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연구원 (Engineer, Standard Testing & Engineering Inc. Daejeon 3429, Korea)
  2.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선임연구원 (Senior Engineer, Standard Testing & Engineering Inc. Daejeon 3419, Korea)



온실 피복재, 시설원예, 스마트팜, 물 흐름 글레이징, 수막층
Greenhouse cladding, Protected horticulture, Smart farm, Water flow glazing, Water layer

기호설명

$A$: 태양방사 흡수율
$A_{E}$: 2차 실외 열적 방사율
$A_{e}$: 2차 실외 열적 방사율의 외피 물성 부분
$A_{I}$: 2차 실내 열적 방사율
$A_{i}$: 2차 실내 열적 방사율의 내피 물성 부분
$A_{v}$: 물의 순흡수율
$g$: 태양열획득계수(SHGC)
$A_{w}$: 유량에 의한 물의 흡수율
$A_{w,\: e}$: 유량에 의한 물의 실내 방사율
$A_{w,\: i}$: 유량의 의한 물의 실외 방사율
$R$: 태양방사 반사율
$T$: 태양방사 투과율

1. 서 론

온실에서 외부 피복재(이하 외피)의 기능은 외부 환경과 내부 공간을 분리하고 적절한 양의 태양광을 유입하는 것이다. 태양 복사에너지는 온실 외피를 통과하여 토양, 식물 등에 흡수되며 온실 내부 온도를 상승시켜 여름철 과다한 냉방비용의 발생 원인이 된다. 농가에서는 운영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차광막 등을 활용하여 태양광을 차단하였으나, 많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일사량과 작물 생산의 상관관계가 밝혀짐에 따라(1-3) 작물생산에 필요한 가시광선은 투과하면서 온실 온도를 상승시키는 적외선은 차단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어려운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차광기술 연구가 진행 중이며, 그중 물을 사용하는 물 흐름 글레이징(Water Flow Glazing, 이하 WFG)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온실 피복재는 단열뿐만 아니라 식물성장에 필요한 태양에너지의 공급도 중요하므로, WFG 외피의 광학특성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WFG 기술의 광학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로, Mogharreb et al.(4)은 PC(Polycarbonate) 온실 지붕에 3.7 mm의 수막층을 형성하여 수막층의 열적‧광학적 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온실과 비교하여 적외선(IR, Infrared Radiation)을 약 14% 차단하였으며, 온실 내부 온도가 약 3℃ 감소하였다. Chaibi and Jilar(5)은 외부 피복재의 광학적 특성이 작물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적․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은 필름코팅 유리에 인공광원을 조사하여 700 ~ 1,100 nm 파장에서 투과량이 약 5%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Aberkani et al.(6)은 물과 발포제를 혼합한 액체 폼을 이중 폴리에틸렌 피복재 사이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차광장치가 없는 온실과 비교하여 온실 내부온도를 최대 6℃ 감소하였다. Sierra and Hernandez(7)는 WFG를 구성하는 공기층과 수막층의 다양한 배치를 조합하여 WFG 기술 적용을 위한 최적의 공기층 및 수막층 배치방법을 태양열획득계수(SHGC)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Santamaria(8)는 WFG 기술을 제로에너지 빌딩에 적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변수의 실험결과를 활용하여 신뢰성 높은 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다양한 분야에서 WFG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수막층의 열적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광학적 효과를 설명하는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WFG 기술을 온실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 실험으로 자연광원과 인공광원을 활용하여 PMMA층과 수막층 두께를 변수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여 WFG 기술의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2. 실험방법

본 실험은 WFG 기술의 광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자연광원과 인공광원을 사용하였다. 자연광원 실험은 실제 운전환경에서 검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실험 중 태양의 위치가 이동하므로 광량을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없다. 반면 인공광원 실험은 광량의 정량적 비교는 가능하지만, 파장별 스펙트럼에서 실제 운전환경(태양광)과는 차이가 크다. 이 연구는 두 광원을 모두 사용하여 개별 광원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부분을 보완하였다.

