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실험 장치 및 방법
Fig. 6은 본 논문에서 설계된 ADRC를 갖는 PI 제어기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VSRS 실험 장치 및 실시간 제어장치(real time controller)의
개략도이다. 실험 장치는 가변속 압축기와 EEV, 증발기, 응축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구체적인 사양은 Table 2에 나타내었다. OCS를 구현하기 위해 증발기는 오일탱크에 침적되어 있으며, 공작기계의 열부하는 전기 히터로 구성하였다. 이들 기기의 사양과 압축기
회전수 제어용 인버터, EEV 드라이브의 사양은 Table 3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청색의 일점쇄선은 온도 센서로 측정한 온도 정보, 그리고 적색의 일점쇄선은 압축기와 EEV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와 EEV
드라이브로부터의 지령값인 $f_{i}$와 $v_{o}$를 각각 나타낸다.
Fig. 6 Diagram of experimental device.
본 연구의 제어량은 오일 출구 온도 $T_{o}$와 과열도 $T_{s}$이며,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제어 입력은 압축기 회전수 $f_{i}$,
EEV 개도 지령값 $v_{o}$이다. 압축기 회전수 제어용 인버터와 EEV 드라이브는 Matlab/Simulink 기반의 실시간 제어장치의 CPU로부터
D/A 변환된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받아 $T_{o}$와 $T_{s}$를 제어한다. 압축기 인버터의 주파수 지령 범위는 30~70 Hz, EEV 드라이브의
개도 지령 범위는 400~2,000 step 내에서 작동하도록 설정하였다. 제어 입력 연산을 위한 온도 정보는 K-type 열전대(TC)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제어와 데이터 취득 샘플(sample) 시간은 1 초로 설정하였다.
Table 2 Specifications of VSRS and refrigerant
Component
|
Note
|
Compressor
|
Rotary type, 30-90[Hz], 0.86[kW]
|
EEV
|
400-2,000[step], 12[V]
|
Evaporator
|
Bare tube coil type, 2.1[kW](max.)
|
Condenser
|
Air-cooled fin and tube type, 5.24[kW]
|
Refrigerant
|
R-22, 0.7[kg]
|
Table 3 Specifications of attached device and oil
Component
|
Note
|
Inverter
|
4.5[kVA], 3phase, PWM, V/f=contant type
|
EEV drive
|
4[W], 24[V], Bipolar type
|
Electric heater
|
4.5[kW]
|
Oil tank
|
Immersion type, 400$\times$400$\times$385[mm]
|
Oil
|
ISO VG 10, Velocite oil No. 6, 40[L]
|
3.2 시뮬레이션과 실험 결과 및 고찰
ADRC의 외란과 모델 불확실성에 대한 제어 강인성은 Table 1과 같이 설계된 PI 제어기를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이하 PI 제어기)와 동일한 PI 제어기에 ADRC를 적용하였을 때(이하 ADRC)의 $T_{o}$와
$T_{s}$ 응답을 비교함으로써 검증된다. PI 제어기는 Matlab/Simulink에서 전달함수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시뮬레이션 상에서 언더슈트는
0.5℃ 이하, 정착시간은 1,700~1,800 초가 되도록 $K_{p}$와 $K_{i}$를 선정하였다.
Fig. 7은 VSRS를 대상으로 진행한 PI 제어기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며, Fig. 8은 ADRC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이들 그림에서 (a)는 제어량인 $T_{o}$와 $T_{s}$, (b)는 $T_{o}$의 제어 입력인 $f_{i}$,
(c)는 $T_{s}$의 제어 입력인 $v_{o}$를 각각 나타낸다. 시뮬레이션에서 $T_{o}$의 지령값은 초기 30℃에서 1,000 초 시점에
25℃로 스텝으로 변경하였고, $T_{s}$의 지령값은 액백을 방지하고 최대 COP로 운전하기 위해 7℃로 유지하였다. 외란인 열부하는 4,000
초까지 정격 열부하 1.6 kW를 인가하였으며, 4,000 초에 1.76 kW(+10%), 6,000 초에 1.44 kW(-10%)로 각각 변동시켰다.
Fig. 7 Simulation result applied PI controller.
Fig. 8 Simulation result applied ADRC.
