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학생 (Student, School of Civi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649, Korea)
  2. 성균관대학교 탄소중립에너지센터 연구원 (Researcher, Center for Carbon Neutrality and Energy Poverty,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16419, Korea)
  3.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Professor, School of Civi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16419, Korea)



Scan-to-BIM, 레이저 스캐닝, 모바일 기기, 점군, 역설계기법
Scan-to-BIM, Laser scanning, Mobile devices, Point cloud, Reverse-engineering method

1. 연구배경 및 목적

2022년에 발표된 국토부교통부의 2021년도 건축물 현황에 따르면 전체 건축물 731만 동 중에서 30년 이상 된 건축물은 국내 전체 건물의 39.6%, 15년 이상 된 건물은 전체의 67.6%로 국내 대다수의 건물이 노후화된 에너지 효율이 낮은 건물이다. 정부는 2050 탄소중립의 일환으로 2020년부터 노후 공공건축물에 대해 에너지 성능을 개선하는 그린리모델링을 추진하고 있다. 2025년부터는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의무화가 시행될 예정이다. 그러나 노후 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수행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설계도서(도면 등)가 부재하거나, 개보수 이력이 부재한 경우가 많다.(1) 기존 건축물의 설계도면 작성 및 디지털화는 그린리모델링의 수행 및 건물에너지 관리, 안전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면 부재 건물로부터 도면을 생성하는 BIM 기반 역설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2)

BIM 기반 역설계에 해당하는 Scan-to-BIM은 기존에 도면이 없거나 수기로 작성되어 제대로 된 디지털 정보가 없는 건축물의 형상정보를 획득하여, 3D 모델을 생성하는 일련의 작업을 의미한다.(3) Scan-to-BIM에 필요한 형상 정보의 취득은 주로 Photogrammetry 혹은 레이저 스캐닝이 사용된다. 다수의 2D 이미지로부터 3D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하는 Photogrammetry 방식은 작은 물체에 대하여 비교적 정확하고 빠르게 모델링이 가능하나 처리가 필요한 이미지 개수와 해상도가 커질수록 필요한 연산량이 늘어나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컴퓨팅 자원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반면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를 이용하는 레이저 스캐닝 방식은 대상 물체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3D 이미지에 해당하는 점군(Point Cloud)을 직접 획득하게 된다. 이 방법은 데이터를 정확하면서도 비교적 빠르게 취득할 수 있다. 그러나 고가의 장비로 인한 비용적 부담과 삼각대 위에 설치해야 하는 등 운용상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4)

기존 Scan-to-BIM 분야에서는 주로 TLS(Terrestrial Laser Scanner)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TLS 기기는 특정 방향으로 단일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거리를 측정하고, 모터 혹은 거울을 이용하여 그 방향을 조정한다. 장거리-고해상도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나,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부품에 정확도가 좌우되기 때문에 고정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며, 결과적으로 편의성이 떨어지며 비용적 부담이 큰 단점이 있다.(5)

그러나 최근에는 센서 및 데이터처리 알고리즘의 발전으로 이러한 단점들이 보완되어 비교적 저가이면서도 레이저 스캐닝이 가능한 모바일기기가 솔루션으로서 제시되고 있다.(6) 이러한 모바일기기의 경우 기계식으로 움직이는 부품 없이 1회에 여러 개의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점군을 획득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GNSS(GPS) 센서, IMU(Inertial Measurement Unit)에 해당하는 다종의 센서(Gyro, Geo-magnetic)가 통합된 형태로 개발되어 안정성과 더불어 작업자의 편의를 크게 개선하고 있다.(5) 이와 관련하여 Tavani et al.(6), Gollob et al.(7) 등은 모바일기기에 통합된 센서들의 성능과 그 사용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린리모델링 대상이 되는 노후 건축물을 대상으로 LiDAR 센서가 장착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Scan-to-Bim 역설계 도면 생성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4개 건축물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Fig. 1과 같은 프로세스에 따라 진행하였다. 먼저 모바일기기의 사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1개소에서 기존 TLS 기기를 이용하여 취득한 점군 데이터와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취득한 점군데이터의 점간 거리를 비교, 분석하고, 이후 3개소를 대상을 BIM 생성 결과물을 기존 건축도면과 비교하여 도면생성 프로세스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2.1 STEP 1: 현장조사 및 레이저 스캐닝

