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Ph.D. candidat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Korea)



Grounding System, Large-Scale, Lightning, Lightning Induced Overvoltage, Photovoltaic, PV Plant

1. 서 론

최근 화석연료 고갈 및 기존 발전소(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탄소 배출량이 환경적인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연구와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태양광발전소(PV Plant)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중에서도 가장 주목을 받고 있으며, 국내 뿐만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세계 태양광발전소 시장은 저유가와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15%~20% 정도의 높은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연간 신규 태양광발전소 보급량이 100GWp 시대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 태양광발전소 시장은 태양광주택보급사업(2004년~) 및 발전사업차액지원제도(2001년~2011년) 등을 통해 본격적으로 보급이 확대되었으며, 2012년 RPS(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제도를 도입한 이후에 태양광발전소 보급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1].

이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태양광발전소 보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낙뢰로 인한 태양광발전소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2005년~2014년까지 태양광발전소 전체 피해 중 낙뢰로 인한 피해가

대규모(MWp급) 태양광발전소는 효율적인 작동을 위해서 대부분 장애물이 없는 산악지역 및 넓은 나대지에 설치된다. 그러나 산악지역 및 넓은 나대지에 설치한 태양광발전소는 낙뢰로부터 노출되어 있을 뿐만아니라 태양광발전소 수명(모듈 수명 : 20~25년)을 고려하면 수명 기간 동안 낙뢰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3]. 특히, 낙뢰 시 발생하는 낙뢰 유도 과전압으로 인하여 수리 또는 교체를 할 경우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대규모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변압기, 인버터, 접속반, 분전반 등)가 손상될 수 있다[4].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태양광발전소에 적용되는 접지시스템 방식별(개별접지, 통합접지) 및 중요설비 개소 구성별(1개소, 2개소)에 따른 낙뢰 시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낙뢰 시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에서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을 CDEGS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으로 접지시스템 방식별 및 중요설비 개소 구성별로 비교하였다.

2. 이 론

접지전극의 접지임피던스를 계산하기 위해서 안테나이론에 바탕을 둔 포클링턴방정식에 모멘트법을 적용하여 접지전극에 흐르는 전류분포를 계산한다. 그리고 주파수 영역의 포클링턴방정식과 시간 영역의 낙뢰 전류 파형에 대한 계산을 위해서 FFT(Fast Fourier Transform) 및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 form)을 통하여 낙뢰 유도 과전압을 계산한다[5-6].

2.1 포클링턴방정식

접지전극의 전류분포를 계산하기 위해서 입체적인 접지전극을 가는 선으로 가정하는 가는선 근사법(thin wire approximation) 및 접지전극의 저항성분이 없다고 고려한 완전도체(perfect con- ductor) 가정을 적용한다. 그 이유는 맥스웰의 전자방정식에서 유도되는 포클링턴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단순화하기 위해서이다[7-8].

그림 1은 안테나 모델을 적용한 접지전극의 치수 및 세그먼트의 분할을 나타낸 것이다[9].

여기서 $L$은 접지전극의 길이, $a$는 접지전극의 반경이다.

그림 1 안테나 모델

Fig. 1 Model of Antenna

../../Resources/kiee/KIEE.2019.68.8.1017/fig1.png

맥스웰의 전자방정식은 전류의 함수인 스칼라전위($\phi$)와 벡터자위($A$)로 표현이 가능하다. 전류$I(r')$와 전하 $\sigma(r')$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극 표면의 한 점 $r$에서의 산란 전계 $E^{s}(r)$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9].

(1)
$E^{s}(r)= -jw A(r)-\nabla\phi(r)$

식(1)에 안테나 모델을 이용하여 벡터자위 및 전위에 대한 수식을 적용하면 식(2)와 같은 입사 전계 $E_{z}^{i}$에 대한 포클링턴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9].

