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석
(Hyeon Seok Jeong)
1
이제헌
(Je Hyeon Lee)
2
정석권
(Seok Kwon Jeong)
2†
변호원
(Ho Won Byun)
3
최일환
(Il Hwan Choi)
3
김동권
(Dong Kwon Kim)
4
-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냉동공조공학과 학생
(Student, Graduate School of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3, Korea)
-
국립부경대학교 냉동공조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Korea)
-
(주)신성이엔지 클린환경연구실 연구원
(Researcher, Clean Environment R&D Center, Shinsung E&G Co., Ltd., Gyeonggi-do, 1840,
Korea)
-
(주)신성이엔지 클린환경연구실 상무
(Managing Director, Clean Environment R&D Center, Shinsung E&G Co., Ltd., Gyeonggi-do,
1380, Korea)
Copyright © 2016,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s of Korea
키워드
자동 튜닝, 직팽식 공조기, 전기 히트펌프, ON/OFF 운전, PID 제어, 변풍량
Key words
Auto-tuning, Direct-expansion air handling unit, Electric heat pump, ON/OFF operation,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 Variable air volume
기호설명
$C /C$ :
냉각 코일
$\overline{d}$ :
부동작 시간 [sec]
$D$ :
외란
$e$ :
제어 오차 [℃]
$g$ :
스위칭 간극 [℃]
$G$ :
전달함수
$H /C$ :
가열 코일
$IAE$ :
절대 오차 적분
$k$ :
DC 게인
$K_{aw}$ :
안티와인드업 게인
$K_{d}$ :
미분 게인
$K_{i}$ :
적분 게인
$K_{p}$ :
비례 게인
$L$ :
열부하 [kW]
$n$ :
잡음 [℃]
$N$ :
저주파 필터의 차단 주파수 [rad/sec]
$P.U$ :
퍼센트 언더슈트 [%]
$r$ :
설정값, 목푯값 [℃]
$RH_{ra}$ :
실내 상대 습도 [%]
$s$ :
복소 연산자
$t_{s}$ :
정착 시간 [sec]
$T_{d}$ :
미분 시간 [sec]
$T_{i}$ :
적분 시간 [sec]
$T_{oa}$ :
외기 온도 [℃]
$T_{os}$ :
튜닝 진동 파형의 주기 [sec]
$T_{ra}$ :
실내 온도, 제어량 [℃]
$T_{sa}$ :
급기 온도 [℃]
$u$ :
조작량, 제어 입력 [V]
$y$ :
출력, 응답 [℃]
$Y_{d{if}}$ :
진동 파형의 최댓값과 최저값의 차 [℃]
$Y_{\max}$ :
진동 파형의 최댓값 [℃]
$Y_{\min}$ :
진동 파형의 최저값 [℃]
$\tau$ :
시정수 [sec]
하첨자
$lat$ :
latent heat, 잠열
$oa$ :
outdoor air, 외기 공기
$ra$ :
return air, 환기 공기
$sa$ :
supply air, 급기 공기
$sat$ :
saturation, 포화
$sen$ :
sensible heat, 현열
1. 서 론
최근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해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2016년 발효된 파리협정에 따라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와 ‘2050 장기 저탄소 발전 전략(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ies; LEDS)’을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자발적으로 제출하고
있다.(1)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2018년 온실가스 총 배출량 대비 40% 감축’으로 설정하였다. 특히, 2018년
기준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24.6%를 차지한 건물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32.8%를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2)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존 화석 연료 기반의 건물 냉․난방 설비의 전기화(building electrification)와 더불어 이들 설비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건물 전기화 전략의 일환으로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분야에서는 EHP(Electric
Heat Pump) AHU(Air Handling Unit)가 주목받고 있다.(3) EHP AHU는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고 부분 부하 시에도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변 풍량 제어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CAV(Constant
Air Volume) 시스템은 풍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실내 취출 온도를 변화시켜 부하에 대응하는 방식이지만, VAV(Variable Air Volume)
시스템은 부분 부하에 대응하여 풍량을 가변시켜 실내 온도를 설정값으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쾌적한 공조 환경 구현과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4-6) 이런 까닭에 CAV 시스템은 VAV 시스템으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 이때, VAV 시스템은 CAV 시스템과 달리 풍량 제어를 위한 가변속 드라이브(Variable
Frequency Drive; VFD)가 필수적이다. VAV 시스템의 핵심은 부하 변동에 따라 급기팬의 풍량을 VFD로 제어하는 것이다. 팬의 소비
동력은 팬의 회전수 세제곱에 비례하므로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제어기를 이용해 부하에 알맞은 제어 입력으로 실내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기는 제어대상에 인가되는 각종 현열 부하, 급기 온도 변동 등과 같은 외란 하에서도 제어량인 실내 온도를 헌팅(hunting)
등의 불필요한 과도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설정 온도로 정밀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PID(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제어기는 설계 및 유지, 보수가 쉽고 제어성능이 우수하여 HVAC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다.(7,8) 이 제어기는 일반적으로 제어대상에 대한 전달함수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된다. 그러나 제어대상인 EHP AHU의 VAV 시스템은 비선형성이 크며 고차의
동특성을 갖는 관계로 제어기 설계에 필요한 저차원의 실용적인 전달함수 모델링이 어렵다.(9) 또한, 전달함수의 특성 파라미터들은 동작점과 외란 요소에 크게 의존하므로 시스템의 동특성을 정확히 반영한 공칭 전달함수의 모델링이 쉽지 않다.(10,11) 제어대상의 모델에 기반하지 않는 AI 수법의 퍼지(fuzzy)제어는 비선형성이 크고 선형 모델을 얻기 어려운 시스템에 적합한 제어법이다. 그러나
이 제어법은 고정밀 제어일수록 제어 로직이 방대해져 고가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필요로 하며 핵심 구성 요소인 멤버십 함수(membership
function)와 규칙 베이스(rule base)의 설계가 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에 크게 의존하므로 유지 보수가 매우 어렵다.(12,13) 따라서 VAV 시스템의 제어는 전달함수 모델 기반이나 퍼지제어가 아닌 PID 제어기 게인의 자동 튜닝에 의한 피드백 제어가 가장 바람직하다. PID
게인의 자동 튜닝법으로는 지글러-니콜스(Ziegler-Nichols) 등이 제안한 기존의 방법들이 있으나 이들은 정밀한 제어성능 확보가 어렵고, 튜닝
소요 시간이 길며,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므로 게인 튜닝과 PID 제어가 개별 단계로 이루어져 번거롭고 적용이 쉽지 않다.(14-16)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Pandey et al.(17)은 부동작 시간을 갖는 1차계(First Order Plus Dead Time; FOPDT) 전달함수 시스템의 온도 제어를 위한 PID 자동 튜닝법을
제안하고, 그 이론적 타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 방법은 튜닝 동작점 부근에서의 ON/OFF 운전을 통해 두 주기의 진동 파형을 얻고,
이 파형의 진폭과 주기 정보로부터 PID 게인을 자동 튜닝하며, 튜닝 완료와 동시에 온라인상에서 그 게인을 이용하여 PID 제어로 자동 절환하는 형태이다.
