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술원 (Engineer, Korea Institue of Energy Research, 52 Gajeong-ro, Daejeon, 3429, Korea)
  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문연구위원 (Special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 Gajeong-ro, Daejeon, 3419, Korea)
  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2 Gajeong-ro, Daejeon, 4129, Korea)
  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Principal Researcher,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152 Gajeong-ro, Daejeon, 3129, Korea)
  5. 지오릿에너지 대리 (Assistant Manager, GEOLIT Energy R&D Center, 43 Changeop-ro, Sujeoung-gu, Seongnam-si, 13449, Korea)
  6. 지오릿에너지 고문 (Advisor, GEOLIT Energy R&D Center, 43 Changeop-ro, Sujeoung-gu, Seongnam-si, 13449, Korea)



대수층을 활용한 지중축열조, 보어홀을 활용한 지중축열조, 히트펌프, 열거래, 허브 축열조
ATES, BTES, Heat pump, Heat trading, Hub Thremal energy Storage

기호설명

$q_{p}$ : 열량 [kW]
$C_{p}$ : 비열 [J․molm-1․Km-1]
$V$ : 체적유량 [m3/min]
$T_{out}$ : 열교환기 출구온도 [℃)]
$T_{i n}$ : 열교환기 입구온도 [℃)]
$T$ : 온도 [K/1000]
$\rho$ : 밀도 [kg/m3]
$t$ : (0~150)도 구간 온도 [℃]
$Q_{c}$ : 냉열총생산량 [MWh]
$Q_{h}$ : 온열총생산량 [MWh]
$\eta_{b}$ : 보일러 열효율 [%]
$P_{hp}$ : 히트펌프 소비전력 [MWh]
$COP_{ashp}$ : 공기열원 히트펌프 COP [-]
$LHV_{kerosene}$: 등유 순발열량 COP [-]

1. 서 론

1.1 연구배경

과학기술의 발전과 산업화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기후변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이는 인류의 미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선진국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절감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에 의해 2030년까지 2018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을 40% 이상 감축해야 한다.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방법(1) 중에는 탄소포집기술의 사용, 에너지효율향상, 신재생에너지의 활용 등 이 있다. 특히 수요부문에서의 에너지효율향상과 신재생에너지의 기술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고, 도시와 같이 밀집된 인구 지역에서는 고효율에너지설비와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을 통해 상당한 양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

2020년 기준으로 서울지역(2)의 온실가스 배출량 중 건물 부분이 70.7%로 가장 많았다. 건물부문(3)에서의 소비된 에너지 중에는 전기 52%, 도시가스 40%, 지역난방 8% 순으로, 공조를 위한 에너지 소비가 건물부문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공조부문에서 설비의 효율향상과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은 상당한 온실가스 저감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히트펌프시스템의 활용을 통해 신재생에너지의 사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히트펌프시스템은 다양한 열원과의 결합이 가능하며, 축열조를 활용한 운전을 통해 전력부하평준화와 고효율 정격운전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당한 양의 온실가스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운영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축열식 히트펌프시스템을 개선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기존 축열식 히트펌프 시스템의 열공급방식인 중앙공급방식을 개선하여 양방향 열거래를 지원하는 축열식 히트펌프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축열식 히트펌프시스템과 양방향 열거래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온실가스 감축과 운영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 이전연구

본 연구에서의 주요 기술은 축열조와 양방향 열거래를 지원하는 열네트워크 기술이다. 축열조와 관련해서는 빙축열시스템 및 심야전기를 활용하는 공조시스템에 보급되었으며,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축열조는 열을 저장하는 설비로 축열방법에 따라 현열 및 잠열축열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인 물을 이용하는 현열 축열시스템(8)으로 콘크리트 혹은 철제탱크 등에 열을 저장하는 탱크축열방식(TTES), 탱크축열방식과 유사하지만 웅덩이와 같은 지형을 이용하는 피트축열방식(PTES), 대수층에 열을 저장하는 대수층축열방식(ATES), 보어홀을 지중에 매설하여 지중에 열을 저장하는 보어홀축열방식(BTES)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ATES, BTES, TTES 등 세 가지 축열조를 활용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축열조를 직/간접적으로 이용한 실증운영결과를 분석하였다.