2.1 실험 장치

주변 기구물에서 반사된 빛은 복사열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스펙트럼이 변화한다. 이러한 노이즈를 제외하기 위해 자연광원 실험장치를 주변 빛을 흡수하는 검은색으로 제작하였다. 반사판(Reflector)에서 반사된 빛은 PMMA 외피와 수막층을 통과하여 Standard board를 비추게 되고 이 빛을 분광복사계(Spectral Evolution社, PSR-3500, Accuracy 6%, Resolution avg. 6 nm)로 광량을 측정한다. 실험변수인 수막층의 두께는 심(Shim)을 쌓아서 조절하였고, PMMA 두께도 실험조건에 맞춰 변경하였다. 자연광원 실험장치의 상세구성은 Fig. 1(Left), 실험조건은 Table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인공광원 실험은 실험조건별 시편을 제작하여 실내에서 수행하였다. 시편의 크기는 130×110 mm, 두께는 1.5 mm의 PMMA로 제작하였다. 인공광원은 태양광과 가장 유사한 할로겐램프(Illumination 100×50, Specim Spectral Imaging Ltd)를 사용하여 Specim社의 fx10(파장: 400~1000 nm), fx17(파장 900~1700 nm)로 광량을 측정(Accuracy 4%, Resolution avg. 5.5 nm)하였다. 인공광원 실험장치의 상세구성은 Fig. 1(Right), 실험조건은 Table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Fig. 1 Schematic of experimental apparatus; Natural light (Left), Artificial light (Right).
../../Resources/sarek/KJACR.2024.36.3.128/fig1-1.png../../Resources/sarek/KJACR.2024.36.3.128/fig1-2.png
Table 1 Experiment conditions

Water layer

PMMA layer

Natural light(Solar)

Artificial light

0mm

1mm

5mm

0mm

1.5mm

PE film

0mm

Case #N-1

(Baseline)

-

-

Case #A-1

(Baseline)

Case #A-2

Case #A-6

5mm

Case #N-2

Case #N-5

Case #N-8

-

Case #A-3

-

12mm

Case #N-3

Case #N-6

Case #N-9

-

Case #A-4

-

30mm

Case #N-4

Case #N-7

Case #N-10

-

Case #A-5

-

2.2 실험 조건

본 연구는 자연광원과 인공광원을 사용하여 다양한 수막층 및 PMMA층 두께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Case #N-1과 Case #A-1은 PMMA층과 수막층 없이 광원만 있는 조건으로 모든 실험결과의 Baseline이 된다. 실험에 사용된 자연광원과 인공광원의 PMMA층 두께가 다르다. 이것은 실험에서 PMMA 두께의 영향력이 작아 실험조건을 간소화하였기 때문이며, 3.2절에서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외 일반 비닐온실에 사용되는 PE 필름(Case #A-6)도 실험하여 수막층 조건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수막층의 광학적 특성

태양열획득계수(Solar heat gain coefficient, $g$)는 (1) 태양광이 창문 또는 외피를 투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에너지(광학적 성분)와 (2) 태양광이 창 또는 외피에 흡수되고 실내로 재방사되는 에너지(열적 성분)를 합한 값이다. 일반적인 창과 비교하여 WFG 기술의 $g$는 물의 순흡수율($A_{v}$)이 추가되며 이 값은 유량에 의한 3가지 성분으로 구분되는 등 복잡한 물리현상으로 설명된다. Fig. 2는 이러한 $g$를 설명하기 위해 WFG 기술의 태양복사 성분을 구분한 개념도(7,8)이다. 본 실험은 $g$에서 광학적 성분에 해당하는 태양방사 광투과율(Transmittance, $T$)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향후 소규모 온실 실험을 통해 열적 성분(2차 실내 열적 방사율, $A_{I}$)에 대한 실험을 수행할 예정이다.

