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석사과정 (M.S. Student,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Architecture, Korea Univ. Seoul, 0284, Korea)
  2.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박사과정 (Ph.D. Student,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Architecture, Korea Univ. Seoul, 0841, Korea)
  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시스템연구실 선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Renewable Energy System Laboratory,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Daejeon, 4129, Korea)
  4.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연구교수 (Research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e, College of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Seoul, 0281, Korea)
  5.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e, College of Engineering, Korea Univ., Seoul, 02841, Korea)



인공신경망, 머신러닝, 태양열 집열기, 태양열 에너지, 태양열 시스템
Artificial neuron network, Machine learning, Solar collector, Solar thermal energy, Solar thermal system

기호설명

$r_{XY}$: 피어슨 상관계수
$X_{k}$: 입력데이터
$\overline{X}$: 입력데이터의 평균
$Y_{k}$: 출력데이터
$\overline{Y}$: 출력데이터의 평균
$y_{k}$: 시뮬레이션 예측값
$\hat{y_{k}}$: 실제 측정값
$n$: 데이터 수
Q: 열량
m: 유량
C: 정압비열
Ti: 입구유체온도[℃]
To: 출구유체온도[℃]
Tin,f,c : 집열부 평판형 입수온도[℃]
Tout,f,c: 집열부 평판형 출수온도[℃]
Ff,c: 집열부 평판형 유량[LPM]
Tin,e,c: 집열부 진공관형 입수온도[℃]
Tout,e,c: 집열부 진공관형 입수온도[℃]
Fe,c: 집열부 진공관형 유량[LPM]
Tin,f,s: 축열부 평판형 입수온도[℃]
Ff,s: 축열부 평판형 유량[LPM]
Tout,e,s: 축열부 진공관형 출수온도[℃]
Tout,f,s: 축열부 평판형 출수온도[℃]
Tin,e,s: 축열부 진공관형 입수온도[℃]
Fe,s: 축열부 진공관형 유량[LPM]

1. 서 론

경제적 성장과 삶의 질이 향상되고 에너지 수요량과 온실가스의 증가로 인해 지구 온난화가 가속되었으며, 이는 기후 변화로 이어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절감 문제가 크게 이슈화되고 있다.(1)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는 전 세계 최종 에너지소비의 약 30%로 상당히 높은 차지 비율을 차지하며(2), 또한 전 세계 CO2 배출량 중 8% 이상 건축물로부터 발생한다.(3) 실제로 미국에너지 관리청(EIA : U. 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에 따르면, 2050년까지 30년간 전 세계적으로 약 50%의 에너지 소비 증가가 예상되고 있으며(3) 에너지 사용량 증가와 함께 탄소 배출량도 증가할 전망이다.(4)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고 각 분야에서 신재생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5)

신재생 에너지는 지속적으로 재생되는 자연 에너지원에서 얻어진 청정에너지로, 석유, 가스, 화석 연료 등의 유한 자원 대신 사용될 수 있다.(6) 지구는 다양한 종류의 신재생 에너지(풍력, 지열, 바이오, 연료전지, 수소, 태양 에너지 등)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태양 에너지는 풍부한 자원으로 태양광, 태양열 시스템 등에 활용되고 있다.(7,8) 특히 태양열 에너지는 난방 및 온수를 대체하는 데 경제적으로 이용될 수 있지만, 패널의 방향 및 위치, 그리고 기상 조건에 따라 성능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9) 따라서 태양열 시스템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예측을 위한 연구는 신재생 에너지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한편, 최근 건축설비 분야에서는 Deep learning과 Machine learning 등 인공지능 기술이 활용되어 설비 시스템 성능 예측 및 평가 등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10) 이 중 인공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s)을 이용한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11) ANN은 입력값을 입력받은 후 출력값을 생성하며, 일반적으로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으로 구성된다. 입력층은 데이터를 입력받아 은닉층에서 복잡한 계산을 수행하고, 최종 출력 값을 출력층에서 반환한다. ANN은 학습을 통해 입력데이터와 출력데이터 간의 관계를 학습한다. 이를 위해 일련의 학습데이터를 사용하여 인공신경망의 가중치와 바이어스 값을 조정하면서 출력 값과 원하는 값 사이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학습한다. 이후 학습된 모델은 새로운 입력에 대한 예측을 수행한다.(12)

Dikmen et al.(13)은 집열기 주변온도, 일사량, 집열기 경사각, 및 평균 저장 탱크 온도에 따라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의 열성능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ANN 및 ANFIS(Adaptive Neural Network based Fuzzy Inference System)를 사용하였으며 예측성능은 ANN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Osorio et al.(14)은 Deep Operator Network와 LSTM(Long Short Term Memory)을 사용하여 태양열 시스템의 충전 상태와 효율성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Deep operator network가 LSTM보다 20분 동안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3일 반절 동안을 예측하였을 때 표준편차 2.0% 미만으로 더 높은 정확도를 가졌다.

