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linear gear, force ripple, gear ratio, shape of steel pole

1. 서 론

기계 시스템의 증속을 위해 사용되는 기계식 기어는 풍력 터빈, 저속 및 고속 기기, 자동차 시스템, 가전제품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 된다(1)-(3). 이러한 기계식 기어는 1차 측과 2차 측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구동되는데, 1차 측과 2차 측의 이러한 접촉으로 인해 기계적 손실이 존재한다. 기계적 손실은 토크를 감소시키고 열을 발생시켜 기어의 성능에 악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기계식 기어는 접촉면에 윤활유 등을 이용한 유지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측면에서 단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마그네틱 기어는 기계식 기어와 달리 기어의 톱니를 사용하지 않고,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1차 측에서 2차 측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물리적 접촉으로 인한 기계적 손실이 존재하지 않으며, 유지 보수 측면에서 기계식 기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6). 또한 1차 측과 2차 측이 분리되어 있어 과부하에 대하여 기계식 기어 보다 안전하다. 이런 기존 기계적 기어의 단점을 보완하는 영구 자석을 사용한 마그네틱 기어에 대한 연구는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7-9), 다양한 구조에 관련된 연구 또한 제안되고 있다(10-12). 다양한 구조의 마그네틱 기어 중, 관형 마그네틱 기어는 직선 운동을 기반으로 제안된 구조이며 전기기기와의 결합에 대한 부분에 중점을 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3-16). 그러나 관형 마그네틱 기어는 제조가 어렵고, 제작비용이 매우 높은 반면, 선형 마그네틱 기어는 관형 기어에 비해 제조 및 비용 측면에서 큰 이점을 가지며 동일한 힘을 얻기에 효과적이다(17-18). 그러나 마그네틱 기어는 기계식 기어와 비교하여 기계적인 접촉에 의한 동력전달이 아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전달 추력과 진동 및 소음에 영향을 주는 추력 리플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 차원 유한 요소 분석을 통해 선형 마그네틱 기어의 개선 설계를 통해 낮은 전달 추력 능력을 향상시키고 추력 리플을 감소시키는 연구를 수행했다. 먼저, 기어 비를 선정한 후 자속 변조 철심(flux-modulations pole) 및 영구 자석 형상, 그리고 공극 길이에 따라 선형 마그네틱 기어의 추력 리플을 분석하였다. 초기 모델은 참고 문헌(19)과 동일한 모델로 선정하고, 1차 측을 기준으로 2차 측과의 기어 비를 변경하며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각 기어 비에 대한 추력 리플을 비교하였고, 그 중 가장 성능이 좋은 기어 비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정 된 기어 비에 대한 자속 변조 철심과 영구 자석의 형태, 공극 길이에 따른 추력 리플 분석하였다.

2. 선형 마그네틱 기어 초기모델

기본적으로 선형 마그네틱 기어는 마그네틱 커플링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회전 마그네틱 기어를 직선으로 펼쳐 놓은 구조이다. 그림 1은 선형 마그네틱 기어의 구조를 보여주며, 상부와 하부 이동자에 영구자석이 부착되어있고, 양측 이동자 사이에 고정된 자속 변조 철심이 위치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선형 마그네틱 기어의 1차 측의 동력이 자속 변조 철심을 거쳐 2 차 측으로 전달된다. 이 전달 과정에서 입력 및 출력 이동자에 영구자석이 부착되어 있어서 기계적인 접촉이 없이 자기적인 결합을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마그네틱 기어는 영구자석의 자속을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데, 높은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잔류자속 밀도가 높은 영구자석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희토류 계열의 잔류자속 밀도가 높은 NdFeB 계열 영구자석이 선형 마그네틱 기어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 1차 측은 고속 이동자, 2차 측은 저속 이동자로 표현하였다. 선형 마그네틱 기어의 사양은 표 1에 표기하였으며, 초기 모델의 기어 비는 참고문헌을 참조하여 선정하였다(19).

