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Principal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52 Gajung-ro Daejeon, 3429, Korea)
  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Principal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 Gajung-ro Daejeon, 3419, Korea)
  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술원 (Engine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2 Gajung-ro Daejeon, 4129, Korea)
  4. 국립산림과학원 임산소재연구과 연구관 (Senior research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57, Hoegi-ro Seoul, 0255, Korea)
  5.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기술경영연구소 연구관 (Senior research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7, Hoegi-ro Seoul, 024, Korea)
  6. 국립산림과학원 임산소재연구과 산림주무관 (Research Official,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57, Hoegi-ro Seoul, 02455, Korea)
  7. 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협회 부회장 (Vice president, Forest Biomass Energy Association, 14 Jungsimsangup-ro Cheongju , 28119, Korea)
  8. 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협회 사무국장 (Director, Forest Biomass Energy Association, 14 Jungsimsangup-ro Cheongju , 2119, Korea)
  9. 산림바이오매스 에너지협회 과장 (Manager, Forest Biomass Energy Association, 14 Jungsimsangup-ro Cheongju , 2811, Korea)
  10. 고려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그린스쿨) 박사과정 (Ph.D, Student, Graduate School of Energy and Environment (KU-KIST Green School), Korea University, 520, KU R&D Center, Korea University, 145 Anam-Ro Seoul, 02841, Korea)
  11.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Wood and Paper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Life & Environments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Cheongju, 28644, Korea)



보일러, 산림바이오매스, 가스상 물질, 입자상 물질, 재생에너지, 목재 연료
Boiler, Forest biomass, Gaseous emission, Particulate matter, Renewable energy, Wood fuels

1. 서 론

목재펠릿 및 목재칩과 같은 목재 연료 즉, 목질계 바이오매스 에너지는 태양광, 풍력과 함께 대표적인 재생에너지 중 하나이다. 대표적인 화석연료인 석탄은 석탄기 등 약 3억 년 전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이하 ‘CO2’)를 거대 양치식물이 흡수하여 지중에 묻혀 대기 중의 CO2를 저감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18세기 산업혁명부터 지금까지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대기 중에 지구 온난화 물질인 CO2를 방출하였다.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나무 등이 성장하는 동안 대기 중의 CO2를 흡수하며, 연소 등을 통한 목질계 바이오에너지형태로 사용될 때 흡수한 CO2를 대기로 방출하는 탄소 중립이 된다. (IEA Bioenegy 2018(1), Fig. 1). 이러한 이유로 인해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대신 목재펠릿 또는 목재칩 등 목재 연료를 사용하는 것이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으며, 목재 연료가 재생에너지 중 하나로 인정받는 이유이다. 유럽에서 이러한 목재 연료를 사용한 재생에너지 비율이 높은 바, 특히 핀란드의 경우 2022년 전체에너지 사용 중 약 33.7%는 화석연료를 사용했으며, 약 20.4%는 원자력 에너지를 사용했다. 핀란드의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은 약 41.8%로 아주 높으며, 특히, 전체에너지 중 28.5%가 목재 연료에서 생성되고 있다(Fig. 2).(2)

다만,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전 세계적 활용률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임에도, 목질계 연료에 대한 일부 왜곡된 주장으로 말미암아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는 상황이다. 환경부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상 목재펠릿의 청정성이 명시되어 있으나,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용도별, 연료별, 연소기 종류별, 환경설비 종류별, 연소 조건별로 구분하여 대기오염물질 여부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

