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Sangmyung University, Korea.)
  2. (School of Intelligent Engineering Information for Human, Sangmyung University, Korea.)
  3. (Institute of GS E&C Research, Korea.)



Community level demand forecast, Shewhart Control Chart, Abnormal reference days, Similar days

1. 서 론

도심 외곽지역의 대규모 발전단지에서 생산된 전력을 단방향적, 집중형, 대용량 송전계통을 통해 전송하던 과거의 방식에서 벗어나, 계통 설비의 소형 대용량화, 분산화, 자동화 기술이 첨단 IT 기술과 접목되면서 수요 지역 내 분산형 자원을 활용한 양방향적, 분산형, 소규모 발전의 형태로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결과로 개발된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는 풍력, 태양광 등의 분산에너지자원(DER, Distributed Energy Resource)을 활용하며, 경우에 따라 대규모 전력계통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운영가능하다. 또한 도시 혹은 커뮤니티에서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공급가능한 지역적 에너지 그리드로서, 제로에너지도시(ZEC, Zero Energy City or Community)를 조성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여겨진다. ZEC는 제로에너지빌딩(ZEB, Zero Energy Building)의 개념을 도시 레벨로 확대한 개념으로 규모적으로 볼 때 제로에너지타운(ZET, Zero Energy Town)을 거쳐 도시 단위로 확대될 수 있다. 에너지 자립에는 다양한 개념이 존재하나 우리나라에서 추진 중인 제로에너지도시 프로젝트의 경우 도시 내 에너지 공급과 수요를 실시간으로 만족시키는 개념이 아니라, 신재생, 에너지저장, 거래시장 등을 통해 월간, 연간 에너지 수급의 총량이 일치하도록 운영하는 Net Zero의 개념으로 진행되고 있다(1). 따라서 ZEC 설계, 운영 기술이 성공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정확한 단기 전력수요 예측을 통해 공급과 소비의 균형을 맞춰 마이크로그리드 내의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에너지 수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통계기법 기반의 단기 전력수요 예측에는 예측 대상일과 시간대별 전력수요 패턴이 유사한 요일(유사일, Similar Day)을 참고일(Reference Day)로 정하고, 최근 순서로 3일의 참고일에 대해 지수평활법을 이용하여 24시간의 시간대별 전력수요 패턴을 예측한다(2). 그러므로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참고일 선택 시 전력수요 패턴의 유사성을 고려해서 유사일을 선정해야 한다. 현재 전력거래소의 예측 프로그램(KSLF, KPX Short-term Load Forecaster)에서는 유사일을 평일(화~금), 주말(토, 일), 월요일, 특수일로 구분하여 전국단위 전력수요 예측의 참고일로 활용하고 있다(3-5). 전국단위의 전력수요는 평일(화~금)에 유사한 패턴을 보이지만, 월요일은 주말의 영향으로 오전 시간대에서 낮은 수요패턴을 보인다(6). 반면, Scaled RMSE 기법을 활용하여 커뮤니티 단위 전력수요 패턴의 유사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커뮤니티 단위의 전력수요 패턴은 전국단위와 다른 모습을 보인다. 또한 커뮤니티 단위에 적합한 유사일을 전력수요 예측에 적용하여 오차율을 개선함으로써 각 단위에 적합한 유사일 선정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7).

추가적으로 전력수요 예측의 정확성 향상을 위해서는 예측 시 비정상 참고일을 감지하여 제거해야 한다. 비정상 참고일은 (1) 특수일(공휴일 및 임시공휴일)과 (2) 비정상일(징검다리 휴일, 연휴에 영향을 받는 연휴 전/후의 평일, 도시 내 특별 행사 혹은 도시 특성이 반영된 날 등)로 구분되며, 유사일 요일 구분에서 기존의 유사일과는 소비패턴이 상이한 날을 의미한다. 이는 평상일에 비해 현저히 낮은 일 평균 전력수요를 가지므로 전력수요 예측 시 예측의 정확도에 악영향을 미치고 특히 비정상일의 경우, 법적으로 지정된 공휴일이 아니므로 연도별, 지역별, 도시별로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달력을 통해 이를 감지하고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커뮤니티 단위의 전력수요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Scaled RMSE 기반의 유사일 선정 방법과 컨트롤차트(Control Chart)를 활용한 비정상 참고일 감지 방안을 제안하고, 적합한 유사일 선정과 비정상 참고일 제거에 따른 예측 정확도 향상의 정도를 실제 수요데이터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할 것이다. 오차율 계산에는 절대평균백분율 오차율(MAPE :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을 이용한다.

2. 커뮤니티 단위 유사일 선정[7]

2.1 Scaled RMSE 기법을 활용한 유사성 선정

Scaled RMSE는 단기 전력수요 예측 시 사용할 참고일 간 전력수요 패턴의 유사성을 Scaling과 RMSE(Root Mean Square Error)를 활용하여 측정하는 기법이다. 커뮤니티 단위 전력수요 예측에 가장 적합한 유사일을 선정하기 위해 표 1과 같이 3가지 Case로 요일을 구분하고 Scaled RMSE 기법을 통해 전력수요 패턴의 유사성을 측정하였다. Case 1에서는 유사일을 3개(평일, 주말, 특수일)로 분류한다. 이 경우, 평일은 월~금요일을, 주말은 토·일요일을, 특수일은 공휴일과 임시공휴일을 의미한다. Case 2는 전국단위의 전력수요 예측에 사용되는 유사일 분류로서 Case 1과는 월요일을 평일에 포함하는지 여부의 차이가 있다. Case 3은 유사일을 각 요일별로 7개 유사일로 구분하며 특수일은 일요일에 포함한다.

표 1 유사일 선정을 위한 요일구분

Table 1 Day classification to select a similar day

Category

Day classification

Case 1

평일(월-금), 주말(토, 일), 특수일

Case 2

월요일, 평일(화-금), 주말(토, 일), 특수일

Case 3

요일별(월, 화, 수, 목, 금, 토, 일(특수일 포함))

2.1.1 전력수요 데이터 Scaling

유사일 간 전력수요 패턴의 유사성 측정을 위해 RMSE (Root Mean Square Error)연산을 수행한다. 하지만 아래의 그림 1과 같이 각 시간대 오차의 제곱값이 동일할 경우, 유사한 패턴과 상이한 패턴 모두에 대해서 같은 RMSE값이 계산되어 패턴의 유사성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 패턴의 유사성과 상관없이 RMSE값이 동일한 경우

Fig. 1 Same RMSE value regardless of pattern similarity

../../Resources/kiee/KIEE.2020.69.2.245/fig1.png

그러므로 패턴의 유사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그림 2와 같이 서로 다른 두 비교대상의 평균크기를 1로 동일하게 Scaling하여 RMSE연산을 수행해야 하며, 그 결과 유사한 패턴과 상이한 패턴의 경우, RMSE값이 각각 0.035, 0.169로 계산되어 RMSE연산을 통해 패턴의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림 2 그림 1데이터의 스케일링 결과

Fig. 2 Scaling results of the Fig.1 data

../../Resources/kiee/KIEE.2020.69.2.245/fig2.png

그림 3 실제 전력수요 데이터 기반 패턴의 유사성 측정을 위한 Scaling과정

Fig. 3 Scaling process for measuring similarity of pattern based actual power demand data

../../Resources/kiee/KIEE.2020.69.2.245/fig3.png

그림 3은 실제 전력수요 데이터 기반 패턴의 유사성 측정을 위한 Scaling 과정으로 그림 3(a)는 2017년 8월 2일, 8월 9일의 시간별 실제 전력수요를, 그림 3(b)식(1)을 통해 평균크기가 1로 Scaling된 동일 일자의 시간별 전력수요를 나타낸다.

