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QR Code QR COD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J Korea Inst. Struct. Maint. Insp.
  • Indexed by
  • Korea Citation Index (KCI)

  1. 학생회원,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스마트시티융합전공 석사과정
  2. 비회원,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스마트시티융합전공 석박통합과정
  3. 학생회원,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스마트시티융합전공 석사과정
  4. 종신회원,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교신저자



보도교 진동 평가, 오일러 비디오 증폭, 광학 흐름, 가속도, 고유진동수
Footbridge vibration evaluation, Eulerian video magnification, Optical flow, Acceleration, Natural frequency

1. 서 론

보도교는 횡단보도를 대체하여 교통 혼잡 문제를 완화할 수 있으며, 도시 미관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수행한다(Do and Yoon, 2014). 현대식 보도교는 이전보다 경량화된 설계를 채택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도시 경관과의 조화를 고려한 디자인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장식 요소나 비구조적 부자재가 구조물에 추가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Yoo et al., 2022).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은 구조물의 질량 분포 및 강성에 영향을 주어, 설계 당시 예측된 고유진동수와 실제 구조물의 동적 특성 사이에 차이를 초래한다(Šurdilović et al., 2022).

보도교 진동 문제의 대표적인 사례는 런던 Millennium Footbridge가 있다. 설계 당시 구조물의 강성, 고유진동수 등은 모두 기준을 만족했지만, 개통 직후 다수의 보행자가 통행하면서 발생한 진동이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인 약 0.8 Hz와 동기화되어 공진 현상이 발생하였고, 보강 공사를 위해 약 2년 동안 폐쇄되었다(Dallard et al., 2001).

보행자는 보도교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하여 불쾌감이나 불안감을 느낄 수 있으며, 가속도가 0.5-1.0 m/s2 이상일 경우 대부분의 사람은 불쾌감을 느낀다(Reiher and Meister, 1946). 또한, 진폭이 커질수록 보행자는 불쾌감을 느낄 가능성이 비선형적으로 증가한다(Chen et al., 2021). 보행 주파수가 구조물의 고유진동수에 근접할 경우, 공진 현상으로 인한 진폭 증폭이 발생하여 보행자의 불쾌감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Schweizer et al., 2024).

보도교의 진동 문제는 보행자의 사용성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지만, 구조물의 건전성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경량 보도교의 경우, 보행자와 구조물 간의 동적 상호작용이 구조물의 진동 모드에 실질적인 변화를 유발하며, 이는 공진에 의한 진폭 증폭이나 피로 누적의 원인이 될 수 있다(Fouli and Camara, 2024). 또한, 보도교에 균열이 존재할 경우, 보행자 하중에 의해 특정 고유진동수에서 진동 응답이 집중되며, 이는 구조물 내부의 손상 및 고유진동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Zhen et al., 2024).

도로설계기준(2010)에서는 보도교의 진동에 관한 명확한 규정이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서울특별시(2001)의 “시설물 설계⋅시공 및 유지관리 편람”에서는 수직 최대 가속도가 0.98 m/s2 이하, 그리고 수직 방향의 고유진동수가 2 Hz 전후(1.5-2.3 Hz)가 되지 않게 설계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보도교의 진동 계측은 여전히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구조물에 직접 센서를 부착하기 때문에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 비효율적이다. 최근에는 카메라를 통해 구조물을 모니터링하는 비접촉식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Jeon et al.(2024)Buoli et al.(2024)는 타겟 마커를 설치하고, 서로 다른 프레임에서 동일한 대상의 상대적인 위치 차이를 활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해당 지점의 변위를 계측하였다. 이 방법은 명확한 추적점을 제공하여 계측의 안정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지만, 결국 마커를 부착하기 위한 물리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Wang et al.(2024)는 고속으로 촬영된 영상에서 보도교의 세부 이미지를 캡쳐하여 3D 가상 모델을 생성하였고, 2개의 스테레오 카메라에서 2D 변위 벡터를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특징점이 부족한 표면에서도 계측 가능성을 보였지만, 정확한 측정을 위해 요구되는 카메라 보정과 높은 계산 비용은 실용적인 적용에 어려움을 준다. Xu et al.(2018)은 케이블 보도교의 다지점 변위를 가장자리 검출 기법을 사용하여 포착했지만 준공 도면에 기반한 복잡한 보정 절차가 필요하며, 미세 진동 계측 시에는 신호 대 잡음비가 낮아져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Fradelos et al.(2020)은 저비용 카메라와 단순화된 기법으로 보도교의 동적 거동을 분석하였으나, 계측 한계(약 15 mm)가 명확하여 미세 진동 기반의 사용성 평가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오일러 영상 증폭(Eulerian Video Magnification, EVM)기법을 활용하여 영상 기반의 보도교 진동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국내 설계 지침에 명시된 주파수를 기준으로써 영상 증폭 범위에 적용하였고, optical flow를 통해 변위를 계측하였다. 기존 연구에서의 계측 방법과는 다르게, 진동 사용성과 관련된 정보를 강조했고, 미세한 진동까지 증폭하여 정확한 계측을 가능했다는 점에서 차별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고가의 장비나 타겟 마커 없이 수행되었는데, 이는 실험에서 사용된 단일 스마트폰 영상의 Nyquist 주파수를 고려해 계측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취득한 데이터는 보도교 난간의 참조 길이를 기반으로 실세계 단위로 환산하였고, 파워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um Density, PSD) 분석을 통해 최대 수직 가속도 및 고유진동수를 도출하였다. 가속도 센서를 통해 계측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결과를 교차 검증하며, 제안하는 기법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2. 실험 계획 및 방법

