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태
(Seung-Tae Lee)
1*
©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Inspection All rights reserved
키워드
흡수율, CAC,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강도, 표면전기저항성
Key words
Absorption, CAC, Chloride ions penetration resistance, Strength, Surface electric resistivity
1. 서 론
현재, 고도의 산업화로 인한 환경오염 및 유해환경에서 비 롯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지보 수 공법 및 재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상용화되는 시멘트 결합재 중심의 보수재의 경우 내구성 및 내산성에 취약한 기능적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생화학적 침식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내구성 저하 문제로 인하여 환경오염, 구조물의 수명단축, 기술신뢰 도 하락 등 부정적 영향이 도출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 한 고기능성 보수재료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오래전부터 프랑스, 영국, 독일 등 선진외국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저하가 발생하는 유해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보수재료로써
칼슘알루미네이트 시멘트(CAC : calcium aluminate cement)를 상용해 오고 있으 며, 상당한 연구성과도 확보하고 있다. 특히,
30여년 전부터 프랑스의 Larfarge는 화학적 침식에 의하여 열화된 도심지 하 수관거의 보수를 위하여 SewperCoat라는 CAC계 보수재를
적 용하였으며, 영국의 GBG Ltd.도 스코틀랜드 Dalmuir Sewage Treatment Works의 하수구조물 보수를 위하여 CAC를 적용
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통 포틀랜드시멘트(OPC : ordinary Portland cement)는 주요 산화물이 CaO 및 SiO2이며, 주성분은 calcium silicate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CAC는 주요 산화물이 CaO 및 Al2O3인 monocalcium aluminate(CA)로 이루어져 있는 무기 질계 결합재이다(Scrivener et al., 1999).
CAC는 프랑스에서 최초로 개발되었으며, 보오크사이트 (bauxite)와 같은 알루미나질 원료 및 석회석을 기반으로 하여 약 1450 ~ 1600°C에서
용융시켜 만들어지는 조강성 및 내화 성의 특성을 갖는 결합재의 일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CAC는 급결성, 초기강도 발현특성 및 내산성은 우수하나,
OPC에 비 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며, 상전이(phase conversion) 현상에 따 른 안정된 강도발현에 문제점이 있는 탓으로 중하중을 받는 구조재료로써의
사용은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Older, 2000). 또, CAC의 수화반응은 온도에 따라 수화생성물이 다 르게 나타나며, 상온 및 저온환경에서는 CAH10이 주요 수화 물인 반면, 고온환경에서는 C3AH6 및 AH3가 주로 생성되며, 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Scrivener et al., 1999).
특히, CAC를 적용한 시멘트 경화체의 미세구조 및 역학적 특성에 대하여 전세계적으로 다수의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 다. Xu et al.(2012), Blanco-Varella et al.(2005) 및 El-Hafiane et al.(2014)은 CAC 경화체의 미세구조에 대한 연구를 실험적 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CAC 경화체의 강도특성에 대한 연구 는 Gu et al.(1997) 및 Kirca et al.(2013)에 의하여 수행되었으 며, Scrivener et al.(1999)은 CAC를 적용한 콘크리트의 내산 성 및 마모저항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하였다. 한 편, CAC를 적용한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부식저항성에
대 한 연구(Ann et al., 2010; Garces et al., 2012)도 보고되고 있으 며, 특히 Ann et al.(2010)은 CAC의 우수한 부식저항성에 대 하여 실험적으로 규명한 반면, Garces et al.(2012)은 CAC에 탄소섬유(carbon fiber)를 적용할 경우 부식속도가 상대적으 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외국의 경우, CAC의 미세구조,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만족할만한 연 구성과도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의
CAC에 대한 연구실적은 상대적으로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CAC 경화체의 최적 배합 및 역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국외에서도 연구자들 마
다 상이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실험적 검토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C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수화생 성물에 대한 XRD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CAC 모르타르의 압 축 및 부착강도, 흡수율,
표면전기저항 및 염소이온 침투저항 성을 OPC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또, OPC 및 CAC 혼합배 합의 효용성에 대한 검토도 아울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을 위한 재료로써 CAC의 역학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여기서 도출되는 결과는 향후 CAC의
배합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실험개요
2.1. 사용재료
2.1.1. 결합재
본 연구에서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이하 OPC, fineness = 3,280 cm 2 /g) 및 칼슘알루미네이트 시멘트(이하 CAC, fineness = 3,310 cm 2 /g)를 결합재로 사용하였으며, OPC 및 CAC의 화 학성분은 Table 1과 같다. 한편, 본 연구에 사용된 CAC 분말 의 XRD 분석결과를 Fig. 1에 나타내었으며, CAC의 주요 성 분은 CA, C4AF 및 C12A7임을 알 수 있다.