Caner et al.(15)은 ANN을 사용하여 터키 Karabuk에서 두 가지 유형의 태양열 집열기 열성능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Zigzagged absorber surface type을 ModelI, Flat absorber surface type을 ModelII로 지정하였으며, 예측모델의 성능은 MAE(0.9879), RMSE(1.73%)로 분석되었다. Jarimi et al.(16)은 ANN을 이용하여 이중 유체 PV/T(Photovoltaic Thermal) 수집기의 성능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기모드, 수중모드, 동시모드의 PV/T 효율에 대한 제곱 평균 제곱근 오차 RMSE의 값은 각각 0.0069, 3.971, 2.6338로 나타났고, ANN 예측모델의 결과는 실험값과의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Yaïci and Entchev(17)는 ANN을 사용하여 가정용 온수 및 난방 분야에 사용되는 STES(Solar thermal energy system)의 성능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데이터는 13개 Case로 구성되어 Preheat water tank stratification temperatures와 Solar fractions of the STES를 예측했고, 예측값은 각각 ±3%, ±10% 오차 이내의 높은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여주었다. Xie et al.(18)은 중국 베이징 과학기술대학에서 ANN을 사용하여 태양열 집열기 성능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베이징의 기상조건을 사용하여 태양열 집열기의 효율 및 가열 용량을 예측하였고, RMSE와 COV는 0.0075, 0.3384로 나타나 ANN 예측모델의 높은 예측성을 보여주었다. Kalogirou(19)는 ANN을 활용하여 스위스 SPF연구소에서 평판형 집열기의 성능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바람 및 무풍의 조건에서의 6개의 ANN 모델이 개발되었고 이 모델들을 통해 속도와 단순성이 향상되어 성능 매개변수 예측에 성공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위와 같이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인공지능을 통한 태양열 예측과 관련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나 이는 단순 태양열 집열기 성능 예측만을 진행했거나 개발된 예측모델을 실제 사례에 적용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물 난방부하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태양열 축열량 활용을 위해 실제 친환경에너지타운 사례의 태양열 시스템 데이터를 기반으로 ANN을 활용하여 태양열 축열량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ANN 예측모델 개발 과정 및 시행착오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며 추후 태양열 축열량 제어 알고리즘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2.1 대상지 선정

충청북도 진천군에 위치한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은 범정부차원에서 진행된 친환경 에너지 사업의 일환으로 친환경 에너지 설비를 통해 지역의 에너지 생산기지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ig. 1은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의 배치현황을 나타낸다. 연면적은 72,000 m2이며 보건소, 어린이집, 도서관, 문화의집, 고등학교, 통합제어관리실 등의 시설이 있다. 전기 에너지는 태양광과 연료전지를 통해 생산이 된다. 태양광발전설비의 경우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주차장, 각 건물의 지붕, 운동장 등에 설치되었으며 설치 면적은 4,467 m2, 용량은 750 kW이다. 태양열 집열기의 경우 난방 및 온수 생성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보조 열원으로 히트펌프 3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계간축열조의 지열, 하수열, 잔열을 이용하여 운전한다.(20)

Fig. 1 Layout of Jincheon eco-friendly Energy Town.(20)
../../Resources/sarek/KJACR.2024.36.1.18/fig1.png

2.2 시스템 제어방식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에 설치된 태양열 집열기는 진공관형과 평판형으로 구분되며, 각각 약 800 m2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 중, 평판형 집열기는 저온 영역에서 높은 집열 효율을 보이고, 진공관형 집열기는 고온 영역에서 효율이 높아 2가지 종류를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집열기에서 생산된 열은 높이 10 m, 4,000 m3의 계간축열조에 저장된 후, 중앙 공급 방식을 통해 각 건물에 공급된다. 태양열 시스템은 집열부와 축열부로 나뉘며 이는 Fig. 2와 같다. 집열매체는 물, 축열매체는 브라인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집열펌프와 축열펌프는 다른 조건에서 제어된다. 그중 집열펌프는 일사량을 동작조건으로 하며 기준은 0.4 kWh/m2 이상인 경우이다. 축열펌프의 경우에는 축열부의 진공관형 집열기의 출구온도와 집열부의 평판형 집열기의 입구온도의 차가 5℃ 이상일 때 작동된다. 또한 축열매체 온도는 계간축열조에서 각 건물에 공급하는 최저온도인 50℃ 이상이다.(21)