Kim and Jeong(18)은 열잡음과 열부하가 인가되는 현실적인 운전 상황을 고려하여, Pandey et al.(17)의 자동 튜닝법을 개선한 방법을 제안하고 가변속 냉동시스템을 제어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제어성능을 입증하였다. 이 연구는 실험을 통한 이론의 타당성
입증에 집중한 반면, 튜닝 동작점 변경이나 다양한 외란이 인가된 경우의 제어 강인성 평가와 성능 평가 지표를 통한 제어성능의 정량적 분석, 그리고
기존 설계법과의 제어성능 비교 평가가 미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성이 크고 다수의 외란이 존재하는 EHP AHU의 VAV 시스템에 이 이론을 적용하고 그 안정성과 유효성을 냉방 운전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한다. 자동 튜닝에 필요한 조건들을 명확히 한 후, PID 제어기 게인을 ON/OFF 운전을 통해 자동 튜닝하고 튜닝된 게인으로
PID 제어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소프트웨어를 설계한다. 제안된 자동 튜닝 방법은 AHU의 급기팬에 적용되어 다양한 튜닝 동작점과 외란 하에서의 실험을
통해 튜닝 성능이 확인되고, 튜닝된 제어기가 실내 온도를 설정값으로 정밀하게 제어함을 보임으로써 그 타당성이 확인된다. 또한, 튜닝된 제어기의 안정성과
재현성 및 제어성능 비교 평가는 Matlab/Simulink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튜닝된 제어기의 안정성과 재현성은 폐루프계의 극점 위치를
통해 평가하고 제어성능 비교 평가는 전달함수 기반으로 설계한 PID 제어기와 특정 제어성능 평가 지표를 분석해 상호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방식의 유효성을
입증한다.
2. VAV 시스템의 PID 게인 자동 튜닝 및 피드백 제어
2.1 VAV 시스템의 PID 피드백 제어
Fig. 1은 본 논문의 제어대상인 EHP AHU의 VAV 시스템에 의한 실내 온도 제어 환경을 모사한 칼로리미터 구성도이다. 실험 장치는 실외 환경을 재현하는
OC(Outdoor Chamber)와 실내 환경을 재현하는 IC(Indoor Chamber) 두 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OC에 실외기, IC에 직팽식
공조기가 설치되었다. 실외기는 2개의 EHP로 구성되었으며, MCU(Mode Control Unit)를 통해 IC 내의 직팽식 코일과 연결되어 실외의
압축기와 실내의 EEV를 통해 냉매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급기(Supply Air; SA) 온도 $T_{sa}$를 제어한다. 또한, EHP는 폐열 회수(Heat
Recovery; HR)형으로 응축 폐열을 이용한 재열 제습 운전을 통해 상대 습도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H/C 측 EEV를 상대 습도가 설정값에
도달 시 적절한 개도로 열고, 설정값의 10% 이하로 되면 닫는다. 직팽식 공조기는 급기팬, 직팽식 코일, 가습기, 필터, 댐퍼로 구성되며, 제어량인
실내 온도에 해당하는 환기(Return Air; RA) 온도 $T_{ra}$는 VAV 시스템의 급기팬 회전수 조절을 통한 가변 풍량으로 제어가 된다.
급기팬의 회전수 제어에는 주파수 변환장치인 인버터(inverter)를 사용하였다. 냉방 운전과 재열 제습 운전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냉각 코일 C/C는
Table 1의 Coil 1과 Coil 2, 가열 코일 H/C는 Coil 2로 각각 구성되었다. 또한, 실내 열환경을 모사하기 위한 현열 부하 $L_{sen}$과
잠열 부하 $L_{lat}$는 항온 수조와 가습기(load generator)를 통해 각각 인가되도록 구성되었다. Table 1은 실험에 사용된 주요 장치의 사양을 나타내었다.
Fig. 1 Schematic of the tested EHP AHU VAV system.