축열조는 히트펌프시스템의 정격운전을 통한 성능향상과 전력부하평준화에 기여하며, 건물(4) 및 시설원예(5) 공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상당량의 온실가스 및 운영비용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Kim et al.(6) 외는 50RT급 축열식 히트펌프시스템의 냉방실증운전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이를 통해 주간시간대 소비전력량 중 72.1%를 경부하시간대로 이동시킴으로써 전력부하 평준화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고등학교 건물(연면적 10,432 m2)(7)에 적용된 LPG기반의 흡수식냉온수기 시스템을 축열식 히트펌프시스템으로 전환을 통해 기존시스템 대비 년간 최대 33,943천 원의 운영비용절감효과와 18.9 tCO2eq.의 온실가스절감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처럼 축열조는 계절간 부하 및 주야간 부하격차를 해소하여 장단기 부하평준화효과, 재생에너지의 간헐성문제해결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재생에너지 보급확산에 따른 출력제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여전력을 열에너지로 전환하는 데 필수적인 에너지저장설비로 축열조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열네트워크 기술은 대부분 지역난방 사업자에 의해 보급되어 왔다. 현재는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한 열병합발전방식의 3세대 지역난방시스템이 주로 사용되고 있고, 대규모 중앙공급 방식으로 단방향 열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신재생에너지의 확대정책과 더불어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저온방식의 4세대 지역난방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미 덴마크, 독일, 영국 등(9)은 4세대 지역난방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국내에서도 진천(4), 부산(10) 등 신재생 및 미활용 열원이 융복합된 제로에너지시티 등이 구축되어 활발한 운영 중에 있다.

4세대 지역난방시스템의 열공급방식 중 대부분은 중앙 기계실의 열설비에서 인근에 있는 열수요처에 열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열수요처 및 공급처가 제한된 방식으로 단방향 열공급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그러나 저러나 2019년 이후에는 중앙 열공급방식을 개선하고 독립배관을 통한 열거래가 가능한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진천 친환경에너지타운(11)이 국내 최초의 사례로, 축열조를 거치지 않고 배관을 통한 양방향 열공급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열거래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열에너지의 효과적인 활용을 가능케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열수용처 중심에 허브축열조를 구성하여 기존 단방향 열공급 방식 및 독립배관을 통한 열거래 방식의 배관시스템보다 유동적으로 축/방열운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상당량의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기존 축열식 히트펌프시스템의 장점과 열네트워크 기술의 개선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열에너지의 공급 및 소비가 가능한 열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내용과 같이 재생에너지를 포함한 다양한 열원에서 생산되는 열에너지를 저장하고, 이를 활용하여 복수의 프로슈머(열에너지의 생산과 소비가 가능한 주체) 간의 양방향 열거래를 지원하는 스마트 허브축열시스템을 구축하여 냉/난방 실증운전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기간 동안의 에너지절감량, 온실가스절감량, 운영비용절감량 등의 지표를 기준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2.1 시스템 개요

실증대상지는 부산 강서구 명지국제도시에 위치한 에코델타시티 내에 있는 스마트빌리지, 스마트정수장, 어반테크하우스, 홍보관 등이며, 현장사진은 Fig. 1과 같다. 시스템 계통도는 Fig. 2와 같으며, 전체 시스템은 탱크타입 허브축열조를 중심으로 스마트빌리지(프로슈머 A), 어반테크하우스(프로슈머 B), 스마트정수장(프로슈머 C), 홍보관(컨슈머 D), 열거래사업자 등 총 3개의 프로슈머 건물, 1개의 컨슈머 건물, 1개의 열거래사업자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슈머의 열원설비로 히트펌프, 태양열집열기, 연료전지 등이 있으며, 각 프로슈머별 열원설비 사양은 Table 1과 같다.

Fig. 1 Empirical site main building picture.
../../Resources/sarek/KJACR.2024.36.6.289/fig1.png
Fig. 2 Schematic diagram of current existing heat supply system and heat pump simulation model.
../../Resources/sarek/KJACR.2024.36.6.289/fig2.png
Table 1 Facility capacity of HUB TES system

Facility capacity

Smart village

Ground source heat pump 110 RT, Water source heat pump 80 RT,

Multi source(Ground and water source) heat pump 50 RT, TES 300 m3

Urban tech house

Ground source heat pump 50 RT

Smart water

purification center

Air source heat pump 20 RT

Heat transaction operator

BTES(20,000 m3), ATES(15 t/h water intake, 2 hole), Solar thermal collector 150 m2, BTES source heat pump 30 RT, ATES source heat pump 30 RT

