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스마트시티융합전공 석사과정 (Master’s Student, Department of Global Smart City,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16419, Korea)
  2.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박사 후 연구원 (Postdoctoral Researcher, Center for Built Environment,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16419, Korea)
  3.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Professor, School of Civil and Architectural E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16419, Korea)



CONTAM 시뮬레이션, 미세먼지, 학교 급식 조리실, 급배기 풍량 비율, 환기 전략
CONTAM simulation, Parrticulate matter, School cafeteria kitchen, Supply-exhaust airflow ratio, Ventilation strategy

1. 서 론

학교 급식 조리실에서 발생하는 조리 흄(Cooking fume)은 조리 과정 중 생성되는 유증기와 그 안에 포함된 유해물질 및 미세먼지를 통칭한다.(1)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산하 국제암연구기구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는 조리 흄이 조리자의 폐에 흡착되어 폐질환을 유발하며, 장기적으로 건강에 중대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2) Juntarawijit and Juntarawijit(3)의 연구에 따르면, 태국의 식당 근로자는 대조군에 비해 만성 호흡기 질환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조리 흄에 장기간 노출될수록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국내에서도 학교 급식 조리실에서 근무하는 조리 종사자의 건강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2023년 2월 28일 기준, 전국 14개 시도교육청(서울, 경기, 충북 제외)이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총 24,065명의 건강검진 대상자 중 139명이 폐암 의심 또는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이 중 31명이 실제로 폐암으로 확진되었다. 또한, 2021년에는 한 조리실 실무자가 폐암으로 산업재해 인정을 받은 사례가 보고되었다. 교육부는 조리 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대응을 마련하고 있으며, 시도교육청과 협력하여 후드, 덕트, 송풍기, 공기정화장치 등의 설치 기준을 포함한 다양한 환기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있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조리실의 급기 방식을 자연 급기와 기계 급기로 나뉜다. 자연 급기는 창문을 통한 외기 도입 방식으로, 경기도교육청 가이드라인에서는 정풍량 댐퍼가 적용된 자연급기 설비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자연 환기를 유도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반면, 기계 급기는 강제 급기 시스템을 통해 일정한 급기량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배기 설비와의 급배기 균형을 확보함으로써 실내 공기질 개선에 기여한다.

조리실에서 후드를 활용한 국소 배기를 수행할 경우, 급기량이 부족하면 실내에 음압이 형성되어 전체 배기량이 감소하거나, 틈새를 통한 외기 유입으로 인해 방해기류가 발생하여 배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고용노동부의 「학교급식 조리실 환기설비 가이드」에서는 자연 급기 없이 강제 급기만을 운용하는 경우, 총 급기량을 배기량의 90%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기술지침, 「서울형 급식실 환기시설 개선 가이드라인」, 「경남형 학교급식 환기시설 개선 매뉴얼」 등에서도 급기량을 배기량의 80~90% 범위 내에서 유지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4-7)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3년 3월 기준 국내 전체 11,389개 학교 중 9,043개 학교가 급기 설비가 없거나 부족한 상태이며, 평균적으로 급기 풍량은 배기 풍량의 약 1/3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조리흄을 구성하는 주요 입자상 오염물질인 미세먼지(PM10, PM2.5)는 가스상 오염물질과 달리 공기 중 체류 및 침착 특성이 뚜렷하며, 연중 외기 농도의 변동 폭이 크기 때문에 외기 유입 여부에 따라 실내 농도 변화가 민감하게 나타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미국 환경보호청(EPA), 국내 「학교보건법」 등 주요 기관에서는 미세먼지를 실내 공기질 평가의 핵심 지표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기준이 제시되어 왔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농도와 건강 영향에 대한 국내외 선행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8) 실내 미세먼지 농도는 조리 활동으로 인한 내부 발생뿐만 아니라, 외기로부터의 유입 영향을 함께 받는 복합적인 특성을 갖는다.(9)

하지만 현재의 조리실 환기 가이드라인들은 급배기 송풍기 간 풍량 비율을 일률적으로 제시할 뿐, 외기 미세먼지 농도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반영한 급배기 전략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이는 실제 조리실 환기 성능 개선을 위한 정량적 설계 및 운용에 한계를 초래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실제 조리 종사자의 건강 보호 측면에서 실효성이 낮다.

