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연구 도구 및 분석 개요
본 연구에서는 학교 급식 조리실 내 실내 오염물질 농도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해 시뮬레이션 기반 접근을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 도구로는 멀티존(Multizone)
건물 내 공기 유동 및 오염물질 거동 해석에 널리 사용되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의 CONTAMW(Version 3.4)를 사용하였다.(10)
CONTAM은 건물 내 각 존(Zone) 간 공기 흐름, 오염물질의 이동 및 제거, 필터링, 외기 유입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여 시간 또는 정상상태
조건 하에서 공기질을 해석할 수 있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정상상태 (Steady-state) 해석 기능을 활용하여 외기 조건 및 급기 전략별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각 조건 하에서의 실내 미세먼지 농도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모델은 조리실의 공간 형상 모델링, 실내외 온도 조건 설정, 외피 기밀성(누기 면적) 입력, 공기 유동 경로 정의, 환기 시스템 및 필터
구성, 주방 후드 모델링, 미세먼지 발생량 설정 등의 단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 오염물질 농도의 정밀한 분석을 위해, 입력 변수 중 일부는
현장 실측을 통해 확보하였으며, 나머지는 기존 연구에서 검증된 문헌값을 기반으로 설정하였다. 실내외 온도 조건, 기밀 성능(누기 면적), 오염물질(미세먼지)의
발생량 등은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였고, 공기 유동 경로 설정, 환기 시스템 및 필터 성능, 급배기 송풍기의 성능은 관련 선행 연구 및 설계 도면을
참고하여 모델링하였다.
2.2 분석 대상 조리실 개요
분석 대상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위치한 초등학교의 급식 조리실로, 약 8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일일 급식을 제공하는 대규모 조리 공간이다. 대상
조리실은 건물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는 세척실, 전처리실, 조리공간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공간 간에 실질적인 칸막이나 벽체 없이 개방되어
있어 공기 흐름 측면에서는 단일 공간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뮬레이션 모델에서는 전체 조리실을 층고 2.4 m, 면적 264.6 m2의 단일 존(Zone)으로 정의하였다.
Fig. 1에 분석 대상 조리실의 평면도와 공간 내 배기 후드와 미세먼지 측정 위치를 함께 표시하였다. 원형 기호는 각 조리기기 상부에 설치된 배기 후드의 번호를,
삼각형 기호는 미세먼지 측정 지점을 나타낸다. 총 8기의 배기 후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세척기용 후드 2기(1, 2), 튀김기 및 국솥용 후드 2기(3,
4), 밥솥용 후드 1기(5), 오븐 및 부침기용 후드 2기(6, 7), 국솥용 후드 1기(8)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후드 1-5번 및 8번은 하나의 배기 덕트 라인으로, 후드 6-7번은 또 다른 배기 덕트 라인으로 연결되어 각각 옥상 배기
송풍기를 통해 오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계되었다.
이와 함께 조리실 내에는 급기 디퓨저와 환기 팬이 설치되어 있으나, 실측 결과 급기 풍량이 배기 풍량에 비해 현저히 부족하여 자연 침기나 창 개방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점은 본 연구의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설정에 있어 실제 급기 부족 조건을 반영하는 근거로 활용되었다.
Fig. 1 Plan of the analyzed school kitchen.
2.4 CONTAM 모델 구성 절차
시뮬레이션 모델은 대상실의 도면을 기반으로 2차원 형상으로 구현되었으며, 공간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일 존(Zone)으로 정의되었다(Fig. 2). 주방 조리실 및 전처리실, 세척실을 하나의 존으로 정의하고 외부와 급식실 사이의 창문, 문, 벽체 등의 위치를 반영하여 공기 유동 경로(Airflow
element)를 설정한다.
Fig. 2 School kitchen model in CONTAM.
공기 유동 경로 상의 외피의 기밀성능(누기면적)을 입력하기 위해 CO2를 추적가스로 사용한 농도 감쇠법(CO2 decay method)을 활용하였다.
조리실 내 CO2 농도를 5,000 ppm까지 인위적으로 상승시킨 후, 환기 설비 작동 없이 농도가 자연적으로 감소하는 속도를 분석하여 침기율을 계산하였다.
수식은 식(1)과 같다.
외피 기밀 성능은 앞서 산정한 침기율을 기반으로 설정되었으며, 외벽의 유효 누기면적(ELA, Effective Leakage Area)은 ASHRAE
Standard 119(11)에서 제시한 식을 활용하여 산출하였다. 수식은 식(2)와 같다.
