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SO Journal TitleKorean J. Air-Cond. Refrig. Eng.
  • Open Access, Monthly
Open Access Monthly
  • ISSN : 1229-6422 (Print)
  • ISSN : 2465-7611 (Online)

  1. 한국원자력연구원 선진핵주기기술개발부 선임연구원 (Senior Researcher, Advanced Fuel Cycle Technology Divisio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111, Daedeok-darero 989beon-gil, Yusenong-gu, Dajeon, Korea)
  2. 한국원자력연구원 선진핵주기기술개발부 책임연구원 (Principal Researcher, Advanced Fuel Cycle Technology Divisio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111, Daedeok-darero 989beon-gil, Yusenong-gu, Dajeon, Korea)
  3. 한국원자력연구원 조사후시험평가부 연구기술원 (Research Technician, Post Irradiation Examination Divisio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111, Daedeok-darero 989beon-gil, Yusenong-gu, Dajeon, Korea)



상태기반정비 , 고장감시진단 , 핵연료주기 시설, 핵주기 시설 , 진동 진단
Condition-Based Maintenance ,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 ISO20816-3, Nuclear Fuel Cycle Facility , Vibration-based Diagnosis

1. 서 론

공조설비(Heating,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 HVAC system)는 흔히 고장이 발생해도 실내 작업자로 하여금 일시적 불편함과 불쾌함을 느끼게 하고 시설에 대한 핵심적인 손상과 안전 저해를 직접적으로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산업 및 상용 건물들에서의 공조설비는 시설 안전관리 측면에서 부수적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향성은 최근 공조설비 연구들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고장감시진단(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FDD)의 주제와 함께 에너지 효율 개선과 절감, 편의성 증진 등을 위한 연구 주제들이 주로 다뤄지고 있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1-3)

그러나 이와 달리, 핵연료주기 시설(핵주기 시설)에서의 공조설비는 전력공급설비, 방사성폐기물관리설비, 수처리 공정설비 등과 같은 다양한 안전 계통 설비들과 함께 시설 안전에 직결되는 주요 설비이다. 여기서, 핵주기 시설은 비원자로 시설로서 핵연료 주기와 관련된 모든 원자력 시설을 통칭하며 동위원소, 조사재료(Irradiated material), 사용후 핵연료 등과 같은 방사성 물질을 취급, 보관, 저장, 처리 및 연구 등을 수행하는 시설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대부분 핵주기 시설의 공조설비는 방사성 물질의 차폐 및 격리를 위해 연중 상시 부압 환경을 유지하고 온습도 제어를 통한 시설 내부 장비 및 기기들의 최적 상태를 유지하는 핵심 설비로서, 미국산업표준 ASME N511(4)은 비원자로시설의 공조설비에 대해 압력경계 누설시험, 필터 차압시험, 전열기 성능시험, HEPA 필터 뱅크 누설시험, 그리고 송풍기의 유량, 정압, 진동 시험 등의 정기적 가동 중 검사를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원전 시설의 안전성 강화 요구도 증대되고 있는 만큼 핵주기 시설의 공조설비 진단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핵주기 시설의 공조설비 중 댐퍼, 열교환기, 덕트 등의 공조기기 역시 중요하지만 특히 급배기팬은 공조 기반 격납시스템에서 부압 유지 및 오염 억제를 위한 핵심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 건전성 유지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팬 시스템은 고속 회전기기로서 미세 불균형(Unbalance)에 의해서도 높은 소음, 진동 문제가 빈번히 발생할 수 있고, 진동에 의한 벨트, 모터 등의 교체 주기가 단축되어 기술적, 관리적 현안이 자주 발생하는 기계 시스템이다. 만일 사후정비(Breakdown Maintenance; BM) 체계 하에서 결함 여부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거나, 혹은 적절한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면 최악의 경우 임펠러 파손, 회전축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곧 핵주기 시설의 부압유지 상실과 방사성물질 누출로 직결될 수 있다. 실제 2011년 미국 Hanford의 PFP(Plutonium Finishing Plant)에서는 이러한 설비진단 및 감시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격납환기시스템(Confinement ventilation system) 팬의 파손 및 화재사고가 발생했고(5) 중국 팡청강 원전 1호기의 핵연료취급건물에서는 환기팬의 상태감시 시스템을 통해 진동 이상을 진단했으며(6) 일본 토카이 재처리 시설 역시 방사성 물질 격납 목적의 시설 내부 음압 유지를 위한 배기팬의 진동 진단을 정기적으로 수행하고 있다.(7) 따라서, 핵주기 시설의 급배기팬 건전성은 시설 안전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시설 전체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는 공조설비의 핵심기기인 급배기팬에 대한 진동 기반의 FDD와 상태기반정비(Condition-Based Maintenance; CBM) 시스템 도입과 관련 연구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국내 핵주기 시설의 공조설비 급배기팬에 대해 진동 기반의 설비 진단을 수행하여 임팰러, 베어링, 풀리와 벨트, 전동 모터로 구성되는 팬 시스템의 전체 건전성을 분석하고 국내 핵주기 시설의 급배기팬에 대한 진동 기반의 CBM 시스템 효과와 도입을 평가한다.