따라서, 학교 급식 조리실과 같이 고농도 오염원에 장시간 노출되는 고위험 환경에 대해서는, 외기 조건의 변화에 따라 유입되는 오염물질까지 고려한 정밀한 급배기 분석이 필수적이다. 이는 조리 종사자의 건강권 보호와 함께, 향후 환기 시스템의 실효성 있는 개선을 위한 실천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필수적 전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급식 조리실을 대상으로, 다양한 급배기 전략에 따라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리실 현장에서 확보한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멀티존 시뮬레이션 도구인 CONTAM을 활용하여 총 7가지 환기 시나리오(침기, 자연 급기, 창호형 자연급기, 기계 급기)를 구성하고, 외기 미세먼지 농도 조건별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분석 항목으로는 급기 방식, 급배기 풍량 비율, 필터 적용 여부 등이 포함되며, 시나리오별 실내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비교․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급기 방식과 외기 조건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시뮬레이션 기반 분석을 통해, 학교 조리실 환기 성능 향상 및 미세먼지 농도 저감을 위한 실증 기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2.1 연구 도구 및 분석 개요

본 연구에서는 학교 급식 조리실 내 실내 오염물질 농도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해 시뮬레이션 기반 접근을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 도구로는 멀티존(Multizone) 건물 내 공기 유동 및 오염물질 거동 해석에 널리 사용되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의 CONTAMW(Version 3.4)를 사용하였다.(10)

CONTAM은 건물 내 각 존(Zone) 간 공기 흐름, 오염물질의 이동 및 제거, 필터링, 외기 유입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여 시간 또는 정상상태 조건 하에서 공기질을 해석할 수 있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는 정상상태 (Steady-state) 해석 기능을 활용하여 외기 조건 및 급기 전략별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각 조건 하에서의 실내 미세먼지 농도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모델은 조리실의 공간 형상 모델링, 실내외 온도 조건 설정, 외피 기밀성(누기 면적) 입력, 공기 유동 경로 정의, 환기 시스템 및 필터 구성, 주방 후드 모델링, 미세먼지 발생량 설정 등의 단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 오염물질 농도의 정밀한 분석을 위해, 입력 변수 중 일부는 현장 실측을 통해 확보하였으며, 나머지는 기존 연구에서 검증된 문헌값을 기반으로 설정하였다. 실내외 온도 조건, 기밀 성능(누기 면적), 오염물질(미세먼지)의 발생량 등은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였고, 공기 유동 경로 설정, 환기 시스템 및 필터 성능, 급배기 송풍기의 성능은 관련 선행 연구 및 설계 도면을 참고하여 모델링하였다.

2.2 분석 대상 조리실 개요

분석 대상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위치한 초등학교의 급식 조리실로, 약 8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일일 급식을 제공하는 대규모 조리 공간이다. 대상 조리실은 건물의 1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는 세척실, 전처리실, 조리공간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공간 간에 실질적인 칸막이나 벽체 없이 개방되어 있어 공기 흐름 측면에서는 단일 공간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뮬레이션 모델에서는 전체 조리실을 층고 2.4 m, 면적 264.6 m2의 단일 존(Zone)으로 정의하였다.

Fig. 1에 분석 대상 조리실의 평면도와 공간 내 배기 후드와 미세먼지 측정 위치를 함께 표시하였다. 원형 기호는 각 조리기기 상부에 설치된 배기 후드의 번호를, 삼각형 기호는 미세먼지 측정 지점을 나타낸다. 총 8기의 배기 후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세척기용 후드 2기(1, 2), 튀김기 및 국솥용 후드 2기(3, 4), 밥솥용 후드 1기(5), 오븐 및 부침기용 후드 2기(6, 7), 국솥용 후드 1기(8)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후드 1-5번 및 8번은 하나의 배기 덕트 라인으로, 후드 6-7번은 또 다른 배기 덕트 라인으로 연결되어 각각 옥상 배기 송풍기를 통해 오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계되었다.

이와 함께 조리실 내에는 급기 디퓨저와 환기 팬이 설치되어 있으나, 실측 결과 급기 풍량이 배기 풍량에 비해 현저히 부족하여 자연 침기나 창 개방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점은 본 연구의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설정에 있어 실제 급기 부족 조건을 반영하는 근거로 활용되었다.

Fig. 1 Plan of the analyzed school kitchen.