HUB TES

Tank type, 400 m3

2.2 시스템 운전현황

허브축열시스템은 Fig. 1에서와 같이 허브축열조를 중심으로 다양한 열원설비들과 연결되어 있다. 열거래사업자 설비 중 태양열집열시스템의 생산열은 난방기간에는 허브축열조로 저장되며 난방열로 직접적으로 활용되고, 냉방기간에는 BTES에 저장되어 난방기간 히트펌프의 증발열원으로 간접적으로 활용된다. 또한, 열거래사업자의 열원설비인 BTES 및 ATES를 열원으로 하는 히트펌프와 프로슈머 B의 열원설비인 지열원 히트펌프는 허브축열조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프로슈머 A, C의 열원설비의 경우 열교환기로 계통이 구분되어 있다.

허브축열시스템은 PLC 기반의 자동제어시스템에 의해 입력된 운전 스케줄에 의해 자동 운전된다. 실험시간 동안 온도, 압력, 유량, 소비전력, 일사, 외기 온/습도 등에 대한 실증데이터는 30초 단위로 측정되고 있으며, 각 계측센서에 대한 제원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Specification of measurement sensor

Category

Model

Specification

Quantity

Temperature

RTD 3wire, PT100Ω

measurement uncertainty

0.16 ($k$=2)

11

measurement uncertainty

0.17($k$=2)

9

Pressure

Sensys PTDH0010KAPA

(0 ~ 10) bar

accuracy ±0.25% FS

22

Solar radiation

Kippen & Zonen

SMP6(ISO 9060 First Class)

1

Flow

Toshiba LF620

Vs > 0.5m/s ±0.3% of rate

Vs < 0.5m/s ±0.4% of rate

1

Autoflow

±0.5% of reading(Vs 0.3m/s~10m/s)

13

Outdoor Temperature

GOTH-1420/pt1000

(-35~80)℃

1

2.3 실증운전시나리오

냉방기간에는 전체 시스템의 시운전을 통한 양방향 열거래의 기술적 가능성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시스템이 운전되었으며, 난방기간에는 열설비 공유, 온실가스절감, 운영비용최소화, 피크부하절감 등의 네 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운전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단일 건물의 열원설비로 인근에 있는 모든 건물의 열에너지를 대응하기 위한 운전으로, 기존 중앙공급식 열공급 방식을 모사하였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운영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운전으로, 각 운전 시간대에 상대적으로 전기요금이 저렴한 프로슈머의 열설비를 활용한 열공급 모드이다. 세 번째 시나리오는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를 목표로 하는 운전으로, 고효율 열원설비를 활용한 열공급 모드이다. 네 번째 시나리오는 두 번째와 세 번째 시나리오를 결합한 모드로, 가장 효용성이 높은 운전 모드이다. 각 시나리오별 운전기간은 Table 3과 같다.

Table 3 Operation period by scenario

Operation period

Scenario 1

23.11.07.~17., 23.11.20.~24., 23.12.29., 24.01.02.~03.

Scenario 2

23.12.04.~08.

Scenario 3

23.12.11.~15.

Scenario 4

23.12.18.~20., 2312.22., 23.12.26., 24.01.03.~02.29.

2.4 열성능분석 방법

실증단지 내 재생에너지 열원에서 생산된 열량을 기준으로 열성능을 분석하였다. 특히, 네 번째 시나리오의 운전기간을 대상으로 기존 운전방식과 비교하여 양방향 열거래를 통한 운영비용 절감효과에 대한 결과도 비교하였다. 열성능분석 기간은 자동제어시스템 구축시점일인 23년 7월 20일 부터 24년 2월 29일 까지 이며, 각 분석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2.4.1 열량산출방법

열성능을 분석을 위해서는 허브축열시스템을 통한 축열 및 방열 열량을 측정해야 한다. 허브축열조에 직접 연결되어있는 설비의 경우 각 열원 설비의 입/출구 온도, 체적유량을 기준으로, 열교환기로 계통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 열교환기 2차 측의 입/출구 온도, 체적유량을 기준으로 열량을 산출하였다. 열량은 비열, 밀도, 체적유량, 온도 등의 함수로 계산식은 식(1)과 같다.