2.1 실험 설계

본 실험은 수원시 천천동에 위치한 보도교에서 수행하였다. Fig. 1은 스마트폰 카메라와 가속도 센서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보도교의 입구로부터 가속도 센서는 약 50 m, 카메라는 약 40 m 거리에 배치했다. 본 실험에서 설정한 가진 주파수는 간접 하중, 반복 가진, 자유 보행 상황에서 진행한 사전실험을 통해 도출하였다. 여기서 취득한 데이터를 Welch PSD로 분석하였으며, 각 조건에서 도출된 고유진동수는 모두 1.875 Hz로 일치하였다(Table 1).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보행 주파수를 1.875 Hz에 근접하도록 가진 조건을 설정하였다.

Fig. 1 Sensor and camera installation setup

../../Resources/ksm/jksmi.2025.29.5.124/fig1.png

Table 1 Results of preliminary tests

Loading type

Accelerometer

(Model)

Natural frequency

[Hz]

Indirect loading

HC-06

(00:0C:BF:09:39:4A)

1.875

Repetitive jumping

1.875

Free walking

1.875

2.2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영상 기반의 변위 계측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본 실험에 사용된 스마트폰 카메라에 대해 카메라 캘리브레이션(camera calibration)을 수행하였다(Zhang, 2002). 본 연구에서는 내부 파라미터와 왜곡 계수, 그리고 외부 파라미터를 추정하여 카메라 모델을 식 (1)과 같이 수학적으로 보정하였다.

(1)
$s\bullet\begin{bmatrix}u\\v\\1\end{bmatrix}= K\bullet[R \vert t]\bullet\begin{bmatrix}X \\Y \\Z \\1\end{bmatrix}$

여기서, ($X$, $Y$, $Z$)는 월드 좌표계 상의 3차원 점, ($u$, $v$)는 이미지 평면 상의 2차원 점을 나타낸다. $K$는 카메라 내부 파라미터 행렬, $[R \vert t]$는 회전 행렬과 병합된 이동 벡터로 구성된 외부 파라미터 행렬, $s$는 스케일 계수를 의미한다.

캘리브레이션은 체커보드(checkerboard) 패턴을 활용하여 수행되었으며(Fig. 2), 각 코너 좌표가 정확히 인식되도록 고정된 위치에서 다양한 각도와 거리에서 촬영한 총 40장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파라미터를 추정하였다.

또한 보정된 카메라 파라미터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식 (2)와 같이 재투영 오류(reprojection error)를 계산하였으며, 이는 예측된 이미지 좌표와 실제 이미지 좌표 간의 평균 유클리드 거리 차이로 정의된다. 본 실험에서의 평균 재투영 오류는 0.47688 픽셀로 도출되었으며, 보정 결과가 신뢰 가능한 수준임을 보여준다(Scaramuzza et al., 2006). Fig. 3(a)는 원본 영상, Fig. 3(b)는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렌즈 왜곡이 보정된 영상의 프레임을 보여준다.