(2)
$E_{z}^{i}=\dfrac{j}{w\varepsilon_{eff}}\int_{-L/2}^{L/2}I_{z}(z')\left[\dfrac{\partial^{2}}{\partial z^{2}}+k^{2}\right]\dfrac{e^{-jkr}}{4\pi r}dz'$

$$I_{z}(z') : 접지전극의 전류분포$$

$$k : 대지에서의 전파 속도$$

여기서 $r =\sqrt{(z-z')^{2}+a^{2}}$이며, $\varepsilon_{eff}$는 토양의 유전율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유효 유전율(Effective Permittivity)이다.

선형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고 전자장 문제를 다루는데 많이 사용되는 모멘트법을 포클링턴방정식의 해를 구하는데 적용하였다. 모멘트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식(2)의 포클링턴방정식은 식(3)과 같이 표현된다[10].

(3)
$\sum_{i=1}^{n}[Z]_{ji}[I]_{i}=[V]_{j}j=1,\:2,\:...,\:n$

$$n : 접지전극 세그멘트의 전체수$$

여기서 $[Z]_{ji}$는 $i$번째 세그먼트의 소스에 의한 $j$번째 세그먼트의 관측점에서 상호임피던스 매트릭스를 나타내며, $I$는 구하고자 하는 각 위치에서의 전류밀도이다[11]. 상호임피던스는 접지전극의 형상, 토양의 특성, 주파수에만 의존하는 값이다[6]. 접지전극 전체의 전류분포가 결정되면, 접지전극의 전압 $V^{s}(z)$는 식(4)로 계산된다[6].

(4)
$V^{s}(z)= -\dfrac{1}{j4\pi w\varepsilon}\int_{0}^{L}\dfrac{\partial I_{z}(z')}{\partial z'}\dfrac{e^{-jkr}}{4\pi r}dz'$

2.2 낙뢰 유도 과전압 계산

낙뢰 유도 과전압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계산된 접지임피던스와 낙뢰 전류의 곱셈 과정이 필요하다. 계산된 접지임피던스는 주파수 영역의 결과이기 때문에 시간영역의 낙뢰 전류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식(5)와 같이 시간 영역의 낙뢰 전류에 대해서 FFT를 하고 접지임피던스와 곱해주면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압 $V(f)$를 구할 수 있다[12-14].

(5)
$V(f)= Z(f)\times I(f)= Z(f)\times FFT[i(t)]$

$$Z(f) : 주파수 영역의 접지임피던스$$

$$I(f) : 주파수 영역의 낙뢰 전류$$

$$i(t) : 시간 영역의 낙뢰 전류$$

식(5)를 통해 얻은 주파수 영역의 전압은 IFFT를 통해서 시간 영역에서의 전압 $v(t)$를 구할 수 있다.

(6)
$v(t)= I FFT\{Z(f)\times FFT[i(t)]\}$

식(6)의 전압은 낙뢰 전류의 파형에 따른 접지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낙뢰 유도 과전압이 된다.

3. 시뮬레이션 구성

3.1 낙뢰 전류 파형

본 논문의 시뮬레이션에 적용한 시간 영역의 낙뢰 전류 $i(t)$는 이중 지수 함수(Double Exponential Function)로 표현이 가능하며, 수식은 식(7)과 같다[15].

$I_{0}$는 임펄스 진폭(amplitude)을 결정하는 상수이며, $\alpha ,\:\beta$는 임펄스 상승 시간을 결정하는 상수이다.

(7)
$i(t)= I_{0}(e^{-\alpha t}- e^{-\beta t}),\: t\ge 0$

그림 2는 CDEGS 프로그램의 FFTSES 모듈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에 적용한 낙뢰 전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I_{0}$= 30kA, $\alpha$ = 1.4×10s, $\beta$ = 6×10s을 적용하였으며, 1/50㎲ 파형이다[16].