Fig. 1.
XRD pattern of CAC powder
Table 1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OPC and CAC
Chemical composition [%]
|
OPC
|
CAC
|
|
SiO2 |
21.7
|
4.3
|
Al2O3 |
5.7
|
39.2
|
Fe2O3 |
3.2
|
12.5
|
CaO
|
63.1
|
38.0
|
MgO
|
2.8
|
0.5
|
SO3 |
2.2
|
0.2
|
L.O.I
|
1.3
|
1.0
|
2.1.2. 잔골재
잔골재는 경기도 포천에서 채취한 강모래(<5 mm)를 사용 하였으며, 잔골재의 물리적 성질은 Table 2와 같다.
Table 2
Physical properties of fine aggregate used in this test
Density [g/cm 2 ]
|
Absorption [%]
|
F.M.
|
2.67
|
0.98
|
2.80
|
2.2. 배합 및 기초물성
본 연구에서는 CAC를 OPC에 대하여 각각 0, 60 및 100% 대체하여 모르타르 배합을 선정하였으며, C0, C6 및 C10으로 각각 명명하였다.
결합재(OPC and/or CAC)와 잔골재의 중량 비를 1:2, 물-결합재비(w/cm)가 0.50인 모르타르를 제조하여 21±3 °C의 포화 석회수용액(sat.
Ca(OH)2 solution)에 양생한 후, 소정의 재령에서 수화생성물 분석 및 역학적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Table 3은 본 실험에서 사용한 모르타르 배합의 기초물성인 응결 및 플로우 실험을 KS L 5102 및 KS L 5105 에 준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3
Fundamental properties of mortar mixtures
Codes
|
Setting time [min.]
|
Flow [mm]
|
|
Initial
|
Final
|
|
C0
|
87
|
285
|
194
|
C6
|
32
|
116
|
95
|
C10
|
66
|
197
|
222
|
2.3. 실험방법
2.3.1. XRD(x-ray diffraction) 분석
모르타르 중 수화생성물을 평가하기 위하여 포화 석회수용 액에 7일간 양생된 시편을 대상으로 XRD 분석을 실시하였 다. 이 때, XRD 측정 조건은
CuKα(Ni filter) : 30 kV, 20 mA, scanning speed : 2°/min, 2θ : 5~40°로 정하였다.
2.3.2. 강도특성
포화 석회수용액에 양생한 50 mm 큐브 모르타르 공시체의 재령별 압축강도를 KS L 5105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또, 압축강도가 약 50 MPa인 바탕콘크리트(600×600×100 mm) 시험체를 제작한 후 모르타르를 5 mm 두께로 도포하여 재령별로 40×40
mm 크기의 어테치먼트(attachment)를 각각 3 개씩 부착하여 KS F 4042에 준하여 부착강도를 측정하였으 며, 그 평균값을 취하였다.
Fig. 2는 부착강도 실험장치를 나 타낸 것이다.
Fig. 2.
Set-up for bond strength test
2.3.3. 흡수율
흡수율은 ASTM C 1585에 준하여 재령 7 및 28일 모르타르 시편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재령별 초기흡수계수 (Si : Initial absorption coefficient)을 산정하였다.
2.3.4. 표면전기저항성
모르타르의 표면전기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ø100×200 mm 원주형 모르타르 공시체를 대상으로 Wenner법에 근거한 four-electrode
resistivity 시험을 실시하였으며(Fig. 3 및 4), 표 면전기저항값(ρ)은 다음의 식 (3)으로 계산하였다.
Fig. 3.
Surface electric resistivity measurement
Fig. 4.
