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대전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2. 정회원,주식회사 이토피아
  3. 정회원,청운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자발적 균열치유 콘크리트, 생체광물 형성 작용, 탄산칼슘, 균열치유작용, 미생물, 내생포자
Autonomous healing concrete, Biomineralization, Calcium carbonate, Crack healing, Microorganism, Endospore

1. 서 론

최근 들어 균열을 저감 시키거나 스스로 균열을 치유할 수 있는 자발적 균열 치유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념이 대두되면서 실제 건설 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한 연구가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자발적 균열 치유 콘크리트를 구조물에 적용한다면 초기 건설비용은 다소 높지만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 LCC) 관점에서 상당한 경제적 장점이 있으며, 구조물의 내구연한 동안 초기성능을 유지하여 유지관리 비용 감소 및 내구수명의 증대로 인한 보수·보강 비용 감소가 기대되며, 또한 추가적인 원료 소비, 시공에 따른 공해 발생, 에너지 소비 및 이산화탄소 발생 등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인 효과의 부수적 장점이 있다.

미생물을 이용하여 탄산칼슘을 석출하는 기술은 기본적으로 생체광물 형성 작용(Biomineralization)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균열 보수에 활용하는 기술이다. 분류학적으로 생체광물을 형성할 수 있는 60여 종의 서로 다른 광물이 유기체에서 확인되었으며, 그 광물의 예로 규산염, 탄산염, 칼슘 인산염 등이 있다. 탄산칼슘 석출 반응에 기여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에 대한 단계별 메커니즘을 Fig. 1과 같이 4단계로의 모식도가 있다.

아래와 같은 단계별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생체광물 형성 작용(Biomineralization)으로 인한 탄산칼슘 석출량이 많으면서 시멘트 내부에서 생존하기 위해 pH 12 이상의 강알칼리성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는 미생물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건을 고려하였을 때 내생포자(endospore)를 형성하는 Bacillus 계열의 박테리아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외부환경의 저항성이 강한 내생포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시멘트 내부의 척박한 환경에서 내생포자로 존재하였다가 균열로 인해 pH가 낮아지고 더 많은 공기와 수분을 공급받아 영양세포(vegetative cell)로 발아하여 생체광물을 형성할 수 있는 박테리아를 모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주변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토양과 같은 시료에서 미생물 자원을 확보하고, 시멘트에서의 생존 및 균열 치유 적합성을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료에서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Bacillus 미생물을 분리하고, 확보된 미생물의 생체광물 형성 작용과 석출량을 정량화하였다. 또한 모르타르 내에 선별된 미생물을 첨가하고, 양생 후 인위적 균열 발생을 통해 자발적 균열 치유가 가장 뛰어난 미생물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Fig. 1 Self-healing mechanism by micro-organism(Kim, 2009)
../../Resources/ksm/jksmi.2023.27.1.103/fig1.png

2. 본 론

2.1 미생물 자원 확보

2.1.1 박테리아 분리

생체광물 형성 최적화 미생물을 발굴하고자 시료(흙, 메주 가루 등)에서 미생물을 분리 및 배양하였다. 시료를 0.1M Tris-HCl pH 9.0 buffer 100 ml에 녹이고, 1시간 동안 상온에서 200rpm 조건으로 진탕배양을 진행했다. 배양 후 배양액 내의 이물질을 20-30분 동안 가라앉히고, 상층액을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Bacillus를 분리하기 위해 끓는 물에 10분간 중탕하였다. 상층액을 증류수에 희석하여 고체배지에 도말 하여 30℃에서 배양한다. 형성된 박테리아 colony를 선별하여 Fig. 2와 같이 각각 고체배지에 30℃에서 2일간 계대배양하였다.

Fig. 2 Bacteria isolated from the sample
../../Resources/ksm/jksmi.2023.27.1.103/fig2.png

2.1.2 미생물의 탄산칼슘 형성 확인 및 urease test

분리한 박테리아들은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Bacillus 속 균주들만 선별하였다. 시료에서 분리한 Bacillus 6종과 비교를 위해 탄산칼슘 형성 확인된 b. subtilis와 b. sphaericus KCTC3346 2종을 포함하여 총 8개의 균주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실험 대상의 균주들은 구별을 위해 MCE01 ~ 07까지 번호를 부여하였다(Table 1).

균주 8종을 대상으로 탄산칼슘 형성을 확인하기 위해 Urea-CaCl2 agar(Table 2, Kim, 2010) 에 접종하여 30℃에서 배양하였다. 이 배지는 미생물 방해석 석출 작용(MICP)이 미생물의 대사(metabolism)과 함께 발생하면서 세포막 주변으로 탄산칼슘의 일종인 방해석(Calcite)이 석출된다.