(1)
$q_{p}=C_{p}\rho V(T_{out}-T_{i n})$

(1)에서 물의 비열은 온도의 함수이고, Shomate Equation(12)을 적용하였다. 설비로 유입되는 유체의 입/출구 평균 온도값을 적용하여 열용량을 계산하였으며, 계산식은 식(2)와 같다.

(2)
$C_{p}= -203.6060+1523.290\times T-3196.413\times T^{2}+2474.455\times T^{3}+3.855326/T^{2}$

비압축성 유체인 물의 밀도는 온도의 함수이고, Kell Equation(13)을 적용하였다. 설비로 유입되는 유체의 입/출구 평균온도 값을 적용하여 밀도를 계산하였으며, 계산식은 식(3)과 같다.

(3)

$\rho =(999.83952+16.945176t-7.9870401\times 10^{-3}t^{2}-46.170461\times 10^{-6}t^{3}+105.56302\times 10^{-9}t^{4}$

$-280.54253\times 10^{-12}t^{5})/(1+16.897580\times 10^{-3}t)$

2.4.2 에너지절감량

에너지절감량(16)은 실증단지 내 재생에너지 열원을 통해 생산된 열에너지의 총량을 기존방식의 열원설비운전을 가정에 따른 에너지사용량을 예측하여 산출하였다. 냉열생산에 따른 에너지절감량은 공기열원 히트펌프 운전을 가정하여 히트펌프의 소비전력량을 기준으로 산출하였고, 온열생산에 따른 에너지절감량은 등유 보일러 운전시의 가스소비량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열량환산계수를 고려하여 산출하였다. 냉/온열 생산에 따른 에너지절감량 계산식은 각각 식(4), 식(5)와 같다.

냉열생산에 따른 에너지 절감량

(4)
$\dfrac{Q_{c}[MWh]}{COP_{ashp}}\times 0.229[T O E/MWh]$

온열생산에 따른 에너지 절감량

(5)
$\dfrac{Q_{h}[MWh]}{\eta_{b}}\times 3600[MJ/MWh]\times LHV_{\ker osene}\times 0.874[10^{-3}T O E/L]$

공기열원 히트펌프의 COP는 LG시스템에어컨(LT-C1300SM) 냉방 정격운전효율기준 2.77을 적용하였으며, 등유보일러의 열효율은 85%로 가정하였고, 등유의 순 발열량은 34.1 MJ/L을 적용하였다. 또한, 열에너지 생산을 위해 소비된 히트펌프의 소비전력을 차감하여 에너지절감량을 산출하였다. 히트펌프 소비전력에 따른 에너지소비량 계산식은 식(6)과 같다.

(6)
$P_{hp}[MWh]\times 0.229[T O E/MWh]$

2.4.3 온실가스절감량

에너지절감량 산출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온실가스절감량을 산출하였으며, 냉/온열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절감량에 히트펌프 소비전력에 따른 온실가스 발생량을 차감하여 온실가스절감량을 산출하였다. 각 산출방법에 적용된 배출계수는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온실가스 종합정보플랫폼의 최신자료(16)를 참고하였으며, 각각에 대한 계산식은 식(7)~식(9)와 같다.

냉열생산에 따른 온실가스절감량

(7)
$\dfrac{Q_{c}[MWh]}{COP_{ashp}}\times 0.4781[t CO_{2}eq./MWh]$

온열생산에 따른 온실가스절감량

(8)
$\dfrac{Q_{h}[MWh]}{\eta_{b}}\times 0.0036[TJ/MWh]\times 72.296[t CO_{2}eq./MWh]$

히트펌프 소비전력에 따른 온실가스절감량

(9)
$P_{hp}[MWh]\times 0.4781[t CO_{2}eq./MWh]$

2.4.4 운영비용절감효과

양방향 열거래 운전은 기존 운전방식 대비 각 프로슈머건물의 열원설비의 효율이 비슷할 경우 냉난방 부하대응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의 총량은 비슷하지만, 각 프로슈머에 적용된 요금제를 적절히 활용할 때 상당량의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운영비용 절감효과는 네 번째 시나리오의 실증운전결과를 기준으로, 실제 발생된 에너지요금과 각 프로슈머건물의 열원설비를 이용하여 운전하였을 경우의 에너지요금을 예측하여 분석하였다.