Fig. 2 Schematic diagram of the solar thermal system using two types of collector.
../../Resources/sarek/KJACR.2024.36.1.18/fig2.png

2.3 상관관계(PCC: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

ANN 예측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에는 매개변수 간의 관계를 결정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PCC(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분석을 이용하였다. PCC분석은 두 변수 간의 선형적 상관관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통계적 방법으로, 연구에서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이 계수는 -1에서 1사이의 값으로 나타나며, +1, -1은 각각 양의 선형 상관관계, 음의 선형 상관관계를 가진다. 값이 0에 가까울수록 상관관계가 적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관관계를 계산하는 식(1)은 다음과 같다.(22)

(1)
$r_{XY}=\dfrac{\sum(X_{k}-\overline{X})\sum(Y_{k}-\overline{Y})}{\sqrt{\sum(X_{k}-\overline{X})^{2}}\sqrt{\sum(Y_{k}-\overline{Y})^{2}}}$

2.4 프로그래밍 언어 선정 및 개발 환경 구축방법

본 연구에서는 ANN 예측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Python 언어를 활용하였다. Python은 개발자들이 코드를 쉽게 이해하고 수정할 수 있는 특징을 갖추고 있으며, 더불어 풍부한 라이브러리들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을 쉽게 불러와 모델 개발이 용이하다.(23) 인공지능 개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Anaconda 플랫폼을 활용하였다. Anaconda는 패키지 관리와 배포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설계된 플랫폼으로, 가상 환경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버전 의존성이 민감한 인공지능 라이브러리 관리에 매우 유용하다.(24) 본 연구에서 활용한 라이브러리 중 하나인 Keras는 딥러닝 모델을 쉽게 구축하고 학습시키기 위한 파이썬 기반의 고수준 API이다. Keras는 다양한 모델 구조와 레이어를 지원하며 활성화 함수, 최적화 알고리즘, 손실 함수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25) 또한 Tensor Flow는 그래프 기반 계산, 다양한 플랫폼 지원, 유연한 모델 구성, 분산 학습 및 배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26)

2.5 예측모델 성능 지표

ANN 예측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Cv(RMSE)(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Root Mean Squared Error)를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ASHRAE Guideline 14에서 권장하는 방법으로, 오차율 검증에 대한 신뢰성이 높으며, 시간 단위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30% 이내의 오차가 허용된다.(27) Cv(RMSE)의 계산은 식(2)과 같이 수행하였다.(28) 이를 통해 ANN 예측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신뢰성 있게 평가할 수 있다.

(2)
$Cv(R MSE)=\dfrac{\sqrt{\dfrac{\sum_{k=1}^{n}\left(y_{k}-\hat{y}_{k}\right)^{2}}{n}}}{\dfrac{\sum_{k=1}^{n}y_{k}}{n}}*100(\% )$

NMBE(Normalized mean bias error)는 예측값과 실측값 사이의 편향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모델의 예측이 실측값과 비슷할수록 NMBE의 값은 0에 가깝다. ASHRAE Guideline 14에 의하면 시간 단위데이터를 활용하는 모델에서 -10%<NMBE<10% 이내의 오차가 허용되며 NMBE의 계산식은 식(3)과 같다.(29)

(3)
$NMBE=\dfrac{\sum_{k=1}^{n}\left(y_{k}-\hat{y}_{k}\right)}{\sum_{k=1}^{n}y_{k}}*100(\% )$

R2(R-Square)는 예측모델을 통해 예측된 값과 실측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상관관계가 높고 0에 가까울수록 낮다.(30) ASHRAE Guideline 14에 의하면 0.8 이상을 적정 기준으로 하며 계산식은 식(4)와 같다.(29)

(4)
$R^{2}=1-\dfrac{\sum_{k=1}^{n}\left(\hat{y_{k}}-y_{k}\right)^{2}}{\sum_{k=1}^{n}\left(\dfrac{\sum_{k=1}^{n}y_{k}}{n}-y_{k}\right)^{2}}$

3. 인공지능 모델 개발

3.1 학습데이터 구축방법

본 연구에서는 진천 친환경 에너지 타운으로부터 2019년 8월 1일부터 2020년 7월 31일까지 1시간 단위의 외기습도, 수평면 일사량, 경사면 일사량, 집열부와 축열부의 온도와 유량데이터, 태양열 축열량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수는 총 8,784개를 수집하였으며 그중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는 시간과 각 변수당 태양열 축열량이 0이 시간을 제외하였다. 2020년 1월부터 7월까지 1203개 데이터를 학습데이터로 활용했고, 2019년 8월부터 12월까지 668개 데이터를 테스트 데이터로 구축하였다. ANN 예측모델의 Input/Output은 Table 1과 같다. Table 2는 태양열 축열량을 6개 구간으로 분류한 학습 데이터의 구성비를 나타낸다.

