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Korea Power Exchange(KPX), Korea)
  2.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angmyung University, Korea)



Correction factor, Flicker, IEC61000-4-15, Power quality, Weighting filter

1. 서론

대형 비선형 부하의 기동 및 정지는 전력 계통에 전압변동을 유발한다. 플리커는 전압변동의 영향으로 전등 부하에 발생하는 사람의 시각적인 불편함을 평가할 수 있는 전력품질 지표를 의미한다[1]. 국제적으로 플리커 평가 지표는 IEC에서 규정하는 단/장기 플리커 심각도 지수 Pst, Plt와 일본 및 국내에서 사용하는 10Hz 등가 플리커 지수 △V10이 사용되고 있다[2].

국내에서 사용되는 △V10은 플리커의 정확한 평가에 몇 가지 어려움이 존재한다. 첫 번째로 아크로를 제외한 대부분의 비선형 부하는 구형파 전압 변동이 발생하지만, △V10은 정현파 변동에 한정되어 개발된 방법이다. 두 번째로 측정방법과 알고리즘의 검증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다[3]. 마지막으로 플리커는 입력전압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평가되어야 하지만 △V10은 하나의 평가 방법만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계통에서 적절한 플리커 평가를 위해서는 IEC기반의 플리커 평가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IEC61000-4-15에는 플리커미터의 알고리즘 구성 및 검증에 관련된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이 때, IEC에서 규정하는 플리커미터의 입력전압은 유럽 및 미국 계통에 해당하는 230V/50Hz와 120V/60Hz에 대해서만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220V/60Hz를 사용하는 국내 계통에서는 IEC 기반의 정확한 플리커 측정이 불가능하며, IEC기반의 220V/60Hz 플리커 측정을 위해서는 플리커미터 알고리즘 구성 중 가중치 필터의 재설계가 필요하다. 하지만 가중치 필터의 재설계를 위해서는 많은 실험이 요구되며, 기존에 출시된 IEC 기반의 플리커미터를 이용할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자체적인 수정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IEC에서는 2010년 개정 버전(Edition 2)에서 ‘correction factor’를 이용하여 규정하지 않는 100V, 220V에 대한 측정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4].

220V/60Hz의 ‘correction factor’를 이용한 측정은 참조 전압에 해당하는 230V/60Hz의 플리커미터 설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IEC61000-4-15의 개정 이전(Edition 1)에는 230V/50Hz, 120V/ 60Hz 입력 전압에 대한 측정 방법만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개정 이전에 출시된 장비의 경우 220V/60Hz에 해당하는 참조전압 설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국내계통에서 이미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 개정 이전의 플리커미터 장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환산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220V/60Hz 계통에서 개정 이전의 IEC기반 플리커미터를 이용한 측정을 위해서, 개정 이전의 플리커미터 테스트를 통하여 장비의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활용하여 개정 이전의 플리커미터를 이용한 220V/60Hz 계통에서의 측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2. 개정 이전의 플리커미터 테스트

2.1 테스트의 구성

개정이전의 IEC 표준 기반 플리커미터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개정 이전에 출시된 3가지 종류의 상용 플리커미터(Power Xplore, Power Visa, Fluke-435)에 대한 테스트를 실시했다. 측정 테스트의 경우 개정 이후 규정하는 4가지 종류의 입력 전압에 대하여 실시했다. 개정 이전의 플리커미터 테스트를 위한 시스템 구성은 그림. 1과 같이 구성했으며,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발생기, Matlab simulation과 3가지의 플리커미터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발생기에서 생성된 동일한 테스트 신호에 대해서 Matlab simulation을 실시하며, 측정 결과의 기준 값으로 사용한다. 기준 값으로 사용되는 Matlab simulation은 IEC 규정에 따라 모든 테스트 신호에 대해서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본적인 구형파, 정현파 변동에 대한 테스트뿐만 아니라 IEC61000-4-15 Ed2에서 규정하는 고조파 및 상호고조파, 위상 변화, 일시적인 전압 변동 등 다양한 7가지 파형에 대해 모두 규정 오차 내의 값을 가지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Matlab simulation의 경우, 모든 규정 테스트를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샘플링 주파수 7680Hz의 샘플링 주파수를 사용하였다[5]. 또한 테스트에 사용되는 3가지 종류의 플리커미터는 모두 Matlab simulation 보다 높은 샘플링 주파수를 가지기 때문에 샘플링 주파수의 측정오차에 대한 영향은 미미하다.

