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한국기계연구원 열에너지솔루션 연구실 인턴 연구원 (Intern Researcher, Department of Thermal Energy Solutions,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Daejeon, 343, Korea)
  2. 한국기계연구원 열에너지솔루션 연구실 선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Department of Thermal Energy Solutions,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Daejeon, 34113, Korea)
  3. 한국기계연구원 열에너지솔루션 연구실 책임 연구원 (Principal Researcher, Department of Thermal Energy Solutions,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Daejeon, 411, Korea)
  4. 과학기술연합대학교 대학원 부교수 (Associate Professor, Plant System and Machinery,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Daejeon 3103, Republic of Korea)



유하액막식 증발기, 히트펌프, Low GWP 냉매, 쉘 & 튜브 열교환기
Falling film evaporator, Heat Pump, Low GWP Refrigerant, Shell & Tube Heat Exchanger

기호설명

$T_{i}$: 냉수 입구 온도 [℃]
$T_{o}$: 냉수 출구 온도 [℃]
$T_{sat}$: 냉매 포화 온도 [℃]
$U$ : 총괄 열전달계수 [kW․m-2 K-1]
$Q$ : 냉각 능력 [kW]
$A_{i}$ : 내측 전열 면적 [m2]
$A_{o}$ : 외측 전열 면적 [m2]
$m_{w}$ : 냉수 질량 유량 [kg․s-1]
$c_{p,\: w}$ : 냉수 정압 비열 [kJ․kg-1/K-1]
$h_{i}$ : 내부 열전달계수 [kW․m-2K-1]
$h_{o}$ : 외부 열전달계수 [kW․m-2K-1]

1. 서 론

열에너지는 전체 에너지 소비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따라서 열에너지 소비 저감은 탄소중립 저감에 핵심적인 역할을 차지한다. 히트펌프는 전기화를 통해 탄소중립을 효율적으로 구현해 낼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기기로서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산업용 히트펌프는 화석연료 기반의 보일러를 전기화한 열원 기기로, 온실 가스 저감 효과와 에너지 절감 효과가 높고, 다양한 제조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는 고효율 기기로 주목받고 있다.(1) 산업용 히트펌프는 최소 용량이 수백 RT급을 요구받기에 대용량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산업용 히트펌프와 관련된 주요 기술로는 Low-GWP 냉매, 무급유 터보 압축기 개발 및 유하액막식 증발기 개발 등이 있다.(2) 이 중 유하액막 증발기 개발은 고비용의 Low-GWP 냉매의 사용이 요구되는 차세대 산업용 히트펌프 시스템에서, 냉매 충전량을 줄이기 위해 핵심적인 요소기술이다.(2)

Carrier, Mitsubishi Electric, Trane사 등에서는 단일 기기로서 많은 양의 냉매 봉입이 요구되는 원심 냉동기에 Low GWP 냉매인 R1234ze와 R1233zd를 적용한 제품을 개발하여 시장 진출을 시도하고 있는 상태이며, 일본에서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Low GWP 냉매 관련 연구과제를 수행하였다.(3)

국내 2017년부터 2019년 냉매 연평균 생산량 대비 냉매 회수 실적은 0.1%이내 수준으로(4) 꾸준한 LOW GWP 냉매의 개발이 요구되며 특히 증발기의 경우 전열관의 엄밀한 성능 평가 방법 및 번들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5)

현재 우리나라는 키갈리의정서에 따라 2045년까지 지구온난화 물질인 HFC의 양을 2024년 대비 8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HFC 대체 냉매로 주목받는 HFO 냉매는 낮은 ODP와 GWP를 가지고 있으며, 대표적인 HFO 냉매로는 R-1233zd(E), R-1234yf 및 R-1234ze(E)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 설계된 유하액막식 증발기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Low-GWP 냉매인 R-1234ze(E)를 작동 냉매로 사용하였을 때의 기본적인 시스템의 성능 특성들을 파악하였다. 증발기 내부의 항온수 입구 온도와 포화온도, 그리고 유량의 변화에 따른 증발기의 성능 변화를 확인하였다.