Fig. 7과 Fig. 8의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지령값 변동 시 PI 제어기와 ADRC는 모두 주어진 설계사양을 만족하였다. 이때 $T_{s}$는 $f_{i}$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오버슈트 발생 후 지령값 7℃로 수렴한다. 열부하 변동 시 ADRC는 PI 제어기보다 $T_{o}$를 지령값으로 더 엄밀히 제어하였으며, 구체적인
성능 분석은 실험 결과를 통해 고찰한다.
Fig. 9는 VSRS를 대상으로 PI 제어기의 실험 결과이며, Fig. 10은 ADRC의 실험 결과이다. 이들 그림에서 (a)는 제어량인 $T_{o}$와 $T_{s}$, (b)는 $T_{o}$의 제어 입력인 $f_{i}$,
(c)는 $T_{s}$의 제어 입력인 $v_{o}$를 각각 나타낸다. 실험 방법 또한 시뮬레이션과 같은 방법으로 지령값을 변동하고 열부하를 증감시켰다.
Fig. 7부터 Fig. 10까지의 시뮬레이션과 실험 결과가 거의 일치하므로 본 논문에서 설계한 제어기와 실험 결과의 타당성이 우선 확인되었다. 실험 결과 $T_{o}$와 $T_{s}$는
지령값 변동 시 PI 제어기와 ADRC 모두 정상상태오차 없이 설정값에 엄밀히 수렴하였다. 특히, 실험 결과에서 PI 제어기는 정착시간이 1,756
초로 나타나 설계 사양을 만족하였지만, 언더슈트는 0.7℃로 나타나 설계 사양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이는 모델 불확실성의 영향으로 인해 설계 사양을
미소하게 벗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ADRC는 정착시간이 1,776 초, 언더슈트는 0.5℃로 나타났으며 모델 불확실성에 강인하게 대응하여 설계
사양을 모두 만족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ADRC가 PI 제어기 대비 모델 불확실성 하에서도 강인한 제어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열부하 증가 시 $T_{o}$의 최대 오버슈트는 PI 제어기의 경우 0.76℃, ADRC의 경우 0.35℃ 발생하여 ADRC의 경우가
53.9% 개선되었다. 정착시간은 PI 제어기의 경우 815 초, ADRC의 경우 357 초로 나타나 ADRC의 경우가 56.2% 단축되었다. 열부하
감소 시 $T_{o}$의 최대 오버슈트는 PI 제어기의 경우 1.14℃, ADRC의 경우 0.45℃ 발생하여 ADRC의 경우가 60.5% 개선되었다.
정착시간은 PI 제어기의 경우 795 초, ADRC의 경우 447 초로 나타나 ADRC의 경우가 41.1% 단축되었다. 이들 결과를 통해 ADRC는
열부하 증․감 시에도 PI 제어기보다 설정값으로 더 엄밀히 추종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VSRS는 압축기 회전수 지령이 급증할 경우 $T_{s}$의 오버슈트가 크게 발생한다. Fig. 9와 Fig. 10에서 지령값 변동 시 최대 오버슈트는 PI 제어기가 6.9℃, ADRC가 3.5℃ 발생하였으며, ADRC의 경우가 49.3% 작게 발생하였다. 이는
ADRC가 간섭 영향으로 인한 과열도 증가를 외란 및 모델 불확실성으로 추정하여 그 영향을 조작량으로 보상함으로써 EEV 개도를 빠르게 조절하였기
때문이다. 최대 오버슈트 이후 EEV 개도의 응답 속도에 따라 미소한 언더슈트가 발생한다. 이때 지령값 7℃로의 정착시간은 PI 제어기가 약 2,425
초, ADRC가 1,602 초로 나타나 ADRC의 경우가 33.9% 단축되었다. 또한, 실험 결과로부터 열부하 증․감 시 PI 제어기는 압축기 회전수의
간섭으로 인해 미소한 온도 변동(fluctuation)이 발생하였지만, ADRC는 지령값 7℃를 엄밀히 유지하였다. 이들 결과를 통해 ADRC는 액백과
과열 증기 압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최대 COP로 운전되도록 $T_{s}$의 지령값을 엄밀히 제어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두 제어기에 의한 $T_{s}$의
제어성능 비교는 잡음의 영향이 커 정량적으로 엄밀한 분석이 어려우므로 제어성능의 대략적인 개선 여부 확인을 목표로 하였다.