그림 2 낙뢰 전류 파형

Fig. 2 Waveform of Lightning Surge Current

../../Resources/kiee/KIEE.2019.68.8.1017/fig2.png

3.2 대규모(MWp급) 태양광발전소의 접지시스템 모델링

대규모 태양광발전소에 적용되는 접지시스템 방식(개별접지, 통합접지)에 따른 낙뢰 시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접지시스템 방식별로 모델링하였다. 또한 접지시스템 방식별 중요설비 개소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고자 중요설비를 1개소 및 2개소로 구성하였다.

표 1은 22.9kV-Y 배전선로 및 연계선의 주요 사양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22.9kV-Y 배전선로 및 연계선 주요 사양

Table 1 Major specifications of 22.9kV-Y distribution line and interconnection line

구분

전선종류

공칭 단면적

[$\mathrm{mm}^{2}$]

외경

[mm]

전기저항

[Ω/km]

상도체

강심 알루미늄 절연전선

(ACSR/AW-OC)

160

15.4

0.183

중성선

강심 알루미늄 연선

(ACSR)

95

12.6

0.301

연계선

난연 동심중성선 케이블

(22.9kV FR-CNCO-W)

60

9.3

0.305

태양광발전소 접지시스템 모델링은 CDEGS 프로그램의 HIFREQ 모듈을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태양광발전소 설치 면적은 31,500m, 용량은 2MWp로 구성하였으며, 태양광발전소가 설치된 곳의 대지저항률은 135Ω・m로 설정하였다[17]. 낙뢰 시 태양광발전소에 연결된 22.9kV-Y 배전선로(상도체 및 중성선) 및 연계선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서 주요 사양을 태양광발전소 접지시스템 모델링에 적용하였다[17-18].

3.2.1 대규모(MWp급) 태양광발전소의 개별접지 모델링

그림 3은 개별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이며, 일반적으로 현재 설치하여 운용중인 중요설비가 1개소인 경우로 구성하였다. 중요설비는 전력이 공급되는 태양광발전소 인입구 부분에 1개소를 설치하였다. 낙뢰 전류 인가 지점은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와 가장 인접한 지점으로 설정하였다. 접지시스템 구성은 접지선(나동선 50mm) 및 접지봉(동봉, Ø19× 2400mm) 총 375개로 구성되어있으며, 접지시스템의 접지저항값은 약 2.5Ω이다.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와 가장 인접한 지점에 낙뢰 전류 인가 시 개별접지를 적용한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에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을 검토하고자 한다.

그림 3 개별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중요설비 1개소 구성)

Fig. 3 Modeling of 2MWp PV Plant applied with Isolation Grounding (composition of one critical facility)

../../Resources/kiee/KIEE.2019.68.8.1017/fig3.png

그림 4는 중요설비가 2개소(중요설비 ①, 중요설비 ②)인 경우 개별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이며, 각 중요설비는 연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중요설비 ① 및 중요설비 ②는 각각 1MWp의 용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력이 공급되는 태양광발전소 인입구 부분 및 말단 부분에 각각 1개소를 설치하였다. 낙뢰 전류 인가 지점은 그림 3과 동일하게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 ①과 가장 인접한 지점으로 설정하였다. 접지시스템 구성은 접지선(나동선 50mm) 및 접지봉(동봉, Ø19×2400mm) 총 378개로 구성되어있으며, 접지시스템의 접지저항값은 약 2.5Ω이다.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 ①과 가장 인접한 지점에 낙뢰 전류 인가 시 개별접지를 적용한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 ① 및 중요설비 ②에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을 검토하고자 한다.

그림 4 개별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중요설비 2개소 구성)

Fig. 4 Modeling of 2MWp PV Plant applied with Isolation Grounding(composition of two critical facility)

../../Resources/kiee/KIEE.2019.68.8.1017/fig4.png

표 2는 개별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의 접지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2 개별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의 접지시스템 구성

Table 2 Grounding system configuration of 2MWp PV Plant modeling with Isolation Grounding

구분

개별접지

접지시스템 구성

중요설비 1개소

중요설비 2개소

접지선

(나동선 50$\mathrm{mm}^{2}$)

총 5,948m

총 5,958m

접지봉

외형

(명칭)

../../Resources/kiee/KIEE.2019.68.8.1017/table2.png (동봉)

사이즈

Ø19×2400mm

수량

375개

378개

접지저항

약 2.5Ω

약 2.5Ω

3.2.2 대규모(MWp급) 태양광발전소의 통합접지 모델링

그림 5는 통합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이며, 일반적으로 현재 설치하여 운용중인 중요설비가 1개소인 경우로 구성하였다. 중요설비는 전력이 공급되는 태양광발전소 인입구 부분에 1개소를 설치하였다.