(2)
$\text{reprojection error} = \frac{1}{N} \sum_{i=1}^{N} \left\| x_i^{\text{measured}} - x_i^{\text{projected}} \right\|_2$

Fig. 2 Checkerboard pattern used for camera calibration

../../Resources/ksm/jksmi.2025.29.5.124/fig2.png

Fig. 3 Distortion-corrected image after camera calibration

../../Resources/ksm/jksmi.2025.29.5.124/fig3.png

2.3 오일러 영상 증폭

미세 진동 계측의 시각적 해석을 보완하기 위해 EVM 기법을 활용하였다. 이는 영상 내 각 픽셀의 시간 변화에 따른 밝기 진폭 변화를 분석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성분을 증폭함으로써 사람의 눈으로는 관찰하기 어려운 미세한 움직임을 가시화하는 기술이다(Wu et al., 2012).

국내 보도교 설계 지침상 피해야 할 진동수 구간인 1.5-2.3 Hz를 중심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여, 해당 주파수 영역만을 통과시키는 bandpass filter를 적용하였다. 이 범위 내의 진동 성분은 증폭되어 영상에서 움직임으로 표현되며, 반대로 이 범위를 벗어난 성분은 필터링되어 영상에서 거의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는다(식 (3)).

(3)
$\hat{I}(x,\: t)= I(x,\: t)+\alpha\bullet B(x,\: t)$

여기서 $I(x,\: t)$는 원본 영상의 픽셀값, $B(x,\: t)$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시간 필터링을 통해 추출된 신호, $\alpha$는 증폭 계수로 특정 진동 성분의 시각적 강도를 조절한다.

본 연구에서는 $\alpha$를 2부터 25까지 실험을 진행하였고, 최종 15로 설정하였으며, 이는 보도교의 미세한 움직임을 명확히 표현하면서도 왜곡 및 노이즈의 과도한 증폭을 방지할 수 있는 범위로 판단하였다. 영상 전처리 단계에서는 노이즈 영향을 최소화하고 신호 해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원본 RGB 영상을 그레이스케일(grayscale)로 변환한 뒤, 가우시안 블러(Gaussian blur)를 적용하여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였다. Fig. 4는 bandpass 필터링 및 증폭 계수 적용 후 생성된 결과로,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보도교의 미세한 진동이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것을 보여준다. Fig. 4(a)는 EVM을 적용하기 전, Fig. 4(b)는 EVM 기법을 적용한 결과 영상으로, 미세한 진동이 강조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Fig. 4 Comparison of the original and EVM-processed images highlighting subtle vibrations

../../Resources/ksm/jksmi.2025.29.5.124/fig4.png

2.4 데이터 수집

변위 추적에는 Lucas-Kanade Pyramid 방식의 optical flow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이는 Lucas and Kanade(1981)의 전통적인 방법을 개선한 것이다. 원본 영상을 다수의 해상도로 축소한 이미지 피라미드(pyramid)로 구성한 뒤, 가장 낮은 해상도부터 계산하고, 해당 결과를 더 높은 해상도의 초기 추정값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Wang and Yang, 2018).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식 (4)와 같이 영상 내 빠른 움직임이나 큰 변위도 안정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4)
$\begin{bmatrix}u\\v\end{bmatrix}=(\sum\begin{bmatrix}I_{x}^{2}&I_{x}I_{y}\\I_{x}I_{y}& I_{y}^{2}\end{bmatrix})^{-1}\bullet\sum\begin{bmatrix}-I_{x}I_{t}\\-I_{y}I_{t}\end{bmatrix}$

여기서 $I_{x}$는 x 방향의 밝기 변화율, $I_{y}$는 y 방향의 밝기 변화율을 나타낸다. Fig. 5에서는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 추적 개념을 보여주며, 왼쪽은 현재 프레임에서의 관심 지점, 오른쪽은 다음 프레임에서 동일 지점의 이동 결과를 보여준다.

데이터 취득을 위해 Fig. 6과 같이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 및 추적 점(tracking point)을 설정하여 시계열 픽셀 변위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Fig. 7에서 참조 길이를 활용한 스케일 보정 과정을 통해 실세계 단위로 환산하였으며, 이때 보도교 난간의 지주 제원을 기준으로 픽셀 당 약 0.048766 m의 변환 계수를 적용하였다.

