의 ODU의 센서 포인트가 올바르게 매핑되었는지를 평가하는 표이다. 플러그 앤 플레이 매핑 자동화는 다양한 약어와 숫자 등이
혼합된 제어 노드가 현장에서 최적 시작 모델과 함께 운영될 EM에 포함된 제어 포인트가 대체 포인트 명으로 변경되어 모델이 구동된다.
ODU 1에 적용한 결과를 예로 들어, Current room temp, Indoor set temp라는 라벨을 사용하는 GT는 총 2개가 있을 때
모든 샘플이 올바르게 인식하고 매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ZoneTemp(IND)라는 새로운 라벨로 자동 매핑되어 최적 시작에 실내 온도 데이터가
입력된다. 최적 시작 모델에 필요하지 않아 EM에 등록하지 않은 Eva in temp 라벨은 최적 시작 모델에 필요한 포인트만 인식하는 목적에 부합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플러그 앤 플레이 포인트 매핑 자동화는 센서 포인트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관리의 대상이 되는 장치와 관련된 센서 포인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포인트 매핑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위의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다.
Table 3 Plug-and-play based automated point mapping for optimal start
Building name
|
Jinli bldg.
|
Purpose
|
Inputs of optimal start model (Designated in EM)
|
Not designated in EM
|
Original point labels
|
Current room temp
|
Indoor set temp
|
Outdoor temperature
|
Eva in temp
|
Unit number
|
GT
|
FP
|
FN
|
GT
|
FP
|
FN
|
GT
|
FP
|
FN
|
GT
|
FP
|
FN
|
ODU 1
|
2
|
0
|
0
|
2
|
0
|
0
|
2
|
0
|
0
|
1
|
-
|
-
|
ODU 2
|
3
|
0
|
0
|
3
|
0
|
0
|
3
|
0
|
0
|
1
|
-
|
-
|
ODU 3
|
3
|
0
|
0
|
3
|
0
|
0
|
3
|
0
|
0
|
1
|
-
|
-
|
Total
|
8
|
0
|
0
|
8
|
0
|
0
|
8
|
0
|
0
|
3
|
-
|
-
|
Auto mapped point labels
|
ZoneTemp(IND)
|
SetPoint(IND)
|
OutdoorTemp(ODU)
|
Not mapped
|
4.2 최적 시작 모델 실증 실험 결과
본 절에서는 플러그 앤 플레이 기반으로 매핑 자동화가 완료된 최적 시작 모델을 사용하여 최적 시작 시 에너지 절감 성능을 평가한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모델 성능 평가를 위해 기존 VRF 시스템의 작동 데이터와 모델의 예측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데이터는 2019년 여름과 겨울의 임의의 일주일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최적 시작 모델이 예측한 시간에 따라 $T_{z}$가 $T_{sp}$ 까지 정확하게 변화하는지를 검증하였다. Table 4는 모델 성능 검증 결과를 정리한 표이며, 냉방 모드에서 평균 6%의 오차 내에서 예측하며, 난방 모드에서는 평균 4% 오차 내에서 예측하므로 높은
예측 성능을 가지고 있다.
냉방에서 최적 시작의 역할은 $T_{sp}$ 보다 낮지 않은 온도로 $T_{z}$ 제어가 완료되었을 때 과소냉방을 보완하기 위해서 $T_{sp}$와
$T_{z}$ 차이만큼 조정 시간을 적용한다. 최적 시작 모델은 현장 적용 시에는 매일 $T_{oa}$ 변화에 적응을 잘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즉, 매일 $T_{oa}$가 다르더라도 스케줄 시작 시간이 되면, $T_{sp}$에 정확히 도달되는지가 검증되어야 한다. 즉, 매일 $T_{oa}$가
다르더라도 스케줄 시작 시간이 되면, $T_{sp}$에 정확히 도달되는지가 검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T_{sp}$는 22℃로 동일하게 설정하여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풍량 조건도 모두 동일한 상태로 실험이 진행되었다.