2. 실험

2.1 R-1234ze(E) 냉매 및 유하액막식 증발기

본 실험에서 사용된 R-1234ze(E) 냉매는 R-134a(중압냉매)의 대체 냉매로 GWP가 매우 낮고 COP가 R-134a와 동등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이다. 효율 측면에서는 우수하지만, 비교적 높은 비체적으로 인해 R-134a 대비 냉동 능력이 75%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낮다.(6,7)

Fig. 1은 만액식 증발기, 혼합형 증발기, 유하액막식 증발기이다. (a) 만액식 증발기의 경우, 상단에서 냉매가 흐르는 형식이 아닌 모든 전열관을 적신 증발기이다. 기존의 산업용 히트펌프에서 주로 사용되며 열교환기의 설계 및 운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냉매 봉입량이 많아 상대적으로 높은 단가를 가진 LOW GWP 냉매를 적용하기에는 비용적인 문제가 있다. 두 번째는 (b) 혼합형 증발기는 유하액막식 증발기와 만액식 증발기의 혼합형으로, 하단의 전열관을 적실 정도의 냉매가 들어있고, 상단에서 냉매가 뿌려지는 형식의 증발기이다. 마지막으로 (c) 유하액막식 증발기는 냉매가 위에서 뿌려지며 전열관을 적시는 형식으로 높은 전열 성능을 가지고 있다. 유하액막식 증발기는 전열관 주위로 얇은 냉매 액막을 통해 증발이 일어나기에 만액식 증발기와 비교했을 때 상이한 유동 특성을 가지며, 냉매 유량에 따라 달라지는 열전달 특성 역시 만액식 증발기와는 대조적이다.(8,9,14-17) 뿐만 아니라 유하액막식 증발기는 만액식 증발기 대비 냉매 봉입량을 약 40% 감소시킬 수 있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10)

Fig. 1 Schematic diagram of three types of evaporators. (a) Flooded Evaporator / (b) Mixed Falling Film / (c) Full Falling Film(1).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1.png

2.2 실험 장치 구성

위의 Fig. 2에서 실험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내고 있다. 실험 장비는 증발기, 항온수조, 항온수 펌프, 응축기, 칠러로 이루어져 있다. 증발기는 외경 19 mm인 전열관 9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항온수는 전열관 3개로 분지되어 공급된다. 항온수조와 펌프를 통해 증발기 전열관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며, 운전조건에 맞게 유량 및 입구 온도 조건을 제어한다.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는 응축기를 통해 재 액화된다. 이 때 응축기에 공급되는 칠러 온도를 제어하여 냉매 시스템의 압력을 조절하였고, 이를 통해 증발기 냉매 측의 포화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냉수의 출입구의 온도, 압력 등의 결과 데이터는 DAQ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록하였고, 열량 및 열전달 계수를 계산하여 냉각 성능을 분석하였다. Fig. 3은 내부 전열관 구조를 나타내었다. 온도계(RTD)는 총 7개로 입 출구에 2개씩 부착되어 있고, 나머지 온도계는 냉매 배관, 증발기 상탄 냉매 배관, 응축기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 실험장치의 모습은 아래의 Fig. 4 ~ Fig. 5와 같다.

Fig. 2 Diagram of the experimental set-up.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2.png
Fig. 3 Arrangement of the heat transfer tubes.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3.png
Fig. 4 Image of the experimental setup.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4.png
Fig. 5 Diagram of experimental setup fluid flow viewed from the side.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5.png

2.3 실험 조건 및 데이터 처리

본 실험의 실험조건을 위 Table 1에 나타내었다. 언급된 바와 같이, 항온수의 입구온도 및 유량, 그리고 냉매의 포화온도를 변수로 하여, 그 변화에 따른 시스템 성능을 확인하였다. Case 1 ~ 2의 조건은 포화온도 5℃, 유입 온도 7 ~ 10℃, 유량 15 ~ 95 L/min으로 진행하였다. 이때의 유속 범위는 0.39 ~ 2.50 m/s이다. Case 3 ~ 5에서는 포화온도 9.5℃, 유입 온도 12 ~ 15℃, 유량 15 ~ 75 L/min으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때의 유속의 범위는 0.39 ~ 1.98 m/s이다. 또한 각각의 조건의 포화온도의 오차는 0.2℃ 이내로 하였다. 시스템의 총괄 열전달계수 및 열교환량은 아래의 식(1)~식(2)를 통해 구하였다.

