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Korea.)



Derivative PPG, Pain Assessment, Photoplethysmogram, Postoperative Pain

1. 서 론

수술 환자 중 80%는 수술 후 통증을 경험하고 그 중 75%는 중증도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수술 후 통증은 대개 통증 수용체에 진정작용을 일으키는 진통제를 통해 관리된다[2]. 진통제 과다 투여는 구토, 메스꺼움, 신경계 손상, 회복 지연, 순환계 활동 저하, 스트레스 반응, 합병증 등의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으며[3-6] 수술환자의 2-10%가 부적절한 통증 관리로 인해 만성통증을 겪게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7].

수술 후 통증관리 방법으로는 소량의 진통제를 환자가 수시로 자가 투여하는 통증자가조절(patient-controlled analgesia) 방법이 널리 사용되지만[8-10] 약물 중독자, 의식 혼란이 있거나 움직일 수 없는 환자에게는 적용이 어렵다[11]. 또한 통증이 심한 환자의 경우에는 통증자가조절 방법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보조 진통제를 추가 투여하는 경우가 있으며 과다 투여로 인해 호흡 저하, 구토, 소양증 등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12,13]. 이 밖에도 통증자가조절 기기의 오류 또는 잘못된 진통제 주입량 설정으로 인한 부적절 투여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14]. 통증 객관화는 진통제 투여량을 통증 강도에 따라 조절하여 무의식, 의식 혼란 등 통증자가조절이 어려운 환자의 적정약물 투여에 기여할 수 있다.

현재 통증 평가는 개인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서 주로 수행된다. 대표적으로 VAS(visual analogue scale), 10점 NRS(numerical rating scale)가 있다. VAS, 10점 NRS는 10 cm 직선에 환자가 체감하는 통증 정도를 직접 표시하고, 1-10점까지의 점수 또는 0-100점까지의 점수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이 밖에 직접적으로 통증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자율신경계 변화를 추정하는 기술이 주로 사용되며 뇌파, 근전도, 피부전도 기반 통증 평가 기술, 광용적맥파(PPG: Photoplethysmogram) 기반 통증 지표, 심박변이도 기반 통증 추정 지표가 있다[15-19]. 이 중 PPG 기반 통증 지표인 SPI(surgical pleth index)는 PPG 신호의 진폭과 심박간격을 통해 간단히 유도되는 지표로 임상 통증 평가에 자주 사용된다[20,21]. SPI는 0-100점 사이의 점수로 표현되고, 100에 가까울수록 심한 통증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통증 유무는 SPI 50점을 기준으로 판단되는데, 나이, 신체 상태, 환자 의식, 진통 관리 및 수술 등에 따라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22,23]. 이전연구에서는 SPI가 외과적 자극 강도 및 진통제 투여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보였다[24,25]. SPI는 무의식 환자의 통증 평가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보였지만[26] 의식이 있는 수술 후 통증 환자에게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27].

이전 연구에선 수술 후 통증 평가를 위해 PPG 파형의 시간 또는 공간적 특징을 활용한 새로운 통증 평가 후보 지표로써 박동 넓이, 박동 폭, 삼각화된 파형 넓이, 수축 및 이완 구간, 상승 기울기, 하강 기울기, 진폭 변동성 등의 지표를 제안하였고 6분 동안 수술 후 환자에 대해 측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로지스틱(logistic) 회귀로 통증유무를 분류한 결과 SPI보다 13.62% 더 높은 79.50%의 정확도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박동 간 도출되는 동적 지표가 박동 내에서 계산되는 정적 지표보다 통증을 더 잘 분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8]. 이 후, 제안된 후보 지표에 다중 로지스틱 회귀를 적용하고, 20회 박동에 대한 동적 지표를 추출한 결과, 훈련 집합에서 79.30%, 시험 집합에서 71.20%의 통증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29].

이 연구에서는 일차미분된 PPG (dPPG)를 사용하여 새로운 통증 추정 지표를 제안하고, 분석 시간 및 분석 방법에 어려움이 있는 반사파에 대해 dPPG 지표를 사용하여 반사파 관련 통증 지표를 제안한다. PPG는 심실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입사파와 동맥과 혈관 분기점의 임피던스 차이에서 발생되는 반사파의 합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반사파의 크기 및 도달 시간은 총혈관 저항, 혈관 경직도 및 교감신경 활동을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0]. 예를 들어 반사파는 혈관 저항이 높거나 혈관이 경직될수록 측정 지점에 더 빨리 도달하고 뾰족한 형태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반사파는 PPG의 수축기 극점 이후 두 번째 극점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혈관 상태 등에 따라 세 개 이상의 극점을 가지기도 한다. dPPG는 반사파의 도달 시간 및 형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dPPG는 파형의 상승 및 하강 기울기를 반영하며 단위 시간에 대한 진폭변화로 정의되므로 형태, 간격을 포함하는 PPG의 시공간적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dPPG파형은 극점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극점 위치 및 기울기를 통해 파형의 첨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2. 본 론

2.1 데이터

본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서울아산병원 임상연구 심의위원회(IRB : Institutional Review Board)에 의해 승인 되고 국제임상시험등록플랫폼(http://cris.nih.go.kr)에 등록 된 임상시험을 통해 획득되었다(IRB No. 2016-0477). 임상시험에는 총 81명의 피험자가 참여하였으나 2명이 기록 오류, 1명이 심한 부정맥으로 제외되어 총 78명(남자 35명, 여자 43명, 53.6 ± 10.6세)의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사용되었다. PPG는 통증이 없는 상태인 수술 전과 수술로 인해 통증이 발생한 상태인 수술 후 진통제 투여 이전에 기록 되었다. PPG와 SPI는 수술 전 후 각 6분간 동시 측정 되었고 통증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신호 측정 전 VAS를 기록하였다. PPG는 손가락 검지에서 300Hz의 샘플링 주파수로 측정되었고, SPI는 10초마다 출력되는 값을 기록하였다. VAS는 0-100사이의 점수로 기록되었다. 수술 전 VAS는 모두 0점이였고, 수술 후 측정된 VAS는 모두 60점 이상으로 모든 피험자가 통증이 있음을 보였다. 획득된 PPG는 FIR(finite impulse response) 대역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0.5-10 Hz 대역으로 필터링하였고 PPG의 모든 극점은 적응적 임계값 검출 방법을 사용하여 검출되었다[31]. 하지만 수술 전 후 데이터는 피험자의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측정 되어 동잡음에 의해 극점이 오검출 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연구자가 100%의 정확도를 가지도록 오검출된 극점을 수동으로 수정하였다.

