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SK 에코플랜트 스페이스 BU 프로 (Ph.D Course,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Seoul, 03722, Korea, PRO, SK Ecoplant Space BU, Seoul, 0343, Korea,)
  2.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Seoul, 037, Korea)



플러쉬 아웃, 폼알데하이드, 실내공기질, 휘발성 유기화합물
Flush-out, Formaldehyde, Indoor air quality, Volatile organic compounds

1. 서 론

최근 공공주택은 에너지 절감을 위해 단열성능을 극대화하고 기밀성을 강화하여 외기의 도입을 최소화 하게 되었는데, 밀폐된 공간에서 환기가 부족할 경우 실내공기질(IAQ: Indoor Air Quality)이 악화되면서 피로, 두통, 현기증, 집중력 저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이나 ‘복합화학물질민감증(Multiple Chemical Sensitivity)’과 같은 증상을 발생시킨다.(1) 또한 공기 중에 바이러스가 떠돌아 COVID-19와 같은 병원균의 감염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기도 한다.(2) 특히, 실내에서 사용되는 건축자재는 복합화학물질로 구성되어 다양한 오염물질을 방출하여 실내 공기의 주오염원(3)으로 지목되고 있는데, 공동주택 신축시 이를 고려하여 실내공기질 향상을 위해 오염물질이 저방출되는 ‘친환경 건축자재’가 적용되고 있으나, 내구성과 기능성 및 장식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화학물질을 완전히 배제시키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실제 공동주택에서는 건축자재마다 사용량과 노출 표면적이 다르기 때문에 실내공기질의 원인이 되는 건축자재를 정확히 판별하기 어렵고, ‘친환경 건축자재’의 기준이 되는 시험성적서는 온도, 습도, 기류, 환기 등의 조건이 정확히 제어되는 실험실 조건이므로 실제 시공되는 건축공간에서의 상황과는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축중인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복합상태인 건축자재의 오염물질 방출 경향을 비교해 보기 위해 실내마감공사를 5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가 완료될 때마다 “실내공기질 공정시험 기준”에 따라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였다. 또한 “건강친화형 건설기준”에서 정한 플러쉬 아웃(Flush-Out)을 실시하여 실내 오염물질의 저감 정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실내오염물질 배출과, COVID-19와 같은 병원균의 전파를 막기 위한 실내 환기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2. 실험방법 및 내용

2.1 실험대상 개요

실험대상은 서울시 성동구에 위치한 신축중인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기간은 2023년 11월 중순부터 2024년 3월 중순까지 약 4개월 간 진행하였다. Table 1은 실험대상 개요를, Table 2는 실험 일정을 나타내었다. 실험은 Table 3과 같이 총 6단계로 진행되었으며, Fig. 1에서는 실험세대의 평면을 나타내었으며, 실내공기질 측정은 거실에서 실시하였다.

Fig. 1 Floor plan of experimental house.
../../Resources/sarek/KJACR.2024.36.10.513/fig1.png
Table 1 Description of project

Location

Seongdong-gu, Seoul, Korea

Purpose

Residential-Commercial Complex

Size

Three 34 story apratment buildings with 396 residential units

Structural System

Reinforced concrete frame structure

House of Experimental

Type

Exclusive Floor Area(㎡)

Floor

84

84.81

3rd

Table 2 Schedule of experimental
../../Resources/sarek/KJACR.2024.36.10.513/tb2.png
Table 3 Experimental phases

No.