Table 1 Specifications of the experimental setup
Component
|
Parameter
|
Value
|
Unit
|
Supply air fan
(EC fan)
|
Air volume
|
100
|
CMM
|
Static pressure
|
70
|
mmAq
|
EHP
|
Rated cooling capacity
|
29
|
kW
|
Rated heating capacity
|
32.6
|
kW
|
Rated cooling power
|
8.1
|
kW
|
Rated heating power
|
8
|
kW
|
Coil 1
|
Cooling capacity
|
33.7
|
kW
|
Total heat transfer area
|
0.6
|
m2
|
Coil 2
|
Cooling capacity
|
16.9
|
kW
|
Total heat transfer area
|
0.6
|
m2
|
MCU
|
Rated capacity
|
58
|
kW
|
Humidifier
|
Humidification amount
|
45
|
kg/h
|
Fig. 2는 출력 $y$에 해당하는 제어량 $T_{ra}$를 PID 제어기를 이용해 설정값 $r$로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제어 블록 선도이다. Fig. 2(a)에서 $C(s)$는 PID 제어기, $G(s)$는 제어대상인 VAV 시스템의 전달함수이다. Fig. 2(a)의 $D_{i}(s)$와 $n(s)$는 급기팬 제어 시에 인가되는 다양한 외란들과 센서 열잡음을 각각 의미한다. 외란의 종류로는 $L_{sen}$,
$T_{sa}$, 재열 제습 운전, 그리고 외기(Outdoor Air; OA) 도입 네 가지를 고려한다. Fig. 2(b)는 Fig. 2(a)에 대응되는 $T_{ra}$ 제어를 위한 VAV 시스템의 실제 제어 개략도이다. PID 게인 자동 튜닝과 피드백 제어는 Matlab 기반의 실시간
제어장치(Real Time Controller; RTC)를 이용하였다. 제어 오차 연산을 위해 $T_{ra}$의 현재 출력은 RA 댐퍼에 설치된 RH+T
센서로부터 RTC의 터미널 보드를 거쳐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전달된다. CPU에서는 주어진 설정값 $T_{ra}^{\ast}$와
RH+T 센서로부터 검출한 현재 출력 $T_{ra}$로부터 제어 편차 $e=T_{ra}^{\ast}-T_{ra}$를 연산하고, PID 제어기를 통해
제어 오차 $e(t)$가 0이 되도록 제어 입력 $u(t)$를 출력한다. 이 제어 입력은 D/A 변환기를 거쳐 아날로그 전압 지령으로 변환된 후 인버터로
입력되며,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VVVF)의 인버터 출력으로 급기팬의 회전수가
제어된다.
Fig. 2 PID feedback control system for $T_{ra}$ control of VAV system.
Fig. 2(a)의 PID 제어기 $C(s)$는 VAV 시스템의 공칭 전달함수 $G(s)$가 구해지면 안정성과 설계 사양을 만족하도록 제어기 게인을 수 계산이나 Matlab
튜너(tuner) 등을 이용해 쉽게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공칭 전달함수 $G(s)$를 구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어렵다. 그러므로 이
시스템의 PID 제어기 게인은 온라인으로 자동 튜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ID 제어기 $C(s)$의 게인을 실시간 ON/OFF
운전으로 온라인상에서 자동 튜닝하고 튜닝 종료 후 PID 제어로 자동 절환되는 시스템을 설계한다.
2.2 VAV 시스템의 ON/OFF 운전을 통한 PID 게인 자동 튜닝
본 논문에서 제안한 PID 게인의 자동 튜닝법은 온라인상에서 특정 제어 입력에 대한 시스템의 응답을 기반으로 제어기 게인 $K_{p},\: K_{i},\:
K_{d}$의 값을 구하는 것이다. Fig. 3은 Pandey et al.(17)이 제안한 PID 게인 튜닝법을 실제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의 문제점을 보이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각 그림에서 위쪽은 출력 $y(t)$에 해당하는
제어량 $T_{ra}$의 응답, 아래쪽은 이 응답의 제어 입력 $u(t)$이다. 응답 $y(t)$는 임의의 초기 온도 $y(0)$(26℃)로부터 튜닝
동작점(이하 동작점) $r$($24℃$) 부근에서 두 주기의 진동 파형을 얻어 PID 게인을 튜닝하는 과정과 튜닝된 게인을 이용해 설정값으로 제어하는
2단계로 나뉜다. 각 그림에서 ①은 PID 게인 튜닝 구간, ②는 제어 구간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한 전달함수는 $\dfrac{-0.7}{1,\:
900s+1}e^{-346s}$이고, 인가된 잡음의 강도는 0.17이다.
Fig. 3 Simulation results of auto-tuning through ON/OFF operation and $T_{ra}$ control suggested by Pandey et al.(17)
이 방법은 제어량의 동작점 근방에서 $y(t)> r$이면 ON, $y(t)\le r$이면 OFF 운전을 통해 진동 파형을 얻고, 이 파형의 $Y_{\max}$와
$Y_{\min}$의 차인 $Y_{d{if}}$와 진동 주기 $T_{os}$로부터 제어기 게인을 구한다. 이때 PID 게인은 $K_{p}=1.4/(\pi\times
Y_{d{if}}),\: $$K_{i}=K_{p}/T_{i}(T_{i}=0.5T_{os}),\: K_{d}=K_{p}\times T_{d}(T_{d}=0.125T_{os})$와
같이 구한다. 여기서 $T_{i}$와 $T_{d}$는 적분과 미분 시간을 각각 나타낸다. 이 방법은 열잡음 $n(s)$가 인가되지 않는 이상적인 환경에서는
Fig. 3(a)와 같이 양호한 튜닝과 제어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실제 시스템은 센서를 통한 열잡음 $n(s)$ 혼입으로 Fig. 3(b)와 같이 비정상적인 ON/OFF 스위칭으로 인해 튜닝 오류를 유발하여 제어가 불안정해진다. 특히, 열부하가 인가되면 구간 ①의 진동 파형에서 상․하
진폭(amplitude)인 $Y_{\max}$와 $Y_{\min}$이 각기 상이한 비대칭 왜파가 나타나 $Y_{d{if}}$로는 정상적인 튜닝이 어렵다.
반면에, Kim and Jeong(18)이 제안한 PID 게인 튜닝법은 $r$의 상․하에 적절한 스위칭 간극(switching gap) $g$의 설정과 $Y_{d{if}}$ 대신 $Y_{\min}$을
이용한 튜닝을 통해 열잡음과 열부하 하에서도 안정된 튜닝과 제어성능을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Kim and Jeong(18)이 제안한 PID 게인 튜닝법을 적용한다.
