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정회원,경상국립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박사과정
  2. 정회원,경상국립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석사과정
  3. 종신회원,경상국립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 교신저자



균열간격, FRP 보강근, 인장거동, 인장강화효과
Crack spacing, FRP bar, Tensile behavior, Tension stiffening effect

1. 서 론

철근부식 등의 위험과 고강도 구조체에 대한 요구 등으로 최근 FRP 보강근을 사용하는 콘크리트부재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FRP 보강근은 섬유와 수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재료 설계와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중량대비 강도비가 높기 때문에 프리캐스트부재 및 장경간 부재 등에 적합하다. 탄소섬유 보강근은 상대적으로 고가이나, 인장강도 2,000 MPa이상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철근의 탄성계수와 크게 차이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거더 또는 벽체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이에 반하여 유리섬유보강근은 철근과 비교하여 시공단계에서도 가격경쟁력이 갖추고 있으며, 부식 등의 위험이 없어 기존의 중앙분리대뿐만 아니라 교량바닥판과 철도 궤도 슬래브 등으로의 활용이 시작되고 있다.

FRP보강근으로 보강된 콘크리트부재의 강도평가와 사용성 평가를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보강근의 정착 및 보강 상세(detailing) 등을 위한 부착거동 등에 대해서도 많은 결과들이 제시되고 있다(Jang et al., 2023; Sim et al., 2008; Son et al., 2013). 그러나, FRP 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균열후 거동과 균열 및 처짐 등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콘크리트에 의한 FRP 보강근의 인장강화(tension stiffening)에 대한 연구는 Fergani et al.(2018), Nayal and Rasheed.(2006)Sooriyaarachchi et al.(2005) 등과 같이 해외에서 다수 연구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Ha, 2005). 일반적으로 FRP 보강근은 높은 강도에 비하여 탄성계수가 철근에 비하여 낮기 때문에 처짐 및 균열 등의 사용성 측면에서 일반 철근콘크리트부재와 비교하여 불리할 수 있다(Gribniak et al., 2013; Jang et al., 2021; Sim et al., 2008). 콘크리트부재의 사용성은 보강재와 콘크리트의 부착에 의한 합성작용에 의해 지배되며, 균열전후의 거동의 차이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합성단면의 특성을 인장강화(tension stiffening)와 인장연화(tension softening)로 정의할 수 있고 철근콘크리트부재에 대해서는 2000년대까지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며, 단기와 장기거동시의 수축효과(shrinkage effect)를 고려한 Bischoff(2001)의 연구 이후에는 수축효과를 고려한 인장강화모델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Kaklauskas et al., 2018). 콘크리트의 수축은 건조수축과 자가수축에 의하여 장기적인 변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인장강화 효과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축방향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콘크리트와 FRP의 크리프에 의한 영향을 동시에 받게 되므로 수축효과는 중첩되게 된다(Kharal and Sheikh, 2017; Rimkus et al., 2019; Vilanova et al. 2014).

보강근의 인장강화현상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보강근의 보강비, 강도 및 탄성계수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보강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리섬유 보강재(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GFRP)와 탄소섬유보강재(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 바살트섬유보강재(Basalt Fiber Reinforced Polymer; BFRP)를 사용하여 일반콘크리트와 강섬유보강콘크리트에서의 인장강화 거동을 실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현재의 연구에서는 장기거동에 의한 수축에 의한 영향은 고려하지 않고, 단기하중에 의한 인장강화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 실험계획