그림. 1. 기어 구조

Fig. 1. Structure of the linear magnetic gear

../../Resources/kiee/KIEE.2020.69.2.258/fig1.png

표 1. 선형 마그네틱 기어의 설계 사양

Table 1. Design specification of linear magnetic gear

설계 변수

단위

고속 이동자

168

[mm]

고속 이동자 측 영구자석

5

[mm]

저속 이동자 측 영구자석

5

[mm]

자속 변조 철심

3

[mm]

적층 길이

30

[mm]

공극

1

[mm]

고속 이동자 측 극수

8

-

기어비

5~7

-

고속 이동자 속도

1

[m/s]

선형 마그네틱 기어는 기본적으로 4가지의 식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로 고속 이동자의 영구 자석 극수와 기어비를 알 때, 저속 이동자의 영구 자석의 극수의 경우 식(1)에 의해 결정된다.

(1)
$LP=G_{r}HP$

식(1)에 따라 고속 및 저속 이동자의 극수는 기어 비에 비례한다. 여기서, HP와 LP는 고속 이동자와 저속 이동자의 극수를 의미하며, Gr은 기어 비를 의미한다. 식(2)는 고속 이동자와 저속 이동자의 극수에 따른 자속 변조 철심의 수를 나타낸다.

(2)
$N_{s}=\left(\dfrac{LP+HP}{2}\right)$

여기서 Ns는 자속 변조 철심의 수를 의미하며, 고속 이동자(HP)와 기어 비에 따라 정해지는 저속 이동자(LP)를 통하여 Ns를 계산 할 수 있다.

그림. 2. 기어 비에 따른 추력 리플 결과

Fig. 2. Result of force ripple for gear ratio

../../Resources/kiee/KIEE.2020.69.2.258/fig2.png

(3)
$\omega_{H}=-G_{r}\omega_{L}$

이동자의 속도는 식(3)에 의해 결정된다. ωH와 ωL은 각각 고속 이동자와 저속 이동자의 속도를 의미한다.

(4)
$F_{ripple}=\dfrac{F_{Peak To Peak}}{F_{avg}}\times 100$

선형 추력 리플은 식(4)로 표현된다. 여기서 식(1~3)은 기어 비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기어 비에 따라 선형 마그네틱 기어 모델의 형상이 정해진다.

본 해석 모델 경우 기어 비 선정을 위하여, 고속 이동자 측에서 8극의 영구 자석을 가지며 1m/s의 속도로 이동할 때 5에서 7사이의 기어 비에 따른 선형 마그네틱 기어의 추력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림 2는 해석 결과에 따라 식(4)로부터 유도 된 추력 리플 그래프이다. 이때 저속 이동차 측은 식(1)에 따라 50극을 가지며, 식(3)에 따라 0.16m/s의 속도를 적용한 6.25의 기어 비에서 평균 추력 대비 가장 작은 추력 리플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6.25의 기어 비의 모델을 초기 해석 모델로 선정하였고, 본 장 이후 설계 변수에 따른 추력 리플 분석을 수행하였다.

3. 설계 변수에 따른 선형 추력 분석

선형 마그네틱 기어의 원리는 1차측 이동자의 움직임에 따라 고정 철심에 의해 1차측의 영구자석 자계와 2차측의 영구자석 자계가 변조되어, 2차측 이동자에 1차측 이동자의 반대 방향으로 추력이 발생한다. 본 장에서는 자계 변조 과정에서 자속 변조 철심 및 영구자석의 형상에 관한 설계 변수에 따른 추력 특성을 분석하였다.