Fig. 2 Distribution of solar radiation in WFG technology.
../../Resources/sarek/KJACR.2024.36.3.128/fig2.png

3.2 자연광원 실험 결과

가시광선(Visible light, VIS)은 일반적으로 350 ~ 750 nm의 파장범위를 가진다. 적외선(Infrared, IR)은 750 ~ 1,000,000 nm의 파장범위를 가지며, 여기서 750 ~ 2,500 nm의 파장범위가 근적외선(Near infrared, NIR) 이다. 이 실험은 350 ~ 2,500 nm 파장범위의 광량을 측정하였으며,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으로 구분하여 실험결과를 분석하였다. 자연광원 실험은 태양이 이동하면서 광량이 변화하므로 실험결과를 정량적으로 비교를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실험의 광량을 0 ~ 1의 값으로 변환하는 정규화(Normalization) 방법을 통해 광량 데이터를 스케일링 하였다. 여기에는 선행연구(9,10)에서 확인된 두 가지 가정을 적용하였다. 첫 번째는 자연광원은 특정 가시광선 파장영역에서 최대 광량을 가진다. 두 번째는 수막층 30 mm 이하 조건에서 특정 가시광선 파장영역에서 광량의 변화는 거의 없다. 이렇게 자연광원 실험결과가 정규화된 스펙트럼으로 변화된 것을 Fig.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Fig. 4는 전체 자연광원 실험결과를 정리한 그래프이며 수막층 두께변수는 색으로, PMMA층 두께변수는 모양으로 기호를 구분하였다. PMMA층과 수막층이 있는 조건(Case #N-2 ~ 10)은 PMMA층과 수막층이 없는 조건(Case #N-1)과 비교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광량이 약 10% 감소하였다. 이것은 일반적인 PMMA 재료의 광차단율(반사율과 흡수율의 합)과 일치하였다. 가시광선 영역에서 PMMA층과 수막층의 두께에 의한 광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선행연구(10)를 통해 확인된 가시광선 영역 광량이 감소하는 수막층 두께는 50 mm 이상이며, 이 실험의 최대 수막층 30 mm까지는 선행연구와 동일하게 거의 영향이 없었다. 근적외선 영역에서 PMMA층 두께 증가에 따른 광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지만, 수막층 두께가 증가하면 근적외선 광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특히나 근적외선 중에서도 파장이 길수록 5 mm의 얇은 수막층에도 광량이 95% 이상 감소하였다.

Fig. 4는 실험변수에 따른 경향을 확인할 수 있으나 파장별 광량의 차이가 크므로 변수에 따른 정량적 변화를 확인하기 어렵다. Fig. 5는 Case #N-1의 파장별 광량을 기준(Baseline)으로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Table 2는 가시광선과 적외선 투과율을 정리한 표이다. 이 그래프와 표를 통해 파장영별 실험변수의 영향력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투과율은 빛이 물체를 통과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차단율(반사율과 흡수율의 합)과 투과율의 합은 100%이다. 가시광선 영역에서 PMMA층 두께에 의한 투과율 변화는 거의 없었다. 수막층 5, 12 mm의 경우(Case #N-2, 3, 5, 6, 8, 9) 투과율 85% 이상이며 실험조건별 투과율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수막층 30 mm의 경우(Case #N-4, 7, 10) 600 nm 파장을 시작으로 투과율이 조금 감소하였다. 모든 실험조건에서 근적외선의 투과율은 10 ~ 25% 수준으로 크게 감소하였는데, 특히 1,300 nm보다 장파장인 근적외선 투과율은 5% 미만이었다. 750 ~ 1,300 nm 범위의 근적외선에서는 PMMA층과 수막층 두께에 의해 투과율이 크게 변화하였다. 동일한 수막층 조건에서 PMMA층 두께 0 → 1 → 5 mm 순서로 투과율이 높았으며, 수막층이 두꺼울수록 PMMA층 두께에 따른 투과율 차이는 감소하였다. 즉, 근적외선 영역에서 수막층의 영향력이 강해질수록 PMMA층의 영향력은 감소하였다.