현장조사 및 레이저 스캐닝은 Scan-to-BIM 대상 건축물을 확인하여 최종 결과물인 BIM 도면 작성에 있어 부족한 데이터가 없도록 개별 점군을 확보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모바일기기는 그 LiDAR 센서의 위치와 방향이 지속적으로 바뀌어, 정확한 점군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알고리즘이 필요하다.(8) SLAM 알고리즘은 기존의 3D 이미지와 새로 취득된 3D 이미지의 정보를 조합, 촬영기기의 상대적인 위치 및 자세를 역으로 계산한다. 기기의 상대적인 위치와 자세를 도출하는 알고리즘 특성상, 한번 오차가 발생하면 해당 오차가 이후 계산값에 누적되기 때문에 일정치 이상 오차가 누적되어 레이저 스캐닝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촬영범위를 적정 간격으로 일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2.1.1 대상건물

본 연구의 대상건물로는 서로 다른 규모를 가진 4개의 건물을 선정하였다. 대상 건축물의 개요는 Table 1과 같다. 첫 번째 대상건물인 실험실의 경우, 내외부를 모바일 기기 및 TLS 기기를 사용하여 각각 17회씩 촬영을 진행하였으며, 나머지 3개소를 대상으로 지상층에 해당하는 부분을 모바일기기로 각각 14, 31, 30회 촬영하였다.

Fig. 1 Scan-to-BIM process.
../../Resources/sarek/KJACR.2024.36.5.251/fig1.png
Table 1 Target building
../../Resources/sarek/KJACR.2024.36.5.251/tb1.png

2.1.2 레이저 스캐닝

레이저 스캐닝에 사용된 모바일기기와 TSL기기의 성능은 Table 2와 같다. 모바일기기인 Ipad Pro를 이용한 레이저 스캐닝은 Laan Labs사의 3D scanner applicationTM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은 Maximum depth 4 m, Resolution 5 mm, Confidence-high로 설정하였다. Maximum depth는 최대 촬영거리 제한을 의미하며, Resolution은 점간 거리와 관련된 설정이다. Confidence는 Apple이 ARKit Framework을 통해 제공하는 ConfidenceMap 인스턴스 데이터를 사용하여 레이저 스캐닝 시 신뢰도가 높은 점만을 기록하도록 선택할 수 있는 설정이다.

Table 2 Comparison of laser scanning device(7,9)
../../Resources/sarek/KJACR.2024.36.5.251/tb2.png

2.2 STEP 2: 데이터 가공

데이터 가공 단계에서는 레이저 스캐닝을 통하여 취득된 개별 점군 데이터에 이미지 정보를 결합하고, 모델링에 사용할 수 있도록 다운사이징을 한 후 최종적으로 정합하는 과정이다. 이미지 정보의 결합은 모바일기기에서 카메라로 촬영된 2D 이미지 정보를 점군에 결합함으로써, 점군 내 각 점들이 RGB 값을 가지도록 한다.

다운사이징은 원본 데이터 내에 필요한 정보를 유지하면서도 데이터의 크기를 작업할 수 있을 정도로 줄이는 작업을 뜻한다. 해당 작업은 복셀화(Voxelization)를 이용하였다. 복셀화는 개별 공간을 구분하는 개별 복셀들 내에 포함된 여러 개의 점군 데이터를 하나의 값으로 간단히 표현하는 작업이다.(10)

개별 점군 데이터의 정합을 위하여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인 CloudCompare(v2.13 beta)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CloudCompare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직접 특정점을 선택하여 이것을 토대로 일치시키는 방법, 전체 점군을 사용하는 Iterative Closest Point(ICP)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방법(11), 혹은 직접 수치를 입력하여 위치, 방향 및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정합 과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x, y, z축 방향의 이동거리 및 scale 정보가 포함된 행렬 등의 출력값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리 확인된 특징점을 식별하여 이를 일치시킨 이후, 중복된 지역을 대상으로 ICP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오차를 최소화하였다.

2.3 STEP 3: BIM 생성

BIM 작성은 Autodesk사의 ReCap과 Revit을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ReCap은 CloudCompare에서 가공이 완료된 점군 데이터의 확장자를 Revit에서 입력 가능한 *.rcp 파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작업자는 해당 *.rcp 파일의 점군을 토대로 Revit에서 각 층 별로 벽체와 슬라브, 지붕, 창문 및 문 등의 건축요소들을 확인하고 생성하여 BIM을 작성하며, 필요할 경우 CAD 파일로 출력시켜 사용할 수 있다(Fig. 2).

