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입출력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입출력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IBM Statistics SPSS 26을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입력변수는 집열부의 온도, 유량데이터(Tin,f,c, Tout,f,c, Ff,c, Tin,e,c, Tout,e,c, Fe,c)와 축열부의
온도, 유량데이터(Tin,f,s, Ff,s, Tin,e,s·Tout,f,s, Tout,e,s, Fe,s)로 나뉜다. 그 중 Tin,f,c, Tin,e,c,
Tout,e,c, Tout,e,s 변수는 출력변수인 Solar stored energy와의 상관관계가 0.1 이하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Humidity,
Tout,f,c, Ff,c, Tin,f,s, Tin,e,s·Tout,f,s 변수 또한 -0.295, 0.142, 0.108, -0.206, -0.114로
다소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에 반해 Fe,c, Ff,s, Fe,s 변수는 0.407, 0.414, 0.456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였고 Horizontal insolation,
Slope surface insolation 변수는 0.840, 0.929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통해 Humidity,
Tin,f,c, Tin,e,c, Tin,f,s, Tin,e,s·Tout,f,s, Tout,e,s 변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그 값이 클수록 Solar
stored energy의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Horizontal insolation, Slope surface insolation,
Tout,f,c, Ff,c, Tout,e,c, Fe,c, Ff,s, Fe,s 변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그 값이 클수록 Solar stored
energy의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Table 6은 태양열 시스템의 집열부, 축열부의 입출구온도와 유량의 변수를 열량으로 계산하여 Solar stored energy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표이다.
계산된 평판형 집열량, 진공관형 집열량, 평판형 축열량, 진공관형 축열량은 각각 0.919, 0.884, 0.804, 0.408로 Solar stored
energy와의 상관관계가 높음을 나타냈다. 온도와 유량 데이터가 상관성은 떨어졌지만 식(6)을 통해(38) 계산된 집열량과 축열량의 경우 상관성이 높기 때문에 각각을 입력변수로 사용했다.
Table 5 Correlation analysis using PCC between input and output variables
|
Humidity
|
Horizontal insolation
|
Slope surface insolation
|
Tin,f,c
|
Tout,f,c
|
Ff,c
|
Tin,e,c
|
Solar stored energy(r)
|
-0.295
|
0.840
|
0.929
|
-0.096
|
0.142
|
0.108
|
-0.071
|
|
Tout,e,c
|
Fe,c
|
Tin,f,s
|
Ff,s
|
Tin,e,s·Tout,f,s
|
Tout,e,s
|
Fe,s
|
Solar stored energy(r)
|
0.077
|
0.407
|
-0.206
|
0.414
|
-0.114
|
-0.092
|
0.456
|
Table 6 Correlation analysis using PCC between calculated variables
|
Flat plate type collection
|
Evacuated tube type collection
|
Flat plate type
stored energy
|
Evacuated tube type stored energy
|
Solar stored energy(r)
|
0.919
|
0.884
|
0.804
|
0.4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