2.1 FRP 보강근의 인장특성

고성능 섬유와 에폭시 또는 비닐에스터 수지의 합성으로 제작되는 FRP 보강근은 균질한 재질을 갖는 철근과 달리 제작방법과 형태에 따라 다양한 재료적 특성을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GFRP와 BFRP의 탄성계수는 철근의 1/4~1/5 수준이며, CFRP의 탄성계수는 철근보다 약간 작은 것이 일반적이다. GFRP와 BFRP는 중국 N사에서 압출성형 방식으로 제작한 보강근을 사용하였으며, CFRP는 국내에서 시험생산된 시제품을 사용하였다. 인장강도 시험시 GFRP와 BFRP는 직접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CFRP의 인장강도는 A대학에서 실험된 동일한 보강근의 실험 결과를 제공받았다. FRP 보강근의 인장 시험은 Fig. 1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앵커는 ACI 440.3(2012)CSA S806(2012)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하고 400 mm로 고정하였다. 그리고 강관 내부는 고성능 그라우트로 충진한 후 3mm/min의 속도로 인장실험을 실시하였다. Table 1에는 각 보강근의 공칭직경별 평균 인장강도와 탄성계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표시하였으며, Fig. 2에 인장시험체중 일부의 응력-변형률관계를 나타내었다. FRP 보강근의 탄성계수는 전체 변형을 측정할 수 있는 익스텐소미터(Extensomet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연구에서는 6 mm의 전기저항식 변형률 게이지를 보강근 중앙과 1/3지점에 부착하여 변형률을 직접 측정하였다(Ha, 2005; Oh et al., 2019).

탄성계수는 인장강도의 25%~50%사이의 응력에서의 탄성계수를 사용하는 CSA S806(2012)로 판정하였으며, GFRP와 BFRP 보강근의 인장강도는 ACI 440.1R-03(2003)CSA S806(2012)CSA S807(2010)에서 제시하고 있는 품질기준은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직경 16mm 보강근의 탄성계수는 다소 낮게 측정되었다. GFRP는 직경이 증가할수록 강도가 감소하였으나, BFRP의 경우는 직경이 증가할수록 강도는 증가하고 탄성계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FRP 보강근은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층간전단응력(interlamina shear)이 증가하여 강도가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섬유 표면의 거칠기가 큰 BFRP는 이러한 현상이 작게 나타나거나 강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낸다. CFRP보강근은 인장강도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나, 탄성계수는 다소 작게 나타나 실험과정 중 발생한 슬립 등에 의해 강성이 낮게 측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정착부에서 슬립이 발생하여 초기의 강성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1 Anchorage detailing for tensile test and test setup of FRP bar
../../Resources/ksm/jksmi.2023.27.6.47/fig1.png
Fig. 2 Tensile strength and strain relationship of FRP bars
../../Resources/ksm/jksmi.2023.27.6.47/fig2.png
Table 1 Average tensil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of reference specimens

Diameter

(mm)

Tensile Strength (MPa)

Elastic Modulus (GPa)

GFRP

13

927.9±29.6

35.0±5.4

16

808.0±28.9

26.4±5.8

BFRP

13

1067.2±103.9

41.5±62.0

16

1130.7±6.5

25.4±5.6

CFRP

13

1637.8±180.1

104.8±10.3

2.2 인장강화 거동 특성

FRP 보강콘크리트부재의 인장강성은 철근콘크리트부재보다는 작으나, Fig. 3과 같이 FRP 보강근의 영향으로 균열 발생전인 Stage I까지는 콘크리트의 영향으로 보강근의 강성보다 크고, 응력이 증가함에 따라 균열이 발생하는 Stage II 단계에서 콘크리트 기여분의 강성이 감소하면서 보강근의 강성과 점차 유사해진다. 마지막으로 균열이 안정화되는 Stage III에서는 보강근의 강성과 거의 같은 기울기를 갖거나, 점차 보강근의 변형과 동일하게 된다.

균열발생전의 FRP 보강 콘크리트 단면의 인장하중에 대한 기여는 중첩의 원리와 평형방정식에 의하여 식 (1)과 같이 순수콘크리트 인장기여와 FRP 보강근의 인장기여분으로 분리할 수 있다. FRP의 기여분은 식 (2)와 같이 변형률, 탄성계수, 단면적의 함수로 정의되고, 콘크리트 응력($f_{c}$)은 식 (3)과 같이 정리된다.