Table 4 Model performance for optimal start time length prediction
Model name
|
Error
|
Cooling condition
|
Heating condition
|
Optimal start model
|
6%
|
4%
|
Table 5는 냉방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정리한 결과이다. $T_{oa}$를 기준으로 아래의 표를 살펴보면, $T_{oa}$가 26℃인 첫 번째 날은
평균 29.3℃에서 $T_{z}$가 23.3℃으로 낮아지는데 평균 38.6분의 시간이 필요하며, $T_{oa}$가 20℃인 두 번째 날과 다섯 번째
날은 평균 27.1℃에서 21.9℃로 낮아지는 데 평균 23.5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_{oa}$가 18℃인 세 번째 날과 네 번째 날은
평균 26.7℃에서 21.7℃로 낮아지는데 평균 22.4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해서 $T_{oa}$가 낮아짐에 따라서 최적 시작
모델도 최적으로 실내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날씨에 비례하여 예측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T_{oa}$가 동일한 세 번째 날과 네
번째 날의 결과를 비교하면 예측 결과는 외부 영향에 따라서 오차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T_{oa}$의 영향으로 최적
시작 시간이 IDU 3번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한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DU이 다른 이유로는 이전 날의 제어 결과가 설정 온도인
22℃보다 낮아졌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기 위해서 작동 시간을 줄이는 결과를 도출한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IDU 6번과 IDU 7번에서도 나타나며,
IDU 6번의 경우에는 IDU 3번보다 용량이 크기 때문에 26분으로 더욱 많은 시간이 필요하도록 예측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네 번째 날에서 다섯
번째 날로 넘어갈 때에 설정 온도보다 낮아지는 상황을 반영하여 최종 $T_{z}$를 22℃로 제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IDU 7번의 경우에는
네 번째 날에서 IDU 6보다 용량이 크기 때문에 동일한 제어 결과를 도출하기까지 더욱 긴 작동 시간이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다섯 번째
날에는 $T_{z}$가 낮아지면서 과냉방을 반영하였기 때문에 22℃로 제어 결과가 도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험 조건에서 방의 위치 등의
영향으로 외부 조건이 작용하면 동일한 IDU 7과 IDU 8과 같이 용량이 동일한 실내기라고 하더라도 작동 시간이 더욱 많이 필요한 IDU 8과 같은
제어 결과가 도출되는 경우도 발견된다. 단, 최적 제어 모델은 주어진 상황이 어떤 상황이어도 그 상황에 맞는 최적 시작 시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서 실험 결과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IDU 8의 네 번째 날의 결과와 다섯
번째 날에서도 동일한 초기 $T_{z}$ 27℃에서 냉방을 시작하였더라도 작동 시간에서 IDU 7은 37분을 작동하는 반면, IDU 8은 54분을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IDU가 설치된 위치의 환경에 따라서 다섯 번째 날에는 IDU 7은 24분, IDU 8은
35분을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6의 결과는 냉방 실험을 진행함에 따라서 각 실외기 별 에너지 절감률을 정리한 표이다. 최적 시작 모델은 IDU의 작동 시간을 개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최적 시작이 모든 방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것과는 다르게 에너지 절감을 수행할 수 있다. 위의 결과를 통해서 최적 제어 시에 평균
35.5%의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5 Experimental results of optimal start
Outdoor units
|
1
|
2
|
3
|
Zone
|
1
|
2
|
3
|
4
|
5
|
6
|
7
|
8
|
Cooling capacity(kW)
|
29
|
29
|
20
|
20
|
20
|
26
|
29
|
29
|
Day 1
|
Tstart
|
30
|
30
|
29
|
28
|
30
|
29
|
29
|
29
|
Tocc
|
24
|
24
|
21
|
22
|
23
|
25
|
23
|
24
|
Toa
|
26
|
Optimal minutes
|
46
|
42
|
32
|
37
|
31
|
37