Fig. 9 Experimental result applied PI controller.
Fig. 10 Experimental result applied ADRC.
Fig. 11은 Fig. 8의 시뮬레이션과 Fig. 10의 실험 결과 도출 시 추정된 외란 $\hat{d}_{cp}$를 나타낸다. 이때 흑색 실선은 실험 결과, 적색 실선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각각 의미하며,
모두 주파수의 변동값($\Delta f$)을 나타낸다. Fig. 12는 Fig. 9의 PI 제어기와 Fig. 10의 ADRC 각 실험 결과 도출 시에 측정한 압축기 소비전력을 나타낸다.
Fig. 11에서 실험과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추정된 외란 $\hat{d}_{cp}$는 정격 열부하 구간인 4,000 초까지는 거의 0이었다. 이후 열부하가 변동된
4,000 초와 6,000 초 시점에 실험과 시뮬레이션의 $\hat{d}_{cp}$는 모두 외란의 크기에 비례하여 변동하였다. 따라서 설계한 ESO가
인가된 외란을 정확하게 추정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때 외란은 스텝상으로 인가되었지만 LPF에 의한 지연으로 인해 실험과 시뮬레이션에서의 응답은
완만하게 나타났다.
Fig. 12에서 압축기 소비전력은 $f_{i}$의 거동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열부하 증․감 시 ADRC는 압축기 회전수를 빠르게 변화시켜 증․감된 열부하에 즉각
대응한다. 따라서 과도 구간에서의 소비전력은 ADRC가 미소하게 더 크게 나타났다. PI 제어기는 열부하가 증가한 4,000 초부터 6,000 초까지의
과도 구간 초기에는 느린 응답 속도로 인해 ADRC보다 소비전력이 더 작았다. 그러나 정상상태 구간으로 진입할수록 느린 응답 속도로 인한 $T_{o}$의
오버슈트를 처리하기 위해 ADRC보다 더 많은 전력이 소비되었다. 이들 결과로 인해 외란이 인가된 4,000 초부터 6,000 초까지의 총 소비전력량은
PI 제어기와 ADRC 모두 322 Wh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속응성 향상과 소비전력 절감은 상호 절충(trade off) 관계이지만,
ADRC는 에너지의 추가 투입 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성능을 크게 개선함을 확인하였다.
Fig. 11 Estimated disturbance $\hat{d}_{cp}$ in simulation and experiment.
Fig. 12 Experimental result of power consumption of compressor.
Fig. 13 Simulation results by model uncertainty applied PI controller.
Fig. 14 Simulation results by model uncertainty applied ADRC.
공랭식 VSRS는 외기 온도 변동 등에 대해 열교환 성능이 변동될 수 있으며, 이는 모델의 불확실성을 증대시킨다. 제안한 ADRC는 외란과 모델 불확실성을
총 외란으로 간주하므로 열부하 변동 등 시스템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란 뿐만 아니라 시스템 내부의 모델 불확실성에 대해서도 강인한 제어성능을 보장한다.
모델 불확실성은 식(1)의 공칭 전달함수의 시정수 $\tau$와 DC 게인 $k$에 내포되며, 선행 연구로부터 VSRS의 $\tau$와 $k$는 동작점 변동 시 최대 23%만큼
변동됨을 알 수 있다.(4~5)
Fig. 13과 Fig. 14는 각각 모델 불확실성에 대한 제어 강인성을 확인하기 위한 PI 제어기와 ADRC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a)는 모델 불확실성에 따른 $T_{o}$의
응답, (b)는 이때의 제어 입력 $f_{i}$를 각각 나타낸다. PI 제어기는 지령값 변동 시 공칭모델의 경우 0.5℃의 언더슈트가 발생하였으며,
특성 파라미터가 23% 증가 시 0.59℃(+18%), 23% 감소 시 0.37℃(-26%)의 언더슈트가 각각 발생하였다. 한편, ADRC는 지령값
변동 시 공칭모델의 경우 0.5℃의 언더슈트가 발생하였으며, 특성 파라미터가 23% 증가 시 0.54℃(+8%), 23% 감소 시 0.43℃(-14%)의
언더슈트가 각각 발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모델 불확실성에 따른 특성 파라미터 변동에 대해 ADRC가 PI 제어기보다 응답 변동이 더 작으므로 모델
불확실성에 강인하게 대응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