2. 설비진단 대상과 방법

2.1 핵주기 시설과 급배기팬

본 연구의 핵주기 시설은 국내 핵주기 시설 중 하나로서 방사선 안전을 위해 비관리구역의 청정구역부터 감시구역, 제한구역, 금지구역까지 주로 네 단계(등급)의 공조구역으로 구분되어 설계되고 각 공조구역은 서로 다른 부압과 환기 횟수 등의 공조환경으로 운영된다.

가장 낮은 등급의 공조구역인 청정구역은 일반 사무실 등의 비방사선관리구역에 해당되는 공조 구역으로서 나머지 구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공조환경관리가 요구되는 곳이다. 이에 반해, 감시구역 및 나머지 공조구역은 모두 방사선 관리구역으로서 이들 중 감시구역은 일반적으로 작업자들의 원격 작업구역들이 해당된다. 가장 높은 등급의 공조구역인 금지구역은 고준위방사성 물질이 취급되는 공조구역으로서 가장 높은 등급의 부압과 환기 횟수 등으로 설계되며 4개의 공조구역 중 가장 엄격한 공조환경의 유지와 관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제한구역은 감시구역과 금지구역의 중간 지대의 공조구역으로서 비상시 금지구역 내부로 접근하거나, 금지구역 내부로부터 반출된 물질 및 기기들의 제염, 유지보수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구역들이 해당된다. 이러한 공조구역의 구분 설계와 함께 핵주기 시설은 시설과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공조구역 등급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단방향 유동 흐름 설계가 이뤄지며, 구역별 부압 차이를 통해 반대 방향으로의 역류는 불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연구 대상의 국내 핵주기 시설 역시 상기한 공조 구역의 등급 설정과 설계가 이뤄졌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급기팬 1세트, 중간배기(Medium Under Pressure; MUP)팬 1세트, 그리고 고배기(Deep Under Pressure; DUP)팬 1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급기팬은 총 2대로서 시설 외부로부터 청정구역과 관리구역으로 급기하고, MUP 팬은 총 3대로서 공조 구역별 공조 설계 및 운전조건의 유지를 위한 중간배기팬이며, DUP 팬은 총 2대로서 공조 흐름상 금지구역 최후단에 위치하여 금지구역 내부의 부압을 직접적으로 발생시키는 배기팬이다. 여기서, 급기팬과 MUP 팬은 근로 및 작업시간에 따라 미가동되기도 하지만 DUP 팬은 금지구역 부압 유지를 위해 2대의 교번 운전을 통해 연중 상시 가동되며, 이러한 이유에 의해 DUP 팬은 핵주기 시설에서 건전성 유지관리 및 CBM 도입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핵주기 시설의 고배기팬(DUP 팬)에 대한 CBM 시스템 도입과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연구 대상 시설에서 DUP 팬의 구조와 형태가 동일한 급기팬에 대해 진동 기반의 설비 진단이 우선적으로 수행되었다. 진단 대상의 급배기팬은 Fig. 1(a)와 같이 모두 편측지지형(Overhung-type)의 원심형 팬이며 방진 스프링 마운트 위에 전동 모터와 함께 설비되어 있고 Fig. 1(b)와 같이 팬과 모터는 풀리 및 벨트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Fig. 1 Vibration-based diagnosis object: air-supply and exhaust fan systems(Photograph source of Fig 1(b): http://echungho.co.kr/).