Table 1 Input/output variables

Input variable

Output variable

Humidity[%]

Solar stored energy[kWh]

Horizontal insolation[kWh/m2]

Slope surface insolation[kWh/m2]

Tin,f,c[℃]

Tout,f,c[℃]

Ff,c[LPM]

Tin,e,c[℃]

Tout,e,c[℃]

Fe,c[LPM]

Tin,f,s[℃]

Ff,s[LPM]

Tin,e,s·Tout,f,s[℃]

Tout,e,s[℃]

Fe,s[LPM]

Table 2 Learning data ratio by solar stored energy interval

𝐱≤5𝟎

5𝟎<𝒙≤100

10𝟎<𝒙≤150

15𝟎<𝒙≤200

20𝟎<𝒙≤250

𝒙>250

Data(%)

12

11

17

16

21

22

3.2 데이터 정규화 방법

데이터 정규화는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인공신경망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변수들 간 척도가 다를 때 데이터의 범위를 일정하게 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규화 방법 중 MinMaxScaler를 사용하여 데이터 정규화를 진행하였다. MinMaxScaler는 데이터의 최대, 최솟값을 이용하여 0과 1 사이의 값으로 범위를 일정하게 하는 정규화 방법이며 계산식은 식(5)와 같다.(31,32) 본 연구의 Input/Output 변수들의 최대, 최솟값의 범위는 Table 3과 같이 설정하였다. 정규화 전에는 데이터의 범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 예측에 어려움이 있지만 정규화 후에는 0과 1 사이에 데이터가 균일하게 분포하게 되어 척도를 일정하게 조정하여 예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x_{i}=\dfrac{x-x_{\min}}{x_{\max}-x_{\min}}$
Table 3 Normalization range

Humidity[%]

Horizontal insolation

[kWh/m2]

Slope surface insolation

[kWh/m2]

Tin,f,c[℃]

Tout,f,c[℃]

Min

20

0

0

20

20

Max

100

1.2

1.2

100

100

Ff,c[LPM]

Tin,e,c[℃]

Tout,e,c[℃]

Fe,c[LPM]

Tin,f,s[℃]

Min

300

30

30

300

30

Max

600

100

100

600

100

Ff,s[LPM]

Tin,e,s·Tout,f,s[℃]

Tout,e,s[℃]

Fe,s[LPM]

Solar stored energy[kWh]

Min

200

40

40

400

0

Max

1200

100

100

1200

400

3.3 ANN 예측모델 구축 및 최적화

본 연구에서는 ANN 예측모델을 구성하기 위해 3.1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2020년 01~07월 데이터를 학습 및 검증데이터(8:2)로, 2019년 08~12월 데이터를 테스트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Table 4는 모델에 적용된 Hyperparameter를 나타낸다. Initializer는 인공신경망에서 가중치와 편향을 초기화하는 방법이다. 그중 GlorotNormal은 입력과 출력의 연결 수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적절하게 초기화하고 모델의 속도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tivation function은 인공신경망에서 입력값을 받아 뉴런의 출력값을 계산하는 함수이다. 그중 Relu 함수는 입력값이 양수면 그대로 출력하고, 음수일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Sigmoid 함수는 입력값을 0과 1 사이의 값으로 압축하여 출력한다.(33) MSE는 Loss 함수 중 하나로, 예측값과 실측값 사이의 제곱 오차의 평균을 계산하는 함수이다.(34) Accuracy는 분류 문제에서 주로 활용되는 Metrics 중 하나로, 예측값이 실측값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계산하여 전체 샘플 중 올바르게 분류된 샘플의 비율을 나타낸다.(35) Optimizer는 모델의 학습 과정에서 손실 함수를 최소화하고 가중치의 최적값을 찾는 데 사용된다. 그중 Adam은 Gradient의 변동을 고려하여 학습률을 조정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모델에 대해 빠르고 안정적인 학습을 지원한다.(36) Early stop은 Callback 함수 중 하나로 학습 과정에서 모델의 성능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학습을 종료시킨다. reduceLR은 학습 과정에서 학습률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함수이다.(37) 최적화된 ANN 예측모델의 아키텍처는 Fig. 3과 같이 Hidden layer 3개 층에서 각층의 뉴런 개수가 10, 10, 15이고 Batch size는 12 일 때, Validation data-set은 Cv(RMSE)=8%, 최종 Test data-set는 Cv(RMSE)=11.69%, NMBE = -1.21%, R2=0.933의 성능을 나타냈으며 이는 ASHRAE Guideline 2014에서 권장하는 조건을 충족하였다.