Fig. 3 Comparison of natural light experiment data; Before normalization (Left), After normalization (Right).
../../Resources/sarek/KJACR.2024.36.3.128/fig3-1.png../../Resources/sarek/KJACR.2024.36.3.128/fig3-2.png
Fig. 4 Overall experiment data of natural light (Case #N-1 ~ N-10).
../../Resources/sarek/KJACR.2024.36.3.128/fig4.png
Fig. 5 Natural light transmittance by experimental conditions.
../../Resources/sarek/KJACR.2024.36.3.128/fig5.png
Table 2 Transmittance by natural light experimental conditions

Wavelength

Experimental conditions

#N-1

#N-2

#N-3

#N-4

#N-5

#N-6

#N-7

#N-8

#N-9

#N-10

350~750nm

Baseline

86.65

86.50

83.73

86.99

86.47

84.39

87.20

86.40

83.98

750~1,300nm

Baseline

72.52

53.27

30.69

76.18

54.01

31.68

68.27

49.66

29.88

1,300~2,500nm

Baseline

2.28

1.72

1.25

2.78

1.57

1.13

2.38

1.57

1.28

3.3 인공광원 실험 결과

Fig. 6은 전체 인공광원 실험결과를 정리한 그래프이다. 수막층 두께변수는 색으로, PMMA층은 선 종류로 기호를 구분하였다. 인공광원 실험은 광원의 변화가 없으므로 정규화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 PMMA층과 수막층이 있는 조건은 PMMA층과 수막층이 없는 조건과 비교하여 가시광선 광량이 감소하였고, 전체 실험조건에서 수막이 없는 PMMA층(Case #A-2)과 PE 필름(Case #A-6)의 가시광선 광량이 가장 낮았다.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특이하게도 PMMA층이 있는 실험조건 중 수막층이 없는 조건보다 수막층이 있는 조건(Case #A-3 ~ 5)의 가시광선 광량이 높았다. 이것은 이종 물질간의 굴절률 차이가 작을수록 반사되지 않고 투과하는 빛의 특징 때문이다. PMMA의 굴절률이 약 1.5이고 물(굴절률 1.33)이 공기(굴절률 1)보다 굴절률 차이가 작으므로 공기층보다 수막층의 가시광선 광량이 증가하였다. 이것은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을수록 좋은 온실의 특징을 고려하면 매우 긍정적인 효과이다. 근적외선 영역에서 수막층 두께가 증가하면 근적외선 광량이 크게 감소하였고, 근적외선 중에서도 파장이 길수록 5 mm의 얇은 수막층에도 광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이것은 자연광원 실험의 경향과 일치하였다.

Fig. 7은 Case #A-1의 파장별 광량을 기준(Baseline)으로 투과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Table 3은 가시광선과 적외선 투과율을 정리한 표이다. 가시광선 영역에서 PMMA층(Case #A-2)과 PE 필름(Case #A-6)의 투과율은 약 85 ~ 86% 수준으로 비슷하였다. 수막층 5, 12 mm(Case #A-3, 4)의 투과율은 89% 수준으로 비슷하였으나, 수막층 30 mm(Case #A-5)의 투과율은 3% 높은 92%로 실험조건 중 가장 높았다. 자연광원과 비교하여 인공광원 실험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3% 가량 높았다. 자연광원 실험에서는 굴절효과에 의한 수막층의 가시광선 투과율 증가와 같은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것은 자연광원 실험결과 분석에 사용한 정규화 방법의 한계 때문이다. 750 ~ 1,300 nm 범위의 근적외선 투과율은 수막층 두께에 반비례하여 감소하였다. 1,300 nm보다 장파장인 근적외선 투과율은 수막층이 있는 경우 5% 미만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관찰된 특징을 온실용 외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수막층 두께 증가의 장점인 근적외선 투과율 감소와 단점인 중량 증가의 트레이드 오프(Trade-off)를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으로 선택해야 한다. 온실에 적용하기 위한 적절한 두께의 외피 선택에 관해서는 향후 연구에서 다룰 예정이다.