(1)
$P = P_{c}+ P_{frp}$
(2)
$P_{frp}=E_{frp}·\epsilon_{frp}· A_{frp}$
(3)
$f_{c}=\dfrac{P-P_{frp}}{A_{c}}=\dfrac{P-E_{frp}\epsilon_{frp}A_{frp}}{A_{c}}$

여기서, $P$는 작용하중 (N), $P_{c}$와 $P_{frp}$는 콘크리트와 FRP의 힘 (N), $F_{frp}$는 FRP 탄성계수 (N/mm2), $\epsilon_{frp}$는 FRP 변형률, $A_{c}$와 $A_{frp}$는 콘크리트와 FRP의 단면적(mm2)

인장강화지수(tension stiffening factor)는 합성단면의 콘크리트의 인장기여도($f_{c}$)와 콘크리트 인장강도($f_{t}'$)의 비로서 균열발생후의 콘크리트에 의한 인장강화 특성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철근콘크리트단면의 인장강화 효과는 철근의 항복 변형률($\epsilon_{y}=0.002$)이후에서 인강강화지수가 급격히 감소하는데 비하여 탄성재료인 FRP 보강단면의 경우에는 0.01 이상의 높은 변형률에서도 상당한 인장강화 효과를 지속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보강근의 낮은 탄성계수로 인하여 콘크리트 기여분이 일반 철근콘크리트단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12]Kharal and Sheikh; 2017).

(4)
인장강화지수 $\beta =\dfrac{f_{c}}{f_{t}}$

이와 유사하게 균열콘크리트단면에 작용하는 평균하중($P_{c}$)과 첫균열하중($P_{cr}$)의 비로 부착지수를 평가하기도 한다.

(5)
부착지수=$\dfrac{P_{c}}{P_{cr}}$

Fig. 3과 같은 인장강화모델은 철근콘크리트부재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유도되었으며, fib model code 2010에서 사용하고 있다(Fergani et al., 2018; Taerwe and Matthys, 2013).

(6)
Stage 1(Uncracked) : $\epsilon_{com}=\dfrac{f_{t}}{E_{c}}$
(7)
Stage II (Crack formation) : $\epsilon_{com}=\dfrac{f_{fr}(1-\beta)}{E_{frp}}$
(8)
Stage III(Stabilized crack) $\epsilon_{com}=\dfrac{f_{frp}-\beta f_{fr}}{E_{frp}}$

FRP 보강근의 최대응력 ($f_{fr}$)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9)
$f_{fr}=\dfrac{f_{t}}{\rho_{f,\: eff}}(1+n_{frp}\rho_{f,\: eff})$
(10)
$f_{t}=0.3\times(f_{ck})^{2/3}$

여기서 $f_{frp}$는 균열면에서의 FRP 응력 (MPa), $f_{t}$는 콘크리트 인장강도 (MPa), $f_{ck}$는 콘크리트 기준강도($f_{cm}-\Delta f$), (MPa) $\beta$는 하중조건에 따른 평균변형률 평가기 경험계수, 단기하중 0.6, 장기하중 0.4, $\rho_{f,\: eff}$는 콘크리트 단면에 대한 FRP의 보강비, $n_{frp}$는 FRP와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비.

Fig. 3 Typical tension stiffening behaviour of FRP reinfrced concrete member
../../Resources/ksm/jksmi.2023.27.6.47/fig3.png

2.3 FRP 보강근 인장강화시험체

인장강화 특성분석을 위하여 Table 2의 변수의 시험체를 각 2개씩 제작하였으며, 시험체의 콘크리트는 목표 압축강도 35 MPa로 Table 3과 같이 배합하였다. 콘크리트는 OPC(Ordinary Portland Cement)와 고로슬래그 시멘트 및 플라이애쉬를 배합의 굵은골재 최대칫수는 25 mm, 슬럼프는 150 mm로 설계하였다. 강섬유보강콘크리트(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FRP)는 일반콘크리트와 동일한 배합에 섬유량 2%를 추가혼입하여 제작하였다. 강섬유의 특성은 인장강도 910 Mpa, 직경/길이가 0.492/30.5 mm(형상비 $l/d =62$)인 훅트강섬유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고혼입율의 SFRC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유동화제 등의 혼화제를 사용하여 유동성을 높이면서 재료분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나, 이렇게 하면 일반콘크리트와 기초물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추가혼화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제작할 수 있는 최대혼입율 2%를 변수로 고려하였다. OPC와 SFRC의 평균압축강도($f_{cm}$)는 각각 33.6 MPa와 35.0 MPa이고, 할렬인장강도는 3.1 MPa과 3.5 MPa로 측정되었다.