(1)
$\dfrac{1}{24}\sum_{t=1}^{24}\dfrac{PD_{i,\:t}}{PD_{i,\:Avg}}=1$

여기서 $PD_{i,\: Avg}$는 $i$일의 일 평균 전력수요를, $PD_{i,\:t}$는 $i$일의 시간별 전력수요를 의미한다.

2.1.2 Scaled RMSE 기법을 통한 전력수요 패턴 측정

Scaled RMSE 기법은 오차의 제곱합을 산술평균한 값의 제곱근으로, 유사일 간 시간별 전력수요의 Scaled RMSE값은 0~1의 값을 갖으며, 0에 가까울수록 전력수요의 패턴이 유사함을 의미한다. Scaled RMSE 기법은 식(2)와 같다.

(2)
$E=\sqrt{\dfrac{1}{24}\sum_{t=1}^{24}(PD_{i,\:t}^{'}-PD_{j,\:t}^{'})^{2}}$

여기서 $PD_{i,\:t}^{'}$는 Scaling된 $i$일의 시간별 전력수요를, $PD_{j,\:t}^{'}$는 Scaling된 $j$일의 시간별 전력수요를 의미한다.

Case 1과 Case 2의 경우, 수요 패턴의 유사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i$일과 $j$일의 차이가 하루가 되도록 한다. 이때 Case 1에서는 평일에 월요일이 포함되므로 평일(월~금) 수요 패턴의 유사성을 측정하지만, Case 2의 경우에는 평일에서 월요일이 제외되므로 월요일 동일요일 간 수요 패턴의 유사성과 평일(화~금) 수요 패턴의 유사성을 측정한다. Case 3의 요일 구분은 요일별이기 때문에 $i$일과 $j$일의 차이가 일주일이 되도록 하여 동일요일 간 전력수요 패턴의 유사성을 측정한다.

2.2 Case별 유사성 측정 및 전력수요 예측 결과

커뮤니티 단위의 전력수요 예측에 가장 적합한 유사일을 선정하기 위해 주거중심의 2017, 2018년 2년 치 실측 전력수요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Case별 평일(월~금) 전력수요 패턴의 유사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이때 모든 Case에 대해서 동일한 기간의 패턴 유사성을 측정하였고 특수일은 제외하였다. 또한 Scaled RMSE의 값이 0일 때 수요 패턴의 유사성은 100%이고, 1일 때 0%이므로 식(3)을 통해 계산하였다.

(3)
$(1-\sqrt{\dfrac{1}{24}\sum_{t=1}^{24}(PD_{i,\:t}^{'}-PD_{j,\:t}^{'})^{2}})\times 100(%)$

표 2식(3)을 통해 각 Case별 전력수요 패턴의 유사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표 2에 따르면 Case 1 평일(월~금) 수요 패턴의 유사성은 2017년 96.880%, 2018년 96.946%로 측정되었고, Case 2의 경우에는 2017년 97.061%, 2018년 97.151%로 측정되었다. 이때 Case 2는 평일에서 제외된 월요일 간 수요 패턴의 유사성과 평일(화~금) 수요 패턴의 유사성을 측정한 후 평균으로 계산하였다. Case 3의 경우, 평일(월~금) 동일요일 간 수요 패턴의 유사성을 각각 측정한 후 평균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 2017년 97.263%, 2018년 97.192%로 측정되어 수요 패턴의 유사성이 모든 Case 중 2017년, 2018년 모두 가장 높았으며, 이를 통해 커뮤니티 단위의 전력수요 예측에 적합한 유사일은 Case 3임을 알 수 있다.

표 2 Case별 전력수요 패턴의 유사성 측정 결과

Table 2 Results of similarity measurement of demands patterns by case

Year

Day

Case 1

Case 2

Case 3

2017

Mon

96.880%

96.943%

97.061%

96.943%

97.263%

Tue

97.179%

97.440%

Wen

97.476%

Thu

97.185%

Fri

97.273%

2018

Mon

96.946%

97.131%

97.151%

97.131%

97.192%

Tue

97.170%

97.383%

Wen

97.061%

Thu

97.174%

Fri

97.213%

적합한 유사일 선정이 전력수요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17년 1월 2일 ~ 2월 28일 (9주), 2018년 1월 2일 ~ 2월 28일 (9주)동안의 평일(월~금)에 대한 각 Case의 참고일을 지수평활법에 적용하여 전력수요 예측을 수행하여 표 3과 같이 요일별 오차율로 정리하였다. Case 1의 예측을 위해 지수평활법에 사용되는 3개의 참고일 간 차이는 하루이고 Case 2의 경우, Case 1과 같이 참고일 간의 차이가 하루이지만 평일에서 월요일이 제외되므로 월요일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과거 3주의 동일요일(월요일)을 참고일로 사용한다. Case 3의 요일 구분은 요일별이므로 지수평활법에 사용되는 참고일은 예측 요일과 같은 과거 3주의 동일요일이다. 표 3에 의하면 Case 1의 요일별 평균 예측 오차율은 2017년 2.257%, 2018년 3.060%이고 Case 2의 예측 오차율은 2017년 2.216%, 2018년 2.947%이며, Case 3의 예측 오차율은 2017년 2.036%, 2018년 2.501%이다. Case별 전력수요 예측의 오차율 역시 수요

표 3 Case별 전력수요 예측 결과

Table 3 Results of power demand forecasting by case

Year

Category

Mod

Tue

Wen

Thu

Fri

Avg

2017

Case1

2.963%

2.099%

1.990%

2.345%

1.889%

2.257%

Case2

2.392%

2.531%

1.912%

2.354%

1.889%

2.216%

Case3

2.392%

2.017%

1.678%

2.008%

2.085%

2.036%

2018

Case1

3.179%

3.073%

3.495%

3.456%

2.095%

3.060%

Case2

2.673%

3.457%

3.237%

3.273%

2.095%

2.947%

Case3

2.673%

1.982%

3.064%

2.832%

1.975%

2.501%

패턴의 유사성과 동일하게 2017년, 2018년 모두 Case 3이 가장 우수했으므로 정확한 전력수요 예측을 위해서는 유사일 간 수요패턴의 유사성을 고려해야한다. 이후 모든 전력수요 예측은 Case 3의 경우로 수행된다.

