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Myonji University, Korea)
  2.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Korea)



22.9kV Bus Differential Protection, Differential Current Error, GOOSE, IEC 61850, Time Synchronization Error, Measurment Timing Error

1. 서 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변전소 자동화에 대한 표준인 IEC 61850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IEC 61850은 변전소 자동화를 위한 표준으로서, IEC 61850 Edition 2로 개정되면서 변전소뿐만 아니라 유틸리티 전반으로 범위가 확장되었다. IEC 61850은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과 달리, 단순한 통신 프로토콜이 아니라 통신 서비스를 적용하기 전의 장치와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국전력공사는 2013년 이후 새로 건설되는 154kV 디지털 변전소를 IEC 61850 기반 장치들을 사용한 변전소로 구축하고 있다(1).

IEC 61850 표준은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로 SV (Sampled Value), GOOSE (Generic Object Oriented Substation Event)를 정의하고 있다[2-3]. 일반적으로 전압 및 전류 데이터는 프로세스 버스의 머징유닛을 통해 보호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로 전송되고 [4-5], 보호 요소에 따라 GOOSE를 이용하여 트립신호를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는 페이저 데이터를 취득하여 중앙 보호 장치에서 후비보호를 수행하는 station bus 기반의 중앙집중식 후비보호 시스템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각 보호 IED의 계측값이 중앙보호장치로 전송되어야 하며 네트워크 트래픽 문제와 후비보호인 점을 고려하여 페이저 데이터를 교환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페이저의 경우 순시 데이터에 비해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통신 트래픽도 감소시킬 수 있다. 로컬 IED에서 중앙보호장치로 페이저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은 GOOSE를 사용하였다. GOOSE의 경우 이벤트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일정한 주기로 페이저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재전송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GOOSE의 주기적인 전송을 위하여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게 하는 statistical calculation model을 이용하였다. Statistical calculation model은 PMU 모델링 및 하루 중의 최대 전력, 최소 전력 및 누적 전력량 등 여러 통계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한국의 154kV 변전소는 22.9kV 모선 보호를 하지 않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 배전선로 보호용 과전류 보호 IED와 변압기 보호 IED로부터 전류 및 전압 페이저 데이터를 취득하여 중앙보호장치에서의 22.9kV 모선보호 방식을 제안한다. 각 보호 IED간의 시각동기 오차가 발생하면 전류차동 보호의 오부동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타임스탬프 및 모선전압과 보간을 이용하여 측정시각 오차와 기준시각 오차를 보상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OMAP- L138이 탑재되어 있는 SGI EVM(Smart Grid Infrastructure Evaluation Module)에 SISCO 사의 MMS-ease-lite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IEC 61850 기반 가상 IED를 구현하였으며 PSCAD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2. GOOSE를 이용한 페이저 데이터 교환

2.1 IEC 61850 GOOSE와 데이터셋

GSE(Generic Substation Event) 모델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물리적 장치에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6). 데이터 교환은 publish-subscribe 기반이다. GOOSE는 이벤트 기반으로 전송되며 데이터셋에 FCD (Functionally Constrained Data)와 FCDA (Functionally Constrained Data Attribute)을 지원한다. 표 1은 GOOSE 메시지의 구조를 보여준다. GOOSE는 데이터셋에 의해 참조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 멤버가 변화할 경우 Publish 되어야 한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StNum (State Number)는 1씩 증가하게 되고 SqNum (Sequence Number)는 0으로 리셋된다. 그리고 다음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SCL 파일에 정의된 재전송 주기에 따라 SqNum이 1씩 증가한다. GOOSE는 재전송을 지원하기 때문에 패킷이 손실되더라도 다음 재전송 패킷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되며,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표 1. GOOSE 메시지 구조

Table 1. GOOSE message definition

Parameter name

Parameter type

DatSet

ObjectReference

GoID

VISIBLE STRING129

GoCBRef

ObjectReference

T

TimeStamp

StNum

INT32U

SqNum

INT32U

Simulation

BOOLEAN

GOOSE Data [1…n]

Defined by CDC

페이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셋은 그림 1과 같이 설정하였다. 그림 1은 전류차동 모선보호를 위해 A상 전압 및 전류를 데이터셋으로 설정하였으며, 실제 보호를 위해서 3상 전류 및 전압이 포함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저전압 요소뿐만 아니라 모선전압을 이용하여 기준시각 오차를 보상하기 때문에, 각 IED가 자기 회선의 전류와 22.9kV 모선의 전압을 계측하고 있다고 가정하였다. 수신 측인 중앙보호장치에서는 GOOSE 데이터를 분석하여 보호에 사용하기 위해, SCL 파일을 참조하였다. 그리고 GOOSE는 데이터셋의 멤버 값이 변경되면 publish 하므로, GOOSE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statistical calculation model을 이용하였다.