(1)
$Q=UA_{0}\triangle T_{LMTD}$
(2)
$Q=\dot{m_{w}}c_{p.w}(T_{i}-T_{o})$

이 때, $U_{o}$는 총괄 대류 열전달계수이며 $T_{LMTD}$은 대수평균온도이다. 또한, 냉매 측 외부대류열전달 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Wilson Plot 기법을 사용하였다.(11,12) Wilson plot 기법을 사용하기 위해 식(3)과 식(4)를 절편을 가진 일차식으로 바꾼 후 그래프를 그려 해당 절편 값을 이용하여 외부 열전달계수를 도출해내었다.

(4)에서의 m은 0.8, n은 0.33을 대입하였고, 총괄 열전달 계수 U 에 대한 식은 식(5)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식(5)에서 R은 저항 값으로 식(6)과 같이 나타낸다. R은 $\dfrac{1}{h_{o}A_{o}}$ 항 대비 0.28% 이하로 무시할 정도로 작았다.

(3)
$h_{i}= N u\dfrac{k}{D_{h}}$
(4)
$N u =A Re^{m}Pr^{n}$
(5)
$\dfrac{1}{UA_{o}}=\dfrac{1}{h_{i}A_{i}}+\dfrac{1}{h_{o}A_{o}}+R$
(6)
$R=\dfrac{\ln(D_{o}/D_{i})}{2\pi k L}$
Table 1 Test conditions

Tinlet (℃)

Tsat (℃)

Case 1

9.0

5.0

Case 2

10.0

5.0

Case 3

12.0

9.5

Case 4

13.5

9.5

Case 5

15.0

9.5

3.실험 결과

3.1 총합 열량 및 총괄 열전달계수 비교

Fig. 6 ~ Fig. 7은 각 조건에 따른 총합 열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모든 조건의 실험에서 유입 온도와 유입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합 열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포화온도가 5℃인 Case 1 ~ 2에서는 유량을 변화함에 따라 총합 열량은 2,000 ~ 9,700 W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포화온도가 9.5℃인 Case 3 ~ 5에서의 실험에서 총합 열량은 1,500 ~ 15,000 W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온도계의 오차로 인한 열량값의 총 오차는 약 1.1% 이내이다. 다만, 각 전열관 벽면 및 수실부에서의 마찰열 및 외부 열의 영향 등이 추가적으로 오차를 형성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Heat transfer rate about the inflow rate for Case 1 ~ 2.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6.png
Fig. 7 Heat transfer rate about the inflow rate forCase 3 ~ 5.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7.png
Fig. 8 Heat transfer coefficient about the inflow rate for Case 1 ~ 2.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8.png
Fig. 9 Heat transfer coefficient about the inflow rate for Case 3 ~ 5.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9.png

Fig. 8 ~ Fig. 9는 각 조건에 따른 총괄 열전달계수의 변화를 나타낸다. 포화온도와 냉수 유입 온도의 차이가 작을수록 큰 값의 총괄 열전달 계수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포화 온도가 5℃일 때의 총괄 열전달 계수는 1,300 ~ 6,700 W/m2K 사이의 값으로 측정되었고, 포화 온도가 9.5℃일 때의 총괄 열전달 계수는 1,600 ~ 7,300 W/m2K 사이의 값이 측정되었다. 이때의 오차의 범위는 3.5 ~ 8.0%로 열량 자체의 오차에 비하여 비교적 큰 편이었다. 또한 포화 온도와 유입 온도의 차이가 클수록 더 큰 총괄 열전달 계수가 계산되었으며, 유량이 클수록 더 큰 총괄열전달계수가 계산되었다. 이는 유입 온도와 증발기 내부 온도차이가 커짐에 따라 대수평균 온도차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3.2 Wilson plot을 이용한 외부 열전달계수 비교