Schematic representation of surface electric resistivity by Wenner method
여기서, a = 전극간격(cm), V = 전압강하량(V), I = 전류량 (A)이다.
2.3.5.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모르타르의 통과전하량은 ASTM C 1202에 준하여 두께 ∅ 100×50 mm의 시험체를 대상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시험체 양단에 60 V의 직류전압을
6시간 동안 통전시키면서 시험체 에 흐르는 전류를 데이터 로거를 이용하여 30분 간격으로 측 정하였으며, 측정된 전류로부터 시간에 대한 전류의 적분
값 을 취하여 식 (4)로써 총 통과전하량을 산정하였다.
여기서, Q = 총 통과전하량(Coulomb), Ix = x분에서의 전류 값(A)이다.
식 (4)에 의해 계산된 총 통과전하량(Q)은 Table 4에 제시된 기준과 비교하여 염소이온 침투저항성을 판단할 수 있다.
Table 4
Chloride ion penetrability based on total charge passed recommended in ASTM C 1202
Total charge passed [coulomb]
|
Chloride ion penetrability
|
|
> 4,000
|
High
|
2,000 ~ 4,000
|
Moderate
|
1,000 ~ 2,000
|
Low
|
100 ~ 1,000
|
Very low
|
< 100
|
Negligible
|
3. 실험결과 및 고찰
3.1. XRD 분석
Fig. 5는 3종류 모르타르의 XRD 분석결과를 도시한 것으 로써, 사용한 결합재의 종류에 따라 수화생성물이 다르게 나 타남을 알 수 있다. 100% OPC를 사용한
C0 샘플에서는 시멘 트의 주요 수화물인 portlandite(CH)가 주피크로 검출되었으 며, ettringite 및 calcite의 피크도 관찰되었다.
또한, 잔골재의 영향으로 인하여 quartz 및 feldspar의 피크도 강하게 검출되 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5.
XRD patterns of mortar samples (7 days) Fig. 6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of mortars
한편, CAC를 사용한 C6 및 C10 모르타르의 수화생성물은 C0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C6 모르타르의 경우, 소량의 portlandite
피크 이외에도 C3AH6가 검출된 반면, C10 모르타 르의 경우, C2AH8 및 CAH10이 주요 수화물로써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Mostafa et al.(2012)의 연구결과에 따 르면, CAH10는 상온에서 CAC가 수화시 생성되는 주요 수화 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C2AH8 및 CAH10는 다음 식 (5) 및 (6)의 화학반응으로 인하여 C3AH6를 생성하게 되며, 이는 상 전이(phase conversion)에 따른 CAC 경화체의 장기강도 감소 의 원인으로 보고되기도 한다(Matusinovic et al., 2003).
이상과 같이, 모르타르의 주요 수화생성물이 배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3.2. 강도
Fig. 6은 CAC 함량에 따른 모르타르의 재령별 압축강도 발 현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재령 28일까지 모르타르의 압축강 도를 측정한 결과, 60% CAC
및 40% OPC를 혼합한 C6 모르 타르의 압축강도는 재령에 관계없이 OPC만을 사용한 C0 모 르타르에 비하여 작게 나타났다. 이는 XRD 분석결과에
나타 났듯이, C6 모르타르 중 생성되는 수화물인 C3AH6의 생성량 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Fig. 5의 XRD 분 석결과에 나타났듯이 CAC 경화체의 강도발현을 일으키는 주요 수화물인 CAH10 및 C2AH8이 C6 모르타르 중에서 C3AH6 로 상전이됨에 따라 모르타르의 압축강도가 낮게 나타난 것 으로 판단된다(Lamour et al., 2001).
Fig. 6.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of mortars
한편, C10 모르타르는 초기재령부터 C0 및 C6 모르타르에 비하여 압축강도가 매우 크게 발현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C10 모르타르 중에
CAC 경화체의 강도발현에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수화물로 알려진 CAH10 및 C2AH8의 생성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Scrivener et al., 1999). 예를 들면, 재령 1일에서 C10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29.7 MPa인 반면, C0 및 C6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각각 7.8 및 7.3 MPa로
나타 났으며, 재령 28일에서는 C0, C6 및 C10 모르타르의 압축강 도는 각각 37.9, 15.4 및 62.6 MPa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
나, 재령 28일의 C10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발현은 재령 7일 (57.1 MPa)에 비하여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7은 3종류 모르타르의 재령별 부착강도를 도시한 것으 로써, 전체적으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의 발현특성과 유사하 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초기재령부터 100% CAC 를 사용한 C10 모르타르의 부착강도 발현특성이 우수하였으 며, 재령 7일에서 3.2 MPa로 나타나 C0 및 C6 모르타르의
1.8 ~ 2.9배 정도 큰 부착강도 값을 보였다.