그림. 1. A상 전압 및 전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셋

Fig. 1. Dataset for A-phase current and voltage data exchange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1.png

2.2 Statistical Calculation Model

GOOSE는 데이터가 변경되면 즉시 전송되므로 일정한 주기로 전송할 수 없다. 하지만 데이터의 업데이트 주기를 설정할 수 있는 Statistical Calculation Model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GOOSE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그림 2는 IED에서 계측에 관련된 논리노드의 구조를 보여주며, MMXU에 페이저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림. 2. 페이저 데이터 교환의 흐름

Fig. 2. Flow of phasor data exchange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2.png

MMXU의 페이저 데이터를 GOOSE의 데이터셋으로 설정하게 되면 매 샘플링마다 데이터가 갱신되므로 샘플링 주기에 맞춰서 전송된다. 아주 짧은 시간 동안 많은 패킷을 전송하는 것은 네트워크 부하를 가중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고려한 시스템은 그림 3과 같은 중앙집중식 후비보호 시스템에서 모선보호를 수행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긴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방법으로 기존 보호 IED의 악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 갱신이 가능한 statistical calculation model을 사용하였다. Statistical calculation model을 사용하기 위하여는 MMXU에 그림 4과 같이 ClcMod, ClcIntvPer 그리고 ClcIntvType을 포함시켜야 한다. 후비보호 시간 내에 모선보호를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 업데이트 주기는 50ms로 설정하였다. 50ms 주기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ClcMod는 PERIOD로 설정하고 ClcIntvPer는 50, ClcIntvType은 ms로 설정하였다. 그림 5는 statistical calculation model을 사용하여 전류 페이저의 크기의 최댓값을 업데이트하는 예시이다. ClcMth는 MAX로 설정되어 있고, t1과 t2 시점 사이에 전류의 최댓값을 t2의 시각과 함께 업데이트한다.

그림. 3. 중앙집중식 후비보호 시스템의 구조

Fig. 3. Centralized backup protec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3.png

그림. 4. Statistical calculation model 사용을 위한 데이터 객체 추가

Fig. 4. Adding data object to MMXU for using statistical calculation model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4.png

그림. 5. 최댓값을 구하기 위한 statistical calculation model(7)

Fig. 5. Statistical calculation model for calculating the maximum value(7)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5.png

3. 보간을 이용한 시각동기 오차 보상

SNTP(Simple Network Time Protocol) 시각동기 하에서 시각동기 정확도는 약 1ms로 연구되어 있다(8-9). 1ms의 오차는 전류차동 모선보호 방식에서 오부동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보호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반드시 보상되거나 더 정밀한 시각동기가 필요하다.

3.1 IED간 시각동기 오차에 따른 영향 분석

그림 6는 시각동기 오차에 따른 전류차동 보호 방식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PSCAD 모델이다. 부하는 2.5%의 부하변동과 1초 동안 10%의 부하감소 상황이 동시에 발생했을 경우를 모의하였다. IED1은 변압기 2차측의 CT에 연결된 IED이고 22.9kV 모선에 접속된 IED2, IED3은 피더보호용 과전류 IED이다. 만약 모선보호 IED가 존재하여 모선에 연결된 모든 CT의 데이터를 하나의 IED에서 동시에 취득한다면 ADC에 의한 측정동기 오차만이 발생한다. 하지만 statistical calculation model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갱신할 때, SNTP 시각동기 하에 최대 1ms 정도의 오차가 있으므로 타임스탬프가 같더라도 실제 1ms 만큼의 시각동기 오차로 인한 기준시각 오차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중앙집중식 전류차동 모선보호 시 오부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림. 6. 22.9kV 모선보호를 위한 PSCAD 모델링