Fig. 1 Woody biomass energy utilization and the carbon cycle(carbon free mechanism, IEA Bioenergy 2018(1)).
../../Resources/sarek/KJACR.2024.36.3.150/fig1.png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 또는 목재 연료를 연소하였을 때 발생하는 배출 물질은 일산화탄소(이하 ‘CO’), 질소산화물(이하 ‘NOx’), 황산화물(이하 ‘SOx’) 및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PM) 등이 있다. NOx의 경우 연소 시 2가지 메커니즘을 통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나는 고온의 연소 환경에서 대기 중에 78% 정도 포함되어 있는 질소(N2)가 산화하여 발생하는 thermal NOx가 있다. 이러한 thermal NOx는 연소 시 고온 환경을 만들어주지 않으면 생성이 낮아지게 된다. 두 번째는 연료 중 질소 성분이 연소 중 산화하여 발생하는 fuel NOx가 있다. 이러한 fuel NOx는 연료에 포함된 질소함량에 비례하여 생성되는 특징이 있다.(3) 이러한 fuel NOx의 경우 질소함량이 석탄보다 목재 연료가 낮아 NOx 생성량이 낮은 이유가 된다. SOx의 경우 연료에 황이 포함되어 있어야 연소 시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SOx는 목재 연료에 0.01% 내외로 아주 미량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연소 시 약 10 ppm 미만 생성되고 있다.

Fig. 2 Total energy consumption in Finland in 2022 (Official Statistics of Finland : Energy supply and consumption(2)).
../../Resources/sarek/KJACR.2024.36.3.150/fig2.png

Moron and Rybak(4)은 석탄과 목재펠릿 및 초본계 펠릿(straw pellet)을 혼소하였을 때 NOx 및 SOx 배출 특성을 확인하였다. 목재펠릿은 연구에 사용된 석탄에 비해 질소함량이 낮았으며, 초본계 펠릿의 질소함량은 석탄보다 높았다. Fig. 3에 석탄(질소함량 1.2%, 황함량 1.2%)과 목재펠릿(질소함량 0.4%, 황함량 0.1%)의 혼소 시 NOx 및 SOx 배출량을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목재펠릿 혼소율이 높아질수록 NOx와 SOx 배출량이 줄어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SOx의 경우 목재펠릿 전소가 되었을 때는 0으로 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연료내 질소함량에 따라 NOx 생성이 비례하는 특성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갈탄(질소함량 0.5%)에 초본계 펠릿(질소함량 0.7%)를 혼소하였을 때 초본계 펠릿 혼소율이 높을수록 NOx 생성량이 증가하였다.(4)

Fig. 3 NOx and SO2emissions of the hard coal and their blends with wood pellets.(4)
../../Resources/sarek/KJACR.2024.36.3.150/fig3.png
Kim et al.(5)은 약 15 MW급 연소 시험설비에서 유연탄과 목질계 연료(수입 및 국내 목재 톱밥)을 혼소(10, 20%)하였을 때 노내 온도 및 배기 특성을 확인하였다. NOx의 경우 목재 톱밥을 20% 혼소하였을 때 약 20%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황화합물의 경우 약 50% 감소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들은 연소실 온도를 측정한 결과, 질소화합물이 저감된 이유로 바이오매스 혼합 연소 시 연소실 온도가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하였다.(5) Lim et al.(6)은 가정용 목재펠릿 보일러에 설치된 흡입 송풍기의 풍량에 따른 배기특성 변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들은 송풍기 풍량 변화 시험 결과 풍량이 낮을수록(배기가스 중 O2가 7.5%) NOx가 123 ppm으로 가장 높게 배출되었고, 풍량이 최대일 때(배기가스 중 O2가 10.8%) NOx가 100 ppm으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6) 이는 연소실에 공급되는 연소 공기량이 낮아질수록 연소실 온도가 높아져 thermal NOx가 많이 생성되어 높아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심봉석 등(7)은 400 kW급 산업용 목재펠릿 보일러에 FGR(배기 재순환 기술)을 적용하여 배출가스 중 NOx 생성 저감에 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심봉석 등은 산업용 목재펠릿 보일러의 부하가 높아지면서 NOx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0% 보일러 부하에서는 NOx가 약 91 ppm 이었으나 100% 부하에서는 약 106 ppm으로 증가하였으며, 배기재순환을 약 25%로 하였을 때 NOx 저감은 약 2.9 ~ 7.6% 저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7)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목재를 석탄과 혼소 또는 목재 전소를 하였을 때 배기가스 특성에 대한 연구를 확인해 보았다. 대부분 목재펠릿을 석탄과 혼소 또는 전소하였을 때 석탄에 비해 낮은 질소함량과 낮은 연소실 온도로 인해 NOx가 줄어드는 결과가 대부분이었으며, SOx 또한 석탄에 비해 목재 자체의 낮은 황 함량으로 인해 줄어드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가정용 목재 연료 스토브 및 보일러, 산업용 목재 보일러에 대해 문헌 조사 및 측정결과를 통해 보일러 연소 시 발생하는 배출물질 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사용한 대부분의 결과는 보일러 배출가스 등을 전문적으로 측정하는 전문기관(대덕분석기술연구원, 이하 ‘DARI’) 등과의 협업으로 획득한 결괏값에 바탕한다.

