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우
(Sang-Woo Kim)
1†
김경민
(Kyeong-Min Kim)
2
김건우
(Geon-Woo Kim)
2
이수영
(Su-Young Lee)
2
김진섭
(Jin-Sup Kim)
3
-
정회원,경상국립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
학생회원,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
정회원,경상국립대학교 토목공학과 부교수, 교신저자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키워드
보강재, 벨크로, RC기둥, 연성보강, 해석연구
Key words
Reinforcement, Velcro, RC column, Ductile reinforcement, Numerical analysis
1. 서 론
세계적으로 콘크리트를 사용한 구조물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만든 구조물은 가격 대비 성능이 좋으며, 제작 시 형상과 크기의 제약을
받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재료이다. 하지만 콘크리트는 휨과 인장력에 취약하다(Jeong et al., 2020; Lee et al., 2020(b)) 특히 구조물 중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압축부재로 지진에 의한 횡력을 버티지 못하고 취성파괴로 구조물의 파괴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기둥이 충분한
내진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적절한 내진보강공법이 필요하다.
최근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국내에서도 지진 빈도와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지진으로부터 시설물의 안전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국내에서도 내진설계
및 내진보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Kim et al., 2013(a); Kim et al., 2013(b); Hur et al., 2015; Jung and Lee, 2018; Jung et al., 2019). 국내에선 1990년 이후 FRP섬유를 이용하여 내진보강공법 개발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Chang et al., 2012; Kim et al, 2014(a)).
섬유를 이용하여 내진보강을 하는 공법 중 하나로, 벨크로를 활용한 내진보강공법은 비교적 최근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기술이다. 벨크로를 활용한 내진보강공법은
지진으로 인한 급격한 건물 붕괴를 예방하여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특히, 벨크로를 활용한 내진보강공법은 구조물을 구속하는 공법으로,
기존 FRP를 활용한 보강공법의 문제점인 에폭시 양생소요 시간과 복잡한 시공 및 많은 인력 소비 등의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Hong, 2008). 또한 벨크로 보강공법은 시공 시 특수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으며,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부착하지 않으므로 접착제가 건조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따라서 벨크로 보강재는 접착제를 사용해야만 하는 FRP복합재료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보강공법이 될 수 있다(Kwon et al, 2016; Lee et al., 2020(a)).
본 연구에서는 비내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진 발생 시 긴급시공 및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비내진 RC기둥의 연성능력, 시공성 및 양생시간 등이
개선된 보강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보강재는 기존의 공업용 벨크로를 활용 및 개선을 통해 개발하였다. 기존의 공업용 벨크로와 벨크로 보강재의 재료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비내진 RC기둥의 연성 보강효과를 확인하였다.
2. 벨크로 보강재
2.1 벨크로 구성 요소 및 특징
보강재로 활용한 벨크로의 형상 및 구성요소를 Fig. 1에 나타내었다. 벨크로는 갈고리 모양의 후크(Hook)와 고리모양의 루프(Loop) 그리고 후크와 루프가 부착되는 원단(Fabric)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단은 제직공법으로 제작 되며 위사와 경사로 이루어진다. 후크와 루프 그리고 원단 제작에 사용되는 원사(Yarn)는 폴리에스터를 100%의
혼입률로 설정하였다. 원사의 성능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특수섬유기술(주)에서 제조되는 공업용 벨크로(이하 Velcro-A)를 사용하였다. Velcro-A는 자동차 좌석시트 내·외부를 고정시키는
등 1회성의 강력한 결합으로 반영구적 고정이 필요한 산업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제품이다. 기존의 일반 벨크로는 암·수간의 접착과 탈착이 용이하지만,
Velcro-A는 한번 접착 시 접착성이 매우 우수하여 탈착이 어렵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는 Fig. 2와 같이 일반 벨크로의 후크가 원형원사에 얇은 갈고리 모양인 반면 Velcro-A는 십자 원사에 후크 헤드부분이 둥근 머쉬룸 모양으로 설계 및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Fig. 1 Components of Velcro
Fig. 2 Detailed shape of hook
Table 1 Property of Velcro yarn
Tension Strength
[MPa]
|
Initial Elastic Modulus
[MPa]
|
Elongation
[%]
|
916.5
|
7798.7
|
18.35
|
2.2 벨크로 보강재 설계
Velcro-A의 후크와 루프 부착성능과 원단의 인장력 등의 개선을 통해 벨크로 보강재(이하 Velcro-B)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선 내용을 Fig. 3에 나타내었다. 후크와 루프의 부착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후크의 갈고리 각을 높였으며, 루프는 원사의 두께를 증가시켰다. 또한 단위면적당 후크와 루프의
수를 증가시켰다. 원단의 인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305 데니아의 경사와 위사로 설계된 기존 벨크로 원단의 뒷면(후크와 루프가 없는 면)에 경사 915
데니아 및 위사 605 데니아로 설계된 고강도 원단을 열접합하여 부착하였다. 후크와 루프의 길이를 기존 벨크로 보다 짧게 설계하여 후크와 루프 간의
이격거리를 감소시켰다.