그림. 1. 테스트 구성도

Fig. 1. Test Architecture

../../Resources/kiee/KIEE.2019.68.3.393/fig1.png

테스트는 Ed2에서 제시하고 있는 230V 50/60Hz, 120V 50/60Hz 4가지 입력전압에 대하여 각각 실행하였다.

일반적으로 플리커미터 테스트의 경우 IEC에서 규정하는 7가지 performance test를 모두 수행하지만, 연구에 사용된 신호발생기(751iX)의 경우 빠른 CPM(Change Per Minute)의 전압변동 생성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최대 20CPM에 대한 8가지 파형을 임의로 선정하여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2.2 테스트 결과

각 입력 전압에 따른 측정결과는 표 1~표 4와 같다. 이 때, Matlab simulation 결과는 테스트 신호에 대한 IEC기반의 정확한 플리커 측정값을 의미한다. 표 1~표 4의 플리커미터 측정 결과와 기준 값을 의미하는 Matlab simulation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입력 230V/ 50Hz, 120V/60Hz는 유사한 값을 가진다. 하지만 230V/60Hz, 120V/50Hz의 입력에 대해서는 큰 측정오차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과거 플리커미터의 경우 개정 이전의 IEC61000-4-15 ed1에 따라 개발되었기 때문에 규정되지 않는 입력전압에 대해서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다.

표 1. 230V/60Hz 시스템에서 테스트 결과

Table 1. Performance test result for 230V/60Hz system

Input signal

Power Xplore

Power Visa

FLUKE-435

Matlab

CPM

△V/V

1

9.38

2.509

2.580

2.48

2.9855

2

7.56

2.543

2.573

2.51

2.9928

4

3.00

1.266

1.261

1.25

1.4820

5

5.00

2.263

2.268

2.24

2.6731

7

5.01

2.575

2.586

2.55

3.0026

10

5.00

2.894

2.898

2.85

3.3986

15

3.00

1.983

1.983

1.95

2.3235

20

3.00

2.153

2.153

2.11

2.5185

표 2. 230V/50Hz 시스템에서 테스트 결과

Table 2. Performance test result for 230V/50Hz system

Input signal

Power Xplore

Power Visa

FLUKE-435

Matlab

CPM

△V/V

1

9.37

2.978

3.005

2.93

2.9786

2

7.56

2.958

3.023

2.97

3.0068

4

3.00

1.479

1.473

1.47

1.4809

5

5.00

2.643

2.651

2.67

2.6929

7

5.00

2.987

2.994

3.00

2.9958

10

5.00

3.404

3.362

3.37

3.3996

15

3.00

2.312

2.307

2.31

2.3258

20

3.00

2.509

2.509

2.50

2.5219

표 3. 120V/60Hz 시스템에서 테스트 결과

Table 3. Performance test result for 120V/60Hz system

Input signal

Power Xplore

Power Visa

FLUKE-435

Matlab

CPM

△V/V

1

5.73

2.976

2.972

3.07

3.0263

2

4.62

2.965

2.964

2.92

3.0298

4

3.00

2.402

2.394

2.36

2.4433

5

5.00

4.308

4.306

4.27

4.4083

7

3.05

2.968

2.967

2.93

3.0079

10

5.00

5.490

5.496

5.42

5.5882

15

3.00

3.770

3.769

3.71

3.8251

20

3.00

4.086

4.081

4.00

4.1484

표 4. 120V/50Hz 시스템에서 테스트 결과

Table 4. Performance test result for 120V/50Hz system

Input signal

Power Xplore

Power Visa

FLUKE-435

Matlab

CPM

△V/V

1

5.72

3.409

3.498

3.42

3.0197

2

4.61

3.456

3.451

3.46

3.0252

4

3.00

2.796

2.787

2.81

2.4464

5

5.00

5.031

5.02

5.04

4.4142

7

3.05

3.455

3.455

3.48

3.0076

10

5.00

6.406

6.403

6.40

5.5967

15

3.00

4.397

4.396

4.396

3.8278

20

3.00

4.767

4.764

4.764

4.1478

테스트에 사용된 플리커미터의 내부 측정 알고리즘을 분석하기 위해 오차가 큰 입력에 대하여 Matlab simulation의 가중치 필터 설정을 수정하여 표 5~표 6처럼 값을 비교하였다.