낙뢰 전류 인가 지점은 그림 3과 동일하게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와 가장 인접한 지점으로 설정하였다.

접지시스템 구성은 Mesh 접지극(나동선 50mm) 및 접지봉(퍼라이트 접지모듈, Ø260×1000mm) 총 8개로 구성하였다. Mesh 접지극 및 접지봉은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에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을 낮추기 위해서 중요설비 부분에 집중적으로 적용하였다. 통합접지로 구성하였을 때 접지시스템의 접지저항값은 약 0.39Ω으로 확인되었다.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와 가장 인접한 지점에 낙뢰 전류 인가 시 통합접지를 적용한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에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을 검토하고자 한다.

그림 5 통합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중요설비 1개소 구성)

Fig. 5 Modeling of 2MWp PV Plant applied with Common Grounding(composition of one critical facility)

../../Resources/kiee/KIEE.2019.68.8.1017/fig5.png

그림 6은 중요설비가 2개소(중요설비 ①, 중요설비 ②)인 경우 통합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이며, 각 중요설비는 연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중요설비 ① 및 중요설비 ②는 각각 1MWp의 용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력이 공급되는 태양광발전소 인입구 부분 및 말단 부분에 각각 1개소를 설치하였다.

낙뢰 전류 인가 지점은 그림 3과 동일하게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 ①과 가장 인접한 지점으로 설정하였다.

접지시스템 구성은 접지선(나동선 50mm) 및 접지봉(퍼라이트 접지모듈, Ø260×1000mm) 총 12개로 구성되어있다. Mesh 접지극 및 접지봉은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에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을 낮추기 위해서 중요설비 부분에 집중적으로 적용하였다. 통합접지로 구성하였을 때 접지시스템의 접지저항값은 약 0.36Ω으로 확인되었다.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 ①과 가장 인접한 지점에 낙뢰 전류 인가 시 통합접지를 적용한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 ① 및 중요설비 ②에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을 검토하고자 한다.

표 3은 통합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의 접지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6 통합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중요설비 2개소 구성)

Fig. 6 Modeling of 2MWp PV Plant applied with Common Grounding(composition of two critical facility)

../../Resources/kiee/KIEE.2019.68.8.1017/fig6.png

표 3 통합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의 접지시스템 구성

Table 3 Grounding system configuration of 2MWp PV Plant modeling with Common Grounding

구분

통합접지

접지시스템 구성

중요설비 1개소

중요설비 2개소

Mesh 접지극

(나동선 5$\mathrm{mm}^{2}$)

총 1,318m

총 1,342m

접지봉

외형

(명칭)

../../Resources/kiee/KIEE.2019.68.8.1017/table3.png (퍼라이트 접지모듈, NEP 인증 제품)

사이즈

Ø260×1000mm

수량

8개

12개

접지저항

약 0.39Ω

약 0.36Ω

4. 시뮬레이션 결과

4.1대규모(MWp급) 태양광발전소의 개별접지 시뮬레이션 결과

그림 7은 개별접지 및 중요설비 1개소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중요설비와 가장 인접한 지점에 낙뢰 전류 인가 시 중요설비에서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은 약 195kV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저압 전기설비에서 요구되는 정격 임펄스 내전압은 최고 12kV 이하이다[19].