Fig. 6. PSCAD modeling for 22.9kV bus protection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6.png

그림 7은 보호범위 외부에서 1선 지락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차동전류를 보여준다. 시각동기 및 CT 오차 등이 없는 이상적인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차동전류는 영이 된다. 하지만 1ms의 시각동기 오차로 인해 차동전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8은 차동전류와 억제전류의 비를 보여준다. 고장 전후의 정상상태에서 1ms 오차로 인해 약 19%의 차동전류 오차가 발생하고 보호범위 내의 고장이 아님에도 내부고장으로 판단하여 전류차동 모선보호의 오동작이 발생한다. 그림 9는 외부 최대 고장전류를 기준으로 한 전류차동 동작곡선이다. 10%로 정정하였을 경우 오동작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7. 외부고장 시 시각동기 오차에 따른 차동전류

Fig. 7. Differential current by time synchronization errors during external L-G fault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7.png

그림. 8. 외부고장 시 시각동기 오차에 따른 차동전류 비율

Fig. 8. Differential current ratio by time synchronization errors during external L-G fault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8.png

그림. 9. 외부고장 시 시각동기 오차에 따른 동작곡선

Fig. 9. Operation curve by time synchronization errors during external L-G fault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9.png

시각동기 오차에 따른 정량적인 페이저의 벡터 에러를 비교하기 위해 TVE (Total Vector Error)를 사용하였다. TVE는 그림 10과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이상적인 페이저와 측정된 페이저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TVE는 식 (1)과 같이 계산된다 (10).

(1)
$TVE(n)=\sqrt{\dfrac{((x_{r}(n)-X_{r}(n))^{2}+((x_{i}(n)-X_{i}(n))^{2}}{(X_{r}(n))^{2}+(X_{i}(n))^{2}}}$

$x_{r}(n)$과 $x_{i}(n)$은 측정된 페이저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의미하고 $X_{r}(n)$과 $X_{i}(n)$은 이상적인 페이저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의미한다. 이를 이용하여 시각동기 오차의 보상 전과 후의 TVE를 분석하였다.

그림. 10. Total vector error

Fig. 10. Total vector error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10.png

2.2 보간을 이용한 시각동기 오차 보상

시각동기 오차는 전류차동 보호의 올바른 동작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시각동기 오차 보상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1차 라그랑주 보간법을 이용하였으며 n차 라그랑주 보간법 일반식은 식 (2)와 같다.

(2)
$$ f_{n}(x)=\sum_{i=0}^{n} L_{i}(x) \times f\left(x_{i}\right) $$

여기서 $L_{i}(x)$는 다음과 같다.

(3)
$$ L_{i}(x)=\prod_{i=0, j \neq i}^{n} \frac{x-x_{j}}{x_{i}-x_{j}} $$

페이저는 위상과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각각에 대하여 보간을 하여야 한다. 여기서 통계 계산 모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주기인 측정시각, 즉 데이터 갱신시각은 동기화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측정시각 오차 보상을 위한 보간이 한 번 필요하다. 그림 11은 측정시각 동기화를 위한 보상 방법을 보여준다. 페이저 데이터의 갱신 시각은 MMXU 속성 중 t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해당 시각을 참조하여 보간을 수행한다. 급격한 크기나 위상의 변화가 있지 않는 한 선형으로 근사화할 수 있고, 데이터의 타임스탬프 간격이 50ms이므로 고차 라그랑주 보간은 오차를 크게 유발시킨다. 따라서 1차 보간인 선형보간을 사용하여 시각동기 오차를 보상한다. 위상의 경우 180˚에서 -180˚로 변화하는 구간이 발생하므로 이 구간에서는 360˚만큼 더하여 불연속 구간을 보상한 후 보간을 수행한다.

그림. 11. 측정시각 오차 보상

Fig. 11. Compensation of measurement timing errors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11.png

측정시각 오차를 보상 후 22.9kV 모선보호를 위한 기준시각 오차를 보상하여야 한다. 각 IED의 기준시각 오차 값은 그림 12와 같이 가장 늦은 전압 위상을 기준으로 나머지 위상에 대한 위상차를 구하여 계산할 수 있다. 기준시각 오차가 없다면 데이터 갱신 시각인 측정시각을 보상하면 모선에 연결되어 있는 IED에서 계측된 전압의 위상은 전부 같아야 한다. 하지만 1ms 오차는 60Hz 계통에서 21.6˚의 위상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기준시각 오차는 식 (4)의 Degree 단위와 60Hz 전력 계통이 고려된 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해당 식으로 구해진 기준시각 오차의 값을 이용하여 그림 13과 같이 전류데이터의 보간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전류차동을 수행하게 된다.