../../Resources/sarek/KJACR.2025.37.10.488/fig1.png

2.2 급배기팬의 진동 측정 및 평가 기준

급배기팬에 대한 설비진단 표준으로는 우선 한국산업표준 KS B 6311(송풍기의 시험방법)이 있다. 본 표준은 산업용 송풍기의 시험과 검사 방법, 그리고 평가 기준에 대해 규정하고 있으며, 평가 물리량으로 송풍기 전압, 정압, 유량, 축동력, 전압 효율, 소음, 베어링 온도 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최신의 2022년도 판(8)에서는 공조 팬의 진동 규정은 측정 및 판정 모호성에 의해 삭제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공조 팬의 진동 진단 및 평가에 적합하지 않다.

두 번째 유관 표준으로서, ISO 20816-3은 정상 출력 15 kW 이상 그리고 120-30,000 RPM 사이로 구동하는 회전 기기에 대한 진동 진단 국제표준으로서(9) 계측 기기부터 측정 절차, 설치 요건, 평가 기준까지 회전 기기의 진동 상태 진단에 대해 상세히 제시되어 있는 표준이며 국내에서는 한국산업표준 KS B ISO 10816-3으로 마련되어 있다. 본 표준에서는 Table 1과 같이 정격 출력 15 kW 초과 300 kW 이하의 중형 회전기기군에 대하여 진동 평가 기준치가 제시되어 있다. Table 1에서 정의된 평가영역 경계는 A부터 D까지 네 단계이다. 영역 A는 신규 설비들의 진동 상태, 영역 B는 장기 운전이 허용될 수 있는 정도의 진동 상태, 영역 C는 장기 연속 운전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는 진동 상태, 마지막으로 영역 D는 통상적으로 기계 손상 유발이 가능한 매우 가혹한 진동 상태로 정의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급배기팬의 설계자 혹은 제조공급자가 제시하는 진동 허용값들이 진동 진단의 근거와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ISO 20816-3을 준수하여 진동 진단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측정과 분석, 평가를 수행하였다.

Table 1 Vibration evaluation criteria for medium-sized rotating machines (Output(O): 15 kW < O $\le$ 300 kW, Shaft height(H): 160 mm $\le$ H < 315 mm)

Support Type

Evaluation Criteria

RMS Value of Displacement

(μm)

RMS Value of Velocity

(mm/s)

Rigid Support

A/B

22

1.4

B/C

45

2.8

C/D

71

4.5

Flexible Support

A/B

37

2.3

B/C

71

4.5

C/D

113

7.1

2.3 급배기팬의 진동기반 FDD 기법의 개요

급배기팬을 포함한 회전기기의 진동 이상(결함)은 Table 2와 같이 크게 기계적 결함, 전기적 결함 그리고 유동학적 결함 세 가지로 분류한다.(10-12) 기계적 결함은 팬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계적 부품들의 구조적 결함으로 발생하며 주로 불평형, 편심, 회전축의 휘어짐, 공진, 벨트의 장력 저하 등이 있고, 전기적 결함은 주로 전동기에서 발생하며 전기적 불평형, 전류 불안정성 등이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유동학적 결함에는 임팰러의 스톨(Stall), 서지(Surge), 공조라인에서의 와류 및 난류 등이 존재한다. 이렇게 다양한 유형의 결함을 검출하고 진단하는 FDD 기법(알고리즘)은 전통적으로 회전체동역학 및 기계진동학을 기반으로 하며 결함유형별 제각각 달리 나타나는 진동 특성(크기, 주파수, 파형, 변화 추세 등)을 분석하여 검출, 진단한다.(10-12)

Table 2 Major fault types and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rotating machinery

Fault Type

Specific Type

Vibration Characteristics

(Frequency Component)

