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산업에너지연구부문 수석연구원 (Principal Researcher, Industrial Energy R&D Department, Korea In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89 Yangdaegiro-gil, 31056, Korea)



계류 항공기 운항 , 이산화탄소 배출 , 친환경 , 히트펌프 , 사전 공기조화
Aircraft ground operation , CO2 emission , Eco-friendly , Heat pump , Pre-Conditioned Air

기호설명

COP : Coefficient of Performance [-]
$d T_{air}$ : 공기의 입․출구 온도차 [℃]
$d T_{c}$ : 과냉도 [℃]
$d T_{h}$ : 과열도 [℃]
$LTD$ : Leaving Temperature Difference [℃]
$P$ : 압력 [kPa]

그리스 문자

$\eta$ : 등엔트로피 효율 [-]

하첨자

$air$ : 공기측
$comp$ : 압축기
$eva$ : 증발기
$ratio$ :

1. 서 론

항공기는 지상에 계류 중일 때에도 탑승객과 승무원에게 쾌적한 기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공조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가동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항공기는 계류 시 기내의 냉․난방을 위해 APU(Auxiliary Power Unit)를 이용한다. 하지만, 항공유를 연소하는 APU는 가동 시 질소산화물(NOx), 탄소 배출물(CO, CO2) 및 미세먼지(PM) 등 다량의 오염 물질을 배출한다는 문제가 있다.(1) 특히, 공항에서 지속적인 APU의 가동은 대기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소음을 유발하여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인천국제공항에서 발간한 그린리포트 2024(2)에 따르면 2023년 인천국제공항에서 APU 사용으로 배출된 CO2는 약 178,912 tCO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천국제공항 전체에서 발생하는 CO2 배출량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수치이다. 이러한 문제 인식과 더불어 강화되고 있는 환경규제로 인해 APU를 대체할 수 있는 지상 전력 소비 기반의 PCA(Pre-Conditioned Air)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공항에서는 지상 전력을 이용하는 PCA 시스템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PCA는 전력을 사용하는 방식의 공조 시스템으로 APU 대비 에너지 효율이 높고 CO2 배출량이 낮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미국, 유럽 등의 주요 국제공항에서는 이미 지상 전력장치와 PCA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구축하고 있으며(3-5), 인천국제공항에도 전력을 기반으로 구동되는 PCA가 단계적으로 설치 및 운영되고 있다.(2)

하지만, 현재 보급되어 있는 PCA 시스템은 냉방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난방 시에는 보조적으로 전기 히터를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전기 히터를 사용하는 난방 시스템은 초기 설치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히트펌프 시스템과 비교하면 난방 효율이 낮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볼 때는 경제적, 환경적으로 더 불리한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스페인의 ADELTE, 프랑스의 CIAT 및 튀르키예의 CoolAer사는 히트펌프 방식의 난방 시스템이 포함된 PCA 시스템을 상용화하였고 냉․난방 겸용 PCA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제적 흐름에 맞추어, APU를 대체할 수 있는 PCA용 히트펌프 사이클을 설계하고, 냉매 선정, 성능 분석 및 CO2 배출 감축 효과까지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특히, 국내의 가장 큰 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의 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설계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효용성을 평가하고, APU 시스템과의 비교를 통해 탄소 배출량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며 PCA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기술적․환경적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 연구수행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계산을 통한 PCA용 히트펌프 사이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히트펌프 사이클의 분석을 위해 EES(Engineering Equation Solver)를 사용하였으며, 냉매의 물성 데이터는 EES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또한, 인천국제공항의 기온 데이터를 이용해 본 연구에서 설계한 PCA용 히트펌프 사이클을 공항에 적용하였을 경우 추정되는 히트펌프의 성능과 CO2 배출량을 산출하고 APU를 사용하는 기존 시스템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한 히트펌프 사이클의 성능 분석은 열역학 제1 법칙과 제2 법칙을 기반으로 하여 수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압축기, 팽창밸브, 응축기 및 증발기에 대해 각각 등엔트로피 압축, 등엔탈피 팽창, 등압 응축 및 등압 증발 등의 열역학적 모델이 적용되었다. 압축기의 효율은 실제 장비의 평균적 성능을 고려해 설정하였으며, 응축기에는 과냉도를, 증발기에는 과열도를 설정함으로써 열교환기의 경계 조건을 정의하였고,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히트펌프의 성능 계수와 시스템 내의 최대 압축비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단순화를 위해 배관 및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압력 손실은 무시하였으며, 설계 변수들의 값에 대해서는 3.2절에 후술하였다.