Main process

Phase 1

Concrete surface treatment

Marking

Installation of external windows

../../Resources/sarek/KJACR.2024.36.10.513/tb3-1.png

Phase 2

Masonry, Partition wall, Gypsum ceiling

Waterproofing, Wall plastering

Floor screeding

../../Resources/sarek/KJACR.2024.36.10.513/tb3-2.png

Phase 3

Baseboard, Ceiling molding

Furniture, Kitchen furniture

Tile, Paint

../../Resources/sarek/KJACR.2024.36.10.513/tb3-3.png

Phase 4

Ceiling papering, Wall papering

../../Resources/sarek/KJACR.2024.36.10.513/tb3-4.png

Phase 5

Wood flooring

Caulking

Post-construction cleaning

../../Resources/sarek/KJACR.2024.36.10.513/tb3-5.png

Flush-out

../../Resources/sarek/KJACR.2024.36.10.513/tb3-6.png

2.2 실험방법 및 조건분석

2.2.1 실험방법

실험은 각 단계가 완료 된 후 “실내공기질 공정시험 기준”(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203-1호)(4)에 따라 실시 하였다. 분석대상은 폼알데하이드,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스틸렌 등 6종이다(라돈은 실험의 절차와 목적이 달라 제외하였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분석은 흡착관 내에 흡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흡착관에 가열된 기체를 흘려보내 오염물질 별로 분리하고 오염물질의 양을 분석하였다.(5) 폼알데하이드는 2,4 DNPH로 코팅된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가공기로부터 채취하고 HCHO를 ACN(아세트산니트릴)용액으로 용출 후 10 ml 바이알에 넣어서 LC(Liquid Chromatography)를 작동하여 분석하였다.(6)

2.2.2 실험세대의 온도/ 습도 관리

Kim et al.(7)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온도와 습도에 의존성이 있음을 보고 하였으며, “실내공기질 공정시험 기준”(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203-1호)에서도 실내공기질 측정 시 실내온도는 20℃ 이상을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험세대는 실내마감공사 공정계획에 따라 동절기에 진행되어 실내 기온이 공정시험 기준에 부합하지는 못했다. 공사 중에 실내 온도를 공정시험 기준을 만족하려면 난방기구를 사용해야 하는데, 탄소연료를 사용하게 되면 실내 오염물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전기 난방기구는 용량상의 어려움이 있어 실온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단계별 측정일의 실내 온도와 습도의 측정조건은 Table 4에 나타내었다.

Table 4 Measurement conditions of experimental

Category

Phase 1

Phase 2

Phase 3

Phase 4

Phase 5

Temperature

(℃)

Outdoor

6.8

5.0

6.2

6.4

14.0

Indoor

7.1

7.1

9.8

10.3

17.5

Relative Humidity(%)

66.6

39.7

45.9

33.5

45.7

Atmospheric Pressure(hPA)

1,026.5

1,015.6

1,016.1

1,017.5

1,017.2

2.2.3 실험세대 환기관리

각 단계별 공사가 진행되는 기간에는 하루에 1시간씩 3회(07:30 ~ 08:30, 12:00 ~ 13:00, 17:00 ~ 18:00)에 걸쳐 세대 외창을 열어 자연환기를 실시했다. 실험세대는 신축중인 현장 내에 위치하고 있는데, 외부 공사에 따른 유해물질이 실내로 혼입될 수 있어 외부의 주요 공사시간과 간섭되지 않도록 자연환기를 실시하였다.

2.2.4 단계별 영점보정

각 단계별 오염물질의 정확한 방출량 또는 변화량을 측정하려면 실험 세대 내 오염물질의 영점을 조정하여 각 단계별 오염도를 측정해야 하는데, 실험실이 아닌 현장에서 온도와 습도, 오염물질의 방출량 등의 측정조건을 전 단계와 동일하게 맞추기는 사실상 불가하다. 본 실험은 각 단계에서 방출하는 오염물질의 수치보다는 건축자재가 개별 상태에서의 방출 경향과 복합된 상태에서 오염물질 방출의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함에 있다.

2.3 실내마감공사 개별 자재 분석

실험에 사용된 건축자재는 ‘환경표지인증’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세대에 사용된 개별자재의 특성은 Table 5에 표시하였다.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에서 정한 접착제, 페인트, 실란트, 퍼티, 벽지, 바닥재, 표면가공 목질판상제품과 석고보드, 단열재에 대해 소형 챔버법을 통한 시험결과를 나타내었다.