Main Causes

Mechanical Fault

Unbalance

1X

Material Inhomogeneity, Manufacturing Tolerance

Eccentricity

Resonance

Design Errors of Fan or Support

Bent Shaft

1X, 2X

Thermal Deformation

Decrease of Belt Tension

< 1X

Aging Degradation

Looseness

1X

High Vibration

Misalignment

1X, 2X, 3X

Install Error or Thermal Deformation

Electrical Fault

Electrical Unbalance

1X

Asymmetric Electromagnetic Field

Voltage/Current Instability

60 Hz-based Harmonics

Abnormal Power Supply

Fluidic Fault

Stall, Surge

Fluid-Induced Frequency or Broad Band Excitation Source

Deviation from Design and Operating Limits

Vortex, Turbulence

Abnormality in Air-Conditioning Ducts & Lines

3. 급기팬의 진동 측정 및 분석

3.1 급기팬의 운전조건과 진동 측정 조건

국내 핵주기 시설의 고배기팬(DUP 팬)에 대한 진동 진단 시스템의 현장 도입에 앞서서 진동 기반의 설비 진단 성능과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DUP 팬의 구조와 형태가 동일하고 용량만 다른 급기팬에 대해 설비진단이 선행되었다. 급기팬 시스템은 정상 출력 55 kW급의 중형 팬 시스템이며 전동 모터는 1,150 RPM, 팬은 1,220 RPM으로 운전된다. 그러므로, 진단 대상의 급기팬은 ISO 20816-3의 진단 범위 및 규격과 Table 1의 진동 평가 기준에 해당된다.

진동 기반의 설비진단을 위해 사용된 계측기인 가속도계는 ISO 20816-3의 계측기 배치 권고를 따라 베어링, 전동 모터, 지지대 상에 각각 수직(V), 수평(H) 방향으로 1개씩이 설치되었고 100 mV/g의 민감도와 1.5-13,000 Hz의 측정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진동 신호는 급기팬 정상 상태의 운전조건에서 측정되었으며 측정 주파수 범위와 라인수는 각각 5-5,000 Hz와 12,800 개이다. 또한, 주파수 분석을 위해 신호 평균화와 Hanning 윈도우가 적용되었다.

3.2 진동 속도 측정 결과

급기팬에 대한 진동 속도 측정 결과로서, 전동 모터 부하측(Drive End; DE)의 수직 및 수평값은 각각 최소 7.9 - 최대 9.1 mm/s(rms), 최소 4.6 - 최대 5.5 mm/s(rms)이고, 반부하측(Non-Drive End; NDE)의 수직 및 수평값은 각각 최소 6.4 - 최대 7.8 mm/s(rms), 최소 6.0 - 최대 7.2 mm/s(rms)로 확인되었다. 또한, 팬 부하측 베어링의 수직 및 수평값은 각각 2.9 mm/s(rms), 2.2 mm/s(rms)이고, 지지대의 수직값은 3.3 mm/s(rms)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ISO 20816-3을 근거로 하여 급기팬에서 베어링의 진동은 장기 운전의 허용 범위 내외로 확인되나 전동 모터가 고진동 현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3 주파수 분석 결과

측정된 전동 모터의 주파수 분석 결과는 Fig. 2와 같다. Fig. 2(a)는 전동 모터의 DE측 수직 및 수평 방향 결과이며, 상단 스펙트럼은 진동 크기가 최대일 때이고 하단 스펙트럼은 진동 크기가 최소일 때이다. Fig. 2(b)는 NDE측 수직 및 수평 방향 결과이며, 상하단 스펙트럼은 Fig. 2(a)와 같이 최대, 최소 진동의 스펙트럼이다.

Fig. 2 Measured frequency spectrum of the electric motor vibration((a): drive end(DE), (b): non-drive end(NDE)).