Table 4 Hyperparameter of ANN model

Hyperparameter

Value

Initializer

GlorotNormal

Activation func

Relu, Sigmoid

Loss

MSE

Metrics

Accuracy

Optimizer

Adam(Learning rate = 0.0001)

Batch size

12

Hidden layer

3

Neuron

10, 10, 15

Epoch

100

Callback func

Early_stop, reduceLR

Fig. 3 Architecture of optimal ANN model.
../../Resources/sarek/KJACR.2024.36.1.18/fig3.png

4. 결과 및 분석

4.1 입출력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입출력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IBM Statistics SPSS 26을 활용하였으며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입력변수는 집열부의 온도, 유량데이터(Tin,f,c, Tout,f,c, Ff,c, Tin,e,c, Tout,e,c, Fe,c)와 축열부의 온도, 유량데이터(Tin,f,s, Ff,s, Tin,e,s·Tout,f,s, Tout,e,s, Fe,s)로 나뉜다. 그 중 Tin,f,c, Tin,e,c, Tout,e,c, Tout,e,s 변수는 출력변수인 Solar stored energy와의 상관관계가 0.1 이하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Humidity, Tout,f,c, Ff,c, Tin,f,s, Tin,e,s·Tout,f,s 변수 또한 -0.295, 0.142, 0.108, -0.206, -0.114로 다소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에 반해 Fe,c, Ff,s, Fe,s 변수는 0.407, 0.414, 0.456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였고 Horizontal insolation, Slope surface insolation 변수는 0.840, 0.929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통해 Humidity, Tin,f,c, Tin,e,c, Tin,f,s, Tin,e,s·Tout,f,s, Tout,e,s 변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그 값이 클수록 Solar stored energy의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Horizontal insolation, Slope surface insolation, Tout,f,c, Ff,c, Tout,e,c, Fe,c, Ff,s, Fe,s 변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그 값이 클수록 Solar stored energy의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Table 6은 태양열 시스템의 집열부, 축열부의 입출구온도와 유량의 변수를 열량으로 계산하여 Solar stored energy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표이다. 계산된 평판형 집열량, 진공관형 집열량, 평판형 축열량, 진공관형 축열량은 각각 0.919, 0.884, 0.804, 0.408로 Solar stored energy와의 상관관계가 높음을 나타냈다. 온도와 유량 데이터가 상관성은 떨어졌지만 식(6)을 통해(38) 계산된 집열량과 축열량의 경우 상관성이 높기 때문에 각각을 입력변수로 사용했다.

(6)
$Q=m*C*(T_{i}-T_{o})$
Table 5 Correlation analysis using PCC between input and output variables

Humidity

Horizontal insolation

Slope surface insolation

Tin,f,c

Tout,f,c

Ff,c

Tin,e,c

Solar stored energy(r)

-0.295

0.840

0.929

-0.096

0.142

0.108

-0.071

Tout,e,c

Fe,c

Tin,f,s

Ff,s

Tin,e,s·Tout,f,s

Tout,e,s

Fe,s

Solar stored energy(r)

0.077

0.407

-0.206

0.414

-0.114

-0.092

0.456

Table 6 Correlation analysis using PCC between calculated variables

Flat plate type collection

Evacuated tube type collection

Flat plate type

stored energy

Evacuated tube type stored energy

Solar stored energy(r)

0.919

0.884

0.804

0.478

4.2 ANN 예측모델 예측성능 분석

본 연구에서 개발한 ANN 예측모델의 성능 분석을 위해 여러 예측성능지표 사용하였다. R2는 실측값에 대한 예측값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한 통계 방법 중 하나이며 높은 연관성을 나타낼수록 그 값은 1에 가깝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ANN 예측 모델의 R2는 대략 0.933으로 ASHRAE Guideline 2014 권장 기준 0.8보다 높은 예측성능을 보였으며 이는 Fig. 4와 같다.