|
44
|
40
|
Day 2
|
Tstart
|
27
|
29
|
28
|
27
|
28
|
28
|
28
|
29
|
Tocc
|
23
|
22
|
22
|
22
|
22
|
21
|
22
|
22
|
Toa
|
20
|
Optimal minutes
|
59
|
59
|
34
|
36
|
44
|
43
|
55
|
59
|
Day 3
|
Tstart
|
27
|
27
|
26
|
27
|
28
|
27
|
27
|
28
|
Tocc
|
22
|
22
|
21
|
22
|
22
|
21
|
22
|
22
|
Toa
|
18
|
Optimal minutes
|
59
|
56
|
13
|
16
|
27
|
26
|
37
|
54
|
Day 4
|
Tstart
|
26
|
26
|
25
|
25
|
27
|
27
|
27
|
27
|
Tocc
|
22
|
21
|
21
|
22
|
22
|
21
|
21
|
22
|
Toa
|
18
|
Optimal minutes
|
59
|
56
|
19
|
16
|
27
|
26
|
37
|
54
|
Day 5
|
Tstart
|
26
|
26
|
25
|
25
|
27
|
27
|
26
|
27
|
Tocc
|
22
|
22
|
22
|
21
|
22
|
22
|
22
|
22
|
Toa
|
20
|
Optimal minutes
|
38
|
59
|
9
|
14
|
13
|
24
|
24
|
35
|
Table 6 Average energy saving results of optimal start
Experimental Days
|
Conditions
|
Cooling conditions
|
ODU 1
|
ODU 2
|
ODU 3
|
Day 1
|
31.5%
|
25%
|
25%
|
Day 2
|
37.5%
|
31.5%
|
19%
|
Day 3
|
44%
|
44%
|
37.5%
|
Day 4
|
-
|
44%
|
37.5%
|
Day 5
|
-
|
44%
|
44%
|
Experimental average
|
35.5%
|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플러그 앤 플레이 포인트 매핑 자동화 기반 VRF 시스템의 최적 시작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최적 시작 모델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냉방
조건에서 실증을 진행하였다. VRF 시스템은 특히 개별 방마다 냉매량을 분리하여 실내를 냉난방하는 방식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최적 시작 시간
예측 제어 값이 주어진 환경에 따라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향후 연구들에 대해서는 현장의 다양한 상황 발생에 유연하게 대응 가능한 모델 배포 방식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플러그 앤 플레이 자동
매핑 분류 모델의 검증 과정에서는 최적 시작 모델 구동에 필요한 센서 라벨의 원본 표현이 대체 표현으로 올바르게 변환하는가를 평가하며 수많은 센서
노드를 소수의 관리자가 수동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기존의 포인트 관리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였다. 지능형 건물 운용 시에는
최적 시작과 같은 건물 에너지 관리용 모델을 단시간에 배포해야 하므로 플러그 앤 플레이 포인트 매핑 자동화를 적용함으로써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검증 과정에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최적 시작 모델에 필요한 센서만을 정확하게 자동으로 매핑하기 때문에 관리자는 포인트 매핑에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에너지 평형식에서 파생되어진 데이터 기반 최적 시간 모델의 에너지 절감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작동 데이터를
사용하여 높은 예측 성능으로 최적 가동 시작 시간을 예측하는 것이 검증되었으며, 냉방에서는 6%, 난방에서는 4%의 오차 이내에 예측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최적 시작 모델의 에너지 절감 성능은 냉방 조건에서 운전하였을 때 모든 IDU가 동일한 시간에 사전 냉방을 시작한 것 대비
35.5%의 에너지 절감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후 기
이 논문은 2023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22-0-00591, 디지털트윈
환경에서 센서 음영구역을 해소하기 위한 가상센서 프레임워크 기술 개발).
이 논문은 2023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2021R1F1A1063161)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2017, Commercial Buildings Energy Consumption
Suvrvey 2017., U.S Survey 2016. U.S. Department of Energy, Washington, D.C. Last accessed
in July 2018.