각 프로슈머건물의 전기요금은 프로슈머 A의 경우 일반용(을) 고압 A 선택 2, 프로슈머 B의 경우 일반용(갑) 저압, 프로슈머 C의 경우 산업용(갑) 저압, 열공급자의 경우 산업용(갑) 선택 2 요금제가 적용되었으며, 컨슈머 D의 경우 등유보일러를 사용하였을 경우를 가정하였다.

예측된 에너지요금은 실제 발생된 열부하에 각 열원설비를 가동하였을 경우의 전기요금(17)과 연료비(18)를 기준으로 산출되었는데, 프로슈머 B의 경우 실험 당일 산출된 지열원 히트펌프의 시스템 COP값을 적용하였으며, 프로슈머 C의 경우 공기열 히트펌프의 COP 2.77을 적용하여 산출된 소비전력에 전기요금을 고려하여 운영비용을 산출하였다. 프로슈머 A의 경우 난방기간에는 수열원 온도저하로 지열원 히트펌프를 우선적으로 기동되며, 지열원 히트펌프만으로 프로슈머 A의 열부하 대응이 가능하므로, 프로슈머 B와 동일하게 당일 산출된 지열원 히트펌프의 시스템 COP 값을 적용하였다.

컨슈머D의 경우 등유보일러 열효율 85%를 적용하여 산출된 등유 소비량에 연료비를 고려하여 운영비용을 산출하였다.

3. 연구결과

3.1 양방향 열거래운전결과

총 네 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실시간 열거래 그래프는 각각 Fig. 3 ~ Fig. 6과 같다. 음의 영역에 있는 그래프는 프로슈머 및 열거래 사업자의 열설비에서 허브축열조로의 축열량을 나타낸다. 양의 영역에 있는 그래프는 허브축열조에서 프로슈머 및 컨슈머건물로의 방열량과 프로슈머 A의 자체공급열량을 나타낸다. Fig. 3은 프로슈머 A의 설비로 모든 건물에 열부하를 대응하는 운전모드를 나타낸 그래프로 경부하 및 중간부하시간에 프로슈머 A에서 생산된 온열을 이용하여 프로슈머 B, C, D에 열부하에 대응하였다. 그래프에는 프로슈머 A의 자체적인 열설비에서 프로슈머 A로 공급된 열량과 허브축열조의 입/출입 열량을 표기하였다. Fig. 4는 운영비용 최소화를 위한 운전모드를 나타낸 그래프로, 전기요금이 저렴한 프로슈머 A, B, 열공급자의 열설비인 ATES열원 히트펌프를 경부하시간대를 우선으로 운전하여 모든 건물의 열부하에 대응한 그래프이다. Fig. 5는 온실가스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운전모드를 나타낸 그래프로, 상대적으로 효율이 좋은 열공급자의 열설비인 ATES, BTES열원 히트펌프를 시간대 구분 없이 운전하여 전력소비를 최소를 목적으로 운전하였다. Fig. 6은 피크부하 절감을 위한 운전모드를 나타낸 그래프로, 실질적으로 효율이 좋은 프로슈머 B의 열설비와 열공급자의 ATES 열원 히트펌프를 경부하시간대를 우선으로 운전하였다. 실험시간 모든 열설비들에 대한 총 생산 및 공급열량은 Table 4와 같다. 프로슈머 열설비에서 허브축열조로의 축열량은 냉방/난방기간 각각 양수, 음수로 표기하였으며, 허브축열조에서 프로슈머로의 방열량은 냉방/난방기간 각각 음수, 양수로 표기하였다.

Fig. 3 Hourly heat trading graph of scenario 1(24.01.03.).
../../Resources/sarek/KJACR.2024.36.6.289/fig3.png
Fig. 4 Hourly heat trading graph of scenario 2(23.12.06.).
../../Resources/sarek/KJACR.2024.36.6.289/fig4.png
Fig. 5 Hourly heat trading graph of scenario 3(23.12.15.).
../../Resources/sarek/KJACR.2024.36.6.289/fig5.png
Fig. 6 Hourly heat trading graph of scenario 4(23.12.19.).
../../Resources/sarek/KJACR.2024.36.6.289/fig6.png
Table 4 Monthly total heat through Hub TES
(Unit : kWh)

A2

HUB

B2

HUB

C2

HUB

ATES2HUB

BTES2HUB

ST2

HUB

HUB2

A

HUB2

B

HUB2

C

HUB2

D

ST2

BTES

Jul.