Fig. 10 ~ Fig. 11은 각 포화온도에 따른 Wilson plot 그래프를 나타내었고, Table 2에 외부 열전달계수를 나타내었다. 외부 열전달계수는 유입 유량과 유입 열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포화온도 높을수록 외부 열전달계수가 더 크게 계산되었다. 내부 열전달계수를 계산하기 위해 Dittus-Boelter 식인 Nu = A Rem Prn을 이용하였다(n=0.333). 이 때 A 값은 Wilson plot 그래프의 기울기 값을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포화온도 5℃ 일 때의 내부 열전달 계수는 5.6 ~ 20.4 kW/m2K, 포화온도 9.5℃의 5.9 ~ 22.8 kW/m2K의 값이 측정되었다. 이를 식(5)에 대입하여 총괄열전달 계수를 계산한 결과, 실험 결과 값으로 도출해 낸 총괄 열전달 계수와 유사한 값을 보여주었다. 결과 데이터가 많을수록 정확한 Wilson plot 분석이 가능하므로, 해당 연구보다 다양한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면 보다 정확한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10 Plot for the Wilson plot method for Case 1 ~ 2.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10.png
Fig. 11 Plot for the Wilson plot method for Case 3 ~ 5.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11.png
Table 2 Refrigerant side evaporation convective heat transfer coefficient for each case

Case 1 ~ 2 (Tsat 5℃)

Case 3 ~ 5 (Tsat 9.5℃)

$h_{o}[k W/m^{2}K]$

31.67

33.25

3.3 열량 및 총괄열전달 계수 비교

R-1234ze(E) 냉매를 사용하여 증발 성능을 분석했던 선행 연구는 만액식과 유하액막식이 섞인 혼합형 증발기로 전열관 개수가 143개, 4pass였다. 증발기 내부의 최상단 관군의 열량과 그 하부의 열량은 큰 차이를 보였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관군마다 냉매의 젖음이 달랐기 때문이다. 또한 젖음성이 우수한 관군 내에서도 상단부의 관과 하단부 관의 총괄 열전달계수는 약 2.6배의 차이를 보였고 냉각 능력의 경우 하단 관군의 만액 시점 대비 10% 감소하였다.(2) 선행 연구에서 냉매의 유량에 따른 증발 열량을 측정한 바 있다.(13) 냉매 유량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열량이 일정해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전열관의 젖음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시화창으로 보았을 때 5 L/min 이상인 경우에 전열관이 충분히 젖음을 알 수 있었고, 실제 실험에서는 10 L/min으로 하여 충분히 젖은 상태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열관 9개, 3 pass 모두 충분히 젖었고, 보다 정확하고 균일한 증발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포화온도와 유입 온도에 따른 총합 열량의 변화를 Fig. 12 ~ Fig. 13에 나타냈다. 이때의 $Q_{1}$은 맨 아래의 전열관의 총합 열량, $Q_{2}$는 가운데의 전열관의 총합 열량, $Q_{3}$는 맨 위 전열관의 총합 열량이다. 포화온도가 5℃인 Case 1 ~ 2에서의 총합 열량이 포화 온도가 9.5℃인 Case 3 ~ 5에서의 총합 열량보다 낮았고, 이를 통해 포화온도가 높을수록 열량값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입 온도와 유입 유량이 커질수록 총합 열량이 컸으며. 포화 온도와 유입 온도의 차이가 클수록 큰 열량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Fig. 12 Total heat transfer rate for each heating tube at saturation temperature of 5℃ and inlet temperature 9℃.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12.png
Fig. 13 Total heat transfer rate for each heating tube at saturation temperature of 9.5℃ and inlet temperature 15℃.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13.png

각각의 전열관을 비교해보았을 때, 맨 아래의 전열관인 $Q_{1}$의 열량일 가장 높았고, $Q_{2}$, $Q_{3}$ 순으로 열량이 높았다. 열량 값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온도차였으며, 유입 온도와 증발기 내부 온도 차이가 상대적으로 컸던 $Q_{1}$이 가장 큰 열량 값이 측정되었다.