실험은 총 세 번 진행하였으며, 각 실험에서의 가진 시간은 10초 이내로 설정하였다. Fig. 8은 optical flow를 통해 추정된 시계열 변위 데이터를 실세계 단위로 환산하고, 증폭 계수로 나누어서 데이터의 실제 스케일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통해 영상을 증폭하기 이전의 변위를 추정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른 구조물의 미세한 동적 응답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Fig. 5 Frame-to-frame pixel displacement

../../Resources/ksm/jksmi.2025.29.5.124/fig5.png

Fig. 6 Optical flow tracking point

../../Resources/ksm/jksmi.2025.29.5.124/fig6.png

Fig. 7 Railing dimensions

../../Resources/ksm/jksmi.2025.29.5.124/fig7.png

Fig. 8 Time-series displacement graph

../../Resources/ksm/jksmi.2025.29.5.124/fig8.png

3. 실험 결과

3.1 수직 최대 가속도

영상 증폭 후에 optical flow를 기반으로 획득한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도교의 수직 최대 가속도를 추정하였고, 계산 결과는 이와 동시에 계측된 두 개의 가속도 센서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피크값을 기준으로 $\pm 5$프레임 이내를 추출하여 각 센서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Fig. 9는 이 결과를 시각화한 그래프로, optical flow 방식이 두 센서 측정값과 유사한 진폭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해당 방식은 영상 증폭 시 적용한 bandpass filter의 영향으로 전체 진동 파형 중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 선택적으로 증폭되므로 전체 파형의 형태와는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으나, 피크값 결과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Fig. 9 Peak acceleration graph

../../Resources/ksm/jksmi.2025.29.5.124/fig9.png

3.2 고유진동수

영상 기반의 가속도 데이터는 Welch 방법을 적용하여 PSD를 계산했고, 이를 통해 보도교의 주요 고유진동수를 추정하였다. 동일한 방식으로 두 개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계측된 데이터에 대해서도 주파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영상 기반의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Fig. 10은 영상 데이터에서 수행된 세 번의 실험에 대한 PSD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피크 지점에서 영상 기반 데이터와 센서 기반 데이터의 고유진동수가 모두 약 1.875 Hz로 일치함을 보여준다. 해당 진동 응답이 영상 증폭 과정에서 설정한 bandpass 필터 범위에 존재하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구조물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포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Fig. 10 Power spectrum density graph

../../Resources/ksm/jksmi.2025.29.5.124/fig10.png

3.3 감쇠비

감쇠비는 구조물의 에너지 소산 능력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 감쇠비를 계산하는 과정에 영상 기반 데이터는 시계열 변위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센서에서 취득한 데이터는 시계열 가속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이는 각 계측 방식에서 취득한 원본 데이터를 최대한 보존하여 분석하기 위함이다. 감쇠비의 계산식에서는 로그 선형 회귀방식을 적용하였다(식 (5)). 이는 시계열 데이터의 연속된 두 개 피크값에서 감쇠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감쇠 진동의 진폭이 시간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한다는 물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5)
$x_{n}= x_{0}\bullet e^{-\delta\bullet n}$

여기서 $x_{n}$은 진동의 $n$번째 피크 진폭, $x_{0}$는 첫 번째 피크 진폭, $\delta$는 감쇠율, $n$은 피크 순서를 의미한다. 식 (5)에서 자연로그를 취하면 식 (6)과 같이 로그 선형 회귀 형태로 표현된다.

(6)
$\ln(x_{n})=\ln(x_{0})-\delta\bullet n ,\: \delta =\dfrac{2\pi\zeta}{\sqrt{1-\zeta^{2}}}$

이를 통해 $\delta$ 값을 회귀분석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 때 $\zeta$는 0.1 미만이고, 최종 감쇠비 $\zeta$는 식 (7)과 같이 진동 이론에 기반한 근사식으로 계산된다.

(7)
$\delta\approx 2\pi\zeta ,\: \zeta =\dfrac{\delta}{2\pi}$

Table 2는 위 식을 통해 계산된 감쇠비를 비교한 결과이다. 첫 번째 실험의 경우에는 감쇠비가 과다하게 계산되었는데, 이는 영상 증폭 과정에서 필터 범위 외의 신호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증폭되면서, 감쇠곡선이 왜곡된 것으로 보인다.