0

4,443

0

0

3

0

-2

-4,271

0

-375

-4,870

Aug.

0

13,398

2

2,978

0

0

-8

-12,473

-0

-1,426

-11,901

Sept.

0

33,703

312

25,641

0

0

-30,984

-5,623

-5,474

-1,096

-5,327

Oct.

0

35,304

0

15,828

0

-34,301

-2,996

-9,110

-632

-4,911

0

-17,767

0

-49

-4

-1,357

0

1,167

0

198

0

Nov.

-6,965

-12,629

0

-2,889

-337

-2,440

165

13,007

10

1,713

0

Dec.

-2,969

-55,374

0

-45,603

-3,650

-946

69,894

13,365

4,057

1,866

0

Jan.

-1,404

-8,778

0

-22,368

0

-1,396

73

16,117

5,455

2,169

0

Feb.

0

-3,158

0

-19,724

-23

-1,827

0

14,507

3,173

2,011

0

2: to, A : Prosumer A, B : Prosumer B, C : Prosumer C, D : Consumer D, HUB : Hub thermal energy storage, ST : Solar thermal, ATES : ATES source heat pump, BTES : BTES source heat pump

3.2 에너지 및 온실가스절감량

실증단지의 월별 에너지 및 온실가스절감량은 Table 5와 같다. 분석대상기간 각 수요처의 총 온열생산량은 684.2 MWh이며, 냉열생산량은 321.1 MWh이다. 온열생산량 중 8.0 MWh은 태양열집열기를 통해 생산되었으며, 나머지는 지열 및 수열원 히트펌프를 통한 생산되었다.

재생열원을 통한 열에너지 생산에 따른 에너지절감량은 101.7 TOE이며, 열에너지 생산을 위한 히트펌프 및 순환펌프의 운전에 따른 에너지소비량은 75.7 TOE로 측정되어 순 에너지절감량은 26.0 TOE로 측정되었다.

재생열원을 통한 열에너지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절감량은 267.4 tCO2eq.이며, 열에너지 생산을 위한 히트펌프 및 순환펌프의 운전에 따른 에너지소비량은 158.1 tCO2eq.로 측정되어 순 온실가스절감량은 109.4 tCO2eq.로 측정되었다.

Table 5 Reduction and production amount of energy, green house gas(GHG.)

Heat production

Power consumption

Energy reduction

Energy consumption

GHG. reduction

GHG. production

Cold heat

321.1 MWh

26.6 TOE

55.5 tCO2eq.

Hot heat

684.2 MWh

75.1 TOE

211.9 tCO2eq.

Heat pump

-

250.0 MWh

57.2 TOE

119.5 tCO2eq.

Circulation pump

-

80.7 MWh

 

18.5 TOE

 

38.6 tCO2eq.

3.3 운영비용절감효과

양방향 열거래운전을 통한 운영비용 절감효과는 Table 6과 같다. 축열조를 이용하는 경우 전일 축열된 열량으로 당일 열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축열 및 방열량도 같이 표기하였다. 분석 대상기간 총 누적 축열량은 27.9 MWh, 누적방열량은 25.6 MWh로 측정되었다. 열손실을 고려하여 축열량과 유사한 열량이 방열되었다. 이에 따른 실제 전기요금은 787,430원으로 측정되었으며, 예측요금의 경우 966,308원으로 산출되어 예측요금대비 18.5%의 비용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Table 6 Daily operation cost savings, charging and discharging heat

23.12.18.

23.12.19.

23.12.20.

23.12.22.

23.12.26.

Measure.(won)

105,025

169,239

157,313

169,329

186,524

Prediction(won)

172,907

193,123

185,219

209,348

205,711

Charging (kWh)

3,512

5,759

5,293

5,773

6,385

Discharging(kWh)

4,593

5,225

4,876

5,643

5,494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재생에너지열원을 활용하여 실증단지 내의 각 수요처에 필요한 열에너지의 100%를 태양열, 지열, 수열 등을 통해 공급하고 있다. 허브축열조를 활용한 양방향 열거래를 통해 상당량의 운영비용절감효과를 확인하였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열생산량에 따른 순 에너지절감량은 26.0 TOE로 측정되었으며, 순 온실가스절감량은 109.4 tCO2eq.로 측정되었다.