Fig. 6 Overall experiment data of artificial light (Case #A-1 ~ A-6).
../../Resources/sarek/KJACR.2024.36.3.128/fig6-1.png../../Resources/sarek/KJACR.2024.36.3.128/fig6-2.png
Fig. 7 Artificial light transmittance by experimental conditions.
../../Resources/sarek/KJACR.2024.36.3.128/fig7.png
Table 3 Transmittance by artificial light experimental conditions

Wavelength

Experimental conditions

#A-1

#A-2

#A-3

#A-4

#A-5

#A-6

350~750nm

Baseline

86.29

88.84

89.18

92.00

85.01

750~1,300nm

Baseline

83.96

74.46

64.20

51.42

88.32

1,300~1,700nm

Baseline

61.82

4.39

1.91

1.34

89.39

3.4 실험결과의 신뢰성

자연광원과 인공광원 실험을 종합한 결과는 Fig. 8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연광원 실험조건인 Case #N-5, 6, 7은 각각 수막층 5 mm(빨간색), 12 mm(파란색), 30 mm(녹색)이며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인공광원 실험조건인 Case #A-2, 3, 4는 각각 수막층 5 mm(빨간색), 12 mm(파란색), 30 mm(녹색)이며 실선으로 나타내었다. 두 실험의 결과는 750 ~ 1,000 nm의 근적외선 파장에서 차이가 있지만 이외 근적외선과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는 투과율의 경향과 수치가 유사하였다. 특히나 파장이 길수록 그리고 수막층 두께가 증가할수록 자연광원과 인공광원의 실험결과가 일치하였다. 자연광원 실험에서 정규화 방법과 같은 인위적인 데이터 스케일링이 적용된 점과 측정장비의 신뢰성을 고려하면 자연광원 실험보다는 인공광원 실험결과의 신뢰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인공광원 실험결과는 인공광원을 활용해 물 두께에 따른 투과율을 측정한 Kanayama and Baba(9)의 실험결과와 경향이 유사하다. Kanayama and Baba(9)의 실험은 PMMA층이 없으므로 이 실험보다 전반적으로 투과율이 높다는 점과, 수막층 두께가 3, 10 mm로 실험조건이 조금 상이한 점을 감안하면 이 실험의 측정결과와 상당히 일치한다.

Fig. 8 Natural light & artificial light transmittance by experimental conditions.
../../Resources/sarek/KJACR.2024.36.3.128/fig8.png

4. 결 론

본 연구는 수막층 외피의 광학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자연광원과 인공광원 환경에서 PMMA층과 수막층 두께를 변수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연광원과 인공광원 실험에서 PMMA층 두께 차이(0 ~ 5 mm)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지만, 수막층 두께 차이(5 ~ 30 mm)는 근적외선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컸다. 근적외선 투과율은 수막층 두께에 반비례하여 감소하였고, 5 mm의 얇은 수막층만으로도 1,300 nm 이상의 근적외선의 95% 이상을 차단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여름철 내부온도 상승원인인 적외선을 차단해야 하는 온실을 대상으로 WFG 기술을 적용하기에 긍정적인 요소이다.

(2) PMMA층 사이에 수막층이 있는 실험조건에서 가시광선은 85% 이상 높은 투과율을 보였다. 인공광원 실험결과에서 PMMA층 사이에 공기층이 있는 것(Case #A-2) 보다 수막층이 있는 경우(Case #A-3, 4, 5) 가시광선 투과율이 증가하였다. 이것은 이종 물질간의 굴절률 차이가 적을수록 빛은 반사되지 않고 투과하기 때문이다. 식물 성장을 위해 가시광선 투과율이 높을수록 좋으므로 이러한 특징은 온실을 대상으로 WFG 기술의 장점이 될 수 있다.

(3) WFG 기술은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파장영역에서 온실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수막층 두께 증가의 장점인 적외선 투과율 감소와 단점인 중량 증가의 트레이드 오프(Trade-off)를 고려하여, 온실에 적용하기 위한 목표 투과율 또는 차단율을 선정한다면 적절한 두께의 수막층을 결정할 수 있다. 온실에 적용하기 위한 적절한 두께의 외피 선택에 관해서는 향후 연구에서 다룰 예정이다.