Fig. 3 Comparison of Velcro components
2.3 벨크로 재료물성
벨크로의 인장강도와 탄성계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KS K 1309의 규정에 따라 Fig. 4와 같이 후크와 루프를 부착한 직사각형 형태로 각 5개 씩 총 10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편은 300kN-UTM 실험장비를 사용하여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편의 두께(T)는 후크와 루프의 원단의 두께(t1, t2)만 측정하였다. 이는 후크와 루프는 벨크로의 인장력과 무관하기 때문이다.
인장시험체의 시험 결과를 Table 2에 정리하였다. 시험결과 Velcro-A의 평균 최대인장하중은 5.47 kN, 최대인장하중 발생 시 평균 변위는 39.80 mm으로 나타났으며, Velcro-B의
평균 최대인장하중은 6.84 kN, 최대인장하중 발생 시 평균 변위는 40.07 mm로 나타났다. 시편의 파단형상은 Fig. 5와 같으며, 벨크로 인장시험체의 하중-변위 관계곡선은 Fig. 6과 같다.
Fig. 4 Configuration of tension test specimen
Fig. 5 Failure mode of tension test specimen
Fig. 6 Load-displacement relation of Velcro
Table 2 Test result of tension test
Velcro Type
|
Max. Load
(kN)
|
Displacement
at Max Load
(mm)
|
Modulus
of Elasticity
(MPa)
|
Velcro-A
|
HL-1
|
5.27
|
5.47
|
39.40
|
39.8
|
218.12
|
219.49
|
HL-2
|
5.65
|
40.93
|
221.03
|
HL-3
|
5.60
|
39.07
|
222.74
|
HL-4
|
5.37
|
39.60
|
219.78
|
HL-5
|
5.49
|
40.07
|
215.73
|
Velcro-B
|
HL-1
|
6.97
|
6.84
|
39.25
|
40.07
|
225.12
|
218.89
|
HL-2
|
6.83
|
39.48
|
219.75
|
HL-3
|
6.87
|
39.84
|
219.13
|
HL-4
|
6.84
|
40.85
|
215.43
|
HL-5
|
6.71
|
40.91
|
215.03
|
3. 유한요소 해석
3.1 유한요소 모델링
기존의 공업용 벨크로와 성능이 개선된 벨크로를 보강재로 고려하여 RC기둥에 대한 보강을 수행하였을 때, 보강에 따른 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범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ABAQUS (ABAQUS, 2018)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Kwon et al., 2011; Kim et al., 2014(b)). 해석에 사용된 비내진 RC기둥 실험체는 한국의 기존 구 학교 건물의 전단취약 RC기둥의 3/4 모델이며, 설계는 Fig 7과 같다. RC기둥 실험체의
상단은 400×380×400 mm의 블록에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 끝은 900×900×640 mm의 기초에 연결이 되어 있다(Kim et al., 2013(b)).
ABAQUS를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에서, 콘크리트는 8개 절점을 갖는 솔리드 요소로 모델링 하였으며, 철근은 2개의 절점을 갖는 트러스 요소로 모델링
하였다. 철근과 콘크리트는 완전부착된 것으로 가정하였고, 벨크로 보강재는 구조물의 휨 거동, 면내거동, 면외전단 거동과 그 상호연관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3차원 쉘요소로 모델링 하였다(Lee and Noh, 2007).
보강재로 고려된 벨크로 보강재를 모델링하여 기둥의 하단부로부터 75 mm 간격을 두고 길이 600 mm의 벨크로를 보강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획득한 Velcro-A와 Velcro-B의 인장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쉘요소의 재료 물성치를 입력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경계조건은 RC기둥
기초의 하부를 고정 시켰고, 기둥의 단면에 대하여 최소 축하중(10%)을 계산하여 축력을 가력하였다. 수평방향의 가력은, 기둥의 머리부에 기둥 단면의
장변 방향으로 변위를 도입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에서 사용된 하중 가력방법은 일방향 가력해석(Pushover analysis, ACI Committee 437, 2012)으로 기둥의 상부에 대하여 변위하중을 가력하였다.