창문 및 출입문의 누기면적은 NIST에서 제공하는 CONTAM 입력 매뉴얼의 항목별 기준값을 참고하여 설정하였다.(12,13) 또한, 시뮬레이션에 적용된 급기 및 배기 송풍기, 후드의 정격 풍량 및 정압 성능은 현장 실측 자료와 설계 도면에 기반하여 반영하였다.
배기 시스템은 실제 현장 설계를 반영하여 총 2개의 독립된 배기 덕트와 그에 연결된 8기의 후드로 구성하였다. 각 후드는 조리 기기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연결된 배기 덕트의 길이와 저항에 따라 풍량 분포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모델링하였다. 덕트 내 압력 손실은 Darcy-Colebrook 모델을
활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송풍기의 풍량-정압 특성은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하였다.
급기 시스템의 경우, 자연 급기 및 기계 급기 시나리오에 따라 급기 위치, 필터 적용 여부, 급기량 등을 달리 입력하였으며, 급기 필터는 프리필터(MERV
8) 및 미디움 필터(MERV 14)의 조합으로 구성하였다. 모델 내 공기 정화 기능은 필터의 포집 효율을 반영하여 미세먼지 제거율로 입력하였다.
이후, 현장 측정을 통해 확보한 조리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모델 입력값으로 적용하고, 외기 조건을 반영하였다. 실내 조건은 2024년 6월
7일에 수행된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존 내부 온도는 25℃, 상대 습도는 42%로 설정하였다. 외기 조건에 대한 데이터는 경기도 대기 환경 정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17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의 기간과 코로나19 유행 시기를 제외한 2023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총 60개월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였다. PM10 및 PM2.5 농도의 분포를 기준으로, 전체 데이터를 백분위 기준으로 구분하여 상위 33%는
‘높음(High)’, 중간 33%는 ‘보통(Middle)’, 하위 33%는 ‘낮음(Low)’으로 구분하여 외기 조건을 세 가지 수준으로 분류하였다.
아울러, 5개년 데이터 중 월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았던 달 인 2019년 3월(Max month)과 일별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았던 날 2019년
3월 5일(Max day)을 추가 사례로 선정하여 총 다섯 가지의 외기 조건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Table 2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조건을 분류한 표이다.
Table 2 Classification of outdoor PM concentration levels and outdoor conditions
Class
|
Outdoor PM concentration
|
Outdoor condition
|
PM10(µg/m³)
|
PM2.5(µg/m³)
|
Temperature(℃)
|
Humidity(%)
|
Wind speed(m/s)
|
Max(month)
|
70
|
46
|
6.6
|
64
|
1.9
|
Max(day)
|
198
|
163
|
13.49
|
62.3
|
2.18
|
High
|
58.68
|
33.17
|
8.26
|
63.3
|
1.86
|
Middle
|
37.86
|
21.57
|
8.77
|
68.72
|
1.82
|
Low
|
23.59
|
12.88
|
21.92
|
74.38
|
1.82
|
5개년간의 월별 평균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월, 3월, 4월은 외기 미세먼지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시기로 나타났다. 반면, 2월,
5월, 6월, 11월, 12월은 중간 수준, 7월부터 10월까지는 낮은 수준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계절별 경향을 도출한 바,
외기 미세먼지 농도는 겨울 및 봄철에 높고, 여름철에는 낮은 분포를 보이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시뮬레이션에서는 공기 중 미세먼지의 유입, 유출, 여과, 침착, 실내 발생 등의 주요 경로를 반영하여 오염물질 이동 및 축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재현하였다.
오염물질은 입경에 따라 PM10과 PM2.5로 구분하여 정의하였으며, 외기 침입계수(Penetration coefficient) 및 실내 침착률(Deposition
rate)은 기존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설정하였다.(14,15)
미세먼지 발생량과 관련된 기존 선행연구는 대부분 주거용 주방 환경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대상인 대용량 급식 조리실과는 환경적 특성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학교 조리실에서 수행한 장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발생량을 자체적으로 산정하였다.