3. Shewhart Control Chart 기반의 비정상 참고일 감지

컨트롤차트(Control Chart)란 통계적 공정관리(SPC, Statistical Process Control) 기법으로, 평균의 변동을 나타내는 중심선(CL, Center Line), 관리한계선을 나타내는 관리상한(UCL, Upper Control Limit)과 관리하한(LCL, Lower Control Limit)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데이터가 관리한계선을 벗어나 타점될 경우에는 이를 이상상태로 감지하고 제거함으로써 공정을 관리한다. 컨트롤차트의 종류에는 $3\sigma$수준의 관리한계선을 통해 평균의 변동이 큰 경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Shewhart 컨트롤차트($\overline{X}$, $\overline{X}-R$, $\overline{X}-s$)와 $1.5\sigma$수준의 관리한계선을 통해 평균의 작은 변동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non-Shewhart 컨트롤차트(EWMA, CUSUM)가 있다(8-14).

본 논문에서는 컨트롤차트를 활용하여 전력수요 예측에 사용되는 참고일 중 예측에 악영향을 미치는 비정상 참고일을 감지하고 제거함으로써 예측 오차율을 개선하고자 한다. 커뮤니티 단위의 유사일은 Case 3의 경우인 동일요일을 참고일로 선정하므로 그림 4와 같이 동일요일별로 컨트롤차트를 작성한 후 통계적 방법을 통해 비정상 참고일 감지 및 제거한다. 그림 4의 표식[•]은 커뮤니티 단위의 6주 동일요일(월요일)의 일 평균 전력수요를 나타내고, CL(점선)은 가장 최근 4주 월요일의 일 평균 전력수요의 변동을, LCL(실선)은 동일기간 일 평균 전력수요를 통해 설정된 관리하한을 나타낸다. 그림 4(a)에서 6번째 주 월요일의 경우, 최근 4주(2, 3, 4, 5번째 주) 월요일의 일 평균 전력수요를 통해 설정된 LCL 바깥쪽에 타점되어 비정삼 참고일로 감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7번째 주 월요일의 전력수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비정상 참고일로 감지된 6번째 주 월요일을 제외한 과거 3주 (3, 4, 5번째 주) 월요일을 참고일로 사용하여야 한다. 그림 4(b)는 비정상 참고일로 감지된 6번째 주 월요일을 제거한 후, 기존 4주(2, 3, 4, 5번째 주)의 일 평균 전력수요로 설정된 LCL로 7번째 주 월요일을 평상일로 감지하는 과정이다. 이와 같이 컨트롤차트는 매주 새로운 월요일을 포함한 4주의 일 평균 전력수요를 활용하여 새로운 CL과 LCL을 설정하고 비정상 참고일을 판단한다. 이때 비정상 참고일은 평상일에 비해 일 평균 전력수요가 낮은 날이므로 UCL은 고려하지 않는다. 또한 일 평균 전력수요는 표 4와같이 하·동절기에 기온과 높은 상관계수를 가져 해당 계절에는 큰 변동을 보이기 때문에 $1.5\sigma$수준의 관리한계선을 갖는 non-Shewhart 컨트롤차트의 경우, 기온에 의한 일 평균 전력수요의 큰 변동을 비정상 참고일로 감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3\sigma$수준의 관리한계선을 갖는 3가지의 Shewhart 컨트롤차트($\overline{X}$, $\overline{X}-R$, $\overline{X}-s$)를 비교분석하여 비정상 참고일 감지에 적합한 컨트롤차트를 선정하였다.

그림 4 컨트롤차트를 활용한 비정상 참고일 감지 및 제거 과정

Fig. 4 Detection and removal of abnormal reference days using the control chart

../../Resources/kiee/KIEE.2020.69.2.245/fig4.png

표 4 하·동절기 전력수요와 기온 상관계수 분석 결과

Table 4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wer demand and temperature in summer and winter

Season(Month)

Highest Temperature

Lowest Temperature

Sumer(6, 7, 8)

0.5493

0.8354

Winter(11, 12, 1, 2)

-0.8788

-0.7652

3.1 $\overline{X}$ Control Chart

그림 5 2017년 52주 월요일의 $\overline{X}$ 컨트롤차트

Fig. 5 $\overline{X}$ Control Chart for 52 weeks Monday in 2017

../../Resources/kiee/KIEE.2020.69.2.245/fig5.png

$\overline{X}$ 컨트롤차트는 평균의 변동만을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표 5는 2017년 중 임의로 선정한 월요일의 $X$(일 평균 전력수요)의 값으로, 특수일의 $X$값은 평상일 보다 낮음으로 비정상 참고일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X$값을 관리해야 한다.

$X$값의 변동을 관리하기 위한 $\overline{X}$ 컨트롤차트의 CL과 $3\sigma$수준의 LCL은 식(4), (5)와 같다.

표 5 2017년 월요일의 $X$의 값

Table 5 Value of $X$ on Monday, 2017

Date

1월 16일

1월 23일

1월 30일

(설날)

9월 25일

10월 2일

(추석)

10월 9일

(한글날)

$X$

13,172.57

13,318.43

10,557.45

12,713.25

10,703.64

10,731.97

(4)
$CL=\overline{X}$

(5)
$LCL=\overline{X}-3\sigma_{\overline{X}}$

여기서 $\overline{X}$는 일 평균 전력수요의 평균이고, $\sigma_{\overline{X}}$는 $\overline{X}$의 표준편차로서 식(6), (7)와 같다.

(6)
$\overline{X}=\dfrac{X_{1}+X_{2}+...+X_{n}}{n}$

(7)
$\sigma_{\overline{X}}=\dfrac{\sigma}{\sqrt{n}}$

여기서 $n$은 CL과 LCL을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개수로 그 값은 4이며, 이후의 모든 $n$값은 4로 동일하다.

그림 5는 2017년 52주 월요일의 $X$(표식[•])와, 4주간의 $X$ 평균($\overline{X}$)과 식(4), (5)를 통해 설정한 CL(점선) 및 LCL(실선)로 구성된 52주 월요일의 $\overline{X}$ 컨트롤차트이다.