Table 5 Emission properties of primar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Category

TVOC

(㎎/㎡h)

Toluene

(㎎/㎡h)

HCHO

(㎎/㎡h)

Iinsulation

rigid foam

0.01

-

0.001

Gypsum board

0.004

0.002

0.001

Gypsum bond

0.02

0.005

0.005

Furniture

Body

0.074

-

0.005

Door

0.037

-

0.009

Kitchen Furniture

Body

0.006

0.004

0.005

Door

0.055

0.039

0.001

Adhesive

0.021

0.001

0.011

Paint

-

0.002

-

Artwall Sheet

0.034

0.002

0.01

Paper

Ceiling

0.013

0.001

0.004

Wall

0.025

0.001

0.001

Floor

Wood

0.02

-

0.004

Sealant

0.024

-

-

Putty

0.093

-

-

3. 측정결과 및 분석

3.1 실내마감공사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4]에서는 Table 6과 같이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Table 7에서는 각 단계의 실험 결괏값을 나타내었는데, 폼알데하이드는 권고기준 대비 약 24.38%, 벤젠 3%, 톨루엔 44.41%, 에틸벤젠 1.67%, 스티렌 2.76%, 자일렌 2.13% 수준으로 실험 전(全)단계에서 오염물질이 권고기준치 이하로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폼알데하이드와 톨루엔은 개별자재의 시험성적서를 통해 접착제, 목질계판상제품 및 장식용 Sheet가 복합적으로 혼합된 가구공사에서 가장 많은 양의 오염물질이 방출 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Fig. 2와 같이 마지막 단계인 바닥공사 완료 후 두 물질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이는 바닥재 공사에 사용된 자재에서 오염물질의 방출이 가장 크다고 하기보다는, 공사 완료 후 각종 마감용 코킹 시공과 준공청소가 진행되었는데, 준공청소에 사용된 약품 등의 영향과 Table 4에서 나타낸 것처럼 측정시점의 실내온도 상승 등이 실내 오염물질 방출량 증가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Fig. 2 Variation of concentration.
../../Resources/sarek/KJACR.2024.36.10.513/fig2.png
Table 6 Guideline for indoor air quality

VOCs

Guideline(㎍/㎥)

Formaldehyde

210 or below

Benzene

30 or below

Toulene

1,000 or below

Ethybenzene

360 or below

Xylene

700 or below

Styrene

300 or below

Table 7 Experimental result of indoor air quality

VOCs

Unit

Phase 1

Phase 2

Phase 3

Phase 4

Phase 5

Formaldehyde

㎍/㎥

3.3

1.8

16.6

8.0

51.2

Benzene

3.5

3.1

2.8

3.0

0.9

Toulene

32.3

34.7

130.6

37.5

444.1

Ethybenzene

5.7

49.2

16.4

3.4

6.0

Xylene

5.1

2.5

23.2

3.9

19.3

Styrene

7.7

3.9

5.2

2.3

6.4

3.2 플러쉬 아웃

“건강친화형 주택 건설기준” [별표 2]에서는 “플러쉬 아웃은 환기 등을 이용하여 신선한 외기를 실내에 충분히 도입함으로써 실내 오염원을 실외로 방출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플러쉬 아웃이 실내공기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세대를 대상으로 플러쉬 아웃을 실시하고 실시 전·후의 오염물질 농도를 분석하였다. 플러쉬 아웃을 실시하기 위해 각종 가구의 문, 서랍 등을 모두 열고 보양재를 제거하는 등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6일간 세대 전열교환기를 사용하여 외기를 도입하였으며, 이후 3일간 자연환기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Table 8에서는 플러쉬 아웃 실시 전․후의 오염물질 농도변화를 나타내었다. 플러쉬 아웃 후 세대 측정결과 폼알데하이드 45%, 톨루엔 74%, 에틸벤젠 30%, 자일렌 63%, 스티렌 67%가 감소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벤젠은 플러쉬 아웃 전 측정 시 0.9 ㎍/㎥, 플러쉬 아웃 후 1.3 ㎍/㎥로 0.4 ㎍/㎥ 증가하였으나, 방출량은 권고기준 대비 4.33%가 검출되었고 증가량 또한 소량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실험을 통해 단기간의 플러쉬 아웃 실시로도 공사 중 발생한 오염물질 등을 제거하고 실내공기질을 개선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able 8 Comparison of indoor air quality before and after flush-out

VOCs

Unit

Before Flush-Out

After Flush-Out

Increase & Decrease(%)