표 2. 공극과 철심 두께에 따른 해석 결과

Table 2.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airgap and steel pole thickness

공극

철심 두께

고속 이동자

저속 이동자

최대 폭

평균

추력[N]

최대 폭

평균

추력[N]

0.5

3

19.9

91.5

20.81

586.87

5

18.47

81.86

18.12

523.14

7

16.70

72.63

18.65

464.03

9

12.34

65.15

18.93

415.57

1

3

10.19

53.10

18.40

342.05

5

8.35

47.03

16.89

301.91

7

6.09

41.49

16.49

266.51

9

5.48

37.00

15.20

237.96

1.5

3

4.87

30.65

11.86

198.11

5

3.88

27.02

10.83

173.96

7

3.14

23.72

10.47

152.50

9

2.35

21.14

11.59

135.68

2

3

3.70

17.51

7.33

114.17

5

2.76

15.32

6.56

99.41

7

2.20

13.53

6.69

87.41

9

2.33

12.03

6.54

77.61

그림. 3. 공극 및 철심 두께에 따른 (a) 추력 리플, (b) 평균 추력 그래프

Fig. 3. Result of (a) Force ripple and (b) Average force according to airgap and steel pole thickness

../../Resources/kiee/KIEE.2020.69.2.258/fig3.png

3.1 공극 및 철심 두께에 따른 선형 추력 분석

철심의 형상에 따른 특성 해석에 앞서, 철심의 두께와 공극에 따른 리플 특성을 보았다. 자석 변조 철심의 두께를 기존 3[mm]에서 9[mm]까지 2[mm]단위, 공극은 0.5[mm]에서 2[mm]까지 0.5[mm]단위로 해석을 진행하였다. 표 2는 공극과 철심 두께에 따른 고속 및 저속 이동자의 추력 파형의 최대 폭 및 평균 선형 추력을 나타낸다. 해석 결과 공극의 증가는 자기저항의 증가로 평균 추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자속 변조 철심 형상 변화에 따른 해석에서 공극의 길이는 0.5[mm]로 고정하였다. 그림 3의 철심의 두께 해석 결과 3[mm], 5[mm]에서 비교적 작은 리플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철심 두께의 증가는 평균 추력 또한 감소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추력 리플과 평균 추력을 모두 고려하여, 철심의 두께는 3[mm]로 선정 하였다. 이후 자석 변조 철심 형상에 따른 특성 해석은 공극 0.5[mm], 철심 두께 3[mm]로 고정하여 수행되었다.

3.2 자속 변조 철심에 따른 선형 추력 분석

3.2.1 자속 변조 철심의 변수 설정

자속 변조 철심은 선형 추력에 대한 상호 전달의 핵심 요소이다. 따라서 자속 변조 철심의 형상의 변화는 선형 추력 전달 특성에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앞서 선정한 6.25의 기어 비에서 자속 변조 철심의 형상에 따른 선형 추력 리플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림 4은 본 챕터에서 제시하는 2 가지 자속 변조 철심의 형상을 나타낸다. 그림 4(a)는 자속 변조 철심 양 측면에 반원형의 홈을 만들어 형상 변화를 주었으며, 그림 4(b)는 양측의 상단 꼭지 점과 하단 꼭지 점을 분할하여 모따기를 통한 극점의 형상 변화를 주었다. 이후 자속 변조 철심의 꼭지 점을 모따기 한것을 필렛(fillet)이라 표현하였다. 그림 4(a)에서 홈의 반지름을 변수 R이라 정하였고, 양측 홈에서 변수 R을 0[mm]에서 0.8[mm]까지 0.1[mm] 단위 크기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림. 4. (a), (b) 자속 변조 철심의 두 가지 형태

Fig. 4. (a) First proposed Shape of the steel pole, and (b) Second proposed Shape of the steel pole

../../Resources/kiee/KIEE.2020.69.2.258/fig4.png

3.2.2 변수 R에 따른 추력 특성

그림 5 (a)표 3에 나타낸 결과에 따른 선형 추력 리플 비교 그래프를 나타내고, (b)는 변수 R에 따른 평균 선형 추력을 나타낸다. 그림 5(a)에서 변수 R의 크기의 증가는 고속 이동자의 추력 리플의 감소를 유발하는 것을 보았다. 그러나 초기 이후 변화는 미비하였으며, 저속 이동자 측 선형 추력 리플에서는 큰 효과가 없음을 보았다. 그림 5(b)에서 변수 R의 증가가 고속 및 저속 이동자의 평균 선형 추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변수 R의 증가는 선형 추력 리플 뿐만 아니라 평균 선형 추력 또한 감소시킨다. 평균 선형 추력의 감소는 기어의 전달력의 균 선형 추력을 유지하면서 선형 추력 리플을 줄일 수 있는 구간 0.1[mm] ~ 0.4[mm]를 선정하였다.