3.3.1 각 관별 총합 열량과 전체 총합 열량과의 비

Fig. 14 ~ Fig. 16은 포화온도 5℃ 및 9.5℃ 일 때의 관별 열량과 총합 열량비를 나타낸 것으로, 오차는 약 1% 이하로 계산되었다. 첫 번째 관의 열량 비(Q1/Qt)의 비는 두 번째 관(Q2/Qt) 및 세 번째 관 (Q3/Qt) 의 비보다 큰 값을 가졌고 유량이 작을수록 각각의 열량 비는 컸지만 유량이 커질수록 Q1/Qt의 비는 Q2/Qt, Q3/Qt 작아졌다. 5℃의 경우, 저유량(15 ~ 35 L/min)의 Q1/Qt 값은 Q2/Qt, Q3/Qt의 약 1.3 ~ 1.9배였고, 고유량(45 ~ 75 L/min) 의 Q1/Qt는 1.2 ~ 1.7배 였다. 9.5℃의 경우, 저유량(15 ~ 35 L/min)의 Q1/Qt 값은 Q2/Qt, Q3/Qt 의 약 1.5 ~ 2.1 배였고, 고유량(45 ~ 75 L/min) 의 Q1/Qt는 1.2 ~ 1.9배였다. 하단부 (3번)에서 공급되는 냉수는 유량이 클수록, 상단부 (1번) 까지도 비교적 높은 온도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단부에서도 증발 열량이 높게 유지된다. 따라서, 상단부와 하단부 전열관 간의 유입 온도 차이가 줄어들어서, 이 열량비의 차이가 비교적 작아지게 된다. 전반적으로 각각의 관별 열량과 총합 열량의 비는 고유량으로 갈수록 9.5℃ 일 때의 값이 5℃일 때의 값보다 컸는데, 이는 포화 온도 자체의 영향보다도, 포화온도와 전열관 내부 온도의 차이가 9.5℃일 때, 더 컸던 것이 주된 이유로 판단된다. 즉, 이 온도 차이가 더 클 때, 냉수가 처음 들어오는 전열관에서 열량이 크게 발생하여, 온도가 비교적 큰 폭으로 변화하므로, 상대적으로 다음 전열관들과의 열량 차이가 증가하는 것이다.

Fig. 14 Comparison of heat transfer rate ratio of tube rows at Tsat = 5℃ and Tin = 9℃.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14.png
Fig. 15 Comparison of heat transfer rate ratio of tube rows at Tsat = 9.5℃ and Tin = 13.5℃.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15.png
Fig. 16 Comparison of heat transfer rate ratio of tube rows at Tsat = 9.5℃ and Tin = 15℃
../../Resources/sarek/KJACR.2024.36.7.366/fig16.png

4. 결 론

현재 우리나라는 HFC, HCFC 냉매 규제로 인해 친환경 냉매인 HFO가 주목받고 있다. 해당 연구는 HFO 냉매 중 하나인 R-1234ze(E)를 사용하여 유하액막식 열교환기 냉각 성능 시험을 진행하였다. 냉수의 유입 유량과 유입 온도를 변화시켜가며 증발기 내부 각각의 전열관의 성능을 분석하였고, 전체 증발기의 냉각 성능을 분석하였다, 해당 연구에서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입 유량과 유입 온도가 냉각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 유입 온도 15℃, 15 L/min 대비 75 L/min 일 때의 열량을 비교한 결과, 약 14,746 W로 약 4.3배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유입 온도가 높을수록 냉각 능력, 열량, 총괄열전달 계수에서 큰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2) 각각의 전열관 별 냉각 성능을 분석하였을 때, 가장 아래에 있는 전열관의 냉각 성능이 가장 좋았으며, 이는 증발기 내부의 온도와 유입 온도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컸기 때문이다. 또한 유량이 많을수록 높은 냉각 성능을 가졌다.

(3) 포화온도 별 비교하였을 때, 포화온도가 높을수록 열량 값을 가졌다. 또한 Wilson plot 기법을 이용하여 외부 열전달계수를 측정했을 때, 큰 차이는 아니었으나 포화온도가 높을수록 더 큰 외부 열전달 계수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4) 해당 실험에서 Q1 ~ Q3는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다. 현재의 실험 내에서 열량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유입 유량을 늘리는 것이다. 저유량의 경우, Q1과 Q3의 차이는 약 1.7 ~ 2배 가량 차이를 보였으나, 고유량의 경우, 약 1.5배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75 L/min 이상의 고유량으로 실험을 진행한다면 열량 차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에 사용한 R-1234ze(E)은 낮은 ODP와 GWP를 가지고 있으나, 환경 규제 및 가연성의 문제 등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R-1234ze(E) 이외의 다른 친환경 냉매를 적용하여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후 기