표 5. 230V/60Hz 시스템에서 가중치 필터에 따른 측정 결과

Table 5. Performance test result for 230V/60Hz system with the different weighting filters

Input signal

Power Xplore

Power Visa

FLUKE-435

Matlab

230V

120V

CPM

1

2.509

2.580

2.48

2.9855

2.5625

2

2.543

2.573

2.51

2.9928

2.5811

4

1.266

1.261

1.25

1.4820

1.2704

5

2.263

2.268

2.24

2.6731

2.2952

7

2.575

2.586

2.55

3.0026

2.5732

10

2.894

2.898

2.85

3.3986

2.9204

15

1.983

1.983

1.95

2.3235

1.9958

20

2.153

2.153

2.11

2.5185

2.1646

표 6. 120V/50Hz 시스템에서 가중치 필터에 따른 측정 결과

Table 6. Performance test result for 120V/50Hz system with the different weighting filters

Input signal

Power Xplore

Power Visa

FLUKE-435

Matlab

230V

120V

CPM

1

3.409

3.498

3.42

3.0197

3.5150

2

3.456

3.451

3.46

3.0252

3.5247

4

2.796

2.787

2.81

2.4464

2.8457

5

5.031

5.02

5.04

4.4142

5.1344

7

3.455

3.455

3.48

3.0076

3.5026

10

6.406

6.403

6.40

5.5967

6.5104

15

4.397

4.396

4.396

3.8278

4.4502

20

4.767

4.764

4.764

4.1478

4.8290

측정 결과에 따르면, 가중치 필터를 변경하였을 때 모두 1% 이내의 오차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테스트에 사용된 개정 이전의 플리커미터는 230V/60Hz에 대해서는 120V의 가중치 필터, 120V/50Hz에 대해서는 230V의 가중치 필터가 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개정이전의 플리커미터의 측정 알고리즘은 230V/50Hz, 120V/60Hz 구성만 존재하며, 230V/60Hz와 120V/50Hz의 필터를 설정할 수 없다. 즉, 국내계통에서 ‘correction factor’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230V/60Hz에 대한 측정이 필요하지만, 개정 이전의 플리커미터는 설정이 불가능하여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IEC에서 제시하는 ‘correction factor’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측정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3. 국내 배전계통에서의 플리커 측정

3.1 IEC 플리커미터의 가중치 필터

IEC61000-4-15에서 규정하는 플리커미터는 블록1~블록5로 구성되어 있다[4]. 각 블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참고문헌 [4][4]를 참고하기 바라며, 블록별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블록1은 입력전압 실효치를 장비의 내부 레벨로 낮추고, 전압순시치를 전압실효치로 나누어 정규화를 수행하며, 블록2는 블록1의 출력 신호를 제곱함으로써 전압신호에 포함된 변동성분을 추출하고 램프의 에너지응답을 모의한다. 블록3은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와 가중치필터로 구성되며, 계통전압의 크기와 주파수에 따라 그 사양이 달라진다. 블록4는 비선형적인 시감도 모의를 위한 제곱기와 기억작용을 모의하기 위해 시정수가 300msec인 1차 저대역통과필터가 사용된다. 블록5는 블록4의 출력값으로부터 주요 플리커 파라미터인 단/장기 플리커 심각도 지수 Pst, Plt를 계산하기 위한 통계적 분석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 전압에 따른 알고리즘 구성은 모두 동일하지만 block3 필터의 설정이 다르다. Block3는 그림. 2와 같이 가중치 필터와 대역통과 필터 2종류로 구성되어 있다. 대역통과 필터는 0.05Hz의 차단주파수를 갖는 고대역통과필터와 계통주파수에 따라 60Hz계통에 대해서는 42Hz, 50Hz계통에 대해서는 35Hz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 6차 버터워스 저대역통과필터로 구성되며, 가중치 필터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필터계수가 다르게 설정된다.