그림. 5. 변수 R에 따른 (a) 추력 리플, (b) 평균 추력 그래프

Fig. 5. Result of (a) Force ripple and (b) Average force according to radius

../../Resources/kiee/KIEE.2020.69.2.258/fig5.png

표 3. 변수 R에 따른 해석 결과

Table 3.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radius

변수 R

고속 이동자

저속 이동자

최대 폭

평균

추력 [N]

최대 폭

평균

추력 [N]

0

19.9

91.5

20.81

586.87

0.1

16.2251

92.452

18.6231

590.6422

0.2

16.1373

92.4521

18.2937

590.3474

0.3

16.2332

92.4195

18.5813

590.7599

0.4

15.8254

92.2626

17.0292

589.9163

0.5

15.4912

91.8615

19.49761

587.433

0.6

14.9168

91.2411

20.5078

582.8067

0.7

13.887

90.0976

20.5305

575.1717

0.8

11.7019

87.9959

15.0759

564.5057

변수 R의 크기가 0.4[mm]일 때, 평균 선형 추력은 저속이동자 측 3.0N, 고속 이동자 측 0.76N 증가하였고, 추력 리플은 저속 이동자 측 18.5%, 고속 이동자 측 21.1% 감소하였다.

3.2.3 필렛(fillet)에 따른 추력 특성

표 4는 상부 필렛에 따라 고속 및 저속 이동자의 추력 파형의 최대 폭 및 평균 선형 추력을 보여준다. 표 5는 하부 필렛에 따른 고속 및 저속 이동자의 추력 파형의 최대 폭 및 평균 선형 추력을 보여준다. 상부 필렛을 0.1[mm]에서 0.7[mm]까지,하부 필렛은 0.1[mm]에서 0.5[mm]까지 0.1[mm] 단위로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림 6의 (a) 및 (b)는 상부 필렛에 대한 표 4에 도시 된 결과에 따른 각각의 선형 추력 리플 및 평균 선형 추력 비교 그래프이다.

그림 6(a)에서 상부 필렛이 없는 경우에 비해 선형 추력 리플은 감소되었으나, 이후 필렛의 증가에 따른 변화는 미미함을 볼 수 있다. 그림 6(b)의 경우, 상부 필렛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선형 추력이 감소함을 나타내지만 이는 초기 추력보다 큰 추력을 얻을 수 있었다. 해석 결과에 따라 상부 필렛 0.3[mm]에서 평균 선형 추력 대비 가장 작은 추력 리플이 발생하였다. 이때 평균 선형 추력은 저속 이동자 측 2.4N, 고속 이동자 측 0.72N 증가하였고, 추력 리플은 저속 이동자 측 13.6%, 고속 이동자 측 30.2% 감소하였다.

표 4. 자속 변조 철심의 상부 필렛에 따른 해석 결과

Table 4.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op-fillet

상부 필렛

고속 이동자

저속 이동자

최대 폭

평균

추력 [N]

최대 폭

평균

추력 [N]