(4)
$Sync_{dt=}\dfrac{1}{60\times 360}Sync_{d\theta}$

그림. 12. 모선전압에 의한 기준시각 오차 계산

Fig. 12. Calculation of time synchronization error by bus voltages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12.png

그림. 13. 시각동기 오차에 의한 전류 페이저의 보상

Fig. 13. Compensation of phasor by time synchronization errors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13.png

알고리즘 순서도는 그림 14와 같다. 먼저 데이터를 수신 후 측정시각 오차를 보상한다. 다음 단계에서는 가장 느린 전압을 기준으로 시각동기 오차를 계산한 후, 전압 위상이 같아지는 시점으로 전류 페이저 데이터를 보간함으로써 전류차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림. 14. 알고리즘 순서도

Fig. 14. Flowchart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14.png

2.3 시험환경 및 결과

2.3.1 시험환경

시험환경 구성을 위하여 SISCO사의 MMS-ease-lite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IEC 61850 가상서버를 구현하였다. 중앙보호장치 1대와 측정값을 전송하는 3개의 가상 IED를 구성하였고 PSCAD 시뮬레이션을 통해 추출한 데이터를 입력으로 사용하였다. IED1, IED2 그리고 IED3는 중앙보호장치로 GOOSE를 이용하여 페이저 데이터를 전송하였다.

IED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는 TI사의 SGIEVM을 사용하였다. SGIEVM은 OMAP-L138이 탑재되어 있으며 데이터 취득 장치, 보호 IED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플랫폼이다(11). OMAP-L138은 dual-core SoC(System on Chip)이며 DSP core와 ARM core가 탑재되어 있다. 가상 IED 애플리케이션은 ARM 측에 구현하였다. 그림 15와 같이 각 가상 보호 IED는 이더넷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페이저 데이터를 중앙보호장치로 전송하고, 중앙보호장치에서 시각동기 오차를 보상한 후 전류차동을 수행하였다.

그림. 15. 시험환경

Fig. 15. Test environment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15.png

2.3.1 시험결과

본 논문의 주요 목표는 고장 전후 정상상태 구간에서 차동전류의 오차를 줄이는 것이다. 그림 16에서 0.5s에 1선 지락고장이 발생했을 때 보간을 적용하면 TVE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장 발생 후 과도 구간에서 오차가 있으나 3cycle 이후 수신되는 데이터를 사용하면 0.002%로 감소하므로 후비보호 시스템에서는 충분한 성능을 보여준다. 그림 17에서도 TVE 감소에 따른 차동전류 에러 감소와 전류차동 보호 동작을 위한 차동전류의 비율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8는 전류차동 동작곡선을 보여준다. 최종적으로 차동전류가 0으로 수렴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2그림 17에 대한 결과 값을 보여준다.

그림. 16. 외부고장 시 보상 전후의 TVE

Fig. 16. TVE before and after L-G fault with compensation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16.png

그림. 17. 외부고장 시 보상 전후의 차동전류 비율

Fig. 17. Differential current ratio before and after L-G fault with compensation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17.png

그림. 18. 외부고장 시 보상 전후의 전류차동 동작곡선

Fig. 18. Differential current curve before and after L-G fault with compensation

../../Resources/kiee/KIEE.2019.68.8.965/fig18.png

표 2. 보상 전후의 차동전류 비율

Table 2. Results without and with compensation

Time [s]

Differential Current Ratio [%]

Without Compensation

With Compensation

0.40

19.51

0

0.45

18.66

0

0.50 (L-G Falut)