그림. 2. IEC 플리커미터의 믈록3 구성도[4]

Fig. 2. Diagram of Block 3 in IEC flickermeter[4]

../../Resources/kiee/KIEE.2019.68.3.393/fig2.png

가중치 필터는 플리커의 전구-눈-뇌에 대한 주파수 응답을 의미하며, 전압 플리커에 대한 전구 응답과 전구 플리커로 인한 시각적 응답으로 구성된다. 이 때, 전구 플리커로 발생하는 눈과 뇌의 응답은 입력 전압의 크기와 상관이 없지만 전압 플리커로 인한 전구 응답의 경우 정격 전압에 따른 전구 특성으로 인해 전압 크기 별로 다르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120V용 전구는 저항이 230V용 전구에 비해 저항 값이 작으며, 굵고 짧기 때문에 열시정수가 길고 조도변화가 적어 플리커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각의 전압에 따른 가중치 필터의 설계는 전구의 특성 실험을 통해 전구의 ‘Gain factor’ 및 시정수의 측정이 필요하다. ‘Gain factor’는 전압변화에 대한 조도 변화 특성을 의미하며, 미세한 전압 변화율에 대한 조도 변화율로 나타낸다. 시정수는 직류전압에 작은 크기의 정현파를 포함하여, 정현파의 주파수에 따른 ‘Gain factor’를 통해 계산된 차단주파수로 산정한다[6].

IEC에서 필터의 전달함수는 식 (1)과 같이 표현되며, 필터계수는 표 7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또한 그림. 3은 각 전압크기에 따른 가중치 필터의 주파수 크기응답을 나타낸다. 표 7그림. 3에서 230V, 120V에 대한 가중치 필터는 IEC에서 규정하고 있는 결과이며, 220V, 100V은 IEC와 유사한 실험을 통해 측정된 계수 및 형태를 의미한다[3,7].

(1)
$F(s)=\frac{k \omega_{1} s}{s^{2}+2 \lambda s+\omega_{1}^{2}} \times \frac{1+s / \omega_{2}}{\left(1+s / \omega_{3}\right)\left(1+s / \omega_{4}\right)}$

표 7. 가중치필터 계수

Table 7. Parameters of weighting filters

variable

230V

120V

220V

100V

$k$

1.74802

1.6357

1.7432

1.52067

$\lambda$

2$\pi$4.05981

2$\pi$4.167375

2$\pi$4.0878

2$\pi$4.05217

$w_ {1}$

2$\pi$9.15494

2$\pi$9.07169

2$\pi$9.1370

2$\pi$9.01508

$w_ {2}$

2$\pi$2.27979

2$\pi$2.939902

2$\pi$2.3383

2$\pi$4.12991

$w_ {3}$

2$\pi$1.22535

2$\pi$1.394468

2$\pi$1.2413

2$\pi$1.68945

$w_ {4}$

2$\pi$21.9

2$\pi$17.31512

2$\pi$20.3807

2$\pi$18.9417

그림. 3. 가중치필터

Fig. 3. Weighting filters

../../Resources/kiee/KIEE.2019.68.3.393/fig3.png

3.2 Correction factor

가중치 필터의 재설계는 많은 테스트 과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IEC61000-4-15 Ed2의 부록 B에서는 규정되지 않은 전압 환경에서 간단한 보정을 통해 측정이 가능하도록 표 8의 ‘correction factor’를 제시하고 있다. 표 8과 같이 참조 전압에 대한 측정 Pst에 선정된 ‘correction factor’를 곱하여 측정 하고자 하는 전압 수준에 대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IEC표준에 따르면, 가중치 필터 수정을 통한 측정 대신 ‘correction factor’의 사용은 오차가 3%에서 5%까지 증가하지만, 장비의 재설계가 필요 없으므로 효율적인 방법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개정된 IEC표준에서는 220V/60Hz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표 8. 상이한 전압조건에 대한 보정계수