2. 연구방법

2.1 분석에 사용된 보일러

소형 가정용 목재펠릿 보일러(A 보일러), 목재펠릿 스토브(B, C, D 스토브) 및 산업용 목재 보일러(F, G 보일러)를 연구실에 설치하여 실제 보일러 운전조건(100% 보일러 부하 조건)에 대해 배출가스를 측정하였다. 또한 산업용 목재펠릿 보일러의 경우 산업 현장에 설치되어 운전 중인 보일러에 대해 배출가스 측정 전문기관에서 배출가스를 측정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목재펠릿 보일러에 대해 Table 1에 나타내었다. 가정용 목재펠릿 보일러는 용량이 23.6 kW이며, 가정용 목재펠릿 스토브 용량은 8~11 kW이다. 연구실에 설치된 산업용 보일러(F, G 보일러)는 모두 온수를 생산하는 보일러이며 용량은 각각 100, 200 kW이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운전되고 있는 보일러의 경우 대부분 증기를 사용하며 보일러 용량을 각각 2,800, 3,500, 7,000 kW이다. 또한 산업현장에 설치된 보일러의 경우 배기규제 등으로 인해 사이클론 이외에 전기 집진기 등 추가 집질 설비를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다.

목재 펠릿 보일러의 경우 가정용은 약 15~30 kWth의 용량을 가지고 있고, 산업용의 경우 100 kWth~10 MWth의 용량을 가지고 있다. 가정용 목재펠릿 보일러의 경우 연소 안정성 등을 위해 연소공기를 다소 많이 공급하고 있으며(공기비 약 2.5 내외, 배기가스 산소농도 12 % 내외) 향후 연소공기를 최적화하여 보일러 효율 및 일산화탄소 농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산업용 목재 펠릿 보일러의 경우보다 높은 연소실 온도 조건을 유지할 수 있어 적절한 연소공기를 공급하고 있으며(공기비 약 1.4 내외, 배기가스 산소농도 6 % 내외) 가정용 목재 보일러에 비해 배기성능이 우수하다. 발전용 목재 펠릿 보일러는 20~200 MWe의 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영동화력 2호기가 200 MWe 바이오매스 전소 발전소이다. 목재 연료의 연소 방식으로는 가정용 등 소형에서는 Fig. 4에서 보는 것과 같은 고정형 화격자 형태의 연소기를 또는 연소실에 쌓이는 재를 없애주기 위해 화격자를 연소 시작과 종료시점에 움직이는 방식의 이동형 화격자를 사용한다. 산업용 목재 보일러의 경우 가정용과 유사한 고정형 화격자 방식도 있지만 연소실 내부에 발생하는 재와 클링커 생성으로 인해 대부분 grate 방식(이동형 계단 형태, Fig. 7)의 화격자를 사용한다.