../../Resources/sarek/KJACR.2025.37.9.422/fig1.png

2.3 입력 변수 설정을 위한 현장 실측

시뮬레이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주요 입력 변수 중 일부는 조리실 현장에서의 실측을 통해 확보하였다. 실측은 2024년 6월 9일부터 7월 22일까지 약 6주간 수행되었으며, 측정 항목은 실내외 미세먼지(PM10, PM2.5) 농도, 후드 및 급기 디퓨저의 풍량, 실내 환기율 등으로 구성되었다(Table 1). 미세먼지 계측기는 조리 공간을 대표할 수 있는 중앙부(후드7 옆면)에 설치되었으며, 1분 간격으로 기록되었다. 외기 미세먼지 농도는 경기도 대기 환경 정보 시스템의 실시간 관측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천장 급기 및 배기 풍량은 풍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후드 배기 풍량은 풍속을 다점 측정하여 면적을 곱하여 산출하였다.

Table 1 Measurement devices for indoor and outdoor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Measurement item

Model

Specification

Temperature

IAQ-SC

Range: -40~125℃

Accuracy: ±0.3℃(20~40℃), ±1℃ below(0~70℃)

Humidity

Range: 0~100%

Accuracy: ±2%(20~80%), ±4% below(0~100%)@25℃

PM10

Range: 0~1,000 ug/m3

Accuracy: 0~100 ±10 ug/m3, 101~1,000 ±20%

PM2.5

2.4 CONTAM 모델 구성 절차

시뮬레이션 모델은 대상실의 도면을 기반으로 2차원 형상으로 구현되었으며, 공간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일 존(Zone)으로 정의되었다(Fig. 2). 주방 조리실 및 전처리실, 세척실을 하나의 존으로 정의하고 외부와 급식실 사이의 창문, 문, 벽체 등의 위치를 반영하여 공기 유동 경로(Airflow element)를 설정한다.

Fig. 2 School kitchen model in CONTAM.

../../Resources/sarek/KJACR.2025.37.9.422/fig2.png

공기 유동 경로 상의 외피의 기밀성능(누기면적)을 입력하기 위해 CO2를 추적가스로 사용한 농도 감쇠법(CO2 decay method)을 활용하였다. 조리실 내 CO2 농도를 5,000 ppm까지 인위적으로 상승시킨 후, 환기 설비 작동 없이 농도가 자연적으로 감소하는 속도를 분석하여 침기율을 계산하였다. 수식은 식(1)과 같다.

(1)
$N=\dfrac{1}{\triangle t}[\ln(\dfrac{C_{0}-C_{bg}}{C_{f}-C_{bg}})$

외피 기밀 성능은 앞서 산정한 침기율을 기반으로 설정되었으며, 외벽의 유효 누기면적(ELA, Effective Leakage Area)은 ASHRAE Standard 119(11)에서 제시한 식을 활용하여 산출하였다. 수식은 식(2)와 같다.

(2)
$ELA_{4Pa}=\sqrt{\dfrac{\rho}{2(4Pa)}}Q_{50Pa}(\dfrac{4Pa}{50Pa})^{0.65}$

창문 및 출입문의 누기면적은 NIST에서 제공하는 CONTAM 입력 매뉴얼의 항목별 기준값을 참고하여 설정하였다.(12,13) 또한, 시뮬레이션에 적용된 급기 및 배기 송풍기, 후드의 정격 풍량 및 정압 성능은 현장 실측 자료와 설계 도면에 기반하여 반영하였다.

배기 시스템은 실제 현장 설계를 반영하여 총 2개의 독립된 배기 덕트와 그에 연결된 8기의 후드로 구성하였다. 각 후드는 조리 기기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연결된 배기 덕트의 길이와 저항에 따라 풍량 분포에 차이가 발생하도록 모델링하였다. 덕트 내 압력 손실은 Darcy-Colebrook 모델을 활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송풍기의 풍량-정압 특성은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하였다.

급기 시스템의 경우, 자연 급기 및 기계 급기 시나리오에 따라 급기 위치, 필터 적용 여부, 급기량 등을 달리 입력하였으며, 급기 필터는 프리필터(MERV 8) 및 미디움 필터(MERV 14)의 조합으로 구성하였다. 모델 내 공기 정화 기능은 필터의 포집 효율을 반영하여 미세먼지 제거율로 입력하였다.

이후, 현장 측정을 통해 확보한 조리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모델 입력값으로 적용하고, 외기 조건을 반영하였다. 실내 조건은 2024년 6월 7일에 수행된 실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존 내부 온도는 25℃, 상대 습도는 42%로 설정하였다. 외기 조건에 대한 데이터는 경기도 대기 환경 정보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17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의 기간과 코로나19 유행 시기를 제외한 2023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총 60개월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였다. PM10 및 PM2.5 농도의 분포를 기준으로, 전체 데이터를 백분위 기준으로 구분하여 상위 33%는 ‘높음(High)’, 중간 33%는 ‘보통(Middle)’, 하위 33%는 ‘낮음(Low)’으로 구분하여 외기 조건을 세 가지 수준으로 분류하였다. 아울러, 5개년 데이터 중 월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았던 달 인 2019년 3월(Max month)과 일별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았던 날 2019년 3월 5일(Max day)을 추가 사례로 선정하여 총 다섯 가지의 외기 조건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Table 2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조건을 분류한 표이다.