시험에 사용된 보강근의 직경은 GFRP와 BFRP는 13 mm와 16 mm를 적용하였으며, CFRP는 13 mm 보강근에 대해서만 실험하였다. 콘크리트 시편은 Fig. 4와 같이 가로×세로 150×150 mm와 길이 1000 mm이며, 보강근의 부착길이는 시험체 양단에 자유단을 두고 900 mm로 제작하였다. 보강근 단부 앵커는 인장시편과 동일하게 제작하였다. 콘크리트의 변형은 Fig.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LVDT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전체적인 변형을 측정하였으며, 길이방향으로 5등분하여 균열게이지를 설치하고 국부변형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Fig. 4 Geometric details of tension stiffening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3.27.6.47/fig4.png
Fig. 5 Test setup for tension stiffening
../../Resources/ksm/jksmi.2023.27.6.47/fig5.png
Table 2 Test variables

Name

Type

Bar diameter

Target concrete strength (MPa)

$\rho_{frp}$(%)

G-13-100

GFRP

$\phi$13

-

35

1.220

G-13-100-S

SFRC

1.220

G-16-100

$\phi$16

-

1.770

G-16-100-S

SFRC

1.770

B-13-100

BFRP

$\phi$13

-

1.220

B-13-100-S

SFRC

1.220

B-16-100

$\phi$16

-

1.770

B-16-100-S

SFRC

1.770

C-13-100

CFRP

$\phi$13

-

1.220

C-13-100-S

SFRC

1.220

Table 3 Concrete mix proportion of concrete(unit : kg/m3)

W/B (%)

C1

C2

F/A

W

S

G

AE

38.8

220

176

44

171

424

854

4.05

where, W: water, B: Binder, C1: OPC, C2: Blast furnace slag cement, S : Sand, G: Gravel, F/A : Fly ash, AE: Air entrain admixture

3. 인장강화 실험

3.1 파괴형태 및 균열 간격

시험체 별 균열형태와 간격은 Fig. 6Table 4에 정리하였다. 균열간격은 4면에 발생한 균열의 평균간격을 정리하였으며, 2개 시험체의 간격을 모두 나타내었다. G13-100과 G13- 100-S 변수는 중앙부에 하나의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강섬유보강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비해 보강비가 높아진 G16-100과 G16-100-S변수는 2개 정도의 균열과 280 mm 내외의 균열간격을 나타내었다.

강도와 탄성계수가 유사한 BFRP 계열의 시험체는 균열 개수가 증가하고 간격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경증가(보강비 증가)에 따른 균열 개수 및 간격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CFRP 보강근은 BFRP 시험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체 시험체에서 일반콘크리트와 강섬유보강콘크리트 사이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섬유혼입률과 FRP보강비가 상대적으로 작았던 영향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6 Crack patterns of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3.27.6.47/fig6.png
Table 4 Crack spacing of tension stiffening specimens

Name

Crack spacing (mm)

Specimen 1

Specimen 2

G-13-100

500

377

G-13-100-S

500

500

G-16-100

276

280

G-16-100-S

278

289

B-13-100

179

333

B-13-100-S

254

241

B-16-100

161

174

B-16-100-S

170

251

C-13-100

271

250

C-13-100-S

209

200

3.2 하중-변형률 관계

인장강화 실험체의 하중-변형률관계는 Fig. 7에 정리하였다. GFRP 보강근은 직경에 따른 하중-변형률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장강화 시험체에서는 직경이 증가할수록 인장강화 현상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경 16mm GFRP 보강근의 경우 하중 40kN내외에서 초기균열이 발생한 후 2, 3차례정도 균열발생에 의한 하중등락이 발생하였으며, 이후에는 보강근의 강성과 유사하게 거동하다가 강성이 소폭 증가하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균열하중은 콘크리트의 평균인장강도 $f_{t}$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험방법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직경 13mm GFRP 시험체는 균열발생시 하중등락의 정도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6 mm 보강근과 비교하여 인장강화 효과는 다소 낮게 분석되었다.