24시간 간격으로 5 ~ 10일간 미생물의 탄산칼슘 형성을 관찰하였다. Fig. 3을 보면 탄산칼슘은 colony의 경계선에서 형성이 시작되어 colony를 주변을 모두 덮은 형태로 나타났다. 탄산칼슘의 생성 속도는 미생물 간 다소 차이가 존재하였다.

탄산칼슘 형성이 확인된 균주들은 urease test agar에 접종하여 30℃에서 배양하였다(Fig. 4). Urease test 양성 균주는 urea 분해로 생성된 암모니아로 인해 pH가 상승하여 배지가 붉은색으로 변한다.

Fig. 3 Bacterial colony
../../Resources/ksm/jksmi.2023.27.1.103/fig3.png
Fig. 4 Urease test
../../Resources/ksm/jksmi.2023.27.1.103/fig4.png
Table 1 Bacterial strains

Sample

Name

a

Bacillus subtilis MCE01

b

Bacillus subtilis MCE02

c

Bacillus velezensis MCE03

d

Bacillus subtilis MCE04

e

Bacillus subtilis MCE05

f

Bacillus subtilis MCE06

control_1

Bacillus subtilis MCE07

control_2

Bacillus sphaericus KCTC3346

Table 2 Urea-CaCl2agar, adjusting pH to 6.0(Kim, 2010)

Constituent of medium

g/L

NaHCO3

2.12g

NH4Cl2

10g

Nutrient broth

3g

Agar

5g

CaCl2 2H20

4g

Urea

20g

2.1.3 미생물의 탄산칼슘 석출량 정량

Bacillus 8종을 각각 CaCo3 precipitation broth 100 ml (Table 3)에 30℃, 200rpm의 조건으로 60시간 배양하였다. Urea는 urease test가 양성이 나온 균주의 배지에만 첨가한다.

60시간이 경과 되면 배양액을 원심분리(1min, 13000g)하였고, 침전물을 TE buffer(10mM Tris - 1mM EDTA, pH 8.5 ) 50 ml에 풀어준 후 Lysozyme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Lysozyme 처리가 끝난 배양액을 원심분리(1min, 13000g)를 한 후, 멸균된 증류수로 침전물을 풀어준 뒤 다시 원심분리하는 방식으로 세척하였다. Lysozyme으로 인해 분해된 미생물 잔해물들은 가볍기에 상층액 내에서 부유하지만 무거운 탄산칼슘은 침전물이 되어 가라앉게 된다. 이 침전물을 건조한 후 미세저울로 무게를 측정하여 탄산칼슘 석출량을 정량화하였다(Table 4).

Table 3 CaCo3precipitation broth, pH 8

Constituent of medium

g/L

Yeast extract

2.5g

Nutrient broth

2g

CaCl2 2H2O

4g

Urea

10g

Table 4 Amount of CaCo3precipitation

Bacterial strains

mg/medium 100 ml

control

19.4 mg

Bacillus subtilis MCE01

40.6 mg

Bacillus subtilis MCE02

40.4 mg

Bacillus velezensis MCE03 (urea)

64.6 mg

Bacillus subtilis MCE04

49.7 mg

Bacillus subtilis MCE05

80.1 mg

Bacillus subtilis MCE06

44.6 mg

Bacillus subtilis MCE07

45.4 mg

Bacillus sphaericus KCTC3346

46.6 mg

2.1.4 미생물에 의한 탄산칼슘 XRD 분석

탄산칼슘 석출 정량 실험에서 확보한 샘플은 X-ray diffraction (XRD) 분석 통해 결정구조를 확인하였다. 실험에서 사용할 균주는 탄산칼슘 석출량이 비교적 많은 B. velezensis MCE03, B. subtilis MCE05를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Fig. 5Fig.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미생물에 의해 석출된 탄산칼슘 샘플(주황색 피크)과 탄산칼슘의 일종인 방해석(Calcite, 파랑색 피크)를 비교하면 대부분 일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5 XRD of Bacillus velezensis MCE05
../../Resources/ksm/jksmi.2023.27.1.103/fig5.png
Fig. 6 XRD of Bacillus subtilis MCE05
../../Resources/ksm/jksmi.2023.27.1.103/fig6.png

2.1.5 탄산칼슘 형성 박테리아 단일배양 복합배양 비교

MCE03, MCE05의 단일배양 및 복합배양 비교를 위해 control(미접종 배지), MCE03, MCE05, MCE03+05 총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서 CaCo3 precipitation broth 100 ml에 30℃, 200rpm의 조건으로 6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12시간 간격으로 배양액 10 ml를 채취하여 탄산칼슘 형성량, pH, OD600을 측정하였고, Fig. 7과 같이 그래프로 나타내어 각 실험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알칼리성을 띠는 탄산칼슘이 생성됨에 따라 평균적으로 pH가 1 정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OD600과 탄산칼슘 생성량에 있어서 단일배양과 복합배양의 경우, 그 차이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7 Time interval change of pH, OD600, amount of CaCo3precipitation
../../Resources/ksm/jksmi.2023.27.1.103/fig7.png

2.2 콘크리트 균열 발생 환경에서의 균열 치유 분석 및 성능 검증

2.2.1 탄산칼슘 형성 미생물 콘크리트 환경 생존력 테스트

탄산칼슘 형성 미생물의 시멘트 환경에서 생존 여부를 검증하고자 시멘트 페이스트상 생존 실험을 진행하였다. Table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MCE03, MCE05의 내생포자를 시멘트 페이스트 제작 시 첨가하였다.