2.2 미분된 광용적맥파 기반 통증 평가 지표

2.2.1 미분된 광용적맥파

PPG 파형은 심실 수축에 의해 측정 지점의 혈량이 최대가 되는 지점인 수축기 극점(systolic peak), 심실 이완기 말 수축기 직전을 의미하는 맥동 시작점($P_{onset}$: pulse onset), 입사파와 반사파 파형의 중첩부(dicrotic)에서 발생되는 함몰부 극점(dicrotic notch), 반사파에 의해 발생되는 이완기극점(diastolic peak) 등의 주요 특징점을 보인다(그림 1(a)). 일반적으로 수축기 극점 전의 파형은 입사파형을 주로 반영하고 수축기와 이완기 극점 사이의 파형은 입사파와 반사파의 중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완기 극점 이후 파형은 반사파의 형태를 더 많이 반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dPPG는 일반적으로 4개의 특징점을 가진다 (그림 1(b)). 이 때, 첫 번째, 두 번째 극점은 수축기극점 전후의 최대 상승, 하강 기울기, 세 번째, 네 번째 극점은 이완기 극점 전후의 최대 상승, 하강 기울기를 의미하므로 각 극점에 따라 입사파와 반사파의 특성이 다르게 반영될 수 있다.

그림. 1. (a) 광용적맥파, (b) 일차미분된 광용적맥파의 파형과 특징점

Fig. 1. Waveform and peaks of (a) photoplethysmogram and (b) derivated photoplethysmogram

../../Resources/kiee/KIEE.2019.68.10.1258/fig1.png

2.2.2 미분된 광용적맥파 극점 검출

일반적인 dPPG의 극점 개수는 그림과 같이 크게 3가지의 양상을 가진다. 이상적인 PPG는 입사파와 하나의 반사파로 구성되어 dPPG는 4개의 극점을 가지게 된다(그림 2(a)). 하지만 혈관 상태 등에 따라 두 개 이상의 반사파가 시간차를 두고 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dPPG의 극점이 4개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그림 2(b)). 이와 반대로 반사파가 입사파와 상당 부분 겹치거나 너무 작아 확인되지 않는 경우, dPPG에서는 입사파의 최대 상승 및 하강 기울기에 대한 극점으로 2개의 특징점만 관찰된다(그림 2(c)). 본 연구에서는 극점을 발생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Pn 이라고 명명하였다. 이에 따라 수축기극점 전 최대상승기울기를 의미하는 극점은 $P_1$, 수축기극점 이후 최대하강기울기를 의미하는 극점은 $P_2$로 표현되었다. 이 때 극점의 총 개수는 신호 특정에 따라 바뀔 수 있으므로 가장 마지막 극점은 $P_e$로 명명하였다.

그림. 2. 광용적맥파 파형과 일차미분된 광용적맥파 파형 예시 (a) 입사파와 단일 반사파를 가지는 광용적맥파 파형, (b) 입사파와 복수의 반사파를 가지는 광용적맥파 파형, (c) 반사파를 가지지 않는 광용적맥파 파형

Fig. 2. Examples of photoplethysmogram and derivated photoplethysmogram waveform consisting of (a) incident wave with single reflected wave, (b) incident wave with plural reflected wave, and (c) incident wave without reflected wave

../../Resources/kiee/KIEE.2019.68.10.1258/fig2.png

미분 극점 검출과정을 위해 인접한 박동 시작점을 기준으로 PPG를 박동별로 분리하였고 미분을 통해 박동별 dPPG를 생성하였다. 이 후, MATLAB 2016a (Mathworks, Inc., MA, United States)의 findpeaks 함수를 사용하여 각 분절(segment)에 대한 극점을 검출하였다(그림 3). 일반적인 PPG 분절을 미분할 경우 dPPG 분절은 최소 2개 이상의 극점을 가져야하며 본 연구는 반사파 관련 지표 개발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최소 4개의 극점이 요구된다. 반사파 중첩에 인한 함몰부 개수 증가는 이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으므로 극점 개수가 4개를 초과하는 dPPG 세그먼트는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본 연구는 dPPG에서 큰 특징을 보이는 4개의 극점만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극점 검출이 불가능한 세그먼트와 Pn(n = 1, 2, 3, e) 이외 극점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그림. 3. 일차미분된 광용적맥파 극점 검출 과정

Fig. 3. Peak detection process of derivated photoplethysmogram

../../Resources/kiee/KIEE.2019.68.10.1258/fig3.png

2.2.3 미분된 광용적맥파 극점 검출

본 연구는 dPPG의 시간 및 진폭에 관련된 지표를 선정하였다. dPPG의 시간 관련 지표는 PPG의 맥동시작점($P_{onset}$)을 기준으로 하여 dPPG의 극점 Pn까지의 시간을 Tn으로 선정하였고, 진폭 관련 지표는 dPPG의 극점 Pn 의 값을 An으로 선정하였다(그림 4). 이 후 시간관련 지표 간의 차이를 통해 5개의 지표($T_{1-2}$, $T_{2-3}$, $T_{3-e}$, $T_{1-3}$, $T_{2-e}$, $T_{1-e}$), 진폭 관련 지표 간의 차이를 통해 5개의 지표($A_{1-2}$, $A_{2-3}$, $A_{3-e}$, $A_{1-3}$, $A_{2-e}$, $A_{1-e}$)를 선정하였다(그림 4). 선정된 지표는 이전 연구에서 제안된 dPPG의 시간 및 혈량 변화율에 관련된 8개 지표를 포함하여 총 20개의 기본 지표(basic features)가 선정되었다(표 1)[32].