Fig. 5는 예측값과 실측값의 차를 나타내며, 그래프를 통해 예측값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NMBE는 음의 값을 나타낼 때, 예측값이 실측값 보다 작은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ANN 예측모델의 NMBE는 -1.21%로 ASHRAE Guideline 2014 권장 기준 ±10% 이내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으며 그 값이 상당히 작았다. 따라서 예측값과 실측값의 차이는 음의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대략 51%로 그 비율은 상당히 미미하였기 때문에 모델의 균형이 잘 이루어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전체 데이터 대비 82%가 ±20 kWh 이내로 상당히 낮은 예측 오차를 나타냈다. 이외 ±20 kWh초과 ±40 kWh 이하는 15%를 차지하였으며 ±40 kWh 초과는 3%의 데이터 비율을 나타냈다. 18%에 해당하는 예측 오차의 경우, 실측 중에 발생한 기기의 운영 오류와 이상치 데이터로 인한 악영향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4 Correlation between actual solar stored energy and predicted solar stored energy.
../../Resources/sarek/KJACR.2024.36.1.18/fig4.png
Fig. 5 Analysis of prediction data bias.
../../Resources/sarek/KJACR.2024.36.1.18/fig5.png

4.3 태양열 축열량 구간별예측 오차율 분석

본 연구에서 개발한 ANN 예측모델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태양열 축열량 구간에 따른 예측 성능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Fig. 6은 태양열 축열량 구간별 실측값과 ANN 예측모델을 통해 예측값의 상자 수염 그림(Box-and-whisker) 그래프를 나타내며 파란색 박스는 실측값, 빨간색 박스는 예측값을 나타낸다.

태양열 축열량이 50 kWh 초과 구간일 때 Cv(RMSE)는 평균 10.9%로 높은 예측도를 나타냈지만 50 kWh 이하의 구간에서는 약 52%로 예측정확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예측 정확도가 떨어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3.1절의 학습데이터 비율에서 알 수 있듯 태양열 축열량 50 kWh 이하 데이터 비율은 약 12%로 다른 구간에 비해 구성비가 적다. 이는 충분한 학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예측성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데이터 측정과정에서 시스템 오류로 인한 이상치 데이터 때문이다. Fig. 7은 태양열 축열량이 50 kWh 이하, 50 kWh 초과 구간의 수평면 일사량을 나타낸 그림이다. 2.2절에 언급한 바와 같이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의 집열펌프의 동작조건은 일사량이 0.4 kW/m2일 때 작동한다. 하지만 Fig. 7에서 수평면 일사량이 0.4 kWh/m2 이하일 때를 보면, 태양열 축열량 50 kWh 초과인 그래프(b)에서는 전체의 약 2%의 데이터가 측정되었지만, 50 kWh 이하 그래프(a)에는 전체의 약 52%가 측정되었다. 셋째, 계절에 따른 태양열 축열량 차이 때문이다. 50 kWh 초과 그래프(b)에서는 수평면 일사량과 태양열 축열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지만 50 kWh 이하 그래프(a)의 경우 수평면 일사량에 따른 태양열 축열량의 관계는 다소 낮다. 특히 두 그래프에서 나타나듯이 동일한 수평면 일사량 구간인 0.2 ~ 0.6 kWh/m2에서 태양열 축열량의 차이를 나타낸다. 일사량의 경우 계절이 아닌 운량, 건축물의 환경, 날씨 등에 따라 값의 차이가 발생하지만, 태양열 축열량의 경우 계절에 따른 외기온도, 습도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Fig. 6 Analysis of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an ANN for solar stored energy.
../../Resources/sarek/KJACR.2024.36.1.18/fig6.png
Fig. 7 Analysis of solar stored energy and horizontal insolation in the section.
../../Resources/sarek/KJACR.2024.36.1.18/fig7.png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건물 난방부하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태양열 축열량 활용을 위해 ANN을 활용한 태양열 축열량 예측모델을 개발을 진행하였다. ANN 예측모델 개발을 위해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으로부터 2019년 8월 1일부터 2020년 7월 31일까지 1시간 단위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데이터 구축하였다. 또한 인공지능 개발언어 중 하나인 Python과 딥러닝 모델 라이브러리인 Keras와 Tensor Flow를 사용하여 ANN 예측모델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IBM Statistics SPss 26을 활용하여 14개의 입력변수와 1개의 출력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한 결과, Fe,c, Ff,s, Fe,s 그리고 Horizontal insolation, Slope surface insolation을 제외한 나머지 변수의 상관관계는 크게 떨어진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해당 변수들은 집열량 및 축열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입력변수로 사용했으며 우수한 예측 성능을 나타낼 수 있었다.