3. 연구 결과 및 고찰

3.1 PCA 시스템의 냉매 후보군 선정

PCA는 공항에서 항공기 근접 지역에서 설치되어 작동되기 때문에 냉매의 물성뿐만 아니라, 안전성과 환경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성을 고려하여 Table 1과 같이 HFO 계열의 냉매들을 1차 후보군으로 선정하였다. 점차 강화되고 있는 냉매 규제를 고려할 때 ODP(Ozone Depletion Potential)이 0이고 GWP(Global Warming Potential)이 10 이하인 HFO(HydroFluoroOlefin) 계열의 냉매들은 새로 개발되는 공조 시스템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냉매로 판단된다.

Table 1 Candidate refrigerants for the PCA heat pump system

Refrigerant

GWP

ODP

Class.

R1233zd(E)

1

0

A1

R1234yf

4

0

A2L

R1234ze(E)

6

0

A2L

R1234ze(Z)

1

0

A2L

R1243zf

1

0

A2

R1336mzz(Z)

7

0

A1

한편, 냉매의 독성 등급은 독성의 정도에 따라 저독성(A)과 고독성(B)으로, 가연성 등급은 비가연성(A1), 약가연성(A2L), 가연성(A2) 등으로 구분된다.(6) 계류 항공기용 PCA 시스템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항에 설치 및 운용되기 때문에 독성이 낮아야 한다. 또한, 공항 특성상 A2 등급 이하의 냉매는 제외되어야 하므로 A1 또는 A2L 등급의 냉매가 현실적인 고려 대상이 된다고 볼 수 있다. A2L 냉매는 약한 가연성을 지니지만, ICAO(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나 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의 규제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으며, ASHRAE 15의 지침을 따른다면 사용이 가능하다.(7) 따라서, A2 등급인 R1243zf는 성능 분석 단계에서는 제외되었으며, 최종적으로 5종의 냉매에 대해서 히트펌프 사이클의 기본 성능 분석이 수행되었다.

3.2 PCA 시스템의 사이클 구성

Fig. 1은 PCA용 히트펌프 사이클의 구성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PCA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차가운 외기를 승온한 후 계류 중인 항공기의 기내로 공급해야 한다. 우리나라 겨울철 기온은 -10℃ 이하까지도 떨어지며, 기내로 연결된 배관에서의 열손실 등을 고려해 히트펌프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40℃로 설정한다고 했을 때 공기의 온도 상승량은 50℃ 수준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단일 사이클 하나로 히트펌프 시스템을 구성하기보다는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고자 4개의 1단 압축 사이클을 직렬로 배치하여 PCA용 히트펌프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Fig. 1에서 구성한 사이클의 성능 분석을 위해 사용한 주요 설계 인자와 지표는 Table 2와 같다. 시스템에서 주요한 설계 변수는 총 5개로, 본 연구에서는 외기 온도에 따른 히트펌프 시스템의 성능 분석을 목적으로 하므로, $d T_{air,\: eva}$, $LTD$, $\eta_{comp}$, $d T_{h}$, $d T_{c}$는 각각 7.0℃, 7.5℃, 0.75, 5.0℃, 3.0℃로 일정하게 설정하였다. 그리고 응축기를 지나는 공기는 응축기를 순차적으로 지날 때마다 동일한 온도차만큼의 승온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이로 인해 모듈마다 응축 온도가 달라지게 된다. 반면, 증발기로는 모두 동일한 온도의 외기가 유입되므로 4개의 모듈 모두 동일한 증발 온도를 갖는다.

Fig. 1 Heat pump cycle for PCA system.

../../Resources/sarek/KJACR.2025.37.10.480/fig1.png

Table 2 System parameters of the PCA heat pump cycle

Parameter

Unit

Definition

$d T_{air,\: ev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inlet and outlet of the evaporator,

$T_{i n ,\: air,\: eva}-T_{out,\: air,\: eva}$

$LTD$

Leaving Temperature Difference,

$T_{out,\: con}-T_{out,\: air,\: eva}$ or $T_{out,\: air,\: eva}-T_{out,\: eva}$
$\eta_{comp}$

-

Isentropic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d T_{h}$

Degree of superheat at the evaporator outlet,

$T_{out,\: eva}-T_{sat,\: eva}$
$d T_{c}$

Degree of subcooling at the condenser outlet,

$T_{sat,\: con}-T_{out,\: con}$

COP

-

Coefficienct of Performance of the heat pump,

$\dot{Q}_{con}/\dot{W}_{comp}$
$P_{ratio,\: max}$

-

Compression ratio of the 4th stage,

$P_{out,\: comp}/P_{in ,\: comp}$

Table 3 Saturation pressures at the evaporator and condenser under reference conditions by refrigerant

Refrigerant

$P_{sat,\: eva}$ (kPa)