../../Resources/sarek/KJACR.2025.37.10.488/fig2.png

속도 rms 측정 결과와 함께 주파수 분석 결과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첫 번째 진동 특성은 전동 모터와 팬의 회전주파수 1X 성분이 고진동 문제에 주요하게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Fig. 2(a)Fig. 2(b)에서 볼 수 있듯이 19.1 Hz와 20.3 Hz 주파수 성분은 각각 전동 모터와 팬의 1X 성분이며 운전 RPM과 정확히 일치하였다. 따라서 전동 모터의 고진동 문제는 상기한 원인들 중 하나인 것을 잠정적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두 번째 파악할 수 있는 점은 팬 베어링과 지지대의 진동이 정상 범위 내외인 점과 비교하여 모터의 진동이 상대적으로 대두된다는 것이며 이는 전동 모터와 관련된 진동을 의심할 수 있는 사항이었다. 마지막 특징으로서 전동 모터 및 팬의 1X 성분이 아닌 25.4 Hz 성분의 진동이 확인된다는 점이다. 이 성분은 50-60초 주기를 바탕으로 Fig. 2(a)Fig. 2(b)에서 나타내었듯이 신호 크기가 홀로 크게 변동한다는 것이 특징이며 이를 통해 25.4 Hz 성분이 전동 모터의 속도 rms 값 변동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4 충격 시험(Impact Testing) 및 설비진단 결과

관찰된 진동 특성 및 분석 결과와 함께 1X 성분이 발생하는 주요 기계적 결함 유형 중 더욱 세분화된 결함을 검출 및 구분하고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급배기팬 시스템의 공진주파수를 파악할 수 있는 충격시험(Impact testing)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었다. Fig. 3(a), Fig. 3(b)는 급기팬 시스템에 대한 수직 및 수평 방향 충격시험의 주파수응답함수(Frequency Response Function; FRF) 결과이다.

FRF 결과로부터 도출된 첫 번째 결과는 모든 FRF 결과 상에서 25.4 Hz의 고유진동수가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터 진동에서 관찰되는 25.4 Hz의 성분은 팬 시스템의 공진 성분임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50-60 초 간격으로 크기가 변동하는 맥동(Pulsation)의 특징을 근거하여 급기팬의 유량 변동과 같은 유동 특성에 연관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결국 유동과 관련된 광대역적 가진원(Excitation source)에 의해 공진(증폭)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불어, Fig. 3(b)에서 21.2 Hz의 고유진동수 성분이 확인되었고 이는 모터에서 확인되는 두 종류의 1X 진동 성분에 매우 인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1X 진동 성분이 발생하는 주요 기계적 결함 중 불평형과 편심 결함 등은 일차적으로 시스템의 공진 영역 외에서 구조적 결함 자체에 의해 고진동 현상을 발생시켜야 하므로 모터 고진동의 직접적 유발 원인은 공진 현상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더불어, Fig. 2의 주파수 스펙트럼 결과 상에서 2X 및 3X 성분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는 진동학적 특징을 근거로 하여 오정렬(Misalignment) 결함의 가능성은 배제하였고, 미약하지만 모터 측의 불평형 문제가 이차적 영향으로 기여할 가능성 역시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과적으로, 방진 스프링 마운트 상에 설비된 팬 시스템의 고유진동수 대역에서 급기팬의 회전수가 운전되고 있기 때문에 공진 현상에 의해 모터의 진동이 증폭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외 베어링, 풀리, 벨트와 같은 다른 부품의 건전성과 상태는 정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모터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공진 회피가 일차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Fig. 3 Measured FRF results of the air-supply fan system((a): vertical impact, (b): horizontal impact).

../../Resources/sarek/KJACR.2025.37.10.488/fig3.png

회전체의 공진 문제는 불평형과 오정렬과 함께 매우 빈번히 일어나는 고장 유형 중 하나이며(12), 이러한 진동 기반의 설비진단 실제 사례는 산업계 전반의 다양한 회전기기들을 통해 다년간 검증된 기술인만큼 국내 핵주기 시설의 급기팬에서도 고진동 문제의 검출과 함께 공진 현상과 같은 구체적 결함 유형 판별이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입증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DUP 팬에 대한 진동 진단 시스템의 현장 도입 검토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4. 핵주기 시설 고배기팬의 진동 진단 시스템