Table 1 Specifications for the boilers or stoves used in the tests

Type

Name

Heating capacity [kW]

Test place

Domestic boiler Hot water

A_boiler

23.3

Laboratory

Domestic stove

Hot air

B_stove

11

Laboratory

C_stove

8.5

Laboratory

D_stove

8

Laboratory

Industrial boiler

Hot water

F_boiler

100

Laboratory

G_boiler

200

Laboratory

Industrial boiler

Steam

H_boiler

2 800

Industrial site

I_boiler

3 500

Industrial site

J_boiler

3 500

Industrial site

K_boiler

7 000

Industrial site

2.2 연소 조건 및 배출가스 측정 방법

목재펠릿 보일러 및 스토브에 대해 배출가스 측정은 2가지로 형태(연구실 및 산업현장)로 수행되었다. 연구실에 설치된 보일러와 산업현장에 설치된 보일러 모두에 대해 배출가스 측정 전문 시험기관의 측정을 통해 연소 시 발생하는 배출물질에 대한 배출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보일러는 최대 부하상태에서 안정화된 후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논문에 사용된 모든 목재펠릿 보일러 및 스토브에 대해 배출가스 측정 전문 시험기관을 통해 배기가스를 측정하였다. 모든 시험에서 목재 연료를 사용하여 보일러를 운전하였을 때 배기가스 중 O2, CO, NOx, Dust를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현장 여건상 일부 산업용 보일러에 대해서는 CO 측정을 하지 못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측정장비는 1) O2, CO, NOx를 측정할 수 있는 배기가스 분석계(Testo-350k)와 2) 배기가스 연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포집된 먼지의 무게를 측정하는 정밀 저울(CAS CAUW-320)이다. 가 기기에 대한 측정 범위 및 오차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배기가스의 경우 현장에서 보일러가 정상 운전된 후 배기가스 분석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dust의 경우 무게 측정법을 사용하여 시험 전 여과지 무게와 시험 후 여과지 무게 차이를 사용하여 배기가스에서 발생하는 dust량을 측정하였다.

Table 2 Measurement ranges and tolerances for the instruments used in the test

Instrument

Measures

Measurement ranage

Tolerance

Testo-350k

O2

0 ~ 25%

±0.8%

CO

0 ~ 10 000 ppm

±10 ppm (0 ~ 199 ppm)

NOx

0 ~ 4 000 ppm

±5 ppm (0 ~ 99 ppm)

±5% (100 ~ 1 999 ppm)

CAS CAUW-320

Weight

320 g (0.1 mg)

±0.3 mg

3. 결 과

3.1 가정용 목재펠릿 보일러 및 스토브의 배출특성

국내에서 판매 중인 소형 가정용 목재펠릿 보일러 1대와 목재펠릿 스토브 3대에서 연소 시 발생하는 CO, NOx, Dust를 배출가스 측정 전문 시험기관에 의뢰하여 측정하였다. Fig. 4에 실험에 사용한 가정용 목재펠릿 스토브에 사용된 연소실 사진을 나타내었다. 스토브의 용량은 약 10 kW 내외이며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모두 고정화격자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시험에 사용하지 않은 일부 스토브는 무빙 화격자를 사용하는 제품도 있음). 배출가스 측정은 각 보일러 또는 스토브의 최대 부하 조건에서 연소가 안정화된 후 시행하였다. 배기가스 측정 결과는 배기가스 O2농도 13%로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이에 따른 가정용 목재펠릿 보일러 1대에 대해 2회 및 가정용 목재펠릿 스토브 3대에 대한 배출가스 측정시험 결과를 Fig. 5에 나타내었다. 현재 국내 가정용 목재펠릿 보일러에 대한 기준(KS B 8901:2020(8))에 규정된 CO 및 NOx 배출 기준은 각각 400 및 150 ppm 미만으로 그림에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우선 가정용 목재펠릿 보일러의 경우 CO 배출은 약 28~32 ppm 정도로 나타났다. CO의 경우 보일러 연소 상태에 따라 가변성이 높은데, 통상 연소실 온도가 높거나 연료가 연소실에 비해 과잉 또는 과소 공급되는 경우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가정용 목재 스토브의 경우 CO 배출은 약 21~341 ppm 정도로 다소 높게 배출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가정용 목재펠릿 보일러에 비해 연소 공기량이 다소 높아 상대적으로 낮은 연소실 온도 또는 높은 연소 속도 등으로 인해 CO 생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NOx의 경우 목재펠릿 보일러 및 목재펠릿 스토브 모두 유사한 약 57~70 ppm 수준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목재펠릿 연소시 NOx는 목재 연료에 포함된 질소함량에 따라 생성되는 fuel NOx가 주 생성 원인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만일 thermal NOx가 많이 생성된다고 가정하면 오히려 공기비가 낮은 목재펠릿 보일러(공기비 약 1.9)에서 NOx 생성량이 높을 것이지만, 측정결과에 따르면, 공기비가 높아 연소실 온도가 낮은 목재펠릿 스토브(공기비 약 2.6)와 NOx 배출량의 차이가 거의 없다.