Table 2 Classification of outdoor PM concentration levels and outdoor conditions

Class

Outdoor PM concentration

Outdoor condition

PM10(µg/m³)

PM2.5(µg/m³)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m/s)

Max(month)

70

46

6.6

64

1.9

Max(day)

198

163

13.49

62.3

2.18

High

58.68

33.17

8.26

63.3

1.86

Middle

37.86

21.57

8.77

68.72

1.82

Low

23.59

12.88

21.92

74.38

1.82

5개년간의 월별 평균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월, 3월, 4월은 외기 미세먼지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시기로 나타났다. 반면, 2월, 5월, 6월, 11월, 12월은 중간 수준, 7월부터 10월까지는 낮은 수준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계절별 경향을 도출한 바, 외기 미세먼지 농도는 겨울 및 봄철에 높고, 여름철에는 낮은 분포를 보이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시뮬레이션에서는 공기 중 미세먼지의 유입, 유출, 여과, 침착, 실내 발생 등의 주요 경로를 반영하여 오염물질 이동 및 축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재현하였다. 오염물질은 입경에 따라 PM10과 PM2.5로 구분하여 정의하였으며, 외기 침입계수(Penetration coefficient) 및 실내 침착률(Deposition rate)은 기존 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설정하였다.(14,15)

미세먼지 발생량과 관련된 기존 선행연구는 대부분 주거용 주방 환경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의 대상인 대용량 급식 조리실과는 환경적 특성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학교 조리실에서 수행한 장기 실내 미세먼지 농도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발생량을 자체적으로 산정하였다.

특히, 튀김 및 볶음 등 유해물질 발생이 강한 조리 방식이 수행된 날의 데이터를 중심으로, 농도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 6일의 데이터를 선정하여, 해당 시기의 발생량을 역산하였다. 계산은 실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He et al.(16)이 제시한 오염물질 발생량 계산식(3), (4)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3)
$\dfrac{d C_{ins}}{dt}=P\alpha C_{out}+\dfrac{Q_{s}}{V}-(\alpha +k)C_{ins}$
(4)
$\overline{Q_{s}}=V\times[\dfrac{C_{int}-C_{in0}}{\triangle T}+\overline{(\alpha +k)}\times\overline{C_{in}}-\alpha\times C_{in0}]$

덕트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은 CONTAM에서 제공하는 Darcy-Colebrook 모델을 활용하여, 배기 후드와 연결된 덕트 내의 압력 손실을 정량적으로 반영하였다. 해당 모델은 Darcy-Weisbach 식을 기반으로 하며, Colebrook-White 방정식과 표면 거칠기 계수를 통해 마찰 계수(Friction factor)를 계산한다.(17) 도면을 기반으로 덕트 길이, 직경, 형태를 입력하였으며, 표면 거칠기는 CONTAM에서 제공되고 있는 Medium smooth(0.09 mm) 수준을 입력하였다.(18)

또한 후드의 경우, 급기량에 따른 배기 성능 차이를 구현하기 위해 옥상층에 위치한 배기구 및 관련 요소를 추가로 모델링하였다. 배기 송풍기는 CONTAM의 Fan and Forced-flow 모델을 기반으로 구성하였으며, 설계 도면에 제시된 실제 시스템 구성과 현장 설치 사양을 반영하기 위해 SIROCCO FAN의 팬 성능 곡선(Fan curve data)을 참조하여 입력하였다.(19)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시뮬레이션은 공기 유동 및 오염물질 농도 분포에 대해 정상상태(Steady-state) 조건에서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입력값은 기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 조건은 Table 3에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Table 3 Simulation conditions

Classification

Conditions

Note

Indoor environment

Temperature (℃)

25

-

RH (%)

42

Leakage area

Exterior wall (cm2/m2)

3.18

(12, 13)

Outdoor door (cm2/m2)

0.3

Outdoor window (cm2/m2)

0.8

Interior door (cm2/item)

140

Interior window (cm2/m)

2

Particulate matter

Penetration coefficient (-)