(2) ANN 예측모델은 3가지 성능지표를 통해 예측성능 분석을 진행한 결과 Cv(RMSE)=11.69%, R2=0.933로 상당히 높은 예측 성능을 보였다. 특히 NMBE의 경우 -1.21%로 예측값이 실측보다 작은 경향성을 보였으나 모델의 균형이 잘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ASHRAE Guideline 2014에서 권장하는 조건을 충족하였다.

(3) 태양열 축열량에 따른 예측성능 비교 결과, 대략 축열량이 50 kWh 초과인 구간의 경우 Cv(RMSE)는 평균 10.9%로 높은 예측도를 나타냈으나 50 kWh 이하 구간의 예측률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는 태양열 축열량 구간별 학습데이터의 비율 및 계절별 태양열 축열량의 차이 그리고 실측과정에서 발생한 작동 스케줄 오류로 인한 이상치 데이터로 인해 예측성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ANN 모델 성능 개선을 위해 이상치 데이터를 보완하고 실제 건물 부하와 결합을 통해 에너지 최적 운영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한다.

후 기

이 연구는 2023년도 산업통상자원부 및 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20014154). 그리고, 2023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RS-2023-00217322).

References

1 
Le Quéré, C., Andrew, R. M., Friedlingstein, P., and Zhu, D., 2018, Global Carbon Budget 2017, Earth System Science Data, Vol. 10, No. 1, pp. 405-448.DOI
2 
EIA, 2021,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21, Available: https://www.eia.gov/outlooks/ieo/.URL
3 
IEA, 2022, Buildings, Available: https://www.iea.org/reports/buildings.URL
4 
Bae, S. M., Jeong, Y. D., and Nam, Y. J., 2018, Performance Analysis of Hybrid System with PVT and GSHP for Zero Energy Building, KIEAE Journal, Vol 18, No. 5, pp. 85-92.DOI
5 
Shin, J. H. and Cho, Y. H., 2017, Predicting of the Geothermal Heat Pump System Coefficient of Performanc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 24, No. 5, pp. 562-567.DOI
6 
Lee, H. H., Choi, K. S., Kang, S. B., Oh, J. S., Sin, Y. C., and Park, K. S., 2018, Thermogravimetric Analysis Following Variety of Renewable Energy Sources,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pp. 2967-2970.URL
7 
Jeong, D. G. and Seong, D. S., 201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ost of Electricity Aaccording to Energy Sources,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pp. 379-384.URL
8 
Duffie, J. A. and Beckman, W. A., 2013, Solar Engineering of Thermal Processes. 4th ed., Wiley Publication.URL
9 
Goswami, D. Y., Kreith, F., and Kreider, J. F., 2000, Principles of Solar Engineering, Taylor and Francis.URL
10 
Kang, I. S., Moon, J. W., and Park, J. C., 2017, Recent Research Trends of Artificial Intelligent Machine Learning in Architectural Field -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 Pape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33, No. 4, pp. 63-68.DOI
11 
An, Y. J., Lee, T. K., and Kim, K. H., 2021, Prediction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Based on LSTM Considering Daylight and Solar Radiation Data,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0, No. 8, pp. 1096-1101.URL
12 
Ghritlahre, H. K. and Prasad, R. K., 2018, Application of ANN Technique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Solar Collector Systems - 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84, pp.75-88.DOI
13 
Dikmen, E., Ayaz, M., Ezen, H. H., Kucuksille, Ecir, U., and Sahin, A. S., 2014, Estimation and Optimization of Thermal Performance of Evacuated Tube Solar Collector System, Heat and Mass Transfer, Vol. 50, No. 5, pp. 711-719.DOI
14 
Osorio, J. D., Wang Z., Karniadakis, G., Cai, S., Chryssostomidis, C., Panwar, M., and Hovsapian, R., 2022, Forecasting Solar-Thermal Systems Performance under Transient Operation Using a Data-Driven Machine Learning Approach Based on the Deep Operator Network Architecture,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252, 115063.DOI
15 
Caner, M., Gedik, E., and Kecebas, A., 2011, Investigation on Thermal Performance Calculation of Two Type Solar Air Collector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 38, No. 3, pp. 1668-1674.DOI
16 
Jarimi, H., Al-Waeli, A. H. A., Razak, T. R., Bakar, M. N. A., Fazlizan, A., Ibrahim, A., and Sopian, K., 2022, Neural Network Modelling and Performance Estimation of Dual-Fluid Photovoltaic Thermal Solar Collectors in Tropical Climate Conditions. Renewable Energy, Vol. 197, pp. 1009-1019.DOI