Fig. 4 Pictures of the domestic wood pellet heater and its combustion chamber.
../../Resources/sarek/KJACR.2024.36.3.150/fig4.png
Fig. 5 CO and NOx from domestic wood pellet boilers and stoves.
../../Resources/sarek/KJACR.2024.36.3.150/fig5.png

Fig. 6에 가정용 목재펠릿 보일러와 스토브에서 배출되는 Dust 측정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정용 목재펠릿 보일러의 경우 2~3 mg/Sm3 정도로 낮은 배출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시험에 사용한 목재펠릿 보일러 내부에서 배기가스가 보일러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가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무거운 Dust를 떨어뜨리는 구조 등을 활용하여 Dust 배출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다만, 가정용 목재펠릿 스토브의 경우 5~21 mg/Sm3 정도의 Dust를 배출하는 것으로 측정되는데, 이는 높은 공기비에 따른 연소된 배기가스의 속도가 높아 굴뚝을 통해 배출되는 Dust량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D 스토브의 경우 B, C 스토브와 유사한 크기(외형 및 연소실 등)를 가지고 있으나 용량이 20% 정도 적어 상대적으로 낮은 배기가스 속도로 인해 다른 스토브에 비해 낮은 CO와 먼지 배출량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Dust concentration from domestic wood pellet boilers and stoves.
../../Resources/sarek/KJACR.2024.36.3.150/fig6.png

3.2 산업용 목재펠릿 보일러에서의 배출특성

산업용 목재펠릿 보일러는 고온의 온수 및 증기가 필요한 산업 현장에 설치되어 운전 중이다. 산업 부문에서 사용되는 목재펠릿은 국내에서는 LNG에 비해서는 운영비용이 높지만, LPG 또는 B-C유에 비해서는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지속적으로 변동하는 에너지 가격 및 보일러 효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9) 이러한 산업용 목재펠릿 보일러에 대해 연구실에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와 실제 공장에 설치되어 운영 중인 보일러(Fig. 7)에 대해 배기가스 배출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산업용 목재펠릿 보일러에 대해서도 DARI 등 배출가스 측정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그 결과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산업용 목재펠릿 보일러 용량은 약 200~7,000 kW(Fig. 8)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공정에는 60~80℃ 내외의 온수 또는 150~200 ℃ 내외의 증기를 이용하기 위해 산업용 보일러를 사용한다. 본 연구에 사용한 산업용 목재펠릿 보일러 중 200 kW는 온수보일러이며 연구실에 설치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는바, 2,800 kW 이상은 증기보일러로 실제 산업현장에 설치되어 운전 중에 있는 보일러이다.