시험체 모델링은 총 3개로 계획하였다. 해석 대상 실험체는 기준 실험체 NOR, Velcro-A로 보강한 VEA, Velcro-B로 보강한 VEB이다.
해석변수에 대한 모델링을 Table 3에 정리하였다.
Table 3 Detail of numerical modeling
Name
|
Reinforced Velcro Type
|
Modeling
|
NOR
|
-
|
|
VEA
|
Velcro-A
|
VEB
|
Velcro-B
|
3.2 재료구성모델
콘크리트의 솔리드 요소에 압축과 압축상태의 콘크리트 파괴 거동을 분석할 수 있는 콘크리트 손상소성모델(Concrete Damaged Plasticsity
Model)을 사용하였다. 손상소성모델은 손상-소성 구성 모델을 예측하는데 적합하며, 구속압력 상태의 압축연화, 소성팽창, 강성손상 그리고 인장강화
특성을 포함하고 있다(Lubliner et al., 1989; Lee and Fenvas, 1998) 철근의 트러스 요소에는 철근의 비선형성을 고려하여 완전 소성 모델(Perfectly Plastic Model)을 사용하였다. 콘크리트와 철근의 구성모델을
각각 Fig. 8과 Fig. 9에 나타내었고, 해석에 적용된 콘크리트와 철근 그리고 벨크로의 재료 물성치는 Table 4에 정리하였다. 벨크로의 인장강도는 Table 2에 나타낸 평균최대인장하중(Velcro-A: 5.47 kN, Velcro-B: 6.84 kN )을 면적(Velcro-A: 50 mm×1.2 mm,
Velcro-B: 50 mm×1.4 mm)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 Velcro-A의 인장강도는 약 91MPa이며, Velcro-B의 인장강도는
약 97MPa이다.
Fig. 7 Details of column specimen
Fig. 8 Concrete damage plasticity model
Fig. 9 Constitutive model for steel material
Table 4 Material properties of concrete, steel, and Velcro
Material
Type
|
Yeild
Strength
|
Density
|
Young’s Modulus
|
Poisson’s Ratio
|
(MPa)
|
(kg/㎥)
|
(MPa)
|
|
Concrete
|
24
|
-
|
25,811.01
|
0.2
|
Steel
|
300
|
-
|
200,000
|
0.3
|
Velcro-A
|
91
|
2.68⨉10$^{-15}$
|
219.49
|
0.26
|
Velcro-B
|
97
|
1.00⨉10$^{-15}$
|
218.89
|
0.26
|
3.3 해석결과
NOR실험체의 콘크리트 균열은 Fig. 10(a), (b)와 같이 가력면의 하단에 발생하였고, 변위가 증가될수록 기둥 측면에 전단균열이 같이 진행되어 상부로 전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철근은 변위
9.28 mm, 하중 77.41 kN에서 항복하였고, 전단철근은 변위 9.70 mm, 하중 79.05 kN에서 항복하였다. RC기둥은 변위 35.7
mm에서 최대강도 130.7 kN의 값을 나타내었다. 철근의 최종해석결과 응력도를 Fig. 10(c)에 나타내었다.
VEA실험체의 콘크리트 균열은 Fig. 11(a),(b)와 같이 가력면의 하단에 발생하였고, 변위가 증가될수록 기둥 측면에 전단균열이 같이 진행되어 상부로 전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철근은 변위10.47
mm, 하중 82.24 kN에서 항복하였고, 전단철근은 변위 10.96 mm, 하중 84.05 kN에서 항복하였다. RC 기둥은 변위 41.8 mm에서
최대강도 133.9 kN의 값을 나타내었다. 벨크로 보강재는 약 31MPa의 응력을 받았으며, 인장강도인 91MPa의 34% 수준으로 파괴되지 않은
상태이다. 철근과 보강재의 최종 해석결과 응력도를 Fig. 11(c), (d)에 나타내었다.