Fig. 4는 VAV 시스템에 Kim and Jeong(18)이 제안한 PID 게인 자동 튜닝법을 적용한 개념도이다. 이때 급기팬은 제어량 $T_{ra}$의 동작점인 $24^{\circ}{C}$ 부근에서 식(1)과 같이 운전된다. Fig. 4(a)에서 두 주기의 진동 파형은 안정된 진동 상태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PID 게인은 두 번째 진동 파형의 $Y_{\min}$과 $T_{os}$를 이용해
식(2)와 같이 구한다. Fig. 4(b)에서 $g$는 열잡음으로 인한 동작점 근방에서의 불필요한 ON/OFF 조작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ON/OFF 운전 시 제어 입력인 급기팬 회전수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이하 급기팬의 전압) 지령값은 ON 시 $U_{\max}$, OFF 시 $U_{\min}$을 인가한다. 여기서 $U_{\max}$와
$U_{\min}$은 제어 입력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각각 나타낸다.
Fig. 4 Conceptual diagram of ON/OFF operation for auto-tuning of PID gain suggested by Kim and Jeong.(18)
Fig. 5는 VAV 시스템의 $T_{ra}$ 제어를 위한 제어 입력 식(3)의 블록선도이다. 제어 입력 $u(t)$는 식(2)의 튜닝된 게인을 이용해 최종적으로 식(3)과 같이 제어대상에 인가된다. 제어 입력 포화(saturation)로 인한 오버슈트 (overshoot)와 언더슈트(undershoot)를 줄이기
위해 적분 I 제어기에 안티와인드업 게인 $K_{aw}$$(= 1/\sqrt{T_{d}})$를 추가하였다. 이때 $u_{sat}$은 $u(t)\ge
U_{\max}$이면 $U_{\max}$, $u(t)\le U_{\min}$이면 $U_{\min}$, $U_{\min}<u(t)<U_{\max}$이면
$u(t)$를 출력한다. 미분 D 제어기는 계단형의 설정값에 민감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D’ 형태로 설계되었다. 또한, 열잡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D 제어기에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LPF), 출력 $y(t)$의 검출단에 이동평균필터(Moving Average
Filter; MAF)를 추가하였다.
Fig. 5 Block diagram of the final control input for supply air fan to control $T_{ra}$.
2.3 PID 게인 자동 튜닝 실험 조건
Table 2는 PID 게인 자동 튜닝법의 제어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 조건과 제어 관련 파라미터 값들을 나타낸다. 실험 조건은 PID 게인 튜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작점과 외란을 고려하였고, 외란 요소로는 $L_{sen}$과 $T_{sa}$의 영향을 우선적으로 검토하였다. 동작점은 급기팬의 용량을 고려하여 24℃와
25.2℃, $L_{sen}$은 실외기의 최대 냉방 용량의 30%인 13.1 kW와 45%인 19.6 kW, $T_{sa}$는 12~16℃ 범위(19)에서 2℃ 간격으로 변경하면서 각 조건에 대해 제어성능을 평가하였다. 또한, 냉매의 증발 온도는 8℃로 고정, 실외 조건으로서 온도는 서울 기준 하절기의
평균 온도인 27.2℃(20), 상대 습도는 50%로 각각 설정하였다. 실내 조건은 제어기 성능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실험 초기 온도를 26℃로 설정하였고, 실내 상대 습도 $RH_{ra}$는
잠열 부하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35 ± 5%로 유지하였다. 실험은 실제 장치의 초기 운전 상황을 고려하여 재열 제습 운전 모드 OFF, OA
댐퍼 개도 0%에서 이 조건들이 정상상태일 때 진행하였다. 튜닝 종료 후 제어 시의 $T_{ra}$의 설정값은 24℃로 설정하였다.(21)
제어 입력 $U_{\max}$와 $U_{\min}$은 팬의 용량을 고려하여 8 V와 2 V로 각각 정하였다. 데이터 샘플링 시간(sampling time)과
MAF 계수는 열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0.1초와 200/5의 2중 필터, 제어 주기는 1초, 스위칭 간극 $g$는 열잡음의 최대 진폭(± 0.22℃)을
고려하여 0.3℃로 정하였다. 또한, LPF의 차단주파수 $N$은 열잡음의 FFT(Fast Fourier Transformation) 분석을 통해
0.01 rad/sec로 설정하였다.
Table 2 Experimental conditions and control parameters
Experimental conditions
|
Control parameters
|
Parameters
|
Value
|
Unit
|
Parameters
|
Value
|
Unit
|
Operating point
|
24, 25.2
|
℃
|
ON/OFF voltage
|
8/2
|
V
|
Sensible load
|
13.1, 19.6
|
kW
|
Sampling time
|
0.1
|
sec
|
Supply air temperature
|
12, 14, 16
|
℃
|
Moving average filter
|
200/5
|
EA
|
Evaporating temperature
|
8
|
℃
|
Switching gap
|
0.3
|
℃
|
Ambient temperature (DB/WB)
|
27.2/19.7
|
℃
|
Cutoff frequency of LPF
|
0.01
|
rad/sec
|
3. 실험과 시뮬레이션 결과 및 고찰
3.1 VAV 시스템의 PID 게인 튜닝 및 실내 온도 제어 실험 결과
Fig. 6은 동작점과 외란 요소인 $L_{sen}$, $T_{sa}$의 조건을 Table 3과 같이 가변시켰을 때 PID 게인 자동 튜닝 및 제어 실험 결과이다. 각 그림에서 위쪽은 출력 $y(t)$에 해당하는 제어량 $T_{ra}$의 응답,
아래쪽은 이 응답의 제어 입력 $u(t)$이다.
Fig. 6(a)~(d)는 $T_{sa}$를 12℃로 고정하고 동작점과 $L_{sen}$을 변경한 경우이며, 튜닝과 제어 모두 양호한 결과를 보인다. Fig. 6(a), (e), (f)는 동작점 24℃, $L_{sen}$을 13.1 kW로 고정하고 $T_{sa}$를 변경한 경우이며, 튜닝과 제어 모두 양호한 결과를 보인다. 다만,
Fig. 6(f)는 제어 도중 발생한 압축기의 일시 정지로 인해 $T_{sa}$가 증가하여 $T_{ra}$가 상승하게 되고, 제어 입력 $u(t)$를 최댓값으로 출력함으로써
$T_{ra}$를 설정값으로 제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Fig. 6의 실험을 통해 얻은 튜닝 특성값 $Y_{\min}$, $T_{os}$와 이로부터 식(2)를 이용해 계산된 PID 게인값을 Table 3에 나타내었다.