PPG는 측정 시 피험자의 피부색, 측정 부위의 신체 조성, 해부 구조, 손톱 상태, 주변 광 및 센서 착용 상태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신호의 진폭은 임의 단위(a.u.: arbitrary unit)를 가진다[33]. 임의 단위를 가진 지표간 비교를 위해서는 정규화 과정이 요구되므로 본 연구에선 dPPG의 임의 단위를 가지는 지표인 $A_1$, $A_2$, $A_3$, Ae, $A_{1-2}$, $A_{2-3}$, $A_{3-e}$, $A_{1-3}$, $A_{1-e}$를 PPG 진폭($AC_{onset}$: AC amplitude between $P_{onset}$ and systolic peak)으로 정규화 하여 10개의 지표를 추가로 선정하였다. dPPG의 시간 관련 지표 또한 개인 간 다른 심박수로 인해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dPPG 시간 관련 지표인 $T_1$, $T_2$, $T_3$, $T_e$, $T_{1-2}$, $T_{2-3}$, $T_{3-e}$, $T_{1-3}$, $T_{2-e}$, $T_{1-e}$를 박동 간격($PPI_{onset}$: pulse- to-pulse interval)으로 정규화 하여 10개의 지표를 추가로 선정하였다. 또한, 각 극점 간의 비율을 의미하는 8개의 지표를 추가로 선정하여 총 28개의 정규화 지표(normalized features)를 선정하였다(표 2). 정규화에 사용된 PPG 진폭은 한 박동 내 수축기 극점 높이와 $P_{onset}$의 높이 차이로 계산되었고, 박동 간격은 한 박동 내 $P_{onset}$ 과 다음 박동의 $P_{onset}$ 간의 시간 간격으로 계산되었다(그림 5).

그림. 4. 미분된 광용적맥파의 시간 및 혈량 변화율 관련 후보 지표

Fig. 4. Candidate features related with time and blood volume changes of derivated photoplethysmogram

../../Resources/kiee/KIEE.2019.68.10.1258/fig4.png

표 1. 통증 평가 기본 지표 및 정의

Table 1. Definition of basic features for pain assessment

Feature

Unit

Definition

Time domain

$T_1$

s

Time Difference between $P_1$ and $P_{onset}$

$T_2$

s

Time Difference between $P_2$ and $P_{onset}$

$T_3$

s

Time Difference between $P_3$ and $P_{onset}$

$T_e$

s

Time Difference between $P_e$ and $P_{onset}$

$T_{1-2}$

s

Time Difference between $T_1$ and $T_2$

$T_{2-3}$

s

Time Difference between $T_2$ and $T_3$

$T_{3-e}$

s

Time Difference between $T_3$ and $T_e$

$T_{1-3}$

s

Time Difference between $T_1$ and $T_3$

$T_{2-e}$

s

Time Difference between T2 and $T_e$

$T_{1-e}$

s

Time Difference between $T_1$ and $T_e$

Amplitude domain

$A_1$

a.u.

Amplitude of $P_1$

$A_2$

a.u.

Amplitude of $P_2$

$A_3$

a.u.

Amplitude of $P_3$

Ae

a.u.

Amplitude of $P_e$

$A_{1-2}$

a.u.

Amplitude Difference between $A_1$ and $A_2$

$A_{2-3}$

a.u.

Amplitude Difference between $A_2$ and $A_3$

$A_{3-e}$

a.u.

Amplitude Difference between $A_3$ and Ae

$A_{1-3}$

a.u.

Amplitude Difference between $A_1$ and $A_3$

$A_{2-e}$

a.u.

Amplitude Difference between $A_2$ and Ae

$A_{1-e}$

a.u.

Amplitude Difference between $A_1$ and Ae

그림. 5. $PPI_{onset}$ 및 $AC_{onset}$ 정의

Fig. 5. Definition of $PPI_{onset}$ and $AC_{onset}$

../../Resources/kiee/KIEE.2019.68.10.1258/fig5.png

표 2. 정규화된 지표 및 정의

Table 2. Definition of normalized features

Domain

feature

unit

Time

Ta/$PPI_{onset}$

n.u.

Ta-b/$PPI_{onset}$

n.u.

Ta/Tb

n.u.

Amplitude

Aa/$AC_{onset}$

n.u.

Aa-b/$AC_{onset}$

n.u.

Aa/Ab

n.u.

$PPI_{onset}$: peak to peak interval of PPG

$AC_{onset}$: Amplitude between pulse onset and systolic peak

a, b: 1, 2, 3, e

2.3 통계 분석 방법

dPPG의 형태 분석을 통해 선정된 기본 지표와 정규화된 지표의 통증 유무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통계 분석이 수행되었다. Kolmogorov-Smirnov 검정 결과 모든 지표에서 정규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후보 지표의 수술 전 후 차이의 유의성을 평가에는 Wilcoxon signed rank 검정을 사용하였다. 검정 결과 p 값이 0.05이하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고 간주되었고, 제안된 48개의 후보 지표는 수술 전 후에 대한 각 6분간의 각 박동별로 계산된 후 평균을 취하여 사용되었다. 지표가 피험자 간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표준편차를 산술 평균으로 나눈 것을 의미하는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를 계산하여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모든 통계 방법은 MATLAB 2016a (Mathworks, Inc., MA, United States)을 사용하여 제안된 지표의 평균, 표준편차, 변동계수를 계산하였고, Wilcoxon signed rank 검정을 통해 수술 전 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각 후보 지표의 통증 유무 분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시 이진 분류 방법인 로지스틱 회귀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나의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의 인과관계를 보는 로지스틱 분류는 시그모이드(sigmoid) 함수를 통한 분류를 수행하였다(식(1)).

(1)
$sigmoid(x)=\dfrac{1}{1+e^{-x}}$

분류 수행을 위해 각 지표 별로 훈련 집합(training set, 56명)과 시험 집합(test set, 22명)으로 구분하였고 훈련 집합을 통해 학습을 수행하여 통증 유무 분류 모델을 생성하였다(그림 6).