Fig. 2 Changes in data types throughout scan-to-BIM process.
../../Resources/sarek/KJACR.2024.36.5.251/fig2.png

2.4 정확도 평가

본 연구에서는 먼저 1개소(실험실)를 대상으로 모바일기기를 사용하여 레이저 스캐닝을 진행하였을 때 취득된 점군의 정확도를 기존의 TLS 기기를 이용하여 취득한 점군과 비교하여 평가하였고, 이후 나머지 3개소를 대상으로 전체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도출된 결과물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U.S. General Service Administration(GSA)은 BIM의 생성 및 전달과 관련하여 Table 3에 표시된 허용치를 정의하고 있다. 점군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Level 1은 51 mm의 허용오차를 허용한다. 도면생성 결과물은 그린리모델링 진행 시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인 ECO2의 입력치로 사용된다. 따라서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Table 4에 표시된 에너지 시뮬레이션의 오차 허용치를 사용하였다. 오차와 관련한 RMSE, CVRMSE는 식(2)와 같다.

(1)
${RMSE}=\sqrt{\dfrac{\sum_{{t}=1}^{{n}}\left({s}_{{i}}-{m}_{{i}}\right)^{2}}{{n}}}$
(2)
$CVRMSE=\dfrac{RMSE}{{m}_{{mean}}}\bullet 100\%$

여기서, s와 m은 각각 도면생성 프로세스를 통하여 취득된 평면도 상 결과값, 기존 건축도면에 기재된 값, n은 데이터의 개수이다. 비교 대상으로는 평면도 상 개별 공간의 너비와 깊이를 사용하였다.

Table 3 U.S. GSA: deliverable selection matrix(12)

LOD

Area of Interest

Description

Tolerance (mm)

Minimum Artifact Size (resolution) (mm2)

Level 1

Total project area

Point cloud

± 51

152 × 152

Level 2

Subsecton of Level 1 (building)

Plan, Elevation, Surface model, Point cloud

± 13

25 × 25

Level 3

Subsection of Level 2 (floor level)

Plan, Elevation, Surface model, Point cloud

± 6

13 × 13

Table 4 Energy simulation calibration criteria of the Federal Energy Mangement Program (FEMP), ASHRAE Guideline 14, and Intern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s and Verfication Protocol (IPMVP)

Type

Index

FEMP Criteria(13)

ASHRAE Guideline 14(14)

IPMVP(15)

Monthly criteria (%)

CVRMSE

15

15

-

Hourly criteria (%)

CVRMSE

30

30

20

Both

R2

-

>0.75

>0.75

3. 정확도 비교 및 데이터 분석

3.1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취득된 점군의 정확도 비교: 실험실

본 연구에서는 고가의 성능이 우수한 TLS기기를 이용하여 취득된 점군 데이터가 실제값이라고 가정하고, 상대적으로 저가의 모바일기기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개별 스캔 17회를 통하여 획득한 점군 데이터와 데이터 처리과정 이후 전체 점군 데이터 중 바닥면에 해당하는 부위의 촬영 결과를 각각 TLS 기기와 비교하였다(Table 5의 (a)).

모바일기기의 개별 스캔에 의한 점군과 TLS기기를 이용하여 취득한 점군들 간 최소거리가 각각 어떻게 분포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균적으로 차이 1 mm 이내로는 1%, 10 mm는 36%, 51 mm 이내로는 88%의 점들이 분포하였다. Fig. 3에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촬영한 점군과 TLS기기의 전체 점군 간 최소거리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를 보면, 실의 중앙부위가 외곽 부분에 비하여 비교적 차기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장에서 레이저 스캐닝을 진행할 때 대상과의 거리와 입사각 등에 따라 레이저 반사강도가 영향을 받아 외곽부위에서 오차가 커지기 때문이다(Table 5의 b, c).

Fig. 3 Cloud to cloud distance of internal space represented by color.
../../Resources/sarek/KJACR.2024.36.5.251/fig3.png

각각 TLS기기와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취득된 전체 점군 데이터 중 바닥면에 근접한 부위만을 살폈을 때 평면과 점군의 최소거리가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분석하여 모바일기기인 Ipad Pro의 성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TLS의 경우 임의의 평면과의 거리가 0에서 0.1 m까지의 점군들을 살폈을 때 1 mm 이내로는 8.4%, 10 mm 이내로는 68%, 51 mm 이내로는 86%의 점들이 분포하였다.