Table 8. Correction factors for different voltage conditions

Voltage and Frequency

Correction factor

Reference Table

220V - 50Hz

0.97

230V - 50Hz

100V - 50Hz

0.90

120V - 50Hz

100V - 60Hz

0.90

120V - 60Hz

전압의 주파수는 대역통과 필터의 차단주파수에 영향을 주며, ‘correction factor’는 가중치 필터를 보정하는 계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국내의 220V/60Hz 계통에서는 참조 전압 230V/60Hz 측정 결과에 0.97을 곱하여 측정할 수 있다.

3.3 220V/60Hz 시스템에 대한 환산계수 산정

개정 이전의 장비에 대한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230V/ 50Hz, 120V/60Hz 입력에 대해서만 정확한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IEC에서 규정하는 ‘correction factor’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230V/60Hz의 측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개정 이전의 플리커미터는 120V/50Hz와 230V/ 60Hz의 두 종류의 옵션만이 있으므로, 60Hz 입력전압에 대해서는 120V/60Hz로 설정하고 수동으로 230V에 대한 가중치 필터를 설정하더라도 대역통과 필터의 설정이 50Hz에 맞게 설정되어 오차가 발생한다. 가중치 필터를 보정하는 ‘correction factor’와 유사한 원리를 이용하기 위해서 차단주파수가 동일한 120V/60Hz에 대한 측정값을 사용하였다. 120V/60Hz 설정으로 대역 통과 필터의 차단 주파수는 220V/ 60Hz와 동일하게 설정되므로 가중치 필터에 대한 환산 계수 설정을 해주면 된다. ‘correction factor’와 유사한 원리를 이용하기 위해서 IEC에서 규정하고 있는 'correction factor'를 실험으로 측정된 220V, 100V 가중치 필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3가지 방법으로 환산 계수를 계산하였으며, 규정하고 있는 ‘correction factor’ 값과 비교하였다.

Method 1. CPM에 따른 전체 환산 계수의 평균

Method 2. 8.8Hz에 대한 환산 계수

Method 3. 7가지 performance test에 대한 환산계수 평균

방법 1은 60Hz 기준 대역통과 필터 영역인 0~42Hz (0~5,040 cpm)에 대하여 각 cpm에 따른 크기응답에 대한 전체 환산 계수의 평균값을 사용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IEC 기반의 플리커 측정은 8.8Hz의 전압변동이 발생했을 때 가장 큰 플리커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방법 2는 전압변동이 발생한 신호에 대해서 8.8Hz 성분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중치 필터의 8.8Hz 크기 응답의 비교를 이용할 수 있다. 방법3은 IEC61000-4-15에서 플리커미터 검증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는 7가지 performance test에 대한 환산계수의 평균값을 사용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방법1~3을 이용한 환산 계수 계산 결과는 표 9와 같다. 방법1~3에 의한 결과와 ‘correction factor’을 비교했을 때 방법3의 결과와 가장 유사하므로, 120V에서 230V로의 가중치 필터에 대한 환산 계수는 1.23을 사용할 수 있다.

표 9. 다양한 방법에 따른 보정계수의 비교

Table 9. Comparison of correction factors

Method 1

Method 2

Method 3

Correction factor (IEC Std.)

230V$\longrightarrow$220V

0.95

0.97

0.97

0.97

120V$\longrightarrow$100V

0.87

0.87

0.90

0.90

120V$\longrightarrow$230V

1.36

1.28

1.23

-

계산된 230V의 환산 계수에 IEC에서 규정한 ‘correction factor’ 0.97을 곱하면 220V에 대한 환산 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가중치 필터의 재설계 없이 220V/60Hz의 국내 계통 시스템에서 플리커 측정 시, 개정 이전의 구형 플리커미터를 120V/ 60Hz로 설정하고, 측정한 결과에 1.23을 곱해줌으로써 230V/ 60Hz로 환산이 가능하고, 다시 0.97을 곱해줌으로써 최종적으로 220V/60Hz로 환산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개정 이전의 구형 플리커미터를 우리나라 계통에서 사용할 경우, 측정 옵션을 120V와 60Hz로 설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1.19(=1.23*0.97)’를 곱해줌으로써 가중치 필터의 재설계 없이 220V/60Hz에 해당하는 플리커 측정이 가능하다.