PM10

0.5

(14)

PM2.5

0.7

Deposition rate (h-1)

PM10

0.8

(15)

PM2.5

0.5

Emission rate (mg/min)

PM10

13.08

(16)

PM2.5

10.94

Exhaust fan (per/item)

Air volume (m3/min)

220

(19)

Static pressure (mmAq)

50

Fan rated output (H.P)

7.5

2.5 분석 케이스

본 연구에서는 자연 급기와 기계 급기를 포함한 다양한 급기 조건을 설정하고, 이들 조건에 따른 실내 공기질 개선 효과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총 7개의 시뮬레이션 케이스를 구성하였다. 각 케이스는 상이한 외기 조건을 반영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기본 케이스(Base case)는 창문을 개방하지 않고 급기 설비도 가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침기에 의한 외기 유입만 발생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자연 급기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설정된 Case 1은 세 가지 하위 시나리오로 구성된다. Case 1-1은 창문을 개방하여 실내외 공기 교환이 이뤄지는 상태(침기율 0.7 h-1)를 모델링한 것으로, 자연 환기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Case 1-2는 창호형 자연환기 급기구를 활용하되, 필터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이며, Case 1-3은 동일한 급기구에 MERV 14 등급의 미디움 필터를 적용하여 필터 유무에 따른 실내 미세먼지 농도 차이를 평가하였다. 이때 적용된 자연급기 시스템은 기존 제품의 카탈로그 자료를 참고하여 Self-Regulating Vent 모델을 기반으로 설정하였다.(20)

Case 2는 급기 풍량이 배기 풍량에 비해 부족한 실제 학교 조리실 현장의 실태를 반영한 시나리오로, 창문은 닫고 기계 급기만을 가동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Case 2-1은 기계 급기 풍량을 배기량의 40%로 설정한 조건이며, Case 2-2와 Case 2-3은 각각 급기량을 배기량의 60% 및 80%로 설정하여, 현재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권장 범위와 그 중간값을 비교 평가하였다. 기계 급기 시스템에는 프리필터(MERV 8)와 미디움 필터(MERV 14)를 병렬로 적용하였다. 각 시나리오의 조건을 요약한 분석 케이스 구성은 Table 4에 제시하였다.

Table 4 Summary of analyzed supply-exhaust airflow ratio scenarios

Classification

Supply

Exhaust

Note

Base

Only infiltration

Hood

-

1-1

Window opened

Infiltration rate: 0.7

1-2

Window attached ventilators (Filter X)

-

1-3

Window attached ventilators (Filter O)

Medium filter

2-1

Mechanical supply Air (40%)*

Pre filter+medium filter

2-2

Mechanical supply Air (60%)**

2-3

Mechanical supply AIr (80%)***

* 40% of the exhaust flow rate for the supply.

** 60% of the exhaust flow rate for the supply.

*** 80% of the exhaust flow rate for the supply.

3. 시뮬레이션 결과

3.1 배기 풍량에 따른 환기 성능 분석

Fig. 3은 외기 조건별로 각 후드에서 발생한 평균 배기 풍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배기 송풍기에서 멀어질수록 덕트 길이에 따른 압력 손실이 증가하여 후드별 배기 성능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송풍기 성능을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덕트의 배치 구조에 따라 연결된 후드의 풍량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각 덕트에 연결된 후드의 풍량 합계는 각각 5,572.08 m³/h 및 5,552.43 m³/h로 유사하게 나타나, 전체 배기량은 일정하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4는 각 분석 케이스별 전체 배기 풍량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침기만으로 외기가 유입되는 Base 케이스에서는 가장 낮은 배기 성능이 나타났으며, 이는 급기 부족에 따른 배기 성능 저하로 해석된다. 반면, 창문을 개방하여 자연 급기를 수행한 Case 1-1은 기계 급기량을 배기량의 80%로 설정한 Case 2-3과 유사한 수준의 배기 성능을 보였다. 이는 충분한 자연 급기가 확보될 경우, 기계 급기에 준하는 배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Case 1-2와 Case 1-3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필터의 적용 여부는 배기 성능에 유의미한 차이를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CONTAM 프로그램에서는 필터에 의한 저항과 그에 따른 급기 풍량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 급기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그 결과, 총 배기 풍량이 동일하게(11,795 CMH) 유지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두 케이스 모두 Base 케이스 대비 배기량이 증가하였으나, 그 폭은 제한적이었다. 이는 본 연구에 적용된 창호형 자연환기 시스템이 주거용을 기준으로 설계된 제품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대규모 조리실에 필요한 충분한 급기량을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급배기 밸런스가 후드의 배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급기 방식 및 급기량 조절이 환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며, 향후 학교 조리실의 환기 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설계 방향 설정에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g. 3 Average airflow rate of hood under various outdoor conditions.