모바일기기로 촬영한 바닥면은 동일 범위의 점군을 살폈을 때 1 mm 이내로는 1.8%로 극히 적은 값을 보였으며, 10 mm 이내로는 18%, 51 mm 이내로는 71%의 점들이 분포하였다. 따라서 단순한 건축요소를 상대로 레이저 스캐닝 및 데이터 처리과정을 진행하였을 때, 두 기기의 성능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Cloud to cloud, cloud to plane comparison results for laboratory building
../../Resources/sarek/KJACR.2024.36.5.251/tb5.png

3.2 전체 프로세스 결과물의 정확도 분석: 어린이집 3개소

분석 대상건물인 어린이집 3개소를 대상으로 한 도면생성 프로세스 결과는 Fig. 4와 같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면생성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출력된 도면과 기존 건축 평면도 상 각 실의 x, y축 방향의 길이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Table 6). Table 6에서는 절댓값(m) 및 기존 도면상 길이를 분모로 하는 상대오차 (%)를 나타내고 있으며, 개별 개소에서의 결괏값은 각각 Table 7 ~ Table 9에 정리하였다. 또한 레이저 스캐닝 및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를 분석하기 위하여 Fig. 5에 각 실의 건축도면상 길이와 너비를 오차율에 대비하여 분석하였다.

개별 실 너비와 깊이 등을 오차율과 대비하여 살폈을 때, 5% 이상 오차는 대부분 실의 너비와 크기가 3~5 m 사이에 분포하였다. 5 m 이상의 건축요소들은 여러 점군들을 하나로 하는 정합 과정을 거쳐 BIM에서의 형상이 결정되고, 5 m 이하의 건축요소들은 단일 점군 데이터로부터 BIM 상의 형상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도면생성 프로세스에서 데이터 처리과정보다, 레이저 스캐닝 수행, 혹은 BIM 작성 과정에서 주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레이저 스캐닝 수행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은 촬영기기의 급격한 이동 및 회전, 표면 상태 불량 등이 있다. 또한 BIM 생성 과정에서 수작업을 통하여 진행하였으므로, 이것이 추가적인 오차의 원인이 되었다.

전체적인 결과를 보았을 때, 어린이집 3개소에서의 평균 오차율은 각각 2.21%, 5.99%, 2.75%로 나타났다. CVRMSE의 경우 각각 7.06%, 10.60%, 6.04%의 값을 가졌으며, R2값은 각각 0.979, 0.996, 0.991의 값을 가졌다. 이에 어린이집 3개소를 대상으로 한 도면생성 프로세스의 결과는 모두 건물 에너지 시뮬레이션의 허용치와 관련하여 ASHRAE Guideline 14: Monthly criteria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 4 Generated drawings of kindergaren case 1, 2, 3.
../../Resources/sarek/KJACR.2024.36.5.251/fig4.png
Fig. 5 Individual x, y length of drawing plotted against error rate.
../../Resources/sarek/KJACR.2024.36.5.251/fig5.png
Table 6 Average error rate and CVRMSE values for three kindergarden cases

Cases

Average error rate

CVRMSE

R2

Kindergarden 1

2.21%

7.600%

0.979

Kindergarden 2

5.99%

10.06%

0.996

Kindergarden 3

2.75%

6.04%

0.991

Table 7 Kindergarden 1 building x, y axis comparsion of drawing and generated BIM

Identified Location

Length in drawing (m)

Length of BIM (m)

Difference (m)

Percentage (%)

x

y

x

y

x

y

x

y

1

6.000

5.100

5.882

5.088

0.118

0.012

1.967

0.235

2

2.500

3.300

2.548

3.294

0.048

0.006

1.920

0.182

3

6.000

3.600

6.220

3.580

0.220

0.020

3.667

0.556

1F lobby

3.700

4.400

3.343

4.483

0.357

0.083

9.649

1.886

Stairs

3.300

2.600

3.325

2.551

0.025

0.049

0.758

1.885

4

8.500

5.000

8.524

5.001

0.024

0.001

0.282

0.020

Entrance

2.400

2.600

2.398

2.685

0.002

0.085

0.083

3.269

5

6.000

5.100

5.872

5.148

0.128

0.048

2.133

0.941

6

2.500

3.300

2.539

3.29

0.039

0.010

1.560

0.303

2F lobby

3.900

4.400

3.618

4.479

0.282

0.079

7.231

1.795

7

8.500

5.000

8.527

4.946

0.027

0.054

0.318

1.080

8

2.400

2.600

2.247

2.473

0.153

0.127

6.375

4.885

Table 8 Kindergarden 2 building x, y axis comparsion of drawing and generated BIM