BFRP 시험체의 균열하중은 30~40 kN 내외였으며, 13 mm 보강근 시험체의 균열하중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1차균열 발생후 하중의 등락은 크지 않았으며, 16 mm 시험체는 균열 안정화단계 이후 인장강화효과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13 mm 시험체의 인장강화효과는 GFRP 변수와 같이 16 mm 시험변수에 비하여 낮게 분석되었다. CFRP 변수는 국내에서 현재 제작가능한 13 mm 보강근에 대해서만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림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균열하중은 다소 낮았고, 균열발생이후 안정화된 거동과 일정한 정도의 인장강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보통콘크리트와 강섬유보강콘크리트의 차이는 GFRP 16 mm 변수와 CFRP 13 mm를 제외하고 섬유보강콘크리트의 인장강화효과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7 Composite behavior of tenssion stiffening specimens
../../Resources/ksm/jksmi.2023.27.6.47/fig7.png

3.3 인장강화효과

(4)에 의한 인장강화지수에 대해서는 GFRP와 BFRP 보강근에 대하여 Fig. 8에 정리하였다. 부착거동은 합성단면의 콘크리트 응력의 변화와 균열강도의 비로 표현되며, 균열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게 된다. GFRP의 경우 직경 13mm 균열발생후 선형감소하다가 추가균열 발생전후에서 증가후 다시 완만하게 감소하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SFRC 시험체의 경우에는 균열 발생에 따라 등락을 반복하면서 다소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직경 16 mm 보강근은 전체적으로 13 mm 변수와 비교하여 콘크리트의 인장강화 기여도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BFRP 보강근의 경우 초기 균열이후 인장강화정도가 GFRP에 비하여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직경이 작은 보강근의 인장강화 거동이 GFRP경우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fib model code 2010에 의한 인장강화거동은 Fig. 7에 정리하였으며, 콘크리트 인장강도는 실험시 수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최소인장강도(0.7$f_{c}$)로 가정하여 분석하였다. GFRP와 CFRP 보강근은 실험결과와 거의 유사하게 해석되었으며, BFRP 보강근은 실험결과보다 다소 낮게 해석되었다.

Fig. 8 Tension stiffening contribution
../../Resources/ksm/jksmi.2023.27.6.47/fig8.png

4. 결 론

콘크리트에 삽입된 FRP 보강근의 인장강화효과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정리하였다.

1. FRP 보강근의 인장강도는 제조사의 제시강도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GFRP와 BFRP $\phi$16mm 보강근의 탄성계수는 낮게 측정되어 부분적인 슬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2. 인장강화 시험체의 균열은 $\phi$ 13mm 변수에서는 GFRP 보강근보다 BFRP 보강근과 CFRP 보강근에서 보다 많은 균열이 발생하였으며, OPC와 SFRC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phi$ 16mm 보강근의 경우도 BFRP 보강근의 균열간격이 작게 분석되어 보다 효과적인 부착거동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섬유 거칠기가 상대적으로 높은 BFRP의 특성에 의해 부착 특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되며, CFRP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계수에 의한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3. 하중-변형률 관계에서는 GFRP보강근의 균열 발생에 따라 급격한 하중 등락을 반복하는데 비하여 BFRP와 CFRP 보강근에서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하중등락을 나타내었으며, 균열안정화 이후에는 일정수준의 인장강화효과를 나타내었다.