Fig. 6 Experimental results of auto-tuning and $T_{ra}$ control under different operating conditions.
Table 3 Tuned parameters and PID gains under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Case
|
Experimental conditions
|
Tuned parameters
|
Tuned PID gains
|
$r$[℃]
|
$L_{sen}$[kW]
|
$T_{sa}$[℃]
|
$Y_{\min}$[℃]
|
$T_{os}$[sec]
|
$K_{p}$
|
$K_{i}$
|
$K_{d}$
|
1
|
24
|
13.1
|
12
|
-0.513
|
1,839
|
-0.434
|
-0.0005
|
-99.8
|
2
|
24
|
19.6
|
12
|
-0.355
|
1,789
|
-0.628
|
-0.0007
|
-140.5
|
3
|
25.2
|
13.1
|
12
|
-0.446
|
1,884
|
-0.499
|
-0.0005
|
-117.5
|
4
|
25.2
|
19.6
|
12
|
-0.56
|
1,722
|
-0.398
|
-0.0005
|
-85.6
|
5
|
24
|
13.1
|
14
|
-0.406
|
1,894
|
-0.549
|
-0.0006
|
-129.9
|
6
|
24
|
13.1
|
16
|
-0.39
|
1,486
|
-0.571
|
-0.0008
|
-106.1
|
3.2 튜닝된 제어기의 외란에 대한 제어성능 분석
본 논문에서는 VAV 시스템의 외란 요소인 $L_{sen}$, $T_{sa}$, 재열 제습 운전, OA 도입의 영향에 대한 튜닝된 제어기의 제어 강인성을
확인한다. VAV 시스템에 적용된 제어기는 외란에 대응하여 제어 입력 $u(t)$인 급기팬 회전수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풍량을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처리 열량을 조절하여 출력 $y(t)$인 $T_{ra}$를 설정값으로 정밀하게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입력 변수인 급기팬의 전압 지령값과
출력 변수인 $T_{ra}$, 그리고 이들 사이의 중간 변수에 해당하는 풍량과 처리 열량의 응답을 분석하여 튜닝된 제어기의 강인성 및 정밀도를 평가한다.
$L_{sen}$과 $T_{sa}$의 영향에 대한 제어 강인성 평가는 Fig. 6의 제어 구간의 정상상태 값들을 사용하였다. 또한, 재열 제습 운전과 OA 도입의 영향은 각각 Case 2와 Case 6의 제어기로 추가 실험을 통해
제어 강인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조건은 $L_{sen}$ 19.6 kW, $T_{ra}$ 설정값 24℃(21), $RH_{ra}$ 설정값 50%(21), $T_{sa}$의 설정값은 냉방 시 12℃, 제습 시 18℃로 정하였다. 재열 제습 운전 시 $L_{lat}$는 부하용 가습기를 통해 인가하였고
OA 도입 시 RA 댐퍼와 OA 댐퍼의 개방 비율은 7:3으로 설정되었다.(22) 그 외 조건은 Table 2와 같이 정하였다.
RA, SA, OA의 온․습도 측정은 EE210 센서를 사용하였고, 온도 측정 범위가 -40 ~ 60℃(±0.2℃), 습도 측정 범위가 0 ~ 100%(±2.3%)이다.
RA와 OA를 혼합한 공기의 온․습도 측정은 STH-CD5N 센서를 사용하였고, 온도 측정 범위가 -20 ~ 80℃(±0.3℃), 습도 측정 범위가
0 ~ 100%(±3%)이다. Fig. 7(a)와 (b)는 각각 제어 입력 $u(t)$에 대한 급기팬의 풍량과 소비 전력을 나타낸다. 풍량과 소비 전력은 실외기 정지 상태에서 제어 입력을 각각 1 V와
2 V 간격으로 증가시키면서 측정하였다. 이 데이터들의 회귀 분석 식을 통해 풍량과 소비 전력을 계산하였다. 또한, 처리 열량은 코일 입․출구 공기의
엔탈피(enthalpy) 차, 밀도, 비열, 체적 유량을 통해 계산하였다.(23) 제어 주기는 1초이며 제어량인 $T_{ra}$는 0.1초 간격으로 측정되었고, 그 외 데이터는 1분 간격으로 측정되었다. 제어성능 분석은 각 데이터를
1분 간격으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Fig. 7 Experimental results of air volume and power consumption with control input.
Fig. 8은 Table 3의 Case 1 ~ 4의 튜닝된 제어기(이하 제어기)로 $T_{ra}$를 제어한 실험 결과이다. Fig. 8(a)는 급기팬 제어에 따른 풍량과 처리 열량을 보여준다. $L_{sen}$이 13.1 kW인 조건에서 동작점이 각기 다른 Case 1과 Case 3의
제어기는 풍량을 49.3 ~ 54 CMM의 범위, $L_{sen}$이 19.6 kW인 조건에서 동작점이 각기 다른 Case 2와 Case 4의 제어기는
풍량을 83.6 ~ 89.1 CMM의 범위 내로 조절하여 $L_{sen}$에 대응한다. Fig. 8(b)는 Fig. 8(a)의 풍량 제어에 따른 처리 열량과 $T_{ra}$의 응답이다. 결과적으로 Case 1 ~ 4의 제어기는 부하에 대응한 풍량 제어와 이에 따른 처리
열량 조절을 통해 $T_{ra}$를 설정값인 24 ± 0.3℃ 범위 내로 정밀하게 제어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어기는 동작점과 $L_{sen}$이
다른 경우에도 안정된 제어성능과 재현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Fig. 8 VAV system control results by the tuned PID controller under different operating point and sensible load.