Fig. 7.
Bond strength development of mortars
한편, Fig. 8은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부착강도와의 관계 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써,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부 착강도와 좋은 상관관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모르 타르 중에 생성되는 수화생성물은 압축강도 뿐 만 아니라 부 착강도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8.
Relationship between compressive and bond strength of mortars
3.3. 흡수율
시멘트 경화체의 공극특성은 결합재의 종류, 수화물량 및 종류, 배합조건, 양생방법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에 따라 달라 지게 되며, 시간 함수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시멘트 경화체의 공극특성은 투수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 게 된다(Zain et al., 2000).
본 연구에서는 3종류 모르타르의 표면투수 특성을 평가하 기 위하여 흡수율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모르타르 종류별 재 령 7일 및 28일에서 비교하여
Fig. 9와 같이 나타내었다. 이 그 림에서 나타났듯이 C10 모르타르의 흡수율 값은 재령에 관계 없이 나머지 모르타르에 비하여 다소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초기흡수율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CAC를 사용하지 않은 C0 모르타르의 흡수율은 재령 7일 및 28일에 서 상대적으로 안정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Fig. 9.
Results of absorption measurement of mortars
한편, Table 5는 ASTM C 1585에 준하여 산정된 모르타르 의 초기흡수계수(Si : Initial absorption coefficient)를 비교하 여 나타낸 것이다. 3종류 모르타르의 Si 값은 재령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으며,
CAC 함량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C10 모르타르의 Si는 C0 모르타르 에 비하여 약 10배정도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Fig. 6 및 Fig. 7에 나타난 강도특성과는 상반된 결과임 을 알 수 있다.
Table 5
Initial absorption coefficient (Si) of mortars with ages
Codes
|
Si [×10 -4 mm√s]
|
|
7 d.
|
28 d.
|
|
C0
|
0.62
|
0.27
|
C6
|
2.35
|
0.68
|
C10
|
4.59
|
2.44
|
3.4. 표면전기저항성
표면전기저항법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능, 공극 특성 및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가 보고되고 있 다(Gastaldini et al., 2009; Kim and Moon, 2013; Sengul & Gjorv, 2009). 특히, 4전극을 이용한 Wenner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4개의 전극을 동일간격으로 유지하여 외부 2개의 전극에 미소교류전류(I)를 발생시켜 내부 2개의 전극에 발생 하는 전위차(V)를 측정하므로써,
표면전기저항값(ρ)을 결정 하게 된다. Ramezanianpour et al.(2011)은 콘크리트의 표면 전기저항값을 이용하여 압축강도 및 염소이온침투 저항성과 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Sengul(2014)은 내구성 지표로써 표 면저항값의 유효성을 주장하였다. 또, Presuel-Moreno et al. (2013)은 양생조건에 따른 콘크리트의 표면전기저항 변화를 실험적으로 관찰하였다.
Fig. 10은 3종류 모르타르의 재령별 표면전기저항값을 나 타낸 것이다. 재령 28일에서 C10 모르타르의 경우, ASTM C 1760에 근거한 내구성 평가기준의
‘Moderate’영역으로 나타 나 반면, C0 및 C6 모르타르는 ‘Very low’영역으로 나타남으 로써, C10의 표면전기저항성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 다. 또한, C6 모르타르의 표면전기저항값은 재령 7일 이후부 터 C0 모르타르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Fig. 10.
Surface electric resistivity of mortars
3.5.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Fig. 11은 ASTM C 1202 실험법에 준하여 측정한 모르타르 의 총통과전하량을 나타낸 것이다. 모르타르의 총통과전하량 은 결합재의 종류 및 재령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C10 모르타르의 총통과전하량이 나머지 두 종류 모르타르에 비하 여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반면, C6 모르타르
는 재령 7일 및 28일에서 C0 모르타르에 비하여 다소 작은 총 통과저하량 값을 나타냄으로써 Fig. 10에서 제시된 표면전기 저항 경향과는 다소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Fig. 11.