0.1

14.8114

92.4138

19.9487

590.525

0.2

15.4244

92.3393

18.8188

589.939

0.3

13.9829

92.2201

18.0465

589.280

0.4

15.1862

92.077

16.6261

588.239

0.5

14.1748

91.9459

20.2021

587.273

0.6

13.8919

91.7657

19.2903

586.453

0.7

12.5757

91.6293

21.4215

585.113

그림. 6. 상부 필렛에 따른 (a) 추력 리플, (b) 평균 추력 그래프

Fig. 6. Result of (a) Force ripple and (b) Average force according to top-fillet

../../Resources/kiee/KIEE.2020.69.2.258/fig6.png

그림 7의 (a) 및 (b)는 하부 필렛에 대한 표 5에 도시 된 결과에 따른 각각의 선형 추력 리플 및 평균 선형 추력 비교 그래프이다. 그림 7의 (a)를 비교할 때, 하부 필렛 또한 상부 필렛과 유사한 특성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하부 필렛의 증가에 따른 평균 선형 추력의 감소는 초기 평균 추력 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평균 선형 추력을 고려하여 하단 필렛 0.2[mm]를 선정하였다. 이때 평균 선형 추력은 저속 이동자 측에서 0.22N 감소, 고속 이동자 측에서 0.16N 증가하였고, 추력 리플은 저속 이동자 측 27.3%, 고속 이동자 측 10.3% 감소하였다.

그림. 7. 하부 필렛에 따른 (a) 추력 리플, (b) 평균 추력 그래프

Fig. 7. Result of (a) Force ripple and (b) Average force according to bottom-fillet

../../Resources/kiee/KIEE.2020.69.2.258/fig7.png

표 5. 자속 변조 철심의 하부 필렛에 따른 해석 결과

Table 5.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bottom-fillet

하부 필렛

고속 이동자

저속 이동자

최대 폭

평균

추력 [N]

최대 폭

평균

추력 [N]

0.1

17.3897

92.0005

16.1532

588.7706

0.2

17.8717

91.6665

15.1065

586.6434

0.3

17.7859

91.2435

16.1686

583.7878

0.4

17.2737

90.802

20.4118

580.1781

0.5

17.5356

89.9106

22.764

575.1814

표 6은 필렛이 상부 및 하부 두 부분에 동시 적용될 때의 결과 값을 보여준다. 필렛을 0.1[㎜]에서 0.6[㎜]까지 0.1[mm]단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림 8 (a)와 (b)는 필렛 제어에 따른 선형 추력 리플과 평균 선형 추력의 비교 그래프이다. 그래프 비교를 통해, 0.1[mm]의 필렛이 상부 및 하부 모두에 적용 시 선형 추력 리플과 평균 추력면에서 가장 이상적인 결과를 얻음을 보았다. 이때 평균 선형 추력은 저속 이동자 측 2.1N, 고속 이동자 측 0.6N 증가하였고, 추력 리플은 저속 이동자 측 28.3%, 고속 이동자 측 25.3% 감소하였다.

표 6. 자속 변조 철심의 상-하부 필렛에 따른 해석 결과

Table 6.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both-fillet

상-하부 필렛

고속 이동자

저속 이동자

최대 폭

평균

추력 [N]

최대 폭

평균

추력 [N]

0.1

14.9626

92.1677

14.9622

589.058

0.2

15.5115

91.8041

16.059

586.620

0.3

14.7376

91.2387

15.4383

583.067

0.4

15.3788

90.5555

20.2613

578.589

0.5

14.4845

89.6844

23.0478

572.851

0.6

14.0627

88.4669

21.4907

565.816

그림. 8. 상-하부 필렛에 따른 (a) 추력 리플, (b) 평균 추력 그래프

Fig. 8. Result of (a) Force ripple and (b) Average force according to both-fillet

../../Resources/kiee/KIEE.2020.69.2.258/fig8.png

3.3 고속 이동자 측 영구 자석에 따른 선형 추력 분석

선형 마그네틱 기어에서 영구자석은 전달 추력을 발생시키는 요소로서, 본 논문에서는 1차 측인 고속 이동자 측 추력 리플의 저감을 우선으로 보았다. 따라서 고속 이동자 측 영구자석의 형태에 따른 선형 추력 변화와 그에 따른 추력리플를 비교하였다. 그림 9는 고속 이동자 측에서 적용될 변수를 나타낸다. 고속 이동자 측 영구 자석 하단부에 주어진 필렛에 따른 특성과 영구 자석 극호비에 따른 특성을 분석 하였다.