그림 5에서 LCL 밖에 타점된 날짜는 전력수요 예측의 오차를 증가시키는 비정상 참고일이므로 제거 후의 예측 오차율은 제거 전과 비교하였을 때 개선되어야 한다. 오차율의 개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그림 5에서 비정상 참고일로 감지된 날짜 중 5번째 주(1월 30일(설날)), 11번째 주(3월 13일), 39번째 주(9월 25일) 월요일을 제거 전과 제거 후로 구분하여 예측을 수행하였으며, 예측 결과는 표 6과 같다. 이때 선정된 5번째, 11번째, 39번째 주 월요일은 모두 직전 4주의 데이터가 LCL 안쪽에 타점된 평상일에 의해 비정상 참고일로 감지된 날짜이다. 6번째 주 월요일(2월 6일)의 전력수요 예측 수행을 위해 과거 3주 동일요일의 참고일 중 비정상 참고일로 감지된 5번째 주 월요일을 포함한 3, 4, 5번째 주 월요일을 참고일로 활용한 경우의 예측 오차율은 6.584%이며, 5번째 주 월요일을 제거한 후 2, 3, 4번째 주 월요일을 참고일로 활용한 경우의 예측 오차율은 1.993%로 비정상 참고일의 제거 후 오차율은 제거 전에 비해 4.591% 개선되었다. 이후 컨트롤차트를 활용한 전력수요 예측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반면 12번째(3월 20일), 40번째(10월 2일) 월요일의 전력수요를 예측할 경우, 비정상 참고일로 감지된 11번째, 39번째 주의 제거 후 예측 오차율은 각각 5.316%, 4.981%로 제거 전의 오차율인 3.676%, 3.650%에 비해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는 11번째, 39번째 주 월요일은 비정상 참고일이 아닌 전력수요 예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평상일임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컨트롤차트를 활용한 비정상 참고일 제거 방안으로 $\overline{X}$ 컨트롤차트는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표 6 $\overline{X}$ 컨트롤차트에서 감지된 비정상 참고일 제거 전·후의 예측 오차율 비교

Table 6 Comparison of forecasting error rate of power demand before and after removing abnormal reference day detected on the $\overline{X}$ Control Chart

Detection Date

1월 30일

(설날)

3월 13일

9월 25일

Forecasting Date

2월 6일

3월 20일

10월 2일

Before

6.584%

3.676%

3.650%

After

1.993%

5.316%

4.981%

3.2 $\overline{X}-R$ Control Chart

$\overline{X}-R$ 컨트롤차트는 평균의 변동만을 관리하는 $\overline{X}$ 컨트롤차트와는 달리 평균의 변동과 부분군($k$)의 범위($R$)를 동시에 관리하는 기법으로, 평균 변동을 관리하기 위해 $\overline{X}$ 컨트롤차트를 사용하고 범위를 관리하기 위해 $R$ 컨트롤차트를 사용한다. 이때 식(8), (9)와 같이 $\overline{X}$는 시간별 전력수요의 평균인 일 평균 전력수요를, $R$은 일 최대전력수요와 최소전력수요의 차이를 의미하므로 $\overline{X}$가 일 평균 전력수요의 평균인 $\overline{X}$ 컨트롤차트와 구분해야한다.

(8)
$\overline{X}=\dfrac{x_{1}+x_{2}+...+x_{k}}{k}$

(9)
$R=x_{\max}-x_{\min}$

여기서 $\overline{X}$는 일 평균 전력수요이므로 $k$의 값은 24이며, 이후의 모든 $k$값은 24로 동일하다.

표 7표 5와 동일한 날짜의 $\overline{X}$와 $R$의 값을 나타낸다. 특수일의 $\overline{X}$와 $R$의 값은 평상일 보다 낮음으로 비정상 참고일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overline{X}$와 $R$을 모두 관리해한다.

표 7 2017년 월요일의 $\overline{X}$와 $R$의 값

Table 7 Value of $\overline{X}$ and $R$ on Monday, 2017

Date

1월 16일

1월 23일

1월 30일

(설날)

9월 25일

10월 2일

(추석)

10월 9일

(한글날)

$\overline{X}$

13,172.57

13,318.43

10,557.45

12,713.25

10,703.64

10,731.97

$R$

6,425.79

7,196.25

3,210.19

7,308.1

3,695.21

4,396.94

$\overline{X}-R$ 컨트롤차트의 CL과 LCL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overline{X}$ 컨트롤차트와 $R$ 컨트롤차트의 CL과 LCL를 모두 계산해야 한다. $\overline{X}$ 컨트롤차트의 CL과 $3\sigma$수준의 LCL은 식(10),(11)와 같다.

(10)
$CL_{\overline{X}}=\overline{\overline{X}}$

(11)
$LCL_{\overline{X}}=\overline{\overline{X}}-\dfrac{3}{d_{2}\sqrt{k}}\overline{R}$

여기서 $\overline{\overline{X}}$는 일 평균 전력수요의 평균으로 식(12)와 같고, $\overline{R}$는 일 전력수요 범위의 평균으로 식(13)과 같다. $d_{2}$는 $k$의 함수로, 크기가 24일 때 관리도용 계수표에 의해 그 값은 3.895이다(15).

(12)
$\overline{\overline{X}}=\dfrac{\overline{X_{1}}+\overline{X_{2}}+...+\overline{X_{n}}}{n}$

(13)
$\overline{R}=\dfrac{R_{1}+R_{2}+...+R_{n}}{n}$

$R$ 컨트롤차트의 CL과 $3\sigma$수준의 LCL은 식(14), (15)와 같다.

(14)
$CL_{R}=\overline{R}$

(15)
$LCL_{R}=(1-3\dfrac{d_{3}}{d_{2}})\overline{R}$

여기서 $d_{3}$는 $k$의 함수로, 크기가 24일 때 관리도용 계수표에 의해 0.7121이다(15).

그림 6은 $\overline{X}-R$ 컨트롤차트를 작성하기 위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이다.

$\overline{X}-R$ 컨트롤차트 작성을 위해서는 먼저 $R$ 컨트롤차트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통해 모든 데이터들이 관리상태인 $R$ 컨트롤차트를 작성해야 한다. 이때 데이터 전처리는 LCL 밖에 타점되어 비정상 참고일로 감지된 날짜들을 제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전처리 과정으로 관리상태가 된 $R$ 컨트롤차트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overline{X}$ 컨트롤차트를 작성한 후, $\overline{X}$ 컨트롤차트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모든 데이터가 관리상태인 $\overline{X}$ 컨트롤차트를 재작성함으로써 $\overline{X}-R$ 컨트롤차트를 완성한다.

그림 6 $\overline{X}-R$ 컨트롤차트 작성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

Fig. 6 Data Preprocessing Process for Creating a $\overline{X}-R$ Control Chart

../../Resources/kiee/KIEE.2020.69.2.245/fig6.png

그림 7은 2017년 52주 월요일의 $\overline{X}-R$ 컨트롤차트를 작성하는 과정으로, 그림 7(a)는 2017년 52주 월요일의 $R$(표식[]), 4주간의 $R$ 평균($\overline{R}$)과 식(14), (15)를 통해 설정한 CL(점선) 및 LCL(실선)로 구성된 52주 월요일의 $R$ 컨트롤차트이다. 그림 7(a)에 의하면 52주의 모든 데이터들이 LCL 안쪽에 타점되어 관리상태이므로 $R$ 컨트롤차트 데이터 전처리 과정 없이 $\overline{X}$ 컨트롤차트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림 7(b)는 2017년 52주 월요일의 $\overline{X}$(표식[•]), 4주간의 $\overline{X}$ 평균($\overline{\overline{X}}$) 및 $R$의 평균($\overline{R}$)과 식(10), (11)을 통해 설정한 CL(점선)과 LCL(실선)로 구성된 52주의 $\overline{X}$ 컨트롤차트이다.