시멘트 페이스트가 경화한 후 24시간 간격으로 시멘트 일부를 채취하여 위상차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이 샘플은 고체배지에 접종하여 30℃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Fig.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시멘트 페이스트에 첨가된 포자들이 시멘트가 경화한 후 생존함을 확인하였다. 고체배지에 배양하였을 때 Fig. 9와 같이 colony를 형성하는 결과로부터 MCE03, MCE05의 포자가 시멘트 내부의 극한 환경 속에서도 생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5 Constituent of sample

cement

sand

water

Yeast

extract

CaCl2

spore

80g

240g

40g

0.044g

0.8g

B.velezensis MCE03

B.subtilis MCE05

Fig. 8 Vegetative cell and endospore in cement
../../Resources/ksm/jksmi.2023.27.1.103/fig8.png
Fig. 9 Colony from culturing in cement
../../Resources/ksm/jksmi.2023.27.1.103/fig9.png

2.2.2 탄산칼슘 형성 미생물 모르타르 내 균열 치유 검증

시멘트 내부에서 생존력이 확인된 MCE03, MCE05은 모르타르 제작에 첨가하여 균열 치유 효과를 평가하였다. 물:시멘트:모래 비율을 1:2:3으로 맞추고, CaCl2와 Yeast extract의 비율을 시멘트 중량의 1% 그리고 0.055%로 첨가하였다(Xu, 2014). 모르타르 구성 성분은 Table 6과 같다.

모르타르를 96시간 동안 상온에서 굳힌 후 균열을 발생시켰고, 증류수를 1cm 높이로 하단 침지하여 상온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48시간이 되는 시점에서 흰색의 탄산칼슘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치유된 균열은 Fig. 10과 같이 현미경을 이용하여 50배율로 관찰하였다.

Fig. 10 Self-healing of mortar by bacteria
../../Resources/ksm/jksmi.2023.27.1.103/fig10.png
Table 6 Constituent of mortar

cement

sand

water

Yeast

extract

CaCl2

spore

80g

240g

40g

0.044g

0.8g

B.velezensis MCE03

B.subtilis MCE05

3.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시료에서 미생물자원을 확보하여 생체광물 형성 작용(biomineralization) 능력을 평가하고, 모르타르 내 생존 및 균열 치유 적합성을 확인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시료에서 미생물을 분리하고, 생체광물 형성 작용 평가를 진행하면서 내생포자를 형성할 수 있는 생체광물형성 능력을 보유한 미생물 자원을 성공적으로 분리 및 배양할 수 있었다.

2. 탄산칼슘 석출량이 비교적 많았던 B. velezensis과 B. subtilis를 대상으로 단일배양과 복합배양을 비교하였을 때 생체광물 형성 작용에 있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두 미생물의 균열 치유 능력 이외의 생존력과 환경 적응성에 따라 상호 능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모르타르 내에 혼입된 생체광물 형성 미생물의 내생포자(endospore)가 pH 12 이상의 척박한 환경 속에서 충분히 생존하고, 영양세포(vegetative cell)로 발아하여 자발적으로 균열 치유 작용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20년도 한국수력원자력㈜의 재원으로 중소기업 협력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Nasser, A. A., Sorour, N. M., Saafan, M. A., and Abbas, R. N. (2022), Microbially-Induced-Calcite-Precipitation (MICP): A biotechnological approach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concrete using Bacillus pasteurii and Bacillus sphaericus, Heliyon, 8, ScienceDirect, 2-7.DOI
2 
Xu, J., and Yao, W. (2014), Multiscale mechanical quantification of self-healing concrete incorporating non-ureolytic bacteria-based healing ag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ScienceDirect, 64(2014), 1-2.DOI
3 
Chahal, N., Rajor, A., and Siddique, R. (2011), Calcium cabonate precipitation by different bacterial strains, African Journal of Biotechnology, Academic Journals, 10(42), 8360-8370.DOI
4 
Kim, W. J., Kim, S. T., Park, S. J., Ghim, S. Y., and Chun, W. Y.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Healing Smart Concrete Using Microbial Biomineraliz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21(4), 502-505. (in Korean).DOI
5 
Kim, W. J., Ghim, S. Y., Park, S. J., Choi, K. J., and Chun, W. Y. (2010), Development of Self-Repairing Smart Concrete Using Micro Biologically Induced Calcite Precipit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22(4), 548-550. (in Korean).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