Fig. 9 VAV system control results by the tuned PID controller under different supply air temperature.
Fig. 9는 Table 3의 Case 1, 5, 6의 제어기로 $T_{ra}$를 제어한 실험 결과이다. Fig. 9(a)는 $L_{sen}$이 13.1 kW인 조건에서 $T_{sa}$ 변화에 따른 풍량을 보여준다. $T_{sa}$가 12℃에서 16℃로 증가함에 따라
제어기는 급기팬 제어를 통해 풍량을 약 29.8% 늘린다. 이는 동일한 부하 조건에서 $T_{sa}$가 높을수록 풍량을 제어하여 처리 열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Fig. 9(b)는 Fig. 9(a)의 풍량 제어에 따른 처리 열량과 $T_{ra}$의 응답이다. 결과적으로 Case 1, 5, 6의 제어기는 $T_{sa}$의 변경 시, 부하에 대응한
풍량 제어와 이에 따른 처리 열량 조절을 통해 $T_{ra}$를 설정값인 24℃ ± 0.3℃ 범위 내로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강인한 제어성능을 보인다.
Fig. 10은 재열 제습 운전 시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Table 3의 Case 2의 제어기로 $T_{ra}$를 제어한 실험 결과이다. Fig. 10(a)는 RA의 온․습도 응답이며, Fig. 10(b)는 $T_{ra}$ 제어를 위한 제어 입력인 급기팬의 전압 지령값이다. 이들 그림에서 ①은 $L_{lat}$ 인가 구간, ②는 제습 운전 구간, ③은
제습 운전 후 냉방 구간을 나타낸다. 구간 ①에서는 $L_{lat}$ 인가 시 $RH_{ra}$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RH_{ra}$가 설정값인
50% 도달 시, 구간 ②에서는 제습 운전이 시작되며 $T_{sa}$의 증가로 인해 $T_{ra}$는 최대 2.1℃의 과도 오차를 보인다. $RH_{ra}$가
설정값의 10% 이하로 도달 시, 구간 ③에서는 냉방 운전으로 절환되며 $T_{sa}$의 감소로 인해 $T_{ra}$는 $-$0.7℃의 과도 오차
발생 후 설정값으로 제어됨을 보인다.
Fig. 10(c)는 Fig. 10(a)와 Fig. 10(b)의 구간 ①, ②, ③에 해당하는 풍량과 처리 열량을 보여준다. ①에서는 $L_{lat}$의 증가에 대응하여 제어기가 급기팬 제어를 통해 풍량을 증가시킨다.
②에서는 제습 운전으로 ①에 비해 처리 열량이 감소하므로, 제어기가 급기팬을 제어함으로써 풍량을 약 31.9% 늘리며 처리 열량을 증가시켜 부하에
대응한다. ③에서는 냉방 운전으로 절환되어 처리 열량이 증가하므로, 제어기는 급기팬의 제어를 통해 풍량을 약 26.3% 줄이며 처리 열량을 감소시켜
부하에 대응한다. Fig. 10(d)는 제습 운전 시, Fig. 10(c)의 풍량 제어에 따른 처리 열량과 $T_{ra}$의 응답이다. 제어기는 제습 운전 후 정상상태에서는 $T_{ra}$를 설정값인 24℃ ± 0.3℃
범위 이내로 정밀하게 제어함을 보인다. 이들 결과를 통해 제어기는 재열 제습 운전 시에도 강인한 제어성능을 보인다.
Fig. 10 VAV system control results by the tuned PID controller under reheating dehumidification.
Fig. 11은 OA 도입 시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Table 3의 Case 6의 제어기로 $T_{ra}$를 제어한 실험 결과이다. Fig. 11(a)는 RA와 OA의 온․습도 응답이며, Fig. 11(b)는 제어 입력인 급기팬의 전압 지령값과 RA와 OA의 댐퍼 개도이다. Fig. 11(a)에서는 OA 댐퍼 개방 시 RA보다 높은 온․습도의 OA가 도입됨을 보인다. 이로 인해 $T_{ra}$는 0.2℃의 과도 오차 발생 후 설정값으로
제어됨을 보인다.
Fig. 11(c)는 Fig. 11(b)의 급기팬의 전압 지령값에 따른 풍량과 처리 열량을 보여준다. OA 도입 시 제어기는 급기팬의 회전수 제어를 통해 풍량을 약 11.3% 늘리며 처리
열량을 증가시켜 부하에 대응한다. Fig. 11(d)는 Fig. 11(c)의 풍량 제어에 따른 처리 열량과 $T_{ra}$의 응답이다. 결과적으로 제어기는 OA 도입 시에도 실내 온도를 설정값 24℃ ± 0.3℃ 범위 이내로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강인한 제어성능을 보인다.
Fig. 11 Control results of the tuned PID controller for VAV system under outdoor air intake.
3.3 시뮬레이션을 통한 PID 게인의 타당성 확인 및 성능 분석
튜닝된 제어기의 안정성과 재현성 및 제어성능 비교 평가는 Matlab/Simulink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된다. 시뮬레이션을 위한 VAV
시스템의 전달함수 모델은 동특성 실험을 통해 식(4)와 같이 전형적인 FOPDT 전달함수의 형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4)의 특성값인 시정수 $\tau$와 DC 게인 $k$는 동작점, $L_{sen}$, $T_{sa}$의 조건 변경 시 각각 최대 25.3%와 41.7%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식(4)의 특성값들을 최적화한다. 실험을 통해 $T_{ra}$를 초기값 26℃에서 설정값 24℃로 추종시키는 실험 데이터를 3세트 취득하였고, 이 가운데
2세트는 두 특성 파라미터의 최적화 훈련용, 나머지 1세트는 최적화된 전달함수의 신뢰성 확인용으로 각각 사용하였다. 최적화 알고리즘은 PSO(Particle
Swarm Optimization)를 사용하였고, CV(RMSE)가 최소로 되는 특성값을 구하였다. 최적화된 전달함수는 식(5)와 같다. 또한, 온도 센서의 잡음을 구현하기 위해 실험 데이터의 FFT 분석에 기반해 강도 0.17을 갖는 백색 잡음(white noise)을 인가하였다.