VEB실험체의 콘크리트 균열은 Fig. 12(a),(b)와 같이 가력면의 하단에 발생하였고, 변위가 증가될수록 기둥 측면에 전단균열이 같이 진행되어 상부로 전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주철근은 변위
12.31 mm, 하중 89.72 kN에서 항복하였고, 전단철근은 변위 10.15 mm, 하중 81.72 kN에서 항복하였다. RC 기둥은 변위 47.7
mm에서 최대강도 135.6 kN의 값을 나타내었다. 벨크로 보강재는 약 47MPa의 응력을 받았으며, 인장강도인 97MPa의 48% 수준으로 파괴되지
않은 상태이다. 철근과 보강재의 최종 해석결과 응력도를 Fig. 12(c), (d)에 나타내었다.
Fig. 10 Analysis result of NOR
Fig. 11 Analysis result of VEA
Fig. 12 Analysis result of VEB
3.4 해설결과 분석
벨크로 보강에 따른 내진성능보강효과를 검토하기 위한 유한요소 해석결과는 Fig. 13과 같다. Fig. 13에서 가로축은 가력에 따른 횡방향 발생변위를 기둥의 높이인 1000 mm로 나눈 변위비로 나타내었다. NOR시험체의 해석결과와 비교하여 벨크로 보강재의
사용에 따라 강도와 변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대하중과 최대하중이 발생 했을 때의 변위 및 변위비에 대한 해석결과는 Table 5에 정리하였다. Velcro-A로 보강한 RC 기둥의 최대강도는 3.2 kN 증가하였으며, 최대강도발생변위가 6.1 mm 증가하였다. Velcro-B로
보강한 RC기둥의 최대강도는 4.9 kN 증가하였으며, 최대강도발생변위가 12 mm 증가하였다.
RC기둥의 인장을 받는 주철근과 스터럽의 항복 시 RC기둥의 강도 및 변위를 Table 6에 정리하였다. NOR시험체의 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벨크로 보강재의 사용에 따라 인장을 받는 주철근의 강도와 변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스터럽은
VEA가 VEB보다 강도와 변위가 크게 나타났다.
비내진 RC기둥의 내진성능 개선을 위하여 벨크로가 적용된 보강재를 사용할 경우, 해석적으로는 강도와 변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철근
및 전단철근의 항복이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5 Summary of numerical analysis results
Name
|
Max. Load
[kN]
|
Displacement at Max. Load [mm]
|
Displacement Ratio at Max. Load
|
NOR
|
130.7
|
35.7
|
0.0357
|
VEA
|
133.9
|
41.8
|
0.0418
|
VEB
|
135.6
|
47.7
|
0.0477
|
Table 6 Analysis result of rebar and stirrup
Name
|
Rebar
|
Stirrup
|
Yield Strength
|
Yield Displacement
|
Yield Strength
|
Yield Displacement
|
NOR
|
77.41
|
9.28
|
79.05
|
9.70
|
VEA
|
82.24
|
10.47
|
84.05
|
10.96
|
VEB
|
89.72
|
12.31
|
81.72
|
10.15
|
Fig. 13 Analysis result of RC specimens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긴급시공이 가능하고 RC기둥의 연성 보강을 위한 벨크로 보강재를 개발하고, RC기둥의 벨크로 보강에 따른 성능평가예측을 위한 비선형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보강재 개발을 위하여 벨크로의 형상을 설계하였다. 또한 기존의 공업용 벨크로(Velcro-A)와 개발된
벨크로 보강재(Velcro-B)의 인장성능을 평가하였다. 인장실험에서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강재의 재료 물성치를 도출 및 활용하여 해석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유한 요소 해석을 통해 Velcro-A의 RC기둥에 대한 연성 보강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벨크로의 부착 및 인장성능 개선에 따른 Velcro-B의
연성 보강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Velcro-A로 보강한 RC기둥(VEA)은 2.45%의 강도 증가율과 17.09%의 연성 증가율로
나타났으며, Velcro-B로 보강한 RC기둥(VEB)은 3.75%의 강도 증가율과 33.61%의 연성증가율로 나타났다.
(2) 벨크로로 보강된 RC기둥(VEA, VEB)의 해석결과를 통해 RC 기둥의 주철근 항복강도와 항복강도 발생 변위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스터럽은 VEB보다 VEA의 항복강도와 항복강도 발생 변위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둥의 파괴에도 벨크로의 보강재의 응력은 인장응력의
50% 미만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기둥이 파괴되더라도 벨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3) 벨크로를 활용한 보강은 연성보강의 범주에 속하며, 지속적으로 벨크로의 인장성능과 구속력을 개선한다면 추후 긴급시공이 가능하며, 시공비가 저렴하고,
간편한 보급형 내진보강공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과제번호 21CTAP-C157156-02).