4. 인장강화 지수의 경우 보강근의 직경이 커질수록 강화지수는 작게 분석되었으며, 균열 발생후 급격히 감소한 후 점차 완만해지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fib model code에 의한 인장거동과 실험결과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탄성계수 및 인장강도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탄소 고분자 부식ZERO 철근대체재 기술개발 연구사업(21CFRP-C163399-01)의 지원에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American Concrete Institute (2003),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Concrete Reinforced with FRP Bars, ACI 440.1R-03, Farmington Hills, Michigan, USA.URL
2 
American Concrete Institute (2012), Guide test methods for fiber-reinforced polymer, ACI 440.3R-12, Farmington Hills, Michigan, USA.URL
3 
Bischoff, P. H. (2001), Effects of shrinkage on tension stiffening and cracking in reinforced concrete,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8(3), 363-374.DOI
4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CSA). (2010), “Specification for fibre-reinforced polymers.” CAN/CSA-S807, Rexdale, Ontario, Canada.URL
5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CSA). (2012), “Design and construction of building structures with fibre-reinforced polymers.” CAN/CSA S806-12, Rexdale, Ontario, Canada.URL
6 
Fergani, H., Di Benedetti, M., Oller, C. M., Lynsdale, C., and Guadagnini, M. (2018), Long-term performance of GFRP bars in concrete elements under sustained load and environmental actions, Composite Structures, 190, 20-31.DOI
7 
Gribniak, V., Kaklauskas, G., Torres, L., Daniunas, A., Timinskas, E., and Gudonis, E. (2013), Comparative analysis of deformations and tension-stiffening in concrete beams reinforced with GFRP or steel bars and fibers,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50, 158-170.DOI
8 
Ha, S. (2005). Direct Tensile Test of GFRP Bar Reinforced Concrete Prisms. In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pp. 323-326). Korea Concrete Institute (in Korean).URL
9 
Jang, N. S., Kim, Y. H., and Oh, H. S. (2021), Analysis of Failure Behavior of FRP Rebar Reinforced Concrete Slab based on FRP Reinforced Ratio,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5(5), 173-181.DOI
10 
Jang, N. S., Kim, Y. H., and Oh, H. S. (2023), Comparison of the Prediction of Effective Moment of Inertia of FRP Rebar- Reinforced Concrete by an Optimization Algorithm, Materials, 16(2), 621 (in Korean).DOI
11 
Kaklauskas, G., Tamulenas, V., Bado, M. F., and Bacinskas, D. (2018), Shrinkage-free tension stiffening law for various concrete grad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89, 736-744.DOI
12 
Kharal, Z., and Sheikh, S. (2017), Tension Stiffening and Cracking Behavior of Glass Fiber-Reinforced Polymer-Reinforced Concrete, ACI Structural Journal, 114(2).URL
13 
Nayal, R., and Rasheed, H. A. (2006), Tension stiffening model for concrete beams reinforced with steel and FRP bars,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18(6), 831-841.DOI
14 
Oh, H., Kim, Y., and Jang, N. (2019),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egradations of Material Properties of Vinylester/FRP Reinforcing Bars under Accelerated Alkaline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3(2), 51-59 (in Korean).DOI
15 
Rimkus, A., Barros, J. A., Gribniak, V., and Rezazadeh, M. (2019), Mechanical behavior of concrete prisms reinforced with steel and GFRP bar systems, Composite Structures, 220, 273-288.DOI
16 
Sim, J. S., Oh, H. S., Ju, M. K., and Lim, J. H. (2008), New Suggestion of Effective Moment of Inertia for Beams Reinforced with the Deformed GFRP Reba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0(2), 185-191 (in Korean).DOI
17 
Son, B. L., Kim, M. S., Kim, C. H., and Jang, H. S. (2013), Bond characteristic between lightweight concrete and GFRP ba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17(6), 112-121 (in Korean).DOI
18 
Sooriyaarachchi, H., Pilakoutas, K., and Byars, E. (2005), Tension stiffening behavior of GFRP-reinforced concrete, Special Publication, 230, 975-990.URL
19 
Taerwe, L., and Matthys, S. (2013), Fib model code for concrete structures 2010.URL
20 
Vilanova, I., Torres, L., Baena, M., Kaklauskas, G., and Gribniak, V. (2014), Experimental study of tension stiffening in GFRP RC tensile members under sustained load. Engineering structures, 79, 390-400.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