본 연구는 산업통산자원부(MOTIE)와 에너지기술평가원(KETEP)(Grant No. 20202020800200) 및 한국기계 연구원의(Grant No. NK249C)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Kim, D. H. and Kim, U. J., 2020, Development of Industrial Heat Pump Technology for Large Temperature Differences Using Small Amounts of Refrigerant,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49, No. 10, pp. 94-98.URL
2 
Kim, D. H., Kim, J. C., and Lee, K. H., 2021, An Experimental Study o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Falling Film Evaporative Heat Transfer for R-1233zd(E) Refrigerant,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33, No. 11, pp. 599-607.DOI
3 
Kim, O. J., Kim, D. H., Yoon, S. H., Song, C, H., and Lee, G. H., 2015, Global Trends of the Technology for Low GWP Refrigerant, Proceeding of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pp. 130-133.URL
4 
Park, G. J., Park, S. H., and Park, S. J., 2022, Analysis of Safety Standards (Standards) for Domestic Application of Next-generation Refrigerants and Trends in Domestic and Foreign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Industri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Vol. 46, No. 11, pp. 621-625.URL
5 
Kim, W. J., 2020,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vaporators in Turbo Refrigerators Using Low GWP and Natural Refrigerant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49, No. 12, pp. 30-38.URL
6 
Kim, D. H., Byun, H. W., Yoon, S. H., Song, C. H., Lee, K. H., and Kim, O. J., 2016, The Latest Review of Low GWP (<100) HFO Refrigerants and Studies on the Pool Boiling Heat Transfer, International Journal of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Vol. 24, No. 4. pp. 1-10.DOI
7 
Colombo, L. P., Lucchini, A., and Molinaroli, L., 2020,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use of R1234yf and R1234ze(E) as Drop-in Alternatives of R134a in a Water-to-water Heat Pump,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115, pp. 18-27.DOI
8 
Kim, W. K., Kim, H. S., Kim, J. C., and Kim, D. H., 2024,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hemal Performance Measurement and Flow Visualization of Falling Film Evaporator Using R-1233ZD(E) Refrigerant,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36, No. 11, pp. 9-17.URL
9 
Kim D. H., Kim, H. S., Kim, W. K., Kim, J. C., Son, S. H., and Lee, K. H., 2022, Preliminary Performance Test for Low GWP Refrigerant Falling Film Evaporator, Proceeding of The Korea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Spring Annual Conference, p. 36.URL
10 
Giuseppe, C., Loris, G., and Andrea, P., 2019, Experimental Comparison of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R134a and R1234ze(E) in a Hybrid Film Evaporator, International Congress of Refrigeration Conference, ID : 1431.URL
11 
Yoon, P. H. and Kang, Y. T., and Jeong, J. H., 2004, Measurement of Heat Transfer Coefficient in an Flooded Evaporator through Wilson Plot Method,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16, No. 7, pp. 698-706.URL
12 
Van Rooyen, E., Christians, M., and Thome, J. R., 2012. Modified Wilson Plots for Enhanced Heat Transfer Experiments: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Heat Transfer Engineering, Vol. 33, No. 4-5, pp. 342-355.DOI
13 
Roques, J. F. and Thome, J. R., 2007, Falling Films on Arrays of Horizontal Tubes with R-134a, Part I: Boiling Heat Transfer Results for Four Types of Tubes, Heat Transfer Engineering, Vol. 28, No. 5, pp. 398-414.DOI
14 
Habert, M. and Thome, J. R., 2010, Falling-film Evaporation on Tube Bundle with Plain and Enhanced Tubes - Part I: Experimental Results, Experimental Heat Transfer, Vol. 23, pp. 259-280.DOI
15 
Habert, M. and Thome, J. R., 2010, Falling-film Evaporation on Tube Bundle with Plain and Enhanced Tubes - Part Ii: New Prediction Methods, Experimental Heat Transfer, Vol. 23, pp. 281-297.DOI
16 
Ribatski, G. and Thome, J. R., 2007, Experimental Study on the Onset of Local Dryout in an Evaporating Falling Film on Horizontal Plain Tubes, Experimental Thermal and Fluid Science, Vol. 31, pp. 483-493.DOI
17 
Roques, J. F. and Thome, J. R., 2007, Falling Films on Arrays of Horizontal Tubes with R-134a, part II: flow Visualization, Onset of Dryout, and Heat Transfer Predictions, Heat Transfer Engineering, Vol. 28, pp. 415-434.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