개별접지 및 중요설비 1개소를 적용한 경우 낙뢰 시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에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으로 설비 손상 등의 물적,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그림 7 개별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시뮬레이션 결과(중요설비 1개소 구성)

Fig. 7 Simulation results of 2MWp PV Plant applied with Isolation Grounding (composition of one critical facility)

../../Resources/kiee/KIEE.2019.68.8.1017/fig7.png

그림 8은 개별접지 및 중요설비 2개소(중요설비 ①, 중요설비 ②)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중요설비 ①과 가장 인접한 지점에 낙뢰 전류 인가 시 중요설비에서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은 중요설비 ①은 약 184kV, 중요설비 ②는 약 65kV로 확인되었다.

그림 8 개별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시뮬레이션 결과(중요설비 2개소 구성)

Fig. 8 Simulation results of 2MWp PV Plant applied with Isolation Grounding (composition of two critical facility)

../../Resources/kiee/KIEE.2019.68.8.1017/fig8.png

개별접지 및 중요설비 2개소를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중요설비의 임펄스 내전압보다 높은 과전압이 유도되어 설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중요설비 1개소를 적용한 경우보다 중요설비 2개소를 적용한 경우 중요설비에 발생하는 낙뢰 유도 과전압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2대규모(MWp급) 태양광발전소의 통합접지 시뮬레이션 결과

그림 9는 통합접지 및 중요설비 1개소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중요설비와 가장 인접한 지점에 낙뢰 전류 인가 시 중요설비에서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은 약 78kV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9 통합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시뮬레이션 결과(중요설비 1개소 구성)

Fig. 9 Simulation results of 2MWp PV Plant applied with Common Grounding (composition of one critical facility)

../../Resources/kiee/KIEE.2019.68.8.1017/fig9.png

그림 10 통합접지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시뮬레이션 결과(중요설비 2개소 구성)

Fig. 10 Simulation results of 2MWp PV Plant applied with Common Grounding (composition of two critical facility)

../../Resources/kiee/KIEE.2019.68.8.1017/fig10.png

통합접지 및 중요설비 1개소를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중요설비의 임펄스 내전압보다 높은 과전압이 유도되어 설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개별접지 및 중요설비 1개소를 적용한 경우보다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에 발생하는 낙뢰 유도 과전압은 약 117kV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10은 통합접지 및 중요설비 2개소(중요설비 ①, 중요설비 ②)를 적용한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중요설비 ①과 가장 인접한 지점에 낙뢰 전류 인가 시 중요설비에서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은 중요설비 ①은 약 77kV, 중요설비 ②는 약 7.4kV로 확인되었다.

통합접지 및 중요설비 2개소를 적용하였을 경우 중요설비 ①은 임펄스 내전압보다 높은 과전압이 유도되어 설비에 영향을 미치지만 중요설비 ②는 보호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요설비 ① 및 중요설비 ②는 각각 1MWp의 용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중요설비 ①이 손상되어도 중요설비 ②의 용량 1MWp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통합접지 및 중요설비 2개소를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4.3 안전전압(보폭전압 및 접촉전압) 시뮬레이션 결과

표 4는 CDEGS 프로그램의 MALT 모듈을 이용하여 2MWp 태양광발전소 접지시스템 모델링에 대한 안전전압(보폭전압 및 접촉전압)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IEEE Std. 80-2000의 계산식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하였다[20]. 고장 전류는 825A(1선 지락 고장 전류의 20\%), 고장 지속시간은 배선용차단기(MCCB)의 차단시간을 감안한 최대 0.5sec로 설정하였으며, 태양광발전소가 설치된 기초 부분의 비저항 및 깊이는 3,000Ω・m, 0.1m로 설정하였다(17,20).