그림. 6. 분류 수행을 위한 데이터 셋 설정

Fig. 6. Data setting for performing classification

../../Resources/kiee/KIEE.2019.68.10.1258/fig6.png

사용된 데이터는 모델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훈련 집합과 시험 집합에 대해 무작위로 선택되었고, 훈련 집합은 모델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4겹 교차 검증 (4-fold cross validation)을 사용하였다. 데이터 집합은 독립성 검증을 위해 성별에 대한 카이 제곱 검정(Chi-square test)와 연령에 대한 t-검정을 통해 데이터 집합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p < 0.05)을 확인하였다. 모델 생성 후 시험 집합을 통해 모델의 통증 유무 분류 정도를 검증하였다. 모델 개발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500회 이상 반복 수행하였고, 훈련 집합과 시험 집합에 대해 평균 정확도(AC: accuracy), 민감도(SE: sensitivity), 특이도(SP: specificity ), 양성 예측도(PPV: positive predictive value)를 산출하였다(식(2-5)).

(2)
$AC =\dfrac{TP+TN}{TP+FP+FN+TN}\times 100$

(3)
$SE =\dfrac{TP}{TP+FN}\times 100$

(4)
$SP =\dfrac{TN}{FP+TN}\times 100$

(5)
$PPV=\dfrac{TP}{TP+FP}\times 100$

정확도는 실제로 통증 있거나 없을 때 모든 상황을 정확히 맞힐 확률, 민감도는 통증이 있다고 맞출 확률, 특이도는 통증이 없다고 맞출 확률, 양성 예측도는 실제로 통증이 있을 때 통증이 있다고 맞출 확률이다.

3. 결 과

3.1 통계 분석 결과

표 2는 수술 전 후에 대한 후보 지표의 유의성 검정 및 변동계수에 대한 결과로 제안된 48개 지표 중 35개 지표가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시간 관련 후보 지표에서 $T_1$, T2, $T_{1-2}$, $T_1$/$PPI_{onset}$, T2/$PPI_{onset}$, $T_3$/$PPI_{onset}$, $T_{1-2}$/$PPI_{onset}$, $T_{1-3}$/$PPI_{onset}$, $T_1$/$T_3$, $T_1$/$T_e$ 는 수술 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T_e$, $T_{2-3}$, $T_{3-e}$, $T_{2-e}$, $T_{1-e}$, $T_e$/$PPI_{onset}$, $T_{3-e}$/$PPI_{onset}$, $T_{2-e}$/$PPI_{onset}$, $T_{1-e}$/$PPI_{onset}$ 는 수술 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진폭 관련 지표에서 $A_2$, Ae, $A_{2-e}$/$AC_{onset}$, $A_{1-2}$/$A_{1-3}$, $A_{1-2}$/$A_{1-e}$, $A_{1-2}$/$A_{3-e}$,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A_1$, $A_{1-2}$, $A_{2-3}$, $A_{3-e}$, $A_{1-3}$, $A_{2-e}$, $A_{1-e}$, $A_{1-3}$/$AC_{onset}$, $A_{1-e}$/$AC_{onset}$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정규화 과정 이후 모든 지표의 변동계수는 5.7% 감소하였고, 2개의 지표를 제외한 24개의 시간 지표의 변동계수는 증가하였으나 모든 진폭 관련 지표의 변동계수는 감소하였다. 변동계수는 $A_3$를 $AC_{onset}$로 정규화한 이후 47.4%의 최대감소율을 보였다.

3.2 통계 분석 방법

통증 유무 분류는 훈련 집합을 통해 모델을 생성한 후 시험 집합에 모델을 적용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표 3은 분류 정확도(AC)를 기준으로 상위 20개의 후보 지표의 훈련 및 시험 집합의 통증 유무 분류 성능에 대한 결과를 보여준다. 훈련 집합에선 수술 전 후에 대해 $A_{3-e}$가 최대 정확도(65.7%)로, 시험 집합에선 $T_1$이 최대 정확도(69.4%)로 통증 유무를 평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 집합의 상위 20개 지표의 평균 정확도는 SPI보다 0.4%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훈련 집합의 상위 20개 지표의 평균 정확도는 SPI 보다 0.9%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민감도 측면에서 제안된 지표는 SPI보다 최대 13.9%로 통증 시 통증이 있다고 맞출 확률이 더 높았다

4. 토 의

제안된 후보 지표 48개 중 6개의 지표는 SPI 보다 높은 정확도로 통증 유무를 평가하였다. 가장 높은 분류 정확도를 보인 $T_1$은 수축기 내 최대속도 도달 시간을 의미하고, SPI 보다 5%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나 50% 미만의 민감도를 보여 통증이 있을 때 통증 있다고 맞출 확률이 낮으므로 통증 분류 지표로 사용되기 어렵다. $T_1$ 다음으로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T_2$/$PPI_{onset}$, $T_{1-2}$/$PPI_{onset}$는 SPI보다 2.7% 더 높은 정확도와 13.9% 더 높은 민감도를 보였으나 특이도가 50%로 통증 검출에만 편향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통증 분류 정확도가 같은 $A_{3-e}$, $T_{2-e}$/$PPI_{onset}$, $A_{1-2}$/$A_{3-e}$는 $T_1$, $T_2$/$PPI_{onset}$, $T_{1-2}$/$PPI_{onset}$보다 적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나 통증 유무에 대한 편향된 평가를 하지 않으며 SPI보다 높은 정확도로 통증 유무를 평가하였다. 통증 유무에 대한 평가에 있어 통증 있음 또는 없음에 대한 편향적인 평가는 통증을 구분하는데 있어 정확하다고 볼 수 없으므로 제안된 지표 중 $A_{3-e}$, $T_{2-e}$/$PPI_{onset}$, $A_{1-2}$/$A_{3-e}$가 통증 분류 지표로 사용될 가능성을 보였다.

제안된 지표 중 $A_{3-e}$, $T_{2-e}$/$PPI_{onset}$, $A_{1-2}$/$A_{3-e}$는 PPG를 기반으로 후보 지표간의 조합을 통해 통증 유무 분류 평가를 수행한 이전 연구(정확도 : 71.2%, 민감도 : 66.7%, 특이도 : 75.7%, 양성예측도 : 72.7%)보다 분류 성능이 낮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지표는 단일 지표만 사용되었고, 6분간 데이터의 평균을 분석하였으므로 이전 연구와 같이 각 지표에 대한 시계열 분석 방법 적용과 후보 지표간의 조합 통해 통증 유무에 대한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28].