(2) 허브축열조를 통한 양방향 열거래 운전으로 열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일반적인 열공급운전대비 18.5% 운영비용 절감을 예상할 수 있다.

실증단지 내 장기축열조(ATES와 BTES)가 안정적으로 운전될 경우 더 높은 온실가스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향후 각 건물의 열부하 증가에 따른 정상적인 열공급 운전이 진행될 경우 현재보다 더 높은 운영비용 및 탄소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허브축열조를 통한 양방향 열거래시스템의 기술적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기존 중앙집중식 열공급 방식과 비교하여 프로슈머 간 열설비의 공유 및 다양한 열원설비의 활용으로 안정적인 열공급의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휴시간대의 열원설비 가동으로 장비 가동률을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전력요금제의 사용을 통해 경제적인 열생산의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양방향 열거래를 지원하는 허브축열시스템은 4세대 지역난방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열에너지시스템으로, 열원설비와 운영요금의 다원화를 통한 열공급 안정성 향상과 운영비용 절감을 실현하고, 프로슈머건물의 열부하 수요패턴의 다양화를 통해 재생에너지의 간헐성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열부하에 따른 적정설비의 설계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허브축열시스템이 구축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설계를 통해 한층 더 발전된 허브축열시스템의 가상 모델을 구축할 것이다.

후 기

본 연구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에너지자원기술개발사업의 연구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과제번호 : 20226210100050).

References

1 
Green Technology Center, 2016, The Effects of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Promotional Strategies of Green Climate Technology, Research Report.URL
2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50 Greenhouse Gas Reduction Strategy.[URL]https://news.seoul.go.kr/env/climate-environment/climate-change-strategy/2050-ggrsURL
3 
MOLIT, 2022, Press release.URL
4 
Kim, D., Heo, J., Kim, M., and Lee, D., 2021, Operational Result Analysis of Renewable Heat Energy System in Eco-friendly Energy Town,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41, No. 2, pp. 51-62.DOI
5 
Kim, D., Lee, D., Heo, J., and Kim, M., 2022, Analysis of Greenhous Gas Reduction and Operation Cost Reduction Effect of Solar Thermal-based Renewable Energy Convergence System Applied to Greenhous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34, No. 10, pp. 447-455.DOI
6 
Kim, D., Lee, D., Heo, J., and Kim, M., 2018, Empirical Results and Operational Cost Analysis of Geothermal Heat Pump System using Thermal Energy Storage in Cooling Season,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30, No. 4, pp. 167-174.DOI
7 
Kim, D., Lee, D., Kim, M., and Heo, J., 2023, Analysis of Operating Cost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 of Electrification of a Thermal Energy System Applied to High School Build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35, No. 8, pp. 381-393.DOI
8 
Mahon, H., O’Connor, D., Friedrich, D., and Hughes, B., 2022, A Review of Thermal Energy Storage Technologies for Seasonal Loops, Energy, Vol. 239.URL
9 
Im, S., Y., 2017, An Introduction of 4th District Heating System in Europe and Study on the Application in Korea,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2017 Summer Annual Conference.URL
10 
Kim, M., Kim, J., An, Y., and Kim, H., 2023, Busan Eco Delta City Smart Village Implementation Case for a Low-carbon Energy Sharing Community,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Vol. 17, No. 2, pp. 22-31.URL
11 
Kim, M., Lee, D., Kim, D., and Heo, J., 2021, Feasibility Study of Bi-Directional Heat Supply in a Small Thermal Network,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33, No. 1, pp. 31-41.DOI
12 
NIST Chemistry Webbook, SRD69, Water.URL
13 
Harris, G. L., 1992, ITS-90 Density of Water Formulation for Volumetric Standards Calibration, Journal of Research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Vol. 97, No. 3, pp. 335-340.URL
14 
LG system air conditioner, LT-C1300SM.URL
15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URL
16 
Energy Green house gas Total Information Platform Service, Korea Energy Agency, [URL]https://tips.energy.or.kr/carbon/Ggas_tatistics03.do.URL
17 
Electricity Tariff Table, Korea Electric Power Coporation, [URL]https://online.kepco.co.kr/PRM025D00.URL
18 
Opinet, 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 [URL]https://www.opinet.co.kr/user/dopospdrg/dopOsPdrgAreaSelect.do.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