그림. 9. 고속 이동자 측 영구자석의 변수

Fig. 9. Variables parameters for permanent magnet on high-speed mover side

../../Resources/kiee/KIEE.2020.69.2.258/fig9.png

3.3.1 고속 이동자 측 극호비에 따른 추력 특성

고속 이동자 측 의 영구자석의 극호비에 따른 특성이다. 표 7은 1차 측 영구자석 극호비에 따른 해석 결과를 나타난다. 해석 결과를 통한 평균 선형 추력 및 추력 리플은 그림 10을 통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극호비가 작아짐에 따라 리플 또한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영구자석은 선형 추력을 발생시키는 요서로서, 영구자석의 극호비가 작아지는 것은 자석의 사용량 또한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선형 추력 또한 감소시키는 것으로 그림 10(b)에서 확인하였다.

표 7. 1차 측 영구자석 극호비에 따른 해석 결

Table 7.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pole ratio of High-speed mover.

극호비

고속 이동자

저속 이동자

최대 폭

평균

추력 [N]

최대 폭

평균

추력 [N]

0.8

16.8941

88.7974

22.8599

569.0647

0.84

18.7603

92.4996

21.5842

577.707

0.88

23.7227

90.8767

22.3518

584.9085

0.92

23.409

91.915

22.7218

588.6271

0.96

21.739

91.7999

21.9521

589.7083

1

19.9

91.5

20.81

586.87

그림. 10. 1차 측 영구 자석 극호비에 따른 (a) 추력 리플, (b) 평균 추력 그래프

Fig. 10. Result of (a) Force ripple and (b) Average force according to pole ratio.

../../Resources/kiee/KIEE.2020.69.2.258/fig10.png

3.3.2 고속 이동자 측 필렛(fillet)에 따른 추력 특성

다음은 고속 이동자 측 영구 자석의 하단부에 필렛을 주어 해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영구자석의 필렛은 0.1[mm]부터 0.6[mm]까지 0.1[mm] 단위로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표 8은 이에 따른 해석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11표 8에 따른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추력 리플 및 평균 선형 추력 그래프이다. 그래프 비교를 통하여 고속 이동자 측 영구자석에 0.3[mm] 필렛이 주어졌을 때, 가장 작은 추력 리플을 가지면서, 양호한 선형 추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평균 선형 추력은 저속 이동자 측 3.11N, 고속 이동자측 0.79N 증가하였고, 추력 리플은 저속 이동자 측 10.9% 증가, 고속 이동자 측 16.5% 감소하였다.

표 8. 1차 측 영구자석 필렛에 따른 해석 결과

Table 8.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PM-fillet of High-speed mover.

영구

자석

필렛

고속 이동자

저속 이동자

최대 폭

평균 추력 [N]

최대 폭

평균 추력 [N]

0

19.9

91.5

20.81

586.87

0.1

22.3627

91.7893

23.7311

589.2377

0.2

18.0212

92.477

23.4665

589.9264

0.3

16.7454

92.2919

23.2155

589.9821

0.4

16.9948

92.2033

22.7646

589.9254

0.5

17.2871

92.3402

21.271

589.7739

0.6

17.4898

92.4119

23.5341

589.8986

그림. 11. 영구 자석 필렛에 따른 (a) 추력 리플, (b) 평균 추력 그래프

Fig. 11. Result of (a) Force ripple and (b) Average force according to pm-fillet

../../Resources/kiee/KIEE.2020.69.2.258/fig11.png

마지막으로 자석 변조 철심의 형태에서 가장 이상적인 포인트와 1차측 영구자석의 형태에서 가장 이상적인 포인트를 동시 적용시켰을 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자석 변조 철심의 형태는 상부에 필렛을 0.3[mm]으로 주었을 때, 1차측 영구자석의 형태는 하부에 필렛을 0.3[mm]를 주었을 때를 선정하였다. 그림 12는 최종적으로 제안한 모델과 초기 모델의 선형 추력 비교