References
ABAQUS (2018), Dassault System Simulia Corp., Analysis User’s Manual. Version 6.14.
ACI Committee 437, Load Tests of Concrete Structures: Methods, Magnitude, Protocols,
and Acceptance Criteria (ACI 437.1R-07).
Chang, J., Kwon, M., Kim, J., and Joo, C. (2012), NumericalStudy for Seismic Strengthening
of RC columns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Composite,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https://doi.org/10.11112/jksmi.2012.16.3.117
Hur, M. W., Chun, Y. S., Hwang, J. S., and Kim, J. H. (2015), Seismic Capacity of
Non-seismic Designed RC Framed Building Retrofitted by Double I-type Metallic Damper,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9(6), 010-017, https://doi.org/10.11112/jksmi.2015.19.6.010
Jeong, D. S., Kim, G. M., Kim, B. W., Kim, W. S., and Kwak, Y. K. (2020), Study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According to Inorganic Fiber
Combin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11(3),
16-24, https://doi.org/10.11004/kosacs.2020.11.3.016
Jung, J. S., and Lee, K. S. (2018), A Seismic Capacity of R/C Building Damaged by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Based on the Non- linear Dynamic Analysis,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2(1), 137-146, https://doi.org/10.11112/jksmi.2018.22.1.137
Jung, H. C., Jung, J. S., and Lee, K. S. (2019),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Internal Steel Frame Connection Method for Seismic Strengthening,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1(1), 79-88, https://doi.org/10.4334/JKCI.2019.31.1.079
Kim, J. S., Kwon, M. H., Seo, H. S., Lim, J. H., and Kim, D. Y. (2013a), Analytical
Study for Optimal Reinforcement Amount and Development of FRP Seismic Reinforcement
that can be Emergency Construction,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7(5), 136-145, https://doi.org/10.11112/jksmi.2013.17.5.1
Kim, J. S., Kwon, M. H., Jung, W. Y., and Limkatanyu, S. (2013b),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RC columns reinforced by GFRP composite sheets with clip connectors,
Constructinand Building Materials, 43, 563-574. https://doi.org/10.1016/j.conbuildmat.2013.02.023
Kim, S. K., Park, J. K., Han, S. H., Kim, B. C., and Jang, I. Y. (2014a), Study on
Reinforcement Effect of Circular RC Columns by Helical Bar Under Cyclic Lateral Load,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8(1), 048-058, https://doi.org/10.11112/jksmi.2014.18.1.048
Kim, J. S., Seo, H. S., Lim, J. H., and Kwon, M. H. (2014b), An Performance Evaluation
of Seismic Retrofitted Column Using FRP Composite Reinforcement for Rapid Retrofitting,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6(1), 47~55, http://dx.doi.org/10.4334/JKCI.2014.26.1.047
Kwon, M. H., Seo, H. S., and Kim, J. S. (2016), Seismic Performance of RC-Column Wrapped
with Velcro,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58(2), 379-395.
Kown, M. H., Shing, P. B., Mallare, C., and Restrepo, J. (2011), Seismic Resistance
of RC Bent Caps in Elevated Mass Transit Structures, Earthquake Spectra, 27(1), 67-88,
https://doi.org/10.1193/1.3533471
Lee, J., and Fenves, G. L. (1998), Plastic-Damage Model For Cyclic Loading of Concrete
Structure,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ASCE, 124(8), 892-900. https://doi.org/10.1016/j.proeng.2011.07.057
Lee, P. S., and Noh, H. C. (2007), On the Finite Element Analysis of Shell Structure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7(3A), 277-289.
Lee, D. J., Kim S. W., Kim K. M., and Kim J. S. (2020a) Compressive Behavior of Concrete
Specimen Reinforced by Velcr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11(5), 15-21, https://doi.org/10.11004/kosacs.2020.11.5.015
Lee, H., Cho, J., Lee, S. G., Lee, S. H., and Hong, K. J. (2020b), Effect of BFRP
Wrapping on Seismic Behavior of Rectangular RC Column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4(6), 153-160, https://doi.org/10.11112/jksmi.2020.24.6.153
Lubliner, J., Oliver, J., Oller, S., and Onate, E. (1989), A Plasticdamage Model for
Concrete, International Journal of Solids and Structures, 25(3), 1989, 299-326, https://doi.org/10.1016/0020-7683(89)
90050-4
Hong, G. H. (2008), Construction Method Improvement of the FRP-plate Strengthening
Method using the Velcro,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2(6), 225-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