Formaldehyde

㎍/㎥

51.2

28.0

Δ45.3

Benzene

0.9

1.3

44.4

Toulene

444.1

114.0

Δ74.3

Ethybenzene

6.0

4.2

Δ30.0

Xylene

19.3

7.2

Δ62.7

Styrene

6.4

2.1

Δ67.2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신축중인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실내마감공사에 사용된 복합자재의 오염물질 방출 경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마감공사 완료 후 플러쉬 아웃을 실시하여 오염물질의 농도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에 사용된 건축마감자재의 개별자재에서는 ‘소형 챔버법에 의한 건축자재 방출 시험성적서’를 기반으로 세대에 시공된 면적과 노출량을 고려했을 때 폼알데하이드는 접착제류에서, 톨루엔은 주방가구 도어에서 방출농도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그러나 실제 시공이 된 복합자재의 상태에서의 측정결과는 바닥재 공사 완료 후 폼알데하이드와 톨루엔 모두 가장 높은 농도의 오염물질을 나타내었다.

(2) 실험세대에 적용된 자재는 ‘환경표지인증’ 제품을 사용하였는데, 폼알데하이드는 권고기준 대비 약 24.38%, 톨루엔은 44.41% 수준으로 검출되었는데, 실내마감공사 전(全) 단계에서 권고기준 이하로 오염물질이 방출되는 것을 확인됐다. ‘환경표지인증’을 받은 건축자재가 기준에 부합하여 적정하게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실내마감공사 완료 후 “건강친화형 주택 건설기준”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플러쉬 아웃을 실시하여 오염물질 농도변화를 살펴보았는데, 폼알데하이드 45.3%, 톨루엔 74.3%가 감소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1~2주간의 단기간의 플러쉬 아웃 실시를 통해서도 오염물질의 농도를 상당량 감소하고 입주 전 실내공기질을 개선하는데 기여하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의 실험은 실험군의 부족과 실험조건의 영점조정 등의 제약으로 인해 실내마감공사에 따른 오염물질의 정량적인 증감량은 측정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실험을 통해 실내마감공사 기간동안 오염물질의 농도 변화의 경향을 알 수 있었고, 플러쉬 아웃을 실시 한 후 실내오염물질이 상당량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친환경 자재를 사용하여도 내구성, 기능성 등과 같은 목적성에 따라 오염물질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므로, 친환경 건축자재를 선택하여 시공하는 것이 실내오염물질 발생을 억제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되며, 또한 실내 오염물질은 시공과정에서 뿐 아니라 준공 후 생활환경에서도 지속적으로 방출되는 경향이 있다.(8) 따라서 실내에 청정한 공기가 유입하여 쾌적한 실내공기질이 유지 될 수 있도록 환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후 기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과제번호 RS-2022-00144050).

References

1 
Jang, S. K., 2006, Effects of Indoor Air Pollutants on Human Health, Air Purification Technology, Vol. 19, No. 1, pp. 1-9.URL
2 
Kim, C., 2024, Field Study of Ventilation Planning in Multi-Use Facilities for the Post-COVID-19 Pandemic Era - Focusing on Facility Usage Conditions and Ventilation Performance -, KIEAE Journal, Vol. 24, No. 2, pp. 87-95.URL
3 
Lee, H. S. and Park, J. C., 2005, A Study on Emiss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Pollutants from Building Materia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5, No. 1, pp. 95-98.URL
4 
Ministry of Environment, 2023, Indoor air sampling and evaluation method, ES 02130.f.URL
5 
Ministry of Environment, 2023, 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indoor and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by sorbent tube and gas chromatograph using MS or FIDA, Standard Test Methods for Indoor Air Quality, ES 02602.1e.URL
6 
Ministry of Environment, 2023,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in indoor and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by 2,4-DNPH cartridge an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Standard Test Methods for Indoor Air Quality, ES 02601.1d.URL
7 
Kim, S., S., Y, M., S., and Kim, K., W., 2008, Numerical Analysis of the Indoor Air Quality and VOC Emission from Building Materials with the Temperature Vari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4, No. 3, pp. 233-240.URL
8 
Lee, J. S., Kim, S., Park, D., Kang, K., and Kim, T., 2022, Characteristics of Indoor Pollutant Generation According to Occupant Behavior. KIEAE Journal, Vol. 22, No. 2, pp. 94-95.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