4.1 시스템 구성

본 연구에서 현장 도입이 고려된 고배기팬(DUP 팬)의 진동 진단 시스템은 크게 가속도계, 디지털 진동신호수집장치, 분석진단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속도계는 Fig. 1(b)에서와 같이 베어링, 모터, 지지대 상에 각각 1개씩 설치되어 DUP 팬 1세트에 모두 설치되었으며, 100 mV/g의 민감도와 1.5-13,000 Hz의 측정주파수 대역을 형성하므로 ISO 20816-3에서 제시되는 10-1,000 Hz의 측정기기 성능 규정을 충족한다. 진동신호수집장치는 25,600 Hz의 수집이 가능하고 16채널 동시측정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Fig. 4는 분석진단 소프트웨어의 홈화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DUP 팬의 진동 감시 위치와 진동 상태를 직관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4.2 진동 상태감시 및 분석 기능

감시 조건으로서 진동신호수집장치에서 실시간으로 진동 신호의 rms 값을 계산하여 소프트웨어 상에서 1초 간격으로 출력 및 저장된다. 여기서, 진동 신호의 rms 값으로서, ISO 20816-3에서 제시되는 주파수 측정 대역을 근거로 하는 ISO-RMS부터 1-10 kHz의 고주파수 대역만을 감시하는 HIGH-RMS 기능, 가속도 rms 계산 기능들이 구현되었고 Fig. 4(a)Fig. 4(b)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신호의 분석을 위해 모든 채널의 Raw 데이터는 1시간 간격으로 5초간 수집(Sampling)하여 누적 저장되며 Fig. 4(b) 하단부에서 볼 수 있듯이 진동 시간 이력과 함께 주파수 분석 결과가 동시에 제시된다. 주파수 분석에서는 차수 분석(Order analysis) 기능이 구현되어 1X, 2X, 3X 등의 회전주파수 성분들의 특성 감시를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일차적 FDD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Fig. 4 CBM system for DUP fan system((a): layout, (b): frequency spectrum and order analysis).

../../Resources/sarek/KJACR.2025.37.10.488/fig4.png

4.3 도입 검토 결과

현장 도입이 검토된 진동 진단 시스템을 통해 DUP 팬의 진동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변화 추세와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팬 시스템의 건전성과 운전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파수 분석 및 차수 분석 기능 등을 통해 일차적인 FDD가 가능함을 파악하였고, 이를 통해 DUP 팬의 이상 추세 발견시 고장 유형에 따른 사전 대처와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더불어, 베어링과 같은 부품에 대한 잔류수명(Residual Useful Life; RUL) 예측 기술은 진동 진단 시스템을 통해 베어링의 진동 신호가 자동으로 누적되고 DUP 팬은 휴지기 없이 연속 상시 운전되기 때문에, 장기간 운전에 따라 충분히 누적된 대량의 진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딥러닝 기반의 RUL 예측진단 기술 개발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13,14)

마지막으로, 진동 기반의 상태진단기법은 시설 전체의 전역적 공조설비 진단이 아닌 국부적 단일기기인 급배기팬으로만 한정되는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해, 댐퍼 개도 이상, 덕트 누설, 열교환기 성능 저하, 필터 오염과 같은 전역적 공조설비의 결함들은 팬 측의 단일 진동 측정만으로 진단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전역적 공조설비의 결함 및 성능열화 진단을 위해서는 유량, 차압, 온도 등의 다양한 운전데이터 기반 융복합진단 기술, 전역적 공조설비의 전산모델링, 시스템 레벨 진단 기법 등의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핵주기 시설의 공조설비 급배기팬의 진동진단을 수행하여 임팰러, 베어링, 풀리와 벨트, 모터로 구성되는 팬 시스템의 전체 건전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팬 시스템에 대한 진동기반의 FDD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국내 핵주기 시설의 급배기팬에 대한 진동 기반 CBM 시스템의 현장 도입을 검토하였다.