Sofos, M., Langevin, J. T., Deru, M., Gupta, E., Benne, K. S., Blum, D., ... and Widergren,
S., 2020, Innovations in sensors and controls for building energy manage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opportunities report for emerging technologies.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NREL), Golden, CO (United States).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and Korea Energy Agency, 2018, 2017 Energy Consumption
Survey,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egi, N., Piette, M. A., Watson, D. S., Kiliccote, S., and Xu, P., 2007, Introduction
to Commercial Building Control Strategies and Techniques for Demand Response,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Berkeley, LBL-59975.
Zhao, P., Suryanarayanan, S., and Simoes, M. G., 2013, An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Structures Using a Multi-Agent Decision-Making Control Methodology,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49, No. 1, pp. 322-330.
Yin, R., Xu, P., Piette, M. A., and Kiliccote, S., 2010, Study on auto-DR and pre-cooling
of commercial buildings with thermal mass in California, Energy and Buildings, Elsevier,
Vol. 42, pp. 967-975.
Michaël KUMMERT, Philippe ANDRÉ, Jacques NICOLAS, 1999, Building and HVAC optimal
control simulation, Application to an office building.
Liu, M., Claridge, D. E., and Turner, W. D., 2003, Continuous CommissioningSM of Building
Energy Systems. ASME Journal of Solar Energy Engineering, Transactions of the ASME,
Special Issue on Emerging Trends in Building Design, Diagnosis and Operation, Vol.
125, No. 3, pp. 275-281.
Yang, I. H., 2010,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to Predict the
Optimal Pre-cooling Time in Office Buildings,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Vol. 9, No, 2, pp. 539-546.
Mills, E., 2011, A Golden Opportunity for Reducing Energy Costs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United States, Energy Efficiency Vol. 4, pp. 145-173.
Xu, B., Zhou, S., and Hu, W., 2017, An intermittent heating strategy by predicting
warm-up time for office buildings in Beijing, Energy and buildings, Vol. 155, pp.
35-42.
Kwon, L., Hwang, Y., Radermacher, R., and Kim, B., 2012, Field performance measurements
of a VRF system with sub-cooler in educational offices for the cooling season, Energy
and Buildings, Vol. 49, pp. 300-305.
Tang, R., Wang, S., Shan, K., and Cheung, H., 2018, Optimal control strategy of central
air-conditioning systems of buildings at morning start period for enhanced energy
efficiency and peak demand limiting, Energy Vol. 151, pp. 771-781.
Raveendranathan, N. and Loseu, V., 2009, Implementation of virtual sensors in body
sensor networks with the SPINE framework, 2009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dustrial
Embedded Systems. IEEE.
Sun, Y., Wang, S., and Huang, G., 2010, Model-based optimal start control strategy
for multi-chiller plants in commercial buildings, Building Serv. Eng. Res. Technol.,
Vol. 31, pp. 113-129.
Wang, W., Brambley, M. R., and Kim, W., 2018, Automated point mapping for building
control systems: Recent advances and future research needs,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85 pp. 107-123.
Aghemo, C., Blaso, L., and Pellegrino, A., 2014, Building automation and control systems:
A case study to evaluate the energy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s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in offices,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43, pp. 10-22.
Balaji, B., Verma, C., Narayanaswamy, B., and Agarwal, Y., 2015, Zodiac: Organizing
large deployment of sensors to create reusable applications for buildings, In Proceedings
of the 2nd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bedded systems for energy-efficient built
environments, pp. 13-22.
Leonardi, F., Reeve, H., Wagner, T., Xiong, Z., and Park, J., 2016, Assisted point
mapping to enable cost-effective deployment of intelligent building applications,
Purdue university, docs.lib.purdue.edu.
Hao, H., Corbin, C. D., and Kalsi, K., 2016, Transactive control of commercial buildings
for demand response,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Vol. 32, No. 1, pp. 774-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