그림 7(b)의 $\overline{X}$ 컨트롤차트에서 LCL 밖에 5번째 주(1월 30일), 18번째 주(5월 1일), 33번째 주(8월 14일), 40번째 주(10월 2일), 41번째 주(10월 9일), 52번째 주(12월 25일) 월요일이 타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c)그림 7(b)에서 LCL 밖에 타점된 6개의 비정상 참고일을 제거하여 재작성한 46주의 $\overline{X}$ 컨트롤차트로, 새롭게 설정된 LCL의 밖에 35번째 주(8월 28일) 월요일이 타점된다. 그림 7(d)그림 7(c)에서 감지된 비정상 참고일인 35번째 주 월요일을 제거함으로써 모든 데이터들이 관리상태인 $\overline{X}$ 컨트롤차트이며, 표 8은 $\overline{X}-R$ 컨트롤차트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서 감지되어 제거된 2017년, 2018년의 비정상 참고일이다.

3.3 $\overline{X}-s$ Control Chart

통계적 효율성을 위해 $R$ 컨트롤차트는 일 전력수요의 최댓값과 최솟값만을 이용하지만, $s$ 컨트롤차트에서는 개개 데이터의 산포를 반영한 표준편차를 이용한다. 그러므로 부분군($k$)의 크기가 비교적

그림 7 데이터 전처리를 통한 $\overline{X}-R$ 컨트롤차트 작성 과정

Fig. 7 Creation of $\overline{X}-R$ Control Chart process through data preprocessing

../../Resources/kiee/KIEE.2020.69.2.245/fig7.png

표 8 $\overline{X}-R$ 관리도에서 감지된 비정상 참고일

Table 8 Abnormal reference days detected on the $\overline{X}-R$ Control Chart

Year

Detection Date

Day

Year

Detection Date

Day

2

0

1

7

1월 30일

Mon

2

0

1

8

1월 1일

Mon

5월 1일

5월 7일

8월 14일

8월 27일

8월 28일

9월 24일

10월 2일

10월 8일

10월 9일

5월 1일

Tue

12월 25일

5월 22일

5월 9일

Tue

9월 25일

6월 6일

10월 9일

8월 15일

12월 25일

8월 29일

2월 14일

Wen

10월 3일

6월 6일

10월 17일

6월 13일

3월 1일

Wen

8월 15일

5월 3일

9월 12일

8월 30일

9월 26일

10월 4일

10월 3일

10월 5일

The

2월 15일

The

1월 27일

Fri

3월 1일

5월 5일

2월 16

Fri

10월 6일

3월 2일

클 경우에는 범위 $R$을 이용하는 것보다 표준편차 $s$를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특히 부분군의 크기가 10 이상인 경우, $\overline{X}-R$ 컨트롤차트 보다 $\overline{X}-s$ 컨트롤차트의 사용을 추천한다. 식(16),(17)와 같이 $\overline{X}-s$ 컨트롤차트에서 $\overline{X}$는 일 평균 전력수요를, $s$는 시간별 전력수요의 표준편차를 의미한다.

(16)
$\overline{X}=\dfrac{x_{1}+x_{2}+...+x_{k}}{k}$

(17)
$s=\sqrt{\dfrac{1}{k-1}\sum_{t=1}^{k}(x_{t}-\overline{X})^{2}}$

표 9표 5와 동일한 날짜의 $\overline{X}$와 $s$의 값을 나타낸다. 특수일의 $\overline{X}$와 $s$의 값은 평상일 보다 낮음으로 비정상 참고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overline{X}$와 $s$를 모두 관리해야한다.

표 9 2017년 월요일의 $\overline{X}$와 $s$의 값

Table 9 Value of $\overline{X}$ and $s$ on Monday, 2017

Date

1월 16일

1월 23일

1월 30일

(설날)

9월 25일

10월 2일

(추석)

10월 9일

(한글날)

$\overline{X}$

13,172.57

13,318.43

10,557.45

12,713.25

10,703.64

10,731.97

$s$

2,281.94

2,457.57

953.04

2,757.21

1,342.01

1,573.34

$\overline{X}-s$ 컨트롤차트의 CL과 LCL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overline{X}$ 컨트롤차트와 $s$ 컨트롤차트의 CL과 LCL를 모두 계산해야 한다. $\overline{X}$ 컨트롤차트의 CL과 $3\sigma$수준의 LCL은 식(18),(19)와 같다.

(18)
$CL_{\overline{X}}=\overline{\overline{X}}$

(19)
$LCL_{\overline{X}}=\overline{\overline{X}}-(\dfrac{3}{\sqrt{k}})(\dfrac{\overline{s}}{c_{4}})$

여기서 $\overline{\overline{X}}$는 일 평균 전력수요의 평균으로 식(20)과 같고, $\overline{s}$는 시간별 전력수요의 표준편차 평균으로 식(21)과 같다. 또한 $c_{4}$는 $k$의 함수로, 크기가 24일 때 관리도용 계수표에 의해 0.9892이다(15).

(20)
$\overline{\overline{X}}=\dfrac{\overline{X_{1}}+\overline{X_{2}}+...+\overline{X_{n}}}{n}$

(21)
$\overline{s}=\dfrac{s_{1}+s_{2}+...+s_{n}}{n}$

$s$ 컨트롤차트의 CL과 $3\sigma$수준의 LCL은 식(22),(23)과 같다.

(22)
$CL_{s}=\overline{s}$

(23)
$LCL_{s}=\dfrac{B_{5}}{c_{4}}\overline{s}$

여기서 $B_{5}$는 $k$의 함수로, 크기가 24일 때 관리도용 계수표에 의해 0.5493이다(15).

그림 8은 $\overline{X}-s$ 컨트롤차트를 작성하기 위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이다.

그림 8 $\overline{X}-s$ 컨트롤차트 작성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

Fig. 8 Data Preprocessing Process for Creating a $\overline{X}-s$Control Chart

../../Resources/kiee/KIEE.2020.69.2.245/fig8.png

$\overline{X}-s$ 컨트롤차트 작성을 위해서 먼저 $s$ 컨트롤차트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통해 모든 데이터들이 관리상태인 $s$ 컨트롤차트를 작성한다. 이때 데이터 전처리란 $\overline{X}-R$ 컨트롤차트와 동일하게 LCL 밖에 타점되어 비정상 참고일로 감지된 날짜들을 제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전처리 과정으로 관리상태가 된 $s$ 컨트롤차트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overline{X}$ 컨트롤차트를 작성한 후, $\overline{X}$ 컨트롤차트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모든 데이터가 관리상태인 $\overline{X}$ 컨트롤차트를 재작성함으로써 $\overline{X}-s$ 컨트롤차트를 완성한다.