본 연구에서 정규화 과정은 dPPG 지표와 PPG의 박동간격($PPI_{onset}$) 및 진폭($AC_{onset}$)의 비율을 통해 계산되었다. 일반적인 성인의 휴식기 심박수는 분당 60-100회로 알려져 있고[34], 심박수와 역수 관계인 박동간격도 사람마다 차이를 가지게 된다. dPPG의 시간 관련 지표의 경우 박동간격과 관련되어 개인 간 편차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정규화과정이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시간관련 지표의 정규화는 시간 관련 지표의 시간단위와 박동간격의 시간 단위를 비율을 통해 단위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정규화를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시간관련 지표 중 $T_1$, $T_2$, $T_3$, $T_{1-2}$, $T_{2-3}$, $T_{1-3}$은 정규화 이후 변동계수가 증가함을 보였다(표 5). 정규화 이후 변동계수의 증가를 보인 지표는 정규화 전 지표가 개인 간 차이가 적어 발생된 현상으로 추정되나 이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선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규화 전 시간 관련 지표의 평균 변동계수는 8%였으나 $PPI_{onset}$의 변동계수(48.7%)가 훨씬 더 커서 정규화이후 변동계수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고, 변동계수가 정규화 이후 증가되는 주요한 원인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진폭 관련 지표는 피험자, 시험 환경 등에 따라 임의 단위를 가지는 PPG의 진폭을 반영하므로 임의 단위의 필수적인 제거가 필요하다. 정규화 과정은 임의 단위를 가지는 진폭 관련 지표와 임위 단위를 가지는 PPG의 진폭의 비율을 통해 단위의 무차원화를 진행하였다. 모든 진폭 관련 지표는 정규화 이후 변동계수 감소(12.7%)를 보여주며 개인 간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표 5).

표 3. 후보 지표의 Wilcoxon signed-rank 검정 결과 및 변동계수

Table 3. Wilcoxon signed-rank test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results of candidate features

No.

Feature

Mean (SD)

unit

p-value

Coefficient of variation (%)

Pre-operation

Post-operation

Pre-operation

Post-operation

1

$T_1$

0.101

(0.005)

0.105

(0.007)

s

< 0.001

2.9

5.7

2

$T_2$

0.289

(0.030)

0.306

(0.028)

s

< 0.001

3.3

6.4

3

$T_3$

0.496

(0.057)

0.497

(0.048)

s

0.791

5.5

7.5

4

$T_e$

0.811

(0.130)

0.750

(0.149)

s

< 0.01

4.7

4.3

5

$T_{1-2}$

0.188

(0.026)

0.201

(0.024)

s

< 0.001

4.3

8.3

6

$T_{2-3}$

0.206

(0.045)

0.191

(0.036)

s

< 0.01

12.8

17.1

7

$T_{3-e}$

0.315

(0.114)

0.253

(0.127)

s

< 0.001

14.4

20.9

8

$T_{1-3}$

0.395

(0.055)

0.392

(0.045)

s

0.609

6.8

9.2

9

$T_{2-e}$

0.522

(0.128)

0.444

(0.138)

s

< 0.001

7.5

8.6

10

$T_{1-e}$

0.710

(0.131)

0.645

(0.149)

s

< 0.001

5.4

5.0

11

$T_1$/$PPI_{onset}$

0.118

(0.020)

0.132

(0.023)

n.u.

< 0.001

7.3

8.4

12

$T_2$/$PPI_{onset}$

0.338

(0.057)

0.384

(0.059)

n.u.

< 0.001

7.4

8.8

13

$T_3$/$PPI_{onset}$

0.576

(0.080)

0.623

(0.085)

n.u.

< 0.001

8.3

9.6

14

$T_e$/$PPI_{onset}$

0.926

(0.013)

0.917

(0.016)

n.u.

< 0.001

5.0

5.3

15

$T_{1-2}$/$PPI_{onset}$

0.220

(0.039)

0.251

(0.039)

n.u.

< 0.001

8.0

10.4

16

$T_{2-3}$/$PPI_{onset}$

0.238

(0.044)

0.238

(0.043)

n.u.

0.902

13.9

17.9

17

$T_{3-e}$/$PPI_{onset}$

0.349

(0.090)

0.293

(0.098)

n.u.

< 0.001

12.9

19.6

18

$T_{1-3}$/$PPI_{onset}$

0.458

(0.065)

0.490

(0.065)

n.u.

< 0.001

9.1

10.9

19

$T_{2-e}$/$PPI_{onset}$

0.587

(0.068)

0.532

(0.074)

n.u.

< 0.001

6.3

8.1

20

$T_{1-e}$/$PPI_{onset}$

0.807

(0.032)

0.784

(0.038)

n.u.

< 0.001

5.2

5.6

21

$T_1$/$T_2$

0.351

(0.022)

0.346

(0.023)

n.u.

0.157

3.1

8.1

22

$T_1$/$T_3$

0.206

(0.020)

0.213

(0.016)

n.u.

< 0.01

5.8

8.4

23

$T_1$/$T_e$

0.128

(0.024)

0.145

(0.028)

n.u.

< 0.001

5.6

6.8

24

$T_2$/$T_3$

0.351

(0.022)

0.346

(0.023)

n.u.

0.157

3.1

8.1

25

$A_1$

0.109

(0.081)

0.056

(0.052)

a.u.

< 0.001

16.4

22.4

26

$A_2$

-0.056

(0.042)

-0.032

(0.033)

a.u.

< 0.001

17.2

26.2

27

$A_3$

-0.001

(0.006)

-0.000

(0.006)

a.u.

0.845

1.8

143.4

28

Ae

-0.035

(0.027)

-0.017

(0.016)

a.u.

< 0.001

18.2

31.8

29

$A_{1-2}$

0.165

(0.121)

0.089

(0.084)

a.u.

< 0.001

16.3

22.7

30

$A_{2-3}$

0.055

(0.045)

0.031

(0.035)

a.u.

< 0.001

19.9

33.8

31

$A_{3-e}$

0.034

(0.030)

0.017

(0.018)

a.u.

< 0.001

22.5

45.0

32

$A_{1-3}$

0.110

(0.078)

0.057

(0.051)

a.u.