Fig. 9에 산업용 보일러에 대한 CO, NOx 배출 측정결과를 나타내었다. F와 G 보일러는 100, 200 kW급 산업용 온수보일러이며, F 보일러의 경우 배기가스 O2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배기가스 배풍기 자동제어 유무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기존 화석연료와는 다르게 목재펠릿은 고체연료이기 때문에 연료 형상변화에 따라 연료 투입량이 일정하지 않고, 연소실 내부에서 “가스화 → 화염 연소→숯 연소” 등을 거치며 기존 LNG 또는 유류 연소에 비해 연소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연소 공기가 일정하게 공급되더라도 공기비가 불규칙하게 변동하게 된다. 이렇게 공기비가 변동하게 되면, 연소실 온도 등이 변하게 되어 배기가스, 특히 CO 생성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기가스 중 O2농도를 실시간 계측하여 O2농도가 일정하도록 송풍기 풍량을 제어하게 되면 연소실 내 공기비가 균일하게 되어 보다 우수한 연소특성을 보일 것이다.

Fig. 7 Pictures of industrial wood pellet boiler installed at laboratory (left, center), factory (right).
../../Resources/sarek/KJACR.2024.36.3.150/fig7.png
Fig. 8 Industrial wood pellet boiler capacity for emissions measurement.
../../Resources/sarek/KJACR.2024.36.3.150/fig8.png
Fig. 9 CO and NOx from industrial wood pellet boilers.
../../Resources/sarek/KJACR.2024.36.3.150/fig9.png
Fig. 10 Dust concentration from industrial wood pellet boilers.
../../Resources/sarek/KJACR.2024.36.3.150/fig10.png

실험실에 설치된 F 산업용 온수 보일러의 경우 공기비를 제어하지 않았을 때에는 CO 배출이 492 ppm으로 다소 높은 값을 가지지만 공기비 제어를 통해 CO가 약 140 ppm으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장에 설치되어 운전되고 있는 H, I, J 보일러의 경우 CO 측정을 하지 않았다. 다른 산업용 온수보일러와 증기 보일러의 경우 CO 배출 수준이 약 18~56 ppm으로 낮은 값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NOx 배출량의 경우 공기비 제어 유무와 상관없이 59 ppm 내외로 거의 일정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목재펠릿을 연소하였을 때 NOx 생성은 주로 연료내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함량에 따라 발생하는 fuel NOx가 주로 생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나머지 산업용 온수 및 증기보일러에서도 NOx는 약 27 ~ 88 ppm 수준인 것을 알 수 있다.

Fig. 10에 산업용 목재펠릿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Dust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실에 설치된 F, G온수 보일러의 경우 집진설비로 사이클론이 설치되어 있고, 산업현장에 설치되어 운전 중인 H, I, J, K 증기 보일러의 경우보다 낮은 Dust 배출을 유지하기 위해 사이클론 집진기 후단에 백 필터등 추가 집진설비가 부착되어 있다. 우선 실험실에 설치된 산업용 목재펠릿 온수 보일러의 경우 사이클론 집진기만으로 20 ~ 58 mg/Sm3 정도의 Dust를 배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F 보일러의 경우 공기비 제어만을 통해 Dust를 33 mg/Sm3에서 약 40% 정도 저하시킨 20 mg/Sm3 정도로 낮추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 공장에 설치되어 운영 중에 있는 산업용 보일러의 경우 낮은 Dust 배출 수준을 요구받기 때문에 추가 집진설비를 부착한 것으로 판단되며, 측정 결과 Dust 배출은 약 1 ~ 3 mg/Sm3 수준으로 상당히 낮은 배출값을 나타내었다.

4. 결 론

본 연구 목적은 국내에서 운전되고 있는 가정용 및 산업용 목재펠릿 보일러에서 배출물질(CO, NOx, Dust)을 객관적으로 제시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선행연구 문헌조사 및 배출가스 측정 전문 시험기관을 통한 목재펠릿 보일러의 배출가스 측정결과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배출가스는 모두 배기가스 O2농도 13%로 환산하여 정리하였다. 이에 따른 문헌조사 및 배출물질 측정결과들에 대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고체연료인 석탄, 목재 연료 등에는 질소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보일러 등에서 연소가 되면 배기가스 가운데 NOx 배출량은 연료 중 질소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3-7) 특히 석탄과 질소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목재펠릿을 혼소하였을 때 목재펠릿 혼소율이 증가할수록 NOx 배출량은 감소하였으며, 특히 목재펠릿에는 황함량이 아주 낮기 때문에 목재 펠릿 혼소율이 증가하면서 SOx 배출량이 감소하다가 목재 펠릿 전소일 때에는 배출량이 거의 0이 된다.(4)