Total charge passed of mortars
한편, Fig. 12는 본 연구에서 조사된 모르타르의 표면전기 저항값과 총통과전하량과의 관계를 도식화한 것으로써, Sengul(2014)의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지수함수(R 2 =0.92) 의 관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2.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electric resistivity and total charge passed
4. 결 론
본 연구는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3종류 모르타르의 수화생성물에 대한 결정학적 분석 결 과, C0 샘플에서는 CH, ettringite 및 calcite의 피크가 관찰 된 반면, C6
샘플은 소량의 CH 및 C3AH6가 검출된 되었 다. 한편, C2AH8 및 CAH10은 C10 샘플에서 나타나는 주요 수화물질임을 확인하였다.
-
모르타르의 강도특성을 고찰한 결과, 100% CAC를 사용 한 C10 모르타르가 압축 및 부착강도가 초기재령부터 우 수한 경향을 나타낸 반면, C6
모르타르는 C0 모르타르보 다 오히려 강도발현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 전이현상을 일으키는 수화물인 C3AH6의 생성에서 기인 한 것으로 판단된다.
-
3종류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모르타르 의 흡수율은 강도경향과 상반된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CAC 경화체의 표면 조직구조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모르타르의 표면전기저항성 및 염 소이온 침투저항성은 C10 모르타르가 가장 우수한 경향 을 나타내었다.
-
본 연구의 범위 내에서 종합적으로 고찰하면, OPC계 모르 타르보다 CAC계 모르타르가 일부 항목을 제외하면, 역학 적 성능이 대체적으로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 CAC에 OPC를 혼용하는 배합은 모르타르의 역학적 성능 향상에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 조물용 보수재료로써
CAC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 여 내구성, 미세구조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CAC의 경제성 및 역학적 성능을 고려한
최적배합 도출에 대한 검토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2015년 건설교통기 술촉진연구사업(과제번호: 13CTAP-066371-03)의 연구비 지 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2010), The resistance of high alumina cement against corrosion of steel in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4(8), 1502-1510.
(2005), Role of alkalis of aggregate origin in the deterioration of CAC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5(9), 1698-1704.
(2014), Calcium aluminate cement tapes-Part. I : Structural and microstructural characterizations,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34(4), 1017-1023.
(2012), Mechanical properties and corrosion of CAC mortars with carbon fiber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34, 91-96.
(2009), Influence of the use of rice husk ash on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concrete:
A technical and economic feasibility study,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3(11),
3411-3419.
(1997), Early strength development and hydration of ordinary portland cement / calcium
aluminate cement pastes, Advanced Cement Based Materials, 6(2), 53-58.
(2013), Effect of steel fiber distribution on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on
surface electrical resistiv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7(1), 106-113.
(2013),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of calcium aluminate cement-GGBFS blend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35(1), 163-170.
(2001), Mechanical properties of calcium aluminate cement concrete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AC, 199-213.
(2003), Porosity-strength relation in calcium aluminate cement past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3(11), 1801-1806.
(2012), Chemical activation of calcium aluminate cement composites cured at elevated
temperatur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34(10), 1187-1193.
(2000), Special inorganic cements, 123-126.
(2013), Effect of curing regime on concrete resistivity and aging factor over tim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48, 874-882.
(2011), Practical evalu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concrete resistivity, water
penetration, rapid chloride penetration and compressive
strength,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5(5), 2472-2479.
(1999), Highperformance concretes from calcium aluminate cement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9(8), 1215-1223.
(2014), Use of electrical resistivity as an indicator for durability,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73, 434-441.
(2009), Effect of embedded steel on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s on concrete
structures, ACI Materials Journal, 106(1), 11-18.
(2012), Formation of ettringite in Portland cement/calcium aluminate cement/calcium
sulfate ternary system hydrates at lower tempera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31, 347-352.
(2000),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using silica fume at relatively
high water-binder ratio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0(9), 1501-1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