표 4에서 보는바와 같이 통합접지는 모두 허용 전앖 기준값에 적합하였지만 개별접지는 접촉전압이 허용 전압 기준값에 부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4 안전전압(보폭전압 및 접촉전압)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4 Simulation results of Safety Voltage (Step Voltage and Touch Voltage)

구분

개별접지

통합접지

허용 전압 기준값

중요설비

1개소

중요설비

2개소

중요설비

1개소

중요설비

2개소

보폭전압

2,159.5V

835.35V

835.35V

5.42V

5.14V

접촉전압

656.9V

966.71V

966.71V

16.34V

13.55V

5. 경제성 분석

표 5는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의 접지시스템 공사비를 나타낸 것이다. 단, 22.kV-Y 배전선로 및 연계선의 비용을 제외한 접지시스템 공사비를 산출하였다.

개별접지를 적용한 경우 중요설비 개소 구성별 접지시스템 공사비는 중요설비 1개소를 구성한 경우보다 중요설비 2개소를 구성한 경우 약 0.6\% 증가하였다. 통합접지를 적용한 경우 중요설비 개소 구성별 접지시스템 공사비는 중요설비 1개소를 구성한 경우보다 중요설비 2개소를 구성한 경우 약 8.6\% 증가하였다. 중요설비 1개소를 구성한 경우 접지시스템 공사비는 개별접지보다 통합접지가 약 63.9\% 감소하였으며, 중요설비 2개소를 구성한 경우 개별접지보다 통합접지가 약 55.9\% 감소하였다.

표 5 2MWp 태양광발전소 모델링의 접지시스템 공사비

Table 5 Grounding system construction cost of 2MWp PV Plant modeling

구분

개별접지

통합접지

접지시스템

구성

중요설비

1개소

중요설비

2개소

중요설비

1개소

중요설비

2개소

총 공사비

약 99.4%

100%

약 35.5%

약 44.1%

6. 결 론

본 연구는 낙뢰 전류 인가 시 2MWp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에서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을 CDEGS를 활용한 시뮬레이션으로 접지시스템 방식별(개별접지, 통합접지) 및 중요설비 개소 구성별(1개소, 2개소)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MWp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와 가장 인접한 지점에 낙뢰 전류 인가 시 중요설비에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은 개별접지 및 중요설비 1개소를 적용한 경우보다 통합접지 및 중요설비 1개소를 적용하였을 경우 약 117kV 감소하였다.

(2) 개별접지는 중요설비 1개소 및 중요설비 2개소를 적용하였을 경우 모두 중요설비와 가장 인접한 지점에 낙뢰 전류 인가 시 중요설비의 임펄스 내전압보다 높은 과전압이 유도되어 설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3) 통합접지는 중요설비 1개소를 적용하였을 경우 중요설비와 가장 인접한 지점에 낙뢰 전류 인가 시 중요설비의 임펄스 내전압보다 높은 과전압이 유도되어 설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중요설비 2개소를 적용하였을 경우 중요설비 ①은 임펄스 내전압보다 높은 과전압이 유도되어 설비에 영향을 미치지만 중요설비 ②는 보호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 안전전압(보폭전압 및 접촉전압) 시뮬레이션 결과 통합접지는 모두 허용 전압 기준값에 적합하였지만, 개별접지는 접촉전압이 허용 전압 기준값에 부적합하였다.

(5) 접지시스템 공사비는 개별접지보다 통합접지를 적용할 경우 평균 약 60\%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낙뢰 시 2MWp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에 발생하는 낙뢰 유도 과전압으로부터 중요설비 보호를 위한 접지시스템 방식은 개별접지보다 통합접지가 적합하며, 중요설비는 2개소를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통합접지 및 중요설비 2개소를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낙뢰 전류 인가 시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에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으로부터 중요설비를 완벽하게 보호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낙뢰 시 대규모 태양광발전소 중요설비에서 발생하는 최대 낙뢰 유도 과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접지시스템 뿐만아니라 피뢰침 및 서지보호장치(Surge Protective Device) 설치 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ETEP)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MOTIE) of the Republic of Korea (No. 20179310100050)