79.66

37.79

0.55

19.51

0.002

0.60

19.51

0.002

0.65

19.51

0.002

3. 결 론

데이터 교환 방법과 시각동기화 된 측정은 IEC 61850 기반 중앙집중식 모선보호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GOOSE를 이용한 페이저의 주기적인 취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1ms의 시각동기 오차가 발생하면 전류차동보호 시, 차동전류 에러가 발생하므로 외부고장 시 내부고장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고장으로 판단하여 보호 IED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모선으로부터 공급받고 있는 부하단 전체의 정전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류차동형 22.9kV 모선보호 후비보호를 위해 각 IED로부터 모선전압을 취득하여 중앙보호장치에서 시각동기오차를 보상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시험 결과에 따르면, 보간을 이용하여 시각동기오차 보상 후 차동전류의 오차가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외부고장 시 내부고장으로 판단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밀한 시각동기 환경이 아니더라도 모선전압과 보간을 이용하여 후비보호 시간 내에 전류차동 방식의 모선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하드웨어 기반의 실시간 성능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Grant number: R17XA05‐2)

∙ This research was supported in part by the Human Resources Program in Energy Technology of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and granted finan- cial resources from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Republic of Korea (No. 20174030201790).

References

1 
S. K. Kim, May 2018, The situation and Future of the Technology for IEC 61850 based Subsation Automation System in Korea, The 18th IERE General Meeting and Japan ForumGoogle Search
2 
IEC TC-57, April 2012, IEC 61850-1 Ed.2 : Communication Networks and System for utility automation — Part 1:introduction and overview, http://www.IEC.ch/Google Search
3 
D. S Ouellette, M. D. Desjardine, p. A. Forsyth, March 2010, Using a Real Time Digital Simulator to Affect the Quality of IEC 61850 GOOSE and Sampled Value Data, 10th IET Inter- national Conference on Developments in Power System Protection (DPSP 2010)DOI
4 
Mitalkumar G. Kanabar, Tarlochan S. Sidhu, April 2011, Performance of IEC 61850-9-2 Process Bus and Corrective Measure for Digital Relaying,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26DOI
5 
David M. E. Ingram, August 2013, Perfomance Analysis of IEC 61850 Sampled value Process Bus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informatics, Vol. 9DOI
6 
IEC TC-57, June 2011, IEC 61850-8-1 Ed.2 : Specific communication service mapping(SCSM) — Mappings to MMS (ISO/IEC 9506-1 and ISO/IEC 9506-2) and to ISO/IEC 8802-3, http://www.IEC.ch/Google Search
7 
IEC TC-57, March 2011, IEC 61850-7-2 Ed.2 : Basic communication structure — Abstract communication service interface (ACSI), http://www.IEC.ch/Google Search
8 
IEC TC-57, July 2017, IEC 61850-7-500 Ed.1 : Use of logical nodes for modeling application functions and related concepts and guidelines for substations, http://www.IEC.ch/Google Search
9 
JV HU, GAO XIN-HUA, 2008, Application of Time Synchroni- zation System Based on Sntp in Digital Substation, 2008 Chin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ity Distribution (CICED)DOI
10 
IEEE, 2011, IEEE Std C37.118.1 : IEEE Standard for Synchrop- hasor Measurments for Power Systems., https://ieeexplore. ieee.org/document/6111219Google Search
11 
TI, , OMAP-L138 Device Infomation, http://processors.wiki. ti.com/index.php/Category:OMAP-L138/Google Search

저자소개

송명훈 (Myeong-Hoon Song)
../../Resources/kiee/KIEE.2019.68.8.965/au1.png

Song, Myeong-Hoon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Myongji Univer-sity, South Korea in 2017.

He is currently M.S candidate in Myongji University and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Protection, Control and Automation.

이남호 (Nam-Ho Lee)
../../Resources/kiee/KIEE.2019.68.8.965/au2.png

Lee, Nam-Ho received the B.S and M.S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the Myongji University, South Korea in 1998, 2001, and 2011.

Since 2006, He is senior researcher in KEPCO Research Institute (KEPRI) and interests include Conformance test of IEC 61850 and Substation Automation System.

Also, he is an active member of IEC WG10.

남순열 (Soon-Ryul Nam)
../../Resources/kiee/KIEE.2019.68.8.965/au3.png

Nam, Soon-Ryul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in 1996, 1998, and 2002. Currently, he is Professor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Myonji University and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Protection, Control and Automation.

Tel : 031-330-6361

E-mail : ptsouth@mj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