../../Resources/sarek/KJACR.2025.37.9.422/fig3.png

Fig. 4 Total hood exhaust volume for each case in High conditions.

../../Resources/sarek/KJACR.2025.37.9.422/fig4.png

3.2 미세먼지 농도 변화에 따른 분석

현재 학교 조리실을 대상으로 한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독립적인 기준은 존재하지 않으며, 적용 가능한 유사 기준으로는 「학교보건법 시행규칙」 상의 학교 환경 위생 기준과 고용노동부의 작업장 공기 질 기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공간이 학교 내 조리실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학교보건법에서 제시하는 실내 공기질 기준(21)을 준용하였다. 이에 따라, 분석에 적용된 평가 기준은 실내 24시간 평균 농도로 PM10은 75 µg/m³ 이하, PM2.5는 35 µg/m³ 이하로 설정하였다.

다만,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농도 결과는 CONTAM을 활용한 정상상태(Steady-state)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값으로, 시간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 변화가 아닌 평형 상태에서의 수렴값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기준(24시간 평균)과의 직접적인 수치 비교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기준치는 각 시나리오 별 실내 농도 수준이 공중보건 기준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어떤 수준에 위치하는지를 개략적으로 판단하는 참고 값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시나리오 간 환기 성능의 상대적 우열을 평가하는 기준선으로써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아래 결과의 Fig. 5~Fig. 12의 (a)는 PM 10 농도를, (b)는 PM 2.5 농도를 나타내었다.

Fig. 5 Indoor PM concentration in the Base case.

../../Resources/sarek/KJACR.2025.37.9.422/fig5.png

3.2.1 침기만 발생하는 경우(Base case)

Fig. 5는 창문 개방이나 기계 급기 없이, 침기만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는 경우(Base case)의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PM10(Fig. 5(a))의 경우, 최근 5개년간의 월별 평균 농도를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모든 월에서 기준치를 만족하였다. 그러나 2019년 3월의 경우, 일 평균 최대 농도가 137.92 µg/m³에 달해 기준치를 크게 초과하였으며, 해당 월의 월별 최댓값 또한 75.92 µg/m³로 기준 상한을 상회하였다.

PM2.5(Fig. 5(b))의 경우, 전 외기 조건에서 모두 기준치인 35 µg/m³를 초과하였다. 이는 별도의 급기 설비 없이 배기만으로 조리실 내 미세먼지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외기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시기에는 오히려 외부 유입에 의해 실내 공기질이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2.2 창문 개방에 의한 자연 급기를 활용하는 경우(Case 1-1)

Fig. 6은 창문을 개방하여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자연 급기 조건(Case 1-1)에서의 실내미세먼지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ase 1-1의 경우, 일반적인 외기 조건 하에서 Base 케이스 대비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외기 미세먼지 농도가 극도로 높은 조건(일 최댓값 기준, max(day))에서는 오히려 실내 공기질이 악화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PM10(Fig. 6(a))의 경우, 대부분의 외기 조건 시나리오에서 월별 최댓값을 제외하면 75 µg/m³의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았으나, 고농도 외기 조건에서는 기준 초과의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PM2.5(Fig. 6(b))의 경우, 미세먼지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시기(Low: 7월~10월)에서도 실내 평균 농도가 36.59 µg/m³로 나타나 기준치(35 µg/m³)를 근소하게 초과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한 자연 급기만으로는 외기 오염 수준에 관계없이 실내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어려우며, 특히 고농도 외기 조건에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Fig. 6 Indoor PM concentration when window is opened, Case 1-1.