핵주기 시설의 급배기팬에 대한 진동 기반의 FDD 성능은 다른 산업 분야 및 다양한 회전기기들에서 이미 충분히 검증된 기술인만큼 고진동 문제의 검출과 함께 공진 현상 등의 구체적 고장원인을 진단하고 해당 대상(부품)까지 모두 판별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상기한 진동 기반의 팬 진단 성능은 고전적 회전체 진동학과 현장시험 및 진단 경험을 바탕으로 오랫동안 정립된 기술만으로 도출된 결과로써, 현장 운전 데이터 및 딥러닝 기반의 진단기술까지 도입되면 더욱 상세하고 정밀한 진단과 팬 부품의 RUL 예측진단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고려된다.(13,14)

따라서, 원전의 안전성 강화 요구와 함께 핵주기 시설 공조설비의 CBM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최근 추세 속에서 급배기팬에 대한 진동 기반의 CBM 기술 도입은 국내 핵주기 시설의 시설 안전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급배기팬에 대한 사후정비체계(BM)가 아닌 CBM 기반의 사전대응을 통해 공조설비 관리의 실용성과 경제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핵주기 시설의 공조설비 급배기팬에 대한 진동 기반의 설비진단 실사례로서 공조설비진단 관련 학술 및 산업적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핵주기 시설 설비진단 기술 분야의 발전과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후 기

본 연구는 한국원자력연구원 주요사업(과제번호: 524511-25)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Lee, C. U., Kim, M. H., Jang, A. M., Oh, I. S., Park, B. Y., Nam, Y. J., and Do, S. L., 2025, Evaluation of Peak Electricity Load Effects from the Application of Sequential Cooling System Operations in Public Office Building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37, No. 6, pp. 278-287.DOI
2 
Ahn, J., Kim, D. S., Kim, S. M., Kim, H. J., Nam, Y. J., Park, Y. C., Baik, Y. J., Lee, K. H., Jeong, J. W., Cho, J. K., and Cho, H. Y., 2023, A Review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n 2023,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36, No. 6, pp. 310-323.DOI
3 
Lee, D., Lee, S. M., and Choi, E. J., 2025, Development of Predictive Model for Building-integrated Rooftop Greenhouse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Vol. 37, No. 4, pp. 185-195.DOI
4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ing(ASME), 2022, ASME N511 - In-Service Testing of Nuclear Air-Treatment, Heating,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s.URL
5 
U.S. Department of Energy, 2012, Independent Oversight Review of Richland Operations Office and CH2M HILL Plateau Remediation Company and Mission Support Alliance Conduct of Operations, Office of Health, Safety and Security, U.S. Department of Energy, Washington, D.C., April 2012.URL
6 
Yang, J., 2018, Vibration Fault Diagnosis and Analysis of Fan in Nuclear Fuel Workshop, Nuclear Power Engineering, Vol. 39, No. 6, pp. 178-181.DOI
7 
Kawasumi, H., Takeuchi, K., Domura, K., Sanyoshi, H., and Inami, S., 2015, Maintenance for Ventilation System of the Tokai Reprocessing Plant, Proceedings of the 12th Annual Meeting of the Japan Society of Maintenology.URL
8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22, KS B 6311: Testing Methods for Industrial Fans.URL
9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 2022, ISO 20816-3:2022 - Mechanical vibration —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machine vibration — Part 3: Industrial machines with nominal power above 15 kW and nominal speeds between 120 r/min and 30 000 r/min when measured in situ, Geneva, Switzerl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URL
10 
Randall, R. B., 2011, Vibration-based Condition Monitoring, Wiley, West Sussex, UK, pp. 1-289.URL
11 
Lee, S. J. and Kim, C. T., 1999, A Study on the Vibration Measurment and Analysis of the rotating machinery in power plant, Proceedings of KSME Autumn Conference, pp. 707-712.URL
12 
Jeong, J. H. and Kim, J. W., 2008, Equipment Diagnosis through Vibration Measurement, Fire Protection Technology, Vol. 44, pp. 30-43.URL
13 
Wang, C., Jiang, W., Shi, L., and Zhang, L., 2025, Rolling bearing remaining useful life prediction using deep learning based on high-quality representation, Scientific Reports, 15, p. 8228.DOI
14 
Jin, X., Ji, Y., Li, S., Lv, K., Xu, J., Jiang, H., and Fu, S., 2025, Remaining Useful Life Prediction for Rolling Bearings Based on TCN-Transformer Networks Using Vibration Signals, Sensors, Vol. 25, No. 11, p. 3571.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