그림. 12. 초기 모델과 최종 모델의 선형 추력 비교 그래프

Fig. 12. Linear thrust waveform graph of initial model and final model

../../Resources/kiee/KIEE.2020.69.2.258/fig12.png

그래프이다. 해석 결과 초기 모델과 비교하였을 때 평균 선형 추력의 경우 고속 이동자 측에서 0.9N, 저속 이동자 측에서 2.4N 증가하였다. 추력 리플의 경우 고속 이동자 측에서 26.9%, 저속 이동자 측에서 12.8% 감소하였다. 이는 자석 변조 철심의 상부에만 필렛을 적용시켰을 경우의 결과 값과 큰 차이가 없음을 보았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선형 마그네틱 기어의 선형 추력 리플의 저감을 위하여 2차원 유한요소 해석법을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추력 리플의 저감을 위해 기어 비, 공극의 길이, 자석 변조 철심 및 영구 자석의 형상에 따른 4가지의 추력 특성을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분석하였다. 해석 결과 공극, 철심의 두께, 극호비의 경우 초기 선정 모델의 사양을 유지 하는 것이 추력리플의 저감에 있어서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된 철심의 형상들의 경우 초기 모델보다 추력 리플이 감소하였으나, 특정 구간 이후 형상 변수가 커질수록 평균 선형 추력 또한 감소하는 특성이 있었다. 2차 측 영구 자석에 필렛을 적용시킨 모델의 경우 초기 모델보다 추력 리플 저감을 보였으며, 평균 선형 추력 면에서는 약간의 증가함을 보였다. 해석 결과 제시된 자석 변조 철심 및 영구 자석의 형상이 추력 리플과 전달 추력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마그네틱 기어의 개선 설계에 있어서 참고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이 연구는 충남대학교 학술연구비에 의해 지원되었음.