4. 결 론

국내 계통에 대한 적절한 플리커 평가를 위해서는 IEC 플리커 평가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 하지만 IEC에서는 220V/60Hz에 대한 측정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측정 방법의 수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플리커미터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IEC61000-4-15 Ed2에 따라 검증된 Matlab simulation을 이용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테스트 결과 개정 이전의 플리커미터의 경우 230V/50Hz, 120V/60Hz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IEC에서는 개정 이후 규정하지 않는 전압에 대하여 ‘correction factor’을 이용한 측정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개정 이후에 개발된 장비의 경우 230V/60Hz 측정값에 0.97을 곱하여 국내계통에 대한 플리커 측정이 가능하지만 개정 이전의 장비의 경우 테스트 결과처럼 230V/60Hz에 대한 설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IEC에서 규정하는 ‘correction factor’와 유사한 원리를 이용하여 120V에서 230V으로의 환산 계수를 산정하였다.

결과적으로 IEC기반의 플리커미터를 이용한 국내 계통 측정 시, 개정 이후의 장비의 경우 230V/60Hz 설정 후 측정결과에 0.97를 곱하고, 개정 이전의 장비의 경우에는 120V/60Hz 설정 후 측정결과에 1.19의 환산 계수를 곱하여 Pst 측정이 가능하다. 환산계수의 사용은 기존에 출시된 플리커미터에 대해서 가중치 필터의 수정 및 재설계 없이 사용자에 의해 보정 후 측정이 가능하여 유용하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8년도 상명대 교내선발과제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연구로서, 관계부처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IEC61000-3-7 Ed2 , 2002,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 Assessment of emission limits for the connection of fluctuating load installations to MV, HV and EHV power systems, IECGoogle Search
2 
Arlt Detmar, Stark Maike, Eberlein Christian, October 2007, Examples of International flicker requirements in high voltage networks and real world measurements, 9th Inter- national Conference. Electrical Power Quality, BarcelonaDOI
3 
Yukihira K., 2000, Problems of estimation technique for voltage fluctuation and research subjects – comparison between △V10 meter and IEC flickermeter, Komae Research Laboratory Rep. No.T99041Google Search
4 
IEC61000-4-15 Ed2 , 2010,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EMC) – Testing and measurement techniques Flickermeter – Functional and design specifications, IECGoogle Search
5 
Gutierrez J. J., Leturiondo L. A., Ruiz J., Oct. 2011, Effect of the Sampling Rate on the Assessment of Flicker Severity Due to Phase jumps,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26, No. 4, pp. 2215-2222DOI
6 
Cai R., Jan. 2009, Flicker interaction studies and flickermeter improvement, Technische Universiteit Eindhoven University of TechnologyDOI
7 
Cho S. H., Jang G., Kwon S. H., Joo PS. K.K, 2009, Measure- ment and testing specifications of voltage flicker in 220V/60Hz power systems, IET sci. Meas. Technol, Vol. 3, No. 2, pp. 113-122DOI

저자소개

신 훈 철 (Hoon-Chul Shin)
../../Resources/kiee/KIEE.2019.68.3.393/au1.png

1993년 2월 22일생

2017년도 상명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공학사)

2018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에너지그리드학과 졸업(공학석사)

2018~현재 전력거래소(KPX) 중앙전력관제센터 근무

E-mail : hqxs93@kpx.or.kr

조 수 환 (Soo-Hwan Cho)
../../Resources/kiee/KIEE.2019.68.3.393/au2.png

1976년 10월 28일생

2002년 고려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공학사)

2002~ 2004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근무

2009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공학박사)

2009~ 2011년 한국원자력연구원 선임연구원

2011~ 2017년 상명대학교 에너지그리드학과 조교수

2017~현재 상명대학교 전기공학과 부교수

Tel : 02-781-7503

E-mail : shcho@sm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