Fig. 12의 (a)와 (b)는 최적화된 전달함수의 신뢰성 확인용 데이터 세트로 각각 CV(RMSE)와 $R^{2}$을 평가한 결과이다. Fig. 12(a)에서 CV(RMSE)는 1.3%, Fig. 13(b)에서 $R^{2}$은 0.9678로 각각 도출되어 이후 진행된 시뮬레이션의 타당성이 입증된다.
Fig. 13은 Table 3의 튜닝된 PID 게인 값들과 식(5)의 전달함수로부터 구한 폐루프계의 주극점들을 복소 평면상에 나타낸 것이다. 이때 식(5)의 부동작 시간 항은 Pade 1차 근사법을 적용해 계산하였다. 극점은 식(6)의 형태로 구하였다. 다만, LPF를 포함한 PID 제어기와 2차계의 제어대상으로 구성된 폐루프계의 특성방정식은 4차이므로 극점이 네 개이지만 주극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좌반면의 두 극점은 제어량의 응답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므로 고찰에서 제외하였다. 주극점 정보로부터 PID 피드백 제어계의 $\sigma_{d}$는
$0.0003<\sigma_{d}<0.0005$, $\omega_{d}$는 $0.0003<\omega_{d}<0.0006$로 나타났다. 여기서 $\sigma_{d}$는
극점의 $x$축상의 거리, $\omega_{d}$는 $y$축상의 거리를 각각 나타내며 $j$는 허수 단위이다. 또한, 감쇄비 $\zeta$는 $0.6<\zeta
<0.8$, 고유 진동수 $w_{n}$은 $0.0004<\omega_{n}<0.0007$ rad/sec로 나타났다. 극점들이 모두 복소 좌반면에 존재하므로
튜닝된 제어기를 갖는 제어계는 안정하다. 또한, 주극점들의 위치가 매우 근접하므로 제어 결과의 재현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12 Comparative results of $T_{ra}$ responses between simulation and experiment.
Fig. 13 Position of dominant poles to confirm repeatability and stability of the feedback control system.
Fig. 14 Comparative control performance of PID gains based on the nominal transfer function through simulation.
Fig. 14는 튜닝된 제어기의 목푯값 추종 성능을 대조군 제어기의 성능과 비교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튜닝된 제어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식(5)의 전달함수 기반으로 설계된 대조군 제어기와 목푯값 추종 성능을 상호 비교하였다. 튜닝된 제어기는 제어 입력 식(3) 및 Fig. 5의 조작량을 이용하였고 이때의 PID 게인은 Table 3의 Case 2의 값들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의 제어기는 제어 입력 식(7)을 사용하였고, 제어기 게인은 식(5)의 전달함수 기반으로 Matlab/Simulink의 PID 튜너(tuner)를 사용하여 설계되었다. 또한, 안티와인드업 게인 $K_{aw}$는 $K_{p}$/2로
설정하였고, LPF와 MAF는 튜닝된 제어기의 값들과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제어기의 성능은 $T_{ra}$의 설정값을 1,000 초 시점에 26℃에서
24℃로 변경하여 얻은 $T_{ra}$의 응답을 분석해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정착시간 $t_{s}$, 퍼센트 언더슈트 $P.U$, 절대 오차
적분 $IAE$를 성능 평가 지표로 사용하였다. $t_{s}$는 제어량이 열잡음의 최대 진폭을 고려해 설정값인 24℃ ± 0.3℃ 이내로 정착하는
시간, $P.U$는 식(8), 그리고 $IAE$는 식(9)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식(8)에서 $y_{\min}$은 제어 구간에서 지령값이 변경된 이후 $y(t)$의 최저값을 의미한다.
Table 4는 Fig. 14의 $T_{ra}$ 응답을 제어성능 평가 지표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이다. 튜닝된 제어기 No. 1은 대조군 No. 3에 비해 $t_{s}$는 14.2%
개선되었고, $IAE$는 26.3% 개선되었다. P.U는 두 제어기가 동일하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ON/OFF 자동 튜닝 게인을 적용한 PI-D
제어기의 제어성능이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Table 4 Comparative control performance of PID gains based on transfer function through simulation
No.
|
$K_{p}$
|
$K_{i}$
|
$K_{d}$
|
$K_{aw}$
|
$t_{s}$[sec]
|
$P.U$[%]
|
$IAE$
|
Method
|
1
|
-0.628
|
-0.0007
|
-140.5
|
0.067
|
10,318
|
17.9
|
6,144.34
|
PI-D+ON/OFF tuning
|
2
|
-0.628
|
-0.0007
|
-140.5
|
0.314
|
12,198
|
20.6
|
9,598.15
|
PID+ON/OFF tuning
|
3
|
-1.373
|
-0.0011
|
-368.9
|
0.687
|
12,023
|
17.9
|
8,341.15
|
PID+transfer function
|
4
|
-2.162
|
-0.0019
|
0
|
1.081
|
10,637
|
36.1
|
4,500.37
|
PI+transfer function
|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EHP AHU의 VAV 시스템으로 실내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PID 게인 자동 튜닝 및 제어로의 자동 절환 시스템을 설계하고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타당성과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외란을 포함한 다양한 운전 조건 하에서도 ON/OFF 운전을 통한 게인 튜닝과 튜닝된
게인을 이용한 PID 제어가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튜닝된 PID 게인값들의 극점 위치 분석을 통해 PID 피드백 제어계의 안정성 및 재현성을
확인하고 전달함수 기반으로 설계된 대조군 제어기와 성능을 비교하여 제안 방식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안된 자동 튜닝법은 튜닝 동작점 변경과 현열 부하, 급기 온도의 외란 조건 변경 시에도 PID 게인을 온라인상에서 안정적으로 도출함을 확인하였다.