< 0.001

17.1

24.1

33

$A_{2-e}$

0.021

(0.020)

0.015

(0.018)

a.u.

< 0.05

37.1

52.9

34

$A_{1-e}$

0.144

(0.107)

0.074

(0.067)

a.u.

< 0.001

16.2

22.6

35

$A_1$/$AC_{onset}$

0.027

(0.002)

0.026

(0.002)

n.u.

< 0.001

2.1

4.8

36

$A_2$/$AC_{onset}$

-0.014

(0.003)

-0.014

(0.003)

n.u.

0.078

8.0

17.3

37

$A_3$/$AC_{onset}$

<0.001

(0.002)

<0.001

(0.002)

n.u.

0.962

20.3

30.0

38

Ae/$AC_{onset}$

-0.008

(0.001)

-0.008

(0.001)

n.u.

0.431

10.7

30.4

39

$A_{1-2}$/$AC_{onset}$

0.041

(0.004)

0.040

(0.004)

n.u.

0.404

3.5

8.1

40

$A_{2-3}$/$AC_{onset}$

0.013

(0.004)

0.014

(0.003)

n.u.

0.148

13.6

30.3

41

$A_{3-e}$/$AC_{onset}$

0.008

(0.002)

0.008

(0.002)

n.u.

0.651

18.2

48.4

42

$A_{1-3}$/$AC_{onset}$

0.027

(0.002)

0.026

(0.002)

n.u.

< 0.001

3.5

8.6

43

$A_{2-e}$/$AC_{onset}$

0.005

(0.003)

0.006

(0.003)

n.u.

< 0.01

32.7

50.5

44

$A_{1-e}$/$AC_{onset}$

0.035

(0.003)

0.034

(0.003)

n.u.

< 0.001

3.3

9.4

45

$A_{1-2}$/$A_{1-3}$

1.497

(0.142)

1.580

(0.180)

n.u.

< 0.001

8.8

35.4

46

$A_{1-2}$/$A_{1-e}$

1.151

(0.084)

1.185

(0.089)

n.u.

< 0.05

3.7

8.0

47

$A_{1-2}$/$A_{2-3}$

3.612

(1.955)

15.06

(71.34)

n.u.

0.175

64.4

199.1

48

$A_{1-2}$/$A_{3-e}$

5.845

(2.850)

9.624

(11.32)

n.u.

< 0.01

42.1

183.0

제안된 지표는 PPG에서 각 구간에 대한 속도 및 도달 시간을 의미하며 입사파 또는 반사파에 대한 대략적인 첨도의 변화를 추정할 수 있다(그림 7). 수축기 최대혈량증가율을 의미하는 $A_1$, $A_1$/$AC_{onset}$은 모두 수술 후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입사파의 상승 중 최대기울기의 감소를 의미한다. 또한, $A_2$는 이완 초기 최대혈량감소율을 의미하고, 수술 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므로 입사파의 하강 중 최대 기울기의 감소를 의미하며 입사파의 첨도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A_3$는 사람의 나이, 혈관의 탄성도 등의 이유로 음 또는 양의 값을 가지므로 수술 후 변화가 확인되기 어려워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사료되며 입사파와 반사파가 중첩되는 중첩부는 $A_2$의 유의한 감소를 고려하면 첨도가 낮아진다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이완 후기 최대혈량감소율을 의미하는 Ae의 수술 후 유의한 감소는 반사파의 첨도가 낮아진다고 추정할 수 있다.

표 4. 훈련 및 시험 집합에 대한 상위 20개의 통증 유무 평가 결과

Table 4. The top 20 pain on-off assessment results for the training set and test set

Rank

Training set

Test set

Feature

AC(%)

SE(%)

SP(%)

PPV(%)

Feature

AC(%)

SE(%)

SP(%)

PPV(%)

1

$A_{3-e}$

65.7

80.2

52.8

63.0

$T_1$

69.4

44.4

94.4

63.0

2

$A_{1-2}$/$A_{3-e}$

65.5

60.4

72.1

68.5

$T_2$/$PPI_{onset}$

66.7

83.3

50.0

75.0

3

$T_{1-2}$/$PPI_{onset}$

65.4

76.6

55.4

63.2

$T_{1-2}$/$PPI_{onset}$

66.7

83.3

50.0

75.0

4

$T_{2-e}$/$PPI_{onset}$

65.3

59.9

72.4

68.5

$A_{3-e}$

66.7

66.7

66.7

66.7

5

$T_2$/$PPI_{onset}$

65.3

76.4

55.2

63.1

$T_{2-e}$/$PPI_{onset}$

66.7

61.1

72.2

65.0

6

$T_{2-e}$

65.3

76.3

55.3

63.1

$A_{1-2}$/$A_{3-e}$

66.7

61.1

72.2

65.0

7

$T_1$

65.2

59.8

72.0

68.5

$T_2$

63.9

66.7

61.1

64.7

8

$A_1$

65.1

76.7

54.3

62.8

$T_e$

63.9

66.7

61.1

64.7

9

Ae

64.5

58.8

71.8

67.7

$T_{3-e}$

63.9

72.2

55.6

66.7

10

$T_{1-e}$

64.5

63.1

67.5

66.0

$T_{2-e}$

63.9

66.7

61.1

64.7

11

$A_{1-e}$

64.2

76.6

53.1

62.1

$T_{1-e}$

63.9

83.3

44.4

72.7

12

$A_{1-3}$

64.0

76.6

52.7

61.7

$A_1$

63.9

83.3

44.4

72.7

13

$T_e$

63.9

63.2

66.2

65.4

$A_2$

63.9

83.3

44.4

72.7

14

$A_{1-2}$

63.7

61.9

67.5

65.8

Ae

63.9

83.3

44.4

72.7

15

$T_{3-e}$

63.6

78.0

50.0

61.1

$A_{1-3}$

63.9

83.3

44.4

72.7

16

$T_2$

63.5

63.1

65.5

64.6

$A_{1-e}$

63.9

66.7

61.1

64.7

17

$T_1$/$PPI_{onset}$

63.4

64.7

63.4

64.1

$T_1$/$T_e$

63.9

72.2

55.6

66.7

18

$T_1$/$T_e$

63.4

64.9

64.3

64.9

$T_1$/$PPI_{onset}$

63.9

66.7

61.1

64.7

19

$T_{1-e}$/$PPI_{onset}$

63.4

64.1

64.0

64.2

$T_{1-e}$/$PPI_{onset}$

63.9

66.7

61.1

64.7

20

$A_2$

62.7

67.4

59.5

62.7

$T_3$/$PPI_{onset}$

63.9

61.1

66.7

63.2

SPI

64.0

69.4

59.0

60.8

AC : accuracy, SE : sensitivity, SP : specificity, PPV : positive predictive value, SPI : reference