특히, 튀김 및 볶음 등 유해물질 발생이 강한 조리 방식이 수행된 날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농도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 6일의 데이터를 선정하여,
해당 시기의 발생량을 역산하였다. 계산은 실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He et al.(16)이 제시한 오염물질 발생량 계산식(3), (4)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덕트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은 CONTAM에서 제공하는 Darcy-Colebrook 모델을 활용하여, 배기 후드와 연결된 덕트 내의 압력 손실을 정량적으로
반영하였다. 해당 모델은 Darcy-Weisbach 식을 기반으로 하며, Colebrook-White 방정식과 표면 거칠기 계수를 통해 마찰 계수(Friction
factor)를 계산한다.(17) 도면을 기반으로 덕트 길이, 직경, 형태를 입력하였으며, 표면 거칠기는 CONTAM에서 제공되고 있는 Medium smooth(0.09 mm) 수준을
입력하였다.(18)
또한 후드의 경우, 급기량에 따른 배기 성능 차이를 구현하기 위해 옥상층에 위치한 배기구 및 관련 요소를 추가로 모델링하였다. 배기 송풍기는 CONTAM의
Fan and Forced-flow 모델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으며, 설계 도면에 제시된 실제 시스템 구성과 현장 설치 사양을 반영하기 위해 SIROCCO
FAN의 팬 성능 곡선(Fan curve data)을 참조하여 입력하였다.(19)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시뮬레이션은 공기 유동 및 오염물질 농도 분포에 대해 정상상태(Steady-state) 조건에서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입력값은
기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 조건은 Table 3에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Table 3 Simulation conditions
Classification
|
Conditions
|
Note
|
Indoor environment
|
Temperature (℃)
|
25
|
-
|
RH (%)
|
42
|
Leakage area
|
Exterior wall (cm2/m2)
|
3.18
|
(12, 13)
|
Outdoor door (cm2/m2)
|
0.3
|
Outdoor window (cm2/m2)
|
0.8
|
Interior door (cm2/item)
|
140
|
Interior window (cm2/m)
|
2
|
Particulate matter
|
Penetration coefficient (-)
|
PM10
|
0.5
|
(14)
|
PM2.5
|
0.7
|
Deposition rate (h-1)
|
PM10
|
0.8
|
(15)
|
PM2.5
|
0.5
|
Emission rate (mg/min)
|
PM10
|
13.08
|
(16)
|
PM2.5
|
10.94
|
Exhaust fan (per/item)
|
Air volume (m3/min)
|
220
|
(19)
|
Static pressure (mmAq)
|
50
|
Fan rated output (H.P)
|
7.5
|
2.5 분석 케이스
본 연구에서는 자연 급기와 기계 급기를 포함한 다양한 급기 조건을 설정하고, 이들 조건에 따른 실내 공기질 개선 효과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총 7개의
시뮬레이션 케이스를 구성하였다. 각 케이스는 상이한 외기 조건을 반영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기본 케이스(Base case)는 창문을 개방하지 않고 급기 설비도 가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침기에 의한 외기 유입만 발생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자연 급기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설정된 Case 1은 세 가지 하위 시나리오로 구성된다. Case 1-1은 창문을 개방하여 실내외 공기 교환이 이뤄지는
상태(침기율 0.7 h-1)를 모델링한 것으로, 자연 환기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Case 1-2는 창호형 자연환기 급기구를 활용하되, 필터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이며, Case 1-3은 동일한 급기구에 MERV 14 등급의 미디움 필터를 적용하여 필터 유무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 차이를
평가하였다. 이때 적용된 자연급기 시스템은 기존 제품의 카탈로그 자료를 참고하여 Self-Regulating Vent 모델을 기반으로 설정하였다.(20)
Case 2는 급기 풍량이 배기 풍량에 비해 부족한 실제 학교 조리실 현장의 실태를 반영한 시나리오로, 창문은 닫고 기계 급기만을 가동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Case 2-1은 기계 급기 풍량을 배기량의 40%로 설정한 조건이며, Case 2-2와 Case 2-3은 각각 급기량을 배기량의 60%
및 80%로 설정하여, 현재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권장 범위와 그 중간값을 비교 평가하였다. 기계 급기 시스템에는 프리필터(MERV 8)와 미디움
필터(MERV 14)를 병렬로 적용하였다. 각 시나리오의 조건을 요약한 분석 케이스 구성은 Table 4에 제시하였다.
Table 4 Summary of analyzed supply-exhaust airflow ratio scenarios
Classification
|
Supply
|
Exhaust
|
Note
|
Base
|
Only infiltration
|
Hood
|
-
|
1-1
|
Window opened
|
Infiltration rate: 0.7
|
1-2
|
Window attached ventilators (Filter X)
|
-
|
1-3
|
Window attached ventilators (Filter O)
|
Medium filter
|
2-1
|
Mechanical supply Air (40%)*
|
Pre filter+medium filter
|
2-2
|
Mechanical supply Air (60%)**
|
2-3
|
Mechanical supply AIr (80%)***
|
* 40% of the exhaust flow rate for the supply.
** 60% of the exhaust flow rate for the supply.
*** 80% of the exhaust flow rate for the su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