(2) 자동 튜닝된 PID 제어기는 현열 부하, 급기 온도, 재열 제습 운전, 외기 도입의 외란 하에서도 VAV 시스템의 제어량인 실내 온도를 정상상태오차
$\pm 0.3^{\circ}{C}$ 이내로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강인한 제어성능을 보였다.
(3) 튜닝된 PID 게인 값들에 의한 PID 피드백 제어계는 극점 위치 분석을 통해 안정성과 재현성을 담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 튜닝된 게인에 의한 PID 제어기는 전달함수 기반으로 설계된 대조군 제어기와의 제어성능 비교 분석을 통해 그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PID 게인 자동 튜닝법은 실시간 ON/OFF 운전을 통해 간편하게 진행되며, 튜닝 종료와 동시에 PID 제어로 자동 절환된다.
특히 이 방법은 다양한 운전 조건과 외란의 영향 하에서도 목표 제어량을 설정값으로 정밀하게 제어하므로 VAV 시스템의 고정밀 제어와 에너지 절약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후 기
이 논문은 부경대학교 자율창의학술연구비(2023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2050 Carbon Neutral, Available online: https://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81562.
(accessed on 17 Feb 2024)
The 2050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Commission, Available online: https://2050cnc.go.kr.
(accessed on 17 Feb 2024)
Ebrahimi, P., Ridwana, I., and Nassif, N., 2023, Solutions to Achieve High-efficient
and Clean Building HVAC Systems, Buildings, Vol. 13, No. 5, 1211.
Li, W., Wang, S., and Koo, C., 2021, A Real-time Optimal Control Strategy for Multi-zone
VAV air-conditioning Systems Adopting a Multi-agent based Distributed Optimization
Method, Applied Energy, Vol. 287, 116605.
Schibuola, L., Scarpa, M., and Tambani, C., 2018, Variable Speed Drive (VSD) Technology
Applied to HVAC Systems for Energy Saving: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Energy Procedia,
Vol. 148, pp. 806-813.
Rismanchi, B., Zambrano, J. M., Saxby, B., Tuck, R., and Stenning, M., 2019, Control
Strategies in Multi-zone Air Conditioning Systems, Energies, Vol. 12, No. 3, pp. 347-360.
Mathews, E. H., Arndt, D. C., Piani, C. B., and Van Heerden, E., 2000, Developing
Cost Efficient Control Strategies to Ensure Optimal Energy use and Sufficient Indoor
Comfort, Applied Energy, Vol. 66, No. 2, pp. 135-159.
Visioli, A., 2012, Research Trends for PID Controllers, Acta Polytechnica, Vol. 52,
No. 5, pp. 144-150.
Xing, T., Li, X., and Zhang, J., 2018, An Identification Method for Room Temperature
Dynamic Model Based on Analytical Solution in VAV System, Energy and Buildings, Vol.
174, pp. 134-146.
Huang, G., Wang, S., and Xu, X., 2010, Robust Model Predictive Control of VAV Air-handling
Units Concerning Uncertainties and Constraints, Hvac&R Research, Vol. 16, No. 1, pp.
15-33.
Kim, J. G., Han, C. H., and Jeong, S. K., 2020, Disturbance Observer-based Robust
Control Against Model Uncertainty and Disturbance for a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116, pp. 49-58.
Jeong, S. K., Han, C. H., Hua, L., and Wibowo, W. K., 2018, Systematic Design of Membership
Functions for Fuzzy Logic Control of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142, pp. 303-310.
Cao, J. P., Jeong, S. K., and Jung, Y. M., 2014, Fuzzy Logic Controller Design with
Unevenly-distributed Membership Function for High Performance Chamber Cooling System,
Journal of Central South University, Vol. 21, pp. 2684-2692.
Ziegler, L. G. and Nichols, N. B., 1942, Optimum Settings for Automatic Controller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Vol. 64, No. 8, pp.
759-765.
Bi, Q., Cai, W. J., Wang, Q. G., Hang, C. C., Lee, E. L., Sun, Y., and Zou, B., 2000,
Advanced Controller Auto-tuning and its Application in HVAC Systems, Control Engineering
Practice, Vol. 8, No. 6, pp. 633-644.
Tashtoush, B., Molhim, M., and Al-Rousan, M., 2005, Dynamic Model of HVAC System for
Control Analysis, Energy, Vol. 30, No. 10, pp. 1729-1745.
Pandey, S. K., Veeranna, K., Kumar, B., and Deshmukh, K. U., 2020, A Robust Auto-tuning
Scheme for PID Controllers, IECON 2020 The 46th Annual Conference of the IEEE Industrial
Electronics Society, pp. 47-52.
Kim, T. H. and Jeong, S. K., 2024, Auto-tuning of PID Gain by ON/OFF Operation of
a Variable Speed Refrigeration System, SAREK, Vol. 36, No. 11, pp. 31-43.
Lee, J. M., Hong, S. H., Seo, B. M., and Lee, K. H., 2019,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Optimized AHU Discharge Air Temperature Set-point and Minimized
Cooling Energy in VAV System, Applied Thermal Engineering, Vol. 153, pp. 726-738.
Climate data from Passive House Institute Korea, Available online: https://climate.onebuilding.org/.
(accessed on 17 Nov 2023)
Cho, W., Heo, J., Park, M. H., Seo, H. J., Lee, K., Lee, D. G., and Kim, Y., 2023,
Energy Performance and Thermal Comfort of Integrated Energy Recovery Ventilator System
with Air-conditioner for Passive Buildings, Energy and Buildings, Vol. 295, 113302.
Kim, H. J. and Cho, Y. H., 2017, A Study on a Control Method with a Ventilation Requirement
of a Vav System in Multi-zone, Sustainability, Vol. 9, No. 11, 2066.
Michalak, P., 2019, A Thermal Network Model for the Dynamic Simulation of the Energy
Performance of Buildings with the Time Varying Ventilation Flow, Energy and Building,
Vol. 202, 109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