Table 3에서 3.1 수직 최대 가속도와 3.2 고유진동수에서 얻은 결과를 오차율과 함께 표로 정리했다. 총 세 번의 실험에서 수직 최대 가속도는 평균 오차 2.05%, 고유진동수는 0.00%의 정확도를 기록했다.

Table 2 Comparison of damping ratios (Unit: %)

Test No.

Accelerometer

Optical flow

1

0.29

0.69

2

0.11

0.15

3

0.42

0.42

Table 3 Summary of experimental results

Evaluation items

Test 1

Test 2

Test 3

Error average

[%]

Acceleration

Sensor

Optical

Flow

Acceleration

Sensor

Optical

Flow

Acceleration

Sensor

Optical

Flow

Peak acceleration [$m/s^{2}$]

1.20

1.18

1.27

1.28

0.81

0.84

2.05

Frequency [$Hz$]

1.875

1.875

1.875

1.875

1.875

1.875

0.00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EVM으로 증폭된 영상에서 optical flow를 통해 보도교의 변위 데이터를 계측하였다. 이와 동일한 시간 동안에 사용된 가속도 센서에서 계측된 데이터는 데이터 정합성 평가를 위한 지표로 활용되었고, 이 과정에서 수직 최대 가속도와 고유진동수를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도교의 특성에 맞는 EVM 기법 적용: 국내의 보도교 설계 지침에서 제시된 회피 주파수 범위를 선택적으로 증폭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진동 사용성 평가에서 핵심적으로 고려되는 성분을 정밀하게 계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영상 증폭 방법은 설계 기준을 반영하였고, 보도교 진동 사용성 평가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최대 수직 가속도 추정: 영상 기반의 데이터로부터 계산된 수직 최대 가속도 값은 두 개의 센서 측정값과 비교했을 때 평균 오차율이 2.05%이다. 이는 영상의 증폭과 optical flow를 활용한 수직 가속도 계산 방식의 유효성을 입증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고유진동수의 추정: Welch PSD 분석을 통해 영상 기반 데이터에서 계산된 고유진동수는 약 1.875 Hz이다. 이는 두 개의 가속도 센서에서 계측된 값과 일치하고, 영상 증폭 과정에서 설정했던 bandpass 필터 범위에도 포함된다. 따라서 영상 기반 계측은 구조물의 주요 진동 특성을 안정적으로 추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쇠비의 산정: 본 연구에서는 로그 선형 회귀 기반의 모델을 사용하여 감쇠비를 계산하였다. 이 방법은 센서와 유사한 수준의 감쇠비를 나타냈으며,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에너지의 특성을 영상 기반의 방법으로 정량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설계 기준을 반영한 확장 가능성: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계측 기법에서 영상 증폭은 주파수 대역을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기에 국내 보도교 설계 기준과 같은 특정 주파수 범위를 고려한 계측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향후 다양한 진동 특성을 가진 구조물의 모니터링에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비접촉식, 컴퓨터 비전을 활용한 보도교의 진동 사용성 평가를 연구하며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Optical flow의 한계점: 제안하는 계측 방법은 밝기 불변성을 가정하기 때문에 실외 환경에서의 조명 변화나 자동 노출 보정과 같은 요소는 계산 정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야외 촬영이나 장시간 촬영에서는 이 가정이 쉽게 성립되지 않아 추정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EVM 기법의 한계점: 설정한 증폭 주파수 대역 외의 노이즈나 비선형 움직임을 함께 증폭할 수 있고, 지나치게 높은 증폭 계수를 적용할 경우 영상의 품질 저하 및 왜곡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증폭 계수를 15로 설정하였지만 실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촬영 조건의 제한성: 본 연구에서는 단일 각도에서 촬영된 영상만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구조물의 전체적인 3차원 거동이나 움직이는 방향을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향후에는 다중 카메라 기반의 영상 계측 또는 3D 복원 기법과의 융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 계획으로 조명, 자동 노출 등과 같은 실외 환경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Co-Tracker 모델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현재는 단일 지점에 대한 진동 응답을 중심으로 진행했으나, 다중 지점에 대한 계측을 통해 구조물의 전체적인 동적 거동을 파악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처리 과정에서 밝기값의 시간적 변화를 통해 영상을 증폭하였지만, 향후 위상 기반의 증폭기법을 활용하여 미세한 움직임을 정밀하게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활용할 예정이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RS-2024-00336270)이고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RS-2025-02223612).