그림 9는 2017년 52주 월요일의 $\overline{X}-s$ 컨트롤차트를 작성하는과정으로, 그림 9(a)는 2017년 52주 월요일의 $s$(표식[]), 4주간의 $s$평균($\overline{s}$)과 식(22),(23)를 통해 설정한 CL(점선) 및 LCL(실선)로 구성된 52주 월요일의 $s$ 컨트롤차트이다. 그림 9(a)의 $s$ 컨트롤차트에서 5번째 주(1월 30일), 18번째 주(5월 1일), 40번째 주(10월 2일), 52번째 주(12월 25일) 월요일의 데이터가 LCL 밖에 타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41번째 주(10월 9일)의 경우에는 그림 8(a)에서는 LCL의 안쪽에 타점되지만 40번째 주(10월 2일) 월요일을 제거함으로써 새롭게 설정된 LCL의 밖에 타점되어 제거된다. 그림 9(b)는 $s$ 컨트롤차트 데이터 전처리과정을 통해 재작성한 모든 데이터가 관리상태인 47주의 $s$ 컨트롤차트이며, 그림 9(c)는 재작성된 $s$ 컨트롤차트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한 2017년 47주 월요일의 $\overline{X}$ 컨트롤차트이다. 그림 9(c)의 $\overline{X}$ 컨트롤차트는 47주의 $\overline{X}$(표식[•]), 4주간의 $\overline{X}$평균($\overline{\overline{X}}$) 및 $s$의 평균($\overline{s}$)과 식(18),(19)를 통해 설정된 CL(점선)과 LCL(실선)을 가지며, 33번째 주(8월 14일) 월요일의 데이터가 LCL 밖에 타점된다. 그림 9(c)에서 감지된 33번째 주(8월 14일) 월요일을 제거함으로써 모든 데이터들이 관리상태인 $\overline{X}$ 컨트롤차트는 그림 9(d)와 같고, 표 10은 $\overline{X}-s$컨트롤차트 작성을 위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서 감지되어 제거된 2017년, 2018년의 비정상 참고일이다.

4. Control Chart 선정

그림 9 데이터 전처리를 통한 $\overline{X}-s$ 컨트롤차트 작성 과정

Fig. 9 Creation of $\overline{X}$ Control chart process through data preprocessing

../../Resources/kiee/KIEE.2020.69.2.245/fig9.png

본 논문에서는 $3\sigma$수준의 관리한계선을 갖는 $\overline{X}-R$ 컨트롤차트와

표 10 $\overline{X}-s$ 관리도에서 감지된 비정상 참고일

Table 10 Abnormal reference days detected on the $\overline{X}-s$ Control Chart

Year

Detection Date

Day

Year

Detection Date

Day

2

0

1

7

1월 30일

Mon

2

0

1

8

1월 1일

Mon

5월 1일

5월 7일

8월 14일

9월 24일

10월 2일

10월 8일

10월 9일

5월 1일

Tue

12월 25일

5월 22일

5월 9일

Tue

9월 25일

6월 6일

10월 9일

8월 15일

12월 25일

10월 3일

2월 14일

Wen

3월 1일

Wen

6월 6일

5월 3일

6월 13일

10월 4일

8월 15일

10월 5일

The

9월 26일

1월 27일

Fri

10월 3일

5월 5일

2월 15일

The

10월 6일

3월 1일

-

-

2월 16

Fri

$\overline{X}-s$ 컨트롤차트를 활용하여 2017년, 2018년의 비정상 참고일을 감지하였다. 각 컨트롤차트에서 감지된 비정상 참고일을 살펴보면 $\overline{X}-R$ 컨트롤차트의 경우, 2017년 21일, 2018년 21일의 비정상 참고일이 감지된 반면, $\overline{X}-s$ 컨트롤차트의 경우에는 2017년 17일, 2018년 18일의 비정상 참고일이 감지되었다. 두 컨트롤차트에서 감지된 날짜가 서로 다르므로 $\overline{X}-R$ 컨트롤차트와 $\overline{X}-s$ 컨트롤차트 중 비정상 참고일 감지에 더욱 적합한 컨트롤차트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비정상 참고일은 전력수요의 패턴과 일 평균 전력수요가 평상일과는 달라 전력수요 예측의 예측 오차율에 악영향을 미치는 날이다. 그러므로 비정상 참고일 감지를 위한 최적의 컨트롤차트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전력수요 예측 시 각 컨트롤차트에서 감지된 비정상 참고일의 제거에 따른 예측 오차율의 개선 여부를 확인해야한다. 표 11은 $\overline{X}-R$ 컨트롤차트와 $\overline{X}-s$ 컨트롤차트에서 감지된 2017년, 2018년의 비정상 참고일과 비정상 참고일 제거 전·후의 전력수요 예측 오차율이다. 표 11에 따르면 $\overline{X}-s$ 컨트롤차트에서 감지된 모든 비정상 참고일은 전력수요 예측에 악영향을 미치는 날로, 제거 후의 예측 오차율이 제거 전에 비해 개선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overline{X}-R$ 컨트롤차트에서만 비정상 참고일로 감지된 2017년 4일(8월 28일, 8월 29일, 8월 30일, 10월 17일), 2018년 3일(3월 2일, 8월 27일, 9월 12일)의 경우, 제거 후의 전력수요 예측 오차율은 제거 전의 오차율에 비해 증가하였다. 이는 $\overline{X}-R$ 컨트롤차트에서만 감지된 날은 전력수요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비정상 참고일이 아닌 평상일이었음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overline{X}-R$ 컨트롤차트는 비정상 참고일 감지를 위한 최적의 컨트롤차트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비정상 참고일은 법정으로 지정된 공휴일인 특수일과 징검다리 휴일, 연휴에 영향을 받는 연휴 전/후의 평일과 같은 비정상일로 구분된다. 그러므로 $\overline{X}-s$ 컨트롤차트가 비정상 참고일 감지 방안을 위한 최적의 컨트롤차트이기 위해서는 $\overline{X}-s$

표 11 $\overline{X}-R$, $\overline{X}-s$ 컨트롤차트에서 감지된 2017년, 2018년 비정상 참고일 & 비정상 참고일 제거 전·후의 전력수요 예측 오차율

Table 11 Abnormal reference days detected on the $\overline{X}-R$, $\overline{X}-s$ Control Chart in 2017, 2018 & Forecasting error rate of power demand before and after removing abnormal reference days