$P_{sat,\: con}$ (kPa)

Module 1

Module 2

Module 3

Module 4

R1233zd(E)

15

74

119

184

273

R1234yf

125

438

636

895

1226

R1234ze(E)

79

308

462

667

935

R1234ze(Z)

22

102

163

248

364

R1336mzz(Z)

7

39

67

107

165

냉매에 따른 히트펌프 사이클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기준 조건(외기 온도 -10℃, 공기의 토출 온도 40℃)에서 히트펌프 사이클의 COP와 Pratio,max를 분석하였다. 기준 조건에서 증발기의 포화 온도는 -24.5℃로 설정하였고, 모듈 1에서 모듈 4까지의 응축기 포화 온도는 각각 10.0, 22.5, 35.0 및 47.5℃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냉매에 따른 증발기와 응축기의 포화 압력을 Table 3에 나타내었다.

Fig. 2(a)Table 3의 조건에서 분석한 COP를 비교한 그래프로, 기준 조건에서 COP는 냉매에 따라 3.63~3.95의 범위로 나타나며 냉매에 따른 COP의 차이는 10% 이내인 것으로 확인된다. Fig. 2(b)는 냉매에 따른 시스템의 최대 압축비를 나타내며 시스템적으로는 증발기와 응축기의 온도 차이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4번째 모듈의 압축비에 해당된다. 모두 동일한 조건이지만 냉매에 따라 압축비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압축비가 지나치게 큰 경우 1단 압축 사이클로는 히트펌프 시스템 구현이 불가능할 수 있다. 압축비를 높게 형성할 수 있는 스크류(Screw) 압축기의 경우에도 최대 압축비는 약 15 수준으로 확인되며(8), 이를 고려하면 기준 조건에서 히트펌프 사이클에 사용 가능한 냉매는 R1234yf와 R1234ze(E)로 한정된다. 그리고, COP를 함께 고려한다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히트펌프 사이클에 가장 적합한 냉매는 R1234ze(E)라고 볼 수 있다.

Fig. 2 Heat pump performance by refrigerant. (a) COP, (b) Pratio,max.

../../Resources/sarek/KJACR.2025.37.10.480/fig2.png

3.3 외기 온도에 따른 PCA 시스템의 성능 분석

Fig. 3은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인천국제공항의 10년간 외기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인천국제공항의 기온 데이터는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9)에서 제공하는 공항기상관측 자료를 사용하였다. 기상자료개방포털 에서는 일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 값을 제공하며, 이 두 값의 중간 값을 일 기온의 대푯값으로 정의하였다. Fig. 3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의 기온은 계절에 따라 -10℃ 이하에서부터 최대 30℃ 이상까지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히트펌프 시스템은 난방을 목적으로 하므로 외기가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갈 때 작동한다고 볼 수 있다. 평균 외기온이 10℃ 이하가 되는 날에만 히트펌프가 가동된다고 가정하면 Fig. 3의 빨간색 영역에 해당되는 온도 조건에서 히트펌프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2015~2024년 사이 일평균 온도가 10℃ 이하인 조건에서 R1234ze(E)를 적용한 히트펌프의 COP를 분석하였으며, 외기온도에 따른 COP를 나타내면 Fig. 4와 같이 나타난다. 해당 기간의 일평균 기온 범위는 -14~10℃이며, 이때의 COP는 3.6~5.1의 범위로 나타난다. 공기의 토출 온도는 40℃로 일정하기 때문에 외기의 온도가 높은 조건일수록 COP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3 Outdoor air temperature changes at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from 2015 to 2024.

../../Resources/sarek/KJACR.2025.37.10.480/fig3.png

Fig. 4 Variation of COP of the PCA heat pump cycle with outdoor air temperature.

../../Resources/sarek/KJACR.2025.37.10.480/fig4.png

3.4 히트펌프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분석

PCA 도입 이전의 시스템은 항공유를 소비하는 APU를 이용하기 때문에 오염 물질의 배출이 매우 심각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PCA용 히트펌프 시스템이 보급될 경우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오염 물질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대해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고자, 앞서 3.3에서 도출한 COP 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펌프 사용에 의한 CO2 배출량 변화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인천국제공사에서 발간한 그린리포트 2024(2)에 의하면 2023년도에 APU 가동으로 인해 배출된 CO2 배출량은 178,912 tCO2이었다. 2023년의 일평균 외기온도 데이터를 기준으로 10℃ 이하로 내려간 날 수는 총 145일이며, 145일에 해당되는 CO2 배출량은 약 71,075 tCO2라고 가정하였다. 만약, APU를 사용하지 않고 히트펌프를 가동했다고 가정한다면 직접적인 CO2 배출량은 단순히 0에 수렴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발전 과정에서의 CO2 배출까지 고려한다면 히트펌프의 CO2 배출량은 달라지게 된다.