References

1 
Do, K. Y., and Yoon, S. W. (2014), Analysis of Natural Frequency According to Span of Foot-brid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26(5), 375-383 (in Korean).DOI
2 
Yoo, M. S., Kim, J. H., and Na, S. I. (2022), Effective Vibration Reduction of Footbridges Using Tuned Mass Damper(TMD), 34(5), 24-31 (in Korean).URL
3 
Šurdilović, M. S., Živković, S., and Milošević, M. (2022), Modelling of pedestrian-induced load in serviceability limit state analysis of footbridges,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Facta Universitatis, 20(1), 23-34.DOI
4 
Dallard, P., Fitzpatrick, A. J., Flint, A., Le Bourva, S., Low, A., RidsdillSmith, R. M., and Willford, M. (2001), The London Millennium Footbridge, Structural Engineer, 79(22), 17-21.URL
5 
Reiher, H., and Meister, F. J. (1946), The effect of vibration on people (translated from German, originally published in 1931), Forsch Gebeite Ingenieurwes, 2(1931), 381-386.URL
6 
Chen, D., Huang, S., and Wang, Z. (2021), A Theory of pedestrian-induced footbridge vibration comfortability based on sensitivity model, Advances in Bridge Engineering, 2(1), 24.DOI
7 
Schweizer, M., Fina, M., Wagner, W., Kasic, S., and Freitag, S. (2024), Uncertain pedestrian load modeling for structural vibration assessment in footbridge design, Engineering Structures, Elsevier, 311, 118070.DOI
8 
Fouli, M., and Camara, A. (2024), Human-structure interaction effects on lightweight footbridges with tuned mass dampers, Structures, Elsevier, 62, 106263.DOI
9 
Zhen, B., Lu, S., Ouyang, L., and Yuan, W. (2024), Assessment of Vertical Dynamic Responses in a Cracked Bridge under a Pedestrian-Induced Load, Buildings, MDPI, 14(9), 2997.DOI
10 
Jeon, G. Y., Kim, G. Y., and Yoon, H. C. (2024), Vision-Based Displacement Measurement of Pedestrian Suspension Brid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4.3, 157-166.DOI
11 
Buoli, E., Bassoli, E., Varzaneh, G. E., Ponsi, F., and Vincenzi, L. (2024), Vision-based dynamic monitoring of a steel footbridge, Journal of Physics: Conference Series, 2647(12), 122010.DOI
12 
Wang, F., Qin, W., Shimasaki, K., Ishii, I., and Matsuda, H. (2024), HFR-Video-Based 3-D Software Sensor for Bridge Displacement Monitoring, IEEE Sensors Letters, 8(10), 1-4.DOI
13 
Xu, Y., Brownjohn, J., and Kong, D. (2018), A non-contact vision-based system for multipoint displacement monitoring in a cable-stayed footbridge, Structural Control and Health Monitoring, 25(5), e2155.DOI
14 
Fradelos, Y., Thalla, O., Biliani, I., and Stiros, S. (2020), Study of lateral displacements and the natural frequency of a pedestrian bridge using low-cost cameras, Sensors, 20(11), 3217.DOI
15 
Zhang, Z. (2002), A flexible new technique for camera calibration,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22(11), 1330-1334.DOI
16 
Scaramuzza, D., Martinelli, A., and Siegwart, R. (2006), A toolbox for easily calibrating omnidirectional cameras, 2006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IEEE, 5695-5701.DOI
17 
Wu, H. Y., Rubinstein, M., Shih, E., Guttag, J., Durand, F., and Freeman, W. (2012), Eulerian video magnification for revealing subtle changes in the world,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TOG), 31(4), 1-8.DOI
18 
Lucas, B. D., and Kanade, T. (1981), An iterative image registration technique with an application to stereo vision, IJCAI’81: 7th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2, 674-679.URL
19 
Wang, Z., and Yang, X. (2018), Moving target detection and tracking based on Pyramid Lucas-Kanade optical flow, 2018 IEE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Vision and Computing (ICIVC), 66-69.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