도달 시간을 의미하는 지표 중 변동계수 계산 결과를 통해 $T_{3-e}$/$PPI_{onset}$과 $T_{2-e}$/$PPI_{onset}$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관련 지표는 모두 정규화 이후 개인 간 편차가 증가되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개인 간 편차가 적은 정규화 되기 이전 지표를 통해 비교해야한다. $T_1$, $T_2$, $T_{1-2}$은 모두 수술 후 유의한 증가로 맥동 시작점부터 이완 초기 최대혈량증가율을 보인 시점까지 도달 시간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입사파의 길이가 길어진다고 추정할 수 있다. $T_3$, $T_{1-3}$, $T_{2-3}$는 수술 후 동일한 변화를 보이지 않아 확인하기 어렵다. $T_3$는 맥동 시작 시점부터 이완 중기 최대혈량변화율을 보인 시점까지 도달 시간이 변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T_1$, $T_2$, $T_{1-2}$이 수술 후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면 $T_3$가 유의한 변화가 없다는 것은 $T_{2-3}$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는 것으로 통계 결과와 같은 변화를 보였다. 또한, 이완후기부터 최대혈량감소율을 보인 시점까지 도달 시간을 의미하는 $T_e$과 수축기 최대혈량증가율을 보인 시점부터 최대혈량감소율을 보인 시점까지 도달시간을 의미하는 $T_{1-e}$는 수술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므로 반사파의 길이는 짧아진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입사파는 길이가 길어지나 반사파는 짧아지고, 전체 길이가 감소한 것과 $T_3$에서 수술 후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을 고려하면 입사파가 반사파와 가까워진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술 후 수축기 극점과 이완기 극점의 시간 간격이 줄어든다고 추정할 수 있다.

표 5. 각 후보 지표 별 정규화 전 후 평균 변동계수 비교

Table 5. Comparison of average coefficient of variation before and after normalization for each candidate feature

Basic

Feature

Normalized

Feature

Coefficient of variation (%)

Before Normalization

After

Normalization

$T_1$

$T_1$/$PPI_{onset}$

4.3

7.8

$T_2$

$T_2$/$PPI_{onset}$

4.8

8.1

$T_3$

$T_3$/$PPI_{onset}$

6.5

8.9

$T_e$

$T_e$/$PPI_{onset}$

4.5

5.2

$T_{1-2}$

$T_{1-2}$/$PPI_{onset}$

6.3

9.2

$T_{2-3}$

$T_{2-3}$/$PPI_{onset}$

14.9

15.9

$T_{3-e}$

$T_{3-e}$/$PPI_{onset}$

17.6

16.2

$T_{1-3}$

$T_{1-3}$/$PPI_{onset}$

8.0

10.0

$T_{2-e}$

$T_{2-e}$/$PPI_{onset}$

8.0

7.2

$T_{1-e}$

$T_{1-e}$/$PPI_{onset}$

5.2

5.4

$A_1$

$A_1$/$AC_{onset}$

19.4

3.4

$A_2$

$A_2$/$AC_{onset}$

21.7

12.6

$A_3$

$A_3$/$AC_{onset}$

72.6

25.1

Ae

Ae/$AC_{onset}$

25.0

20.5

$A_{1-2}$

$A_{1-2}$/$AC_{onset}$

19.5

5.8

$A_{2-3}$

$A_{2-3}$/$AC_{onset}$

26.9

21.9

$A_{3-e}$

$A_{3-e}$/$AC_{onset}$

33.7

33.3

$A_{1-3}$

$A_{1-3}$/$AC_{onset}$

20.6

6.1

$A_{2-e}$

$A_{2-e}$/$AC_{onset}$

45.0

41.6

$A_{1-e}$

$A_{1-e}$/$AC_{onset}$

19.4

6.4

SPI

69.4

-

그림. 7. 반사파를 가지는 동시간대 PPG 및 dPPG 파형

Fig. 7. Example of PPG and dPPG waveform consisting of incident wave with reflective wave at the same time

../../Resources/kiee/KIEE.2019.68.10.1258/fig7.png

5. 결 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통증 평가 후보 지표는 수술 후 통증을 SPI와 유사하거나 더 높은 정확도로 분류하였다.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인 통증 평가 후보 지표는 SPI보다 5.4% 더 높은 통증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제안된 후보 지표는 단일 지표로도 두 가지 지표 조합을 사용하는 SPI와 유사한 분류 성능을 보였으며 더 적은 변동계수를 보였다. 제안된 dPPG 기반 후보 지표는 수술 후 통증 평가 적용에 있어 사용될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더 정확한 통증 평가를 위해선 후보 지표 간 조합 또는 머신러닝을 통해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a grant of the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NRF-2018R1A4A1025704, NRF-2018R1D1A3B07046442) and grant of the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Republic of Korea.