References

1 
K. Atallah, D. Howe, 2001, A novel high-performance magnetic gear, IEEE Trans. Magn., Vol. 37, No. 4, pp. 2844-2846DOI
2 
Nicolas W. Frank, Hamid A. Toliyat, 2011, Analysis of the Concentric Planetary Magnetic Gear With Strengthened Stator and Interior Permanent Magnet Inner Rotor,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47, No. 4, pp. 1652DOI
3 
L. Jian, K. T. Chau, J. Z. Jiang, May–Jun 2009, A magnetic-geared outer-rotor permanent-magnet brushless machine for wind power generation, IEEE Trans. Ind. Appl., Vol. 45, No. 3, pp. 954-962DOI
4 
Z. P. Xu, Z. L. Liu, X. W. Fan, 2002, Direct conversion theories of magnetic force and mechanistic, Journal of Sichuan Institude of Light Industry and Chemical Technology, Vol. 15, No. 4, pp. 12-15Google Search
5 
P. Rasmussen, T. Andersen, F. Jorgensen, O. Nielsen, 2005, Development of a high-performance magnetic gear, IEEE Tra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41, No. 3, pp. 764-770DOI
6 
Y. D. Yao, D. R. Huang, C. C. Hsieh, D. Y. Chiang, S. J. Wang, 1996, The Radial Magnetic Coupling Studies of Perpendicular Magnetic Gears, IEEE Trans. on Magnetics, Vol. 32, No. 5, pp. 5061-5063DOI
7 
K. Atallah, S.D. Calverley, D. Howe, 2004, Design, analysis and realisation of a highperformance magnetic gear, IEE Proc.-Electr. Power Appl., Vol. 151, No. 2, pp. 135-143DOI
8 
T. Lubin, S. Mezani, A. Rezzoug, 2010, Analytical Computation of the Magnetic Field Distribution in a Magnetic Gear,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46, No. 7, pp. 2611DOI
9 
Xiaoyong Zhu, Long Chen, Li Quan, Yanbiao Sun, Wei Hua, Zheng Wang, 2012, A New Magnetic-Planetary-Geared Permanent Magnet Brushless Machine for Hybrid Electric Vehicle, Magnetics IEEE Transactions on, Vol. 48, No. 11, pp. 4642-4645DOI
10 
Seyed Ahmadreza Afsari, Hossein Heydari, Babak Dianati, 2015, Cogging Torque Mitigation in Axial Flux Magnetic Gear System Based on Skew Effects Using an Improved Quasi 3-D Analytical Method, Magnetics IEEE Transactions on, Vol. 51, No. 9, pp. 1-11DOI
11 
Xia Tao, Yu Haitao, Chen Zhongxian, Huang Lei, Liu Xiaomei, Hu Minqiang, 2017, Design and Analysis of a Field-Modulated Tubular Linear Permanent Magnet Generator for Direct-Drive Wave Energy Conversion, Magnetics IEEE Transactions on, Vol. 53, No. 6, pp. 1-4DOI
12 
C. C. Huang, M. C. Tsai, D. G. Dorrell, B. J. Lin, Mar 2008, Development of a magnetic planetary gearbox, IEEE Trans. Magn., Vol. 44, No. 3, pp. 403-412DOI
13 
S. Pakdelian, N. W. Frank, 2012, Analysis and design of the trans-rotary magnetic Gear, Energy Conversion Congress and Exposition, pp. 3340-3347DOI
14 
S. Niu, S. L. Ho, W. N. Fu, Oct 2011, Performance analysis of a novel magnetic-geared tubular linear permanent magnet machine, IEEE Trans. Magn., Vol. 47, No. 10, pp. 3598-3601DOI
15 
S. L. Ho, Qingsong Wang, Shuangxia Niu, W. N. Fu, Nov 2015, A Novel Magnetic-Geared Tubular Linear Machine With Halbach Permanent-Magnet Arrays for Tidal Energy Conversion, IEEE Trans. Magn., Vol. 51, No. 11DOI
16 
W. Li, K. T. Chau, J. Li, Jun 2011, Simulation of a tubular linear magnetic gear using HTS bulks for field modulation, IEEE Trans. Appl. Supercond., Vol. 21, No. 3, pp. 1167-1170DOI
17 
N. Feng, H. Yu, L. Huang, W. Zhong, Z. Shi, 2015, Performance analysis of a magnetic-geared linear permanent magnet generator for wave energy conversion, Magnetics Conference (INTERMAG) 2015 IEEE, pp. 1-1DOI
18 
Robert C. Holehouse, Kais Atallah, Jiabin Wang, Oct 2011, Design and Realization of a Linear Magnetic Gear, IEEE Trans. Magn., Vol. 47, No. 10, pp. 4171-4174DOI
19 
L. Wang, M. Jin, J. Shen, Z. Huang, J. Wang, 2014, Design of a High-Performance Linear Permanent Magnet Gear, ICEMS 2014, pp. 2324-2326DOI

저자소개

우종현 (Jong-Hyeon Woo)
../../Resources/kiee/KIEE.2020.69.2.258/au1.png

1992년 8월 26일생. 2018년 충남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사. 2018년 3월~현재 동대학원 전기공학과 석사과정.

Tel : 042-821-7601

Email : dnwhd0@cnu.ac.kr

서성원 (Sung-Won Seo)
../../Resources/kiee/KIEE.2020.69.2.258/au2.png

1988년 2월 10일생. 2014년 호서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사. 2016년 충남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석사. 2016년 3월~현재 동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과정.

Tel : 042-821-7601

Email : dd1059@cnu.ac.kr

방태경 (Tae-Kyoung Bang)
../../Resources/kiee/KIEE.2020.69.2.258/au3.png

1992년 1월 13일생. 2016년 충남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교육과 공학사. 2018년 동대학원 전기공학과 공학석사. 2018년 3월~현재 동대학원 전기공학과 박사과정.

Tel : 042-821-7601

Email : bangtk77@cnu.ac.kr

최장영 (Jang-Young Choi)
../../Resources/kiee/KIEE.2020.69.2.258/au4.png

1976년 10월 20일생. 2003년 충남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사. 2005년 동대학원 전기공학과 공학석사. 2009년 동대학원 전기공학과 공학박사. 2009년 1월~2009년 8월 ㈜한라공조 기술연구소. 2009년 9월~현재 충남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Tel : 042-821-7610

Email : choi_jy@cnu.ac.kr