Year

Detection

Date

Forecasting Date

Control Chart

Before

After

$\overline{X}-R$

$\overline{X}-s$

2

0

1

7

1월 27일

2월 3일

7.020%

2.481%

1월 30일

2월 6일

6.584%

1.993%

3월 1일

3월 8일

8.707%

0.260%

5월 1일

5월 8일

9.810%

2.925%

5월 3일

5월 10일

9.856%

3.468%

5월 5일

5월 12일

11.034%

3.529%

5월 9일

5월 16일

9.559%

3.123%

6월 6일

6월 13일

9.292%

0.778%

8월 14일

8월 21일

6.827%

3.645%

8월 15일

8월 22일

12.035%

2.084%

8월 28일

9월 4일

×

3.696%

9.680%

8월 29일

9월 5일

×

2.951%

8.934%

8월 30일

9월 6일

×

3.481%

10.337%

10월 2일

10월 16일

10.475%

3.650%

10월 3일

10월 10일

12.646%

1.786%

10월 4일

10월 11일

12.054%

2.544%

10월 5일

10월 12일

10.894%

2.214%

10월 6일

10월 13일

8.269%

3.196%

10월 9일

10월 16일

10.475%

3.650%

10월 17일

10월 24일

×

2.214%

8.262%

12월 25일

1월 8일

12.082%

2.432%

2

0

1

8

1월 1일

1월 8일

12.082%

2.432%

2월 14일

2월 21일

6.834%

1.820%

2월 15일

2월 22일

9.182%

2.852%

2월 16일

2월 23일

8.887%

1.393%

3월 1일

3월 8일

6.723%

2.872%

3월 2일

3월 9일

×

0.685%

4.886%

5월 1일

5월 8일

10.395%

2.764%

5월 7일

5월 15일

9.638%

2.949%

5월 22일

5월 29일

11.543%

1.895%

6월 6일

6월 20일

19.184%

3.781%

6월 13일

6월 20일

19.184%

3.781%

8월 15일

8월 22일

8.939%

3.545%

8월 27일

9월 3일

×

2.860%

8.672%

9월 12일

9월 19일

×

1.695%

6.114%

9월 24일

10월 1일

8.902%

3.910%

9월 25일

10월 2일

6.379%

3.738%

9월 26일

10월 10일

8.993%

3.369%

10월 3일

10월 10일

8.993%

3.369%

10월 8일

10월 15일

6.097%

2.670%

10월 9일

10월 16일

8.215%

3.154%

12월 25일

1월 8일

12.099%

2.435%

컨트롤차트에서 감지된 모든 비정상 참고일은 특수일과 비정상일로 구성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일요일을 제외한 15일의 특수일이 있다(16). 표 12는 2017년과 2018년 15일의 실제 특수일이며, 표 11표 12를 통해 $\overline{X}-s$ 컨트롤차트에서 매년 15일의 모든 특수일이 감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2 2017년, 2018년 특수일

Table 12 Special Days in 2017 and 2018

Year

Detection Date

Name

Year

Detection Date

Name

2

0

1

7

1월 27일

설날

2

0

1

8

1월 1일

신정

1월 30일

설날

2월 15일

설날

3월 1일

삼일절

2월 16일

설날

5월 3일

석가탄신일

3월 1일

삼일절

5월 5일

어린이날

5월 7일

어린이날(대체)

5월 9일

대통령 선거

5월 22일

석가탄신일

6월 6일

현충일

6월 6일

현충일

8월 15일

광복절

6월 13일

지방선거일

10월 2일

임시공휴일

8월 15일

광복절

10월 3일

개천절

9월 24일

추석

10월 4일

추석

9월 25일

추석

10월 5일

추석

9월 26일

추석

10월 6일

추석

10월 3일

개천절

10월 9일

한글날

10월 9일

한글날

12월 25일

크리스마스

12월 25일

크리스마스

표 13은 달력을 통해 선정한 12일(2017년 6일, 2018년 6일)의 비정상일과 $\overline{X}-s$ 컨트롤차트에서 감지된 비정상 참고일 중 15일의 특수일을 제외한 5일(2017년 5월 1일, 2017년 8월 14일, 2018년 2월 14일, 2018년 5월 1일, 2018년 10월 8일)의 비정상일이며, 비정상일 제거 전·후의 전력수요 예측 오차율이다. 표 13에 따르면 달력에서 선정된 12일의 비정상일 중 $\overline{X}-s$ 컨트롤차트에서 감지된 5일의 비정상일의 경우에만 제거 후의 예측 오차율이 개선되었음을 확인 수 있다. 즉, 커뮤니티단위에서의 비정상일은 도시 내 특별 행사 및 도시 특성 등에 따라 달라져 단순히 달력을 통해 선정할 수 없으므로 통계적 기법인 $\overline{X}-s$ 컨트롤차트를 통해 전력수요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비정상일을 감지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overline{X}-s$ 컨트롤차트에서 감지된 모든 비정상 참고일은 전력수요 예측에 악영향을 미치는 날이며, 매년 15일의 특수일과 비정상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overline{X}-s$ 컨트롤차트는 비정상 참고일 감지 방안에 있어 최적의 컨트롤차트임을 알 수 있다.

표 13 2017년, 2018년의 비정상일과 $\overline{X}-s$ 컨트롤차트에서 감지된 비정상일 & 비정상일 제거 전·후의 전력수요 예측 오차율

Table 13 Abnormal days in 2017, 2018 and abnormal days detected on the $\overline{X}-s$ Control Chart & Forecasting error rate of power demand before and after removing abnormal reference days