../../Resources/sarek/KJACR.2025.37.9.422/fig6.png

3.2.3 창호형 자연환기 시스템을 활용하는 경우(Case 1-2, Case 1-3)

Fig. 7은 창호형 자연환기 시스템을 적용하였지만 필터가 없는 경우의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Fig. 8의 경우 창호형 자연환기 시스템과 필터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ase 1-2 및 Case 1-3의 시뮬레이션 결과, Base 케이스 대비 PM10(Fig. 7(a)~Fig. 8(a)) 및 PM2.5(Fig. 7(b)~Fig. 8(b)) 농도는 일정 수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여전히 두 항목 모두 실내 공기질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뮬레이션에 사용된 창호형 자연 급기 장치가 사무실이나 상업용 건물과 같은 일반적인 실내 환경을 대상으로 설계된 제품이라는 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 조리실은 조리 활동으로 인해 배기량이 크고, 실내외 압력 차가 크게 발생하는 특수한 환경이므로, 해당 장치가 요구되는 급기량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필터 적용 여부에 따른 비교에서는 필터가 적용된 Case 1-3이 Case 1-2에 비해 다소 낮은 미세먼지 농도를 나타내며 일부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급기량 자체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필터를 통한 공기질 개선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이는 급기량이 부족한 조건에서는 필터의 성능 또한 효과적으로 발휘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교 조리실과 같이 고부하 환기가 요구되는 공간에서는 창호형 자연환기 시스템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어려우며, 보다 적극적인 기계 급기 방식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7 Indoor PM concentration with window ventilators, Case 1-2(filter X)

../../Resources/sarek/KJACR.2025.37.9.422/fig7.png

Fig. 8 Indoor PM concentration with window ventilators, Case 1-3(filter O).

../../Resources/sarek/KJACR.2025.37.9.422/fig8.png

3.2.4 기계 환기 시스템을 활용하는 경우(Case 2-1, 2-2, 2-3)

Fig. 9 ~ Fig. 11은 각각 기계 급기량을 전체 배기량의 40%, 60%, 80%로 설정한 경우의 실내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경우, Base 케이스 및 자연 급기를 적용한 Case 1 계열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PM10(Fig. 9(a) ~ Fig. 11(a))의 경우, 모든 하위 케이스에서 실내 공기질 기준을 만족하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Case 2-1(배기량 대비 급기량 40%)의 경우, 외기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시기(7~10월)에는 기준치 이내로 유지되었으나, 나머지 시기에는 PM2.5(Fig. 9(b) ~ Fig. 11(b)) 농도가 지속적으로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Case 2-2(급기량 60%)는 월별 평균 기준으로 모든 월에서 기준치를 만족하였으나, 과거 5년간 최고 농도를 기록한 특정 월 및 일 최대 농도 조건에서는 일부 초과 현상이 발생하였다. Case 2-3(급기량 80%)의 경우, 5년간 최고 미세먼지 농도가 관측된 특정일을 제외한 전 외기 조건에서 실내 농도가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9 Indoor PM concentration in mechanical ventilation cases: 40% airflow, Case 2-1.

../../Resources/sarek/KJACR.2025.37.9.422/fig9.png

Fig. 10 Indoor PM concentration in mechanical ventilation cases: 60% airflow, Case 2-2.

../../Resources/sarek/KJACR.2025.37.9.422/fig10.png

Fig. 11 Indoor PM concentration in mechanical ventilation cases: 80% airflow, Case 2-3.

../../Resources/sarek/KJACR.2025.37.9.422/fig11.png

3.3 종합 고찰

Fig. 12는 외기 미세먼지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1월, 3월, 4월 조건(High case)에서 도출된 시나리오별 PM 농도 변화를 나타낸다.

전체 결과, PM10(Fig. 12(a))의 경우 대부분의 환기 시나리오에서 기준치를 안정적으로 만족하고 있던 반면, PM2.5(Fig. 12(b))의 경우, 환기 방식에 따라 기준 초과 여부가 뚜렷하게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자연 급기 기반의 모든 시나리오에서는 기준을 초과하고 있었다. 기계 급기를 적용한 시나리오에서 급기량이 배기량의 60% 수준일 경우 일부 경계 사례가 확인되었으며, 80% 이상일 때 대부분의 조건에서 안정적인 실내 농도 유지를 달성할 수 있었다.

Fig. 12 Indoor PM concentration in High condition.