(4) 자연광원과 인공광원 실험의 결과는 750 ~ 1,000 nm의 근적외선 파장에서 차이가 있지만 이외 근적외선과 가시광선 파장 영역에서는 투과율의 경향과 수치가 유사하였다. 자연광원 실험에서 정규화 방법과 같은 인위적인 데이터 스케일링이 적용된 점과 측정장비의 신뢰성을 고려하면 자연광원 실험보다는 인공광원 실험결과의 신뢰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선행연구인 Kanayama and Baba(9)의 실험과 이 연구의 인공광원 실험은 실험조건의 차이를 고려하면 상당히 일치하므로 이 실험결과의 신뢰성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이 실험을 통해 PMMA층과 수막층의 두께를 변수로 WFG 기술의 광학특성을 분석하였다. 하지만 본 실험은 태양광의 여러 요소 중 투과율만을 고려하였으므로 온실 내부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흡수율에 대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하다. 또한 실제 WFG 기술은 수막층의 물이 순환하면서 흡수한 열량을 제거하므로 후속실험에서는 순환하는 수막층 조건에서 WFG 기술의 광학적·열적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계획이다.

후 기

본 논문은 대한민국 정부(중소벤처기업부)의 재원으로 지역사업평가단 지역특화산업육성+(R&D)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고유번호: 1425166425).

References

1 
Marcelis, L. F. M., Broekhuijsen, A. G. M., Meinen, E., Nijs, E. M. F. M., and Raaphorst, M. G. M., 2006, Quantification of the Growth Response of Light Quantity of Greenhouse Grown Crops, International Symposium on Artificial Lighting in Horticulture, Vol. 711, pp. 97-104.DOI
2 
Challa, H. and Schapendonk, A. H. C. M., 1984, Quantification of Effects of Light Reduction in Greenhouses on Yield,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ergy in Protected Cultivation, Vol. 148, pp. 501-510.DOI
3 
Baille, A., Mermier, M., and Baille, M., 1987, Greenhouse Cover Light Transmission: An Overview of French Work, French-Israeli Symposium on Greenhouse Technology, pp. 58-77.URL
4 
Mogharreb, M. M., and Abbaspour-Fard, M. H., 2019,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a Novel Water Injected Polycarbonate Shading on Light Transmittance and Greenhouse Interior Conditions, Energy fog Sustainable Development, Vol. 52, pp. 26-32.DOI
5 
Chaibi, M. T. and Jilar, T., 2005, Effects of a Solar Desalination Module integrated in a Greenhouse Roof on Light Transmission and Crop Growth, Biosystems Engineering, Vol. 90, pp. 319-330.DOI
6 
Aberkani, K., Hao, X., Halleux, D., Dorais, M., Vineberg, S., and Gosselin, A., 2010, Effects of Shading Using a Retractable Liquid Foam Technology on Greenhouse and Plant Microclimates, Hort Technology Hortte, Vol. 20. No. 2, pp. 283-291.DOI
7 
Sierra, P. and Hernamdez, J. A., 2017, Solar Heat Gain Coefficient of Water Flow Glazings, Energy and Buildings, Vol. 139, pp. 133-145.DOI
8 
Santamaria, B. M., 2021, Predicting the Contribution of Water Flow Glazing to Nearly Zero Energy Buildings by Means of Validation of Analytical and Numerical Models, Through Experimental Data, Thesis (Doctoral), E. T. S. Arquitectura (UPM).DOI
9 
Kanayama, K. and Baba, H., 1988, Transmittance of Distilled Water and Sodium-Chloride-Water Solution, ASME, pp. 113-119.DOI
10 
Rosa-Cloat, M., Rosa-Cloat, P., Tina, G. M., and Scandura, P. F., 2010, Submerged Photovoltaic Solar Panel: SP2, Renewable Energy, Vol. 35, pp. 1862-1865.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