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현행 구조기준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 2017(Korea Concrete Institute, 2017)(9) 에서는 1방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이하 PSC) 부재의 공칭 휨강도($M_{n}$)를 다음과 같이 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A_{ps}$와 $A_{s}$는 각각 긴장재 및 인장철근의 단면적, $d_{p}$와 $d_{s}$는 각각 긴장재와 인장철근의 깊이, $f_{ps}$는
긴장재의 극한응력, $f_{y}$는 인장철근의 항복강도이며, $a$는 압축을 받는 콘크리트의 등가 직사각형 응력블럭 깊이로써 단면 내 힘의 평형 관계로부터
다음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b$는 압축영역의 폭, $f_{c}'$은 압축영역의 콘크리트 압축강도이다.
전단력과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철근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이하 RC)부재에 대하여 KCI 2017(Korea Concrete
Institute, 2017)(9)에서는 콘크리트에 의한 전단강도($V_{c,\:RC}$)를 다음과 같이 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lambda$는 보통중량 콘크리트의 경우 1.0, 경량 콘크리트의 경우 0.75의 값은 가지며, $b_{w}$는 복부의 폭, $d$는
인장재의 유효깊이이다.
PSC 부재에서 콘크리트에 의한 전단강도($V_{c,\:PSC}$)는 휨-전단강도($V_{ci}$)와 복부전단강도($V_{cw}$) 중에서 작은 값으로
결정되며, $V_{ci}$는 다음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V_{d}$는 고정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전단력, $M_{\max}$는 작용하중에 의한 단면의 최대 계수휨모멘트, $V_{i}$는 $M_{\max}$와
동시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한 단면의 계수전단력이다. 압축연단에서 하부 긴장재의 도심까지의 거리($d_{p}$)는 $0.8h$이상이어야 하며, 여기서
$h$는 단면 높이이다. $M_{cr}$은 단면의 휨균열모멘트로써
으로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f_{pcc}$는 단면의 인장연단에서 유효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해 발생되는 콘크리트의 압축응력, $f_{d}$는 부재
자중에 의해 단면의 인장연단에 발생되는 응력, $I$는 단면2차모멘트이며, $y_{t}$는 단면의 도심으로부터 인장연단까지의 거리이다.
PSC 부재의 복부전단강도($V_{cw}$)는 다음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f_{pc}$는 단면의 중심에서 모든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을 감안한 콘크리트의 압축응력이며, $V_{p}$는 단면에서 유효프리스트레스 힘의
수직 성분으로써 긴장재가 직선으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 $V_{p}=0$ 이다. 최종적으로 PSC 부재에서의 콘크리트 전단강도($V_{c,\:PSC}$)는
다음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
만약, 부재 내에 래티스근과 같이 $\alpha$의 경사각을 갖는 전단보강근이 배치되어 있고, 전단균열각이 45°라고 가정한다면, 전단철근에 의한
전단강도($V_{s}$)는 다음과 같이 산정할 수 있다.
Fig. 8. Description of shear strength estimation method
여기서, $A_{v}$는 전단철근 간격($s$) 내에 배치된 전단철근의 단면적, $f_{vy}$는 전단철근의 항복강도, $\alpha$는 경사전단보강근과
부재축의 사이각이다.
3.2 합성 IMT 슬래브의 전단강도 산정방법
현행 구조기준에서는 합성 IMT 슬래브와 같이 상이한 재료특성을 갖는 콘크리트로 구성된 부재의 전단강도를 산정할 수 있는 별도의 방법을 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ACI 318-19(ACI Committee 318, 2019)(10) 및 KCI 2017(Korea Concrete Institute, 2017)(9)에서는 콘크리트 합성부재의 전단강도 산정시 안전측의 설계결과를 유도하기 위하여 여러 요소의 재료적 특성 중 가장 불리한 값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특히, IMT 슬래브의 경우에는 전단면적의 70% 이상이 토핑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무에서는 합성 IMT 슬래브의 전단면을 RC로
간주하여 전단강도를 산정하는 방법을 종종 사용한다. 다만, 이 경우에는 PSC 부재인 IMT 유닛을 전단강도 산정에 고려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과도하게
보수적인 설계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행 구조기준을 기반으로 합성 IMT 슬래브의 전단강도를 안전측이면서도 보다 정확히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Fig. 8에는 합성 IMT 슬래브의 전단강도 산정시 고려 가능한 방법을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여기서, Method ①은 전단면을 RC로 간주하여 콘크리트 전단기여분을
산정하는 방법이며, Method ②와 ③은 Fig. 8에서 붉은색으로 표현된 부분을 PSC 부재로, 파란색으로 나타낸 부분을 RC로 간주하여 콘크리트 전단기여분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다만, Method
②에서는 PSC 부분의 전단강도 산정시 $d_{p}$에 리브 높이($h_{f}$)를 적용하였으며, Method ③에서는 인장철근의 깊이($d_{s}$)를
적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