Identified Location

Length in drawing (m)

Length of BIM (m)

Difference (m)

Percentage (%)

x

y

x

y

x

y

x

y

Entrance

3.000

2.700

2.955

2.693

0.045

0.007

1.500

0.259

1, 7

4.500

5.000

4.439

4.855

0.061

0.145

1.356

2.900

2, 8

4.500

5.000

4.435

4.855

0.065

0.145

1.444

2.900

3, 9

4.500

5.000

4.500

4.855

0.000

0.145

0.000

2.900

4

2.400

2.000

2.450

2.031

0.050

0.031

2.083

1.550

5

2.400

2.000

2.450

1.976

0.050

0.024

2.083

1.200

Stairs

3.000

5.000

3.295

4.975

0.295

0.025

9.833

0.500

10

3.000

3.200

2.945

3.475

0.055

0.275

1.833

8.594

11

4.231

3.200

4.464

3.475

0.233

0.275

5.507

8.594

12

3.022

2.800

2.950

2.475

0.072

0.325

2.383

11.607

Hallway

-

1.700

-

1.724

-

0.024

-

1.412

2F lobby

4.208

4.500

4.460

4.200

0.252

0.300

5.989

6.667

13

3.000

3.200

2.870

3.475

0.130

0.275

4.333

8.594

14

8.000

6.000

7.339

5.956

0.661

0.044

8.263

0.733

15

-

2.800

-

2.478

-

0.322

-

11.500

Table 9 Kindergarden 3 building x, y axis comparsion of drawing and generated BIM

Identified Location

Length in drawing (m)

Length of BIM (m)

Difference (m)

Percentage (%)

x

y

x

y

x

y

x

y

1F front stair

3.000

-

2.950

-

0.050

-

1.67

-

1F back stair

2.600

-

2.700

-

0.100

-

3.85

-

2F front stair

3.000

-

2.950

-

0.050

-

1.67

-

1F lobby

6.900

6.000

6.800

6.020

0.100

0.020

1.45

0.33

1

7.000

8.000

7.150

8.250

0.150

0.250

2.14

3.13

2

7.000

3.000

7.050

3.100

0.050

0.100

0.71

3.33

3

5.100

6.000

5.250

6.270

0.150

0.270

2.94

4.50

4

7.000

9.170

7.050

8.880

0.050

0.290

0.71

3.16

2F lobby

5.000

-

5.000

-

0

-

0.00

-

5

7.000

8.000

7.150

8.250

0.150

0.250

2.14

3.13

6

7.000

4.220

7.050

4.780

0.050

0.560

0.71

13.27

7

7.000

3.780

7.050

3.470

0.050

0.310

0.71

8.20

8

7.000

3.000

7.050

3.100

0.050

0.100

0.71

3.33

9

7.000

9.170

7.050

8.880

0.050

0.290

0.71

3.16

10

7.600

8.646

7.700

8.820

0.100

0.176

1.32

2.04

3F lobby

5.000

-

5.200

-

0.200

-

4.00

-

11

7.000

8.000

7.150

8.250

0.150

0.250

2.14

3.13

12

7.000

8.000

6.850

8.250

0.150

0.250

2.14

3.13

13

7.000

3.000

6.850

3.100

0.150

0.100

2.14

3.33

14

7.000

9.170

6.850

8.880

0.150

0.290

2.14

3.16

15

7.600

8.646

7.693

8.822

0.093

0.176

1.22

2.04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저가의 모바일기기를 사용하여 도면이 부재한 노후 건축물의 도면 생성 방법 및 프로세스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개별 레이저 스캐닝 결과를 기존의 고해상도 TLS 기기를 이용하여 취득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평가기준으로 GSA의 허용오차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TLS의 경우 임의의 평면과의 거리가 0에서 0.1 m까지의 점군들을 살폈을 때, 1 mm 이내로는 8.4%, 10 mm이내는 68%, 51 mm 이내는 86%의 점들이 분포하였다. 모바일기기로 촬영한 동일 범위의 점군을 분석한 결과, 1mm 이내는 1.8%로 극히 적은 값을 보였으며, 10 mm 이내는 18%, 51 mm 이내는 71%의 점들이 분포하여, 결과적으로 두 기기의 성능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2) 최종 결과물인 BIM을 통하여 도출된 실의 너비와 깊이 등의 결과물을 기존 건축도면과 비교하였다. 분석 대상인 어린이집 3개소의 평균 오차율은 각각 2.21%, 5.99%, 2.75%로 나타났다. CVRMSE의 경우 각각 7.60%, 10.06%, 6.04%이었으며, R2값은 각각 0.979, 0.996, 0.991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분석 대상 어린이집 3개소를 대상으로 한 도면생성 결과는 모두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의 허용치와 관련하여 정의한 ASHRAE Guideline 14: Monthly criteria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레이저 스캐닝 과정에서 좁은 공간에서 빠르게 촬영기기를 움직이거나, 표면의 장애물을 제거하지 않고 촬영을 진행하였을 경우에는 오차가 크게 발생하였다.