References

1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2017, Solar Power Plnat Guide Book, pp. 25-26Google Search
2 
DEHN+SÖHNE, 2016, Risk Mitigation through Lightning Protection, pp. 1-12Google Search
3 
J. G. Park, J. H. Kim, 2018, Appraisal of Solar Photovoltaic Systems: Reality and Solution, Korea Appraisal Society, Vol. 17, No. 2, pp. 5-37Google Search
4 
C. Y. Cho, 2014, Research on the lightning protection and ground design technologies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M.Sc. Thesis, School of Electrical and Electric Wave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p. 74-76Google Search
5 
S. C. Cho, B. H. Lee, 2013, Numerical Calculation of Longitudinal Current Distribution in Grounding Electrode for Analyzing the Grounding Impeda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7, No. 1, pp. 46-52DOI
6 
B. H. LEE, S. C. Cho, 2013, Calculation of Electric Potential Rise of Horizontal Grounding Electrode Caused by Lightning Stroke Curre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7, No. 12, pp. 81-86DOI
7 
W. C. Gibson, 2008, The method of moments in electromagnetics, Chapman & Hall/CRC, pp. 33-79DOI
8 
S. Y. Kim, 2009, Engineering Electromagnetics, SciTech, Second Edition, pp. 180-200Google Search
9 
C. H. Ahn, 2018, Calculation Techniques for Transient Potential Rise of Ground Electrode to Select a Proper Impulse Withstand Voltage of Communication Facilities,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55, No. 4, pp. 551-556Google Search
10 
R. F. Harrington, 1968, Field computation by moment methods, Macmillan, pp. 1-21Google Search
11 
P.Dragan, R. Vesna, 1997, The integral equation method for ground wire input impedance, Integral methods in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 pp. 139-143Google Search
12 
L. Grcev, F. Dawalibi, 1990, An electromagnetic model for tran- sients in grounding systems, IEEE Trans. Power Delivery, Vol. 5, No. 4, pp. 1773-1781DOI
13 
L. Grcev, 2009, Modeling of grounding electrode under lightning currents, IEEE Transactions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Vol. 51, No. 3, pp. 559-571DOI
14 
D. Roubertou, J. Fontaine, 1984, Harmonic input impedance of earth connections, Proc.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pp. 717-720DOI
15 
V. Doric, D. Poljak, V. Roje, 2004, Transient analysis of the grounding electrode based on the wire antenna theory, En- gineering analysis with boundary elements 28, pp. 801-807DOI
16 
F. P. Dawalibi, W. Ruan, S. Fortin, 1995, Lightning Transient Response of Communication Towers and Associated Grounding Networks, Proc.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 tromagnetic Compatibility, Vol. , No. , pp. 95-102Google Search
17 
H. J. Kim, 2013, A Study on the Solar Power Distribution Grid and the Protection Relay, M.Sc., Thesis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pp. 47-55Google Search
18 
J. S. Kim, 2016,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Prevent Lightning Accident to a 22.9 kV-Y Distribution Line and Its Reliability Assessment by Statistical Analysis, Ph.D. Thesis, School of Fire Safety Engineering, Jeonju University, pp. 21-22Google Search
19 
P.H. Bang, 2014, Analysis of Impulse Withstand Voltage Performance of Low-voltage Electrical Equipment, M.Sc. Thesis, School of Information and Electric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pp. 7-8Google Search
20 
Y. S. Sim, 2011, A Study on the Diagonal Unequally Spaced Mesh Grounding for the Decreasing of the Touch Voltage, Ph.D. Thesis,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Hongik University, pp. 18-32Google Search

저자소개

이창욱(Chang-Uk Lee)
../../Resources/kiee/KIEE.2019.68.8.1017/au1.png

He received B.S. and MS degree from Yeungnam University, korea in 2006 and 2008.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Soongsil University, korea.

He is now an engineer of OMNI LPS from 2009.

김재철(Jae-Chul Kim)
../../Resources/kiee/KIEE.2019.68.8.1017/au2.png

He received B.S. degree in the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korea in 1979.

His M.S. and Ph. D. degrees in the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1983 and 1987, respectively.

He is now a professor of electrical engineering of Soongsi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