(2) 가정용 목재펠릿 보일러의 경우, CO 배출은 약 30 ppm 내외였으며, 가정용 목재펠릿 스토브의 경우 CO 배출은 약 21 ~ 341 ppm이다. NOx 배출의 경우 가정용 목재펠릿 보일러 및 목재펠릿 스토브 모두 유사한 약 57 ~ 70 ppm 수준이다. Dust 배출의 경우 가정용 목재펠릿 보일러는 약 2 ~ 3 mg/Sm3이며, 스토브의 경우 약 5 ~ 21 mg/Sm3이다. 가정용 목재펠릿 스토브의 CO 농도와 Dust량이 높은 것은 보일러보다 공기비가 높아 연소실의 온도가 낮아져 CO와 Dust 배출(높은 배기가스 배출 속도)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3) 산업용 목재펠릿 보일러의 경우, 실험실에 설치된 200 kW급 온수보일러와 실제 산업현장에서 운전되고 있는 2,800 ~ 7,000 kW급 증기보일러에 대해 배출가스 특성을 조사하였다. CO 배출의 경우 18 ~ 492 ppm 이며, NOx 배출은 약 27 ~ 88 ppm이다.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기만 있는 실험실에 설치된 목재펠릿 보일러의 경우 20 ~ 58 mg/Sm3 정도 배출되었고, 사이클론과 후단에 백필터 방식의 집진기가 추가되어 있는 산업현장에 설치된 목재펠릿 보일러의 경우 1 ~ 3 mg/Sm3 수준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후 기

본 연구는 2021년도 한국임업진흥원(산림과학기술 출연연구개발사업, 목재 자원의 고부가가치 첨단화 기술개발)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과제번호 : 2021353A00-2123-AC03).

References

1 
IEA Bioenergy, 2018, Is Energy from Woody Biomass Positive for the Climate.URL
2 
Official Statistics of Finland(SVT), 2022, Total Energy Consumption in Finland 2022 (https://pxdata.stat.fi/).URL
3 
Rabaçal, M., Fernandes, U., and Costa, M., 2013,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 Domestic Boiler Fired with Pellets of Pine, Industrial Wood Wastes and Peach Stones, Renewable Energy, No. 51, pp. 220-226.DOI
4 
Moron, W. and Rybak, W., 2015, NOx and SO2 Emissions of Coals, Biomass and Their Blends under Different Oxy-fuel Atmospheres, Atmospheric Environment, No. 116, pp. 65-71.DOI
5 
Kim, S., Lee, H., and Kim, J., 2006,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Coal and Wood Biomass Co-Firing on the Pulverized Coal Combustion Furnace, KOSCO symposium, Vol. 33, pp. 293-298.URL
6 
Lim, Y., Kim, Y., and Chung, K., 2012, A Study of Domestic Wood Pellet Boilers Flue Ga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nduced Fan Air Flow Rate, SAREK Summer Annual Conference, pp. 593-596.URL
7 
Sim, B. S., Kim, J. J., Choi, K. S., Kang, S. B., and Jang, J. H., 2014, NOx Reduction Characteristics by the FGR of a Wood Pellet Boiler, SAREK Winter Annual Conference, pp. 344-347.URL
8 
KS B 8901:2020, Wood Pellet Boiler, Korean Industrial Standards.URL
9 
Forest Biomass Energy Association, Benefits of Wood Pellet (http://www.biomassenergy.kr/main/sub.html?pageCode=10).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