(3)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바일기기를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 노후 건축물의 도면 생성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노후 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사업 수행상의 어려움 중 하나인 설계도서 부재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연구로 BIM 생성 과정을 반자동화하여 해당 단계에서의 오차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최종 결과물을 에너지 시뮬레이션과 연계하여 에너지 분석에 요구되는 입력 데이터 작성을 자동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후 기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안전관리원)의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B0060210000039).

References

1 
Hossain, M. A. and Yeoh, J. K., 2018, BIM for Existing Buildings: Potential Opportunities and Barriers, In IOP Conference Serie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71, No. 1, p. 012051, IOP Publishing.DOI
2 
Truong-Hong, L., Lindenbergh, R., and Nguyen, T. A., 2021, Structural Assessment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ing Point Clouds, International Journal of Building Pathology and Adaptation, Vol. 40 No. 3, pp. 345-379.DOI
3 
Kim, T. H., Woo, W., and Chung, K., 2019, 3D Scanning Technology for Smart Maintenance of Super Tall Building,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1, No. 6, pp. 39-45.URL
4 
Ma, Z. and Liu, S., 2018, A Review of 3D Reconstruction Techniques in Civil Engineering and Their Applications, 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Vol. 37, pp. 163-174.DOI
5 
Altuntas, C., 2023, Review of Scanning and Pixel Array-Based LiDAR Point-Cloud Measurement Techniques to Capture 3D Shape or Motion, Applied Sciences, Vol. 13, No. 11, p. 6488.DOI
6 
Tavani, S., Billi, A., Corradetti, A., Mercuri, M., Bosman, A., Cuffaro, M., Seers, T., and Carminati, E., 2022, Smartphone Assisted Fieldwork: Towards the Digital Transition of Geoscience Fieldwork using LiDAR-equipped iPhones, Earth-Science Reviews, Vol. 227, p. 103969.DOI
7 
Gollob, C., Ritter, T., Kraßnitzer, R., Tockner, A., and Nothdurft, A., 2021. Measurement of Forest Inventory Parameters with Apple iPad Pro and Integrated LiDAR Technology, Remote Sensing, Vol. 13, No. 16, p. 3129.DOI
8 
Durrant-Whyte, H. and Bailey, T., 2006,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Part I, IEEE Robotics & Automation Magazine, Vol. 13, No. 2, pp. 99-110.DOI
9 
Altuntas, C., 2023, Review of Scanning and Pixel Array-Based LiDAR Point-Cloud Measurement Techniques to Capture 3D Shape or Motion. Applied Sciences, Vol. 13, No. 11, p. 6488.DOI
10 
Wang, C. and Cho, Y. K., 2015, Smart Scanning and Near Real-time 3D Surface Modeling of Dynamic Construction Equipment from a Point Cloud,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49, pp. 239-249.DOI
11 
Ahmad Fuad, N., Yusoff, A. R., Ismail, Z., and Majid, Z., 2018,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Point Cloud Registration Methods for Landslide Monitoring Using Mobile Laser Scanning Data,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 42, pp. 11-21.DOI
12 
Guide, G. S. A. B. I. M., 2009, GSA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Guide Series: 03. US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USA.URL
13 
Webster, L. and Bradford, J., 2008, M&V Guidelines: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for Federal Energy Projects, Version 3.0, Technical Report.URL
14 
ASHRAE, A. G., 2014, Guideline 14-2014: Measurement of Energy, Demand, and Water Savings,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 Conditioning Engineers, Atlanta, Georgia.URL
15 
Cowan, J., 2002, Intern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Protocol: Concepts and Options for Determining Energy and Water Savings-Vol. I., Intern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 Verification Protocol, 1.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