전기 사용에 의한 히트펌프의 CO2 간접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해 먼저 APU 시스템의 에너지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APU 시스템에 의해 배출되는 CO2의 일 배출량은 하루 평균 약 490 tCO2 수준으로 추정된다. 에너지온실가스종합정보 플랫폼(10)의 데이터에 의하면 항공유는 2.49 kgCO2/L의 배출계수를 갖기 때문에, APU로 인해 하루에 소모되는 항공유는 약 196,855 L로 계산되며, 항공유의 발열량 34 MJ/L를 이용하면 이는 곧 1,859 MWh(6,693,082 MJ) 수준의 열에너지로 환산된다. 그리고 이 값을 COP로 나누어주게 되면 APU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히트펌프로 대체하였을 경우 필요한 전력량이 계산된다. 최종적으로 이 전력량에 CO2 배출계수인 0.4150 tCO2/MWh(10)를 곱하면 히트펌프 운전 시 배출되는 CO2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Fig. 5는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계산된 145일 동안의 CO2 배출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기간동안 히트펌프 사용 시 배출되는 CO2 양은 하루 최대 약 230 tCO2이며, 이는 APU의 하루 CO2 배출량인 490 tCO2와 비교하면 약 47% 수준으로, CO2 배출량이 50% 이상 절감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45일간 히트펌프 사용 시 총 CO2 배출량은 약 27,173 tCO2로 145일간 APU에 의해 배출된 CO2 양의 약 38% 수준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 분석 결과는 일부 가정과 근사치 등을 통해 산출된 결과로 실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APU 대신 히트펌프를 사용할 경우 CO2 배출량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g. 5 Daily CO2 emissions from heat pump use.

../../Resources/sarek/KJACR.2025.37.10.480/fig5.pn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계류중인 항공기의 난방을 위한 PCA용 히트펌프를 사이클을 설계 및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APU 기반의 난방 시스템 대비 CO2 배출 저감 정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위해 단일 압축 사이클 4개로 구성된 PCA용 히트펌프 사이클을 설계하였으며, 기준 조건에서 COP와 압축비를 고려해 HFO 계열의 R1234ze(E)를 최적의 냉매로 선정하였다. 또한, 인천국제공항의 10년간 외기온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펌프의 성능을 분석한 결과 10℃ 이하인 조건에서 히트펌프의 COP는 약 3.6~5.1 범위를 나타내며, 2023년을 기준으로 APU 대비 CO2 배출량을 최대 62%까지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APU 대신 히트펌프를 적용하는 것은 에너지 효율성이나 환경성을 고려할 때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후 기

본 연구는 2025년도 산업통상자원부 기계․장비산업기술개발사업 “Low GWP 냉매적용 히트펌프식 고효율 항공기 PCA 시스템 개발(RS-2024-00442911)”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이에 관계자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ÖKTEN, A., İMANOV, T., and CİZRELİOĞULLARI, M. N., Aircraft Auxiliary Power Units’ Emission Impact Environmental Air Pollution During Turnarounds At Ercan Airport, Research in Social Sciences, Vol. III, p. 185.URL
2 
Incheon Airport, 2024, Green Report 2024,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pp. 1-36.URL
3 
Matthias Pöter, 2025, Preconditioned Air at Schiphol: A Model for Airports, Deerns, 1.URL
4 
LuftSystems, 2025, Preconditioned Air Units (PCA) for Airports, Luft Systems - Fresh Air System, 1.URL
5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TRB), 2019, Optimizing the Use of Electric Preconditioned Air (PCA) and Ground Power Systems for Airports, ACRP Research Report 207,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Washington, D.C., pp. 1-104.URL
6 
ASHRAE and UNEP, 2022, Update on New Refrigerants Designations and Safety Classifications (Factsheet 1, November 2022).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and ASHRAE.URL
7 
ASHRAE, 2022, ANSI/ASHRAE Addendum p to ANSI/ASHRAE Standard 15-2019: Safety Standard for Refrigeration Systems,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ASHRAE), approved August 31, 2022.URL
8 
Stosic, N., Smith, I. K., and Kovacevic, A., 2003, Review of mathematical models in performance calculation of screw compressors, International Journal of Refrigeration, Vol. 26, No. 4, pp. 439-450.DOI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24, Airport Weather Observation Data (2015-2024), Korea Meteorological Data Open Portal.URL
10 
Comprehensive Information Platform on Energy and Greenhouse Gases, 2024, National Approved Emission Factors, including Jet Fuel CO2 Emission Coefficient, https://tips.energy.or.kr/main/main.do.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