Year

Abnormal Date

Name

Forecasting Date

$\overline{X}-s$

Before

After

2

0

1

7

1월 26일

설(연휴) 전날

2월 2일

×

1.220%

1.654%

5월 1일

근로자의 날

5월 8일

9.810%

2.925%

5월 4일

징검다리 휴일

5월 11일

×

4.046%

4.286%

5월 8일

징검다리 휴일

5월 15일

×

5.105%

9.920%

6월 5일

징검다리 휴일

6월 12일

×

1.519%

1.892%

8월 14일

징검다리 휴일

8월 21일

6.827%

3.645%

2

0

1

8

2월 14일

설(연휴) 전날

2월 21일

6.834%

1.820%

3월 2일

징검다리 휴일

3월 9일

×

0.685%

4.886%

5월 1일

근로자의 날

5월 8일

10.395%

2.764%

5월 21일

징검다리 휴일

5월 28일

×

2.971%

3.175%

9월 27일

추석(연휴) 다음날

10월 4일

×

0.056%

2.757%

10월 8일

징검다리 휴일

10월 15일

6.097%

2.670%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커뮤니티 단위 단기 전력수요 예측의 오차를 개선하기 위해 Scaled RMSE 기법을 통해 전력수요 패턴의 유사성을 측정하여 유사일을 선정하였다. 유사일 선정을 위해 3가지 Case로 요일을 구분하였고, Scaled RMSE 기법으로 패턴의 유사성을 측정한 결과 Case 3(요일별), Case 2(월요일, 평일(화-금), 주말(토, 일), 특수일), Case 1(평일(월-금), 주말(토, 일), 특수일) 순으로 유사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각 Case별로 수행한 단기 전력수요 예측의 정확도 역시 Case 3, Case 2, Case 1의 순 이었으므로 커뮤니티 단위의 전력수요 예측에 가장 적합한 유사일은 Case 3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기 전력수요 예측의 오차를 개선하기 위한 또 다른 방안은 Shewhart Control Chart를 활용한 비정상 참고일 제거이다. 비정상 참고일은 특수일과 비정상일로 구분되며, 이는 평상일과는 다른 전력수요 패턴을 보이고 현저히 낮은 일 평균 전력수요를 갖기 때문에 전력수요 예측 오차율에 악영향을 미친다. 비정상 참고일을 감지하고 제거하기 위해서 $3\sigma$수준의 관리한계선을 갖는 세 가지의 Shewhart 컨트롤차트($\overline{X}$, $\overline{X}-R$, $\overline{X}-s$)를 사용하였고, 비교분석을 통해 최적의 컨트롤차트를 선정하였다. 비교결과 $\overline{X}$ 컨트롤차트와 $\overline{X}-R$ 컨트롤차트에서는 전력수요 예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평상일을 비정상 참고일로 감지하였다. $\overline{X}-s$ 컨트롤차트의 경우, 감지된 비정상 참고일은 모두 전력수요 예측에 악영향을 미치는 날이었으며, 법정 지정날인 15일의 특수일과 근로자의 날, 징검다리 휴일, 연휴 전/후의 평일과 같은 비정상일로 구성되어있었다. 이를 통해 전력수요 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비정상 참고일 감지 및 제거에 가장 적합한 컨트롤차트는 $\overline{X}-s$ 컨트롤차트임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단위의 유사일로 선정된 Case 3(요일별)에 적합한 온도민감도를 고려하여 하·동절기의 전력수요 예측 오차를 개선하기 위한 알고리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ETEP)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MOTIE) of the Republic of Korea (No. 2018201060010C).

References

1 
Nancy Carlisel, Otto Van Geet, Shanti Pless, Nov 2009, Definition of a Zero Net Energy Community, Technical ReportGoogle Search
2 
Se-Won Jo, Bo-Sung Kwon, Kyung-Bin Song, Mar 2019, Day Ahead 24-Hours Load Forecasting Algorithm Using Latest Weather Forecasting,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 No. 3, pp. 416-422Google Search
3 
Korea Power Exchange, Nov. 2011, A Study on Short-term Load Forecasting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 echnical ReportGoogle Search
4 
Wei-Shing Chen, Fong-Jung Yu, Ruey-Shiang Guh, Yu-Hua Lin, 2011, Economic design of x-bar control charts under preventive maintenance and Taguchi loss functions, Journal of Applied Operational Research, Vol. 3, No. 2, pp. 103-109Google Search
5 
Jung-Hwan Kim, Kyu-Han Kim, Heung-Seok Lee, June Ho Park, 2019, Day Ahead 24-Hours Load Forecasting Algorithm Using Latest Weather Forecasting,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8, No. 3, pp. 416-422Google Search
6 
Jong-Uk Lee, Lee, Young-min Wi, Jaehee Lee, Sung-Kwan Joo, Dec 2011, Calculation of Seasonal Demand Side Management Quantity Using Time Serie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0, No. 12, pp. 2202-2205DOI
7 
Chi-Yeon Kim, Chae-Rin Kim, Dong-Keun Kim, Hyeong-Jin Choi, Si-Sam Park, Soo-Hwan Cho, July 2019, Selection of Similar-Day for Community -based Load Forecasting,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EngineersGoogle Search
8 
Douglas C. Montgomery, 2009, Introduction to Statistical Quality Control, John Wiley & Sons, pp. 179-268Google Search
9 
S. W. Human, S. Chakraborti, C. F. Smit, 2010, Shewhart-type control charts for variation in phase I data analysis,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Vol. 54, pp. 863-874DOI
10 
Wei-Shing Chen, Fong-Jung Yu, Ruey-Shiang Guh, Yu-Hua Lin, 2011, Economic design of x-bar control charts under preventive maintenance and Taguchi loss functions, Journal of Applied Operational Research, Vol. 3, No. 2, pp. 103-109Google Search
11 
Thomas P. McWilliams, Erwin M. Saniga, Darwin J. Davis, 2001, Economic-Statistical Design of X̄ and R or X̄ and S Charts,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Vol. 33, No. 2, pp. 234-241DOI
12 
Alpaben K. Patel, Jyoti Divecha, Jan 2011, Modified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EWMA) control chart for an analytical process data,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and Materials Science, Vol. 2, No. 1, pp. 12-20Google Search
13 
Francisco Aparisi, J. Carcia-Diaz, July 2017, Design and optimization of EWMA control charts for in-control, indifference, and out-of-control regions, Journal of Computers & Operations Research, Vol. 34, No. 7, pp. 2096-2108DOI
14 
V. V. Koshti, 2011, CUMULATIVE SUM CONTROL CHART,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s and Mathematical Scieneces, Vol. 1, No. 1, pp. 28-32Google Search
15 
Douglas C. Montgomery, 2009, Introduction to Statistical Quality Control, John Wiley & Sons, pp. 702Google Search
16 
Se-Won Jo, Rae-Jun Park, Kyung-Bin Song, June 2019, Jeju Island’s Special Day Load Forecasting Algorithm Using Dong-Nae Weather Forecast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33, No. 6DOI

저자소개

김치연(Chi-Yeon Kim)
../../Resources/kiee/KIEE.2020.69.2.245/au1.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from the Dept. of electronic engineering at Kwangwoon University in 2017.

He is currently pursuing his M.S. course in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Sangmyung University.

김채린(Chae-Rin Kim)
../../Resources/kiee/KIEE.2020.69.2.245/au2.png

She is currently a undergraduate student of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Sangmyung University.

김동근(Dong-Keun Kim)
../../Resources/kiee/KIEE.2020.69.2.245/au3.png

He received his M.S. degree from the Dept.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 at Yonsei University and his Ph.D. degree from the Dept. of biomedical engineering at Yonsei University in 2003 and 2008,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of the School of intelligent engineering informatics for human from 2009, and a director of the institute of intelligent informatics technology in Sangmyung University from 2017.

최형진(Hyeong-Jin Choi)
../../Resources/kiee/KIEE.2020.69.2.245/au4.png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 from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Kwangwoon University in 2007, 2009 and 2019, respectively.

He has been working as a senior researcher at the institute of GS E&C research since 2011.

박시삼(Si-Sam Park)
../../Resources/kiee/KIEE.2020.69.2.245/au5.png

He received his B.S., M.S. and Ph.D. degree from the Dept. of civil engineering at Hongik University in 1998, 2000 and 2004, respectively.

He has been working as a chief researcher at the institute of GS E&C research since 2004.

조수환(Soo-Hwan Cho)
../../Resources/kiee/KIEE.2020.69.2.245/au6.png

He received his B.S. and Ph.D. degree from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Korea University in 2002 and 2009, respectively.

He worked as a staff at the Mobile division of Samsung Electronics from 2002 to 2004 and as a senior researcher at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KAERI) form 2009 to 2011.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of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in Sangmyung University from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