References

1 
R. Chou, D. B. Gordon, et al., 2016, Management of Postoperative Pain: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rom the American pain society, the American Society of Region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and th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committee on regional anesthesia, executive committee, and administrative council, The Journal of Pain, Vol. 17, pp. 131-157DOI
2 
Y. S. Lee, 2013,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drugs for sedatio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Taehan Uisa Hyophoe Chi, Vol. 56Google Search
3 
M. F. Watcha, P. F. White, 1992,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ts etiology, treatment, and prevention, Anesthesiology, Vol. 77, pp. 162-184DOI
4 
I. Bergmann, et al., 2012, Surgical pleth index-guided remifentanil administration reduces remifentanil and propofol consumption and shortens recovery times in outpatient anaesthesia,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Vol. 110, pp. 622-628DOI
5 
C. C. Apfel, et al, 2012, Evidence-based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Vol. 109, pp. 742-753DOI
6 
E. W. Boyer, 2012, Management of opioid analgesic overdos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67, pp. 146-155Google Search
7 
H. Kehlet, T. S. Jensen, C. J. Woolf, 2006, Persistent postsurgical pain: risk factors and prevention, The Lancet, Vol. 367, pp. 1618-1625DOI
8 
J. Forst, et al., 1999, Pain therapy following joint replacement, Archives of Orthopaedic and Trauma Surgery, Vol. 119, pp. 267-270DOI
9 
R. L. Bennett, et al., 1982, Patient-controlled analgesia: a new concept of postoperative pain relief, Annals of Surgery, Vol. 195, pp. 700-705DOI
10 
P. F. White, 1988, Use of patient-controlled analgesia for management of acute pai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59, pp. 243-7DOI
11 
H. S. Hwang, et al, 2004, Comparison of Analgesic Requirements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in Patients Undergoing Major Orthopedic Surgery, The Korean Pain Society, Vol. 17, pp. 228-233Google Search
12 
S. S. Liu, H. W. Allen, G. L. Olsson, 1998, Patient- controlled epidural analgesia with bupivacaine and fentanyl on hospital ward, Anesthesiology, Vol. 88, pp. 688-695Google Search
13 
W. E. Ackerman, et al., 1989, A comparison of the incidence of pruritus following epidural opioid administration in the parturient, Canadian Journal of AnesthesiaDOI
14 
K. M. Kim, G. K. Hwang, 2005,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 5, pp. 95-100Google Search
15 
D. M. Mathews, et al, 2012, Increases in electroencephalogram and electromyogram variability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incidence of intraoperative somatic response, Anesthesia & Analgesia, Vol. 114, pp. 759-770DOI
16 
H. Viertiö-Oja, et al, 2004, Description of the Entropy algorithm as applied in the Datex-Ohmeda S/5 Entropy Module,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Vol. 48, pp. 154-161DOI
17 
M. J. Christie, 1981, Electrodermal activity in the 1980s: a review, Jo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Vol. 74, pp. 616DOI
18 
M. Luginbühl, et al, 2007, Heart rate variability does not discriminate between different levels of haemodynamic responsiveness during surgical anaesthesia,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Vol. 98, pp. 728-736DOI
19 
M. Jeanne, et al, 2009, Validation of a graphic measurement of heart rate variability to assess analgesia/nociception balance during general anesthesia, EMBC 2009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pp. 1840-1843DOI
20 
M. Huiku, et al, 2007, Assessment of surgical stress during general anaesthesia,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Vol. 98, No. 4, pp. 447-455DOI
21 
T. Ledowski, J. Burke, J. Hruby, 2016, Surgical pleth index: prediction of postoperative pain and influence of arousal,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Vol. 117, pp. 371-374DOI
22 
T. Ledowski, J. Burke, J. Hruby, 2016, Surgical pleth index: prediction of postoperative pain and influence of arousal,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Vol. 117, pp. 371-374DOI
23 
X. Chen, 2010, Comparison of Surgical Stress Index- guided Analgesia with Standard Clinical Practice during Routine General AnesthesiaA Pilot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Vol. 112, pp. 1175-1183DOI
24 
M. M. Struys, et al, 2007, Changes in a surgical stress index in response to standardized pain stimuli during propofol–remifentanil infusion,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Vol. 99, pp. 359-367DOI
25 
J. Wennervirta, et al, 2008, Surgical stress index as a measure of nociception/antinociception balance during general anesthesia,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Vol. 52, pp. 1038-1045DOI
26 
T. Ledowski, et al, 2009, Monitoring of sympathetic tone to assess postoperative pain: skin conductance vs surgical stress index, Anaesthesia, Vol. 64, pp. 727-731DOI
27 
H. Kallio, 2008, Measurement of surgical stress in anaesthetized children,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Vol. 101, pp. 383-389DOI
28 
Y. L. Yang, et al, 2018, Postoperative pain assessment indices based on Photoplethysmography Waveform Analysis, Frontiers in Physiology, Vol. 9, pp. 1199DOI
29 
H. S. Seok, et al, 2019, Postoperative Pain Assessment Model Based on Pulse Contour Characteristics Analysis, IEEE Journal of Biomedical and Health InformaticsDOI
30 
S. C. Millasseau, et al., 2006, Contour analysis of the photoplethysmographic pulse measured at the finger, Journal of hypertension, Vol. 24, pp. 1449-1456DOI
31 
H. Shin, C. Lee, M. Lee, 2009, Adaptive threshold method for the peak detection of photoplethysmographic waveform, Computers in biology and medicine, Vol. 39, pp. 1145-1152DOI
32 
H. S. Seok, H. Shin, 2018, Postoperative Pain Assessment based on Derivative Waveform of Photoplethysmogram, The Transe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7, pp. 962-968DOI
33 
J. Allen, 2007, Photoplethysmography and its application in clinical physiological measurement, Physiological Measurement, Vol. 28, pp. R1DOI
34 
“All About Heart Rate (Pulse),” American Heart Associa- tion, Jul. 31, 2015. [Online], Available: https://www.heart. org/en/health-topics/high-blood-pressure/the-facts-about-high-blood-pressure/all-about-heart-rate-pulse. [Accessed : Aug. 15, 2019].Google Search

저자소개

석 현 석(Hyeon Seok Seok)
../../Resources/kiee/KIEE.2019.68.10.1258/au1.png

H. S. Seok received the B.S. degree in biomedical engineering form the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Korea, in 2018.

Since March 2018, he is in the process of Integrated PhD program at Biomedical Engineering,

Graduated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Korea.

신 항 식 (Hangsik Shin)
../../Resources/kiee/KIEE.2019.68.10.1258/au2.png

H. Shin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3, in 2005 and 2010, respectively.

In 2010, he joined the Digital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of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uth Korea.

Since August 2013, he has been with the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eosu, South Korea, where he is an Associate Professor.

His research area includes biomedical signal processing, physiological modeling and computer simulation, u-Healthcare and mobile Healthcare Technolo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