17 
Yaïci, W. and Entchev, E., 2014, Performance Prediction of a Solar Thermal Energy System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73, No. 1, pp. 1348-1359.DOI
18 
Xie, H., Liu, L., Ma, F., and Fan H., 2009, Performance Prediction of Solar Collector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mputational Intelligence, Vol. 2, pp. 573-576.DOI
19 
Kalogirou, S. A., 2006, Prediction of Flat-Plate Collector Performance Parameter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Solar Energy, Vol. 80, No. 3, pp. 248-259.DOI
20 
Kim, D. W., Lee, D. W., Heo, J. H., and Kim, M. H., 2018, Empirical Results and Energy Self-Sufficiency Analysis of Jincheon Eco-friendly Energy Town in Cooling Season, Journal of KIAEBS, Vol. 12, No. 3, pp. 202-211.DOI
21 
Lee, D. W., Heo, J. H., and Kim, M. H., 2017, Analysis of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Large-scale Solar Thermal System Using Two Types of Collectors,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7, No. 2, pp. 67-75.DOI
22 
Benesty J., Chen J., Huang Y., and Cohen I., 2009,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Noise Reduction in Speech Processing, Vol. 2.DOI
23 
Python, 2022, Python Documentation, Available: https://www.python.org/.URL
24 
Anaconda, 2022, Anaconda Documentation, Available: https://www.anaconda.com/use-cases.URL
25 
Keras, 2023, Keras Documentation, Available: https://keras.io/ko/applications/.URL
26 
TensorFlow, 2023, API Documentation, https://www.tensorflow.org/api_docs.URL
27 
Lee, J. M., Hong, S. H., Seo, B. M., and Lee, K. H., 2019,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Optimized AHU Discharge Air Temperature Set-point and Minimized Cooling Energy in VAV System,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153, pp. 726-738.DOI
28 
Park. J. W., Hong. S. H., Yeon. S. H., Seo. B. M., and Lee K. H., 2023, Predictive Model for Solar Insolation Using the Deep Learning Technique, International Journal of Energy Research, Vol. 2023, pp. 1-17.DOI
29 
ASHRAE, 2014, ASHRAE Guideline 14-2014, Measurement of Energy and Demand Savings, ASHRAE, Atlanta, GA, USA.URL
30 
Park, D. H., Kim, T. W., Byun, J. Y., and Moon, J. W., 2023, Development of Heat Storage Tank Temperature and System Energy Consumption Prediction Model for Photovoltaic Thermal and Air Source Hybrid Heat Pump, KIEAE Journal, Vol. 23, No. 1, pp. 31-36.DOI
31 
Gamarro, H., Gonzalez, J. E., and Ortiz, L. E., 2019, On the Assessment of a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for Solar Photovoltaic Power Forecasts in Cities, Journal of Energy Resources Technology, Vol. 141, No. 6, 061203.DOI
32 
Jain, A., Nandakumar, K., and Ross, A., 2005, Score Normalization in Multimodal Biometric Systems, Pattern Recognition, Vol. 38, No. 12, pp. 2270-2285.DOI
33 
Glorot, X. and Bengio, Y., 2010, Understanding the Difficulty of Training Deep Feedforward Neural Networks, Proceedings of the Thirte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tatistics, Vol. 9, pp. 249-256.URL
34 
Hastie, T., Tibshirani, R., and Friedman, J., 2009, The Elements of Statistical Learning, Springer Newyork, pp. 139-189.URL
35 
Sokolova, M. and Lapalme, G., 2009, A Systematic Analysis of Performance Measures for Classification Tasks,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Vol. 45, No. 4, pp. 427-437.DOI
36 
Kingma, D. P. and Ba, J., 2014, Adam: A Method for Stochastic Optimization,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Learning Representations.DOI
37 
Smith, L. N., 2017, Cyclical Learning Rates for Training Neural Networks, IEEE Winter Conference on Applications of Computer Vision, pp. 464-472.DOI
38 
38. Park. J. W., Park. B. K., and Ahn. S. K., 1992, A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a Thrermal Storage Tank for using Gravels,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12, No. 1, pp. 81-87.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