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연구배경
현대 콘크리트공학은 압축강도가 200MPa에 이르는 UHPC, 고인성콘크리트, 에코콘크리트, 엔지니어링 콘크리트 등의 고기능 고성능 콘크리트 재료기술개발
면에서 대단한 진전을 보이고 있다. 이중에서 자기 충전형 콘크리트(SCC)는 충전을 위한 추가적인 인적 물적 자원의 투입이 없이 유동하고, 탈기(deaeration)를
하는 점에서 기존의 보통콘크리트와 크게 구별되는 고성능 고기능성 콘크리트 구조재료이다(Fardis., 2011)(10).
각종 자연재해 대응 및 구조물의 내구 안정성 측면에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보강 철근 사용량 증가에 따라 배근 간격이 더욱 조밀해지고 있으며, 오래전부터
건설산업의 이슈인 콘크리트 제조 숙련공의 감소 및 인건비 상승에 따른 생산성 감소의 문제에 대해 SCC는 훌륭한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콘크리트
품질관리의 측면에서 우수한 거푸집 및 철근 충전/피복성, 용이한 시공작업의 특징과 콘크리트 진동작업 제거를 통한 손팔진동증후군, 청력저하, 소음방해
등의 작업자의 작업질환을 예방하는 산업보건 측면에서도 장점을 가지고 있다(Loukili., 2013)(15). 기존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SCC는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고, 구성재료가 다양하고 제조비용 및 유동성능이 배합비에 민감하게 변하기 때문에 SCC의
현장 적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배합설계방법의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SCC에 대한 수많은 현상적(phenomenal) 특성 파악 연구와는 달리
배합설계, 특히 비용효율을 고려한 재료최적화설계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Ashish and Verma, 2019)(1).
SCC를 포함하여 콘크리트의 재료설계의 과정은 전형적인 다기준의사결정(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의 문제로
정형화되며, 공학설계의 관점에서 비용효율을 고려가 필요하다(Ahmed et al., 2019, Bharatkumar et al., 2001, Deb,
2014)(2,4).
DeRousseau et al.,(2018)(5)은 ACI와 PCA의 순차적 설계법인 규정형 설계법의 개선 필요성과 성능기반 콘크리트 배합물 설계법에 의한 결과물은 최적 설계해가 아니라는 것을 주장하고,
콘크리트 배합물의 전산설계최적화 문제의 다양한 정식화 방법에 대하여 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Do and Kim(2015)(7)은 고강도 자기평활성콘크리트의 설계 최적화를 위해 통계적 방법을 통해 성능모델을 정식화하였으며, 정준분석과 도시적 분석을 통해 최적해를 얻었지만,
콘크리트 재료 배합물의 전산최적화과정을 완성하지는 못하였다.
Do and Kim(2012)(6)은 보수재료의 최적선정과정을 다기준의사결정과정으로 모델링하여 계층분석법(Analytic Hierachy Process; AHP)를 적용함으로써 선정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구성능의 상대적 중요도를 계산하는 문제에 이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다목적 설계최적화 기법과 관련하여, Islam and Do et al.,(2018)(13)은 반응표면법과 가중만족도함수를 적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동조질량감쇠기의 다목적 최적화를 실시하였다. SCC 배합물의 전산설계와 관련하여 Ozbay
et al. (2009)(18)은 다구찌 실험계획법을 적용하여 6개의 성능을 고려한 배합설계의 최적해를 구하였지만, 성능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를 고려하지는 못하였으며, 공학재료로써
경제적 콘크리트를 얻기 위한 비용정보를 고려하지 못하였다(Dym, et al., 2005)(9).
SCC의 배합물 설계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문헌조사 연구한 Ashish and Verma(2019)(1)에 따르면 SCC의 배합물설계의 방법을 실험 혼합물설계법, 통계적 요인혼합물설계법, 강도기반 배합물설계법, 레올로지 기반 설계법, 입자충전법, 에코혼합물설계법
등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 방법들은 모두 다양한 요구조건을 고려하는 방법은 아니며, 모두 잘 만족할 것으로 보이는(well-performing
proportions) 해를 제공하지 다양한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최적해(best-performing solutions)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1.2 연구목적 및 범위
SCC의 배합설계는 국내의 경우 KCS 14 20 32:2016, 국외의 경우 ACI 237R-07과 EFNARC의 The European Guidelines
for Self-Compacting Concrete: Specification, Production and use라는 성능 규정형 시방서를 참고할
수 있으나 명확한 프로세스는 제시되지 않아 직관적인 배합물 설계는 불가능하다. 기존 발표된 여러 배합물 설계법들은 1개 내지 2개의 요구성능을 고려하는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으며, 다목적성은 매우 낮은 수준의 공학기술인 반복법(iteration method)에 의한 시행착오에 기반하고 있고, 기존 콘크리트
배합설계방법과 마찬가지로 경제적인 공학재료를 구현하기 위한 비용 정보를 다루지는 못하고 있다(Ashish and Verma, 2019)(1).
기존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SCC는 구성재료가 많기 때문에 설계과정이 복잡하고 배합인자와 성능 사이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실험횟수가 매우
많아지며, 다양한 요구조건을 고려한 재료설계가 이뤄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설계법과 반응표면법을 이용하여 SCC 배합물 전산 설계가 가능하도록
재료성능 및 비용모델을 생성하고, 요구조건을 반영한 여러 성능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하여 가중 다목적 설계문제로 정식화하여 수치최적해를 계산함으로써
비용효율을 고려한 SCC최적설계를 수행하고자 한다.
Fig. 1. Multiobjective optimiazation procedure based on CCD experimental design and
weighted multiple objectives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콘크리트 배합물 설계 최적화의 방법은 다목적 최적화의 방법이므로 고려할 수 있는 목표성능의 수에 제한이 없지만, 실험비용과
시간을 고려하여 건설현장적용실적이 비교적 많고, 최근 그 재료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플라이애시에 기반한 SCC를 대상으로 수많은 요구성능 중 압축강도,
철근충전성, 재료분리저항성, 비용정보 등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Fig. 2.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rocedure based on CCD experimental design and
weighted multiple obj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