../../Resources/sarek/KJACR.2025.37.9.422/fig12.png

4. 결 론

본 연구는 학교 급식 조리실을 대상으로, 환기 방식과 급배기 풍량 비율이 실내 미세먼지(PM10, PM2.5)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연 급기 및 기계 급기를 포함한 총 7가지 환기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다양한 외기 미세먼지 조건을 반영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조리실과 같은 고부하 환경에서 PM2.5의 저감이 실내 공기질 확보의 핵심 요소임을 시사한다. 실질적인 공기질 개선을 위해서는 배기량 대비 최소 60% 이상의 기계 급기를 확보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80% 수준의 급기 설계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실제 운영 환경에서는 급기 풍량이 증가함에 따라 필터 교체 주기 단축, 냉․난방 에너지 소비 증가 등 유지관리 비용 또한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외기 미세먼지 농도 및 실내 공기질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급기량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지능형 환기 제어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모든 시뮬레이션 결과는 CONTAM을 활용하여 정상상태(Steady-state) 해석을 기반으로 환기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에 따라 도출된 시뮬레이션 결과는 평형 농도(Steady-state concentration)에 해당하며, 실제 조리실 환경에서의 24시간 평균 농도와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후드 근처에서는 국소 농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으며, 후드의 포집 효율 또한 전체 공기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직접적으로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후드 주변의 국소 오염도 및 포집 효율을 반영한 미세먼지 시뮬레이션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CONTAM 상에서는 필터 적용에 따른 압력 손실이 풍량 변화로 자동 반영되지 않는 구조적 한계가 존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제 측정 기반의 성능 보정 등을 통해 보다 현실적인 모델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외에도 최적의 급기 풍량을 제안하기 위해서는 냉․난방 에너지 부하, 환기 설비 유지관리 비용, 실내 공기 흐름 특성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한 종합적 분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후 기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안전관리원)의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B0060210000039). 이 논문은 국토교통부의 글로벌 스마트시티융합전공 혁신인재육성사업으로 지원되었습니다.

References

1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2023, Technical Guidelines on Ventilation for Institutional Food Service Facilities. KOSHA Guide W-26-2023.URL
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Guidelines for air quality (No. WHO/SDE/OEH/00.02), World Health OrganizationURL
3 
Juntarawijit, C. and Juntarawijit, Y., 2017, Cooking smoke and respiratory symptoms of restaurant workers in Thailand, BMC Pulmonary Medicine, Vol. 17, No. 1, p. 41.DOI
4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2023, Gyeongnam School Meal Ventilation Facility Improvement Manual.URL
5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2024, Seoul School Cafeteria Ventilation Facility Improvement Guidelines.URL
6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1, School Cafeteria Ventilation Facility Installation Guide.URL
7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2024, Gyeonggi School Cafeteria Ventilation Facility Improvement Manual.URL
8 
Lee, M. G., Jeong, M. J., and Kang, M. J., 2018,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Particulate Matter(PM2.5) Emission on Cooking Condition,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4, No. 1, pp. 325-329.DOI
9 
Hwang, S. H., Seo, S., Yoo, Y., Kim, K. Y., Choung, J. T., and Park, W. M., 2017, Indoor air quality of daycare centers in Seoul, Korea,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124, pp. 186-193.DOI
10 
Walton, G. N., 1989, AIRNET-A Computer Program for Building Airflow Network Modeling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 and Technology(NIST), USA.URL
11 
ASHRAE Standard 119, 1988, Air Leakage Performance for Detached Single-Family Residential Buildings,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URL
12 
Persily, A. and Ivy, E., 2001, Input Data for Multizone Airflow and IAQ Analysis, NIST Interagency/Internal Report (NISTIR),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Gaithersburg, MD, [online], https://tsapps.nist.gov/publication/get_pdf.cfm?pub_id=860831 (Accessed April 22, 2025).URL
13 
1997 ASHRAE Fundamentals, Chapter 25, Table 3, Window, single horizontal slider, aluminum, best estimateURL
14 
Wang, X., Gao, Z., Yang, J., and Yang, X., 2019, In situ investigation on linkage between particle penetration and air exchange through building envelope, International Journal of Ventilation, Vol. 18, No. 4, pp. 233-245.DOI
15 
Kim, S. G. and Kang, D. H., 2018, Analysis on impact of outdoor particle penetration on classroom air quality through estimation of particle penetration coefficient and deposition rate, Proceeding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8, No. 1, pp. 388-389.URL
16 
He, C., Morawska, L., Hitchins, J., and Gilbert, D., 2004, Contribution from indoor sources to particle number and mass concentrations in residential houses, Atmospheric Environment, Vol. 38, No. 22, pp. 3405-3415.DOI
17 
ASHRAE 2005, ASHRAE Handbook - 2005 Fundamentals, Atlanta GA.URL
18 
Dols, W. S. and Polidoro, B., 2021, CONTAM user guide and program documentation version 3.4,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URL
19 
SEO WON AIR TECH, Sirocco Fan:Product Catalog.URL
20 
SIEGENIA, 2021, AEROMAT 100: Sound Absorbing Ventilator Technical Data Sheet.URL
21 
Ministry of Education, 2024, Enforcement Rules of the School Health Act [Annex 4-2 ],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